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474A - 생맥주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맥주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474A
KR20190042474A KR1020180123191A KR20180123191A KR20190042474A KR 20190042474 A KR20190042474 A KR 20190042474A KR 1020180123191 A KR1020180123191 A KR 1020180123191A KR 20180123191 A KR20180123191 A KR 20180123191A KR 20190042474 A KR20190042474 A KR 20190042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ft beer
carbon dioxide
draft
dioxide gas
b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239B1 (ko
Inventor
황명희
Original Assignee
황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희 filed Critical 황명희
Priority to PCT/KR2018/01220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78590A1/ko
Publication of KR2019004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이 셀프식으로 생맥주를 원하는 양만큼 컵에 따라 마실 수 있도록 다종의 생맥주를 판매함에 있어서 품질 유지와 관리의 편리성을 위한 시스템이다. 미처 경험하지 못한 수많은 종류의 생맥주가 판매되는 환경에서 고객이 생맥주를 소량 배출하여 시음하여 취향에 맞는 맥주를 찾을 수 있게 하여 취향에 맞지 않은 생맥주를 정해진 양만큼 억지로 마시거나 입맛에 맞지 않아 버리게 될 경우의 경제적인 손실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추출용 탄산가스에 의한 이른바 생맥주 내의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여 생맥주의 품질을 오랜 시간 유지시키고, 생맥주를 따를 때, 과도한 거품 발생으로 고객과의 시비가 생기는 것과 생맥주가 거품으로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맥주통의 생맥주 소진시 바닥에 남아 있는 미량의 생맥주가 거품을 이루면서 분출됨에 따른 주변 오염과 유량계의 비정상적 계측을 방지하고, 생맥주통 교체 시에 별도의 거품 제거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정상적인 생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며, 수회의 테그가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유량계의 계측 내용이 없을 경우에 종업원과 고객이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포스단말기에서 계산이 완료되면 RF카드의 등록이 자동 해지되도록 하여 관리의 편리성과 분실, 도난시 재사용을 방지하며, 종류와 단가를 업주와 종업원이 익숙한 포스시스템에서 입력,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생맥주 배출 시스템{Draft beet dispensing system}
본 발명은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객이 셀프식으로 생맥주를 컵에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해진 판매단위로 배출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양만큼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최근 많은 종류의 생맥주가 판매됨을 감안하여 처음 접하는 생맥주의 경우 적은 양으로 맛을 보고, 입맛에 맞는 맥주를 추가적으로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호에 맞지 않는 생맥주를 마시거나 정해진 판매 양으로 인해 다 음용하지 못하고 버리는 일이 없게 하여 경제적인 손실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맥주통에 공급되는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에 지나치게 녹아 들어가서 생맥주의 용존탄산이 고유의 용존탄산보다 상승하여 맛의 변질과 지나치게 거품을 발생 기키는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여 생맥주 고유의 풍미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많은 종류의 생맥주를 판매함으로써 생맥주 교체 주기가 길어지거나, 생맥주의 적정 용존탄산을 유지함으로써 경험이 부족한 고객이 직접 생맥주를 셀프로 추출할 때 과도한 거품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가 소진된 상태에서 생맥주 배출탭을 내릴 경우 생맥주통의 바닥에 남아 있는 미량의 생맥주가 추출용 탄산가스와 섞여서 거품을 이루면서 분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생맥주배출관 내에 항상 생맥주가 채워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생맥주통을 교체한 후 처음 영업 시작시와 같은 준비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생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입장할 때 카운터에 구비된 태그리더기에 RF태그를 태그하여 포스단말기에 테이블을 지정 등록되게 하고, 고객이 퇴장할 때 포스단말기에서 계산이 완료되면 등록이 자동 해지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리셋 작업 없이 RF태그의 관리작업이 편리하게 되도록 함과 아울러 RF태그의 분실, 도난 시에도 계산으로 자동 리셋되도록 함으로써 고의적인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맥주의 단가를 업주와 종업원이 익숙한 포스시스템에서 입력,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주나 종업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맥주통의 생맥주가 다 소진되었을 때 직원이 이를 쉽게 발견하여 새로운 생맥주통으로 교체하게 하고, 고객은 소진된 생맥주 탭에 불필요한 테그를 하지 않게 하는 판매 중지(솔드아웃)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맥주를 취급하는 음식점, 주점 또는 맥주전문점(이하, '매장'이라 통칭함)에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이 구비된다.
종래의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맥주가 저장된 생맥주통(10)과; 상기 생맥주통(10)에 주입하기 위한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된 탄산가스통(20)과; 상기 탄산가스통(20)의 추출용 탄산가스를 상기 생맥주통(10)에 주입하기 위한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수단(30)과; 상기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를 배출하기 위한 생맥주 배출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생맥주통(10)은 상단에 구비되는 탄산가스 주입밸브(11)와, 상기 생맥주통(10) 내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탄산가스 주입밸브(11)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10)의 상단과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의 최대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탄산가스 내부주입관(13)을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통(10)은 상단에 구비되는 생맥주통 개폐밸브(14)와, 상기 생맥주통(10) 내에 설치되며 상단이 생맥주통 개폐밸브(15)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10)의 바닥에 근접 위치하는 내부배출관(17)을 포함한다.
상기 탄산가스통(20)은 상단에 구비되는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를 포함한다.
상기 탄산가스 주입밸브(11)와 생맥주통 개폐밸브(15)는 생맥주통(10)을 보관 및 운반할 때와 영업 시작 전과 영업 종료 후에는 폐쇄하여 생맥주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영업을 시작할 때 개방하여 탄산가스의 주입과 생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는 탄산가스통(20)을 보관 및 운반할 때와 탄산가스 영업 시작 전과 영업 종료 후에는 폐쇄하여 탄산가스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영업을 시작할 때 개방하여 탄산가스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탄산가스 주입밸브(11)와 생맥주통 개폐밸브(14) 및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는 각각 손잡이(12, 15, 22)가 구비된 수동식 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2, 15, 22)는 레버식 또는 원형 핸들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에는 압력계(23)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탄산가스 주입수단(30)은 상기 탄산가스 공급밸브(21)와 탄산가스 주입밸브(11) 사이에 연결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31)을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 배출수단(40)은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 개폐밸브(14)에 연결되고 상부로 연결되는 생맥주 외부배출관(41)과,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생맥주 배출탭(42)을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은 탭레버(43)와, 배출구(44)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매장의 영업을 시작할 때, 종업원이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 잔량과 탄산가스통(2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 잔량과 압력을 체크하고,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를 개방하여, 탄산가스통(2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탄산가스 외부주입관(31)을 통해 생맥주통(10)에 주입되고, 생맥주통(10)에 주입된 추출용 탄산가스는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의 표면 위에 추출용 탄산가스층을 형성하면서 생맥주의 표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생맥주 배출탭(42)의 탭레버(43)를 내려서 시험 배출한 다음, 탭레버(43)를 올려서 생맥주 배출탭(42)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는 생맥주 배출탭(42)이 폐쇄되고,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은 상단이 생맥주 배출탭(42)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고, 하단은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에 잠겨 있으므로 생맥주 내부배출관(17)과 생맥주 외부배출관(41) 내에는 생맥주가 채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생맥주 내부배출관(17)의 하단이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에 충분히 잠긴 상태에서 생맥주 배출탭(42)의 탭레버(43)를 내리면 생맥주 배출탭(42)이 개방되면서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생맥주 내부배출관(17), 생맥주통 개폐밸브(11),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을 통해 상승하여 생맥주 배출탭(42)의 배출구(44)를 통해 배출된다.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소진되어 생맥주 내부배출관(17)의 하단이 생맥주에 충분히 잠겨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추출용 탄산가스층이 생맥주통(10)의 바닥에까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맥주 배출탭(42)의 탭레버(43)를 내리면 생맥주 배출탭(42)이 개방되면서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 내부배출관(17), 생맥주통 개폐밸브(11),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을 통하여 상승하여 생맥주 배출탭(42)의 베출구(44)를 통해 분출된다.
이때 생맥주통(10)의 바닥에 남아 있는 미량의 생맥주가 추출용 탄산가스와 섞여서 거품을 이루면서 분출되면서 주변을 오염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유량계측기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생맥주의 배출량을 계측하여 셀프식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탄산가스의 분출로 인하여 유량계측기가 실제 유량보다 훨씬 많은 양이 배출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어 실제 이용 금액보다 과도하게 많은 금액이 청구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실제 이용 금액보다 과도하게 많은 금액이 청구됨에 따른 고객과의 시비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을 상기 생맥주통 개폐밸브(11)에 연결되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에 연결되는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으로 구성하고,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의 상단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의 하단 사이에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은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상기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사이에 연결되는 챔버(51)와, 상기 챔버(51) 내에 부상 및 침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뜨개(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51)는 하단이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의 상단에 연결되고, 측면이 상기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에 연결된다.
상기 뜨개(52)는 부상하였을 때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이 챔버(51)를 통하여 연통되게 하고, 침강하였을 때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은 생맥주 내부배출관(17)의 하단이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에 충분히 잠겨 있는 경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챔버(51)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에 생맥주가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뜨개(52)가 부상하여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이 연통되는 상태로 유지되어 생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고,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소진되어 생맥주 내부배출관(17)의 하단이 생맥주에 충분히 잠겨 있지 않을 경우 뜨개(52)가 부력을 잃고 하강하여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을 차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추출용 탄산가스의 분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탄산가스분출방지장치(50)는 생맥주 내부배출관(17)의 하단이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에 충분히 잠겨 있더라도 탄산가스통(20) 내의 탄산가스압이 저하되어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 표면에 가해지는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생맥주 내부배출관(17),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 챔버(51)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내에 채워진 생맥주의 수두압보다 낮아지는 경우, 생맥주 내부배출관(17),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 챔버(51)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내에 채워져 있던 생맥주가 생맥주통(10)으로 역류(내려감)하게 되고, 뜨개(52)가 부력을 잃고 하강하여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을 차단하여 다시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정상으로 돌아오더라도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배출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의 뜨개(52)를 수동으로 복구(상승)시키고, 처음 영업 시작시와 같은 준비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생맥주 고유의 풍미를 유지하기 위한 생맥주의 용존탄산가스압은 생맥주의 종류에 따라 0.5bar ~ 1bar이고,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를 추출하기 위해서 주입되는 추출용 탄산가스압은 생맥주를 방출하는 환경(냉장고 방식 혹은 냉각기 방식)에 따라 0.8~ 4bar 정도이다.
종래 기술 및 상기 선행기술 1, 2가 채용된 매장에서는 통상적으로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와 탄산가스 주입밸브(11)를 영업시간 내내 개방하여 두는바,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 표면에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가해지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에 지속적으로 녹아들어가서 생맥주의 용존탄산이 높아지는 과탄산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생맥주가 고유의 풍미를 잃게 될 뿐만 아니라 생맥주를 배출될 때 과도한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과탄산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생맥주를 배출하지 않는 동안에는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 또는 탄산가스 주입밸브(11)를 폐쇄하고, 생맥주를 배출할 때에만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 또는 탄산가스 주입밸브(11)를 개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수시로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 또는 탄산가스 주입밸브(11)를 개폐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통상 소형 생맥주집에는 하나의 생맥주 배출 시스템이 설치되지만 수십 내지 수백 종의 생맥주를 판매하는 생맥주전문점에서는 수 십 내지 수 백 개의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와 탄산가스 주입밸브(11)를 개폐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방법은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수동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생맥주통(10)과 탄산가스통(20) 및 생맥주 배출탭(42)을 매장의 주방 또는 카운터에 설치하여 고객의 주문에 따라 종업원이 생맥주컵을 배출구(44)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탭레버(43)를 내려서 배출구(44)를 통해 배출되는 생맥주를 생맥주컵에 담아서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생맥주 배출 시스템이 적용된 매장에 입장한 고객은 곧바로 테이블로 이동하고, 생맥주를 주문하기 위해서는 종업원이 테이블로 오기를 기다리거나 호출벨을 눌러 종업원을 호출하고 있다.
또한 종업원에게 주문을 한 경우 고객이 많고 주문량이 많은 경우 종업원이 혼동하여 주문한 생맥주가 아닌 다른 생맥주가 나와 고객으로서는 기분을 상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잘못 나온 메뉴를 반려하고 주문메뉴가 나올 때까지 다시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셀프 서비스 방식의 매장(이하, '셀프식 매장'이라 함)에서는 고객이 직접 계산대까지 이동하여 주문 및 계산을 하고, 생맥주를 컵에 따라서 들고 다시 테이블로 되돌아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술한 일반 매장에서의 문제점도 그대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2034호(20)09.12.07. 등록) "오크통 생맥주 공급량에 따른 요금계산시스템"(이하, '선행기술')은 오크통에 설치 구성된 생맥주 배출코크에 의해 생맥주를 즉석에서 음용할 경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데이터를 수신받아 현재 배출된 맥주량 혹은 지금까지 누적된 생맥주량을 소비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며, 동시에 통신수단을 통해 포스단말기로 제공하여 자동 계산이 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각 테이블에 설치된 오크통에 달린 생맥주 배출코크를 개방하여 생맥주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 테이블 마다 오크통과 탄산가스통, 생맥주 배출코크, 디스플레이패널 등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1~2 종류의 맥주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가능할 수도 있겠으나, 수십 종 내지 수백여 종 이상의 매우 다양한 맥주를 취급하는 맥주전문점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1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11293호(20)15.04.06. 등록) "셀프 맥주판매 장치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 2')은 주류나 음료별로 인접 설치되는 배출구와 태그리더기, 태그리더기와 함께 설치되어 RF태그를 태그리더기에 접촉할 때 주류나 음료의 금액과 누적 금액을 표시함과 동시에 그 양을 선택하게 하는 표시부, 배출구로 배출되는 음료나 주류를 단속하는 밸브, 배출되는 음료나 주류의 양을 계측하는 유량계, 음료나 주류가 선택된 양만큼 배출되도록 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맥주를 셀프식으로 판매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 수많은 소규모 양조장이 생겨나고 세계적으로 크레프트 생맥주의 열풍이 불면서 다양한 종류의 맥주를 취급하고 있는 맥주전문점의 인기가 상승하고 있으며, 이러한 맥주전문점에서는 고객이 경험해보지 못한 종류의 맥주가 많아 처음 맛보는 맥주를 시음해 보는 즐거움과 입맛에 맞는 맥주를 선택하여 본격적으로 마시고자 하는 요구가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배출할 수 있는 맥주량이 대, 중, 소 또는 300cc, 500cc, 1000cc 등 판매단위로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맛을 볼 수 있는 한 모금의 양, 예컨대 10cc ~ 50cc정도를 배출할 수 없어 처음부터 판매단위의 양을 선택할 수밖에 없고, 최근에 다양한 맛과 향이 포함된 수많은 맥주들이 생산됨에 따라 고객이 입맛에 맞지 않는 맥주를 배출했을 경우 지정 배출된 양을 억지로 마시거나, 마시지 못하고 그대로 남기게 되어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맥주가 그대로 방류수계로 방출됨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2는 고객이 퇴장시 RF태그를 카운터에 구비된 태그리더기에 다시 접촉하여 모니터에 음료나 주류의 종류와 가격 및 누적 금액이 표시되게 하고, 누적 금액의 계산 후 RF태그의 ID로 저장된 내용을 리셋시켜 RF태그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계산을 위하여 RF태그를 다시 카운터에 구비된 태그리더기에 접촉하여야 하는 과정과, 모니터를 보고 키패드를 이용하여 리셋시키는 과정이 더 필요하게 되어 종업원의 업무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1, 2는 영업 시작부터 종료 시까지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 표면에 가해지기 때문에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에 추출용 탄산가스가 녹아들어가서 과탄산 현상을 발생시켜 생맥주 본연의 풍미를 잃게 되고, 생맥주 배출시 과다한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2034호(20)09.12.07. 등록) "오크통 생맥주 공급량에 따른 요금계산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11293호(20)15.04.06. 등록) "셀프 맥주판매 장치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셀프식으로 생맥주를 컵에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해진 판매단위로 배출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양만큼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최근 많은 종류의 생맥주가 판매됨을 감안하여 처음 접하는 생맥주의 경우 적은 양으로 맛을 보고, 입맛에 맞는 맥주를 추가적으로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호에 맞지 않는 생맥주를 마시거나 정해진 판매 양으로 인해 다 음용하지 못하고 버리는 일이 없게 하여 경제적인 손실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맥주통에 공급되는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에 지나치게 녹아 들어가서 생맥주의 용존탄산이 고유의 용존탄산보다 상승하여 맛의 변질과 지나치게 거품을 발생시키는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여 생맥주 고유의 풍미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많은 종류의 생맥주를 판매함으로써 생맥주 교체 주기가 길어지거나, 생맥주의 적정 용존탄산을 유지함으로써 경험이 부족한 고객이 직접 생맥주를 셀프로 추출할 때 과도한 거품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가 소진된 상태에서 생맥주 배출탭을 내릴 경우 생맥주통의 바닥에 남아 있는 미량의 생맥주가 추출용 탄산가스와 섞여서 거품을 이루면서 분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생맥주배출관 내에 항상 생맥주가 채워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생맥주통을 교체한 후 거품을 제거하는 과정없이 생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이 입장할 때 카운터에 구비된 태그리더기에 RF태그를 태그하여 포스단말기에 테이블을 지정 등록되게 하고, 고객이 퇴장할 때 포스단말기에서 계산이 완료되면 등록이 자동 해지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리셋 작업 없이 RF태그의 관리작업이 편리하게 되도록 함과 아울러 RF태그의 분실, 도난 시에도 계산으로 자동 리셋되도록 함으로써 고의적인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맥주의 단가를 업주와 종업원이 익숙한 포스시스템에서 입력,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주나 종업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 또 다른 목적은 생맥주통의 생맥주가 다 소진되었을 때 직원이 이를 쉽게 발견하여 새로운 생맥주통으로 교체하게 하고, 고객은 소진된 생맥주 탭에 불필요한 테그를 하지 않게 하는 판매 중지(솔드아웃)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생맥주가 저장되는 생맥주통과;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되는 탄산가스통과;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과 탄산가스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포함하는 탄산가스 주입수단과;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에 연결되는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외부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탭레버와 배출구를 가지는 생맥주 배출탭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모드와,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차단하여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생맥주통이 대기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생맥주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배출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의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는 과탄산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생맥주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맥주가 저장되는 생맥주통과;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되는 탄산가스통과;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과 탄산가스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포함하는 탄산가스 주입수단과;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에 연결되는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탭레버와 배출구를 가지는 생맥주 배출탭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수단; 및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 사이에 연결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부상 및 침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뜨개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가 생맥주 내부배출관,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을 통해 생맥주 배출탭으로 배출되는 것은 허용하고, 반대로 생맥주 배출탭,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 및 생맥주 내부배출관을 통해 생맥주통으로 역류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는 생맥주역류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맥주가 저장되는 생맥주통과;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되는 탄산가스통과;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과 탄산가스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포함하는 탄산가스 주입수단과;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에 연결되는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탭레버와 배출구를 가지는 생맥주 배출탭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수단; 및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 사이에 연결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부상 및 침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뜨개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모드와,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차단하여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생맥주통이 대기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생맥주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배출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의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는 과탄산방지수단과;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가 생맥주 내부배출관,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을 통해 생맥주 배출탭으로 배출되는 것은 허용하고, 반대로 생맥주 배출탭,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 및 생맥주 내부배출관을 통해 생맥주통으로 역류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는 생맥주역류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탄산방지수단은,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전원이 차단되면 폐쇄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개방되는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와;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도중에 설치되는 유량계측기와; 상기 유량계측기의 유량계측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자접촉기; 및 상기 전자접촉기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초기 탄산가스 주입용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맥주가 저장되는 생맥주통과;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되는 탄산가스통과;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과 탄산가스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포함하는 탄산가스 주입수단과;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에 연결되는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외부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탭레버와 배출구를 가지는 생맥주 배출탭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주입수단은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의 도중에 설치되는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맥주 배출수단은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도중에 설치되는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와 유량계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를 제어하는 셀프식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매장의 카운터에 비치되는 등록용 태그리더기와; 상기 생맥주 배출탭에 인접 설치되며 탭 번호가 저장된 인식용 태그리더기와; 매장의 카운터에 비치되며 상기 등록용 태그리더기와 연결되며, 계산이 완료되면 등록 RF태그의 등록이 자동적으로 해지되도록 하는 포스단말기와; 상기 생맥주 배출탭에 인접 설치되는 표시부; 및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와 유량계측기와 상기 포스단말기 및 표시부에 연결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포스단말기는, 데이터 저장부와, 디스플레이 패널 및 포스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탭 번호에 대응하는 생맥주의 종류별 단가가 저장되고, 상기 등록용 태그리더기에 태그된 RF태그 고유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테이블 번호,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태그된 RF태그 고유번호와 일치하는 테이블 번호별로 배출된 생맥주 종류, 배출량을 저장하며, 상기 포스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이블 번호란이 터치된 후 RF태그를 상기 등록용 태그리더기에 태그되면 RF태그 고유번호가 테이블 번호별로 등록되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RF태그 등록명령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RF태그 고유번호별로 생맥주 종류, 배출량, 배출량과 단가의 적산 금액 및 누적 금액과 함께 테이블별 전체 누적 금액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 저장 및 표시명령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테이블 번호란이 터치되었을 때, 생맥주 종류, 배출량, 금액 및 누적 금액이 표시되게 하는 표시됨과 아울러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계산대기명령과, 결제가 완료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결제완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생맥주 종류, 배출량이 삭제되게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이블 번호란에 표시되었던 생맥주 종류, 배출량, 금액 및 누적 금액이 해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RF태그의 등록을 해지하는 RF태그리셋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영업 시작시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생맥주 종류와 단가를 포함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하고, 손님이 등록용 태그리더기에 RF태그를 태그하고, 배출탭의 탭레버를 내려서 배출구를 통해 생맥주가 배출되면,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유량계측기에서 계측된 배출량과 배출량에 단가를 적산한 금액을 표시하며, 생맥주 배출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다시 생맥주 종류와 단가를 포함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RF태그가 태그되지 않은 평상시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저장된 탭 번호와 상기 포스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탭 번호별 생맥주 종류와 단가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대기화면표시명령을 출력하며,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RF태그가 태그되면 인식용 태그리더기로부터 탭 번호와 RF태그 고유번호를 전송받고 해당 RF태그 고유번호를 상기 포스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RF태그 고유번호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RF태그 고유번호가 있으면 상기 탄산가스 주입수단의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생맥주 배출수단의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에 대한 개방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생맥주 배출탭의 탭레버가 내려졌다가 올려질 때까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생맥주 배출량을 계측하는 유량계측기로부터 생맥주 배출량 계측값을 전송받아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저장되어 있는 탭 번호와 함께 RF태그 고유번호와 배출량 정보를 상기 포스단말기에 전송하는 배출정보전송명령을 출력하며, 상기 생맥주 배출탭의 탭레버가 올려져 생맥주의 배출이 중지되면, 유량계측기로부터 배출량 없음 계측값을 전송받아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에 대한 폐쇄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생맥주 배출탭의 탭레버가 내려갔다가 올라와서 생맥주의 배출이 중지되고 유량계측기로부터 배출량 없음 계측값을 전송받았을 때 곧바로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를 폐쇄하지 않고,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유량계측기로부터 계속하여 배출량 없음 계측값이 전송되는 경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RF태그가 수회 반복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량계측기에 생맥주의 배출량이 계측되지 않으면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가 소진된 것으로 간주하고,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가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와 포스단말기의 디스플레이패널에 "소진" 또는 "SOLD OUT"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생맥주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에 녹아들어가는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는 과탄산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과탄산방지수단은 상기 탄산가스외부주입관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지 않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차단모드와,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모드와,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생맥주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배출모드로 작동되는 전자식 3방향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3방향 밸브는 상기 탄산가스외부주입관의 탄산가스통 측에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탄산가스외부주입관의 생맥주통 측에 연결되는 제2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와 대기를 연결하는 제2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탄산방지수단은 상기 전자식 3방향 밸브의 제3 포트에 연결되어 생맥주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의 배출은 허용하고, 대기 중의 공기의 생맥주통 내의 유입은 차단하는 탄산가스 배출용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을 상기 생맥주통 개폐밸브에 연결되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생맥주 배출탭에 연결되는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로 구성되고,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상단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과;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 챔버 및 생맥주 내부배출관 내에 채워져 있던 생맥주가 생맥주통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생맥주역류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의하면 RF태그와 태그리더기와 포스단말기를 포함하는 셀프식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고객이 셀프식으로 생맥주를 컵에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해진 판매단위로 배출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양만큼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처음 접하는 종류의 생맥주의 경우 소량 따라서 맛을 본 다음 입맛에 맞을 경우에만 추가적으로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생맥주의 버리는 일이 없게 하여 경제적인 손실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의하면 과탄산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생맥주통에 공급되는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에 녹아들어가서 생맥주의 용존탄산이 적정 용존탄산보다 상승하는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여 생맥주 고유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생맥주의 배출시 과도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의하면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과 생맥주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가 소진된 상태에서 생맥주 배출탭을 내릴 경우 생맥주통의 바닥에 남아 있는 미량의 생맥주가 추출용 탄산가스와 섞여서 거품을 이루면서 분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생맥주 배출관 내에 항상 생맥주가 채워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생맥주통을 교체한 후 거품 제거등 준비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생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의하면 고객이 입장할 때 카운터에 구비된 태그리더기에 RF태그를 태그하여 포스단말기에 등록되게 하고, 고객이 퇴장할 때 포스단말기에서 계산이 완료되면 등록이 자동 해지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리셋 작업 없이 RF태그의 관리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의하면 생맥주의 단가를 업주와 종업원이 익숙한 포스시스템에서 입력,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주나 종업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맥주통에 생맥주가 소진 되었을 때 종업원이 이를 쉽게 발견하여 생맥주통을 교체할 수 있으며, 고객이 소진된 생맥주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RF태그를 불필요하게 태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계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보인 계통도,
도 5는 셀프식 제어수단을 보인 기능블록도,
도 6은 포스단말기의 기능블록도,
도 7은 종래 생맥주 배출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맥주가 저장된 생맥주통(10)과; 상기 생맥주통(10)에 주입하기 위한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된 탄산가스통(20)과; 상기 탄산가스통(20)의 추출용 탄산가스를 상기 생맥주통(10)에 주입하기 위한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수단(30)과; 상기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를 배출하기 위한 생맥주 배출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생맥주통(10)은 상단에 구비되는 탄산가스 주입밸브(11)와, 상기 생맥주통(10) 내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탄산가스 주입밸브(11)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10)의 상단과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의 최대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탄산가스 내부주입관(13)을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통(10)은 상단에 구비되는 생맥주통 개폐밸브(14)와, 상기 생맥주통(10) 내에 설치되며 상단이 생맥주통 개폐밸브(15)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10)의 바닥에 근접 위치하는 내부배출관(17)을 포함한다.
상기 탄산가스통(20)은 상단에 구비되는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를 포함한다.
상기 탄산가스 주입밸브(11)와 생맥주통 개폐밸브(15)는 생맥주통(10)을 보관 및 운반할 때와 영업 시작 전과 영업 종료 후에는 폐쇄하여 생맥주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영업을 시작할 때 개방하여 탄산가스의 주입과 생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는 탄산가스통(20)을 보관 및 운반할 때와 탄산가스 영업 시작 전과 영업 종료 후에는 폐쇄하여 탄산가스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영업을 시작할 때 개방하여 탄산가스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탄산가스 주입밸브(11)와 생맥주통 개폐밸브(14) 및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는 각각 손잡이(12, 15, 22)가 구비된 수동식 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2, 15, 22)는 레버식 또는 원형 핸들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에는 압력계(23)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탄산가스 주입수단(30)은 상기 탄산가스 공급밸브(21)와 탄산가스 주입밸브(11) 사이에 연결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31)을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 배출수단(40)은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 개폐밸브(14)에 연결되고 상부로 연결되는 생맥주 외부배출관(41)과,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생맥주 배출탭(42)을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은 탭레버(43)와, 배출구(44)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은 방법으로 생맥주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생맥주통(10) 내에 주입된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에 녹아들어가서 생맥주 고유의 탄산가스압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과탄산방지수단(1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과탄산방지수단(100)은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31)의 도중에 설치되어 전원이 차단되면 폐쇄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개방되는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와;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의 도중에 설치되는 유량계측기(120)와; 상기 유량계측기(120)의 유량계측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자접촉기(130); 및 상기 전자접촉기(130)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초기 탄산가스 주입용 스위치(14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와 유량계측기(120)에는 직류전원(도시생략)이 연결되며,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는 전자접촉기(130)와 초기 탄산가스 주입용 스위치(140)를 통하여 유량계측기(12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영업 시작시 탄산가스 주입밸브(11), 생맥주통 개폐밸브(14)와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를 개방하고, 초기 탄산가스 주입용 스위치(140)를 온으로 하면,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가 개방되어 탄산가스통(2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 탄산가스 외부주입관(31), 탄산가스 주입밸브(11) 및 탄산가스 내부주입관(13)을 통해 생맥주통(10) 내에 주입된다.
여기서 생맥주통(10)에 대한 초기 탄산가스 주입은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처음 추출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므로 초기 탄산가스 주입용 스위치(140)를 5~10 초 정도 온으로 한 다음, 바로 오프로 하여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때, 생맥주 외부배출관(41)에는 생맥주가 흐르지 않는 상태이므로 유량계측기(120)는 생맥주의 유량이 없음을 제어부가 인지하여 전자접촉기(130)로 하여금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가 폐쇄되어 탄산가스통(2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통(10)에 주입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탭레버(43)를 올리면 생맥주통(10)에 주입되어 있는 추출용 탄산가스압에 의하여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생맥주 내부배출관(17)과 생맥주 외부배출관(41) 및 생맥주 배출탭(42)의 배출부(44)를 통해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의 도중에 설치된 유량계측기(120)가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을 통해 배출되는 생맥주의 유동이 있음을 계측하게 되고, 유량계측기(120)의 계측신호를 전달받은 전자접촉기(130)는 자체 내장된 제어회로(스위칭회로)에 의하여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에 인가되는 전류방향을 개방작동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110)가 개방되어 탄산가스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탄산가스 외부주입관(31)과 탄산가스 내부주입관(13)을 통해 생맥주통(10) 내로 주입되어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생맥주 내부배출관(17)과 생맥주 외부배출관(41) 및 배출부(44)를 통하여 배출된다.
반대로 탭레버(43)를 내리면 생맥주의 배출이 차단되고, 생맥주 외부배출관(41)에는 생맥주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유량계측기(120)가 생맥주의 유동이 없음을 계측하게 되고, 유량계측기(120)의 계측신호를 전달받은 전자접촉기(130)는 자체 내장된 제어회로(스위칭회로)에 의하여 전자식 탄산가스개폐밸브(110)에 인가되는 전류방향을 폐쇄작동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전자식 탄산가스개폐밸브(110)가 차단되어 탄산가스통(2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의 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의하면, 탄산가스통(2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 배출탭(42)의 탭레버(43)를 내려서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배출되는 동안에만 생맥주통(10)에 주입되고, 탭레버(43)를 올려서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배출되지 않는 동안에는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과탄산 현상이 방지되고, 생맥주내의 용존탄산이 적정 용존탄산으로 유지되어 생맥주 고유의 풍미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유량계측기(120)는 탭레버(43)의 위치, 즉 올린 위치와 내린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로 대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맥주통(10), 탄산가스통(20), 탄산가스 주입수단(30), 생맥주 배출수단(40)을 포함함과 아울러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통(10), 탄산가스통(20), 탄산가스 주입수단(30), 생맥주 배출수단(4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은 상술한 종래 기술(도 7도 참조)의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은 상기생맥주통 개폐밸브(14)에 연결되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에 연결되는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로 구성된다.
상기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은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상기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사이에 연결되는 챔버(51)와, 상기 챔버(51) 내에 부상 및 침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뜨개(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51)는 하단이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의 상단에 연결되고, 측면이 상기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에 연결된다.
상기 뜨개(52)는 부상하였을 때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이 챔버(51)를 통하여 연통되게 하고, 침강하였을 때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은 생맥주 내부배출관(17)의 하단이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에 충분히 잠겨 있는 경우에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챔버(51)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에 생맥주가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뜨개(52)가 부상하여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이 챔버(51)를 통하여 연통되는 상태로 유지되어 생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고,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소진되어 생맥주 내부배출관(17)의 하단이 생맥주에 충분히 잠겨 있지 않을 경우 뜨개(52)가 부력을 잃고 침강하여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을 차단하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탄산가스의 분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생맥주 내부배출관(17)의 하단이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에 충분히 잠겨 있더라도 탄산가스통(20) 내의 탄산가스압이 저하(평상시 저하되지 않으나 과탄산 방지를 위해 생맥주통 내의 탄산가스를 배출하게 되는 기능을 수행 할 경우에 생맥주통내의 압력 저하가 생길 수 있음)되어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 표면에 가해지는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생맥주 내부배출관(17),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 챔버(51)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내에 채워진 생맥주의 수두압보다 낮아지는 경우, 생맥주 내부배출관(17),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 챔버(51)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내에 채워져 있던 생맥주가 생맥주통(10)으로 역류(내려감)하게 되고, 뜨개(52)가 부력을 잃고 하강하여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을 차단하여 다시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정상으로 돌아오더라도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챔버(51) 및 생맥주 내부배출관(17) 내에 채워져 있던 생맥주가 생맥주통(10)으로 역류하는 것(생맥주통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생맥주역류방지수단(2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역류방지수단(200)은 상기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생맥주 내부배출관(17),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을 통해 생맥주 배출탭(42)로 배출되는 것은 허용하고, 반대로 생맥주 배출탭(42),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 및 생맥주 내부배출관(17)을 통해 생맥주통(10)으로 역류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 체크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생맥주역류방지수단(200)은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정상적인 배출과정을 통해 배출되면서 생맥주 내부배출관(17),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의 챔버(51),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내에 채워져 있는 생맥주가 상기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상기 생맥주배출관(40) 내의 생맥주 수두압보다 낮아졌을 때, 생맥주통(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생맥주 내부배출관(17) 내에 채워져 있던 생맥주도 생맥주통(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과 생맥주역류방지수단(200)의 협동으로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소진되었을 때 추출용 탄산가스의 분출과 추출용 탄산가스와 생맥주통(10)의 바닥에 남아 있던 미량의 생맥주가 거품을 이루면서 분출하여 주변으로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 표면에 가해지는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상기 생맥주 배출수단(40) 내의 생맥주의 수두압보다 낮아졌다가 다시 정상 압력으로 돌아왔을 때 탭레버(43)를 내리면, 생맥주 배출코크(42),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챔버(51),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 및 생맥주 내부배출관(17)에 채워져 있는 생맥주가 곧바로 배출됨과 아울러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뒤따라서 배출되므로 별도의 복구 작업과 영업 준비 작업 없이 곧바로 생맥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생맥주통(10)에 생맥주가 소진 되었을 때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에 의한 뜨개(52)의 하부 침강으로 가스가 차단되고 생맥주를 교체하게 된다. 체크밸브(200)는 과탄산 방지를 위해 생맥주통(10)의 탄산을 조절 배출 했을 때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압 저하로 생맥주통(10)에 생맥주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강 역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과탄산방지수단(100)과,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역류방지수단(200)을 채용한 것이다.
상기 과탄산방지수단(100)과 생맥주역류방향수단(200)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생맥주 배출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맥주가 저장된 생맥주통(10)과; 상기 생맥주통(10)에 주입하기 위한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된 탄산가스통(20)과; 상기 탄산가스통(20)의 추출용 탄산가스를 상기 생맥주통(10)에 주입하기 위한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수단(30)과; 상기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를 배출하기 위한 생맥주 배출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생맥주통(10)은 상단에 구비되는 탄산가스 주입밸브(11)와, 상기 생맥주통(10) 내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탄산가스 주입밸브(11)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10)의 상단과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의 최대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탄산가스 내부주입관(13)을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통(10)은 상단에 구비되는 생맥주통 개폐밸브(14)와, 상기 생맥주통(10) 내에 설치되며 상단이 생맥주통 개폐밸브(15)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10)의 바닥에 근접 위치하는 내부배출관(17)을 포함한다.
상기 탄산가스통(20)은 상단에 구비되는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를 포함한다.
상기 탄산가스 주입밸브(11)와 생맥주통 개폐밸브(15)는 생맥주통(10)을 보관 및 운반할 때와 영업 시작 전과 영업 종료 후에는 폐쇄하여 생맥주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영업을 시작할 때 개방하여 탄산가스의 주입과 생맥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는 탄산가스통(20)을 보관 및 운반할 때와 탄산가스 영업 시작 전과 영업 종료 후에는 폐쇄하여 탄산가스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영업을 시작할 때 개방하여 탄산가스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탄산가스 주입밸브(11)와 생맥주통 개폐밸브(14) 및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는 각각 손잡이(12, 15, 22)가 구비된 수동식 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2, 15, 22)는 레버식 또는 원형 핸들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산가스통 개폐밸브(21)에는 압력계(23)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탄산가스 주입수단(30)은 상기 탄산가스 공급밸브(21)와 탄산가스 주입밸브(11) 사이에 연결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31)을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 배출수단(40)은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 개폐밸브(14)에 연결되고 상부로 연결되는 생맥주 외부배출관(41)과,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생맥주 배출탭(42)을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은 상기 생맥주통 개폐밸브(11)에 연결되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에 연결되는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은 탭레버(43)와, 배출구(44)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것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상기 탄산가스 주입수단(30)은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31)의 도중에 설치되는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맥주 배출수단(40)은 상기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의 도중에 설치되는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45)와 유량계측기(4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32)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45)를 제어하는 셀프식 제어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탄산가스 주입수단(30)에 의한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과 생맥주 배출수단(40)에 의한 생맥주의 배출이 전자식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셀프식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셀프식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서는 매장의 벽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격벽을 설치하여 벽면과 격벽 사이에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그 설치공간에 생맥주통(10), 탄산가스통(20), 탄산가스 주입수단(30), 생맥주 배출수단(40)을 생맥주의 종류별로 복수개 설치하고, 각 생맥주 배출수단(40)의 생맥주 배출탭(42)만 격벽의 홀 측에 나란히 설치하여 매장의 홀 측에서는 생맥주 배출탭(42)만 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생맥주통(10), 탄산가스통(20), 탄산가스 주입수단(30), 생맥주 배출수단(40)은 생맥주의 종류별로 설치되며, 인기가 많은 종류에 대해서는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셀프식 제어수단(300)은 매장의 카운터에 비치되는 등록용 태그리더기(310)와;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에 인접 설치되며 탭 번호가 저장된 인식용 태그리더기(320)와; 매장의 카운터에 비치되며 상기 등록용 태그리더기(310)와 연결되는 포스단말기(330)와;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에 인접 설치되는 표시부(340); 및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32)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45)와 유량계측기(46)와 상기 포스단말기(330) 및 표시부(340)에 연결되는 시스템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록용 태그리더기(310)는 상기 포스단말기(330)와 연결되며, 태그되는 RF태그 고유번호를 독취하여 상기 포스단말기(3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RF태그(TAG)는 RFID가 구비된 카드형, 밴드형, 블록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등록용 태그리더기(310)와 인식용 태그리더기(320)는 상기 RF태그(TAG)는 물론 교통카드와 삼성페이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RF태그로 통칭한다.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320)는 상기 제어부(350)와 연결되며, 태그되는 RF태그 고유번호를 상기 제어부(35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50)는 전송받은 RF태그 고유번호를 상기 포스단말기(3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유량계측기(46)에서 계측된 배출유량을 전송받아 RF태그 고유번호와 함께 탭 번호와 배출유량과 함께 포스단말기(3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스단말기(330)는 데이터 저장부(331)와 디스플레이 패널(332) 및 포스단말기 제어부(333)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단말기(330)는 판매시점정보관리(P.O.S. : Point of Sale) 단말기를 말한다.
상기 포스단말기(330)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체로 된 일체형 피씨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각종 신용카드와 직불카드 및 기프트카드를 독취하는 마그네틱카드 리버와 IC카드 리더가 구비되며, 후면에 구비된 각종 IO포트를 이용하여 등록용 태그리더기(310)와 시스템 제어부(350)와 연결됨과 아울러 서명패드와 영수증 프린터가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31)는 탭 번호에 대응하는 생맥주의 종류별 단가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등록용 태그리더기(310)에 태그된 RF태그 고유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테이블 번호,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320)에 태그된 RF태그 고유번호와 일치하는 테이블 번호별로 배출된 생맥주 종류, 배출량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331)에 탭 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생맥주 종류 및 단가를 저장함에 있어서는 포스단말기(330)의 디스플레이 패널(332)에 표시되는 단가설정버튼이 터치되면 포스단말기 제어부(333)의 제어에 의하여 표시되는 생맥주 배출탭(42)에 대응하는 탭 번호란이 표시되고, 탭 번호란이 터치되면 포스단말기 제어부(333)의 제어에 의하여 탭 번호별 생맥주 종류와 단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이 표시되며, 탭 번호별 생맥주 종류와 단가가 입력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332)에 표시된 종료버튼을 터치하면 데이터 저장부(331)에 탭 번호별 생맥주 종류 및 단가가 저장되고 설정이 완료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2)에는 복수개의 테이블 번호란이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2)은 통상적인 포스단말기와 마찬가지로 터치패널로 구성된다.
상기 포스단말기 제어부(333)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2)의 테이블 번호란이 터치된 후 RF태그(TAG)를 상기 등록용 태그리더기(310)에 태그되면 RF태그 고유번호가 테이블 번호별로 등록되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331)에 저장되도록 하는 RF태그 등록명령과, 상기 데이터 저장부(331)에 저장된 RF태그 고유번호별로 생맥주 종류, 배출량, 배출량과 단가의 적산 금액 및 누적 금액과 함께 테이블별 전체 누적 금액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331)에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2)에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 저장 및 표시명령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2)에 표시된 테이블 번호란이 터치되었을 때, 생맥주 종류, 배출량, 금액 및 누적 금액이 표시되게 하는 표시됨과 아울러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계산대기명령과, 결제가 완료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2)에 표시된 결제완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데이터 저장부(331)에 저장된 해당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생맥주 종류, 배출량이 삭제되게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2)의 테이블 번호란에 표시되었던 생맥주 종류, 배출량, 금액 및 누적 금액이 해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RF태그(TAG)의 등록을 해지하는 RF태그리셋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RF태그 등록 과정에서는 포스단말기(330)의 화면에 표시되는 테이블 번호 중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한 다음, 미등록 RF태그(TAG)를 등록용 태그리더기(310)에 태그하면, 선택한 테이블 번호와 해당 RF태그 고유번호가 상기 포스단말기 제어부(333)의 RF태그 등록명령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331)에 저장되어 해당 RF태그(TAG)가 사용 가능한 RF태그로 등록된다.
이때, 하나의 테이블에 대하여 하나의 RF태그(TAG)를 등록하는 경우, 하나의 테이블의 동행 고객들이 RF태그(TAG)를 교대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매장이 넓고 많은 종류의 생맥주 배출 시스템이 설치된 경우 동선이 길어질 수 있는바, 하나의 테이블의 동행 고객별로 RF태그(TAG)를 등록하여 각자가 셀프식 생맥주 배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테이블에 대하여 복수개의 RF태그(TAG)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동행 고객에 각각 하나씩 등록하거나 원하는 고객에게만 하나씩 등록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 저장 및 표시 과정에서는 RF태그(TAG)가 태그된 인식용 태그리더기(320)별 생맥주 종류,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320)에 태그된 RF태그(TAG)별로 상기 유량계측기(46)에서 계측된 배출량과, 배출량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가를 적산된 금액과, 누적 금액과 함께 테이블별 전체 누적 금액이 상기 포스단말기 제어부(333)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331)에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2)에 표시된다.
상술한 결제 과정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332)에 표시되는 테이블 번호 중 계산하고자 하는 테이블 번호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금액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통상적인 포스단말기에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패널(332)에 표시된 결제버튼을 터치하여 결제를 완료한다. 결제는 통상적인 현금결제 또는 카드결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결제 과정에서는 하나의 테이블에 하나의 RF태그(TAG)가 등록된 경우에는 테이블별 전체 누적 금액을 일괄 결제할 수 있으며, 하나의 테이블에 복수개의 RF태그(TAG)가 등록된 경우에는 테이블별 전체 누적 금액을 일괄 결제하거나, 각 RF태그(TAG)별 누적 금액을 더치페이식으로 결제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테이블에 복수개의 RF태그(TAG)가 등록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32)에 표시된 테이블 번호란을 터치하면, 각 RF태그(TAG)별 생맥주 종류와 배출량, 금액 및 누적 금액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됨과 동시에 테이블 전체의 누적 금액이 표시되는 리스트 표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하여 더치페이식 결제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결재가 완료되면, 상기 포스단말기 제어부(333)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저장부(332)에 저장되어 있던 테이블 번호별로 저장된 RF태그 고유번호가 상기 포스단말기 제어부(333)의 제어에 의하여 삭제되어 해당 테이블 번호에 등록되었던 RF태그(TAG)의 등록이 해지된다.
등록 해지된 RF태그(TAG)는 임의 사용할 수 없게 되며, 고객이 등록 RF태그(TAG)를 분실한 경우, 해당 테이블의 금액의 결제가 완료되면 분실된 RF태그(TAG)도 미등록 RF태그로 되므로 분실된 RF태그가 임의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별 금액의 계산이 완료되면 해당 RF태그(TAG)의 등록이 자동적으로 해지되므로 RF태그를 등록 해지용 태그리더기에 태그하여 등록 해지하는 번거로움을 회피할 수 있다.
등록 해지된 RF태그(TAG)는 상술한 방법으로 다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40)는 영업 시작시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하여 생맥주 종류와 단가를 포함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하고, 고객이 등록용 태그리더기(310)에 RF태그(TAG)를 태그하고, 배출탭(42)의 탭레버(43)를 내려서 배출구(44)를 통해 생맥주가 배출되면, 시스템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하여 유량계측기(46)에서 계측된 배출량과 배출량에 단가를 적산한 금액을 표시하며, 생맥주 배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하여 다시 생맥주 종류와 단가를 포함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350)는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320)에 RF태그(TAG)가 태그되지 않은 평상시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320)에 저장된 탭 번호와 상기 포스단말기(330)의 데이터 저장부(331)에 저장된 탭 번호별 생맥주 종류와 단가가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도록 하는 대기화면표시명령을 출력하며,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320)에 RF태그(TAG)가 태그되면 인식용 태그리더기(320)로부터 탭 번호와 RF태그 고유번호를 전송받고 해당 RF태그 고유번호를 상기 포스단말기(330)의 데이터 저장부(331)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RF태그 고유번호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RF태그 고유번호가 있으면 상기 탄산가스 주입수단(30)의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32)와 생맥주 배출수단(40)의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45)에 대한 개방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의 탭레버(43)가 내려졌다가 올려질 때까지 배출구(44)를 통해 배출되는 생맥주 배출량을 계측하는 유량계측기(46)로부터 생맥주 배출량 계측값을 전송받아 인식용 태그리더기(320)에 저장되어 있는 탭 번호와 함께 RF태그 고유번호와 배출량 정보를 상기 포스단말기(330)에 전송하는 배출정보전송명령을 출력하며,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의 탭레버(43)가 올려져 생맥주의 배출이 중지되면, 유량계측기(46)로부터 배출량 없음 계측값을 전송받아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32)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45)에 대한 폐쇄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350)는 생맥주 배출탭(42)의 탭레버(43)가 내려갔다가 올라와서 생맥주의 배출이 중지되고 유량계측기(46)로부터 배출량 없음 계측값을 전송받았을 때 곧바로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32)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45)를 폐쇄하지 않고, 일정 시간 예컨대 2초~5초 경과할 때까지 유량계측기(46)로부터 계속하여 배출량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32)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45)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근 국내에는 100곳 이상의 소규모 양조장에서 많은 종류의 생맥주가 제조 유통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크레프트 맥주의 열풍이 불어, 국내에도 다양한 맛과 향의 생맥주가 수입되고 있는바, 고객이 처음 맛보는 생맥주의 경우 한 모금 분량의 소량을 배출하여 맛을 본 다음 입맛에 맞으면 상기 일정 시간 이내에 추가적으로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따를 때 또 다시 테그를 해야하는 불편을 덜어 주기 위함이다.
이 경우 맛보기용으로 소량 배출한 배출량과 추가적으로 배출한 배출량을 개별적으로 또는 합산하여 포스단말기(3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350)는 인식용 태그리더기(320)에 RF태그(TAG)가 수회 태그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량계측기(46)에 생맥주의 배출량이 계측되지 않으면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가 소진된 것으로 간주하고,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32)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45)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고, 소진(sold out) 처리하며, 상기 표시부(340)와 포스단말기(330) 혹은 디스플레이패널(332)에 "소진" 또는 "SOLD OUT"를 표시하도록 하는 소진처리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의 소진 여부와 무관하게 생맥주 배출수단(40)을 구성하는 생맥주 외부배출관(41), 생맥주 배출탭(42),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45), 유량계측기(46) 등의 고장으로 인하여 배출량이 계측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소진 처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배출 시스템은 상기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통(10) 내의 생맥주에 녹아들어가는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는 과탄산방지수단(4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과탄산방지수단(400)은 상기 탄산가스외부주입관(31)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탄산가스통(2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10)에 주입되지 않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차단모드와, 상기 탄산가스통(2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10)에 주입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모드와, 상기 탄산가스통(2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10)에 주입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추출용 탄산가스 배출모드로 작동되는 전자식 3방향 밸브(41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식 3방향 밸브(410)는 상기 탄산가스외부주입관(31)의 탄산가스통(20) 측에 연결되는 제1 포트(411)와, 상기 탄산가스외부주입관(31)의 생맥주통(10) 측에 연결되는 제2 포트(412)와, 상기 제2 포트(412)와 대기를 연결하는 제2 포트(413)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용 탄산가스 차단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제2, 제3 포트(411, 412, 413)가 모두 차단되며, 상기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모드에서는 상기 제1 포트(411)와 제2 포트(412)가 연결되고, 상기 추출용 탄산가스 배출모드에서는 상기 제2 포트(412)와 제3 포트(413)가 연결되어 탄산가스통(20)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식 3방향 밸브(410)는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32)가 폐쇄될 때 추출용 탄산가스 폐쇄모드로 전환되고,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32)가 개방될 때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모드로 전환되며, 영업을 종료하였을 때 또는 일정 시간동안 생맥주의 배출이 없을 경우 또는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적정압보다 높은 경우 추출용 탄산가스 배출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탄산방지수단(400)은 상기 전자식 3방향 밸브(410)의 제3 포트(413)에 연결되어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의 배출은 허용하고, 대기 중의 공기의 생맥주통(10) 내의 유입은 차단하는 탄산가스 배출용 체크밸브(4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산가스 배출용 체크밸브(420)는 상기 전자식 3방향 밸브(410)의 제2 포트(412)와 제3 포트(413)가 연결된 상태에서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추출용 탄산가스 설정압과 같거나 낮으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추출용 탄산가스설정압보다 크면 배출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생맥주통(10)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압이 대기압보다 작더라도 대기 중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작동되는 압력감응형 체크밸브로 구성하여 산폐를 방지한다.
여기서 탄산가스 배출용 체크밸브(420)에 사용되는 압력감응형 체크밸브는 생맥주의 종류에 따라 추출용 탄산가스설정압을 조절할 수 있는 설정용 노브(도시생략)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41)을 상기 생맥주통 개폐밸브(11)에 연결되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상기 생맥주 배출탭(42)에 연결되는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로 구성되고,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의 상단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50)은 상술한 제2 및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41a)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41b), 챔버(51) 및 생맥주 내부배출관(17) 내에 채워져 있던 생맥주가 생맥주통(10)으로 역류하는 것(생맥주통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생맥주역류방지수단(2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생맥주역류방지수단(200)은 상술한 제2 및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생맥주통 20 : 탄산가스통
30 : 탄산가스 주입수단 32 :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
40 : 생맥주 배출수단 42 : 생맥주 배출탭
43 : 탭레버 45 :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
46 : 유량계측기 50 :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
100 : 과탄산방지수단 200 : 생맥주역류방지수단
300 : 셀프식 제어수단 310 : 등록용 태그리더기
320 : 인식용 태그리더기 330 : 포스단말기
331 : 데이터 저장부 332 : 디스플레이 패널
333 : 포스단말기 제어부 340 : 표시부
350 : 시스템 제어부 400 : 과탄산방지수단
410 : 전자식 3방향 밸브 420 : 탄산가스 배출용 체크밸브

Claims (13)

  1. 생맥주가 저장되는 생맥주통과;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되는 탄산가스통과;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과 탄산가스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포함하는 탄산가스 주입수단과;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에 연결되는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외부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탭레버와 배출구를 가지는 생맥주 배출탭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모드와,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차단하여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생맥주통이 대기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생맥주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배출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의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는 과탄산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생맥주 배출 장치.
  2. 생맥주가 저장되는 생맥주통과;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되는 탄산가스통과;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과 탄산가스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포함하는 탄산가스 주입수단과;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에 연결되는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탭레버와 배출구를 가지는 생맥주 배출탭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수단; 및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 사이에 연결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부상 및 침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뜨개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가 생맥주 내부배출관,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을 통해 생맥주 배출탭로 배출되는 것은 허용하고, 반대로 생맥주 배출탭,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 및 생맥주 내부배출관을 통해 생맥주통으로 역류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는 생맥주역류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3. 생맥주가 저장되는 생맥주통과;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되는 탄산가스통과;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과 탄산가스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포함하는 탄산가스 주입수단과;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에 연결되는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탭레버와 배출구를 가지는 생맥주 배출탭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수단; 및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 사이에 연결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부상 및 침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뜨개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모드와,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차단하여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생맥주통이 대기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생맥주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배출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의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는 과탄산방지수단과;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가 생맥주 내부배출관,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 및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을 통해 생맥주 배출탭로 배출되는 것은 허용하고, 반대로 생맥주 배출탭,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 및 생맥주 내부배출관을 통해 생맥주통으로 역류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는 생맥주역류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탄산방지수단은,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전원이 차단되면 폐쇄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개방되는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와;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도중에 설치되는 유량계측기와;
    상기 유량계측기의 유량계측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자접촉기; 및
    상기 전자접촉기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개폐밸브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초기 탄산가스 주입용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배출 장치.
  5. 생맥주가 저장되는 생맥주통과;
    추출용 탄산가스가 충전되는 탄산가스통과;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과 탄산가스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을 포함하는 탄산가스 주입수단과;
    하단이 상기 생맥주통의 상단에 연결되는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외부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탭레버와 배출구를 가지는 생맥주 배출탭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주입수단은 상기 탄산가스 외부주입관의 도중에 설치되는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맥주 배출수단은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도중에 설치되는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와 유량계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를 제어하는 셀프식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매장의 카운터에 비치되는 등록용 태그리더기와; 상기 생맥주 배출탭에 인접 설치되며 탭 번호가 저장된 인식용 태그리더기와; 매장의 카운터에 비치되며 상기 등록용 태그리더기와 연결되며, 계산이 완료되면 등록 RF태그의 등록이 자동적으로 해지되도록 하는 포스단말기와; 상기 생맥주 배출탭에 인접 설치되는 표시부; 및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와 유량계측기와 상기 포스단말기 및 표시부에 연결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단말기는, 데이터 저장부와, 디스플레이 패널 및 포스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탭 번호에 대응하는 생맥주의 종류별 단가가 저장되고, 상기 등록용 태그리더기에 태그된 RF태그 고유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테이블 번호,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태그된 RF태그 고유번호와 일치하는 테이블 번호별로 배출된 생맥주 종류, 배출량을 저장하며,
    상기 포스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이블 번호란이 터치된 후 RF태그를 상기 등록용 태그리더기에 태그되면 RF태그 고유번호가 테이블 번호별로 등록되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RF태그 등록명령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RF태그 고유번호별로 생맥주 종류, 배출량, 배출량과 단가의 적산 금액 및 누적 금액과 함께 테이블별 전체 누적 금액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 저장 및 표시명령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테이블 번호란이 터치되었을 때, 생맥주 종류, 배출량, 금액 및 누적 금액이 표시되게 하는 표시됨과 아울러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계산대기명령과,
    결제가 완료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결제완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생맥주 종류, 배출량이 삭제되게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이블 번호란에 표시되었던 생맥주 종류, 배출량, 금액 및 누적 금액이 해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RF태그의 등록을 해지하는 RF태그리셋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영업 시작시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생맥주 종류와 단가를 포함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하고,
    고객이 등록용 태그리더기에 RF태그를 태그하고, 배출탭의 탭레버를 내려서 배출구를 통해 생맥주가 배출되면,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유량계측기에서 계측된 배출량과 배출량에 단가를 적산한 금액을 표시하며,
    생맥주 배출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다시 생맥주 종류와 단가를 포함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RF태그가 태그되지 않은 평상시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저장된 탭 번호와 상기 포스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탭 번호별 생맥주 종류와 단가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대기화면표시명령을 출력하며,
    상기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RF태그가 태그되면 인식용 태그리더기로부터 탭 번호와 RF태그 고유번호를 전송받고 해당 RF태그 고유번호를 상기 포스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RF태그 고유번호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RF태그 고유번호가 있으면 상기 탄산가스 주입수단의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생맥주 배출수단의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에 대한 개방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생맥주 배출탭의 탭레버가 내려졌다가 올려질 때까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생맥주 배출량을 계측하는 유량계측기로부터 생맥주 배출량 계측값을 전송받아 있는 탭 번호와 함께 RF태그 고유번호와 배출량 정보를 상기 포스단말기에 전송하는 배출정보전송명령을 출력하며,
    상기 생맥주 배출탭의 탭레버가 올려져 생맥주의 배출이 중지되면, 유량계측기로부터 배출량 없음 계측값을 전송받아 전자접촉기로 상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에 대한 폐쇄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생맥주 배출탭의 탭레버가 내려갔다가 올라와서 생맥주의 배출이 중지되고 유량계측기로부터 배출량 없음 계측값을 전송받았을 때 곧바로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를 폐쇄하지 않고,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유량계측기로부터 계속하여 배출량 없음 계측값이 전송되는 경우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인식용 태그리더기에 RF태그가 수회 태그 되었음에도불구하고, 유량계측기에 생맥주의 배출량이 계측되지 않으면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가 소진된 것으로 간주하고, 전자식 탄산가스 주입밸브와 전자식 생맥주 배출밸브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와 포스단말기의 디스플레이패널에 "소진" 또는 "SOLD OUT"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맥주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생맥주통 내의 생맥주에 녹아들어가는 과탄산 현상을 방지하는 과탄산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과탄산방지수단은 상기 탄산가스외부주입관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지 않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차단모드와,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주입모드와, 상기 탄산가스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상기 생맥주통에 주입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생맥주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출용 탄산가스 배출모드로 작동되는 전자식 3방향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3방향 밸브는 상기 탄산가스외부주입관의 탄산가스통 측에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탄산가스외부주입관의 생맥주통 측에 연결되는 제2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와 대기를 연결하는 제2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탄산방지수단은 상기 전자식 3방향 밸브의 제3 포트에 연결되어 생맥주통 내의 추출용 탄산가스의 배출은 허용하고, 대기 중의 공기의 생맥주통 내의 유입은 차단하는 탄산가스 배출용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맥주 외부배출관을 상기 생맥주통 개폐밸브에 연결되는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상기 생맥주 배출탭에 연결되는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로 구성되고,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상단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산가스 분출방지수단과;
    상기 제1 생맥주 외부배출관과 제2 생맥주 외부배출관, 챔버 및 생맥주 내부배출관 내에 채워져 있던 생맥주가 생맥주통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생맥주역류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배출 시스템.
KR1020180123191A 2017-10-16 2018-10-16 생맥주 배출 시스템 KR102179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2209 WO2019078590A1 (ko) 2017-10-16 2018-10-16 생맥주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34236 2017-10-16
KR1020170134236 2017-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474A true KR20190042474A (ko) 2019-04-24
KR102179239B1 KR102179239B1 (ko) 2020-11-16

Family

ID=6628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191A KR102179239B1 (ko) 2017-10-16 2018-10-16 생맥주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055A (ko) * 2021-03-08 2022-09-15 김병석 맥주 품질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8853A (ja) * 2003-12-22 2005-07-07 Shinya Ofu 炭酸ガス排出装置及び炭酸飲料用サーバー
KR200430245Y1 (ko) * 2006-08-18 2006-11-13 서정현 생맥주 기포차단장치
KR100932034B1 (ko) 2009-06-15 2009-12-15 홍유택 오크통 생맥주 공급량에 따른 요금계산시스템
KR101511293B1 (ko) 2014-01-07 2015-04-13 김정환 셀프 맥주판매 장치 및 방법
KR200478003Y1 (ko) * 2015-04-20 2015-08-17 김민종 생맥주 교체시기 알림기능을 구비한 생맥주 공급기
KR20170101916A (ko) * 2014-12-01 2017-09-06 안호이저-부시 인베브 에스.에이.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3방 밸브를 갖는 가압 액체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8853A (ja) * 2003-12-22 2005-07-07 Shinya Ofu 炭酸ガス排出装置及び炭酸飲料用サーバー
KR200430245Y1 (ko) * 2006-08-18 2006-11-13 서정현 생맥주 기포차단장치
KR100932034B1 (ko) 2009-06-15 2009-12-15 홍유택 오크통 생맥주 공급량에 따른 요금계산시스템
KR101511293B1 (ko) 2014-01-07 2015-04-13 김정환 셀프 맥주판매 장치 및 방법
KR20170101916A (ko) * 2014-12-01 2017-09-06 안호이저-부시 인베브 에스.에이.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3방 밸브를 갖는 가압 액체 디스펜서
KR200478003Y1 (ko) * 2015-04-20 2015-08-17 김민종 생맥주 교체시기 알림기능을 구비한 생맥주 공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055A (ko) * 2021-03-08 2022-09-15 김병석 맥주 품질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239B1 (ko)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0056B2 (ja) 飲料販売システム
EP1842827B1 (en) Beverage supply device
US8162210B2 (en) Water and drink mix vending machine
US7506576B1 (en) Brewer with measured use controlled disablement feature
US8176948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liquid dispensing and storage
US20050194399A1 (en) Beverage serving control system
WO2004030435A2 (en) Dispenser
US20050029287A1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10793414B2 (en) Beverage supply device
US7681605B2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potable liquid
US10745264B2 (en) Beverage supplying device
US81265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everage and container vending machine
US20100187298A1 (en) Drinking vessel that has a slot in which a contactless smart card is inserted
KR101511293B1 (ko) 셀프 맥주판매 장치 및 방법
KR20190042474A (ko) 생맥주 배출 시스템
WO2019078590A1 (ko) 생맥주 배출 시스템
CN111566041B (zh) 液体售卖管理系统
JP3785346B2 (ja) 原料液注出装置および飲料提供装置
JP2010063793A (ja) 飲料ディスペンサ及び店舗における飲料ディスペンサのレイアウト方法
CN206026043U (zh) 饮料供应装置
JP3073384U (ja) 飲み物の供給装置
US20230416068A1 (en) Intelligent concentrate mixing and delivery
KR102057707B1 (ko)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음료 계량 판매 시스템
CN107019427A (zh) 饮料供应装置
US20240010421A1 (en) Container, cap and multi-servings beverage disp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