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905A -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 Google Patents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905A
KR20190043905A KR1020170135989A KR20170135989A KR20190043905A KR 20190043905 A KR20190043905 A KR 20190043905A KR 1020170135989 A KR1020170135989 A KR 1020170135989A KR 20170135989 A KR20170135989 A KR 20170135989A KR 20190043905 A KR20190043905 A KR 20190043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in
room unit
ceiling
h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190B1 (ko
Inventor
최린
김영민
남병수
최초롱
한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1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4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living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of elongated shape, e.g. between ceiling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Y02T70/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닛 캐빈의 입고에 따른 운반 및 설치 시에는 유닛 캐빈의 천장 내부로 리세스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유닛 캐빈의 재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유닛 캐빈의 입고 시 데크의 높이 증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조화설비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선박 거주구의 유닛 캐빈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유닛 캐빈의 천장에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는 룸 유닛과, 상기 설치공 상에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룸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룸 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해치를 포함하며, 상기 룸 유닛은 상기 해치를 통해 필요에 따라 상기 유닛 캐빈의 천장 외부로 배치되거나 상기 유닛 캐빈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는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RECESS TYPE AIR CONDITIONING EQUIPMENT}
본 발명은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유닛 캐빈의 입고에 따른 운반 및 설치 시에는 유닛 캐빈의 천장 내부로 리세스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유닛 캐빈의 재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유닛 캐빈의 입고 시 데크의 높이 증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닛 캐빈은 공조설비가 탑재된 상태에서 선박 거주구에 설치되기 위한 야드 입고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처럼 공조설비가 탑재된 후 설치 지점까지 이동하게 되는 유닛 캐빈의 경우, 천장 패널 상부로 튀어나온 공조설비로 인해 선체 의장품간의 간섭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에 따라 유닛 캐빈으로부터 돌출된 공조설비가 선체 의장품과의 간섭으로 인해 파손될 경우, 공조설비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유닛 캐빈 내의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유닛 캐빈의 취외 후 재설치, 재검사 과정이 요구됐을 뿐만 아니라 돌출된 공조설비에 의해 데크 높이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유닛 캐빈의 공조설비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선박 거주구용 공조설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닛 캐빈의 입고에 따른 운반 및 설치 시에는 유닛 캐빈의 천장 내부로 리세스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유닛 캐빈의 재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유닛 캐빈의 입고 시 데크의 높이 증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는, 공기조화설비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선박 거주구의 유닛 캐빈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유닛 캐빈의 천장에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는 룸 유닛; 및 상기 설치공 상에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룸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룸 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해치를 포함하며, 상기 룸 유닛은, 상기 해치를 통해 필요에 따라 상기 유닛 캐빈의 천장 외부로 배치되거나 상기 유닛 캐빈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해치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치는, 상기 설치공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레일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해치의 수직이동 시 상기 레일의 홈에 삽입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룸 유닛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해치는, 상기 룸 유닛의 하강 시 이동량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룸 유닛이 상기 유닛 캐빈의 천장 내부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해치는, 상기 룸 유닛의 상승 시 상기 룸 유닛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룸 유닛이 상기 유닛 캐빈의 천장 외부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로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유닛 캐빈의 입고에 따른 운반 및 설치 시에는 유닛 캐빈의 천장 내부로 리세스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데크에 설치된 의장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조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닛 캐빈의 입고에 따른 데크의 높이 증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닛 캐빈의 재설치, 재검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유닛 캐빈이 선박 거주구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유닛 캐빈의 탑재 전 입고 과정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치의 레일 및 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치의 로커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유닛 캐빈이 선박 거주구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2는 야드 입고과정을 거쳐 유닛 캐빈(10)이 선박 거주구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100)는 룸 유닛(110) 및 해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룸 유닛(110)은 공기조화설비(실내의 난방, 환기, 냉방, 공기조절 등을 담당하는 설비)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선박 거주구의 유닛 캐빈(10)에 공급하기 위해, 유닛 캐빈(10)의 천장(12)에 형성된 설치공(H)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룸 유닛(110)은 유닛 캐빈(10)이 입고 과정을 거쳐 선박 거주구 단지에 설치되게 되면, 공기조화설비와 연결된 덕트(D)와 연결되어 공기를 유닛 캐빈(10)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룸 유닛(110)의 일측에는 덕트(D)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된 유입구(112)가 구비됨으로써, 덕트(D)를 통해 공기조화설비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닛 캐빈(10)의 내부를 향해 있는 룸 유닛(110)의 하부에는 디퓨저(114)가 장착되어, 덕트(D)를 통해 공기조화설비로부터 제공받은 공기를 유닛 캐빈(10)의 내부를 향해 흘려 보낼 수 있다.
이때 디퓨저(114)가 장착된 룸 유닛(110)의 하부에는 유닛 캐빈(10)의 천장(12)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커버(12a)가 마련되어, 룸 유닛(110)이 유닛 캐빈(10)에 설치되었을 때 일체감을 조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룸 유닛(110)의 경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팬(fan)을 비롯한 블로워 등이 내부에 비치되어, 덕트(D)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디퓨저(1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해치(120)는 유닛 캐빈(10)의 천장(12)에 형성된 설치공(H) 상에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룸 유닛(110)이 장착된 상태에서 룸 유닛(110)을 유닛 캐빈(10)의 천장(12)을 기준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해치(120)는 도 2와 같이 내부에 룸 유닛(110)이 장착되도록 마련된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룸 유닛(110)이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룸 유닛(110)은 브래킷(B)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해치(1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브래킷(B)뿐만 아니라 나사 및 볼트 결합을 통해 해치(120)에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는 룸 유닛(110)을 유닛 캐빈(10)의 천장(12)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해치(120)를 통하여, 룸 유닛(110)이 필요에 따라 유닛 캐빈(10)의 천장(12) 외부로 배치되거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캐빈(10)이 선박 거주구에 설치되기 위한 야드 입고 과정에서 룸 유닛(110)이 유닛 캐빈(10)의 천장(12)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4는 유닛 캐빈(10)의 선박 거주구 탑재 전 야드 입고 과정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100)는 유닛 캐빈(10)의 입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룸 유닛(110)과 선체 의장품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공조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된 공조설비를 감안하여 선체 데크의 높이가 상승될 필요가 없어 선체 데크의 설계 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해치(120)는 수직이동을 통한 룸 유닛(110)의 하강 시 룸 유닛(110)의 이동량을 제한함으로써, 룸 유닛(110)이 유닛 캐빈(10)의 천장(12) 내부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스토퍼(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24)는 설치공(H)이 형성된 유닛 캐빈(10)의 천장(12) 상부에 구비되되, 설치공(H)의 둘레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124)는 해치(120)의 상부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125)이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되어, 해치(120)의 수직이동에 따른 룸 유닛(110)의 하강 시 상기 걸림턱(125)에 걸려 고정시킴으로써 룸 유닛(110)의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해치(120)는 설치공(H) 상에서 수직이동 시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레일(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122)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해치(120)의 측면을 따라 각각 결합되되, 룸 유닛(110)의 측면의 각 모서리에 해당하는 지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해치(120)는 앞서 언급한 레일(122)의 홈에 삽입되어 룸 유닛(110)의 상승 또는 하강 방향을 안내하는 롤러(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롤러(126)는 천장(12)에 형성된 설치공(H)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레일(12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해치(120)의 수직이동 시 레일(122)의 홈에 삽입되어 회전됨으로써 룸 유닛(11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126)의 경우 앞서 설명하였던 스토퍼(124) 상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어, 롤러(126)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요구치 않을 수 있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120)는 유닛 캐빈(10)이 선박 거주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덕트(D)와 연결을 위해 천장(12) 외부로 상승 배치된 상태(도 1 참조)에서 룸 유닛(10)을 고정하는 로커(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커(128)는 해치(120)를 통해 룸 유닛(110)이 유닛 캐빈(10)의 천장 외부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이를 위해 몸체(128a), 고정바(128b) 및 작동버튼(128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128a)의 경우 룸 유닛(110)의 하부에 마련된 커버(12a)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바(128b)는 몸체(128a)로부터 필요에 따라 튀어나와 커버(12a)에 인접한 유닛 캐빈(10)의 천장(12)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버튼(128c)은 몸체(128a)와 같이 커버(12a) 상에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고정바(128b)를 몸체(128a)의 내부로 수납시켜 룸 유닛(11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거나, 룸 유닛(110)이 상승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바(128b)를 돌출시켜 룸 유닛(110)을 고정시키는 작동을 수행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로커(128)의 구성의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로커(128)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므로, 해당 구성이 아니더라도 룸 유닛(11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로커(128)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는 유닛 캐빈(10)의 입고 시 유닛 캐빈(10)의 천장(12) 내부로 수용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데크에 설치된 의장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조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닛 캐빈의 입고에 따른 데크의 높이 증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닛 캐빈의 재설치, 재검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110: 룸 유닛
120: 해치
122: 레일
124: 스토퍼
125: 걸림턱
126: 롤러
128: 로커

Claims (5)

  1. 공기조화설비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선박 거주구의 유닛 캐빈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유닛 캐빈의 천장에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는 룸 유닛; 및
    상기 설치공 상에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룸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룸 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해치를 포함하며,
    상기 룸 유닛은,
    상기 해치를 통해 필요에 따라 상기 유닛 캐빈의 천장 외부로 배치되거나 상기 유닛 캐빈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는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해치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레일을 포함하는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는,
    상기 설치공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레일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해치의 수직이동 시 상기 레일의 홈에 삽입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룸 유닛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는,
    상기 룸 유닛의 하강 시 이동량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룸 유닛이 상기 유닛 캐빈의 천장 내부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는,
    상기 룸 유닛의 상승 시 상기 룸 유닛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룸 유닛이 상기 유닛 캐빈의 천장 외부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로커를 더 포함하는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KR1020170135989A 2017-10-19 2017-10-19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KR101985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89A KR101985190B1 (ko) 2017-10-19 2017-10-19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89A KR101985190B1 (ko) 2017-10-19 2017-10-19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905A true KR20190043905A (ko) 2019-04-29
KR101985190B1 KR101985190B1 (ko) 2019-06-03

Family

ID=6628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989A KR101985190B1 (ko) 2017-10-19 2017-10-19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0453A (zh) * 2021-06-28 2021-08-20 杭州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电梯轿厢的多功能空气循环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577U (ko) * 2010-11-15 2012-05-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실 천장의 정비용 해치
KR20150076520A (ko) * 2013-12-27 2015-07-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유닛 캐빈 디퓨저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577U (ko) * 2010-11-15 2012-05-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실 천장의 정비용 해치
KR20150076520A (ko) * 2013-12-27 2015-07-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유닛 캐빈 디퓨저 설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0453A (zh) * 2021-06-28 2021-08-20 杭州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电梯轿厢的多功能空气循环系统
CN113280453B (zh) * 2021-06-28 2022-05-20 杭州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电梯轿厢的多功能空气循环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190B1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0666B2 (en) Shower door guide assembly
KR101985190B1 (ko) 리세스 타입 공조설비
EP2832674B1 (en) Monitor system for elevator doors
JP5435982B2 (ja) 空調設備の設置構造及び空調機の設置方法
KR20170143312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728097B1 (ko) 블라인드패널 일체형 조명기구
RU167726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силового, управляющего и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го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я верхнего силового привода буровой установки
KR20150004021A (ko) 선박 거주구용 공조시스템의 덕트구조
KR101929289B1 (ko) 엘이디앳지조명패키지 보호구조
JP2009215009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の天井意匠改良方法
CN106522549B (zh) 定型化装配式门禁系统
CN105186296A (zh) 一种改进型配电箱
CN208538060U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计算机网络设备箱
CN103176567A (zh) 风扇固定架
JP2010168769A (ja) ラック間通路遮へい構造
KR102593018B1 (ko) 엔드캡을 구비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JP2986293B2 (ja) 可搬形交換設備および収容箱
JP2008037596A (ja) エレベータ用空調装置のスイッチ構造
AU2016201016B2 (en) Filter support for indoor unit,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200056730A (ko) 공기정화시스템
CN202651658U (zh) 用于固定开关柜的安装结构
CN220321247U (zh) 物联网智能楼宇亮化控制器
JP2014127673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ラック
JP4360435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200352245Y1 (ko) 실내 마감패널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