KR200428894Y1 -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94Y1
KR200428894Y1 KR2020060020924U KR20060020924U KR200428894Y1 KR 200428894 Y1 KR200428894 Y1 KR 200428894Y1 KR 2020060020924 U KR2020060020924 U KR 2020060020924U KR 20060020924 U KR20060020924 U KR 20060020924U KR 200428894 Y1 KR200428894 Y1 KR 200428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rtridge
reverse osmosis
osmosis membrane
discharg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2020060020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6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 등을 이용하는 다수의 필터카트리지를 갖춘 정수시스템에 있어 커넥터를 이용하여 필터카트리지를 용이하게 교체하는 정수용 시스템에 관련한다.
본 고안은 세디먼트 필터 카트리지, 프리카본 필터 카트리지,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에 의해 원수를 정수하여 압력탱크에 저장하고 정수꼭지를 통해 정수수를 배출하는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정수수 생산을 높이기 위해 직렬로 2단 연결된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 및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각각의 필터카트리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측면과 연결되며, 내부에는 유체의 흐름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관통로와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다수의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 및 압력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배출되는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원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오토셧오프밸브와; 상기 어댑터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수를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로 안내하는 제 1유입관과 제 2유입관이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커넥터간에 장착된 유로변경이 가능한 어댑터를 통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유로를 적절하게 변경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를 통해 오토셧오프 밸브, 솔레노이드밸브등과 연결이 간편하며,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정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직렬로 2단 연결함으로써 정수수의 생산량을 증가할 수 있고, 또한 농축수의 배출량을 최소화해서 버려지는 폐수량을 줄일 수 있다.
2단 정수필터, 커넥터, 필터카트리지, 어댑터, 오토셧오프밸브, 체크밸브

Description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Water purification system having water path changing adapter}
도 1은 종래의 니쁠타입의 필터카트리지를 갖는 기계식 타입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유체흐름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니쁠타입의 필터카트리지를 갖는 전자식 타입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유체흐름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정수시스템의 투시 단면도.
도 4a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시스템의 제 1형 어댑터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
도 5a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시스템의 제 2형 어댑터의 단면도.
도 5b는 도 5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
도 6a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시스템의 제 3형 어댑터의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
도 7a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시스템의 제 4형 어댑터의 단면도.
도 7b는 도 7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
도 8a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시스템의 제 5형 어댑터의 단면도.
도 8b는 도 8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
도 9a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시스템의 제 6형 어댑터의 단면도.
도 9b는 도 9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직렬로 2단 연결되며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기계식 정수시스템의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직렬로 2단 연결되며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전자식 정수시스템의 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 20;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
30; 역삼투압 필터카트리지 31;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
32;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 40;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
50; 커넥터 60; 어댑터
61, 61'; 유입구 62; 배출구
63; 관통로 64; 제 1관통로
65; 제 2관통로 66; 유로가이드
70; 체크밸브 80; 압력탱크
90; 플로우 리스트릭터 100; 오토셧오프밸브
110; 연결관 111; 제 1유입관
112; 제 2유입관 120; 솔레노이드밸브
130; 압력스위치 140; 펌프
본 고안은 역삼투압 필터카트리지등을 이용하는 정수시스템의 생성되는 정수수수의 압력에 따라 오토셧오프밸브(auto shut off valve), 또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등에 의해 유로를 자동으로 폐쇄시킴에 따라 원수 잠금밸브를 잠그는 동작이 불필요하며,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정수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닛뿔타입의 입출수를 가진 필터에 있어서의 물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계식 타입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정수시스템은 수도꼭지(미도시됨)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수도수, 지하수등)중에 포함된 녹, 흙, 모래, 부유되는 고형물을 부직포에 의해 매크로사이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디멘트 필터(sediment filter)카트리지와, 콜(coal)의 광물질 또는 야자수나무를 고온에서 태워서 만든 활성탄의 흡착방식에 의해 수중에 잔류되는 염소성분(트리할로메탄 등), 유기화학물질 등을 제거하는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카트리지와, 폴리아마이드 복합막에 의해 0.0001미크론크기의 미세한 기공을 통하여 수중의 각종 오염물질, 세균, 무기물질, 중금속 등을 정수처리하는 역삼투막필터(membrane filter, 또는 reverse somosis filter(RO))카트리지와 수중의 냄새, 가스성분과 같은 이물질을 정수처리하여 물맛을 개선하는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에 의해 걸러지는 불순물(농축수)은 플로우 리스트릭터(flow restrictor)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오토셧오프 밸브는 일반적으로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 후단에 장착되며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밸브로써 정수수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원수의 흐름(유입)을 차단하여 정수시스템의 고장을 방지한다. 역삼투압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배출되는 농축수와 정수수를 가장 이상적인 비율인 4:1로서 유지하기 위해 농축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플로우 리스트릭터(flow restrictor)가 설치된다.
체크밸브는 정수수측의 압력이 설정압에 도달하여 오토셧오프밸브에 의해 원수가 차단되었을 때 압력탱크의 압력에 의해 정수수가 역류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된다.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의 경우에는 정수수의 생산수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압력탱크를 이용하여 정수수를 저장한 다음에, 사용시 축적된 압력으로 고유량을 토출시킨다. 일반적으로 압력탱크는 최종필터카트리지인 포스트 카본 필터카트리지 전단에 설치함으로써 압력탱크에 저장된 정수수가 최종적으로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함으로써 고무냄새를 제거해준다.
도 2는 도 1과 마찬가지의 닛뿔타입의 입출수를 가진 필터카트리지가 장착된 정수시스템에 있어서의 물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자식타입으로 구성되어 있 다. 전자식 타입의 정수시스템은 기계식 타입에서 구성된 오토셧오프밸브를 이용하여 원수유입을 차단하는 대신 압력스위치(high press switch, HPS)와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에 의해 원수유입을 차단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은 기계식 타입과 일치한다. 즉, 정수수의 압력이 일정압에 도달하면 정수수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 측의 전기적 신호를 차단해서 밸브가 닫혀져 원수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다수의 필터카트리지로 이루어진 정수시스템에서는 각각의 필터카트리지 사이의 연결은 니뿔(nipple)과 연결용부품 및 호스로 이루어져 착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는 물품 특성상 정수수 배출공과 농축수 배출공이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원가비용 상승은 물론, 정수시스템을 이루는 필터카트리지와 필터카트리지를 연결할 때 호스와 연결부재등의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므로 정수시스템을 비좁은 장소 또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할 때 불편하고 조립하는 작업성이 떨어지며, 필터카트리지를 교체하는데 필요한 전문지식이 없거나 경험이 없는 일반소비자들이 필터카트리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없어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386870호(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역삼투막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고안으로서 필터카트리지를 연결하기 위해 닛 뿔타입방식을 커넥터를 이용한 착탈방식으로 변경해 교체하기 쉽게 개량한 고안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시스템은 필터카트리지(10, 20, 30, 40)와 커넥터(50)간의 연결이 착탈방식으로 구성되며, 커넥터(50) 사이는 체크밸브(70)가 역류방지를 위해 장착되며 어댑터(60)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원수, 정수수의 흐름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원수, 정수수 및 농축수의 통로가 하나의 포트 형상으로 형성된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를 포함하는 커넥터(50)의 구조에 의해 정수시스템의 연결구조가 간단해져 조립작업을 간편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의 커넥터(50)간을 연결하는 어댑터(60)의 구성에 의해서는 복수의 필터카트리지(10, 20, 30, 40)로 이루어진 정수시스템에 있어 설치조건에 따라 원수, 정수수 및 농축수의 흐름을 가장 적합한 유로로 변화시켜 최대의 정수효과를 이루고자할 경우에 유로변경이 어렵고 또한 농축수 배출을 위한 별도의 통로를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를 포함하는 커넥터(50)에 형성해야 한다.
또한, 상기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정수시스템에 요구되는 일정한 정수압에 따라 원수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오토셧오프밸브등을 장착하는 경우 별도의 구성을 추가해야 하며, 또한 플러싱을 요할 경우에 활성탄 배출통로 등을 위한 별도의 추가설비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부터 정수수의 생산수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압력탱크를 이용하여 정수수를 저장한 다음에 사용시 축적된 압력으로 고유량을 토출시키지만 일정량의 정수수를 생산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로부터 걸러진 원수중에 포함된 농축수는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폐수량이 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정수시스템을 갖추면서, 커넥터간에는 유로변경이 가능한 어댑터를 장착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유로를 적절하게 변경가능할 수 있는 정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유로변경이 가능한 어댑터를 갖춘 시스템을 통하여 정수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오토셧오프밸브 또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압력스위치의 장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정수수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면서 반대로 배출되는 농축수의 양은 최소화해 폐수량을 극소화할 수 있는 정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세디먼트 필터 카트리지, 프리카본 필터 카트리지,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에 의해 원수를 정수하여 압력탱크에 저장하고 정수꼭지를 통해 정수수를 배출하는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정수수 생산을 높이기 위해 직렬로 2단 연결된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 및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각각의 필터카트리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측면과 연결되며, 내부에는 유체의 흐름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관통로와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다수의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 및 압력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배출되는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원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오토셧오프밸브와; 상기 어댑터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수를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로 안내하는 제 1유입관과 제 2유입관이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다수의 어댑터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 결합된 커넥터의 한쪽 측면에 장착된 제 1형 어댑터;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2형 어댑터;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직접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3형 어댑터;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며,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는 상기 제 1유입관으로 배출되어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저장되도록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6형 어댑터;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2역삼투 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는 상기 제 2유입관으로 배출되어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저장되거나, 저장된 정수수가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제 2유입관을 통해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4형 어댑터;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가 상기 정수꼭지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의 한쪽 측면에 장착된 제 5형 어댑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세디먼트 필터 카트리지, 프리카본 필터 카트리지,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에 의해 원수를 정수하여 압력탱크에 저장하고 정수꼭지를 통해 정수수를 배출하는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정수수 생산을 높이기 위해 직렬로 2단 연결된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 및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각각의 필터카트리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측면과 연결되며, 내부에는 유체의 흐름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관통로와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다수의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서 배출되는 정수수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와; 상기 어댑터와 연결되어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압력스위치에 의해 전기적신호가 차단되어 원수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어댑터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수를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로 안내하는 제 1유입관과 제 2유입관이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수의 어댑터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 결합된 커넥터의 한쪽 측면에 장착된 제 1형 어댑터;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2형 어댑터;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직접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3형 어댑터;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며,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는 상기 제 1유입관으로 배출되어 상기 압력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저장되도록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6형 어댑터;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부터 유입된 정수수는 상기 제 1유입관으로 배출되어 상기 압력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저장되거나, 저장된 정수수가 상기 압력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 2유입관을 통해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4형 어댑터;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를 통 해 유입된 정수수가 상기 정수꼭지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의 한쪽 측면에 장착된 제 5형 어댑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시스템의 제 1형 어댑터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형 어댑터(60)는 관통로(63)와 관통로(63)의 직각방향 즉, B-B'방향으로 배출구(62)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관통로(63)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배출구(62)로 배출되도록 내부에 유로가이드(66)가 형성된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시스템의 제 2형 어댑터의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형 어댑터는 유입구(61)와 배출구(62)가 형성되고 유입구(61)와 배출구(62)의 직각방향 즉, B-B'방향으로 제 1관통로(64)와 제 2관통로(65)가 형성된다.
제 2형 어댑터는 유입구(61)와 배출구(62)간에 직접적인 흐름, 다시 말해 직 통의 연결통로가 유로가이드(66)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 1관통로(6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제 2관통로(65)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통로로서 작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유로가이드(66)는 유입구(61)와 배출구(62)간의 직통 연결통로를 차단하고, 제 2관통로(65)와 배출구(62)를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오픈 상태로 형성되어 제 2관통로(65)로부터의 유입되는 유체는 배출구(62)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어댑터(600)의 내부에는 커넥터(50)간의 연결시에 하류측 커넥터에 잔류되는 잔압 또는 필터카트리지에 잔류되는 잔압에 의한 역류를 차단하도록 체크밸브(70)가 장착된다.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시스템의 제 3형 어댑터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형 어댑터는 유입구(61)와 배출구(62)가 형성되고 유입구(61)와 배출구(62)의 직각방향 즉, B-B'방향으로 제 1관통로(64)와 제 2관통로(65)가 형성된다.
제 1관통로(64)와 제 2관통로(65)를 차단해서 제 1관통로(64)와 제 2관통로(65)의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유로가이드(66)에 의해 유입구(61)와 배출구(62)간의 직통 연결통로를 오픈하도록 형성해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직접 배출구(6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유로가이드(66)는 유입구(61)에 유입된 유체의 흐름이 직접적으로 배출 구(62)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어댑터(60)의 내부에는 커넥터(50)간의 연결시에 하류측 커넥터에 잔류되는 잔압 또는 필터카트리지에 잔류되는 잔압에 의한 역류를 차단하도록 체크밸브(70)가 장착된다.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시스템의 제 4형 어댑터의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형
어댑터는 유입구(61)와 배출구(62)가 형성되고 유입구(61)와 배출구(62)의 직각방향 즉, B-B'방향으로 제 1관통로(64)와 제 2관통로(65)가 형성된다.
제 4형 어댑터는 두개의 분리되는 유입구(61, 61')를 갖추며 상기의 유입구(61, 61') 중에 어느 하나의 유입구(61')로 유입된 유체는 배출구(62)로의 연결통로가 유로가이드(66)에 의해 차단되어 제 2관통로(6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하나의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 1관통로(6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로부터의 유체가 제 1관통로(64)를 통해 유입되어 유로가이드(66)에 의해 오픈된 연결통로를 통해 배출구(6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유로가이드(66)는 어느 하나의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 2관통로(6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입구(61')와 배출구(62)와의 연결통로를 차단하고, 다른 하나의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 1관통로(6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반대로 제 1관통로(64)를 통해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어 배출구(62)로 배출되도록 제 1관통로(64)와 배출구(62)의 연결통로가 오픈되도록 형성된다. 어댑터(60)의 내부에는 커넥터(50)간의 연결시에 하류측 커넥터에 잔류되는 잔압 또는 필터카트리지에 잔류되는 잔압에 의한 역류를 차단하도록 체크밸브(70)가 장착된다.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시스템의 제 5형 어댑터의 단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형
어댑터는 제 1형 어댑터와 대칭되는 구조로서 유입구(61)와 유입구의 직각방향으로 관통로(63)가 형성되어 있어,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관통로(6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내부에 유로가이드(66)가 형성된다.
제 5형 어댑터(60)의 내부에는 커넥터(50)간의 연결시에 하류측 커넥터에 잔류되는 잔압 또는 필터카트리지에 잔류되는 잔압에 의한 역류를 차단하도록 체크밸브(70)가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 1형 어댑터와 차이가 있다.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시스템의 제 6형 어댑터의 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에서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6형 어댑터는 유입구(61, 61')와 배출구(62)가 형성되고 유입구(61, 61')와 배출구(62)의 직각방향 즉, B-B'방향으로 제 1관통로(64)와 제 2관통로(65)가 형성된다.
제 6형 어댑터는 두개의 분리되는 유입구(61, 61')를 갖추며 어느 하나의 유입구(61')로 유입된 유체는 제 2관통로(65)의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되고 유로가이드(66)에 의해 유입구(61)와 배출구(62)간의 직통 연결통로가 오픈되어 유입된 유체는 직접 배출구(6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하나의 유입구(61)를 통 해 유입된 유체는 유로가이드(66)에 의해 배출구(62)로의 통로가 차단되어 제 1관통로(6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어댑터(60)의 내부에는 커넥터(50)간의 연결시에 하류측 커넥터에 잔류되는 잔압 또는 필터카트리지에 잔류되는 잔압에 의한 역류를 차단하도록 체크밸브(70)가 장착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직렬로 2단 연결되며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기계식 정수시스템의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수(feed water)가 유입되어 다수의 필터카트리지를 경유하면서 정수수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과정과 농축수가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기계식 정수시스템에는 다수의 필터카트리지와 커넥터(50), 어댑터(60), 압력탱크(80), 오토셧오프밸브(100), 연결관(11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카트리지는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40)가 각각 장착되며, 커넥터(5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버튼부(미도시)가 커넥터에 구비되어 버튼부(미도시)를 누름으로써 커넥터(50)와 원터치방식으로 장착된다.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와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는 직렬로 2단연결되어 보다 많은 정수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역삼투압 필터카트리지(31, 32)를 통해 배출되는 농축수와 정수수를 가장 이 상적인 비율인 4:1로서 유지하기 위해 농축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프로우 리스트릭터(flow restrictor, 90)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110)은 제 1유입관(111)과 제 2유입관(112)이 형성되어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와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부터 상기 어댑터(60)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수를 상기 오토셧오프밸브(1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어댑터(60)는 각각의 필터카트리지가 장착된 커넥터(50)간에 장착되는데, 어댑터(60)는 유체(원수, 정수수, 농축수)의 흐름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작용하며 커넥터(50)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60)와 커넥터(50) 사이에 오링등을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어댑터(60)가 쉽게 착탈되며 흐르는 유체는 새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10에서 도시된 본 고안에 의한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직렬로 2단 연결되며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기계식 정수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로 배출되도록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가 결합된 커넥터(50)의 한쪽 측면에 제 1형 어댑터(60)를 장착한다. 제 1형 어댑터(60)는 원수가 관통로(63)를 통하여 유입되어 배출구(62)를 통해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오토셧오프밸브(100)를 경 유하여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로 배출되도록,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가 결합된 커넥터(50)와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가 결합된 커넥터(50) 사이에 제 2형 어댑터(60)를 장착한다. 제 2형 어댑터(60)는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로부터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제 1관통로(64)를 통해 오토셧오프밸브(10)를 경유하여 제 2관통로(65)로 유입되어 배출구(62)를 통해 다음 단계의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직접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로 배출되도록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가 결합된 커넥터(50)와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가 결합된 커넥터(50) 사이에 제 3형 어댑터(60)를 장착한다. 제 3형 어댑터(60)는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로부터 유입구(61)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가 직접 배출구(62)를 통해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로 배출되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는 연결관(110)으로 배출되어 오토셧오프밸브(100)를 경유하여 압력탱크(80)로 저장되도록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가 결합된 커넥터(50)와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가 결합된 커넥터(50) 사이에 제 6형 어댑터(60)를 장착한다.
제 6형 어댑터(60)는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로부터 유출된 정수수와 농축수의 각각의 통로(미도시)를 각각 연결하는 두개의 유입구(61, 61')를 갖는 어댑터(60)를 구성하여, 농축수는 어느 하나의 유입구(61')로 유입되어 배출구(62)로 직접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정수수는 다른 하나의 유입구(61)로 유입되어 제 1관통로(64)를 통해 제 1유입관(111)으로 배출되어 오토셧오프밸브(100)를 경유해 압력탱크(80)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에 공급되는 공급수는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로부터의 농축수가 공급된다.
농축수가 공급되어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를 경유하여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로부터 유입된 정수수는 연결관(110)으로 배출되어 상기 오토셧오프밸브(100)를 경유하여 상기 압력탱크(80)로 저장되거나, 압력탱크(80)로부터의 저장된 정수수가 오토셧오프밸브(100)를 경유하여 연결관(11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40)로 배출되고,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가 결합된 커넥터(50)와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가 결합된 커넥터(50) 사이에 제 4형 어댑터(60)가 장착된다.
제 4형 어댑터(60)는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에서 유출된 정수수와 농축수의 각각의 통로(미도시)를 각각 연결하는 두개의 유입구(61, 61')를 갖는 어댑터(60)를 구성하여, 농축수는 어느 하나의 유입구(61')로 유입되어 제 2관통로(6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정수수는 다른 하나의 유입구(61)로 유입되어 제 1관통로(64)를 통해 제 2유입관(112)으로 배출되어 오토셧오프밸브(100)를 경유해 압력탱크(80)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오토셧오프 밸브(100)는 압력탱크(80)로 배출되는 정수수의 압력이 일정압력이 되면 원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제 4형 어댑터(60)의 제 1관통로(64)와 제 6형 어댑터(60)의 제 1관통로(64)를 통해 배출되어 연결관(110)에서 취합되어 압력탱크(80)로 흐르는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을 경우는 정수수는 압력탱크(80)로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압력탱크(80)로 흐르는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할 경우는 정수시스템으로 원수의 유입이 차단된다.
정수꼭지를 오픈할 경우 압력탱크(80)로부터의 저장된 정수수가 제 4형 어댑터(60)의 제 2유입관(65)을 통과해 제 1관통로(64)를 통해 배출구(62)로 배출되며, 이때 압력탱크(80)에 저장된 정수수는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와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에서 생산되어 취합되므로 보다 많은 정수수가 저장되어 배출될 수 있다.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40)을 통해 유입된 정수수를 정수꼭지를 오픈해 배출되도록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40)가 결합된 커넥터(50)의 한쪽 측면에 제 5형 어댑터(60)를 장착하여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40)를 통해 유입구(61)로 유입된 정수수를 관통로(63)를 통해 정수꼭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직렬로 2단 연결되며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전자식 정수시스템의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식 정수시스템은 다수의 필터카트리지와 커넥터(50), 어댑터(60), 압력탱크(80), 솔레노이드밸브(100), 압력스위치(130)등으로 구성된다.
전자식 정수시스템의 구성은 도 10에서의 기계식 정수시스템의 오토셧오프밸브(100)를 이용하여 원수를 차단하는 대신 압력스위치(130)와 솔레노이드 밸브(120)에 의해 원수를 차단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은 기계식 정수시스템과 일치한다.
즉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된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정수수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130)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20)의 전기적 신호를 차단해서 밸브를 오프시켜 원수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서 도시된 본 고안에 의한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직렬로 2단 연결되며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전자식 정수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로 배출되도록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가 결합된 커넥터(50)의 한쪽 측면에 제 1형 어댑터(60)를 장착한다.
제 1형 어댑터는 원수가 관통로(63)를 통하여 유입되어 배출구(62)를 통해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솔레노이드밸브(120)를 경유하여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로 배출되도록,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가 결합된 커넥터(50)와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가 결합된 커넥터(50) 사이에 제 2형 어댑터(60)를 장착한다.
제 2형 어댑터(60)는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10)로부터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제 1관통로(64)를 통해 솔레노이드밸브(120)를 경유하여 제 2관통로(65)로 유입되어 배출구(62)를 통해 다음 단계의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직접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로 배출되도록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가 결합된 커넥터(50)와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가 결합된 커넥터(50) 사이에 제 3형 어댑터(60)를 장착한다.
제 3형 어댑터(60)는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20)로부터 유입구(61)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가 직접 배출구(62)를 통해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로 배출되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는 연결관(110)으로 배출되어 압력스위치(130)를 경유하여 압력탱크(80)로 저장되도록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가 결합된 커넥터(50)와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가 결합된 커넥터(50) 사이에 제 6형 어댑터(60)를 장착한다.
제 6형 어댑터(60)는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로부터 유출된 정수수와 농축수의 각각의 통로(미도시)를 각각 연결하는 두개의 유입구(61, 61')를 갖는 어댑터(60)를 구성하여, 농축수는 어느 하나의 유입구(61')로 유입되어 배출구(62)로 직접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정수수는 다른 하나의 유입구(61)로 유입되어 제 1관통로(64)를 통해 제 1유입관(111)으로 배출되어 압력스위치(130)를 경유해 압력탱크(80)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에 공급되는 공급수는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에서 배출된 농축수가 공급된다.
농축수가 공급되어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를 경유하여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로부터 유입된 정수수는 연결관(110)으로 배출되어 상기 압력스위치(130)를 경유하여 압력탱크(80)로 저장되거나, 압력탱크(80)로부터의 저장된 정수수가 압력스위치(130)를 경유하여 연결관(11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40)로 배출되고,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로부터 유입된 농축수는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가 결합된 커넥터(50)와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가 결합된 커넥터(50) 사이에 제 4형 어댑터(60)가 장착된다.
제 4형 어댑터(60)는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0)에서 유출된 정수수와 농축 수의 각각의 통로(미도시)를 각각 연결하는 두개의 유입구(61, 61')를 갖는 어댑터(60)를 구성하여, 농축수는 어느 하나의 유입구(61')로 유입되어 제 2관통로(6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정수수는 다른 하나의 유입구(61)로 유입되어 제 1관통로(64)를 통해 제 2유입관(112)으로 배출되어 압력스위치(130)를 경유해 압력탱크(80)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압력스위치(130)는 정수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오프시켜 압력탱크(80)로 배출되는 원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제 4형 어댑터(60)의 제 1관통로(64)와 제 6형 어댑터(60)의 제 1관통로(64)를 통해 연결관(110)에서 취합되어 압력탱크(80)로 흐르는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을 경우는 정수수는 압력탱크(80)로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압력탱크(80)로 흐르는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할 경우는 정수시스템으로 원수의 유입은 차단된다.
정수꼭지를 오픈할 경우 압력탱크(80)로부터의 저장된 정수수가 제 4형 어댑터(60)의 제 2유입관(112)을 통과해 제 1관통로(64)를 통해 배출구(62)로 배출되며, 이때 압력탱크(80)에 저장된 정수수는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1)와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32)에서 생산되어 취합되므로 보다 많은 정수수가 저장되어 배출될 수 있다.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40)을 통해 유입된 정수수를 정수꼭지를 열어 배출 되도록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40)가 결합된 커넥터(50)의 한쪽 측면에 제 5형 어댑터(60)를 장착하여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40)를 통해 유입구(61)로 유입된 정수수를 관통로(63)를 통해 정수꼭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전자식 정수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펌프(140)가 장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원수의 수압을 높이기 위해 부스터펌프를 사용된다.
이상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상기의 유로변경이 가능한 어댑터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의 적절한 변경에 따라 각각의 어댑터는 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반드시 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로,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정수시스템을 갖추면서 커넥터간에 장착된 어댑터를 유로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해 설치환경에 적합하게 원수, 정수수 및 농축수의 유로를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정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커넥터간에 장착된 어댑터의 유로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정수시스템 의 구성요소인 오토셧오프밸브 또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으로 연결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어댑터는 쉽게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설치환경 또는 기타 다른 요인의 변화에 맞추어 적합한 유로를 갖는 어댑터로 쉽게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정수시스템의 관리가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
셋째로,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직렬로 2단 연결하여 정수수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면서 일정량의 정수수를 생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반대로 배출되는 농축수의 양은 2회의 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거치면서 최소화되므로 폐수량을 극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세디먼트 필터 카트리지, 프리카본 필터 카트리지,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에 의해 원수를 정수하여 압력탱크에 저장하고 정수꼭지를 통해 정수수를 배출하는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정수수 생산을 높이기 위해 직렬로 2단 연결된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 및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각각의 필터카트리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측면과 연결되며, 내부에는 유체의 흐름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관통로와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다수의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 및 압력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배출되는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원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오토셧오프밸브와;
    상기 어댑터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수를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로 안내하는 제 1유입관과 제 2유입관이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어댑터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 결합된 커넥터의 한쪽 측면에 장착된 제 1형 어댑터;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2형 어댑터;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직접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3형 어댑터;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며,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는 상기 제 1유입관으로 배출되어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저장되도록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6형 어댑터;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는 상기 제 2유입관으로 배출되어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저장되거나, 저장된 정수수가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제 2유입관을 통해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4형 어댑터;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가 상기 정수꼭지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의 한쪽 측면에 장착 된 제 5형 어댑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3. 세디먼트 필터 카트리지, 프리카본 필터 카트리지,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에 의해 원수를 정수하여 압력탱크에 저장하고 정수꼭지를 통해 정수수를 배출하는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정수수 생산을 높이기 위해 직렬로 2단 연결된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 및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각각의 필터카트리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측면과 연결되며, 내부에는 유체의 흐름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관통로와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다수의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서 배출되는 정수수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와;
    상기 어댑터와 연결되어 정수수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압력스위치에 의해 전기적신호가 차단되어 원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어댑터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수를 상기 오토셧오프밸브로 안내하는 제 1유입관과 제 2유입관이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어댑터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 결합된 커넥터의 한쪽 측면에 장착된 제 1형 어댑터;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디먼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2형 어댑터;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직접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프리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3형 어댑터;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 배출되며,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는 상기 제 1유입관으로 배출되어 상기 압력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저장되도록 상기 제 1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6형 어댑터;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농축수는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로부터 유입된 정수수는 상기 제 1유입관으로 배출되어 상기 압력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압력탱크로 저장되거나, 저장된 정수수가 상기 압력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 2유입관을 통해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 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 2역삼투막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와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 사이에 장착된 제 4형 어댑터;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유입된 정수수가 상기 정수꼭지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카트리지가 결합된 커넥터의 한쪽 측면에 장착된 제 5형 어댑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KR2020060020924U 2006-08-04 2006-08-04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KR200428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924U KR200428894Y1 (ko) 2006-08-04 2006-08-04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924U KR200428894Y1 (ko) 2006-08-04 2006-08-04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94Y1 true KR200428894Y1 (ko) 2006-10-16

Family

ID=4177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924U KR200428894Y1 (ko) 2006-08-04 2006-08-04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94Y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7003A3 (en) * 2008-08-08 2010-04-08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9233322B1 (en) 2008-08-08 2016-01-12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9901852B2 (en) 2008-08-08 2018-02-27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0040703B2 (en) 2008-08-08 2018-08-07 Kx Technologies Llc Reverse osmosis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CN108689516A (zh) * 2018-08-16 2018-10-23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装置及净水机
CN112156550A (zh) * 2020-11-05 2021-01-01 佛山市韩华滤芯有限公司 商用过滤器的滤芯座、过滤器组件及过滤器
US11273397B2 (en) 2018-09-13 2022-03-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base for electronic connection to mating filter housing assembly
USD946700S1 (en) 2019-11-18 2022-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6701S1 (en) 2019-11-18 2022-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6699S1 (en) 2019-11-18 2022-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6703S1 (en) 2019-11-18 2022-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6702S1 (en) 2019-11-18 2022-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8659S1 (en) 2019-11-18 2022-04-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8660S1 (en) 2019-11-18 2022-04-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11413560B2 (en) 2019-11-18 2022-08-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1426685B2 (en) 2008-08-08 2022-08-30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D969270S1 (en) 2019-11-18 2022-11-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5753B2 (en) 2008-08-08 2021-06-29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0207211B2 (en) 2008-08-08 2019-02-19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WO2010017003A3 (en) * 2008-08-08 2010-04-08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RU2475293C2 (ru) * 2008-08-08 2013-02-20 КейЭкс ТЕКНОЛОДЖИЗ ЭлЭлСи Нажимной фильтр с плавающим замком
US8673146B2 (en) 2008-08-08 2014-03-18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9233322B1 (en) 2008-08-08 2016-01-12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9901852B2 (en) 2008-08-08 2018-02-27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0040703B2 (en) 2008-08-08 2018-08-07 Kx Technologies Llc Reverse osmosis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1845025B2 (en) 2008-08-08 2023-12-19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1376530B2 (en) 2008-08-08 2022-07-05 Kx Technologies Llc Reverse osmosis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0675571B2 (en) 2008-08-08 2020-06-09 Kx Technologies Llc Filter housing with filter key attachment
US10695698B2 (en) 2008-08-08 2020-06-30 Kx Technologies Llc Reverse osmosis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0857492B2 (en) 2008-08-08 2020-12-08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1433327B2 (en) 2008-08-08 2022-09-06 Kx Technologies Llc Filter housing with filter key attachment
US8366930B2 (en) 2008-08-08 2013-02-05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1958003B2 (en) 2008-08-08 2024-04-16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8137551B1 (en) 2008-08-08 2012-03-20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1426685B2 (en) 2008-08-08 2022-08-30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CN108689516A (zh) * 2018-08-16 2018-10-23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装置及净水机
US11865479B2 (en) 2018-09-13 2024-01-0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base for electronic connection to mating filter housing assembly
US11273397B2 (en) 2018-09-13 2022-03-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base for electronic connection to mating filter housing assembly
USD946703S1 (en) 2019-11-18 2022-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6702S1 (en) 2019-11-18 2022-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8659S1 (en) 2019-11-18 2022-04-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8660S1 (en) 2019-11-18 2022-04-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6699S1 (en) 2019-11-18 2022-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11413560B2 (en) 2019-11-18 2022-08-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D946701S1 (en) 2019-11-18 2022-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69270S1 (en) 2019-11-18 2022-11-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USD946700S1 (en) 2019-11-18 2022-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cartridge
CN112156550A (zh) * 2020-11-05 2021-01-01 佛山市韩华滤芯有限公司 商用过滤器的滤芯座、过滤器组件及过滤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894Y1 (ko)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KR100797051B1 (ko) 유로 변경이 가능한 정수기용 어댑터
KR200433506Y1 (ko) 정수용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KR20030033019A (ko) 역삼투 물 처리 시스템용 유량 제어 모듈
US20080185323A1 (en) Water Treatment System
KR200384557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WO2007092145A1 (en) Modular reverse osmosis water treatment system
CN209636004U (zh) 集成水路系统及净水机
KR200433977Y1 (ko) 유로변경이 가능한 어댑터가 장착된 정수시스템
KR200459279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원터치방식의 정수시스템
KR200467519Y1 (ko)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200403991Y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102016703B1 (ko) 물 여과 시스템
JP3174016U (ja) 逆浸透膜式浄水器
CN209554915U (zh) 集成水路板和净水机
KR101776256B1 (ko) 관로일체형 덮개가 구비되는 정수기
KR200450896Y1 (ko) 하프 타입 정수장치의 역삼투압 필터구조
KR100494994B1 (ko)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CN1948169A (zh) 分质供水机
CN211632830U (zh) 混水系统及包含其的净水机
KR102016704B1 (ko) 물 여과 시스템
CN216549852U (zh) 一种净水系统
KR100494593B1 (ko)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KR20210102529A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의 결합구조
CN111453865A (zh) 一种新型净水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