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292A - 풍력 발전 설비의 인버터를 이용해서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 설비의 인버터를 이용해서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292A
KR20190045292A KR1020197009513A KR20197009513A KR20190045292A KR 20190045292 A KR20190045292 A KR 20190045292A KR 1020197009513 A KR1020197009513 A KR 1020197009513A KR 20197009513 A KR20197009513 A KR 20197009513A KR 20190045292 A KR20190045292 A KR 2019004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witch
phase
inverter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고 마켄젠
스테판 게르트제게르데스
Original Assignee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4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analogue control of three-phase out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7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by measures acting on the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2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2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 F03D7/043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log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6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using passive fil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0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with means for reducing DC component from AC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H02M2007/480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Wind Motor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설비의 다상 인버터를 이용해서 각각의 상에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 다상 인버터는 인버터의 각각의 상마다 각각 상한 대역과 하한 대역을 갖는 허용 대역 방법을 이용해서 제어되고, 상기 인버터는 각각의 상마다, 상기 상의 교류의 포지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스위치와, 상기 상의 교류의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위 스위치를 갖고, 상기 방법은, 상의 교류에 대한 대역 제한에 따라서 상위 스위치를 이용해서 포지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고, 하위 스위치를 이용해서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는 단계와, 각각의 사인형 기본파에 중첩된 신호 성분이 감소하도록 대역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 설비의 인버터를 이용해서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풍력 발전 설비의 다상 인버터를 이용해서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설비의 풀 컨버터를 이용해서 교류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풍력 발전 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히 풍력 발전 설비에 대해, 전기 인버터를 이용해서 교류를 생성하고 또는 전기 인버터를 이용해서 전기 공급 네트워크 내로 교류를 공급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전기 인버터는 일반적으로 다상으로 형성되고, 대개 고출력의 풍력 발전 설비에서는 모듈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즉 인버터는 복수의 인버터 모듈을 갖고, 이들 모듈이 함께 전기 인버터를 형성한다.
이러한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소위 허용 대역 방법(tolerance band method)이다.
이 경우 인버터의 소정의 출력 전류에 대응하는 사인 함수 주위에 허용 대역이 설정되며, 상기 허용 대역은 하한 및 상한 대역을 갖는다. 전류 제어식 허용 대역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또한 생성된 출력 전류가 검출되어, 허용 대역, 즉 하한 및 상한 대역과 비교된다. 전류가 포지티브 반파(half-wave)에 있고 하한 대역에 도달하면, 스위칭 펄스가 트리거되고 인버터의 대응하는 스위치는 출력 전류를 변경한다. 검출된 출력 전류가 이제 상한 대역에 도달하면, 스위칭 펄스는 종료된다. 전류가 네거티브 반파에 있고 상한 대역에 도달하면, 스위칭 펄스가 트리거되고 인버터의 대응하는 스위치는 출력 전류를 변경한다. 검출된 출력 전류가 이제 하한 대역에 도달하면, 스위칭 펄스는 종료된다. 결과적으로 전류는 허용 대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바람직한 사인 곡선을 따라 진행하고, 이 경우 인버터의 스위치는 계속해서 스위치 온되고 다시 스위치 오프되며, 상기 스위치는 실질적으로 허용 대역의 폭에 의존하는 가변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다.
생성된 교류의 품질은 허용 대역의 폭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즉 하한 대역과 상한 대역 사이의 간격에 의해 변할 수 있다. 대역이 더 좁게 선택되면, 교류는 상응하게 바람직한 사인 곡선을 따라 약간 변하지만, 이로 인해 스위칭 주파수는 규칙적으로 높아지는데, 그 이유는 생성된 출력 전류는 더 좁은 대역 제한에 의해 상기 대역 제한에 더 빨리 도달하여 스위칭 동작을 더 빨리 트리거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상 풍력 발전 설비-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해, 통상 진폭에 의존하는 정특성을 갖는 허용 대역이 사용되고, 이 허용 대역은 상응하게 매개변수화되며, 즉, 상한 대역과 하한 대역은 작동 중에 전류 진폭에 의존하는 서로 간의 간격을 갖는다. 또한, 상위 스위치 또는 하위 스위치라고도 하는 2개의 스위치, 특히 IGBT가 각각의 상의 출력 전류의 생성을 담당한다. 상위 스위치는 실질적으로 출력 전류의 포지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고, 하위 스위치는 출력 전류의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며, 이 경우 인버터의 매개변수화는, 대응하는 상 설정값 중 어느 하나에서도 DC-성분이 나타나지 않도록 설정된다.
부품 공차, 예를 들어 측정 부재들의 일련의 오프셋 또는 기생 효과로 인해 하나 이상의 상의 출력 전류에서 DC 오프셋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DC 오프셋은 인버터의 출력부에서 특히 고조파 스펙트럼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이를 위해, 즉, 실질적으로 DC 오프셋이 없는 출력 전류의 생성을 위해 부품 공차가 상응하게 조정되고, 즉 부품들에 대한, 특히 측정 검출부에 대한 요구가 특히 높다. 그러나 이는 매우 고가의 인버터 구현을 야기한다.
독일 특허청은 본 출원의 우선권 출원 시 하기 선행 기술들을 조사하였다: DE 102 49 122 A1, DE 10 2014 219 052 A1 및 JP H07-308 072 A.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인버터의 출력부에서 DC 오프셋이 나타나는 것을 가급적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저지하는 해결 방법이 제안되어야 하고, 적어도 이러한 DC 오프셋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해야 한다. 특히 이로써 매우 작은 부품 공차를 갖는 특히 고가의 부품들을 이용하지 않고, 인버터의 출력 전류의 고조파 스펙트럼이 개선되어야 한다. 적어도 기존의 공개된 해결 방법에 대해 대안적인 해결 방법이 제안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방법이 제안된다. 따라서 풍력 발전 설비의 다상 인버터를 이용해서 각각의 상에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고, 이 경우 다상 인버터는 인버터의 각각의 상마다, 각각 상한 대역과 하한 대역을 갖는 허용 대역 방법을 이용해서 제어되고, 상기 인버터는 각각의 상마다, 상기 상의 교류의 포지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스위치와, 상기 상의 교류의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위 스위치를 갖는다. 상기 방법은, 상의 교류에 대한 대역 제한에 따라서 상위 스위치를 이용해서 포지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고, 하위 스위치를 이용해서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는 단계와, 각각의 사인형 기본파에 중첩된 신호 성분이 감소하도록 대역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따라서 먼저 일반적으로 넓은 허용 대역을 갖는 일반적인 허용 대역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상에 DC 오프셋이 나타나거나 상이 대응하는 고조파를 갖는 경우, 이는 해당 상의 대역 제한 중 하나가 변경됨으로써 상쇄될 수 있다.
하위 스위치가 너무 높은 클록 주파수에 의해 상에 DC 오프셋을 생성하면, 예를 들어 하한 대역은 낮아진다.
이로써, 기본파에 중첩하는 신호 성분이 감소하도록, 의도대로 개별 대역 제한을 변경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따라서 허용 대역 방법을 이용해서 인버터의 고조파 방출을 최소화하는데 특히 적합하고, 특히 제안된 방법은 허용 대역 제한을 위한 추가 제어 방법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직류 성분이 검출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특히 직류 성분의 검출에 기반한다. 이는 예를 들어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의 검출에 의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역 제한은 상에 발생하는 직류 성분에 따라서 조정된다.
따라서 상한 또는 하한 대역 제한의 변경에 의해 상위 스위치 또는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가 달라지고, 특히,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가 가능한 한 동일한 스위칭 주파수를 갖도록 조정된다.
바람직하게 중첩된 신호 성분의 검출은 상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의 검출 및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의 검출에 의해, 특히 상위 스위치와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의 비교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각의 상에 중첩된 신호 성분은 따라서 상위 스위치와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에 의해 검출되고, 상기 스위칭 주파수는 특히 허용 대역과 관련해서, 즉 대역 제한과 관련해서 생성된 전류의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 경우 상위 스위치와 하위 스위치의 이와 같이 검출된 스위칭 주파수가 서로 비교된다. 2개의 스위칭 주파수의 비교가 특히 너무 큰 차이, 즉 예정된 차이 한계보다 큰 차이를 가지면,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대역은, 이러한 차이가 작아지도록 또는 최소화되도록 변경된다. 예를 들어, 상위 스위치가 하위 스위치보다 신속한 스위칭 주파수를 가지면, 상한 대역은 상향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상한 대역 또는 대안으로서 하한 대역은, 중첩된 신호 성분이 감소하도록 변경되고, 이 경우 하한 대역 또는 상한 대역은 변경 없이 유지된다.
중첩된 신호 성분, 특히 DC 오프셋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로써 2개의 대역 제한 중 하나만이 변경되어, 특히 2개의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들이 매칭된다.
이 경우 이러한 방법의 간단한 구현이 특히 바람직하고, 이 경우 하나의 대역 제한만 변경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최적화를 위해 기존의 방법에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한 대역 또는 대안으로서 하한 대역은, 상위 스위치와 하위 스위치 사이의 스위칭 주파수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변경된다.
바람직하게 상한 대역 또는 하한 대역은, 상위 스위치 또는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가 감소하도록 변경된다. 특히 2개의 주파수의 매칭을 위해 이 경우, 더 높은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대신, 더 낮은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제안된다. 이로써 더 느리게 클록킹하는 IGBT를 해결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특히 이러한 과정은 더 낮은 열 부하를 야기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한 대역 또는 하한 대역은 시상수에 따라 변경되고, 상기 시상수는 관련된 상의 교류의 기본 발진의 지속 시간의 배수이다. 즉, 변경은 상응하게 천천히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들은 기본 발진의 반파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반파를 통해 스위칭 동작의 수를 기록하고 반파의 지속 시간으로 나누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 대역 제한의 변경은 대역 제한에, 특히 가변 보정값으로서 보정값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PI 조절기를 이용해서 DC 오프셋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대역 제한의 이동 정도는 따라서, 예를 들어 다양한 스위칭 주파수에 의해 검출된 검출 DC 오프셋의 크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검출된 DC 오프셋 또는 다른 편차에 의존해서, 이러한 제안에 따라 각각의 대역 제한에 보정값이 제공된다. 대역 제한은 따라서 이러한 보정값만큼 이동한다. 보정값은 이 경우 일정한 보정값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정값은 PI 조절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편차, 특히 DC 오프셋은, 특히 조절 편차와 관련해서, PI 조절기를 위한 입력 변수를 형성할 수 있다. 조절기의 출력값은 보정값을 형성하고, 상기 보정값은 이로 인해, 적어도 최종값에 도달할 때까지 가변적이다.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IGBT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위 스위치는 이로써 IGBT로서 구현되고, 특히 각각 병렬 접속된 프리휠링 다이오드(freewheeling diod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허용 대역 방법은 전류 설정값을 이용하고, 인버터는 이러한 전류 설정값에 따라서 제어된다.
허용 대역 방법 또는 인버터는 따라서 전류 제어식이고, 즉, 특히 인버터의 출력부에 생성된 전류가 검출되어 인버터를 조절하기 위해 되돌아간다.
바람직하게는 대역 제한의 변경은 전류 설정값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대역 제한은 이 경우 전류 설정값에 따라서 특히, 각각의 사인형 기본파에 중첩되는 신호 성분이 감소하도록 변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위 스위치와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의 변경은 검출된 직류 성분의 최소화를 위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상의 인버터 출력부에 발생하는 직류 성분은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전기 공급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풀 컨버터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상 인버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설비를 이용해서 정격 전압으로 전기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상기 방법은 풀 컨버터를 이용해서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풀 컨버터는 각각의 상에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전술한 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전술한 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현한다.
각각의 상에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풍력 발전 설비를 이용해서, 특히 풀 컨버터 컨셉(full converter concept)을 포함한 풍력 발전 설비를 이용해서, 특히 전기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이용된다.
풀 컨버터 컨셉이란 이 경우, 풍력 발전 설비에 의해 생성된 전체 전류가 하나의 인버터 또는 복수의 인버터 어레이를 통과함으로써,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되는 전체 전류가 이러한 인버터 또는 복수의 인버터 어레이를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특히 풀 컨버터와 허용 대역 방법의 조합은 공급 네트워크 내에서 지속적인 전압 강하 동안 직류 사양의 이점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전압 라이드 쓰루 방법(low-voltage ride-through method)의 분야에서 특히 양호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각각의 상에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상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는, 인버터의 각각의 상에 대해 각각 상한 대역과 하한 대역을 갖는 허용 대역 방법을 이용해서 제어되고, 상기 인버터는 각각의 상마다, 상기 상의 교류의 포지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스위치와 해당 상의 교류의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위 스위치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설비는, 다상 인버터가 전술한 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법 또는 전술한 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IGBT를 포함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방식으로 허용 대역 방법이 구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대역 제한의 제안된 변경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풍력 발전 설비는, 보정값을 이용해서, 특히 DC 오프셋에 따라서 대역 제한을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PI 조절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예시적으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교류를 공급하기 위한 풍력 발전 설비의 전기 라인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허용 대역을 방법을 이용해서 3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라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상의 단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의 일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라 상의 직류 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역 제한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각각의 상에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풍력 발전 설비(100)를 도시한다.
풍력 발전 설비(100)는 이를 위해 타워(102)와 나셀(104)을 포함한다. 나셀(104)에는 3개의 로터 블레이드(108)와 스피너(110)를 가진 공기 역학 로터(106)가 배치된다. 로터(106)는 운전시 풍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고, 이로 인해 나셀(104) 내의 발전기를 구동하는데, 발전기는 바람직하게 6상 링 발전기로서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풍력 발전 설비의 전기 라인(200)을 간단하게 도시한다.
전기 라인(200)은 6상 링 발전기(210)를 포함하고, 이 발전기는 6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해, 풍력 발전 설비의 기계적 구동 트레인을 통해 풍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6상 교류는 발전기(210)로부터 정류기(220)에 공급되고, 정류기는 직류 전압 중간 회로(230)를 통해 3상 인버터(240)에 연결된다. 동기 발전기로서 형성된 6상 링 발전기(210)는 여기 장치(250)에 의해 직류 전압 중간 회로(230)로부터 전기적으로 여기된다.
전기 라인(200)은 따라서 풀 컨버터 컨셉을 갖고, 이러한 컨셉에서 3상 인버터(240)를 이용해서 풍력 발전 설비 변압기(260)를 통해 네트워크(270) 내로 전류가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70)는 풍력 발전 단지 네트워크이고, 이 네트워크는 풍력 발전 단지 변압기를 통해 전기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나 발전 단지 네트워크(270) 대신 전기 공급 네트워크 내로 직접 공급하는 것도 고려된다.
각각의 상(U, V, W)에 대해 3상 전류(I1, I2, I3)를 생성하기 위해 인버터(240)는 허용 대역 방법으로 제어된다. 제어는 컨트롤러(242)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전류 검출 장치(244)를 이용해서 인버터(240)에 의해 생성된 각각 3개의 전류(I1, I2, I3)를 검출한다. 컨트롤러는 따라서, 전류 검출 장치(244)를 이용해서 인버터의 각각의 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242)는 전류 설정값(Isoll)을 사전 설정할 수 있고, 이 전류 설정값에 따라서 전류(I1, I2, I3)가 제어된다. 전류 설정값(Isoll)은 바람직하게 설비 내부에서 각각의 상(U, V, W)에 대해 개별적으로 계산되어 사전 설정된다.
도 3은 허용 대역 방법을 이용해서 3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장치(3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버터의 부분일 수 있는 부분을 도시한다.
생성 장치(300)는 직류 전압 중간 회로(330)를 포함하고, 이 중간 회로는 정류기를 통해 풍력 발전 설비의 발전기에 연결된다. 직류 전압 중간 회로(330)는 센터 탭(M)을 가진 제 1 전위(Udc+)와 제 2 전위(Udc-)를 갖고, 이 센터 탭은 예를 들어 인버터의 출력부(346)에 연결된 필터를 직류 전압 중간 회로(330)로 복귀시키기 위해 필터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센터 탭(M)과 2개의 전위(Udc+, Udc) 사이에 커패시턴스(C1, C2)를 갖는 커패시터가 배치되어, 직류 전압 중간 회로(330)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직류 전압(2Udc)을 상응하게 평활화할 수 있다.
직류 전압 중간 회로(330)에 연결된 인버터(340)는 3개의 상(U, V, W) 각각에 대해 인버터(340)의 출력부(346)에서 각각 별도의 전류(I1, I2, I3)를 생성한다. 인버터(340)는 이를 위해 각각 3개의 상(U, V, W)에 대해 각각 상위 스위치(T1, T3, T5)와 하위 스위치(T2, T4, T6)를 갖고, 이 경우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T1, T2, T3, T4, T5, T6)는 특히 컨트롤러(342)를 통해 허용 대역 방법을 이용해서 제어된다.
컨트롤러(342) 자체는 전류 제어식 허용 대역 방법으로 동작한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342)는 인버터(340)의 출력부(346)에서 인버터(340)에 의해 생성된 전류(I1, I2, I3)를 전류 검출 장치(344)를 이용해서 검출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전류(I1, I2, I3)는 설정값(Isoll)과 비교되어,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T1, T2, T3, T4, T5, T6)를 위한 대역 제한(OB12, UB12, OB34, UB34, OB56, UB56)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대응하는 상위 스위치(T1, T3, T5)의 주파수(f1, f3, f5)와 대응하는 하위 스위치(T2, T4, T6)의 스위칭 주파수(f2, f4, f6)를 비교하여, 각각의 상위 스위치(T1, T3, T5)와 각각의 하위 스위치(T2, T4, T6)의 스위칭 주파수(f1, f2, f3, f4, f5, f6) 사이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특히 각각의 사인형 기본파에 중첩되는 각각의 상(U, V, W)의 신호 성분이 감소하도록, 각각 대응하는 대역 제한(OB12, UB12, OB34, UB34, OB56, UB56)을 변경하기 위해, 컨트롤러(342)는 개별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T1, T2, T3, T4, T5, T6)의 스위칭 주파수(f1, f2, f3, f4, f5, f6)를 검출한다.
대역 제한(OB12, UB12, OB34, UB34, OB56, UB56) 및 스위칭 주파수(f1, f2, f3, f4, f5, f6)의 인덱스는 각각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T1, T2, T3, T4, T5, T6) 인덱스와 관련된다. 대역 제한 및 스위칭 주파수에 관한 세부 사항은 또한 도 5에서 제1 상(U)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된다.
도 4는, 특히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상(U)의 단상 교류(I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의 일부의 개략적인 구조(400)를 도시한다.
참조 변수, 즉 인버터를 위한 전류 설정값(Isoll)이 허용 오차 블록(480)에 전달된다. 허용 오차 블록(480)은 상(U)의 상위 스위치(T1)와 하위 스위치(T2)에 대한 대응하는 대역 제한(OB12, UB12)을 결정한다. 블록(484)으로 표시하는 상위 스위치(T1)와 하위 스위치(T2)는 대역 제한(OB12, UB12)에 따라서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상(U)의 단상 교류(I1)를 생성하고, 이 경우 스위치(T1, T2) 자체는 실제 스위칭 주파수(fos, fus)를 갖고, 또는 이러한 주파수에서 동작하게 된다.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T1, T2)의 실제 스위치 주파수(fos, fus)가 검출되어 주파수 블록(486)에 전달되고, 주파수 블록은 이들 주파수로부터 주파수 차이(Δf)를 결정하는데, 즉 상위 스위치(T1)와 하위 스위치(T2) 사이의 스위칭 주파수의 차이를 결정한다. 주파수 차이(Δf) 자체가 PI 조절기(482)를 통해 대역 제한(OB12, UB12)에 피드백되므로, 스위치(T1, T2)의 실제 스위칭 주파수(fos, fus)도 상응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단상 교류(I1)는 전류 검출 장치를 이용해서 결정되고 스위치(T1, T2)에 피드백되므로, 스위치 또는 인버터를 전류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상의 직류 성분을 줄이기 위해 대역 제한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 과정(500)을 도시한다.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T1, T2)는 허용 대역 방법(590)을 이용해서 제어되고, 최적의 사인파(sin)를 따라 진행되는 대역 제한(OB12, UB12) 내에서 동작한다. 상위 스위치(T1)는 제 1 스위칭 주파수(fT1)에서 동작하고, 하위 스위치(T2)는 제 2 스위치 주파수(fT2)에서 동작한다. 이로 인해 상(U)에 직류 성분(I1G)이 나타난다.
스위칭 주파수(fT1, fT2)는 제 1 단계(591)에서 컨트롤러에 의해 검출되고, 제 2 단계(592)에서 서로 비교된다. 비교로부터 얻어진 주파수 차이(Δf)는 스위칭 주파수(f1, f2)와 마찬가지로 허용 오차 블록(593)에 제공되고, 이 블록은 그것으로부터 각각의 사인형 기본파(sin)에 중첩되는 신호 성분(I1G)이 최소화되도록 대역 제한의 변경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매우 간단하게 허용 오차 블록(593)은 직류 성분(I1G)의 최소화를 위해 하한 대역의 하향 이동(594)을 결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스위칭 주파수(fT1, fT2)에 대해 값 2 및 3이 측정되었고 따라서 주파수 차이(Δf) 1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T1, T2)로 전송된다.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T1, T2)는 이제 다음 단계(595)에서 최적의 사인파(sin), 즉 사인형 기본파를 따라 진행되는 대역 제한(OB12, UB12*) 내에서 동작한다. 이로써 하한 대역(UB12*)은 변경되었다. 상위 스위치(T1)는 또한 스위칭 주파수(fT1)에서 동작하고, 하위 스위치(T2)는 스위칭 주파수(fT2*)에서 동작하며, 이 경우 이러한 스위칭 주파수(fT1, fT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간단한 예로 예컨대 2개의 주파수는 2이므로, 상(U)에 직류 성분(I1G*)이 나타나고, 여기에서는 0으로 가정되며, 경우에 따라서 직류 성분(I1G)보다 훨씬 작다. PI 조절기를 사용함으로써 여기에서 예를 들어 수정된 하한 대역(UB12*)은 직류 성분을 완전히 보정하더라도 그 수정된 값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 단계(596)에서 이러한 스위칭 주파수(fT1, fT2*)는 다시 컨트롤러에 의해 검출된 후에 경우에 따라서 더 최적화될 수 있다.

Claims (17)

  1. 풍력 발전 설비의 다상 인버터를 이용해서 각각의 상에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다상 인버터는 인버터의 각각의 상마다 각각 상한 대역과 하한 대역을 갖는 허용 대역 방법(tolerance band method)을 이용해서 제어되고, 상기 인버터는 각각의 상마다, 상기 상의 교류의 포지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스위치와, 상기 상의 교류의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위 스위치를 갖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상의 교류에 대한 대역 제한에 따라서, 상기 상위 스위치를 이용해서 포지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고, 상기 하위 스위치를 이용해서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는 단계,
    - 각각의 사인형 기본파에 중첩된 신호 성분이 감소하도록 대역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신호 성분으로서 직류 성분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역 제한이 변경되어, 상기 상위 스위치와 상기 하위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검출함으로써, 특히 상위 스위치와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의 비교에 의해, 상기 중첩된 신호 성분의 검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대역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하한 대역은, 중첩된 신호 성분이 감소하도록 변경되고, 상기 하한 대역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상한 대역은 변경 없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대역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하한 대역은, 상기 상위 스위치와 상기 하위 스위치 사이의 스위칭 주파수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대역 또는 대안으로서 하한 대역은, 상기 상위 스위치 또는 상기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가 감소하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대역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하한 대역은 시상수에 따라 변경되고, 상기 시상수는 관련된 상의 교류의 기본 발진의 지속 시간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스위치 및 상기 하위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는 기본 발진의 반파(half-wave)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제한은 DC 오프셋에 따라서, 상기 대역 제한에, 특히 가변 보정값으로서 보정값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PI 조절기를 이용해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스위치 및 하위 스위치는 각각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IGB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대역 방법은 전류 설정값을 이용하고, 상기 인버터는 이 전류 설정값에 따라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제한은 전류 설정값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4. 전기 공급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풀 컨버터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상 인버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설비를 이용해서 정격 전압으로 전기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풀 컨버터를 이용해서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풀 컨버터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
  15. 각각의 상에 사인형 기본파를 갖는 다상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상 인버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설비로서, 상기 다상 인버터는, 인버터의 각각의 상마다 각각 상한 대역과 하한 대역을 갖는 허용 대역 방법을 이용해서 제어되고, 상기 인버터는 각각의 상마다, 상기 상의 교류의 포지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스위치와, 상기 상의 교류의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위 스위치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설비로서,
    상기 다상 인버터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설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스위치 및 상기 하위 스위치는 각각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사인형 반파를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IGB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설비.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보정값을 이용해서, 특히 DC 오프셋에 따라서, 대역 제한을 변경하는 PI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설비.
KR1020197009513A 2016-09-23 2017-09-22 풍력 발전 설비의 인버터를 이용해서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KR20190045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7964.7 2016-09-23
DE102016117964 2016-09-23
PCT/EP2017/074035 WO2018055089A1 (de) 2016-09-23 2017-09-22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wechselstroms mittels eines wechselrichters einer windenergie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292A true KR20190045292A (ko) 2019-05-02

Family

ID=5995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513A KR20190045292A (ko) 2016-09-23 2017-09-22 풍력 발전 설비의 인버터를 이용해서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958077B2 (ko)
EP (1) EP3516763B1 (ko)
JP (1) JP2019530414A (ko)
KR (1) KR20190045292A (ko)
CN (1) CN109874389B (ko)
BR (1) BR112019003656A2 (ko)
CA (1) CA3034966C (ko)
DE (1) DE102017122101A1 (ko)
RU (1) RU2019112081A (ko)
WO (1) WO2018055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2491A1 (de) * 2017-06-07 2018-12-13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indparks
US11736032B1 (en) * 2022-08-30 2023-08-2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frequency ditheri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490A (ja) * 1983-07-15 1985-02-04 Hitachi Ltd Pwmインバ−タの制御装置
DE3533277A1 (de) * 1985-09-18 1987-03-19 Bbc Brown Boveri & Cie Anordnung zur regelung eines motors
DE59006627D1 (de) * 1990-05-15 1994-09-01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dreiphasigen Pulswechselrichters.
JP3260033B2 (ja) 1994-05-13 2002-02-25 東芝アイティー・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Pwmインバータ
AT405586B (de) * 1996-02-02 1999-09-27 Johann W Kolar Vorrichtung zur nachbildung der phasenströme eines dreiphasen-dreipunkt-pulsgleichrichtersystems
US6459596B1 (en) * 2000-08-18 2002-10-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duced parts-counts multilevel rectifier
DE10249122B4 (de) 2002-10-22 2005-06-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r Unterdrückung eines Gleichstromanteiles im Ausgangstrom von Wechseltrichtern
US7053595B1 (en) * 2004-07-02 2006-05-3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ompensation circuit for output voltage correction due to propagation delays in hysteretic control loops
DE102006027716B3 (de) 2006-06-15 2008-01-24 Lenze Drive Systems Gmbh Ansteuerung mit Wechselrichtern bei geringen Schaltverlusten
US20130235630A1 (en) * 2007-03-03 2013-09-12 Laurence P. Sadwick Multiple driver power supply
US7782644B2 (en) * 2007-03-03 2010-08-24 Sadwick Laurence P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US8009452B1 (en) * 2007-03-03 2011-08-30 Sadwick Laurence P Multiple driver power supply
US8860255B2 (en) * 2009-05-07 2014-10-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Saturation control unit for an interphase transforming unit and PWM control apparatus for a voltage converting device
US8294306B2 (en) * 2010-03-16 2012-10-23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DC capacitor balancing
CN101867196B (zh) * 2010-06-03 2012-06-27 长沙理工大学 分布式并网发电与有源电力滤波器统一控制的方法
US8422249B2 (en) * 2011-08-25 2013-04-16 Direct Grid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a microinverter particularly suited for use in solar power installations
JP5500141B2 (ja) 2011-09-01 2014-05-21 株式会社安川電機 電力変換装置
DE102011084910A1 (de) 2011-10-20 2013-04-25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peisen elektrischen Stroms in ein elektrisches Netz
CN104135021B (zh) 2014-07-25 2016-09-21 国家电网公司 一种基于复合控制的离网型储能变流器电压优化控制方法
DE102014219052A1 (de) * 2014-09-22 2016-03-24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elektrischen Wechselstroms
JP6470051B2 (ja) 2015-01-21 2019-02-13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
DE102016123384A1 (de) * 2016-12-02 2018-06-07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Wiederaufbau eines elektrischen Versorgungsnetzes
DE102017112491A1 (de) * 2017-06-07 2018-12-13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indpa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34966A1 (en) 2018-03-29
WO2018055089A1 (de) 2018-03-29
JP2019530414A (ja) 2019-10-17
US20200350769A1 (en) 2020-11-05
CA3034966C (en) 2022-11-01
BR112019003656A2 (pt) 2019-05-21
EP3516763B1 (de) 2022-10-12
DE102017122101A1 (de) 2018-03-29
EP3516763A1 (de) 2019-07-31
US10958077B2 (en) 2021-03-23
RU2019112081A (ru) 2020-10-23
CN109874389A (zh) 2019-06-11
CN109874389B (zh) 2021-07-06
RU2019112081A3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tos-Martin et al. Direct power control applied to 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under unbalanced grid voltage conditions
JP5191051B2 (ja) パワーコンバータ
US93856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ical DC generation
US83740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osting DC bus voltage
US8395347B2 (en) Induction motor control device and induction motor group control system
US20130301327A1 (en) System and method of parallel converter current sharing
US20120155131A1 (en) Control Methods for the Synchronisation of Parallel-Connected Power Converters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trategy
JP2014509824A (ja) グリッド接続インバータ、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インバータ装置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EP2893606A1 (en) Connection system for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dc output
KR101970902B1 (ko)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KR20190045292A (ko) 풍력 발전 설비의 인버터를 이용해서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CN110249495B (zh) 用于馈入交流电流的方法
Singh et al. D-STATCOM based voltage compensator for a new micro hydro power generation scheme supplying remote areas
Porate et al. Performance of PMSG based variable speed WECS with parallel back-to-back converters using separate zero d-axis current control
JP2023516797A (ja) 光起電エネルギー源用電力変換器
Chatterjee et al. Single-loop vs two-loop voltage and frequency control of isolated SEIG based RECS
RU168544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апряжения сети
Miñambres-Marcos et al. Power injection system for photovoltaic plants based on a multiconverter topology with DC-link capacitor voltage balancing
Aguemon et al. Analysis on the topology and control of power electronics converters for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s
US9825551B2 (en) Converter and electric generator in which groups of windings are used to generate output voltages according to a power requirement
Manavalan et al. Analysis of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 using NPC inverter
US20220131387A1 (en) Tolerance-band filter for a frequency converter
Ramírez et al. Emulation of a single phase dsPIC based grid-connected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RU2505918C2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частотно-регулируем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Singh et al. Design and control of variable speed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employing PMBLDC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