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679A - 모듈형 역삼투 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형 역삼투 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679A
KR20080094679A KR1020087019308A KR20087019308A KR20080094679A KR 20080094679 A KR20080094679 A KR 20080094679A KR 1020087019308 A KR1020087019308 A KR 1020087019308A KR 20087019308 A KR20087019308 A KR 20087019308A KR 20080094679 A KR20080094679 A KR 20080094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osmosis
filter
port
module
treat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엠 레킨
두안 에스 프레이무쓰
케네스 제이 시이쓰
Original Assignee
지이 오스모닉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오스모닉스, 인크. filed Critical 지이 오스모닉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9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01D61/026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comprising multiple reverse osmosis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4Feed pre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6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permeate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4Cartridge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4Elements in parall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 처리 시스템은 필터 모듈(12) 및 상기 필터 모듈(12)에 고정되는 역삼투 모듈(14)을 포함한다. 필터 모듈(12)은 2개의 필터 카트리지(18, 24)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의 모듈형 구조로 인해 필터 모듈(12)은 별도의 전위 및 후위-필터로서 연결되거나, 단일의 2단계 필터로서 직렬로 연결되는 2개의 필터 카트리지(18, 24)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모듈 방식은 연결될 다중 역삼투 모듈이 증가된 처리 용량을 위해 데이지 체인 방식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한다. 신규한 브라킷 구조체가 필터 모듈(12)의 포트를 역삼투 모듈(14) 상의 대응 포트와 정렬시킨다.

Description

모듈형 역삼투 수 처리 시스템{MODULAR REVERSE OSMOSIS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화학 약품 및 그 외 다른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역삼투 수질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역삼투(RO) 수 처리 시스템은 부엌의 조리대 또는 싱크대 아래, 혹은 정수된 물이 제공되어야 하는 다른 장소에 인접하여 위치되곤 한다. 통상적인 시스템은 종래의 필터 매체를 사용하는 전위-필터를 포함하여 처리될 물 전체가 상기 매체를 통과하여 흐름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제거한다. 물은 전위 필터를 빠져 나가 역삼투 유닛으로 진입한다.
역삼투란 용매(예를 들어, 물)를 통상적인 삼투압보다 큰 압력으로 막을 통해 부유시킴으로써 용액으로부터 용질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삼투 현상은 보다 큰 삼투압의 영역으로부터 보다 낮은 삼투압의 영역으로 반투성 막을 통한 용매의 확산에 의해 나타난다. 용매가 막을 통과하여 확산됨에 따라, 소금, 무기물 및 그 외 다른 오염물과 같은 용해된 물질이 뒤에 남아 보다 낮은 삼투압의 영역이 보다 낮은 농도의 용해된 물질을 갖게 된다. 나머지 용해 물질은 막의 보다 높은 압력측으로부터 상기 유닛 내에서 압력 증가를 발생시키는 제한된 드레인 구멍을 통해 흘러가게 된다. 드레인 구멍으로부터의 유체는 하수 시스템으로 보내지거나, 물 낭비를 줄이도록 펌프에 의해 수 처리 시스템을 통해 재순환될 수 있다.
역삼투 유닛을 빠져나가는 처리된 물은 임의의 후위-필터를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정수된 물을 저장하기 위해, 처리 장치의 출력부에 탱크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정수된 물은 상기 탱크로부터 인출된다.
특정 설치에 있어서 미처리된 물의 특성에 따라, 몇몇 전위-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역삼투 유닛이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물을 처리하여 필요한 유량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필요한 처리 수준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결합 및 개수로 연결될 수 있는 역삼투 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 처리 시스템은 필터 모듈 및 상기 필터 모듈에 고정되는 역삼투 모듈을 포함한다. 필터 모듈은 제 1 필터 카트리지 및 제 2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제 1 매니폴드를 구비한다. 제 1 매니폴드는 필터 입구 포트 및 필터 출구 포트를 구비한다. 제 1 필터 카트리지는 필터 입구 포트에 연결되는 제 1 입구 및 제 1 출구를 구비한다. 제 2 필터 카트리지는 제 2 입구 및 필터 출구 포트에 연결되는 제 2 출구를 구비한다.
제 1 역삼투 모듈은 필터 모듈에 고정되고, 제 1 RO 입구 포트, 제 1 RO 출구 포트 및 제 1 드레인 포트를 갖는 제 2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제 1 RO 입구 포트는 제 1 모듈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물을 수용한다.
수 처리 시스템의 모듈성은 필터 모듈의 몇몇 상이한 구성이 제 1 역삼투 모듈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측면에서, 필터 모듈은 제 1 역삼투 모듈을 위한 전위 필터로서 작용하는 제 1 필터 카트리지로 구성되며, 제 2 필터 카트리지는 후위-필터로서 연결된다. 다른 측면에서, 두 개의 필터 카트리지가 이중 단계 전위필터로서 기능하도록 직렬로 결합된다. 상기 모듈성은 또한, 다중 역삼투 모듈이 데이지 체인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의 수질 처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위-필터 및 후위-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모듈을 갖는 역삼투 모듈을 구비한 제 1 수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제 1 수 처리 시스템의 등축도,
도 3은 필터 모듈의 상부에 있는 제 1 매니폴드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필터 모듈에 대한 수직 단면도,
도 5는 역삼투 모듈의 상부에 있는 제 2 매니폴드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이중 단계 전위-필터 모듈 및 2개의 역삼투 모듈을 구비한 제 2 수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7은 제 2 수 처리 시스템의 등축도,
도 8은 이중 단계 전위-필터 모듈의 매니폴드에 대한 단면도.
먼저 도 1을 참조하여보면, 제 1 수 처리 시스템(10)은 필터 모듈(12) 및 역 삼투(RO) 모듈(14)을 포함한다. 필터 모듈(12)은 전위-필터 카트리지(pre-filter cartridge; 18)의 제 1 입구(17)에 연결되는 필터 입구 포트(16)에서 공급원으로부터 미처리된 물을 수용한다. 전위-필터 카트리지(18)는 방적 섬유 물질체와 같은 필터 매체를 포함하며, 물이 상기 필터 매체를 통과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입자가 포착된다. 전위-필터 카트리지(18)부터 배출되는 물은 제 1 출구(19)로부터 필터 모듈(12)의 제 1 중간 포트(20)로 유동한다. 필터 모듈은 물의 맛 및 냄새를 개선하기 위해 활성탄과 같은 필터 매체를 포함하는 후위-필터 카트리지(post-filter cartridge; 24)의 제 2 입구(23)에 연결되는 제 2 중간 포트(22)를 더 구비한다. 후위-필터 카트리지(24)의 출력은 제 2 출구(25)로부터 필터 출구(26)로 이동하며, 제 1 수 처리 시스템(10)의 경우에 필터 출구 포트(26)는 최종 사용자에게 정수된 물을 공급한다.
필터 모듈(12)의 제 1 중간 포트(20)는 튜브(32)에 의해 역삼투 모듈(14)의 제 1 RO 입구 포트(30)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전위-필터 카트리지(18)로부터 물을 수용한다. 역삼투 모듈(14)은 제 1 RO 입구 포트(30)에 연결되는 입구를 갖는 제 1 및 제 2 역삼투 카트리지(34, 36)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역삼투 카트리지 각각은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종래의 반투성 막을 구비한다. 처리된 물은 제 1 RO 출구 포트(42)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출구(38, 40)로 흐른다. 제 1 RO 출구 포트(42)는 튜브(43)에 의해 필터 모듈(12)의 제 2 중간 포트(22)에 결합된다. 따라서, 2개의 역삼투 카트리지(34, 36)에서 처리된 물은 후위-필터 카트리지(24)를 통해 피트백되어 필터 출구(26)에서의 정수된 물을 생산한다. 역삼투 카트리지(34, 36) 각각은 고농도의 용질을 운반하는 미처리된 물의 일부가 카트리지를 빠져나오는 드레인 출구(35)를 더 구비한다. 드레인 출구(35)는 역삼투 모듈(14)의 제 1 및 제 2 드레인 포트(44, 45)에 연결된다.
제 1 수 처리 시스템(10)은 필터 모듈(12) 및 역삼투 모듈(14)이 서로 맞붙어 부착되며 유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도 2에 도시된 모듈형 구성을 구비한다. 필터 모듈(12)의 2개의 원통형 필터 카트리지(18, 24)는 필터 입구 포트(16), 필터 출구 포트(26) 및 제 1 및 제 2 중간 포트(20, 22)가 위치되는 필터 매니폴드(50)에 장착된다. 필터 매니폴드(50)는 전위-필터 카트리지(18) 및 후위-필터 카트리지(24)와 선택된 포트를 상호 연결하는 내부 통로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필터 입구 포트(16)는 매니폴드의 바닥을 관통하는 구멍(54)으로, 그리고 전위-필터 카트리지(18) 내측의 외주로 안내하는 제 1 입구 경로(52)로 개방된다. 필터 매니폴드(50)의 바닥을 관통하는 제 2 구멍(56)이 전위-필터 카트리지(18)의 중심에 위치되며, 제 1 중간 포트(20)로 안내하는 제 1 출구 경로(58) 내에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필터 입구 포트(16)를 거쳐 필터 모듈(12)로 진입하는 유체는 제 1 구멍(54)을 통해 전위-필터 카트리지(18)로 그리고 그 내부 필터 매체(65) 주위로 이동한다. 전위-필터 카트리지(18) 내의 물은 필터 매체(65)를 통과하여 카트리지의 중앙 보어(68)로 흐르며, 그 후 제 2 구멍(56)을 통해 상부로 흐르고 필터 모듈(12)의 대향 측면 상의 제 1 중간 포트(20)를 거쳐 필터 입구 포트(16)로부터 필터 모듈(12)을 빠져나간다.
필터 모듈(12)의 대향 측면 상의 제 2 중간 포트(22)는 후위-필터 카트리 지(24)의 둘레 내부로 개방하는 필터 매니폴드(50)의 바닥 내의 제 3 구멍(62)에 연결되는 제 2 입구 경로(60)와 연통한다. 후위-필터 카트리지(24) 내의 필터 매체(69)를 통과한 후에 물은 필터 매니폴드(50)의 바닥내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 4 구멍(64)을 통해 유동한다. 이러한 제 4 구멍(64)은 매니폴드(50)의 제 2 출구 경로(66)에 의해 필터 출구 포트(26)에 연결된다.
도 5는 역삼투 모듈(14)의 일부인 제 2 매니폴드(72)의 내부 경로를 도시한다. 제 1 RO 입구 포트(30)는 제 2 매니폴드(72)의 바닥을 관통하는 제 1 RO 구멍(82)과 연통하는 내부 RO 입구 경로(80) 및 도 2의 제 1 역삼투 카트리지(34) 내로 개방한다. RO 입구 경로(80)는 또한 제 2 RO 구멍(84)을 통해 제 2 역삼투 카트리지(36)로 개방한다. RO 입구 경로(80)는 제 2 매니폴드(72)의 제 2 RO 입구 포트(31)로 안내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RO 구멍(82, 84)은 양 역삼투 카트리지(34, 36)의 RO 입구를 제공한다. 제 1 및 제 2 RO 입구 포트(30, 31)는 직접 유체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들 포트가 소정의 개재 요소 없이 도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역삼투 카트리지(34)의 출구(38, 40) 각각은 매니폴드(72)의 바닥에서 제 1 및 제 2 RO 출구 구멍(86, 90)과 연통한다. RO 출구 구멍(86, 90)은 RO 출구 경로(88)에 의해 제 2 매니폴드(72)의 양 측면 상의 제 1 RO 출구 포트(42) 및 제 2 RO 출구 포트(41)에 연결된다. 드레인 경로(92)는 제 2 매니폴드를 통해 꾸불꾸불한 경로로 권취되어 제 1 및 제 2 드레인 포트(44, 45)의 직접적인 유체 연결을 제공한다. 양 역삼투 카트리지(34, 36)의 드레인 출구를 제공하는 한 쌍의 드레인 구멍(94, 96)이 제 2 매니 폴드의 바닥을 통해 드레인 경로(92) 내로 개방된다.
다수의 역삼투 모듈이 나란히 연결될 수 있는 역삼투 모듈(14)의 양측면 상에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드레인 포트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이러하 데이지 연결 방식(daisy chaining)으로 인해 다수의 역삼투 카트리지가 정수 용량의 증대를 위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적용 분야에서, 소정의 미사용된 포트가 플러그에 의해 폐쇄된다. 포트 배열체는 또한 모듈형 구조로 필터 모듈(12)을 역삼투 모듈(14)에 용이하게 연결한다.
수 처리 시스템의 개별 모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을 단일 구조 조립체로 서로 부착하기 위한 브라킷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필터 모듈(12)은 필터 매니폴드(50)의 4측면 주위로 연장하여 상기 4측면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브라킷(70)을 구비한다. 역삼투 모듈(14)의 제 2 매니폴드(72)는 4개의 측면 주위로 연장하여 상기 4측면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사한 제 2 브라킷(74)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브라킷 조립체(70, 74)은 일측면 상에 환형 보스 형태의 키이(71)를 구비하며, 대향 측면은 상기 키이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구멍(73)을 갖는다. 따라서, 조립된 제 1 수 처리 시스템(10)에서, 역삼투 모듈(14)의 브라킷 키이(71)는 필터 모듈(12)의 브라킷 구멍(73)에 정합하여 이들 모듈의 적합한 배향성을 보장한다. 수 세트의 너트 및 볼트(76)가 브라킷 보스 및 구멍을 통과하여 인접한 모듈을 함께 고정한다.
2개의 모듈(12, 14)이 서로 직접 고정되는 경우, 필터 모듈(12)의 제 1 중간 포트(20)는 역삼투 모듈(14)의 제 1 RO 입구 포트(30)와 정렬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직접 고정된”이란 용어는 본 예의 경우에는 2개의 모듈(12, 14)인 2개의 구성요소가, 상기 2개의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에각각 부착되지 않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하여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직접 고정된 결과, 직선 튜브(32)가 이들 포트 각각에 고정되어 상기 2개의 모듈 사이의 도관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역삼투 모듈(14)의 제 1 RO 출구 포트(42)가 필터 모듈(12)의 제 2 중간 포트(22)와 정렬되어, 다른 하나의 직선 튜브(43)가 이들 포트 사이의 도관을 제공하게 된다. 접하는 브라킷(70, 74)은 2개의 튜브(32, 43)가 적당한 길이로 미리 절단되어 설치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정렬된 포트 사이에서 고정된 간격을 제공한다. 2개의 모듈(12, 14)의 포트(16, 20, 22, 26, 30, 42, 44)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표준 압축 피팅을 사용한다.
제 2 수 처리 시스템(100)의 다른 모듈형 구조의 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며, 여기에서는 이중 전위-필터 모듈(102)이, 일렬로 연결되는 2개의 역삼투 모듈(131, 132)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중 전위-필터 모듈(102)은 직렬로 결합된 2개의 필터 카트리지(105, 106)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제 1 전위-필터 카트리지(105)는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제거하는 매체를 구비하는 반면에, 제 2 전위-필터 카트리지(106)의 매체는 보다 작은 입자를 제거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이중 전위-필터 모듈(102)의 매니폴드(112)는 처리될 공급원의 물을 수용하는 필터 입구 포트(108)를 구비한다. 입구 경로(114)는 제 1 입구 구멍(116)으로의 필터 입구 포트(108)로부터 제 1 전위-필터 카트리지(105)의 제 1 입구(101)(도 6)로 물을 운반하며, 물 유동은 상기 제 1 전위-필터 카트리지 의 제 1 입구로부터 제 1 출구(103)를 통해 제 1 출구 구멍(118)을 거쳐 매니폴드로 배출된다. 중간 경로(120)는 제 1 출구 구멍(118)을 제 2 전위-필터 카트리지(106)의 제 2 입구(107)와 연통하는 제 2 입구 구멍(122)에 연결한다. 여과된 물은 매니폴드 내의 제 2 출구 구멍(124) 및 제 2 출구(109)를 거쳐 제 2 전위-필터 카트리지(106)를 떠나며, 출구 경로(126)를 통과하여 이동하고, 필터 출구 포트(110)를 거쳐 이중 전위-필터 모듈(102)을 빠져나간다.
도 6 및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이중 전위-필터 모듈(102)의 필터 출구 포트(110)는 튜브(138)에 의해 제 1 역삼투 모듈(131)의 제 1 RO 입구 포트(30)에 연결된다. 양 역삼투 모듈(131, 132)은 전술한 제 1 수 처리 시스템(10)의 역삼투 모듈(14)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제 2 수 처리 시스템(100)의 모듈형 구조에 있어서, 제 1 역삼투 모듈(131)의 제 1 및 제 2 역삼투 카트리지(134, 135) 및 제 2 역삼투 모듈(132)의 제 3 및 제 4 역삼투 카트리지(136, 137)는 모두 병렬로 연결된다.
병렬 연결에 대해, 제 1 역삼투 모듈(131)의 제 1 RO 입구 포트(30)는 RO 입구 경로(80)에 의해 상기 모듈의 제 2 RO 입구 포트(31)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RO 입구 포트(31)는 튜브(140)에 의해 제 2 역삼투 모듈(132)의 제 1 RO 입구 포트(30)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제 1 역삼투 모듈(131)의 제 2 RO 출구 포트(41)는 제 2 튜브(142)에 의해 제 2 역삼투 모듈(132)의 제 1 RO 출구 포트(42)에 연결되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1 드레인 포트(44)는 제 3 튜브(143)에 의해 제 2 역삼투 모듈 상의 제 2 드레인 포트(45)에 결합된다. 제 2 역삼투 모듈(132)의 제 1 드레인 포트(44)는 제 2 수 처리 시스템(100)용 드레인 라인에 연결되며, 제 2 역삼투 모듈(132)의 제 2 RO 출구 포트(41)는 정수된 물을 위한 출구를 제공한다.
제 1 및 제 2 역삼투 모듈(131, 132)은 또한 다른 구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역삼투 모듈(131)의 제 2 RO 출구 포트(41)가 제 2 역삼투 모듈(132)의 제 1 RO 입구 포트(30)에 연결되어, 2개의 모듈이 직렬을 이룰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1 드레인 포트(44)가 제 2 역삼투 모듈(132)의 제 1 RO 입구 포트(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행함에 있어서, 제 1 역삼투 모듈(131)의 제 2 RO 출구 포트(41)는 제 2 역삼투 모듈(131)의 제 1 RO 출구 포트(42)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역삼투 모듈(132)은 보다 적은 양의 물이 드레인 시스템으로 유동하여 물을 절약하도록 제 1 RO 모듈의 드레인 물의 일부를 처리한다.
추가적인 역삼투 모듈이 함께 부착될 수 있다. 본 수질 개선 시스템의 모듈형 구조는 다양한 개수의 전위-필터 카트리지, 후위-필터 카트리지 및 역삼투 카트리지가 함께 연결되어 특정 설치에 있어서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정도의 수질 처리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설명은 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관된다. 비록,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일부 변형예에 주의했지만,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개시내용으로부터 명백한 추가 대안예를 실현할 수 있음이 예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1)

  1. 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필터 카트리지 및 제 2 필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제 1 매니폴드를 갖는 필터 모듈로서, 상기 제 1 매니폴드가 필터 입구 포트 및 필터 출구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터 카트리지가 상기 필터 입구 포트에 연결되는 제 1 입구 및 제 1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필터 카트리지가 제 2 입구 및 상기 필터 출구 포트에 연결되는 제 2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필터 모듈과,
    상기 필터 모듈에 고정되고, 제 1 RO 입구 포트, 제 1 RO 출구 포트 및 제 1 드레인 포트를 갖는 제 2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RO 입구 포트가 상기 필터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모듈로부터 물을 수용하는 제 1 역삼투 모듈을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 1 출구 및 상기 제 1 RO 입구 포트에 연결되는 제 1 중간 포트와, 상기 제 2 입구 및 상기 제 1 RO 출구 포트에 연결되는 제 2 중간 포트를 더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카트리지의 제 1 출구가 상기 제 2 필터 카트리지의 제 2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 출구 포트가 상기 제 1 RO 입구 포트에 연결되는
    수 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은, 상기 제 2 매니폴드에 장착되고 각각 반-투과성 막을 갖는 제 1 역삼투 카트리지 및 제 2 역삼투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은 상기 제 1 RO 입구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제 2 RO 입구 포트, 및 상기 제 1 RO 출구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제 2 RO 출구 포트를 더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2 RO 입구 포트에 연결되는 다른 RO 입구 포트를 갖는 제 2 역삼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역삼투 모듈은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2 RO 출구 포트에 연결되는 다른 RO 출구 포트를 구비하는
    수 처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삼투 모듈은 제 1 드레인 포트, 및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1 드레인 포트에 연결되는 제 2 드레인 포트를 더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로부터 물을 수용하는 다른 RO 입구 포트를 구비하는 제 2 역삼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제 1 장착 브라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은 상기 제 1 장착 브라킷과 접하는 제 2 장착 브라킷을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 브라킷 및 상기 제 2 장착 브라킷 중 하나는 제 1 키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장착 브라킷 및 상기 제 2 장착 브라킷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필 터 모듈 및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이 서로에 대해 배향되도록 상기 제 1 키이가 수용되는 제 1 구멍을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장착 브라킷에 접하는 제 3 장착 브라킷을 포함하는 제 2 역삼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장착 브라킷 및 상기 제 3 장착 브라킷 중 하나는 제 2 키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장착 브라킷 및 상기 제 3 장착 브라킷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역삼투 모듈이 서로에 대해 배향되도록 상기 제 2 키이가 수용되는 제 2 구멍을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12. 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필터 매체를 수납하고 상기 입구 포트와 상기 출구 포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필터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제 1 매니폴드를 갖는 필터 모듈과,
    상기 필터 모듈에 고정되는 제 1 역삼투 모듈로서, 직접 유체 연결되는 제 1 RO 입구 포트 및 제 2 RO 입구 포트와, 직접 유체 연결되는 제 1 RO 출구 포트 및 제 2 RO 출구 포트와, 직접 유체 연결되는 제 1 드레인 포트 및 제 2 드레인 포트를 갖는 제 2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RO 입구 포트와 상기 제 1 RO 출구 포트 사이에서 상기 제 2 매니폴드에 부착되는 제 1 역삼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모듈의 출구 포트가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1 RO 입구 포트와 정렬되어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수 처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은, 상기 제 2 매니폴드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역삼투 카트리지와 병렬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역삼투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다른 필터 매체를 수납하고 상기 입구 포트와 상기 출구 포트 사이에서 상기 제 1 필터 카트리지와 직렬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필터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2 RO 입구 포트에 연결되는 다른 RO 입구 포트, 및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2 RO 출구 포트에 연결되는 다른 RO 출구 포트를 갖는 제 2 역삼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제 1 장착 브라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은 상기 제 1 장착 브라킷에 접촉하는 제 2 장착 브라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장착 브라킷 및 상기 제 2 장착 브라킷 중 하나는 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장착 브라킷 및 상기 제 2 장착 브라킷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필터 모듈 및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이 서로에 대해 배향되도록 상기 키이가 수용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17. 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구 포트, 제 1 중간 포트, 제 2 중간 포트 및 출구 포트를 구비하는 제 1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 포트와 상기 제 1 중간 포트 사이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필터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중간 포트와 상기 출구 포트 사이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필터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필터 모듈과,
    상기 필터 모듈에 고정되는 제 1 역삼투 모듈로서, 직접 유체 연결되는 제 1 RO 입구 포트 및 제 2 RO 입구 포트와, 직접 유체 연결되는 제 1 RO 출구 포트 및 제 2 RO 출구 포트와, 직접 유체 연결되는 제 1 드레인 포트 및 제 2 드레인 포트를 갖는 제 2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매니폴드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RO 입구 포트와 상기 제 1 RO 출구 포트 사이에서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역삼투 카트리지를 갖는,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모듈의 제 1 중간 포트는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1 RO 입구 포트와 정렬되어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1 RO 출구 포트는 상기 필터 모듈의 제 2 중간 포트와 정렬되어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수 처리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은, 상기 제 2 매니폴드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역삼투 카트리지와 병렬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역삼투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2 RO 입구 포트에 연결되는 다른 RO 입구 포트, 및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2 RO 출구 포트에 연결되는 다른 RO 출구 포트를 갖는 제 2 역삼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역삼투 모듈 각각은 제 1 드레인 포트 및 제 2 드레인 포 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의 제 1 드레인 포트가 상기 제 2 역삼투 모듈의 제 2 드레인 포트에 연결되는
    수 처리 시스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제 1 장착 브라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은 상기 제 1 장착 브라킷에 접촉하는 제 2 장착 브라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장착 브라킷 및 상기 제 2 장착 브라킷 중 하나는 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장착 브라킷 및 상기 제 2 장착 브라킷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필터 모듈 및 상기 제 1 역삼투 모듈이 서로에 대해 배향되도록 상기 키이가 수용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수 처리 시스템.
KR1020087019308A 2006-02-07 2007-01-22 모듈형 역삼투 수 처리 시스템 KR200800946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49,006 2006-02-07
US11/349,006 US20070181484A1 (en) 2006-02-07 2006-02-07 Modular reverse osmosis water treat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679A true KR20080094679A (ko) 2008-10-23

Family

ID=3805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308A KR20080094679A (ko) 2006-02-07 2007-01-22 모듈형 역삼투 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81484A1 (ko)
EP (1) EP1986962A1 (ko)
JP (1) JP2009525846A (ko)
KR (1) KR20080094679A (ko)
CN (1) CN101379001A (ko)
WO (1) WO2007092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3163B2 (ja) * 2008-11-27 2014-0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多段海水淡水化装置及び多段海水淡水化装置の運転制御方法
US20100243551A1 (en) * 2009-03-25 2010-09-30 Clean & Clear Corporation Modular assemblies of filter systems
WO2010127007A1 (en) * 2009-04-28 2010-11-04 Kinetico Incorporated Fluid treatment system
JP5815353B2 (ja) * 2011-09-28 2015-11-17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イル配線素子およびコイル配線素子の製造方法
US9802161B2 (en) * 2011-11-10 2017-10-31 Pall Corporation Fluid treatment assemblies
US20130193083A1 (en) * 2012-01-31 2013-08-01 Nathaniel Royce Kamp Filtration system
EP3118165B1 (en) * 2015-07-15 2019-08-28 Brita GmbH Connector for placing head part devices of a liquid treatment apparatus in liquid communication
CA2998354C (en) * 2015-09-14 2023-06-13 Flow Control Llc. Cartridge accumulator
JP7349442B2 (ja) * 2018-03-13 2023-09-22 リニュー ヘルス リミテッド 水処理システム
BR112023018036A2 (pt) * 2021-03-07 2023-10-03 Renew Health Ltd Módulo de tratamento hídrico e sistema de tratamento hídrico
USD998128S1 (en) * 2022-02-28 2023-09-05 Brio Water Technology, Inc. Two stage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6771B1 (fr) * 1987-06-18 1989-10-27 Gaignet Yves Dispositif et procede de montage d'une cartouche monobloc thermosoudee ou collee pour la production d'eau ultrapure
CA2080344C (en) * 1990-04-20 2001-10-09 Michael Robert Lloyd Selbie Improvements in microporous filter assemblies
US5895570A (en) * 1996-02-09 1999-04-20 United States Filter Corporation Modular filtering system
RU2190460C2 (ru) * 1997-04-14 2002-10-10 Нейт Интернешнл Модульная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система
US5972216A (en) * 1997-10-24 1999-10-26 Terra Group, Inc. Portable multi-functional modular water filtration unit
US6702941B1 (en) * 1998-09-09 2004-03-09 Pall Corporation Fluid treatment elements adapted for cross flow treatment
JP4472050B2 (ja) * 1998-10-20 2010-06-02 日東電工株式会社 造水装置および造水方法
US6436282B1 (en) * 2000-08-08 2002-08-20 Plymouth Products, Inc. Flow control module for RO water treatment system
AU2003245485A1 (en) * 2002-06-12 2003-12-31 The Water System Group, Inc. Purified water supply system
WO2004069391A1 (ja) * 2003-02-03 2004-08-1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モジュール配列群
US7294262B2 (en) * 2003-08-27 2007-11-13 Sta-Rite Industries, Llc Modular fluid treatment apparatus
KR100712266B1 (ko) * 2005-03-24 2007-05-17 주식회사 피코그램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정수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2145A1 (en) 2007-08-16
US20070181484A1 (en) 2007-08-09
CN101379001A (zh) 2009-03-04
JP2009525846A (ja) 2009-07-16
EP1986962A1 (en)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4679A (ko) 모듈형 역삼투 수 처리 시스템
US20050126966A1 (en) Membrane separation device and membrane separation method
JP5687561B2 (ja) 水処理装置
EP0983115B1 (en) Modular filtration systems
KR20210040502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US20100140153A1 (en) Manifold block for reverse osmosis systems
KR200467519Y1 (ko)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20210060973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0899009B1 (ko) 금속막을 이용한 가압형 막여과 시스템
KR102460002B1 (ko) 역삼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시스템
KR102227633B1 (ko) 수처리 설비의 균등분배장치
KR930006396B1 (ko) 직렬의 직교류 여과기
KR100372806B1 (ko) 항균 은세라믹 필터가 장착된 다단계 필터 일체식 구조의정수기
CN215855413U (zh) 一种复合滤芯
CN113316476A (zh) 分离膜组件和使用该分离膜组件的液体处理系统
JP2003117552A (ja) 淡水化装置
CN219136463U (zh) 滤芯组件和净水系统
KR20020076197A (ko) 농축수 강제 순환기능을 갖는 역삼투압방식 정수장치
CN109650472B (zh) 滤芯和净水装置
US11939242B1 (en) Housing for water filter cartridges
CN217780884U (zh) 水路板及富氢净水机
CN215782742U (zh) 一种纳滤膜组件
CN215365131U (zh) 复合过滤器组件和具有该复合过滤器组件的净水器
KR20170070641A (ko) 농축수 재사용이 가능한 역삼투 멤브레인 정수장치
KR20210046980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