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682A -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 Google Patents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682A
KR20190045682A KR1020170138541A KR20170138541A KR20190045682A KR 20190045682 A KR20190045682 A KR 20190045682A KR 1020170138541 A KR1020170138541 A KR 1020170138541A KR 20170138541 A KR20170138541 A KR 20170138541A KR 20190045682 A KR20190045682 A KR 20190045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radioactive
shielding
measuring
speci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842B1 (ko
Inventor
이정묵
배상은
김잔디
윤영상
하영경
김종윤
임상호
연제원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3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8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극 형태나 파우더 형태의 시료 사용이 가능하며, 시료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함과 동시에 측정자가 방사능 피폭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방사성 시료가 배치되는 시료 배치부와, 상기 시료 배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사성 시료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능을 차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방사성 시료의 표면을 측정하는 측정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방사성 시료 측정을 위한 차폐 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Shielding holder for measuring of radioactive specimen}
본 발명은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극 형태나 파우더 형태의 시료 사용이 가능하며, 시료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함과 동시에 측정자가 방사능 피폭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에 관한 것이다.
우라늄과 같은 방사성 시료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전극 형태의 시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극 형태의 시료는 제작이 간단하면서 3원 전극 시스템(three electrode system)에 필요한 작업 전극으로 사용하기 편한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시료의 표면 분석을 위해서는 시료의 표면이 위쪽을 향해야 하며, 시료 표면과 렌즈와 같은 특정 장치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해야 하나, 이러한 전극 형태의 시료는 시료의 표면 분석을 위해 분석 장비에 배치할 때 전술한 배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전극 형태의 시료에서 전극이 분리되는 착탈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러한 형태의 전극은 제조 시간이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시료를 전극으로부터 완전 분리하는 과정에서 표면의 오염이나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시료를 외부에서 측정하기 위해서는 안전관리 측면에서 볼 때, 방사선을 차폐한 상태에서 시료의 측정이 가능한지 고려해야 한다.
종래 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7363호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노즐, 방호부, X선관 가이드부 및 튜브 바디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방호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방호부 일측 단부에는 차폐판이 형성되어 방사선 차폐가 가능하나, 방호 장치에는 내부에 배치된 시료의 표면 측정을 위한 구성이 없으므로 방호 장치 내부에 방사선이 차폐된 상태에서 시료 측정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7363호(2016.12.12.)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사성 시료의 전기화학 실험 종료 후 신속하게 시료의 장착이 가능한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사성 시료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면서 측정자가 방사능 피폭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방사성 시료를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시료 측정을 위한 차폐 홀더는, 방사성 시료가 배치되는 시료 배치부와, 상기 시료 배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사성 시료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능을 차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사성 시료의 표면을 측정하는 측정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사성 시료는 고체 시료와, 상기 고체 시료에 접촉하는 금속봉과, 상기 고체 시료 및 상기 금속봉 일부를 감싸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전극 형태의 시료일 수 있으며, 상기 시료 배치부에는 상기 고체 시료가 상기 측정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료 배치부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상기 관통공 내부에 배치된 상기 방사성 시료를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시료 배치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 배치부와 상기 측정 부재 사이에 이격 공간을 둘러싸는 차폐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부는 상기 차폐벽 내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는 상기 측정 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차폐벽 내주면에 배치된 실링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실링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측정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측정 부재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 부재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 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사성 시료는 분말 형태의 시료이며, 상기 시료 배치부에는 상기 방사성 시료가 내부에 배치되는 시료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에 따르면, 방사성 시료의 전기화학 실험 종료 후 시료 측정을 위해 신속한 시료 장착이 가능하므로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는 방사성 시료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므로 시료의 표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측정자가 방사능 피폭으로부터 보호되므로 측정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는 방사성 시료를 교체해서 재사용 가능하므로 방사성 시료 측정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배치부와 차폐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형태의 시료를 도시한 평면도(a)와 측면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에 전극 형태의 시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형태의 시료가 장착된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가 제물대 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시료 배치부와 차폐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에 분말 형태의 시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배치부와 차폐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형태의 시료를 도시한 평면도(a)와 측면도(b)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에 전극 형태의 시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는 방사성 시료(10)가 배치되는 시료 배치부(100)와, 방사성 시료(10)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부(200)와, 차폐부(200) 내부에 구비되고, 방사성 시료(10)의 표면을 측정하기 위한 후술할 측정 부재(20)가 안착되는 안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시료 배치부(100)는 방사성 시료(10)가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차폐부(200)는 배치된 방사성 시료(10)에서 방출되는 방사능으로부터 측정자가 보호될 수 있도록 방사능을 차폐한다. 아울러 방사성 시료(10)가 고정 배치되고, 이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능으로부터 관측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방사성 시료(10)의 표면 측정이 가능하도록 차폐부(200) 내부에는 안착부(300)가 구비된다.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방사성 시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형태의 시료(11)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 형태의 시료(11)는 고체 시료(11a)와, 이러한 고체 시료(11a)에 접촉하는 금속봉(11b)과, 고체 시료(11a)와 금속봉(11b) 일부를 감싸는 커버 부재(11c)를 포함한다.
전극 형태의 시료(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체 시료(11a)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고체 시료(11a)에 접촉하는 금속봉(11b)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체 시료(11a)와 금속봉(11b) 사이에는 전도성 페이스트가 구비된다.
아울러 전극 형태의 시료(11)에는 고체 시료(11a)와 금속봉(11b) 일부를 감싸는 커버 부재(11c)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커버 부재(11c)는 에폭시나 테프론과 같은 불소수지(PTFE)가 사용될 수 있다.
시료 배치부(10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전극 형태의 시료(11)가 배치될 수 있도록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전극 형태의 시료(11)는 이러한 관통공(110)을 관통한 상태로 시료 배치부(100)에 배치된다. 이때, 전극 형태의 시료(11) 일부만 관통공(110)을 관통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극 형태의 시료(11), 특히 고체 시료(11a)가 후술할 측정 부재(20)와 대향될 수 있도록 측정 부재(20)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게 된다.
전극 형태의 시료(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배치부(100)에 형성된 관통공(110)을 일부만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전극 형태의 시료(11)에 구비된 커버 부재(11c)의 외주면을 관통홀(110)의 내주면에 압입하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극 형태의 시료(11)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간단하게 고정이 가능하다.
아울러 전극 형태의 시료(11)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체결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시료 배치부(100)에는 관통공(110)과 연통하는 체결홀(120)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홀(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130)가 구비된다. 체결부재(130)는 체결홀(120)을 관통해서 전극 형태의 시료(11)에 구비된 커버 부재(11c)를 밀면서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볼트와 같은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체결홀(120)을 관통해서 전극 형태의 시료(11)에 구비된 커버 부재(11c)를 밀면서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반드시 볼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방사성 시료(10)를 배치할 경우 간단한 방식으로 배치 고정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게 방사성 시료(10)의 장착이 가능하고, 방사성 시료(10)의 장착 및 탈착도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간단한 방식으로 방사성 시료(10)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므로 이를 반복해도 차폐 홀더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방사성 시료(10)를 교체해서 반복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성 시료(10)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능으로부터 관측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폐부(200)가 구비되며, 이러한 차폐부(200)는 시료 배치부(100)와 후술할 측정 부재(20) 사이에 이격 공간을 둘러싸는 차폐벽(210)과 이러한 차폐벽(210) 내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덮개 부재(220)를 포함한다.
차폐벽(210)은 방사성 시료(10)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시료 배치부(10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차폐벽(210)을 단순히 시료 배치부(100)의 일측면에 올려두는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시료 배치부(100)와 차폐벽(210)을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해서 체결함으로써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시료 배치부(100)나 차폐벽(210)이 손상된 경우 교체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폐벽(210)을 시료 배치부(100)와 분리 가능하게 별도로 배치할 경우 차폐벽(210)을 시료 배치부(100)의 일측면 상에서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시료 배치부(100)에는 차폐벽(210)의 설치를 위한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미도시)는 단순히 차폐벽(210)의 위치를 기호나 문자 등으로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차폐벽(210)이 체결되는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포함한다.
아울러 시료 배치부(100)와 차폐벽(210)을 각각 형성한 후 이들을 용접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단일의 재료를 소성 가공하여 시료 배치부(100)와 차폐벽(21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 부재(220)는 차폐벽(210) 내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후술할 측정 부재(20)를 사용해서 방사성 시료(10)의 표면을 측정하는 경우 차폐벽(210) 내부를 개방하고, 방사성 시료(10)가 배치된 시료 배치부(10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경우 차폐벽(210) 내부를 폐쇄한다. 아울러 덮개 부재(220)를 차폐벽(210) 상단에 안착시키는 간단하게 차폐벽(210) 내부의 폐쇄가 가능하나, 덮개 부재(220)가 차폐벽(210) 내부에 압입되는 방식으로도 차폐벽(210)의 내부의 폐쇄가 가능하다.
이러한 덮개 부재(220)는 차폐벽(210)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별개로 분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형태의 시료가 장착된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가 제물대 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 부재(20)는 방사성 시료(10)와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측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안착부(300)는 방사성 시료(10)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실링 플레이트(310)를 포함하며, 측정 부재(20)는 이러한 실링 플레이트(310)에 안착되면서 방사성 시료(10)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되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실링 플레이트(310)는 차폐벽(210) 내주면에 배치되고, 측정 부재(20)와 실링 플레이트(310) 사이에는 방사성 시료(10)에서 방출되는 방사능이 측정 부재(20)와 실링 플레이트(310) 사이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됨으로써 측정자가 방사능에 피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부(300)에는 실링 플레이트(3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3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 부재(20)와 실링 플레이트(310) 사이에는 방사능이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실링 플레이트(3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320)가 구비되면 전술한 기밀 유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탄성 부재(320)가 측정 부재(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실링 플레이트(310)에 탄성력을 인가하게 구성하면 기밀 유지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안착부(300)에는 탄성 부재(320)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 커버(33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커버(330)는 방사성 시료(10) 측정 시 측정 부재(20)에 탄성 부재(32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사성 시료(10)가 배치 고정된 시료 배치부(100)는 표면 측정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물대(30) 위에 안착된 후 홀더(40)에 의해 고정된다.
제물대(30)에는 전극 형태의 시료(11)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홀(31)이 형성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시료 배치부와 차폐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에 분말 형태의 시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는 전극 형태의 시료(11) 뿐만 아니라 분말 형태의 시료(12)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성 시료(10)의 형태가 달라지면 다른 형태의 시료 배치부(100’)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분말 형태의 시료(12)를 사용할 경우 시료 배치부(100’)에는 이러한 분말 형태의 시료(12)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시료홈(110’)이 형성된다.
방사성 시료(10)의 형태가 달라지면 다른 형태의 시료 배치부(100’)를 사용하여 측정이 가능하며, 전술한 차폐부(200)나 안착부(300)는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즉, 차폐벽(210)은 방사성 시료(10)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시료 배치부(100’)의 일측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데, 차폐벽(210)을 단순히 시료 배치부(100’)의 일측면에 올려두는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시료 배치부(100’)와 차폐벽(210)을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해서 체결함으로써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다른 형태의 시료 배치부(100’)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방사성 시료 11 : 전극 형태의 시료
12 : 분말 형태의 시료 20 : 측정 부재
30 : 제물대 31 : 인입홀
40 : 홀더 200 : 차폐부
210 : 차폐벽 220 : 덮개 부재
300 : 안착부 310 : 실링 플레이트
320 : 탄성 부재 330 : 스프링 커버

Claims (9)

  1. 방사성 시료가 배치되는 시료 배치부;
    상기 시료 배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사성 시료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능을 차폐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사성 시료의 표면을 측정하는 측정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시료는 고체 시료와, 상기 고체 시료에 접촉하는 금속봉과, 상기 고체 시료 및 상기 금속봉 일부를 감싸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전극 형태의 시료이며,
    상기 시료 배치부에는 상기 고체 시료가 상기 측정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배치부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상기 관통공 내부에 배치된 상기 방사성 시료를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시료 배치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 배치부와 상기 측정 부재 사이에 이격 공간을 둘러싸는 차폐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차폐벽 내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측정 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차폐벽 내주면에 배치된 실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실링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측정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측정 부재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 부재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시료는 분말 형태의 시료이며,
    상기 시료 배치부에는 상기 방사성 시료가 내부에 배치되는 시료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KR1020170138541A 2017-10-24 2017-10-24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KR10201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41A KR102015842B1 (ko) 2017-10-24 2017-10-24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41A KR102015842B1 (ko) 2017-10-24 2017-10-24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682A true KR20190045682A (ko) 2019-05-03
KR102015842B1 KR102015842B1 (ko) 2019-08-30

Family

ID=6658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541A KR102015842B1 (ko) 2017-10-24 2017-10-24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820A (ko) 2019-08-19 2021-03-02 한국원자력연구원 유니버셜 서포트 홀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597B2 (ko) * 1989-04-14 1993-09-06 Doryokuro Kakunenryo
JPH0630754U (ja) * 1992-09-24 1994-04-22 理学電機工業株式会社 X線分析用の試料ホルダ
JPH1062554A (ja) * 1996-08-21 1998-03-06 Aloka Co Ltd 放射性試料測定装置
KR20100039586A (ko) * 2008-10-08 2010-04-16 한국원자력연구원 고방사성 시료의 x-선 회절분석용 시료 홀더장치
KR101687363B1 (ko) 2015-08-24 2016-12-16 (주)선재하이테크 X선관에서 방사되는 x선 차폐를 위한 방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597B2 (ko) * 1989-04-14 1993-09-06 Doryokuro Kakunenryo
JPH0630754U (ja) * 1992-09-24 1994-04-22 理学電機工業株式会社 X線分析用の試料ホルダ
JPH1062554A (ja) * 1996-08-21 1998-03-06 Aloka Co Ltd 放射性試料測定装置
KR20100039586A (ko) * 2008-10-08 2010-04-16 한국원자력연구원 고방사성 시료의 x-선 회절분석용 시료 홀더장치
KR101687363B1 (ko) 2015-08-24 2016-12-16 (주)선재하이테크 X선관에서 방사되는 x선 차폐를 위한 방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820A (ko) 2019-08-19 2021-03-02 한국원자력연구원 유니버셜 서포트 홀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842B1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9836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покрытые пленкой ячейки точн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для рентгеноструктурного анализатора
EP2839498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 radiation window
US7065174B2 (en) Measurement arrangement for X-ray fluoresence analysis
KR20190045682A (ko) 방사성 시료 측정용 차폐 홀더
JP4753681B2 (ja) 防水秤
DE102013114140A1 (de) Messfühlergehäuse und Messfühleranordnung mit einem Messfühlergehäuse
JP2011075464A (ja) 放射線遮蔽体および放射線測定装置および放射線検出器の遮蔽方法
US20180210099A1 (en) Marinelli beaker correction container for stable radionuclide analysis
CN106468778B (zh) 放射线检测器和放射线检测装置以及放射线检测器的检查方法
JP2014035332A (ja) 放射能測定装置
JP2019078743A (ja) X線装置のシールドカバーおよびセキュリティ検査装置
JP5523805B2 (ja) 試料セル組立具
CN202305269U (zh) 放射性气溶胶实时取样装置
JP2014130169A (ja) 蛍光x線分析装置
KR101987714B1 (ko) 나사식 밀폐형 뚜껑을 적용한 감마선분광분석용 마리넬리 비이커
KR101055181B1 (ko) 방사선원 고정식 방사선 조사기
JP2016061650A (ja) 放射能測定用容器設置治具、放射線検出器の効率較正方法、および放射能測定装置
JP5524521B2 (ja) 蛍光x線分析装置
ES2694172A1 (es) Dispositivo de encapsulado apto para aplicaciones microfluídicas
JP6014028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検出プローブ取付けのための機械装置、グローブボックス内の核物質の監視装置とその利用法
JP2009236568A (ja) 検査装置
JP4643991B2 (ja) 放射性物質の輸送/貯蔵用容器
US3231740A (en) Protective device for gamma ray source in measuring apparatus
KR101585790B1 (ko) 시편 고정장치
KR100966291B1 (ko) 방사선 조사기용 밀봉선원 장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