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530A -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530A
KR20200061530A KR1020180146942A KR20180146942A KR20200061530A KR 20200061530 A KR20200061530 A KR 20200061530A KR 1020180146942 A KR1020180146942 A KR 1020180146942A KR 20180146942 A KR20180146942 A KR 20180146942A KR 20200061530 A KR20200061530 A KR 20200061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purified
passag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종호
신현섭
임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8014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530A/ko
Priority to CN201811485796.9A priority patent/CN111217464A/zh
Publication of KR2020006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정수기에 장착되는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 내에 수용되는 2종 이상의 여과용 소재에 의해 원수를 정수처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는
2종 이상의 여과용 소재가 수용되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 개구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캡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에 적용되고,
상기 하우징 캡은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와, 외부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유입구와, 상기 원수를 정수처리한 전처리수가 배출되는 전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정수를 정수처리한 후처리수가 배출되는 후처리수 배출구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내부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킨 상기 전처리수를 중앙의 제1통로에 집수시키는 제1정수필터와,
상기 제1정수필터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한 상기 전처리수를 상기 전처리수 배출구에 이동시키는 제2통로가 형성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과하는 상기 정수가 유입되는 제3통로와, 상기 후처리수를 상기 후처리수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제4통로가 형성되는 제2정수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water purifing filter of composite type for 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수기에 장착되는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 내에 수용되는 2종 이상의 여과용 소재에 의해 원수를 정수처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원수는 외부로부터 정수기에 유입되는 수돗물, 지하수 등의 자연수를 의미하고, 정수는 정수필터에 의해 여과된 후 배출되는 음용가능한 물을 의미하며, 농축수는 RO필터에 의해 여과된 후 버려지는 폐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자연수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수를 다양한 종류의 여과필터를 통하여 여과시켜 원수 중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방식은 보통 4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입경이 큰 부유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한 1차 여과필터, 원수 중의 잔류염소, 소독 부산물, 유기물질을 흡착하여 여과하기 위한 2차 여과필터, 미분탄, 미생물을 여과하기 위한 3차 여과필터와, 정수 중의 냄새 맛을 개선하기 위한 4차 여과필터를 구비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1인 가족, 소형 가족 증가로 인해 정수기의 소형화, 슬림화, 복합화 추세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소 2종 이상의 정수용 소재가 하나의 필터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복합필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11642호(2017.2.2.공개)에 상업용 복합 정수필터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주방 또는 싱크대에 설치되는 정수기의 정수필터 사용갯수를 줄이면서 정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정수기에 장착되는 정수필터의 여과소재를 2단형으로 형성하여(종래에는 정수필터가 직렬형 3단형 또는 4단형으로 이루어짐) 정수기를 소형화 및 슬림화시킴에 따라 주방 또는 싱크대에서 정수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종 이상의 여과용 소재가 수용되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 개구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캡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에 적용되고,
상기 하우징 캡은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와, 외부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유입구와, 상기 원수를 정수처리한 전처리수가 배출되는 전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정수를 정수처리한 후처리수가 배출되는 후처리수 배출구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내부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킨 상기 전처리수를 중앙의 제1통로에 집수시키는 제1정수필터와,
상기 제1정수필터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한 상기 전처리수를 상기 전처리수 배출구에 이동시키는 제2통로가 형성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과하는 상기 정수가 유입되는 제3통로와, 상기 후처리수를 상기 후처리수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제4통로가 형성되는 제2정수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싱크대 등에 설치되는 정수기의 정수필터 사용갯수를 줄이면서 정수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실용성을 갖는다.
또한, 정수기에 장착되는 정수필터의 여과소재를 2단형으로 형성하여(전처리필터 및 후처리필터로 이루어짐) 협소한 주방에서 정수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킴에 따라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필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수필터의 요부발췌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A)는
2종 이상의 여과용 소재(2단형의 전처리필터 및 후처리필터를 말함)가 수용되는 필터하우징(10)과, 필터하우징(10) 개구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캡(11)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에 적용되고,
전술한 하우징 캡(11)은
외부로부터 수돗물 등의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12)와, 외부로부터 정수(일 예로서, RO필터(미 도시됨)에 의해 정수처리한 RO수를 말함)가 유입되는 정수 유입구(13)와, 원수 중에 포함된 부유물질 등을 여과시켜 정수처리한 전처리수가 배출되는 전처리수 배출구(14)와, 정수를 정수처리(물 맛을 개선시킴)한 후처리수가 배출되는 후처리수 배출구(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전술한 필터하우징(10)은
내부 하측에 형성되고, 원수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킨 전처리수를 중앙의 제1통로(16)에 집수시키는 제1정수필터(17)와,
제1정수필터(17) 상측에 형성되고, 제1정수필터(17)를 통과한 전처리수를 전처리수 배출구(14)에 이동시키는 제2통로(18)가 형성되는 코어 형태의 튜브(19)와, 튜브(19) 외측으로 형성되고 정수 유입구(13)를 통과하는 정수가 유입되는 제3통로(20)와, 후처리수를 후처리수 배출구(15)로 이동시키는 제4통로(21)가 형성되는 제2정수필터(22)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RO필터(미 도시됨)에 의해 전처리수 중 중금속 등을 정수처리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하우징 캡(11)은
중앙에 형성되는 전처리수 배출구(14)와, 전처리수 배출구(14) 외측으로 형성되는 후처리수 배출구(15)와, 후처리수 배출구(15) 외측으로 형성되는 정수 유입구(13)와, 정수 유입구(13) 외측으로 형성되는 원수 유입구(12)가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1정수필터(17)는 원수 중에 포함된 흙, 먼지 등의 부유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전처리필터(일 예로서, 세디먼트필터가 사용될 수 있음)가 사용되고, 제2정수필터(22)는 후처리필터가 사용된다.
이때, 전처리필터에 의해 원수 중의 부유물질을 여과하고, 후처리필터에 의해 정수의 물 맛을 개선시키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정수필터(17)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홀더(23)와 제2정수필터(22)의 케이스(24) 하단 내주연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원수 유입구(12)를 통과하여 필터하우징(10)에 유입되는 원수와, 정수 유입구(13)를 통과한 후 제3통로(20)를 따라 제2정수필터(22)에 유입되는 정수(일 예로서, RO수를 말함)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25);을 더 포함한다.
튜브(19) 상측 외주연과 하우징 캡(11)의 제1서포트링(26)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제1정수필터(17)로부터 제2통로(18)를 따라 배출되는 전처리수와, 제2정수필터(22)로부터 제4통로(21)를 따라 배출되는 후처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오링(27);을 더 포함한다.
하단이 제2정수필터(22)의 케이스(24) 상단 외주연에 밀착되고 상단이 하우징 캡(11)의 제3서포트링(28) 내주연에 밀착되는 2단 원통형 연결부재(29)를 더 포함하되,
케이스(24)의 상단 외주연과 연결부재(29)의 하부 몸체(30) 내주연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원수 유입구(12)를 통과하여 필터하우징(10)에 유입되는 원수와, 정수 유입구(13)를 통과하여 제3통로(20)를 따라 제2정수필터(22)에 유입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1오링(31);
연결부재(29)의 상부 몸체(32) 외주연과 하우징 캡(11)의 제3서포트링(28)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원수 유입구(12)를 통과하여 필터하우징(10)에 유입되는 원수와, 정수 유입구(13)를 통과하여 제2정수필터(22)에 유입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2오링(33);을 더 포함한다.
상단이 하우징 캡(11)의 제2서포트링(34) 내주연에 밀착되고 하단이 제2정수필터(22) 상부에 장착되는 2단 원통형 상부 홀더(35)를 더 포함하되,
상부 홀더(35)의 상부 몸체(36) 외주연과 제2서포트링(34) 내주연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정수 유입구(13)를 통과하여 제2정수필터(22)에 유입되는 정수와, 제2정수필터(22)로부터 배출되는 후처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오링(37);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하우징 캡(11)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제1서포트링(26)과, 제1서포트링(26)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2서포트링(34)과, 제2서포트링(34)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3서포트링(28)은 동심원을 이루어 다중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정수필터(17)의 상부 홀더(23)와 튜브(19)는 단일체로 형성된다.
하우징 캡(11)을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에 결합시 초음파, 열융착 또는 회전융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하우징 캡(11)의 원수 유입구(12)에 연통되는 원수 포트(port)(12a)가 하우징 캡(11)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정수 유입구(13)에 연통되는 정수 포트(13a)가 하우징 캡(11)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전처리수 배출구(14)에 연통되는 전처리수 포트(14a)가 하우징 캡(11)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후처리수 배출구(15)에 연통되는 후처리수 포트(15a)가 하우징 캡(11) 외측에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원수 포트(12a)와, 정수 포트(13a)와, 전처리수 포트(14a) 및 후처리수 포트(15a)는 미도시된 정수기의 커넥터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8은 제1정수필터(17)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홀더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수돗물 등의 원수가 하우징 캡(11) 외부에 돌출형성된 원수 유입포트(12a) - 원수 유입구(12)를 차례로 통과하여 필터하우징(10) 내부 하측으로 이동된다.
즉, 원수 유입구(12)를 통과한 원수가 제1정수필터(17)와 필터하우징(10) 사이의 통로를 통과한 후 필터하우징(10)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필터하우징(10) 내부 하측에 형성된 제1정수필터(17)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하우징(10) 하측에 이동된 원수가 제1정수필터(17)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원수 중에 포함된 먼지, 흙 등의 부유물질이 부직포 등에 의해 여과된다. 부유물질이 여과된 전처리수는 제1정수필터(17)의 중앙에 형성된 제1통로(16)에 집수된다.
전술한 제1통로(16)에 집수된 전처리수는 도 3의 도면상,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정수필터(17) 상측에 형성된 상부 홀더(23)를 통과한 후, 상부 홀더(23)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2정수필터(22) 중앙에 코어 형태로 형성된 튜브(19)의 제2통로(18)를 통과한다.
전술한 튜브(19)의 제2통로(18)를 통과하여 제2정수필터(22)로부터 배출된 전처리수는 제2통로(18)와 연통되도록 하우징 캡(11)에 형성된 전처리수 배출구(14)를 통과하게 됨에 따라 하우징 캡(11)으로부터 배출된다.
하우징 캡(11)의 전처리수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수는 제3정수필터(일 예로서, 미 도시된 RO필터를 말함)로 이동되므로 정수 중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제3정수필터에 의해 여과된 농축수(폐수를 말함)는 미 도시된 관로를 통해 싱크대 등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에 제3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즉, RO수를 말함)는 정수 유입구(13)를 통과하여 하우징 캡(11)에 유입된다.
정수 유입구(13)를 통과한 정수는 제2정수필터(22)의 제3통로(20)를 따라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정수필터(22)의 케이스(24) 상단 외주연과 연결부재(29)의 하부 몸체(30) 내주연 사이에 형성된 제3-1오링(31) 및 연결부재(29)의 상부 몸체(32) 외주연과 하우징 캡(11)의 제3서포트링(28)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된 제3-2오링(33)에 의해 필터하우징(10)에 유입되는 원수와, 제2정수필터(22)에 유입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정수필터(22)의 제3통로(20)에 이동된 정수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정수처리되므로 물 맛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제2정수필터(22)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한 후처리수는 튜브(19) 외측으로 제4통로(21)를 따라 도면상,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4통로(21)를 따라 이동되어 제2정수필터(22)로부터 배출되는 후처리수는 하우징 캡(11)의 후처리수 배출구(15)를 통과하여 외부의 정수기로 유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크(미 도시됨)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정수필터(22) 상측에 형성된 상부 홀더(35)의 상부 몸체(36) 외주연과 하우징 캡(11)의 제2서포트링(34)의 내주연 사이에 형성된 제4오링(37)에 의해 제2정수필터(22)에 유입되는 정수와, 제2정수필터(22)의 제4통로(21)를 따라 배출되는 후처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튜브(19)의 상단 외주연과 하우징 캡(11)의 제1서포트링(26)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된 제2오링(27)에 의해 제1정수필터(17)로부터 튜브(19)를 따라 배출되는 전처리수와, 제2정수필터(22)로부터 제4통로(21)를 따라 후처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필터하우징
12; 원수 유입구
14; 전처리수 배출구
16; 제1통로
18; 제2통로
20; 제3통로
22; 제2정수필터
24; 케이스
26; 제1서포트링
28; 제3서포트링
30; 하부 몸체
32; 상부 몸체
34; 제2서포트링
36; 상부 몸체
38; 하부 홀더

Claims (9)

  1. 2종 이상의 여과용 소재가 수용되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 개구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캡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에 적용되고,
    상기 하우징 캡은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와, 외부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유입구와, 상기 원수를 정수처리한 전처리수가 배출되는 전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정수를 정수처리한 후처리수가 배출되는 후처리수 배출구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내부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킨 상기 전처리수를 중앙의 제1통로에 집수시키는 제1정수필터와,
    상기 제1정수필터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한 상기 전처리수를 상기 전처리수 배출구에 이동시키는 제2통로가 형성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과하는 상기 정수가 유입되는 제3통로와, 상기 후처리수를 상기 후처리수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제4통로가 형성되는 제2정수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은
    중앙에 형성되는 상기 전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전처리수 배출구 외측으로 형성되는 후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후처리수 배출구 외측으로 형성되는 정수 유입구와, 상기 정수 유입구 외측으로 형성되는 원수 유입구가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수필터는 전처리필터가 사용되고, 상기 제2정수필터는 후처리필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수필터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홀더와 상기 제2정수필터의 케이스 하단 내주연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와 상기 제3통로를 따라 상기 제2정수필터에 유입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상측 외주연과 상기 하우징 캡의 제1서포트링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통로를 따라 배출되는 전처리수와 상기 제4통로를 따라 배출되는 후처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제2정수필터의 케이스 상단 외주연에 밀착되고 상단이 상기 하우징 캡의 제3서포트링 내주연에 밀착되는 2단 원통형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상단 외주연과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 몸체 내주연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와 상기 제3통로를 따라 제2정수필터에 유입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1오링;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몸체 외주연과 상기 하우징 캡의 제3서포트링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와 상기 정수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정수필터에 유입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2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하우징 캡의 제2서포트링 내주연에 밀착되고 하단이 제2정수필터상부에 장착되는 2단 원통형 상부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 홀더의 상부 몸체 외주연과 상기 제2서포트링 내주연 사이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정수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정수필터에 유입되는 정수와 상기 제2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후처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수필터의 상부 홀더와 상기 튜브는 단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을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시 초음파, 열융착 또는 회전융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KR1020180146942A 2018-11-26 2018-11-26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KR20200061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942A KR20200061530A (ko) 2018-11-26 2018-11-26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CN201811485796.9A CN111217464A (zh) 2018-11-26 2018-12-06 净水器用复合型净水过滤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942A KR20200061530A (ko) 2018-11-26 2018-11-26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530A true KR20200061530A (ko) 2020-06-03

Family

ID=7081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942A KR20200061530A (ko) 2018-11-26 2018-11-26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61530A (ko)
CN (1) CN1112174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578A1 (ko) * 2021-11-16 2023-05-25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6468A (en) * 1997-01-06 1998-06-16 Baldwin Filters, Inc. Dual media primary/secondary fuel filter
CN107899279B (zh) * 2017-03-13 2021-06-25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滤芯组件和净水系统
CN107823956A (zh) * 2017-11-29 2018-03-23 九阳股份有限公司 复合滤芯组件及净水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578A1 (ko) * 2021-11-16 2023-05-25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17464A (zh)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170B1 (ko) 유로를 최적화시킨 정수기용 정수필터
US9670076B2 (en) Water filtration system having selectively configurable filtration capabilities
JP5765676B2 (ja) 浄化システム及びフィルタ
KR20160050578A (ko)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US5510027A (en) Concentric annular filters for purifying water
CN106890488A (zh) 回流过滤器
KR20200083779A (ko) 기능성소재가 구비된 정수기용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KR20130013033A (ko) 휴대용 물 여과장치
WO2009025413A1 (en)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filter washing function
KR20200061530A (ko)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KR20200060566A (ko) 정수기용 ro필터를 갖는 복합 정수필터
KR20170011642A (ko) 상업용 복합 정수필터
KR102258882B1 (ko) 밸브실용 여과장치
KR100824310B1 (ko) 고형물 여과장치
CN210409750U (zh) 一种净水器的pp棉过滤装置
KR102182530B1 (ko) 중금속 제거와 천연미네랄 용출 및 살균의 복합기능을 갖춘 가정용 정수기
RU116372U1 (ru) Фильтр картриджный гидроциклонный
CN105709495A (zh) 生活污水过滤器
CN205613102U (zh) 一种净水装置用活性炭滤芯结构
CN205590470U (zh) 户外净水器
KR102315167B1 (ko) 정수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정수시스템
CN214360602U (zh) 一种复合净水滤芯
CN203128349U (zh) 一种带uv消毒的过滤器
US813517A (en) Water-filter.
RU22874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воды питьевого каче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