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279A - 수술용 다이섹터 - Google Patents
수술용 다이섹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3279A KR20190043279A KR1020170135109A KR20170135109A KR20190043279A KR 20190043279 A KR20190043279 A KR 20190043279A KR 1020170135109 A KR1020170135109 A KR 1020170135109A KR 20170135109 A KR20170135109 A KR 20170135109A KR 20190043279 A KR20190043279 A KR 201900432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gical
- present
- die
- die sector
- suction ho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2316 cosmetic surg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2976 pectoralis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2224 diss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976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299 exfol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6010006242 Breast enlarge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6 au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74 bi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55 blood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798 dela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62 pectoralis majo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 A61M1/0039—
-
- A61M1/0086—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6—Hand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6—Breast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다이섹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과 수술과정에서 근육 등을 박리하는데 사용되는 다이섹터(dissector)의 구성을 굴곡진 형태로 구부려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롭게 구성하여, 내시경적인 수술과정에서 박리를 편리하고 정교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닿지 않는 굴곡진 신체부위에 대한 수술과정에서도 손쉽게 절개부위를 안전하고 정교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술용 다이섹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는 특히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에서 가슴 근육 등을 박리 또는 절개하는데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는 특히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에서 가슴 근육 등을 박리 또는 절개하는데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술용 다이섹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과 수술과정에서 근육 등을 박리하는데 사용되는 다이섹터(dissector)의 구성을 굴곡진 형태로 구부려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롭게 구성하여, 내시경적인 수술과정에서 박리를 편리하고 정교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닿지 않거나 직선형 다이섹터의 경우 팁이 닿기 어려운 굴곡진 신체부위에 대한 수술과정에서도 손쉽게 절개부위를 안전하고 정교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술용 다이섹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병원에서 외과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절개부분의 근육을 박리하여 그 절개부위에 손가락을 넣어 박리하거나 다이섹터를 이용하여 박리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유방에 보형물을 삽입하는 유방성형수술의 경우에는 겨드랑이나 유륜 부분을 절개하고 박리하여 그 박리부분에 보형물을 삽입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경우 다이섹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이섹터는 손가락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 박리하기 위해 주로 적용되는데, 예컨대 가슴 성형 부위의 보형물 삽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이섹터를 이용하여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이나 가슴 중앙 부위까지 박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때 박리를 위한 다이섹터를 깊숙하게 넣어 박리를 시행한 다음에 보형물을 삽입하여야 한다.
기존의 수술용 다이섹터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서 보면, 다이섹터의 몸체(1)는 막대형 구조를 가지며, 그 몸체(1)의 하단에는 손가락을 말아서 쥘 수 있는 손잡이부(2)를 가지며, 그 반대편 방향에는 절개를 위한 머리부(3)를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몸체(1)와 머리부(3) 사이의 목부(4)에는 몸체(1)와 일체화된 흡입 유로를 가지면서 절개과정에서 발생하는 액상 이물이나 잔여물 등을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석션이 가능한 흡입구(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몸체(1)는 전도성 금속소재에 열수축성 합성수지 튜브가 도포되어 있으며, 몸체(1)의 일측을 따라 합성수지 내부에 석션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1)의 선단 주변에 위치하는 흡입구(5)를 통해 석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다이섹터는 이러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것들이 제안되어 있는데, 한국특허등록 제10-0828135호에서는 머리부분이 스푼형으로 이루어진 내시경을 위한 생체 조직 박리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8068호에서는 수술용 박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검지를 제외한 손가락을 말아 쥘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일단이 평행 및 수직이 아닌 각도로 접하며, 타단이 둥글게 마감된 박리부와, 상기 박리부의 중앙에 위치하여 손잡이부를 쥐고 있는 수술자의 검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박리부가 수술자의 손가락 끝에서 연장되어 손가락만으로는 박리할 수 없는 부분까지도 정확하고, 정밀하게 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외형의 전체를 곡면으로 하여 인체의 피부나 장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전기적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단순한 수술용 도구로서 전기적 수단이 구비된 다이섹터와는 다른 종류의 기구이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머리구조를 가지는 다이섹터가 다수 제안되어 있고, 일부는 가위형태의 다이섹터도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다이섹터는 몸체가 금속재로서 임의로 구부려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특히 머리부의 구조가 둥글거나 날카로운 걸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절개작업 과정에서 조금만 부주의를 하더라도 절개부위에서 안정한 절개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욱이, 유방성형수술 과정에서 보형물이 들어갈 포켓을 만들 때 가슴 내측부에 붙어있는 대흉근의 기시부의 정교한 박리가 필요한데, 신체 구조상 가슴의 갈비뼈가 이루는 굴곡으로 인해 가슴 내측부위에 붙어있는 대흉근까지 정확하게 박리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박리부위의 손상 없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심각한 수술 부작용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수술용 다이섹터의 구조를 새롭게 구성하여 신체의 구조와 상관없이 사용이 편리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절개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박리부위의 손상이 없고 수술 신뢰도와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용 다이섹터의 구조를 새롭게 구성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박리부위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박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술용 다이섹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술용 다이섹터의 몸체가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절곡 가능하고, 절개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몸체 선단의 머리부가 다각형 고리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수술용 다이섹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이섹터의 몸체는 막대형 구조로 형성되고, 그 몸체의 하단에는 손가락을 말아서 쥘 수 있는 손잡이부를 가지며, 그 반대편 방향에는 절개를 위한 머리부를 가지는 수술용 다이섹터로서, 상기 몸체는 굽힘성을 가지는 유연성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머리부는 다각형의 고리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다이섹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는 그 몸체가 굽힘성을 가지는 유연성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외과 수술과정에서 내시경적인 수술과정에서 근육 등을 박리하는데 정교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술용 다이섹터는 기존 제품과는 달리 몸체가 유연성이 있어서 임의의 각도로 다이섹터의 몸체를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닿지 않는 굴곡진 신체부위에 대한 수술과정에서도 수술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절개부위를 안전하게 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는 그 몸체의 선단부의 머리부분이 다각형의 고리모양을 하고 있어서 다각 형상으로 인해 절개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머리부분이 고리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기존의 스푼 모양과 같이 막힌 구조로 인해 절개부위의 시야가 부분적으로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없으므로 미세한 부분까지 정교하고 실수 없는 절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절개 과정이 용이하고 정확한 수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내시경을 이용 다이섹터로 박리할 때 출혈을 줄이는 기전은 다이섹터의 머리부분을 혈관벽에 접촉시켜서 혈관에 순간적 전기적 고열을 가하여 혈관 내에 혈액의 순간적 응고를 유도하고, 이어서 혈관벽을 절개함으로써 출혈을 방지하는 원리이다. 그런데 기존의 다이섹터 팁이 ㄱ자형인 경우 전기적 고열로 혈관 내 혈액이 응고되기도 전에 날카로운 ㄱ자형 머리부문이 혈관벽을 파손시켜 출혈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일단 혈액이 쏟아져 나와 주위 연부조직을 적시면 방전으로 인하여 제대로 순간적 혈액응고를 유도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지혈을 위해 장시간 조직을 태우면서 화상손상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기존의 다이섹터의 머리부가 걸고리형(ㄱ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지혈은 용이하나 절개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도 다각형상의 머리부로 구성함으로써, 날카롭지 않으면서도 다각형 모서리를 이용한 절개효과로 인해 절개부위에서 주위조직이나 장기의 손상 없이 안전한 수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 뭉툭한 머리부의 경우 정밀하고 신속한 절개가 어려운 문제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술용 다이섹터는 수술과정에서 석션을 위해 몸체에 일체화로 구성되었던 석션호스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석션호스를 수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석션호스의 내부가 오염되고 세척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수시로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위생적인 수술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술용 다이섹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몸체 부분을 임의의 각도로 구부려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몸체 부분에 대한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를 일부 구부려서 굴곡진 인체부위의 근육 절개를 위한 수술부위에 적용하는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 부위의 사진으로서, 반드시 근육의 박리가 필요한 부분 중에서 직선형 다이섹터 머리부가 잘 닿지 않아 박리가 어려운 가슴의 중앙부위를 빗금으로 표시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빗금친 가슴 중앙부위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몸체를 구부려 사용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적용 예시 사진이다.
도 7a는 기존과 같이 수술용 다이섹터가 구부려지지 않은 직선형 상태에서 대흉근 부분에서 다이섹션의 머리부가 근육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수술용 다이섹터가 구부려진 상태에서 대흉근 부분에서 다이섹션의 머리부가 근육의 박리부위에 정확히 닿아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구성예들을 나타낸 시제품 사진으로서, 상부 사진은 다이섹터의 앞부분만 일부 구부려질 수 있는 유연성 구조물로 구성된 경우이고, 하부사진은 앞부분과 뒷부분은 유연성 구조물로 구성되고 그 중간부분은 직선을 유지하는 비유연성 구조물로 구성된 경우의 제품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를 구부린 상태로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에 적용하는 경우를 관념적으로 예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몸체 부분을 임의의 각도로 구부려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몸체 부분에 대한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를 일부 구부려서 굴곡진 인체부위의 근육 절개를 위한 수술부위에 적용하는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 부위의 사진으로서, 반드시 근육의 박리가 필요한 부분 중에서 직선형 다이섹터 머리부가 잘 닿지 않아 박리가 어려운 가슴의 중앙부위를 빗금으로 표시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빗금친 가슴 중앙부위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몸체를 구부려 사용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적용 예시 사진이다.
도 7a는 기존과 같이 수술용 다이섹터가 구부려지지 않은 직선형 상태에서 대흉근 부분에서 다이섹션의 머리부가 근육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수술용 다이섹터가 구부려진 상태에서 대흉근 부분에서 다이섹션의 머리부가 근육의 박리부위에 정확히 닿아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구성예들을 나타낸 시제품 사진으로서, 상부 사진은 다이섹터의 앞부분만 일부 구부려질 수 있는 유연성 구조물로 구성된 경우이고, 하부사진은 앞부분과 뒷부분은 유연성 구조물로 구성되고 그 중간부분은 직선을 유지하는 비유연성 구조물로 구성된 경우의 제품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를 구부린 상태로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에 적용하는 경우를 관념적으로 예시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외과 수술과정에서 근육 등을 박리하는데 사용되는 다이섹터의 몸체가 구부려질 수 있도록 하고 머리부를 새롭게 구성함으로써, 굴곡진 신체부위에 대해서도 절개작업이 편리하고, 절개부위의 손상 없이 안전하고 정교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술용 다이섹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술용 다이섹터는 기존의 다이섹터와는 다른 몸체 구조와 새로운 형태의 머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바람직한 구조는 도 2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2는 유연한 몸체를 임의로 구부려 놓은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섹터는 몸체(10)가 막대형 구조를 가지며, 그 몸체(10)의 하단에는 손가락을 말아서 쥘 수 있는 손잡이부(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편 방향의 몸체(10)의 선단에는 절개를 위한 머리부(30)를 가지는 수술용 다이섹터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20)는 몸체(10)보다는 굵기가 굵은 형태를 가지며, 손잡이부(20)의 상부에는 돌기부(21)를 형성하여 우측 엄지 손가락 끝으로 돌기부(21)를 이용하여 몸체(10)를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머리부(30)의 미묘한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섬세한 근육박리나 지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섹터의 몸체(10)는 바람직하게도 굽힘성을 가지는 유연성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굽힘성을 가진다는 것은 예컨대 자바라 구조와 같이 임의로 강제의 힘을 주어 구부려 질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술을 위한 절개 작업 과정에서 몸체(10)에 힘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임의로 휘는 것이 아니라, 절개작업 중에는 휘거나 구부려지지 아니하고 수술 전이나 과정 중에 몸체(10)를 임의의 각도로 휘고자 하는 경우 손에 힘을 주어 강제하여야만 비로소 임의의 정도로 몸체(10)를 휠 수 있는 정도의 굽혀질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절개작업 중에 몸체(10)의 굴곡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는 유연관(flexible tube) (11) 내부에 전도성 금속막대(12)가 내장되고, 상기 유연관(11)의 외부는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피복소재가 피복된 외피(13)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피(13)는 유연관(11)의 표면 요철부위 등에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의 외피(13)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수축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열수축 튜브는 내열성 절연 수지로서 예컨대 불소수지(예: PTEF, PFA, FE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막대(12)는 기존의 제품과 마찬가지로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0)의 손잡이(20)와 반대쪽 선단부에 위치하는 머리부(30)와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금속막대(12)는 전기전도성이 좋으면서도 부식되지 않고 변질이 없는 금속소재로서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스텐레스스틸 등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연관(11)의 내부에서 몸체를 구부리는 경우 강제로 휘어질 수 있는 정도의 휨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를 강제로 구부리는 경우 유연관(11)의 내부에서 금속막대(12)도 동시에 구부려짐으로써 다이섹터 사용 시 몸체(10)를 임의의 각도로 구부려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금속막대(12)는 몸체(10) 내부로부터 하단의 손잡이(20)를 관통하여 외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10)의 일측 선단에는 머리부(30)가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머리부(30)는 바람직하게도 다각형의 고리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다각형의 머리부(30)는 좋기로는 6각형 또는 5각형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6각형의 구조를 가지는 고리모양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각형 고리모양의 머리부(30)는 절개가 이행되는 과정에서 인체의 절개부위에 직접 닿아서 근육 등 절개하고자 하는 인체 부위를 전기를 이용하여 절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각형 머리부(30)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면서 몸체(10)를 관통하는 금속막대(12)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금속막대(12)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머리부(30)는 상부가 좁아진 상협하광의 6각형 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머리부(30)의 구조는 다각형의 고리모양을 하고 있어서 다각 형상으로 각이진 부분으로 인해 절개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특히 고리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기존의 스푼 모양과 같이 막힌 구조로 인해 절개부위의 시야가 부분적으로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술을 위한 절개 과정에서 절개부분의 미세한 부분까지 관찰할 수 있고, 절개의 상태도 확인할 수 있어서, 정교하고 실수가 없는 절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절개나 박리 과정이 용이하고 정확한 수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머리부분이 걸고리형으로 되어 있어서 날카롭거나 둥근 형상으로 인해 절개가 예리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바람직하게도 머리부(30)가 다각형을 이루고 있어서, 형상이 날카롭지 않으면서도 다각형 모서리를 이용한 절개효과로 인해 절개가 용이하고 절개부위에서 인체의 피부나 장기의 손상이 없이 안전한 수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머리부(30)는 지나치게 둥글거나 뭉툭하지 않아서 적절하게 예리한 정도의 절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밀하고 신속한 절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머리부(30)와 몸체(10)가 연결되는 목부(40)는 머리부와 몸체가 일체화되도록 연결되면서 외부에서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외피(13) 소재로 잘 감싸진 구조로 마무리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다이섹터의 경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섹터의 몸체(1) 내부에 석션을 위한 흡입관이 형성되어 있고, 머리부(3)에 인접한 몸체(1)의 목부(4)에 석션을 위한 흡입구(5)가 형성된 일체형 구조를 가지지만, 본 발명의 다이섹터는 이러한 구조를 반드시 가지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예컨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일체화된 석션호스(50)를 내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석션호스(50)를 상기 몸체(10)에 일체화된 형태로 내장할 수도 있지만 내장하지 아니하고 바람직하게는 외부에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도 2에서와 같이 몸체(10)의 외부에 석션호스(50)을 끼울 수 있는 다수의 석션호스 결합고리(51)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절개과정에서 수술부위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석션을 시행하기 위해 별도의 석션호스(50)를 석션호스 결합고리(51)에 끼우고 석션호스(50)의 선단인 흡입구(52)를 머리부(30)에 인접한 목부(40) 근처에 위치시켜서 결합할 수 있어서, 몸체(10)의 외부에서 결합된 석션호스(50)을 이용하여 절개과정에서 발생하는 액상 이물이나 잔여물 등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석션호스(50)를 몸체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석션호스 결합고리(51)를 몸체(10)의 외피(13)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른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외피(13)에 일체화된 형태의 석션호스 결합고리(51)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별도의 탄성 소재 또는 접착소재를 이용하여 몸체(10)와 석션호스(50)를 일정 간격으로 묶는 형태로 일체화되도록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을 위한 탄성소재 또는 접착소재는 예컨대 접착 테이프 형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석션호스(50)를 사용할 때마다 새것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몸체(10) 내부에 석션호스가 내장된 형태가 아니라 몸체(10)의 외부에서 수시로 끼우거나 결합하였다가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일회용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다이섹터 사용시에 석션을 위해 몸체(10)에 일체화로 구성되었던 석션호스(50)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석션호스(50)를 수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석션호스(50)의 내부가 쉽게 오염되고 이를 세척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설령 세척을 한다고 하더라도 제대로 세척되지 않아서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션호스(50)를 수시로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항상 위생적인 수술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이섹터는 통상적으로 몸체의 직경은 5-8mm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머리부는 0.5-2mm 정도의 직경인 것이 절개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머리부는 다각형상으로 구부려 제작하고, 이를 모아서 목부에서 금속막대와 예컨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하여 몸체와 일체화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금속막대는 예컨대 2-5mm의 직경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각 구조물의 굵기는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한 한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굵으면 수술하기 위해 절개하는 작업공간의 확보가 어렵거나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너무 가늘면 쉽게 휘어지거나 불량이 발생하여 작업이 어려워지거나 부러질 우려가 있고, 특히 머리부가 너무 가는 경우는 절개작업이 너무 예민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상기 예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굵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는 그 몸체가 일정 강도의 굽힘성을 가지는 유연성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과 수술과정에서 내시경적인 수술과정에서 근육 등을 박리하는데 정교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2는 이렇게 본 발명의 다이섹터의 유연성 있는 몸체를 임의의 각도로 구부려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는 특히 유방성형수술에서 가슴 근육 등을 박리 또는 절개하는데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섹터의 몸체를 구부려서 가슴의 중앙부까지 깊이 넣어서 근육 등의 절개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직선형 다이섹터로는 제대로 된 절개작업이 곤란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술용 다이섹터는 기존 제품과는 달리 몸체가 유연성이 있어서, 인체 가슴부위의 몸통에 있는 갈비뼈 중앙부와 같은 인체의 둥근 형태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각도로 다이섹터의 몸체를 구부려서 절개작업을 수행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는 손가락이 닿지 않는 굴곡진 다양한 신체부위에 대한 수술과정에서도 수술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절개부위를 안전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는 그 몸체의 선단부의 머리부분이 기존과는 달리 다각형의 고리모양을 하고 있어서 다각 형상을 이용하여 미세하고 정교한 형태로 절개가 가능하므로 절개부위의 손상 없이 절개가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머리부분이 고리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절개부위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효율적인 절개가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섹터는 석션을 위한 석션호스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석션호스를 수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석션호스의 내부가 오염되고 세척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세척하지 않고 수시로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석션으로 인한 오염이 방지되므로 항상 위생적인 수술환경을 유지하면서 사용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실제 사용방법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의 경우 반드시 근육의 박리가 필요한 부분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가 구부려진 상태로 사용되어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부위를 나타낸 사진이다.
여기서는 가슴확대가 필요한 가슴의 중앙부위인 빗금친 부분에 대한 근육 박리를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섹터를 구부려진 형태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빗금친 가슴 중앙 부위에 대하여 수술용 다이섹터를 구부려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적용방법의 예시 사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다이섹터를 구부려 사용하는 경우 가슴의 중앙부위에 대하여 다이섹터의 머리부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7a와 7b는 각각 수술용 다이섹터가 구부려지지 않은 직선형 상태에서 대흉근 부분에서 다이섹션의 머리부가 근육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7a)과 수술용 다이섹터가 구부려진 상태에서 대흉근 부분에서 다이섹션의 머리부가 근육에 정확히 닿아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7b)이다.
도 7a에서 보면, 다이섹터가 직선형을 가지는 기존의 구성으로 사용한다면, 다이섹터의 머리부분이 대흉근이 박리되는 부분에 다이섹터의 머리부분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떠 있는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수술이 용이하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도 7b에서는 도 7a와는 달리 수술용 다이섹터가 구부려진 상태에서 적용할 수 있어서 대흉근 부분에서 다이섹션의 머리부가 근육에 정확히 닿아 박리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술용 다이섹터는 유연성 구조물로 몸체를 구성하기 때문에 구부려 사용할 수 있는데, 몸체 전체를 유연성 구조물로 구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몸체의 일부만을 굽힘성 있는 유연성 구조물로 구성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바람직한 구성예로서 몸체의 전반부만 유연성 있는 구조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반부와 후반부만 유연성 있는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분은 굽힘성이 없는 비유연성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다이섹터의 몸체의 전반부에만 유연선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비유연성 구조물로 이루어진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머리부에 가까운 몸체 전반부에 해당하는 앞부분만 구부려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가슴의 중앙부분에 대한 박리에 별 어려움이 없이 용이한 수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다이섹터의 몸체를 3등분하여 중앙부를 제외한 전반부와 후반부에만 유연성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중앙부는 비유연성 구조물로 이루어진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머리부에 가까운 몸체 전반부에 해당하는 앞부분을 구부려 사용하여 가슴의 중앙부분에 대한 박리에 유리하게 하면서, 후반부도 역시 구부려서 전체적으로 웨이브진 형태로 구부려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는 인체구조 상 박리 수술하기에 더욱 용이하므로 더욱 편리하게 박리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8은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의 구성예들을 나타낸 예시 제품 사진으로서, 상부 사진은 다이섹터의 앞부분인 전반부만 일부 구부려질 수 있는 유연성 구조물로 구성된 경우이고, 하부사진은 몸체를 3등분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인 전반부와 후반부를 각각 유연성 구조물로 구성하고 그 중간부는 직선을 유지하는 비유연성 구조물로 구성된 경우의 제품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를 구부린 상태로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에 실제 적용하는 경우를 관념적으로 예시한 사진이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하나로서, 도 8의 하부사진처럼 몸체를 3등분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인 전반부와 후반부를 각각 유연성 구조물로 구성하고 그 중간부는 직선을 유지하는 비유연성 구조물로 구성된 경우의 제품을 이용하여 다이섹터 몸체를 웨이브진 형태로 구부려서 가슴확대 유방성형수술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과는 다른 구성의 다이섹터 몸체 구성과 머리부 구성으로 인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정확한 절개와 박리가 가능하므로 수술부위에 대한 훼손 없이 안전한 수술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다이섹터는 기존에 내시경적인 수술과정에서 근육 등의 박리나 수술부위의 확보에 필요한 절개를 위한 수술과정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이섹터는 손가락이 닿지 않는 굴곡진 신체부위에 대한 수술과정에서도 손쉽게 절개부위에서도 안전하고 정교하게 절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유방성형수술 등에 매우 적합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몸체
11 - 유연관
12 - 금속막대
13 - 외피
20 - 손잡이
21 - 돌출부
30 - 머리부
40 - 목부
50 - 석션호스
51 - 석션호스 결합고리
52 - 흡입구
11 - 유연관
12 - 금속막대
13 - 외피
20 - 손잡이
21 - 돌출부
30 - 머리부
40 - 목부
50 - 석션호스
51 - 석션호스 결합고리
52 - 흡입구
Claims (8)
- 다이섹터의 몸체는 막대형 구조로 형성되고, 그 몸체의 하단에는 손가락을 말아서 쥘 수 있는 손잡이부를 가지며, 그 반대편 방향에는 절개를 위한 머리부를 가지는 수술용 다이섹터로서, 상기 몸체는 굽힘성을 가지는 유연성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머리부는 다각형의 고리모양을 가지는 수술용 다이섹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유연관(flexible tube) 내부에 전도성 금속막대가 내장되고, 상기 유연관의 외부는 피복소재가 피복된 외피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다이섹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는 그 외부에서 석션호스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다이섹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는 그 외부에 석션호스를 끼울 수 있는 다수의 석션호스 결합고리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석션호스를 그 석션호스 결합고리에 끼우고 석션호스의 선단인 흡입구를 머리부에 인접한 목부 근처에 위치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다이섹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6각형 또는 5각형 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다이섹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부가 좁아진 상협하광의 6각형 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다이섹터.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부만을 굽힘성 있는 유연성 구조물로 구성하되, 몸체의 전반부만 유연성 있는 구조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반부와 후반부만 유연성 있는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분은 굽힘성이 없는 비유연성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다이섹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방성형수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다이섹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5109A KR102035861B1 (ko) | 2017-10-18 | 2017-10-18 | 수술용 다이섹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5109A KR102035861B1 (ko) | 2017-10-18 | 2017-10-18 | 수술용 다이섹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3279A true KR20190043279A (ko) | 2019-04-26 |
KR102035861B1 KR102035861B1 (ko) | 2019-10-24 |
Family
ID=6628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5109A KR102035861B1 (ko) | 2017-10-18 | 2017-10-18 | 수술용 다이섹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586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68506A (zh) * | 2020-06-10 | 2020-08-25 |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 一种钝式、扩张式以及切断式复合一体的乳房剥离器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2244A (ja) * | 2000-10-04 | 2002-04-09 | Asahi Optical Co Ltd |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
KR200338068Y1 (ko) | 2003-10-16 | 2004-01-13 | 박성진 | 수술용 박리 장치 |
US20040230218A1 (en) * | 2002-10-04 | 2004-11-18 | Christopher Criscuolo | Balloon dissector with cannula |
KR100828135B1 (ko) | 2006-12-13 | 2008-05-08 | 이은규 | 내시경을 위한 생체 조직 박리기 |
WO2012102508A2 (ko) * | 2011-01-25 | 2012-08-02 | (주)태웅메디칼 | 의료용 스네어 |
US20130211433A1 (en) * | 2009-05-14 | 2013-08-15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oration | Endoscopic Vessel Dissector With Side Entry |
KR101374687B1 (ko) * | 2013-03-05 | 2014-03-17 | 주식회사 지스코프 | 의료용 스네어의 와이어 구조체 |
-
2017
- 2017-10-18 KR KR1020170135109A patent/KR1020358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2244A (ja) * | 2000-10-04 | 2002-04-09 | Asahi Optical Co Ltd |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
US20040230218A1 (en) * | 2002-10-04 | 2004-11-18 | Christopher Criscuolo | Balloon dissector with cannula |
KR200338068Y1 (ko) | 2003-10-16 | 2004-01-13 | 박성진 | 수술용 박리 장치 |
KR100828135B1 (ko) | 2006-12-13 | 2008-05-08 | 이은규 | 내시경을 위한 생체 조직 박리기 |
US20130211433A1 (en) * | 2009-05-14 | 2013-08-15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oration | Endoscopic Vessel Dissector With Side Entry |
WO2012102508A2 (ko) * | 2011-01-25 | 2012-08-02 | (주)태웅메디칼 | 의료용 스네어 |
KR101374687B1 (ko) * | 2013-03-05 | 2014-03-17 | 주식회사 지스코프 | 의료용 스네어의 와이어 구조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68506A (zh) * | 2020-06-10 | 2020-08-25 |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 一种钝式、扩张式以及切断式复合一体的乳房剥离器 |
CN111568506B (zh) * | 2020-06-10 | 2021-07-23 |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 一种钝式、扩张式以及切断式复合一体的乳房剥离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5861B1 (ko) | 2019-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21031B2 (en) | Scalpel blade holder | |
EP0479482B1 (en) | Electrosurgical laparoscopic cauterisation electrode | |
US6926717B1 (en) | Electrosurgical breast electrode | |
JP4982699B2 (ja) | 生検鉗子 | |
JP6084338B2 (ja) | 内視鏡的粘膜下層剥離術用デバイス及び内視鏡システム | |
CN108472072A (zh) | 医疗器械上的高表面能部分 | |
JPH11137563A (ja) | 複合型の双極性鋏および把握器 | |
EP3050528A1 (en) | Probe unit, treatment tool, and treatment system | |
JP6108501B2 (ja) | マイクロ波照射器具 | |
JP6918058B2 (ja) | 腹腔鏡電気外科用装置の切断電極強化 | |
JP2015047376A (ja) | 穿刺機能付きチューブ器具 | |
KR20190043279A (ko) | 수술용 다이섹터 | |
JPWO2020039514A1 (ja) | クリップユニットおよび粘膜挙上システム | |
JP6763128B2 (ja) | 内視鏡用鋏 | |
CN107666879A (zh) | 可重复使用的植入物输送装置 | |
US7226465B1 (en) | Surgical instrument | |
JP4659758B2 (ja) | 生体組織採取装置 | |
Renee Nemitz | Surgical instrumentation: An interactive approach | |
JP2006068407A (ja) |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 |
US20160346511A1 (en) | Middle ear surgical attachments for suction catheters and suction catheters including the same | |
RU184388U1 (ru) | Электрохирургический биполярный пинцет | |
CN111182843B (zh) | 间隙受控的血管密封和解剖 | |
JP6662690B2 (ja) | 内視鏡手術器具 | |
JPH0584255A (ja) | マイクロ波手術器 | |
MXJL01000028A (es) | Pinza quirurgica para traumamioplastia piloric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