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994B1 -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994B1
KR100494994B1 KR10-2003-0060326A KR20030060326A KR100494994B1 KR 100494994 B1 KR100494994 B1 KR 100494994B1 KR 20030060326 A KR20030060326 A KR 20030060326A KR 100494994 B1 KR100494994 B1 KR 10049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everse osmosis
osmosis membrane
water
membran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694A (ko
Inventor
안형준
박병길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99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전처리필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필터를 내부에 일체로 수용하되,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필터는 배관없이 소통되게 하는 필터하우징; 상기 전처리필터에서 생성된 정수의 수압을 상승시켜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로 배출하는 승압펌프;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와 소통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는 배관; 상기 분기된 배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내의 생활용수를 방출하는 생활용수조절밸브; 상기 분기된 배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내의 멤브레인의 표면에 쌓인 이물질들을 상기 승압폄프의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방출하는 이물질방출밸브; 및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가동시간,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유량, 기입력된 폐수 및 이물질방출시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가 개폐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Reverse osmotic water purifier having filter housing of unity type}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삼투 정수기는 수도수나 지하수를 역삼투 방식에 의해 정수한 다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인 역삼투 정수기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필터(4), 승압펌프(5), 선카본필터(6), 역삼투 필터(7), 후카본필터(9), 정수취수밸브(10), 역류방지밸브(8) 및 생활용수조절밸브(11)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침전필터(4)는 상수도 및 지하수 등의 원수를 수용하여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고, 승압펌프(5)는 상기 침전필터(4)에서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선카본필터(6)는 상기 승압펌프(5)에서 유입된 원수에서 염소 및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등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이고,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7)는 상기 선카본필터(6)를 통과한 정수를 유입하고, 정수에서 중금속, 이온성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아울러, 후카본필터(9)는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7)로부터 여과수를 수용하고 여과수 속에 용해된 가스상의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것이다.
정수취수밸브(10)는 상기 후카본필터(9)에서 배출된 여과수를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생활용수조절밸브(11)는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7)가 동작하면서 발생된 생활용수를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7)로부터 생활용수 배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역류방지밸브(8)는 상기 후카본필터(9)로부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7)로 이동하는 여과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역삼투 정수기의 동작은, 우선 공급배관(1) 상에 설치된 급수밸브(2)를 개방시키면, 상수도 또는 지하수와 같은 원수가 원수배관(3)을 따라 침전필터(4)로 유입된다.
또한, 침전필터(4)를 통해 생성된 정수는 승압펌프(5)에서 일정압력으로 승압되고, 승압된 정수는 다시 선카본필터(6)로 투입되어 재차 정수작업을 거치게 된다.
선카본필터(6)에서 배출된 정수는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7)로 유입되어 1차 여과수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7)에서 배출된 1차 여과수는 다시 후카본필터(9)를 통과하여 최종적인 2차 여과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여과수는 배관을 따라 정수취수 밸브(10)에 도달하며, 이 때 정수취수 밸브(10)에 도달된 여과수는 정수취수 밸브(10)를 개방함과 동시에 사용자들에게 직접 공급된다.
한편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7)가 동작하면서 발생된 생활용수는 생활용수조절밸브(11)에 따라 생활용수 배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7)와 후카본필터(9)를 연결하는 배관(12)상에는 여과수 흐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8)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침전필터, 선카본필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필터를 배관의 연결에 의해 순차적으로 나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수기의 부피가 커지고,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배관들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소비자가 필터를 직접 교환할 경우에는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필터들의 각기 다른 용적(容積)에 따라 교환주기가 달라 다수의 필터들을 각각 별도로 교환해야 하며, 이 때문에 사용자가 필터들의 교환시기를 정확히 인식하기 어려워 필터들을 제때에 교환하지 못하는 불편함과 동시에 필터 교환 및 수명에 대해 사용자가 불신감을 갖게 되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출원번호 제 2002-70348호인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와, 출원번호 제 2002-70349호인 "일체식 필터 구성을 갖는 역삼투 정수기"를 2002년 11월 13일에 출원했었다.
이 중 출원번호 제 2002-70348호인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의 대략적인 구성은, 전처리 필터인 복합필터(24)와, 그리고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6)와, 후처리 필터인 후카본필터(29)와, 상기 복합필터(24),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6), 후카본필터(29)를 일체로 수용하는 필터하우징(32)와, 승압펌프(25)와, 생활용수조절밸브(27)와, 급수배관(23)과, 펌프배관(33)과, 정수취수 밸브(31) 및 정수배관(30)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들에 의해 각 필터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정수기의 부피를 줄이고, 각 필터의 교환주기를 동일하게 설계하여 사용자가 필터 교환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한 선출원 제 2002-70348호에서 생활폐수의 방출을 줄이고 정수를 다량 얻고자 할 경우에는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6)의 정수 : 폐수의 비율 중 정수의 비율을 상당히 높여야 한다. 그로 인해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6)와 연결된 생활용수조절밸브(27)의 개방동작 주기가 상당히 길어지게 되는데, 이 때문에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6)의 멤브레인(미도시)에 이물질이 쌓이는 등의 오염이 발생하여 결국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6)의 정수 투과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정수 비율을 상당히 높이면서도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정수 투과량이 감소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원수를 유입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전처리필터; 상기 전처리필터에서 생성된 정수로부터 중금속 또는 이온성 물질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생성하는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로부터 여과수를 수용하고, 여과수 속에 용해된 가스상의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후카본 필터; 상기 전처리필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필터를 내부에 일체로 수용하되,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필터는 배관없이 소통되게 하는 필터하우징; 상기 전처리필터에서 생성된 정수의 수압을 상승시켜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로 배출하는 승압펌프;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와 소통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는 배관; 상기 분기된 배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내의 생활용수를 방출하는 생활용수조절밸브; 상기 분기된 배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내의 멤브레인의 표면에 쌓인 이물질들을 상기 승압폄프의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방출하는 이물질방출밸브; 및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가동시간,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유량, 기입력된 폐수 및 이물질방출시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가 개폐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전처리필터는 원수로부터 입자성물질을 여과하는 침전필터 및 상기 침전필터의 정수에서 염소 또는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등을 여과하는 선카본 필터로 이루어지거나, 원수로부터 입자성물질을 여과함과 더불어 염소 또는 휘발성 유기화학물질을 여과하도록 된 복합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물질방출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가동시간에 따라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에 개폐 신호를 인가하는 타임센서들이거나,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유량에 따라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에 개폐 신호를 인가하는 유량센서들이거나, 기입력된 폐수방출시간 및 이물질방출시간에 따라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마이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또는 이물질방출밸브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측으로 가압이 지속되도록 상기 승압펌프를 온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발명은 도 3에서, 전처리 필터인 복합필터(124), 그리고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 후처리 필터인 후카본필터(129), 필터하우징(132), 승압펌프(125), 생활용수조절밸브(127), 이물질방출밸브(134), 급수배관(123), 펌프배관(133), 폐수/이물질방출배관(128), 정수취수 밸브(131), 정수배관(130) 및 제어수단인 마이컴(14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전처리필터인 복합필터(124)는 원수로부터 입자성물질을 여과함과 더불어 염소 또는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등을 여과한다.
복합필터(124)는 상수도 및 지하수 등의 원수를 최초로 유입하며, 일반적으로 원수에 포함된 10마이크로미터()이상의 찌꺼기와 오염물질을 걸러주어 후속공정의 부품들이 정상적인 동작을 하도록 하며, 그 내부가 고열로 처리된 카본으로 되어 있어서 원수 속에 용해되어 있는 염소성분, 트리할로메탄(THM),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등을 흡착, 제거시킴으로써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를 보호하고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실시예로, 복합필터(124)는 필터 하우징(132)의 내부 공간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필터 하우징(132)의 일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복합필터(124)의 상부는 급수배관(123)과 연결되고, 하부는 펌프배관(133)과 연결된다.
하지만, 복합필터(1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로부터 입자성물질을 여과하는 침전필터(143)와, 이 침전필터(143)의 정수에서 염소 또는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등을 여과하는 선카본 필터(144)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승압펌프(125)는 복합필터(124)에서 생성된 정수의 수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며 필터 하우징(132)의 외부에 구비된다.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는 승압펌프(125)에서 승압된 정수로부터 중금속, 미생물 또는 분자량이 극소한 이온성 물질을 걸러내어 여과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는 필터 하우징(132)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복합필터(124)의 측면에 나란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합필터(124)와 용적(容積)을 조절하여 그 수명이 서로 동일하도록 설계된다.
폐수/이물질방출배관(128)은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와 소통되어 상기 필터하우징(132)의 외부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 폐수/이물질방출배관(128)은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로부터 "F"자 형태로 설치된다.
이 분기된 폐수/이물질방출배관(128)의 일단에는 생활용수조절밸브(127)가 구비되고, 폐수/이물질방출배관(128)의 타단에는 이물질방출밸브(134)가 구비된다.
먼저, 생활용수조절밸브(127)는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 내의 생활용수를 방출하는 것이고, 이물질방출밸브(134)는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 내의 멤브레인(미도시)에 쌓인 이물질들을 방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활용수조절밸브(127) 및 이물질방출밸브(134)는 제어수단인 마이컴(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수단인 마이컴(140)은 기입력된 생활용수 배출시간에 따라 생활용수조절밸브(127)가 개폐되도록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거나 기입력된 이물질 방출시간에 따라 이물질방출밸브(134)가 개폐되도록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즉, 마이컴(140)은 기입력된 시간들에 따라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127) 및 이물질방출밸브(134)를 제어한다.
실시예로, 상기 마이컴(140)이 이물질방출밸브(134)를 개방하는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 정수기를 5시간 가동시 20초동안 이물질방출밸브(134)를 개방하여 멤브레인 세척하는 경우, 역삼투 정수기를 3시간 가동시 40초동안 이물질방출밸브(134)를 개방하여 멤브레인 세척하는 경우, 역삼투 정수기를 2시간 가동시 60초동안 이물질방출밸브(134)를 개방하여 멤브레인 세척하는 경우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마이컴(140)은 생활용수조절밸브(127) 또는 이물질방출밸브(134)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의 지속적인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승압펌프(125)를 온상태로 제어한다.
즉, 생활용수조절밸브(127) 또는 이물질방출밸브(134)가 마이컴(140)의 신호에 의해 개방되는 동안 마이컴(140)이 승압펌프(125)가 온 상태로 가동되도록 제어하여 승압펌프(125)가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 내의 생활용수가 생활용수조절밸브(127)를 통해 빠져나가거나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의 멤브레인(미도시)에 쌓인 이물질이 이물질방출밸브(134)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밸브들(128,134) 중에서 이물질방출밸브(134)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플런저를 움직이는 변환 밸브로서 스위칭시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이물질방출밸브(134)로 적용된다면, 승압펌프(125)의 압력으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의 멤브레인에 쌓인 이물질을 순간적으로 폐수/이물질방출배관(128)을 통해 방출시킬 수가 있다.
한편, 후처리 필터인 후카본필터(129)는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에서 여과수를 수용하고 여과수에 용해된 가스상의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역할과 더불어, 여과수 내의 냄새성분까지 제거한다.
실시예로, 후카본필터(129)는 필터 하우징(132)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와 배관없이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합필터(124) 및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와 마찬가지로 그 수명이 서로 동일하도록 용적이 조절된다.
상기 복합필터(124),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 및 후카본필터(129)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서 그 형상을 원통형 외에 기타 다각형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필터 하우징(132) 내에 수용된 복합필터(124),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 및 후카본필터(129)의 교환시기 즉, 수명은 모두 동일하도록 용적을 조절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필터들(124,126,129)이 수용된 필터 하우징(132)을 새 것으로 교체하므로 종래처럼 각 필터들(124,126,129)의 수명에 따라 개별적으로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이러한 필터 하우징(132)의 교체작업은 필터 하우징(132)의 내부에 구비된 각 필터들(124,126,129)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되는 급수배관(123), 승압펌프 연결배관(133), 생활용수배관(128) 및 정수배관(130)등의 배관들을 분리하고, 다시 새로운 필터 하우징(132)에 수용된 필터들(124,126,129)의 입, 출구를 배관들과 연결시키면, 상기 필터 하우징(132)의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마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은 하기와 같다.
먼저, 급수밸브(122)를 개방하면 원수배관(121)의 원수는 급수배관(123)을 따라 복합필터(124)로 유입된다.
상기 복합필터(124)에 유입된 원수는 여과작용을 거치게 되고, 여과된 정수는 다시 승압펌프(125)로 유입된다.
승압펌프(125)에 유입된 정수는 수압이 상승되어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로 향하고,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에 수용된 정수는 또 다시 여과작용을 거치게 된다.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에서 생성된 정수는 후카본필터(129)에서 재차 여과작용을 거치게 되며, 상기 후카본필터(129)에서 여과된 여과수는 배관을 따라 정수취수 밸브(131)에 도달하며, 이 때 정수취수 밸브(131)에 도달된 여과수는 정수취수 밸브(131)를 개방함과 동시에 사용자들에게 직접 공급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140)에 기입력된 생활용수 방출시간에 의해 생활용수조절밸브(127)를 개방하게 되면, 승압펌프(125)는 지속적으로 가동되면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 내의 생활용수는 폐수/이물질방출배관(128), 즉 배관A(128A)를 따라 생활용수조절밸브(127)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40)에 기입력된 이물질 방출시간에 의해 이물질방출밸브(127)를 개방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이물질방출밸브(127)가 비교적 반응성이 좋은 솔레노이드 밸브이므로, 상기 마이컴(140)의 전기적 신호와 더불어 순간적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이물질방출밸브(127)가 개방됨과 동시에 승압펌프(125)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던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의 내압이 순간적으로 상승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의 멤브레인에 쌓인 이물질이 떨어져나가면서 폐수/이물질방출배관(128), 즉 배관B(128B)를 따라 이물질방출밸브(127)를 통해 방출된다.
이렇게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의 멤브레인에 쌓인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므로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의 정수 투과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제어수단이 마이컴(140)이 아니라 타임센서(141) 또는 유량센서(142)로 이루어질 경우 그 구성을 전개한 것이다.
먼저, 타임센서(141,141')는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의 가동시간에 따라 생활용수조절밸브(127) 및 이물질방출밸브(134)에 개폐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 생활용수조절밸브(127) 및 이물질방출밸브(134)에 각각 구비된다.
즉, 타임센서(26)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을 데이터에 입력하여 그 일정한 시간에 따라 생활용수조절밸브(127) 및 이물질방출밸브(134)를 개방하도록 개폐신호를 인가한다.
한편, 유량센서(142,142')는 타임센서들(141,141')과 달리,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의 유량에 따라 생활용수조절밸브(127) 및 이물질방출밸브(134)에 개폐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 타임센서(141,141')와 마찬가지로 생활용수조절밸브(127) 및 이물질방출밸브(134)에 각각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유량센서(142,142')는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 내 농축수의 농도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그 농축정도에 따라 생활용수조절밸브(127) 및 이물질방출밸브(134)에 개폐신호를 인가하여 개방시킴으로써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26)에서 농축된 폐수 및 멤브레인에 쌓인 이물질들을 주기적으로 방출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로서, 제어수단에 의해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를 주기적으로 개폐하여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내의 생활용수와 이물질을 제거하므로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정수 비율을 상당히 높이면서도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정수 투과량이 감소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전처리필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필터를 필터 하우징에 수용하여 정수기의 부피를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줄이고, 특히 복합필터를 사용할 경우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배관들을 최소화하므로서 소비자가 간편하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필터들의 용적을 조절하여 교환주기를 일치시켰기 때문에 소비자가 상기 필터들이 수용된 필터 하우징을 간편하게 교체한다면 필터 교환 및 수명에 대한 불신감을 해소시킬 수 있고, 정수기의 성능을 우수한 상태로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역삼투 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원수배관 122; 급수밸브
123; 급수배관 124; 복합필터
125; 승압펌프 126;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127; 생활용수조절밸브 128; 폐수/이물질방출배관
129; 후카본필터 130; 정수배관
131; 정수취수 밸브 132; 필터 하우징
133; 펌프 배관 134; 이물질방출밸브
140; 마이컴 141,141'; 타임센서
142,142'; 유량센서 143; 침전필터
144; 선카본 필터

Claims (5)

  1. 원수를 유입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전처리필터;
    상기 전처리필터에서 생성된 정수로부터 중금속 또는 이온성 물질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생성하는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로부터 여과수를 수용하고, 여과수 속에 용해된 가스상의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후카본 필터;
    상기 전처리필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필터를 내부에 일체로 수용하되,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필터는 배관없이 소통되게 하는 필터하우징;
    상기 전처리필터에서 생성된 정수의 수압을 상승시켜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로 배출하는 승압펌프;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와 소통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는 배관;
    상기 분기된 배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내의 생활용수를 방출하는 생활용수조절밸브;
    상기 분기된 배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내의 멤브레인의 표면에 쌓인 이물질들을 상기 승압폄프의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방출하는 이물질방출밸브; 및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가동시간,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유량, 기입력된 폐수 및 이물질방출시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가 개폐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필터는,
    원수로부터 입자성물질을 여과하는 침전필터 및 상기 침전필터의 정수에서 염소 또는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등을 여과하는 선카본 필터로 이루어지거나, 원수로부터 입자성물질을 여과함과 더불어 염소 또는 휘발성 유기화학물질을 여과하도록 된 복합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방출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가동시간에 따라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에 개폐 신호를 인가하는 타임센서들이거나,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유량에 따라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에 개폐 신호를 인가하는 유량센서들이거나, 기입력된 폐수방출시간 및 이물질방출시간에 따라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및 이물질방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마이컴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생활용수조절밸브 또는 이물질방출밸브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 측으로 가압이 지속되도록 상기 승압펌프를 온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KR10-2003-0060326A 2003-08-29 2003-08-29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KR10049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326A KR100494994B1 (ko) 2003-08-29 2003-08-29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326A KR100494994B1 (ko) 2003-08-29 2003-08-29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694A KR20050022694A (ko) 2005-03-08
KR100494994B1 true KR100494994B1 (ko) 2005-06-10

Family

ID=3723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326A KR100494994B1 (ko) 2003-08-29 2003-08-29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061A (ko) 2014-02-10 2015-08-19 (주)동양화학 천연광물 소재를 포함하는 미네랄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38275B (zh) * 2009-09-01 2011-10-26 吴瑞昌 一种纯水机
KR101649741B1 (ko) * 2015-05-15 2016-08-22 드림식품기계공업 주식회사 수액 농축장치
CN106693493A (zh) * 2016-11-14 2017-05-24 武汉兴天宇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过滤水装置
WO2019085695A1 (zh) * 2017-10-30 2019-05-09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复合滤芯组件和净水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061A (ko) 2014-02-10 2015-08-19 (주)동양화학 천연광물 소재를 포함하는 미네랄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694A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894Y1 (ko)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AU2001283288A1 (en) Under the counter water treatment system
RU2652705C1 (ru)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KR100494994B1 (ko)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US201003079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Water
KR200459279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원터치방식의 정수시스템
RU51521U1 (ru) Бытово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KR100494593B1 (ko)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JPH0966295A (ja) 造水装置
KR200450896Y1 (ko) 하프 타입 정수장치의 역삼투압 필터구조
CN212504388U (zh) 一种管道直饮水净水装置
KR100598900B1 (ko) 이온수 생성기능을 가지는 역삼투정수기
KR20180074851A (ko) 체크밸브가 내장된 ro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시스템
CN111453865A (zh) 一种新型净水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615505A (zh) 一体式净水器
RU214442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жидкости
CN214990838U (zh) 一种新型净水器
CN209923045U (zh) 一种新型净水装置
KR20040024777A (ko) 폐수절감형 정수시스템
CN214031984U (zh) 一种水质平衡净水机
KR101443909B1 (ko) 역삼투 정수장치
CN110316844A (zh) 一种小型集成化反渗透净水机
KR100490560B1 (ko) 역삼투 정수기
RU2684365C2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KR100494594B1 (ko) 일체식 필터 구성을 갖는 역삼투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