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644A -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 Google Patents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644A
KR20170070644A KR1020150178429A KR20150178429A KR20170070644A KR 20170070644 A KR20170070644 A KR 20170070644A KR 1020150178429 A KR1020150178429 A KR 1020150178429A KR 20150178429 A KR20150178429 A KR 20150178429A KR 20170070644 A KR20170070644 A KR 20170070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purified
raw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2422B1 (ko
Inventor
정태호
최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5017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4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0Safety devices, e.g. by-passes
    • B01D27/108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 B01D27/146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connec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5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적어도 2개 이상이 내장되는 정수필터의 소재에 의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는
원통형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캡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 및 정수가 배출되는 제1,2정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내설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1차로 정수처리하는 제1정수필터;
상기 본체의 상부에 내설되고,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를 중앙의 정수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제1정수 배출구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2차로 정수처리시킨 후 상기 제2정수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제2정수필터;를 구비하되,
상기 제2정수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정수필터를 거치지않고 상기 제2정수필터에 곧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통에 의해 실링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Description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a filter of water purifier of use enable selective material}
본 발명은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2개 이상이 내장되는 정수필터의 소재에 의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오염으로 인해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정수기의 사용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바, 정수기는 수돗물 또는 지하수(이하 "원수" 라고 칭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이용하여 원수를 여과함에 따라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 1인 가족 및 소형화 가족의 증가로 인해 정수기의 소형화, 슬림화, 복합화 추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소 2종 이상의 소재가 한 정수필터 내에 형성되는 복합필터의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출원번호 10-2010-0116310호에 복합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필터하우징에 내장되는 하나의 소재 또는 두가지 소재를 모두 통과시킨 정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임의비율로 분할하여 유용하게 활용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터하우징에 내장되는 소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캡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 및 정수가 배출되는 제1,2정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내설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1차로 정수처리하는 제1정수필터;
상기 본체의 상부에 내설되고,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를 중앙의 정수 이동관을 통해 상기 제1정수 배출구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2차로 정수처리시킨 후 상기 제2정수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제2정수필터;를 구비하되,
상기 제2정수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정수필터를 거치지않고 상기 제2정수필터에 곧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통에 의해 실링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 또는 정수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필터하우징에 내장되는 하나의 소재 또는 두가지 소재를 모두 통과시킨 정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실용성 및 신뢰성을 갖게 된다.
또한, 정수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정수필터의 소재가 내장되는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임의비율로 분할하여 사용함에 따라 정수필터의 기능을 최적화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터하우징에 내장되는 정수필터의 소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에서,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가 제1정수필터 만을 통과하여 정수처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에서,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가 제1정수필터 및 제2정수필터를 통과하여 정수처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에서, 유로전환가이드의 원수 유입구 및 제1,2정수 배출구에 연통되는 포트가 형성되는 캡이 필터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5(a,b,c)는 도 4에 도시된 캡을 분리시킨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필터의 변형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하나의 원수 유입구(13)와 두 개의 제1,2정수 배출구(14,15)가 형성된 필터를 말함)는,
입구가 개방되는 원통형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개구부에 누수되지않도록 열융착 등에 의해 장착되는 캡(11)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12);
상기 캡(11)에 내설되고, 수돗물, 지하수 등의 원수가 유입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원수 유입구(13) 및 정수(제1정수필터(17)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 또는 제1,2정수필터(17,19)에 의해 연속적으로 정수처리된 정수를 말함)가 배출되는 제1,2정수 배출구(14,15)(원수 유입구(13)와 제1정수 배출구(14)사이에 제2정수 배출구(15)가 형성됨)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16);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내설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을 여과하여 1차로 정수처리한 정수(제1정수필터(17)만을 통과시켜 정수처리한 제1정수를 말함)를 중앙의 집수통로(17a)에 모으는 제1정수필터(17);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내설되고, 상기 제1정수필터(17)를 통과하는 정수를 중앙의 정수 이동통로(18)를 통해 상기 제1정수 배출구(13)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정수필터(17)를 통과한 정수를 2차로 정수처리시킨 정수(제1정수필터(17)를 통과시킨 정수를 제2정수필터(19)를 다시 통과시켜 정수처리한 제2정수를 말함)를 상기 제2정수 배출구(15)로 이동시키는 제2정수필터(19);를 구비하되,
상기 제2정수필터(19)는 상기 필터하우징(12)에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정수필터(17)를 거치지않고 상기 제2정수필터(19)에 곧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통(40)에 의해 실링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정수필터(17)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13)로부터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도면에 화살표 "a"로 원수의 이동방향이 표기되고, 적색으로 표기됨)와, 상기 제1정수필터(17)에 의해 1차로 정수처리된 후 상기 집수통로(17a)에 집수되는 정수(도면에 화살표 "b"로 정수의 이동 방향이 표기되고, 녹색으로 표기됨)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 홀더(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13)로부터 상기 본체(10)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화살표 "a"로 원수의 이동 방향이 표기됨)와, 상기 제1,2정수필터(17,19)에 의해 2차로 정수처리되어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2정수 배출구(15)로 이동되는 정수(도면에 화살표 "c"로 정수의 이동 방향이 표기되고, 노랑색으로 표기됨)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홀더(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와 상기 정수 이동통로(18)의 상단을 연통가능하게 이음연결하고, 상기 정수 이동통로(18)(상,하단이 개방됨)를 통과하여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1정수 배출구(14)로 이동되는 정수와, 상기 제2정수필터(19)를 통과하여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2정수 배출구(15)로 이동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정수필터(17)의 상단과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하단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정수필터(17)를 통과하는 정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재(23)(일 예로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정수필터(17)의 상단과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하단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13)로부터 상기 본체(10)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화살표 "a"로 원수의 이동 방향이 표기됨)와, 제1정수필터(17)에 의해 1차로 정수처리된 후 챔버(25)에 정체 중인 정수 또는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챔버(25)에 용출되는 정수의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 홀더(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정수필터(17)는 전처리용 필터로서 기공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정수필터(19)는 후처리용 필터로서 기공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정수필터(17,19)는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을 여과하기 위한 발포형 또는 나권형의 세디먼트필터,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되는 염소성분이나 휘발성 유기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카본블록필터 및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되는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세라믹필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수돗물 등의 원수가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원수 유입구(13)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하우징(12) 내에 유입된다. 즉 원수가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10)의 내주연 사이의 통로를 따라 본체(10) 내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도면에 화살표 "a"로 원수의 이동 방향이 표기됨).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는 상기 제1정수필터(17)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원수 중에 포함되는 녹, 먼지 등의 부유물질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1차로 정수처리하게 된다. 상기 제1정수필터(17)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는 중앙의 집수통로(17a)에 모아진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와 상기 제1정수필터(17)에 의해 1차로 정수처리된 후 상기 집수통로(17a)에 집수되는 정수는, 상기 제1정수필터(17)의 하단에 장착된 상기 하부 홀더(20)에 의해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수통로(17a)에 모아지는 정수는 상기 챔버(25)에 이동된다.
이때, 상기 원수 유입구(13)로부터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와, 제1정수필터(17)에 의해 1차로 정수처리된 후 상기 집수통로(17a)를 통해 챔버(25)에 이동되어 정체 중인 정수, 또는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챔버(25)에 용출되는 정수는, 상기 제1정수필터(17)의 상단과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하단 사이에 장착된 중간 홀더(24)에 의해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챔버(25)에 이동된 정수 중 일부는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하단에 장착된 상기 여과재(23)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중앙에 형성된 정수 이동통로(18)를 통과하여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1정수 배출구(14)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챔버(25)에 이동된 정수 중 일부는 상기 여과재(23)를 통과한 후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내부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정수필터(19)를 통과하여 2차 정수처리된 정수는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2정수 배출구(15)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원수 유입구(13)로부터 상기 본체(10)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와, 상기 제1,2정수필터(17,19)에 의해 2차로 정수처리되어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2정수 배출구(14)로 이동되는 정수는,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상단에 장착된 상기 상부 홀더(21)에 의해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이동통로(18)를 통과하여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1정수 배출구(14)로 이동되는 정수와, 상기 제2정수필터(19)를 통과하여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2정수 배출구(15)로 이동되는 정수는,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와 상기 정수 이동통로(18)의 상단을 연통되게 이음연결한 상기 커넥터(22)에 의해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에 의하면,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원수 유입구(13)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는 상기 제1정수필터(17)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여 1차로 정수처리된다. 상기 제1정수필터(17)에 의해 1차로 정수처리된 정수 중 일부 정수는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중앙에 형성된 정수 이동통로(18)를 통과하여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1정수 배출구(14)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정수필터(17)에 의해 1차로 정수처리된 정수 중 일부 정수는 상기 제2정수필터(19)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2차로 정수처리된다. 상기 제2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는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2정수 배출구(15)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원수 유입구(13)에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정수의 사용 용도에 따라 상기 제1정수필터(17) 만을 통과시켜 1차 정수처리한 정수를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상기 제1정수 배출구(14)를 통해 수도꼭지(또는 파우셋) 등으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일 예로서, 제1정수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과일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정수필터(17)를 통과시켜 1차 정수처리한 정수를 상기 제2정수필터(19)를 통과시켜 2차 정수처리한 정수를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상기 제2정수 배출구(15)를 통해 수도꼭지 등으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일 예로서, 제2정수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식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정수필터(17)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1정수 배출구(14)를 통해 배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1정수필터(17) 및 제2정수필터(19)에 의해 연속적으로 정수처리된 정수를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2정수 배출구(15)를 통해 배출시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제1정수필터(17) 또는 복수의 제1,2정수필터(17,19)에 의해 연속적으로 정수처리된 정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a,b,c)에서와 같이, 상기 캡(11)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상기 원수 유입구(13)에 연통되는 원수 포트(30)와,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상기 제1정수 배출구(14)에 연통되는 제1정수포트(31)와,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상기 제2정수 배출구(15)에 연통되는 제2정수포트(32)로 이루어지는 배출캡(33)을 구비하되,
회전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2정수 배출구(15)로부터 배출되는 정수 량을 제어하는 밸브(34)가 상기 제2정수포트(32)에 장착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상기 배출캡(33)의 원수 포트(30) 및 유로전환가이드(16)의 원수 유입구(13)를 차례로 통과시켜 필터하우징(12)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수필터(17)에 의해 정수처리된 후 상기 정수 이동통로(18)를 따라 이동되는 정수(제1정수를 말함)를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1정수 배출구(14) 및 상기 배출캡(33)의 제1정수포트(31)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수필터(17)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상기 제2정수필터(19)에 의해 다시 정수처리한 정수(제2정수를 말함)를 상기 유로전환가이드(16)의 제2정수 배출구(15) 및 상기 배출캡(33)의 제2정수포트(32)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캡(33)의 제2정수포트(32)에 장착된 밸브(34)의 개방에 의해 정수(제2정수)의 량을 제어할 수 있다(도 5(c)에 도시됨). 이와 반면에 도 5(b)에서는 상기 제2정수포트(32)에 장착된 밸브(34)의 닫힘에 의해 정수(제2정수)를 배출시킬 수 없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정수필터(17)로서 블록소재를 사용하고 상기 제2정수필터(19)로서 충진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진소재로서 복합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정수필터(17)로서 충진소재를 사용하고 상기 제2정수필터(19)로서 블록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진소재로서 복합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1; 캡
12; 필터하우징
13; 원수 유입구
14; 제1정수 배출구
15; 제2정수 배출구
16; 유로전환가이드
17; 제1정수필터
18; 정수 이동통로
19; 제2정수필터
20; 하부 홀더
21; 상부 홀더
22; 커넥터
23; 여과재
24; 중간 홀더
25; 챔버

Claims (10)

  1. 원통형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캡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 및 정수가 배출되는 제1,2정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내설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1차로 정수처리하는 제1정수필터;
    상기 본체의 상부에 내설되고,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를 중앙의 정수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제1정수 배출구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2차로 정수처리시킨 후 상기 제2정수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제2정수필터;를 구비하되,
    상기 제2정수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정수필터를 거치지않고 상기 제2정수필터에 곧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통에 의해 실링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수필터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로부터 상기 본체의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와 상기 제1정수필터에 의해 1차로 정수처리된 정수의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수필터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로부터 상기 본체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와, 제1,2정수필터에 의해 2차로 정수처리된 정수의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가이드와 상기 정수 이동관의 상단을 연통가능하게 이음연결하고, 상기 정수 이동통로를 통과하는 정수와 상기 제2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의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수필터의 상단과 상기 제2정수필터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수필터의 상단과 상기 제2정수필터의 하단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로부터 상기 본체 하부로 이동되는 원수와, 제1정수필터에 의해 1차로 정수처리된 후 챔버에 이동되어 정체 중인 정수 또는 상기 제2정수필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챔버에 용출되는 정수의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수필터는 전처리용 필터로서 기공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정수필터는 후처리용 필터로서 기공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정수필터는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을 여과하기 위한 발포형 또는 나권형의 세디먼트필터,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되는 염소성분이나 휘발성 유기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카본블록필터 및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되는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세라믹필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로전환가이드의 상기 원수 유입구에 연통되는 원수 포트와, 상기 제1정수 배출구에 연통되는 제1정수포트와, 상기 제2정수 배출구에 연통되는 제2정수포트로 이루어지는 배출캡을 구비하되,
    회전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2정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정수 량을 제어하는 밸브가 상기 제2정수포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수필터로서 블록소재를 사용하고 상기 제2정수필터로서 충진소재를 사용하거나,
    상기 제1정수필터로서 충진소재를 사용하고 상기 제2정수필터로서 블록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KR1020150178429A 2015-12-14 2015-12-14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KR101762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429A KR101762422B1 (ko) 2015-12-14 2015-12-14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429A KR101762422B1 (ko) 2015-12-14 2015-12-14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644A true KR20170070644A (ko) 2017-06-22
KR101762422B1 KR101762422B1 (ko) 2017-08-04

Family

ID=5928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429A KR101762422B1 (ko) 2015-12-14 2015-12-14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4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881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를 최적화시킨 정수기용 정수필터
KR20190045880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WO2021101194A1 (ko) * 2019-11-19 2021-05-27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20128768A (ko) * 2021-03-15 2022-09-22 박양우 필터 일체형 수전
KR20230015195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에이치앤엔코퍼레이션 다단 복합 정수필터 조립체
WO2023090578A1 (ko) * 2021-11-16 2023-05-25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177B1 (ko) 2020-11-17 2022-12-26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필터어셈블리
US20230182045A1 (en) * 2021-12-14 2023-06-15 Entegris, Inc. Liquid filter unit with vertically arranged filter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881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를 최적화시킨 정수기용 정수필터
KR20190045880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WO2021101194A1 (ko) * 2019-11-19 2021-05-27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20128768A (ko) * 2021-03-15 2022-09-22 박양우 필터 일체형 수전
KR20230015195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에이치앤엔코퍼레이션 다단 복합 정수필터 조립체
WO2023090578A1 (ko) * 2021-11-16 2023-05-25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422B1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422B1 (ko)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CN106890488A (zh) 回流过滤器
KR102445389B1 (ko) 측면유동형 ro필터를 갖는 복합필터
CN204434373U (zh) 一种家用紧凑型多层净水装置
KR20160071505A (ko)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160075044A (ko) 정수기용 복합필터
CN209286779U (zh) 一种双联切换型过滤器
US6413423B1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with backwash flow control valve
KR200391447Y1 (ko) 활성탄 정수필터
KR100944226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WO2019015676A1 (zh) 净水系统
KR20160115576A (ko) 농축수를 이용하여 압력탱크의 정수수를 토출시키는 정수기
CA1318258C (en) Filtration apparatus
KR20200060566A (ko) 정수기용 ro필터를 갖는 복합 정수필터
KR20170011642A (ko) 상업용 복합 정수필터
KR101009654B1 (ko) 정수필터장치
KR20090098581A (ko)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
KR200450896Y1 (ko) 하프 타입 정수장치의 역삼투압 필터구조
CN204910974U (zh) 一种倒装滤芯及净水器
CN207598998U (zh) 一种新型可过滤的球阀
CN105858939A (zh) 一种家用高效快速净水装置
KR20200061530A (ko)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CN206645964U (zh) 一种过滤效果好的净水设备过滤器
CN105776622B (zh) 家用过滤水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