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682A - 영구적 마킹을 구비한 안경 렌즈 - Google Patents

영구적 마킹을 구비한 안경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682A
KR20190042682A KR1020197008872A KR20197008872A KR20190042682A KR 20190042682 A KR20190042682 A KR 20190042682A KR 1020197008872 A KR1020197008872 A KR 1020197008872A KR 20197008872 A KR20197008872 A KR 20197008872A KR 20190042682 A KR20190042682 A KR 20190042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ens
marking
dimensional
spectac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170B1 (ko
Inventor
세바스티앙 모리스
크리스토프 허버트
스테판 오프레
다니엘 페레이라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19004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06K7/10722Photodetector array or CCD sc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29D11/0032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57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by analyzing the image formed by the object to be test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1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with pattern for identification or with cosmetic or therapeutic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 렌즈(42)가 기재, 및 기재를 전방 면(46)의 측부에서 덮는 반사-방지 또는 거울 간섭 코팅을 포함하고, 간섭 코팅은 1-차원적 또는 2-차원적 바코드 패턴(62)을 형성하며, 마킹(41)은 간섭 코팅의 두께의 일부에서 복수의 점 홀에 의해서 형성되고, 전방 면(46)은, 점 홀로부터 멀리, 미리 결정된 공칭 값을 갖는 광 반사 계수를 가지고, 각각의 점 홀 내에서, 공칭 값과 상이한 특정의 미리 결정된 값을 갖는 광 반사 계수를 갖는다.

Description

영구적 마킹을 구비한 안경 렌즈
본 발명은 안경 렌즈의 마킹에 관한 것이다.
안경 렌즈가, 안경 렌즈를 식별하기 위한 또는 안경 프레임 내의 그 장착에 유용한 뚜렷한 기하형태적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마킹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렌즈가 안경 프레임 내의 제 위치에 있게 되면 더 이상 유용하지 않은, 특정 마킹, 예를 들어 기하형태적 중심 또는 프리즘 기준 지점을 식별하는 황색 잉크 마킹은, 렌즈가 안경 프레임 내의 제 위치에 있을 때 더 이상 존재하지 않도록 또는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안경 렌즈의 제조자를 식별하기 위한 다른 마킹은 영구적이다.
본 발명은,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안경 렌즈의 영구적 마킹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효과를 위해서 영구적 마킹을 구비한 안경 렌즈를 제공하고, 그러한 렌즈가 기재, 및 기재를 전방 면의 측부에서 덮는 반사-방지 또는 거울 간섭 코팅(mirror interferential coating)을 포함하고, 간섭 코팅은 1-차원적 또는 2-차원적 바코드 패턴을 형성하며, 마킹은 간섭 코팅의 두께의 일부에서 복수의 규칙적인 간극(punctual gap)에 의해서 형성되고, 전방 면은, 규칙적 간극 외측에서, 미리 결정된 공칭 값을 갖는 광 반사 계수를 나타내고, 각각의 규칙적 간극 내에서, 공칭 값과 상이한 미리 결정된 특정 값을 갖는 광 반사 계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러한 바코드 패턴이 이러한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의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는다는 관찰을 기초로 한다.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특징을 구현하는 것에 의해서, 후방 면의 측부로부터 렌즈를 보는 착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또는 임의의 경우에 거의 보이지 않는 또는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 그러한 마킹을 갖는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사실상, x가 반사 계수의 특정 값을 나타내고 y가 공칭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이러한 계수들 사이의 (전방 면을 관찰할 때 관찰되는 반사의 세기를 특성화하는) 비율 x/y 또는 y/x는 비교적 크고(considerable), 예를 들어 1.5 내지 15의 인자 사이이고, 그에 따라 큰 콘트라스트를 초래하고 영구적인 마킹이 용이하게 관찰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투과에서, 투과는 각각 1-x-a 및 1-y-a (a는 흡수이다)이고; 이는 (1-x-a)/(1-y-a) 또는 역수의 투과율을 암시하고, 이는 전형적으로 하나의 구역에서 주어진 투과를 갖는 것 그리고 다른 구역에서, 0.8 내지 1.2의 인자만큼 제1 투과와 상이한 투과를 갖는 것, 즉 착용자의 눈에 비교적 띄지 않는 차이를 갖는 것을 초래한다.
"흡수 계수"는 가시광선 스펙트럼 내의 파장에서의 흡수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주어진 매체 내의 주어진 파장의(여기에서 가시광선 영역 내의) 전자기 빔에 대해서, 흡수도(A)와 광학적 경로 길이(L) 사이의 비율(= A/L)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비율은, 특히 ISO/CD 표준 11551에 따라, m-1 또는 cm-1로 표현된다.
"투과 인자" 또는 "투과도"(Tv)(타우 아래첨자 v)는, 적어도 가시광선 스펙트럼 전체를 커버하는 발광체, 예를 들어 태양 발광체 또는 발광체 D65에 의해서 조명되는 광학적 물품을 통과하는, 파장의 함수로서의, 광속의 분율(fraction)에 상응한다. 인자 Tv는 표준화된 국제적 정의(ISO 표준 13966:1998)에 상응하고, ISO 표준 8980-3에 따라 측정된다. 이는 380 내지 780 nm 범위의 파장에서 정의된다.
"반사 계수"는, 적어도 가시광선 스펙트럼 전체를 커버하는 발광체, 예를 들어 태양 발광체 또는 발광체 D65에 의해서 조명되는, 광학적 물품의 표면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의 양을 의미한다. 반사의 양은 바람직하게 2°또는 10°의 각도로 표면 상에 입사되는 광선으로 측정된다. 이러한 것이 특정되지 않았을 때, 반사 계수는 단지 가시광선 광, 즉 380 nm 내지 780 nm의 파장을 갖는 광, 달리 말해서 "발광체 D65"를 고려한다.
영구적 마킹이 반사에 의해서 전방 면의 측부로부터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과 같은 대량-판매 제품의 화상 센서는 단순한 방식으로 이러한 마킹의 화상을 캡처할 수 있다.
이러한 마킹이 1-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바코드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렇게 캡쳐된 화상의 프로세싱은, 1-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코드에 의해서 인코딩된, 콘텐츠, 예를 들어 안경 렌즈에 특정된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콘텐츠를 기초로, 예를 들어 마킹의 화상을 캡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온-라인 자원(resource)에 대한 자동적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는, 여전히 착용자가 편안할 수 있게 하면서 그리고 제조를 단순하게 하면서 그리고 안경 프레임 내의 제 위치에 놓이게 하면서, 온-라인 자원에 대한 단순하고 편리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한 특성에 따라:
- 렌즈는 미리 결정된 안경 프레임의 윤곽을 가지도록 연부 처리된 상태(edged state)이고;
- 패턴은 행렬 방식으로 병치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것이고, 복수의 모듈은, 이원적 언어에 따른 정보의 아이템을 인코딩하기 위해서, 복수의 규칙적 간극에 의해서 각각 형성된 제1 유형의 모듈 및 규칙적 간극의 외측에 각각 위치된 제2 유형의 모듈을 포함하며;
- 패턴은 2 mm의 변(side)을 갖는 정사각형 내에 놓이고;
- 각각의 모듈은 90 ㎛의 변을 갖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나타내고;
- 2-차원적인 코드는 21x21 내지 33x33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 각각의 모듈을 형성하는 복수의 규칙적 간극은 복수의 행 및 열을 포함하는 행렬로 배열되고;
- 간섭 코팅은 반사-방지적인 것이고, 공칭 값은 1.4% 미만 그리고 바람직하게 0.85% 미만이고, 특정 값은 8 내지 15%이고;
- 간섭 코팅이 거울이고, 공칭 값은 12% 내지 15%이고, 특정 값은 32% 내지 34%이며;
- 특정 값은 공칭 값보다 크고, 그에 따라 패턴은 어두운 배경에서 밝게 보이고, 1-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바코드는 미리 결정된 범위에 걸쳐 어두운 구역 및 밝은 구역을 포함하고, 패턴은 코드의 어두운 구역의 세트에 의해서 형성되고;
- 간섭 코팅이 거울이고, 공칭 값은 10% 내지 15%이고, 특정 값은 5% 내지 10%인 한편 공칭 값보다 작고; 및/또는
- 간섭 코팅이 거울이고 그러한 패턴은 밝은 배경에서 어둡게 보이고, 1-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코드는 미리 결정된 범위에 걸쳐 어두운 구역 및 밝은 구역을 포함하고, 패턴은 코드의 어두운 구역의 세트에 의해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의 쌍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안경 렌즈의 마킹을 판독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직접적으로 안경 렌즈 상에서, 패턴의 사진 또는 비디오를 촬영하는 단계, 그리고 이어서, 마킹에 의해서 형성된 1-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바코드 패턴에 의해서 인코딩된 식별자를 검색하기 위해서, 사진 또는 비디오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한 특성에 따라:
- 패턴의 사진 또는 비디오를 촬영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내장형 카메라 또는 내장형 사진 장치를 포함하는 대량-판매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모바일 전화기 장치, 스마트폰, 전자 태블릿, "스마트" 안경으로 알려진 안경, 또는 연결된 사진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고;
- 그러한 방법은 패턴에 의해서 인코딩된 식별자를 검색하고 디코딩하기 위해서 마킹을 판독하는 단계, 및 이어서 네트워크에 걸쳐 요청을 원거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이어서 원거리 서버로부터 되돌아온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요청자(requester)의 유형에 따라, 원거리 서버에 의해서 전송되는 피드백 데이터가 상이하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대량-판매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판상에 내장되도록 구성된 컴퓨터화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은 안경 렌즈의 마킹의 판독, 이러한 마킹에 의해서 형성된 패턴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패턴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이어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요청을 원거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이어서 원거리 서버로부터 되돌아온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이러한 피드백 데이터의 함수로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담당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 애플리케이션은 패턴에 의해서 인코딩된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이하에서 주어진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을 계속 개시할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안경 렌즈의 전방 면의 측부에 위치된 관찰자에 의해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그러나 후방 면의 측부에 위치된 관찰자에 의해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안경 렌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과 유사한, 그러나 아직 연부 처리되지 않은 렌즈를 갖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러한 렌즈의 전방 면의 각인 구역과 비각인 구역(unengraved zone) 사이의 반사 차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의 안경 렌즈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렌즈의 마킹을, 그리고 보다 정확하게, 도시 편의를 위해서, 다른 2-차원적인 코드와 관련된 유사 마킹을 도시하고, 도 1 내지 도 3의 안경 렌즈의 코드 및 도 5의 코드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한다.
도 6은, 2-차원적인 코드를 형성하는 모듈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 5의 부분적 확대도이다.
도 7은 각각 21x21, 25x25, 29x29 및 33x33개의 모듈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코드의 다양한 버전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안경 렌즈와 유사한, 그러나 밝은 배경에서 어둡게 보이는 마킹을 가지는 안경 렌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렌즈와 유사한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쌍뿐만 아니라, 코드를 검색하기 위해서 코드의 사진을 촬영하도록 그리고 사진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전자 휴대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은, 2-차원적인 코드를 형성하는 마킹(41)을 구비한 안경 렌즈(42)를 도시한다.
렌즈(42)는 전방 면(46), 후방 면(47), 및 전방 광학 면(46)과 후방 광학 면(47)을 결합시키는 측방향 면(48)을 나타낸다.
2-차원적인 코드는 여기에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유형의 바코드이고, 콘텐츠로서 일련의 숫자 기호("12345678")를 인코딩한다.
이러한 일련의 기호는 렌즈에 특정된 특이적 식별자이다. 그에 따라, 이러한 식별자는 상이한 렌즈들에서 상이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 식별자는, 하나의 동일한 최종 착용자를 위해서, 하나의 동일한 프레임 상에 장착된, 또는 장착되도록 의도된 렌즈 쌍에 대해서 특이적일 수 있다. 이러한 대안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러한 것이 일반적으로 안경 쌍의 좌측 렌즈와 우측 렌즈를 구분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이고, 이러한 렌즈들이 종종 상이한 굴절력(optical power) 및, 최소한, 일반적으로 서로 거울 대칭인(mirroring) 상이한 윤곽을 가지기 때문이다.
마킹(41)은, 렌즈(42)의 전방 면(46)의 측부에 위치된 관찰자에게 보일 수 있는 패턴(62)을 형성하는, 안경 렌즈의 전방 면(46) 상에 각인된 표면 구역이다.
각인은 여기에서 삭마(ablation)에 의해서, 다시 말해서 레이저 빔에 의해서 소정 양의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2에서 주목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패턴(62)은 렌즈의 후방 광학 면(47)의 측부 상에 위치된 관찰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물론, 패턴(62)이 투명하도록, 즉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또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또는 어떠한 경우에도 불편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패턴(62)의 광학적 성질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성질의 예는, 반사 및 투과 능력과 함께, 이하에서 설명된다.
투명은, 패턴(62)이 렌즈의 국소적인 확산에 어떠한 상당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패턴(62)을 포함하는 구역 내의 혼탁도 값(haze value)은, 측정 표면적이 패턴(62)에 의해서 점유된 표면적보다, 또는 대안적으로 임의의 다른 균등한 확산 측정치보다, 약 50배 또는 55배 더 클 때, 패턴(62)을 포함하지 않는 렌즈의 표면의 구역에 비해서, 0.1 미만만큼, 바람직하게 0.05 미만 또는 심지어 0.02 만큼 증가된다. 또한, 투명에 의해서, 지지부는, 지지부가 없는 렌즈의 일부의 투과 값의 20% 초과만큼 투과 값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확산에 미치는 패턴(62)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패턴(62)을 포함하는 구역 내의 혼탁도 값을 측정하는 것이다.
혼탁도 값은,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는, 표준 ASTM D1003-00의 절차에 따라 예를 들어 BYK-Gardner의 Haze-Guard Plusⓒ 장치를 이용하여 투과 광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된다. 본원에서 "혼탁도" 값에 대한 모든 언급은 그러한 표준에 따른다. 그러한 기구는 먼저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교정된다. 그 후에, 샘플이 사전-교정용 장치의 투과 광 빔 상에 배치되고, 혼탁도 값이 기록된다.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용된 특정 Haze-Guard plusⓒ의 경우에, Haze-Guard plusⓒ에 의해서 이용되는 측정 스폿이 약 16 mm의 직경을 가지는 스폿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유용하다. 비교에 의해서, 혼탁도 측정을 위해서 이하에서 이용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패턴은 약 1.9 mm의 변을 갖는 정사각형이다. 따라서, 표면적(파이(Pi) (8)2)의 구역 내의 1.9 * 1.9의 행렬의 혼탁도 값에 미치는 영향이 측정된다. 패턴의 표면적에 대한 측정된 표면적의 비율은 그에 따라 약 55이다.
또한, 동일 구역 내의 투과의 평균 값이 Haze-Guard plusⓒ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전술한 측정 방법에 따라, 이하의 실험이 실행되었다:
렌즈 1 (삭마-방지 및 반사방지(AR) 코팅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기재):
패턴 각인 전에, 측정된 혼탁도 값은 0.17이고 투과는 97.9%이다.
본 발명에 따른 1.9 * 1.9 mm 패턴을 각인한 후에, 측정된 혼탁도 값은 0.18이고 투과는 97.9%이다.
렌즈 2 (삭마-방지 및 반사방지 코팅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기재):
패턴 각인 전에, 측정된 혼탁도 값은 0.32이고 투과는 96.8%이다.
본 발명에 따른 1.9 * 1.9 mm 패턴을 각인한 후에, 측정된 혼탁도 값은 0.32이고 투과는 96.8%이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지지부를 갖는 각인된 렌즈 3 (삭마-방지 및 반사방지(AR) 코팅을 갖는 폴리-싸이오-우레탄 내의 지수 1.6의 기재);
패턴 각인 전에, 측정된 혼탁도 값은 0.23이고 투과는 97.5%이다.
국소적으로 모든 AR 재료를 제거하고 삭마-방지 층의 부분을 제거하는 레이저 각인을 이용하여 1.9 * 1.9 mm 패턴을 각인한 후에, 측정된 혼탁도 값은 0.89이고 투과는 96.9%이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인된 렌즈(3)는 본 발명에 따른 것이 아닌데, 이는 이러한 특정 패턴(62)의 영향이 너무 큰 국소적 확산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명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라, 55의 인자만큼 패턴의 표면적보다 큰 표면적에 대해서 측정된 혼탁도 값에 미치는 패턴의 영향이 0.1 미만, 바람직하게 0.05 미만,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 0.02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실험적 측정을 알고 있는 당업자는, 그로부터, 앞서 제시된 것과 매우 다른 측정된 표면적과 패턴(62)의 표면적 사이의 표면적 비율을 갖는 혼탁도 값의 측정을 위한 프로토콜에 대해서도, 제한된 수의 실험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이라는 단어의 보다 양호한 이해를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예를 들어, 패턴만의 혼탁도 값을 측정할 때, 또는 4 mm 직경의 측정 스폿 및 3x3 mm 또는 2x2 mm의 패턴 치수로 혼탁도를 측정할 때, 혼탁도를 다시 찾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안경 프레임(61)의 윤곽을 갖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렌즈(42)가 연부 처리되었다.
연부 처리 동작 전에, 렌즈(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윤곽을 갖는 반-제품 렌즈의 형태를 취한다. 주 면 중 하나, 예를 들어 전방 면(46)은 마감된 반면, 여기에서 후방 면인 대향 면은 마감되지 않았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턴(62)을 렌즈(42)의 전방 면(46) 상에 각인하는 단계는, 렌즈(42)가 아직 연부 처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행되고; 패턴(62)은, 렌즈가 프레임(61)과 같은 프레임 내에 장착될 때 렌즈(42) 내에 존재하도록 선택된 렌즈 구역 내에서 각인된다.
변형예로서, 패턴(62)은, 렌즈가 연부 처리된 상태에서, 각인된다. 예를 들어, 특이적 식별자가 다른 형태로 렌즈에 연접(adjoin)되어 있을 수 있고, 패턴(62)이 연부 처리된 렌즈 윤곽 내측에 적절히 배치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연부 처리된 후에, 렌즈 상으로 전사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형태는, 예를 들어 잉크로 인쇄된 코드 마킹에 의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외부 지지부 상의, 또는 연부 처리되지 않은 렌즈의 윤곽선 부근의 렌즈 상의 마킹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서, 쇄선(dashed line)(63)이 연부 처리된 후의 렌즈(42)의 윤곽을 도시한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패턴(62)은 선(63)에 의해서 경계 지어진 구역 내측에 위치된다.
패턴(62)은 연부 처리된 렌즈의 주변부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패턴(62)은 2 mm의 변을 갖는 정사각형 내에 놓인다.
도시 편의를 위해서, 도 1, 도 3,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는 패턴(62)의 치수가 렌즈(42)의 치수에 비해서 과장되었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안경 렌즈(42)의 구조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안경 렌즈(42)는 기재(52), 및 렌즈(42)의 전방 면(46)의 측부 상에서 기재(52)를 덮는, 적어도 2개의 중첩 표면 층을 포함하는 간섭 코팅(53)을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 간섭 코팅(53)은, 기재(52)로부터 렌즈(42)의 전방 면(46)까지 연속적으로, 금속(크롬, "Cr1")의 제1 층(64), 이산화주석(SnO2)의 제2 층(65), 금속(크롬 "Cr2")의 제3 층(66) 및 일산화실리카(SiO)의 제4 층(67)을 포함한다.
기재(52)는 여기에서, 상표화된 긁힘-방지 코팅 Mithril®를 포함하는 편광형 또는 채색된 기재이다.
층(67(SiO)/66(Cr2)/65(SnO2)/64(Cr1))은, 그러한 층이 구성하는 코팅이 반사 거울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반사를 증가시키는 간섭 효과를 생성하도록 하는 성질 및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코팅은 약 12 내지 15%의 공칭 값을 갖는 평균 반사 계수를 나타내고, 보라색광(violet) 내에서 더 강하게 반사한다. 코팅은, 전체적으로, 또는 거의 전체적으로, 렌즈의 전방 면의 표면 상에, 그리고 특히 렌즈가 프레임 내에 장착되고 착용자에 의해서 착용될 때, 눈에 직접적으로 대면되는 표면 상에 존재한다.
층의 성질 그리고 물리적 및 광학적 특성이 이하의 표에 표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패턴(62)은 간섭 코팅(53)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층의 복수의 규칙적 간극(54)에 의해서 형성되고, 이러한 간극(54) 중 단지 하나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규칙적 간극(54)은, 이러한 층의 일부의 삭마를 유발하는 레이저 빔에 의해서, 간섭 코팅(53)의 상부 층의 국소적인 조사(irradiation)로부터 초래된다.
도 4에서 확인될 수 있는 간극(54)의 레벨에서, 코팅(53)을 구성하는 3개의 최외측 층(65, 66 및 67)이 삭마되었다.
결과적으로, 간극(54)의 레벨에서, 간섭 코팅(53)은, 긁힘-방지 재료 상에 존재하는, 층(64)(Cr1)만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렌즈(42)가, 가시광선 내의 파장에 따라 비교적 균질한, 약 33%의 특정 값을 갖는 반사 계수를 국소적으로 가지게 한다.
따라서, 전방 면(46)은, 규칙적 간극(54) 외측에서, 미리 결정된 공칭 값을 갖는 광의 반사 계수를 나타내고, 각각의 규칙적 간극(54) 내에서, 공칭 값과 상이한, 미리 결정된 특정 값을 갖는 광의 반사 계수를 나타낸다.
반사 계수들 사이의 국소적인 차이는, 규칙적 간극(54)의 레벨에서의 입사, 투과, 및 반사된 광의 비율을 각각 심볼화한 화살표(55, 56 및 57)에 의해서, 그리고 규칙적 간극(54) 외측의 화살표(58, 59 및 60)에 의해서 도 4에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패턴(62)을 형성하는 규칙적 간극(54) 내의 반사 계수가 규칙적 간극(54) 외측의 반사 계수보다 크거나; 달리 말해서, 특정 값이 공칭 값보다 크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패턴(62)은, 렌즈(42)의 전방 광학 면(46)의 측부 상에 위치된 관찰자에게, 어두운 배경에서 밝게 보인다.
또한, 반사의 채도(chroma) 및 색조가 상이하다.
이제, 패턴(62), 즉 2-차원적인 바코드를 형성하는 마킹(41)이 도 5 및 도 6의 지원으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의상, 도 1 및 도 3의 패턴과 유사하나 동일하지는 않은 패턴이 도 5에서 제시되었다. 단순함을 위해서, 이러한 차이는 이하에서 무시된다.
도 5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마킹(41)은, 행렬 방식으로 병치된 복수의 모듈(68)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바코드를 형성한다.
복수의 모듈(68)은, 이원적 언어에 따른 정보의 아이템을 인코딩하기 위해서, 복수의 규칙적 간극(54)에 의해서 각각 형성된 제1 유형의 모듈(69) 및 규칙적 간극(54)의 외측에 각각 위치된 제2 유형의 모듈(70)을 포함한다.
제1 유형의 모듈(69)은 여기에서 제2 유형의 패턴보다 더 밝게 보인다.
도 5에 도시된 2-차원적인 코드는 21x21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일련의 숫자 기호 "99299991"를 인코딩한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21x21 개의 모듈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코드는 25개의 영숫자 기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68)은 90 ㎛의 변을 갖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패턴(62)은 90 ㎛ x 21 = 1.890 mm의 변을 갖는 정사각형을 형성한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68)을 형성하는 복수의 규칙적 간극(54)은 복수의 행 및 열, 여기에서 7개의 행 및 7개의 열을 포함하는 행렬로 배열된다.
모듈(68)의 각각의 행 및 각각의 열은 7개의 규칙적 간극(54)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모듈(68)은 여기에서 49개의 규칙적 간극(54)으로 형성된다.
모듈을 각인하기 위해서, 레이저 빔이 각각의 행을 연속적으로 각인하고, 행들은 제1의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그리고 제1의 미리 결정된 센스(sense)로 서로 이어진다(follow).
행을 각인하기 위해서, 레이저 빔은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의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그리고 제2의 미리 결정된 센스로 렌즈(42)의 전방 표면(46)을 스캔한다.
각각의 행은 이러한 제2의 미리 결정된 센스로 각인된다.
마킹(41)을 획득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마킹 방법이 이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각인이 여기에서 삭마에 의해서, 다시 말해서 레이저 빔에 의해서 소정 양의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실행된다는 것이 상기된다.
따라서 마킹은, 각각이 레이저의 하나 이상의 펄스에 의해서 생성된 복수의 규칙적 간극(54)으로 형성된다.
마킹 방법은, 마킹 파장으로서 알려진 결정된 복사선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공급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빔 마킹 기계에 의해서 실행된다.
마킹 지점으로 알려진 주어진 지점에서 규칙적 간극(54)을 생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간섭 코팅(53)의 이산화주석(SnO2)의 층(65)이 마킹 파장의 레이저 빔에 의해서 이러한 마킹 지점에서 조사되고, 그에 따라, 마킹 지점에서, 그 두께의 적어도 일부에 걸친 이산화주석(SnO2)의 층(65), 및 레이저 공급원과 이산화주석(SnO2)의 층(65) 사이에 위치된 임의의 층, 즉 층(67(SiO) 및 66(Cr2))을 삭마한다.
이산화주석(SnO2)의 층(65)이 여기에서 내부 층(65)을 형성하고, 그러한 내부 층은, 레이저 공급원과 이산화주석(SnO2)의 층(65) 사이에 위치된 층(67(SiO) 및 66(Cr2))보다 더 상당한 방식으로 마킹 파장을 흡수한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그에 따라, 마킹 방법은, 마킹 지점에서, 내부 층의 적어도 일부의 국소화된 직접적인 삭마 및 전자기 공급원과 내부 층(65) 사이에 위치된 층의 간접적 삭마를 실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마킹 방법은 유리하게 각인 깊이가 제어될 수 있게 한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속되기를 원치 않으면서, 출원인은, 이러한 것이 주로, 존재하는 다른 층에 비해서 복사선의 파장에서 매우 흡수적인 재료로 제조된 내부 층(65)을 조사하는데 있어서 전자기 빔이 성공적이라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사실상, 전자기 공급원과 내부 층(65) 사이에 놓인 재료의 층의 각각은 마킹 파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고, 다시 말해서 그러한 층의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러한 마킹 파장에서 흡수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층은 마킹 파장에서 적어도 반(semi)-투명하고, 다시 말해서 이러한 층은 이러한 마킹 파장의 에너지의 절반 초과를 통과시킨다.
결과적으로, 레이저 빔에 대한 노출 중에, 이러한 내부 층(65)은 전달되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용하고 그에 따라 선택적인 방식으로 저하된다(degraded). 내부 층(65)과 전자기 공급원 사이에 놓인 층이 일반적으로 매우 얇은 두께의 산화물 층들인 경우에, 내부 층(65)의 저하, 또는 사실상 승화는 이러한 층들을 사실상 해체시키고(unbind), 그에 따라 그러한 층들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은 유리하게 내부 층(65)을 삭마하도록 조준되고, 그리고 전자기 공급원과 내부 층(65) 사이에 위치된 임의의 층의, 일반적으로 탈착에 의한, 삭마를 간접적으로 허용한다. 달리 말하면, 내부 층(65)은 빔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파괴되고, 빔과 내부 층(65) 사이에 놓인 층은 내부 층(65)의 파괴의 이차적 효과에 의해서 파괴/제거된다.
삭마로부터 초래되는 하나의 규칙적 간극(54)이, 내부 층(65)의 표면이 삭마되기 전에 기재(52)로부터 가장 먼 내부 층(65)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적인 형상을 일반적으로 가지도록, 삭마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레이저의 초점이 간섭 코팅(53)의 내부 층(65) 내에 반드시 위치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내부 층으로부터 멀리 위치되고, 전형적으로 내부 층으로부터 1 내지 2 mm로 멀리 이격되고, 예를 들어 렌즈(42) 위로 2 mm에 위치된다.
마킹 방법에 관한 추가적인 상세 내용을 위해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프랑스 특허출원 제1656851호를 참조할 수 있다.
마킹(41)을 획득하기 위해서, 규칙적 간극(54)이 미리 결정된 마킹 간격에 따라 연속적으로 각인된다.
여기에서, 마킹 방법은, 1 ns의 지속시간의 펄스, 3 μJ의 펄스당 에너지, 및 약 12 ㎛ 직경의 빔 직경을 가지는 266 nm 파장의 빔을 방출하는 펄스 레이저에 의해서 실시되었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마킹 에너지는 펄스당 1 내지 3 μJ이다.
이러한 매개변수는 비교적 적은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게 한다.
12 ㎛의 빔 직경을 위한 10 ㎛의 마킹 간격의 선택은, 모듈 내의 임의의 비-조사(그리고 그에 따라 마킹되지 않는) 구역의 존재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특정 대안적 실시예에서, 빔의 직경은, 동일한 마킹 간격 또는 상이한 마킹 간격에서, 20 ㎛ 또는 10 ㎛일 수 있다.
이러한 매개변수는 각인된 구역의 전체에 걸친 균일한 반사를 더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내부 층(65)과 기재(52) 사이에 놓인 금속(크롬, "Cr1")의 층(64)이 레이저의 파장(266 nm)으로 방출된 광을 단지 약간 또는 사실상 매우 약간을 흡수하고, 그에 의해서 전자기 마킹 빔에 실질적으로 둔감하게 만든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그에 따라, 이는 레이저 빔의 조사에 의해서 파괴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2개의 마킹 지점들 사이의 교차부의 레벨에서 어떠한 과다-각인의 위험도 없이, 마킹 지점들을 중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마킹 방법은 유리하게, "점묘(pointillistic)" 효과가 없이, 균질한, 렌즈 표면 상의 연속적인 마킹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코드를 판독하는데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화상 센서를 구비한 전자 휴대 장치에 의해서 바코드를 형성하는 패턴(62)을 양호하게 판독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렌즈는, 상표화된 긁힘-방지 코팅 Mithril®을 포함하는 Essilor International®이라는 회사의 1.5의 지수의 렌즈인 기재로 이루어진 안과용 렌즈이고, 그 위에는, 연속적으로, 기재 상에 존재하는 바니시(varnish)로부터 시작하여, 제1 산화지르코늄 층(ZrO2)(C1), 제1 이산화실리카 층(SiO2)(C2)), 제2 이산화지르코늄 층(ZrO2)(C3), 이산화주석 층(SnO2)(C4), 또는 내부 층, 제2 이산화실리카 층(SiO2)(C5), 또는 외부 층, 얼룩 방지 층(anti-smudge layer)(C6)(소수성 및/또는 소유성(oleophobic)), 37 nm 두께의 이불화마그네슘 층(MgF2)(C7), 및 몇 나노미터 두께의 산화마그네슘 층(MgO)(C8)을 포함하는 코팅으로 이루어진 간섭 코팅이 겹쳐 배치된다.
임시 층인 각각의 층(MgF2(C7) 및 MgO(C8))을 고려하지 않고, 층(C1, C2, C3, C4 및 C5)의 세트가 함께, 간섭 코팅을 생성하고, 여기에서 간섭 코팅은 반사-방지 코팅이고, 1% 미만의, 예를 들어 측정된 샘플에 따라 0.85%의 공칭 값을 갖는 전반사 계수를 나타내도록, (이러한 층의 성질을 고려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계산된 층 두께를 갖는다.
간섭 코팅의 층의 성질 그리고 물리적 및 광학적 특성이 이하의 표에 표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02
마킹 방법을 실행하는 것은, 외부 층(SiO2)(C5), 외부 층(SiO2)(C5)의 외측의 층(C6, C7 및 C8)의 국소적인 삭마뿐만 아니라, SnO2의 내부 층(C4)의 적어도 부분적인 삭마를 수반한다.
마킹 지점에서, 즉 규칙적 간극 내에서, 측정된 반사의 특정 값은 약 8.5%이고, 다시 말해서 규칙적 간극 외측보다 약 10배 더 크고, 그에 따라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인 방식에서, 반사-방지 유형의 코팅으로, 5 내지 15의 인자가 (규칙적 간극 외측의) 공칭 값과 (규칙적 간극 내의) 특정 값 사이에서 관찰된다.
여전히 일반적인 방식에서, 반사-방지 유형의 코팅으로, (규칙적 간극 외측의) 공칭 값은 1.4% 미만이고, (규칙적 간극 내의) 특정 값은 8 내지 15%이다.
반사 계수의 특정 값은 공칭 값보다 크고, 그에 따라, 간섭 코팅이 반사-방지적인, 도시되지 않은, 그 변형예에서, 그리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거울 유형의 간섭 코팅에 대한 것과 유사하게, 전방 면의 측부에 위치된 관찰자에게 패턴은 어두운 배경에서 밝게 보인다.
투과에서, 콘트라스트 차이는 반사에서보다 상당히 작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사실상, (규칙적 간극 외측의) 투과 계수의 공칭 값은 약 98%(99%-1%)인 반면, (규칙적 간극의 위치에서) 투과 계수의 특정 값은 약 84% 내지 약 91%이고, 그에 따라 투과 계수의 공칭 값과 특정 값 사이에서 약 0.86 내지 약 0.92의 인자를 갖는다.
투과 계수의 특정 값과 공칭 값 사이의 그러한 인자는, 렌즈의 후방 면의 측부에 위치된 관찰자, 특히 이러한 렌즈의 착용자에게 거의 인식할 수 없는 콘트라스트 차이를 초래한다.
도 8 및 도 9는, 렌즈(43)가 거울 간섭 코팅을 구비하고, 그 전방 면(46) 상에 각인되어 렌즈(43)의 전방 면의 측부에 위치된 관찰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패턴(75)을 형성하는 마킹(41)을 구비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평균 반사 공칭 값은 10% 내지 15%이고, 특정 값은, 공칭 값보다 작은, 5% 내지 10%이다. 예를 들어, 적어도 3% 또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5% 만큼 작다.
반사 계수의 특정 값은 이러한 경우에 공칭 값보다 작고, 그에 따라 패턴(75)은 밝은 배경에서 어둡게 보인다.
도 9는, 마킹의 사진(74)를 촬영하고 마킹(41)에 의해서 형성된 코드를 검색하기 위해서 사진(74)을 분석하는 프로세스에서, 렌즈(43) 및 유사 렌즈(45)를 구비한 안경의 쌍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 장치(44)를 도시한다.
안경(40)의 쌍은 프레임(61)을 포함하고, 그러한 프레임에는, 마킹(41)이 착용자에게 투명하거나 보이지 않도록 또는 임의 경우에 거의 보이지 않거나 불편하게 하지 않도록, 렌즈의 후방 면이 안경 착용자(미도시)를 향하도록, 렌즈(43 및 45)가 장착된다.
각각의 렌즈(43 및 45)에서, 마킹(41)은 코쪽 측부에 그리고 렌즈의 상부 측에 위치된다. 변형예로서, 마킹은 렌즈의 외측에 및/또는 하부 측에 위치된다.
휴대용 전자 장치(44)는, 통상적인 방식에서 프로세서, 화상 센서(72), 디스플레이 화면(73)뿐만아니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44)는, 코드를 검색하기 위해서 그리고 이어서 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해서, 마킹(41)을 판독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숫자 기호 "12345678"의 스트링인, 코드 내에 포함된 디코딩된 정보가 장치(44)의 화면(73)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일련의 기호는 렌즈(45)에 특정된 특이적 식별자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44)는 방법에 개입하도록 구성되고, 그러한 방법은, 휴대용 전자 장치가 이러한 식별자의 검색 및 디코딩 단계를 실시한 후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요청을 원거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이어서 원거리 서버에서 되돌아 오는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요청자의 유형에 따라, 원거리 서버에 의해서 전송되는 피드백 데이터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이 휴대용 전자 장치(44)의 기판에 내장되고, 그에 따라 특히 장치(44)가 마킹(41)을 판독하는 것, 검색된 패턴(75)을 디코딩하는 것, 및 이어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요청을 원거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 그리고 이어서 원거리 서버로부터 되돌아온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피드백 데이터의 함수로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담당하도록, 휴대용 전자 장치를 구성한다.
유리하게, 전송된 요청이 패턴(75)에 의해서 인코딩된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이 구성된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마킹(41)에 의해서 형성된 2-차원적인 코드 패턴(75)은 미리 결정된 범위에 걸쳐 어두운 구역 및 밝은 구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모드에서, 마킹(41)의 판독을 촉진하기 위해서, 마킹을 포함하는 면이 확산 광원을 향해서 배향되도록 렌즈가 배치되고, 휴대용 전자 장치는 유사하게, 그 내장 카메라가 마킹을 포함하는 구역을 향해서 배향되도록, 배향되며, 그 후에 휴대용 전자 장치의 카메라에 의해서 볼 때, 렌즈 상의 확산 광원으로부터의 반사가 마킹(41)을 포함하게 하는 방식으로, 그에 따라 마킹(41)이 광의 반사에 의해서 카메라에 의해서 보일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렌즈 및 휴대용 전자 장치가 배향된다.
확산 광원은, 직접적인 또는 유리 판재(pane)를 통한, 태양으로부터의 외부 광, 또는 안경 렌즈 상에서 넓은 반사, 특히 마킹(41)의 치수보다 큰 치수의 반사를 형성하는 다른 광원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안경의 쌍의 렌즈(43 및 45)의 각각에서, 패턴을 각인하는 방법은, 패턴(75)을 형성하는 각인된 구역이 2-차원적인 코드의 어두운 지역에 상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달리 설명하면, 패턴(75)은 2-차원적인 코드의 어두운 구역의 세트에 의해서 형성된다.
패턴(75)이 밝은 배경에서 어둡게 보이기 때문에, 2-차원적인 코드의 어두운 지역은 패턴(75)의 어두운 구역에 상응한다.
따라서, 2-차원적인 코드를 검색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에 의해서 실시되는 판독 방법은, 패턴(75)의 사진(74)을 촬영하는 단계, 그리고 이어서 패턴(75)의 어두운 구역을 검출하기 위해서 사진(74)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안경 렌즈(42)에서, 각인 방법은 또한, 패턴(62)을 형성하는 각인된 구역이 2-차원적인 코드의 어두운 지역에 상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실시되었다는 것이 주목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패턴(62)은 2-차원적인 코드의 어두운 구역의 세트에 의해서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경우에, 패턴(62)은, 반사에서, 어두운 배경에서 밝게 보인다. 결과적으로, 2-차원적인 코드의 어두운 구역은 패턴(62)의 밝은 구역에 상응한다.
어두운 배경에서의 밝은 패턴의 이러한 외관은, 이러한 경우에, 특별한 반사 값이 각인되지 않은 구역의 공칭 값보다 상당히 더 크다는 사실과 관련된다. 따라서, 패턴(62)을 형성하는 각인된 구역은, 반사에서, 각인되지 않은 구역보다 더 밝은 것으로 관찰된다.
도면을 도시하기 위해서 사용된 컬러가 실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그 목적은 단지 패턴(62)과 렌즈의 나머지 사이의 콘트라스트를 예시하기 위한 것임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실제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경우가 거울 코팅을 포함하는 태양 렌즈(solar lenses) 또는 반사-방지 또는 거울 코팅을 가지는 태양 렌즈, 그에 따라 실제로 어둡게 보이는 렌즈에 적용될 수 있는 경우에, 이러한 경우는 또한, 각인되지 않은 구역 내에서, 80% 내지 98%의 투과 값을 가지는 깨끗한 렌즈에 적용된다. 각인된 구역 내의 투과 값은 심지어 88% 또는 93%보다 클 수 있고, 또는 반사-방지 렌즈의 경우에 사실상 심지어 95%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경우는 특히 반사-방지를 포함하는 깨끗한 렌즈에 바람직할 수 있는 실시예 중 하나이다.
사실상, 반사-방지를 포함하는 이러한 깨끗한 렌즈의 경우에, 반사에서의 공칭 값은 1.4% 미만, 또는 사실상 1% 미만이다. 이어서, 큰 콘트라스트는 반사-방지 코팅을 국소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서, 또는 사실상 간섭 적층체를 부분적 거울로 변환시키는 것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사실상, 이어서, 콘트라스트는, 반사를 거의 가지지 않는 렌즈의 전반적인 표면과, 적어도 4의 인자만큼 또는 사실상 용이하게 공칭 값의 5 내지 15배만큼 더 큰, 더 큰 반사 계수에 의해서 식별될 수 있는 국소적인 패턴 사이에서, 만들어진다.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패턴(62)을 판독하려 할 때, 렌즈의 표면이 어둡게 보임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패턴의 판독이 반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통해서, 렌즈의 표면이 일반적으로 밝고 투명하게 보인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각인되지 않은 구역의 어두움 효과는, 예를 들어 패턴(62)과의 대조에 의해서 나타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렌즈는 깨끗하게 보인다.
따라서, 안경의 쌍이 렌즈(42)와 유사한 렌즈를 구비하는 경우에, 2-차원적인 코드를 검색하기 위해서 판독 방법이, 패턴(62)을 검출하고 2-차원적인 코드를 검색할 수 있기 전에, 스마트폰에 의해서 촬영되는 사진(74)의 콘트라스트를 반전시키는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패턴 검출을 위해서 스마트폰에 의해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또는 임의의 다른 균등 장치, 예를 들어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이 화상 또는 사진을 전송하는 원거리 서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방법은, 그에 따라, 콘트라스트를 반전시키는 단계, 또는 콘트라스트를 반전시키는 단계의 실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선택 단계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밝은 배경에서의 어두운 패턴을 검출하는 단계 후에 실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작의 디폴트 모드가 콘트라스트의 반전을 포함할 수 있고, 반전된 콘트라스트 모드에서 2-차원적인 코드가 식별되지 않을 때에만, 반전 없이 화상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렌즈(42) 또는 렌즈(43 및 45)와 같은 렌즈를 획득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2-차원적인 코드의 여러 버전을 도시한다.
보다 정확하게, 도 7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제1 버전(76), 제2 버전(77), 제3 버전(78) 및 제4 버전(79)을 도시하고; 이러한 버전은 각각 21x21, 25x25, 29x29 및 33x33개의 모듈을 포함한다.
각각의 모듈은 90 ㎛의 변을 갖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25x25 버전은 90 ㎛ x 25 = 2,250 mm의 정사각형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29x29 버전은 90 ㎛ x 29 = 2,610 mm의 정사각형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33x33 버전은 90 ㎛ x 33 = 2,970 mm의 정사각형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패턴은 약간 더 작은 모듈 또는 더 적은 모듈을 가질 수 있고, 약 1.9 mm x 1.9 mm 또는 약 2 mm x 2 mm...등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서, 4개의 버전 모두가 도 7에서 동일한 크기로 도시되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 렌즈는 미리 결정된 안경 프레임의 윤곽을 가지도록 아직 연부 처리되지 않았고;
- 바코드는 1-차원적인, 예를 들어 EAN, Alpha39 또는 GS1 유형의 바코드이고;
- 2-차원적인 코드는 QR 코드가 아니고 다른 유형의 2-차원적인 코드, 예를 들어 DataMatrix, Aztek, MaxiCode 또는 High Capacity Color Barcode 유형의 코드이고;
- 코드는 렌즈에 특정된 특이적 식별자와 상이한 정보, 예를 들어 렌즈의 광학적 특성 및/또는 기하형태적 매개변수를 인코딩하며;
- 거울 간섭 코팅의 구조가 상이하고;
- 반사-방지 간섭 코팅의 구조가 상이하고 예를 들어 이하의 표에 기재된 구조에 상응하고:
Figure pct00003
층(6)의 전체적인 삭마 및 규칙적 간극 내의 층(5)의 적어도 부분적인 삭마 후에, 반사 계수의 공칭 값은 1% 미만, 예를 들어 0.7% 또는 0.8%이고, 특정 값은 10%에 근접하고, 더 정확하게 9.5% 내지 10.5%이고;
- 휴대용 전자 장치는 사진 이외의 패턴의 비디오를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 휴대용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과 상이하고,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기 장치, 전자 태블릿, "스마트" 안경으로 알려진 안경 및/또는 연결된 사진 장치와 같은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대량-판매 휴대 장치, 또는 심지어 카메라가 내장되고 WIFI 또는 유선형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 모드를 구비하는 랩탑 컴퓨터이고; 이는 또한, 예를 들어 서버, 컴퓨터, 또는 릴레이에 대한 무선 통신, 및 서버, 컴퓨터 또는 릴레이와 네트워크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이러한 장치 중 하나일 수 있고; 및/또는
- 네트워크는 회사 내부 네트워크, 또는 보다 특히 광역,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와 같은 사실상 전세계적인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황에 따른 함수로서 수많은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고,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고 도시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상기된다.

Claims (19)

  1. 영구적 마킹을 구비한 안경 렌즈로서,
    상기 렌즈(42, 43, 45)가 기재(52), 및 상기 기재(52)를 전방 면(46)의 측부에서 덮는 반사-방지 또는 거울 간섭 코팅(53)을 포함하고, 상기 간섭 코팅(53)은 1-차원적 또는 2-차원적 바코드 패턴(62, 75)을 형성하며, 마킹(41)이 상기 간섭 코팅(53)의 두께의 일부에서 복수의 규칙적인 간극(54)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전방 면(46)은, 상기 규칙적 간극(54) 외측에서, 미리 결정된 공칭 값을 갖는 광 반사 계수를 나타내고, 각각의 상기 규칙적 간극(54) 내에서, 상기 공칭 값과 상이한 미리 결정된 특정 값을 갖는 광 반사 계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2. 제1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안경 프레임(61)의 윤곽(63)을 가지도록 연부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62, 75)이 행렬 방식으로 병치된 복수의 모듈(68)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것이고, 상기 복수의 모듈(68)은, 이원적 언어로, 요구되는 바와 같은 정보의 아이템을 인코딩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규칙적 간극(54)에 의해서 각각 형성된 제1 유형의 모듈(69) 및 상기 규칙적 간극(54)의 외측에 각각 위치된 제2 유형의 모듈(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62, 75)이 2 mm의 변을 갖는 정사각형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듈(68)이 90 ㎛의 변을 갖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인 코드가 21x21 내지 33x33개의 모듈(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7. 제3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듈(68)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규칙적 간극(54)이 복수의 행 및 열을 포함하는 행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코팅(53)이 반사-방지적인 것이고, 상기 공칭 값은 1.4% 미만 그리고 바람직하게 0.85% 미만이고, 상기 특정 값은 8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9.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코팅이 거울이고, 상기 공칭 값은 12% 내지 15%이고, 상기 특정 값은 32% 내지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공칭 값보다 크고, 그에 따라 상기 패턴(62)은 어두운 배경에서 밝게 보이고, 상기 1-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바코드는 미리 결정된 범위에 걸쳐 어두운 구역 및 밝은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62)은 상기 코드의 어두운 구역의 세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11.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코팅이 거울이고, 상기 공칭 값은 10% 내지 15%이고, 상기 특정 값은 5% 내지 10%인 한편 상기 공칭 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12. 제1 항 내지 제7 항 및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코팅이 거울이고 상기 패턴(75)은 밝은 배경에서 어둡게 보이고, 상기 1-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코드는 미리 결정된 범위에 걸쳐 어두운 구역 및 밝은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75)은 상기 코드의 어두운 구역의 세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42, 43, 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40)의 쌍.
  14.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안경 렌즈(42, 43, 45)의 마킹을 판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직접적으로 상기 안경 렌즈(42, 43, 45)상에서, 상기 패턴(62, 75)의 사진 또는 비디오를 촬영하는 단계, 그리고 이어서, 상기 마킹(41)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1-차원적인 또는 2-차원적인 바코드 패턴에 의해서 인코딩된 식별자를 검색하기 위해서, 상기 사진 또는 비디오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62, 75)의 사진 또는 비디오를 촬영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내장형 카메라(72) 또는 내장형 사진 장치(72)를 포함하는 대량-판매 휴대용 전자 장치(44)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모바일 전화기 장치(44), 스마트폰(44), 전자 태블릿, "스마트" 안경으로 알려진 안경, 또는 연결된 사진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 항 또는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62, 75)에 의해서 인코딩된 식별자를 검색하고 디코딩하기 위해서 상기 마킹(41)을 판독하는 단계, 및 이어서 네트워크에 걸쳐 요청을 원거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이어서 원거리 서버로부터 되돌아온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요청자의 유형에서 요구되는 바에 따라, 상기 원거리 서버에 의해서 전송되는 피드백 데이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대량-판매 휴대용 전자 장치(44)의 기판상에 내장되도록 구성된 컴퓨터화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장치(44)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안경 렌즈(42, 43, 45)의 상기 마킹(41)의 판독, 이러한 마킹(41)에 의해서 형성된 패턴(62, 75)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패턴(62, 75)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이어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요청을 원거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이어서 원거리 서버로부터 되돌아온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이러한 피드백 데이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담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패턴(62, 75)에 의해서 인코딩된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KR1020197008872A 2016-09-07 2017-09-07 영구적 마킹을 구비한 안경 렌즈 KR102416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306121.1 2016-09-07
EP16306121.1A EP3293565A1 (fr) 2016-09-07 2016-09-07 Verre de lunettes muni d'un marquage permanent
PCT/EP2017/072423 WO2018046580A1 (fr) 2016-09-07 2017-09-07 Verre de lunettes muni d'un marquage perman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682A true KR20190042682A (ko) 2019-04-24
KR102416170B1 KR102416170B1 (ko) 2022-07-04

Family

ID=56939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872A KR102416170B1 (ko) 2016-09-07 2017-09-07 영구적 마킹을 구비한 안경 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13487B2 (ko)
EP (1) EP3293565A1 (ko)
KR (1) KR102416170B1 (ko)
CN (1) CN109716213B (ko)
CA (1) CA3035106A1 (ko)
WO (1) WO2018046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5741S1 (en) 2016-12-15 2018-08-14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CN113253485A (zh) * 2016-12-27 2021-08-13 三井化学株式会社 镜片及眼睛佩戴物
KR102625450B1 (ko) 2017-03-16 2024-01-16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구강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
EP3451270A1 (en) * 2017-08-31 2019-03-06 Essilor International A method of ordering a new optical article, a method for launching production of a new optical article and an apparatus for ordering a new optical article
USD868243S1 (en) 2018-03-16 2019-11-26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tip
US20210397020A1 (en) * 2018-12-28 2021-12-23 Hoya Lens Thailand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member
FR3108989B1 (fr) * 2020-04-02 2022-04-01 Bnl Eurolens Procédé de traitement d’un article optique miroité
JP2022007102A (ja) * 2020-06-25 2022-01-13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光学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8040B1 (en) * 1997-01-28 2001-02-1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making an object made of translucent synthetic material, in particular an ophthalmic lens, marked object and corresponding reader
US20140016083A1 (en) * 2012-07-11 2014-01-16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Spectacle len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WO2014090883A1 (en) * 2012-12-14 2014-06-19 Novartis Ag Ophthalmic lens comprising a unique lens identification code
US20160116762A1 (en) * 2011-12-22 2016-04-28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spectacles lens, spectacles lens blank or spectacles lens semi-finished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378A (en) * 1979-12-11 1982-05-11 Kabushiki Kaisha Hoya Lens (Hoya Lens Corporation) Method for marking an indication to the lens
WO2002065171A2 (en) * 2001-01-25 2002-08-22 Jax Holdings, Inc. Multi-layer thin film optical filter arrangement
DE50211094D1 (de) 2001-12-05 2007-11-29 Rodenstock Gmbh Verfahren zur kennzeichnung von gegenst nden
FR2879313B1 (fr) * 2004-12-10 2007-04-06 Essilor Int Procede d'inscription de donnees sur une lentille, et lentille comprenant des donnees inscrites
US20100102025A1 (en) * 2008-10-28 2010-04-2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coated ophthalmic substrates or lens blanks having one or more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s
EP2488354B1 (en) * 2009-10-16 2018-11-21 Novartis AG Method for the simultaneous manufacture of ophthalmic lenses with different parameters on the same production line
FR2959831B1 (fr) 2010-05-10 2013-02-15 Essilor Int Procede de preparation d'une lentille ophtalmique equipee d'une marque memoire.
AU2012224045B2 (en) * 2011-02-28 2015-04-30 Hoya Corporation Optical lens
US20130335694A1 (en) * 2012-06-13 2013-12-19 Ming Chuan Huang Personalized eyeglasses
JP6005498B2 (ja) * 2012-12-12 2016-10-12 Hoya株式会社 レンズ加工システム、工具交換時期検出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FR3010924B1 (fr) * 2013-09-20 2015-11-06 Essilor Int Dispositif et procede de marquage laser d'une lentille ophtalmique
US20160350566A1 (en) * 2015-05-28 2016-12-01 Symbol Technologies, Llc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electro-optically reading targets of different types by image capture
WO2017179014A1 (en) * 2016-04-15 2017-10-19 Vectorim Lt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lacing features directly onto the rims of spectacle lenses
EP3332947A1 (en) * 2016-12-12 2018-06-13 LUXeXcel Holding B.V. Identification system for optical compon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8040B1 (en) * 1997-01-28 2001-02-1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making an object made of translucent synthetic material, in particular an ophthalmic lens, marked object and corresponding reader
US20160116762A1 (en) * 2011-12-22 2016-04-28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spectacles lens, spectacles lens blank or spectacles lens semi-finished product
US20140016083A1 (en) * 2012-07-11 2014-01-16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Spectacle len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WO2014090883A1 (en) * 2012-12-14 2014-06-19 Novartis Ag Ophthalmic lens comprising a unique lens identification c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16213A (zh) 2019-05-03
US20190258836A1 (en) 2019-08-22
CA3035106A1 (fr) 2018-03-15
KR102416170B1 (ko) 2022-07-04
CN109716213B (zh) 2021-05-28
WO2018046580A1 (fr) 2018-03-15
EP3293565A1 (fr) 2018-03-14
US11113487B2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170B1 (ko) 영구적 마킹을 구비한 안경 렌즈
US9562998B2 (en) Inconspicuous optical tags and methods therefor
CN109477977B (zh) 用于对光学制品做永久性可见标记的方法以及有标记的光学制品
US10691915B2 (en) Device for capturing an imprint of a body part
US8763917B2 (en) Machine-readable symbols
US7810725B2 (en) Microdot tag
US20050073650A1 (en)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system, method of manufacturing spectacle len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EP2713306B1 (en) Information code medium, and system and apparatus for reading information code provided by the same
JP2011073353A (ja) 赤外線吸収パターン付透明シート
CN109661608B (zh) 用于监测眼镜镜片的方法
US9165230B2 (en) Information code and information code reading apparatus
US20130264391A1 (en) Reflective surface having a computer readable code
CA26516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d/or recognizing markings in/at/on transparent marking carriers
JP6108562B2 (ja) 顔検出防止具
TW201539328A (zh) 光學標記讀取器
WO2023119773A1 (ja) 光学部材の製造方法、光学部材及び眼鏡
WO2024034341A1 (ja) 眼鏡レンズ及び眼鏡
WO2023120117A1 (ja)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2018132496A (ja) 透明物品の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