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473A -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및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및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473A
KR20190044473A KR1020180010487A KR20180010487A KR20190044473A KR 20190044473 A KR20190044473 A KR 20190044473A KR 1020180010487 A KR1020180010487 A KR 1020180010487A KR 20180010487 A KR20180010487 A KR 20180010487A KR 20190044473 A KR20190044473 A KR 20190044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search
voi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4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5Query execution
    • G06F16/24564Applying rules; Deductiv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3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54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retriev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6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using non-speech characteristics
    • G10L2015/228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using non-speech characteristics of application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인식 처리부(110)와, 인식 처리부(110)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행하는 검색 처리부(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검색 처리부(140)는,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한편,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역치 미만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입력 조작부(30)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및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IN-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SEARCH PROGRAM}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및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성 입력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정보의 검색을 행하는 정보 단말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65217호에 기재된 정보 단말기는, 음성 입력된 데이터를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검색용 키워드로서 생성한다. 그리고, 이 생성된 키워드를 웹 검색 서버에 송신하고, 웹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검색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검색하고 싶은 키워드를 정보 단말기를 향하여 말하기만 한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으로, 정보의 검색 결과를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정보 단말기에서는, 음성 입력된 키워드를 일단 표시부에 표시하고, 이 표시에 기초하여 유저가 적절히 키워드를 수정한 후에, 키워드를 웹 검색 서버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유저의 의도와는 상이한 키워드가 웹 검색 서버에 송신되기 어려워져, 정보 검색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재된 정보 단말기를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는, 음성 입력된 키워드의 표시를 운전자가 확인하여 키워드를 수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즉, 차량의 운전 조작의 조작성과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양립하는 데 있어서, 또한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조작의 조작성과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양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및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를 제공한다.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는, 차량에 탑재되고,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정보의 검색을 행하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이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인식 처리부와, 상기 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행하는 검색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색 처리부는,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상기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한편,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정보 검색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차량에 탑재된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처리와, 상기 음성 인식 처리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행하는 검색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검색 처리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상기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시키는 한편,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정보의 검색을 개시시킨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차량의 속도가 비교적 빠를 때에는, 차량의 운전자가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할 여유가 없다고 생각된다는 점에서, 개시 조작의 유무에 상관없이,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한다. 한편, 차량의 속도가 비교적 느릴 때에는, 차량의 운전자가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할 여유가 있다고 생각된다는 점에서, 개시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즉,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할지 여부를 전환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운전 조작의 조작성과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양립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부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이상일 때, 음성의 입력 후에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는 상기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차량의 속도가 비교적 빠를 때라도,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기 전의 시점에서, 입력된 음성의 내용을 운전자가 확인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확보된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의도를 따르지 않는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여 정보의 검색이 개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부는, 음성의 입력 후에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의 값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역치 이상의 값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차량의 속도가 전환된 시점부터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교차점에서의 차량의 발진 시 등, 음성을 입력하고 나서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의 속도가 증대되는 경향을 갖고 차량의 주행 상황이 크게 변화할 때에는, 운전자가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할 여유가 도중에 없어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에서는, 이러한 경우, 운전자의 여유가 없어진 시점에서부터 입력된 음성의 내용을 운전자가 확인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확보하면서도, 입력 조작부를 통한 개시 조작의 유무에 상관없이,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음성의 입력 후에 있어서의 차량의 주행 상황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차량의 운전 조작의 조작성과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적합하게 양립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부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일 때, 음성의 입력 후에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데이터를 파기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차량의 운전자가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할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을 입력하고 나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해도 운전자로부터 아무런 의사 표시가 없을 때에는, 인식된 음성의 데이터를 파기하고 새로운 음성을 입력할 기회를 확보한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의도를 따르는 형태로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부는, 음성의 입력 후에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이상의 값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의 값으로 전환된 경우이며, 차량의 속도가 전환된 시점부터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데이터를 파기해도 된다.
예를 들어 교차점에서의 차량의 정차 시 등, 음성을 입력하고 나서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의 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갖고 차량의 주행 상황이 크게 변화할 때에는, 운전자가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할 여유가 도중에 확보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에서는, 운전자의 여유가 확보된 시점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해도 운전자로부터 아무런 의사 표시가 없을 때에는, 인식된 음성의 데이터를 파기하고 새로운 음성을 입력할 기회를 확보한다. 이에 의해, 음성의 입력 후에 있어서의 차량의 주행 상황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운전자의 의도를 따르는 형태로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역치는, 차량의 주행 상황이 주행 중 및 정차 중 중 어느 것인지에 대한 판정의 기준으로 되는 차량의 속도여도 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상황이 주행 중 및 정차 중 중 어느 것인지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가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하는 데 있어서의 여유의 크기는 크게 상이하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구성에서는, 차량의 주행 상황이 주행 중 및 정차 중 중 어느 것인지에 따라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할지 여부를 전환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운전 조작의 조작성과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한층 더 적합하게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첨부 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의 일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정보 검색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의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가 실행하는 정보 검색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차량의 주행 상황과 정보 검색의 개시 타이밍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정보의 검색을 행한다. 이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에서는,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정하고, 차량이 주행 중이라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한다. 한편,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는,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개시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그리고,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하였을 때에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검색의 대상으로 되는 키워드를 생성함과 함께, 생성된 키워드를 외부 서버에 송신한다. 그 후,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는, 외부 서버로부터 정보의 검색 결과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수신한 정보의 검색 결과를 표시 장치에 출력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가 탑재되는 차량은, 마이크(10), 차속 센서(20), 입력 조작부(30), 표시 장치(200), 무선 통신부(21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요소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차량에 설치된 마이크(10)를 통하여 운전자가 발한 음성의 신호가 입력되는 인식 처리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인식 처리부(110)는, 예를 들어 마이크(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일정한 시간 폭을 갖는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함과 함께, 분할한 구간에 포함되는 음성의 특징 벡터를 미리 준비한 음성 패턴의 특징 벡터에 대하여 DP(Dynamic Programming) 매칭 등을 행함으로써 대조한다. 그리고, 인식 처리부(110)는, 특징 벡터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음성 패턴을 그 구간에 있어서 발생된 음성의 내용이라고 인식함과 함께, 인식한 음성의 내용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인식 처리부(110)는, 변환한 텍스트 데이터를 검색 처리부(140)에 출력한다.
또한,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차속 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정하는 주행 상황 판정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상황 판정부(120)는,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일 때에는 차량이 주행 중이라고 판정하고,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역치 미만일 때에는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정한다. 즉, 소정의 역치는, 차량의 주행 상황이 주행 중 및 정차 중 중 어느 것인지에 대한 판정의 기준으로 되는 차량의 속도로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상황 판정부(120)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관한 판정 결과를 검색 모드 설정부(130)에 출력한다.
검색 모드 설정부(130)는, 주행 상황 판정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기초하여, 검색 처리부(140)에 의한 정보의 검색 모드를 설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색 모드 설정부(130)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자동 검색 모드를 정보의 검색 모드로서 설정한다. 또한, 검색 모드 설정부(130)는, 차량이 정차 중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개시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하는 수동 검색 모드를 정보의 검색 모드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검색 모드 설정부(130)는, 정보의 검색 모드의 설정 내용을 검색 처리부(140)에 출력한다.
검색 처리부(140)는, 검색 모드 설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검색 모드에 기초하여, 인식 처리부(110)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검색용 키워드로서 정보의 검색을 행한다. 또한, 검색 처리부(140)는, 정보의 검색 모드가 자동 검색 모드 및 수동 검색 모드 중 어느 것이라도, 인식 처리부(110)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 장치(20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검색 처리부(140)는, 자동 검색 모드의 실행 시에는, 인식 처리부(110)로부터 텍스트 데이터가 입력된 후, 차량의 운전자가 입력 조작부(30)를 통하여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할 때까지의 동안, 혹은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검색 처리부(140)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웹 브라우저를 기동하여 정보의 검색을 행하기 위한 브라우저 화면을 표시 장치(20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또한, 검색 처리부(140)는, 표시 장치(200)에 표시된 브라우저 화면에 있어서, 검색의 대상을 표시하는 검색 박스에 인식 처리부(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면서, 입력 조작부(30)를 통한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 조작을 접수한다. 그리고, 검색 처리부(140)는,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수정을 반영한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 장치(20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또한,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 조작은, 운전자가 입력 조작부(30)를 통하여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 개소를 수동으로 선택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또한,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 조작은, 운전자가 입력 조작부(30)를 통하여 수정 개시의 조작을 행한 후, 마이크(10)를 통하여 음성을 다시 입력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그리고, 검색 처리부(140)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그 개시 조작의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한편, 검색 처리부(140)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해도, 인식 처리부(110)로부터 텍스트 데이터가 입력된 후에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또한, 검색 처리부(140)는, 수동 검색 모드의 실행 시에는, 인식 처리부(110)로부터 텍스트 데이터가 입력된 후, 차량의 운전자가 입력 조작부(30)를 통하여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할 때까지의 동안, 혹은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대기 시간은, 제1 대기 시간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검색 처리부(140)는,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표시 장치(200)에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면서, 입력 조작부(30)를 통한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 조작을 접수한다. 그리고, 검색 처리부(140)는,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수정을 반영한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 장치(20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또한, 검색 처리부(140)는,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그 개시 조작의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한편, 검색 처리부(140)는,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검색 처리부(140)는, 인식 처리부(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파기한 후에, 인식 처리부(110)로부터의 새로운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한, 자동 검색 모드의 실행 시에 있어서,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이 정차하였을 때에는, 차량의 주행 상황의 변화가 주행 상황 판정부(120)로부터 검색 모드 설정부(130)로 입력된다. 그 결과, 검색 모드 설정부(130)는, 정보의 검색 모드에 관한 설정 내용을 자동 검색 모드로부터 수동 검색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검색 처리부(140)는, 검색 모드 설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검색 모드가 전환되었을 때에는, 제1 대기 시간의 카운트를 리셋하고, 제2 대기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그리고, 검색 처리부(140)는,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그 개시 조작의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한편, 검색 처리부(140)는,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하지 않는다. 이 경우, 검색 처리부(140)는, 인식 처리부(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파기한 후에, 인식 처리부(110)로부터의 새로운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한, 수동 검색 모드의 실행 시에 있어서,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의 주행이 개시되었을 때에는, 차량의 주행 상황의 변화가 주행 상황 판정부(120)로부터 검색 모드 설정부(130)로 입력된다. 그 결과, 검색 모드 설정부(130)는, 정보의 검색 모드에 관한 설정 내용을 수동 검색 모드로부터 자동 검색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검색 처리부(140)는, 검색 모드 설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검색 모드가 전환되었을 때에는, 제2 대기 시간의 카운트를 리셋하고, 제1 대기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그리고, 검색 처리부(140)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그 개시 조작의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한편, 검색 처리부(140)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해도,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그 후, 검색 처리부(140)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할 때에는, 인식 처리부(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검색용 키워드로서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 서버(300)에 송신한다. 한편, 외부 서버(300)는, 검색 처리부(140)로부터 검색용 키워드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그 수신한 키워드를 입력으로 하여 검색 엔진을 동작시켜 정보의 검색 결과를 취득한다. 또한, 외부 서버(300)는, 검색 엔진으로부터 취득한 검색 결과를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검색 처리부(140)에 송신한다. 그리고, 검색 처리부(14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검색 결과를 표시 장치(20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가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정보 검색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표시 장치(200)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표시 장치(200)가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표시 장치(200)의 표시 화면이 입력 조작부(30)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표시 장치(200)에 표시된 조작 버튼을 손가락으로 터치 조작함으로써 각종 조작이 행해진다.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우선 최초로, 정보의 검색을 행하기 위한 브라우저 화면(DP)을 표시 장치(20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음성 입력을 개시할 때 사용되는 입력 개시 버튼(B1)이 브라우저 화면(DP)에 있어서의 좌측 대각선 상방으로 되는 위치에 검색 박스(C1)와 가로 배열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입력 개시 버튼(B1)이 운전자에 의해 터치 조작되면, 브라우저 화면(DP)을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을 촉구하는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이어서,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운전자가 발화로 키워드를 입력하면, 입력된 키워드를 브라우저 화면(DP)의 검색 박스(C1)에 표시한다.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차량의 주행 위치의 주변에 있는 은행에 관한 문의를 나타내는 키워드가 브라우저 화면(DP)의 검색 박스(C1)에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는, 운전자가 발화로 키워드를 입력한 시점부터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 동안,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운전자가 발화로 입력한 키워드를 브라우저 화면(DP)의 검색 박스(C1)에 계속해서 표시한다. 그리고,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운전자가 발화로 키워드를 입력한 시점부터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한편,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차량이 정차 중일 때에는, 운전자가 발화로 키워드를 입력한 시점부터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 동안, 도 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운전자가 발화로 입력한 키워드를 브라우저 화면(DP)의 검색 박스(C1)에 계속해서 표시한다. 그리고,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정보 검색을 개시할 때 사용되는 검색 개시 버튼(B2)이 운전자에 의해 터치 조작되면,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또한,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정보 검색을 개시할 때 사용되는 검색 개시 버튼(B2)이 브라우저 화면(DP)에 있어서의 우측 대각선 하방으로 되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정보의 검색 결과를 외부 서버(300)로부터 취득하면, 그 취득한 검색 결과를 표시 장치(20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차량의 주행 위치로부터 보아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은행을 순서대로 배열하여, 차량의 주행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함께 일람 표시하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가 정보 검색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정보 검색 처리에 대하여, 그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설명한다. 또한,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도 3에 도시하는 정보 검색 처리를 소정의 주기로 실행한다.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마이크(10)를 통하여 음성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0). 그리고,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음성이 입력되었을 때에는(스텝 S10="예"), 입력된 음성을 인식 처리부(110)를 통하여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다(스텝 S11).
이어서,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차속 센서(20)로부터 취득한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지 여부를 주행 상황 판정부(120)를 통하여 판정한다(스텝 S12).
그리고,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차량이 주행 중이라고 판정하였을 때에는(스텝 S12="예"), 정보의 검색 모드로서 자동 검색 모드를 검색 모드 설정부(130)를 통하여 설정한다.
이어서,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검색 개시 버튼(B2)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검색 처리부(140)를 통하여 판정한다(스텝 S14). 그리고,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검색 개시 버튼(B2)이 조작되지 않았을 때(스텝 S14="아니오"),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는(스텝 S15="아니오"), 그 처리를 스텝 S12로 복귀시킨다.
한편,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검색 개시 버튼(B2)이 조작되었을 때에는(스텝 S14="예"), 그 처리를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또한,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검색 개시 버튼(B2)이 조작되지 않고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도(스텝 S15="예"), 그 처리를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또한,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앞서의 스텝 S12에 있어서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정하였을 때에는(스텝 S12="아니오"), 정보의 검색 모드로서 수동 검색 모드를 검색 모드 설정부(130)를 통하여 설정한다.
이어서,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검색 개시 버튼(B2)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검색 처리부(140)를 통하여 판정한다(스텝 S17). 그리고,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검색 개시 버튼(B2)이 조작되지 않았을 때(스텝 S17="아니오"),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는(스텝 S18="아니오"), 그 처리를 스텝 S12로 복귀시킨다.
한편,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검색 개시 버튼(B2)이 조작되었을 때에는(스텝 S17="예"), 그 처리를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또한,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검색 개시 버튼(B2)이 조작되지 않고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는(스텝 S18="예"), 앞서의 스텝 S11에 있어서 인식한 음성의 텍스트 데이터를 파기한다(스텝 S19). 그리고,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그 처리를 스텝 S10으로 복귀시키고, 마이크(10)를 통한 새로운 음성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어서, 스텝 S20에 있어서,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앞서의 스텝 S11에 있어서 인식한 음성의 텍스트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서, 정보의 검색을 검색 처리부(140)를 통하여 외부 서버(300)에 요구한다(스텝 S20).
그리고 이후,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정보의 검색 결과를 검색 처리부(140)를 통하여 취득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21). 그리고,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정보의 검색 결과를 취득하였을 때에는(스텝 S21="예"), 당해 취득한 정보의 검색 결과를 검색 처리부(140)로부터 표시 장치(200)로 출력하여 표시한 후에(스텝 S22), 도 3에 도시하는 정보 검색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는 정보의 검색 모드로서 자동 검색 모드가 설정되고, 차량이 정차 중일 때에는 정보의 검색 모드로서 수동 검색 모드가 설정된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는,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해도,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고 나서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즉,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는,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의 유무에 상관없이,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한다. 이것은,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고 나서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없었다고 해도, 단순히 운전자가 여유가 없었을 뿐이며, 입력된 음성의 내용이 운전자의 의도에 의거해 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졌을 때, 즉시 정보의 검색을 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즉, 차량이 주행 중이라도,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기 전의 시점에서, 입력된 음성의 내용을 운전자가 확인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운전자는, 입력된 음성의 내용이 운전자의 의도에 의거해 있지 않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 음성의 내용을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이 정차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는,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고 나서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한편, 도 4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고 나서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정보의 검색을 행하지 않는다. 즉, 차량이 정차 중이며, 차량의 운전자가 여유가 있다고 생각될 때에는,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있었을 때 한하여,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이것은, 차량의 운전자는, 운전자가 여유가 있는 상태이며,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없었을 때에는, 입력된 음성의 내용이 운전자의 의도에 의거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의 (e) 및 도 4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교차점에서의 차량의 정차 시 등,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기는 하였지만,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의 시점에서 차량이 정차하였을 때에는, 차량이 정차한 시점에서 제2 대기 시간의 카운트가 개시된다. 그리고, 도 4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정보의 검색을 행하지 않는다. 한편, 도 4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즉, 차량의 주행 상황이 주행 중으로부터 정차 중으로 전환되고, 차량의 운전자가 여유가 생겼다고 생각될 때에는,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있었을 때 한하여,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이것은, 운전자가 여유가 있는 상태에서는,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의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의 유무가 운전자의 의도를 적확하게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의 (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교차점에서의 차량의 발진 시 등, 차량이 정차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기는 하였지만,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의 시점에서 차량이 주행을 개시하였을 때에는, 차량이 주행을 개시한 시점에서 제1 대기 시간의 카운트가 개시된다. 그리고,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해도,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한다. 즉, 차량의 주행 상황이 정차 중으로부터 주행 중으로 전환되고, 차량의 운전자가 여유가 없어졌다고 생각될 때에는,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의 유무에 상관없이,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이것은, 운전자가 여유가 없는 상태에서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의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의 유무가 운전자의 의도를 적확하게 반영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할지 여부를 전환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운전 조작의 조작성과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양립할 수 있다.
(2) 차량의 속도가 비교적 빠를 때라도,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기 전의 시점에서, 입력된 음성의 내용을 운전자가 확인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확보된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의도에 따르지 않는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여 정보의 검색이 개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음성을 입력하고 나서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의 속도가 증대되는 경향을 갖고 차량의 주행 상황이 크게 변화할 때에는, 입력된 음성의 내용을 운전자가 확인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확보하면서도,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의 유무에 상관없이,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음성의 입력 후에 있어서의 차량의 주행 상황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차량의 운전 조작의 조작성과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적합하게 양립할 수 있다.
(4) 차량의 운전자가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할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을 입력하고 나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해도 운전자로부터 아무런 의사 표시가 없을 때에는, 인식된 음성의 데이터를 파기하고 새로운 음성을 입력할 기회를 확보한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의도를 따르는 형태로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5) 음성을 입력하고 나서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의 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갖고 차량의 주행 상황이 크게 변화할 때에는, 차량의 주행 상황이 변화한 시점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해도 운전자로부터 아무런 의사 표시가 없을 때에는, 인식된 음성의 데이터를 파기하고 새로운 음성을 입력할 기회를 확보한다. 이에 의해, 음성의 입력 후에 있어서의 차량의 주행 상황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운전자의 의도를 따르는 형태로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6) 차량의 주행 상황이 주행 중 및 정차 중 중 어느 것인지에 따라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할지 여부를 전환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운전 조작의 조작성과 음성 입력에 기초하는 정보 검색의 조작성을 한층 더 적합하게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은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기는 하였지만,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의 시점에서 차량이 정차하였을 때에는, 차량이 정차한 시점에서 제2 대기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하도록 하였다. 단, 차량이 정차한 시점에서 카운트를 개시하는 대기 시간은, 반드시 수동 검색 모드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과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수동 검색 모드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도 되고, 동일 대기 시간보다 짧아도 된다. 또한, 차량이 정차한 시점에서 제1 대기 시간의 카운트를 리셋하지 않고, 그 후에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입력된 음성의 텍스트 데이터를 파기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차량이 정차한 시점에서 입력된 음성의 텍스트 데이터를 즉시 파기하도록 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이 정차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기는 하였지만,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의 시점에서 차량이 주행을 개시하였을 때에는, 차량이 주행을 개시한 시점에서 제1 대기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하도록 하였다. 단, 차량이 주행을 개시한 시점에서 카운트를 개시하는 대기 시간은, 반드시 자동 검색 모드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과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자동 검색 모드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도 되고, 동일 대기 시간보다 짧아도 된다. 또한, 차량이 주행을 개시한 시점에서 제2 대기 시간의 카운트를 리셋하지 않고, 그 후에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차량이 주행을 개시한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즉시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대기 시간은, 제1 대기 시간보다 길게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단, 제2 대기 시간은 제1 대기 시간보다 짧게 설정되어도 되고, 이들 대기 시간이 공통이어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이 정차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는,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고 나서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입력된 음성의 텍스트 데이터를 파기하도록 하였다. 이 대신에, 차량이 정차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는,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상관없이, 운전자에 의해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대기하도록 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는,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해도, 음성의 입력이 행해지고 나서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도록 하였다. 이 대신에,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의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는,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설정하지 않고, 음성의 입력이 행해진 직후에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소정의 역치로서, 차량이 주행 중 및 정차 중 중 어느 것인지의 판정의 기준으로 되는 차량의 속도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단, 소정의 역치로서는, 운전자의 여유 정도의 지표로 되는 차량의 속도라면, 차량의 속도를 저속 영역과 고속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의 경계로 되는 차량의 속도여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으로서, 표시 장치(200)의 표시 화면 상에 있어서 검색 개시 버튼(B2)을 터치 조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단,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은, 반드시 물리적인 접촉을 수반하는 조작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운전자의 시선 이동을 화상 인식 처리에 의해 검지하거나, 운전자로부터의 음성 입력을 음성 인식 처리에 의해 검지하거나 함으로써 정보 검색의 개시 조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9)

  1. 차량에 탑재되고,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정보의 검색을 행하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이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인식 처리부(110)와,
    상기 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행하는 검색 처리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검색 처리부는,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상기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한편,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입력 조작부(30)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정보의 검색을 개시하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부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이상일 때, 음성의 입력 후에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는 상기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부는, 음성의 입력 후에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의 값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역치 이상의 값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차량의 속도가 전환된 시점부터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부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일 때, 음성의 입력 후에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데이터를 파기하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부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일 때, 음성의 입력 후에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는 상기 정보의 검색을 개시하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부는, 음성의 입력 후에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이상의 값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의 값으로 전환된 경우이며, 차량의 속도가 전환된 시점부터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데이터를 파기하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부는, 음성의 입력 후에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이상의 값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의 값으로 전환된 경우이며, 차량의 속도가 전환된 시점부터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는 상기 정보의 검색을 개시하는,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역치는, 차량의 주행 상황이 주행 중 및 정차 중 중 어느 것인지에 대한 판정의 기준으로 되는 차량의 속도인,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9.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이며,
    해당 정보 검색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차량에 탑재된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처리와, 상기 음성 인식 처리에 의해 인식된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는 정보의 검색을 행하는 검색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검색 처리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상기 정보의 검색을 자동적으로 개시시키는 한편, 차량의 속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 미만일 때에는, 음성의 입력 후에 입력 조작부를 통하여 개시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정보의 검색을 개시시키는,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80010487A 2017-02-01 2018-01-29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및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1900444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6625 2017-02-01
JP2017016625A JP2018124805A (ja) 2017-02-01 2017-02-01 車載情報端末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473A true KR20190044473A (ko) 2019-04-30

Family

ID=6284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487A KR20190044473A (ko) 2017-02-01 2018-01-29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및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18047A1 (ko)
JP (1) JP2018124805A (ko)
KR (1) KR20190044473A (ko)
CN (1) CN108376057A (ko)
DE (1) DE102018101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4028B1 (ja) 2018-06-29 2019-09-11 株式会社片岡製作所 細胞処理装置および細胞のレーザ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4089B2 (ja) * 1997-11-06 2003-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181342B2 (en) * 2002-03-15 2007-02-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ehicular navigation device
JP2004265217A (ja) 2003-03-03 2004-09-24 Nec Corp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移動通信端末とその端末を利用したキーワード検索方法
JP4330924B2 (ja) * 2003-05-14 2009-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対話型情報検索システム
JP5217838B2 (ja) * 2008-09-24 2013-06-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の操作装置及び車載機器の操作方法
JP5463922B2 (ja) * 2010-01-12 2014-04-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
US20130096771A1 (en) * 2011-10-12 2013-04-1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presentation of media to users of a vehicle
CN103226548A (zh) * 2012-01-30 2013-07-31 北京四维图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互联网地图的搜索服务方法、装置和系统
DE212014000045U1 (de) * 2013-02-07 2015-09-24 Apple Inc. Sprach-Trigger für einen digitalen Assistenten
JP6011584B2 (ja) * 2014-07-08 2016-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音声認識装置及び音声認識システム
US10152969B2 (en) * 2016-07-15 2018-12-11 Sonos, Inc. Voice detection by multip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01567A1 (de) 2018-08-02
US20180218047A1 (en) 2018-08-02
CN108376057A (zh) 2018-08-07
JP2018124805A (ja)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02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76663B2 (en) Electronic device, gesture processing method and gesture processing program
US20110165551A1 (en) Device and system for assisting in using equipment
EP3540729B1 (en) Reducing latency caused by switching input modalities
JP2011145748A (ja) 車載機
JP5677650B2 (ja) 音声認識装置
US201501863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5153325A (ja) 情報処理装置、操作支援方法及び操作支援プログラム
KR20190044473A (ko) 차량 탑재 정보 단말기 및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US11164578B2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voice recogni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08959647A (zh) 一种汽车帮助信息的查询方法、装置、控制器及汽车
US9128517B2 (en) Vehicular terminal with input switching
US93618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3640937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103978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6045501A1 (zh) 搜索方法及装置
JP2006208461A (ja) 音声認識型機器制御装置
EP3070616A1 (en) Search result evaluation system, navigation system, and search result evaluation method
JP3624698B2 (ja) 音声認識装置、その装置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自動販売システム
CN105955698B (zh) 一种语音操控方法及装置
JP2019046371A (ja) 交通標識を認識する車両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5102805A (ja) 音声認識システム、電子装置、サーバー、音声認識方法およ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JP5785478B2 (ja) 車載機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画像割り込み表示方法
KR20150061807A (ko) 수동 조작에 기반한 음성인식 명령어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753997B1 (ko) 동작 인식을 이용한 음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