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252A -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252A
KR20190042252A KR1020170133960A KR20170133960A KR20190042252A KR 20190042252 A KR20190042252 A KR 20190042252A KR 1020170133960 A KR1020170133960 A KR 1020170133960A KR 20170133960 A KR20170133960 A KR 20170133960A KR 20190042252 A KR20190042252 A KR 20190042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
relay
terminal device
ro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078B1 (ko
Inventor
박창현
류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Priority to KR102017013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0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는 PTT (Push To Talk) 기지국과의 연결 실패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PTT 기지국 연결 확인부, 상기 연결 실패가 특정 기준을 만족하면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PTT 단말 장치(이하, 중계 PTT 단말 장치)를 특정 시간 동안 검색하는 중계 PTT 단말 검색부, 상기 중계 PTT 단말 장치의 검색이 실패하면 직접적으로 연결가능한 주변 PTT 단말 장치에 PTT 중계 역할 알림을 브로드캐스팅하는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 및 상기 PTT 중계 역할 알림에 관한 피드백을 수행한 주변 PTT 단말 장치들(이하,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하는 PTT 중계 설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PUSH TO TALK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RELAY}
본 발명은 PTT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TT 단말 장치가 PTT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전기는 특정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전통신을 할 수 있고, 한 사용자의 말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듣거나 또는 하나의 주파수대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생활용 무전기는 별도의 허가, 등록 및 수신료 없이 사용하는데 반해 업무용 무전기는 수신료를 부담하여 사용하며 주파수와 고유 번호를 신고 및 등록하여 허가를 받아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64435호는 음성 중계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중계무전기로 음성신호의 중계를 요청하는 송신무전기, 송신무전기로부터 음성신호의 중계를 요청 받는 경우 수신무전기로 요청받은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중계무전기, 중계무전기를 통해 송신무전기의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음성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수신 확인 신호를 중계무전기를 통해 송신무전기로 전송하는 수신무전기를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39608호는 무전기의 긴급호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대방 무전기가 무전기 간의 전파 통달 거리를 벗어나서 위치하더라도 전파 통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여타 무전기의 중계 기능을 통하여 긴급 호출 메시지를 원하는 상대방 무전기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65076호는 휴대용 중계기 겸용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 2개 이상의 휴대용 무전기의 스피커 잭 단자 및 마이크 잭 단자를 중계기 선으로 상호 연결하여 연결된 2개의 무전기가 중계기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64435호 (2008.07.09) 한국등록특허 제10-0839608호 (2008.06.12) 한국등록특허 제10-0865076호 (2008.10.17)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TT 단말 장치가 PTT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TT 단말 장치가 중계 불가능 지역에 포함되면 주변 PTT 단말 장치에 PTT 중계를 요청할 수 있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TT 기지국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복수의 PTT 단말 장치들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는 PTT (Push To Talk) 기지국과의 연결 실패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PTT 기지국 연결 확인부, 상기 연결 실패가 특정 기준을 만족하면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PTT 단말 장치(이하, 중계 PTT 단말 장치)를 특정 시간 동안 검색하는 중계 PTT 단말 검색부, 상기 중계 PTT 단말 장치의 검색이 실패하면 직접적으로 연결가능한 주변 PTT 단말 장치에 PTT 중계 역할 알림을 브로드캐스팅하는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 및 상기 PTT 중계 역할 알림에 관한 피드백을 수행한 주변 PTT 단말 장치들(이하,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하는 PTT 중계 설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 PTT 단말 검색부는 상기 연결 실패가 상호 간격들을 다르게 가지는 복수의 연결 시도 시점들 모두에서 발생되면 상기 중계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 PTT 단말 검색부는 상기 특정 시간을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T = User_Setting_Weight * Expect_Inv_Duration(Current_Power_Remain)
상기 T는 상기 특정 시간에 해당
상기 User_Setting_Weight는 중계 역할을 위해 소유주에 의하여 설정된 중계 역할 가중치
상기 Expect_Inv_Duration 함수는 배터리의 잔량을 기초로 배터리의 잔량에 역비례로 산출되는 잔존시간
상기 Current_Power_Remain은 현재 배터리의 잔량
일 실시예에서, 상기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는 상기 PTT 중계 역할 알림의 전에 현재 위치가 기 수신되었던 중계 불가능 지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PTT 중계 요청을 상기 주변 PTT 단말 장치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TT 중계 설정부는 상기 PTT 중계 요청에 응답한 주변 PTT 단말 장치(이하, PTT 중계 요청 응답 단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PTT 중계 요청 응답 단말 장치를 상기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TT 중계 설정부는 상기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과의 연결 실패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TT 중계 설정부는 상기 연결 실패가 발생되면 현재 연결되고 있는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의 개수가 복수개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그렇지 않다면 PTT 중계 역할을 포기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는 PTT 단말 장치가 PTT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는 PTT 단말 장치가 중계 불가능 지역에 포함되면 주변 PTT 단말 장치에 PTT 중계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는 PTT 기지국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복수의 PTT 단말 장치들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PTT 단말 장치의 중계 수행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시스템(10)은 PTT (Push To Talk) 기지국(100) 및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200)(이하, PTT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PTT 기지국(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PTT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PTT 기지국(100)은 기지국 육상이동국과의 통신 또는 이동 중계국의 중계에 의한 통신을 하기 위하여 육상에 개설하고 이동하지 않는 무선국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PTT 단말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다.
PTT 단말 장치(200)는 복수의 PTT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TT 단말 장치는 PTT 기지국(100)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상이 발생한 PTT 기지국(100)을 대신하여 PTT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PTT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PTT 단말 장치 이외에 다른 PTT 단말 장치들은 PTT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PTT 단말 장치를 통해 다른 PTT 단말 장치들 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T 단말 장치(200)는 PTT 기지국(100)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PTT 단말 장치들과의 통신이 가능하다.
PTT 단말 장치(200)는 소유자에 의해 소유될 수 있고, PTT 기지국(100)과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T 단말 장치(200)는 PTT(Push To Talk) 관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또는 실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PTT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PTT 관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TT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고, PTT 기지국(100)과 3G 통신망, 4G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PTT 단말 장치(200)과 PTT 기지국(100)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설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하, PTT 단말 장치(200)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있는 제2 PTT 단말 장치(120-2)가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200)는 PTT 기지국 연결 확인부(210),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230), PTT 중계 설정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PTT 기지국 연결 확인부(210)는 PTT (Push To Talk) 기지국(100)과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TT 기지국 연결 확인부(210)는 PTT 기지국(100)과의 연결 실패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PTT 기지국(100)과의 연결 실패는 지진, 산사태, 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 또는 전쟁 등으로 인하여 PTT 기지국(100)이 망가지거나 또는 PTT 기지국(100)의 네트워크 망들이 마비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PTT 단말 장치들 및 PTT 기지국(100) 간의 연결을 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중계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PTT 단말 장치(이하, 중계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PTT 기지국(100)과의 연결 실패가 특정 기준을 만족하면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PTT 단말 장치를 특정 시간 동안 검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 PTT 단말 장치는 제2 PTT 단말 장치(120-2)가 아닌 다른 PTT 단말 장치에 해당한다. 즉,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자신이 아닌 다른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PTT 단말 장치(중계 PTT 단말 장치)가 중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연결 실패가 특정 기준을 만족하면 중계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연결 실패가 상호 간격들을 다르게 가지는 복수의 연결 시도 시점들 모두에서 발생되면 중계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 간격들을 다르게 가지는 복수의 연결 시도 시점들은 (1) 최초 연결 시도 시점, (2) 최초 연결에서 1초 후에 연결 시도 시점, (3) 최초 연결에서 5초 후에 연결 시도 시점 및 (4) 최초 연결에서 20초 후에 연결 시도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1) 내지 (4)의 연결 시도 시점들 모두에서 PTT 기지국(100)과의 연결 실패가 발생되면 중계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특정 시간을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T = User_Setting_Weight * Expect_Inv_Duration(Current_Power_Remain)
상기 T는 상기 특정 시간에 해당
상기 User_Setting_Weight는 중계 역할을 위해 소유주에 의하여 설정된 중계 역할 가중치
상기 Expect_Inv_Duration 함수는 배터리의 잔량을 기초로 배터리의 잔량에 역비례로 산출되는 잔존시간
상기 Current_Power_Remain은 현재 배터리의 잔량
복수의 PTT 단말 장치들은 중계 역할을 위해 각각의 소유주에 의하여 중계 역할 가중치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해당 중계 역할 가중치는 소유주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PTT 단말 장치(120-1)의 중계 역할 가중치는 0.1에 해당하고, 제2 PTT 단말 장치(120-2)의 중계 역할 가중치는 1에 해당하며 제n PTT 단말 장치(120-n)의 중계 역할 가중치는 0.5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복수의 PTT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의 중계 역할 가중치와 복수의 PTT 단말 장치들 각각의 현재 배터리 잔량의 역비례로 산출되는 잔존시간을 고려하여 중계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특정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수학식에 따라 산출된 특정 시간 동안 중계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230)는 중계 PTT 단말 장치의 검색이 실패하면 직접적으로 연결가능한 주변 PTT 단말 장치에 PTT 중계 역할 알림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230)는 PTT 기지국(100)과의 연결을 실패하고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PTT 단말 장치의 검색을 실패하면 자신이 PTT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는 알림을 주변 PTT 단말 장치에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PTT 단말 장치는 제2 PTT 단말 장치(120-2)와 직접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PTT 단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230)는 PTT 중계 역할 알림의 전에 현재 위치가 기 수신되었던 중계 불가능 지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PTT 중계 요청을 주변 PTT 단말 장치에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PTT 기지국 연결 확인부(210)는 PTT 기지국(100)과의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현재 위치(GPS)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200)는 중계 불가능 지역을 사전에 수신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230)는 A지역, B지역, C지역 및 D지역 중에서 A지역 내지 C지역이 중계 불가능 지역에 해당하면 제2 PTT 단말 장치(120-2)의 현재 위치가 A지역 내지 C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중계 불가능 지역에 포함되면 주변 PTT 단말 장치에 PTT 중계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230)는 제2 PTT 단말 장치(120-2)의 현재 위치가 D지역에 포함되면 제2 PTT 단말 장치(120-2)와 직접적으로 연결가능한 주변 PTT 단말 장치에 PTT 중계 역할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PTT 중계 설정부(240)는 주변 PTT 단말 장치들(이하,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로부터 PTT 중계 역할 알림에 관한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TT 중계 설정부(240)는 PTT 중계 역할 알림에 관한 피드백을 수행한 주변 PTT 단말 장치들(이하, PTT 알림 피드백 단말 장치들)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T 중계 설정부(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TT 알림 피드백 단말 장치들로부터 PTT 중계 역할에 관한 피드백을 받으면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PTT 중계 설정부(240)는 1개의 PTT 알림 피드백 단말 장치로부터 PTT 중계 역할에 관한 피드백을 받으면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되지 않는다. 즉, PTT 중계 설정부(240)는 제2 PTT 단말 장치(120-2)와 직접적으로 연결가능한 PTT 단말 장치가 1개인 경우에는 해당 PTT 단말 장치와 바로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PTT 중계 설정부(240)는 PTT 중계 요청에 응답한 주변 PTT 단말 장치(이하, PTT 중계 요청 응답 단말 장치)를 결정할 수 있고, PTT 중계 요청 응답 단말 장치를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TT 중계 설정부(240)는 중계 불가능 지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PTT 중계 요청에 응답한 주변 PTT 단말 장치를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할 수 있다.
PTT 중계 설정부(240)는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과의 연결 실패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TT 중계 설정부(240)는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과의 연결 실패가 발생되면 현재 연결되고 있는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의 개수가 복수개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그렇지 않다면 PTT 중계 역할을 포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T 중계 설정부(240)는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의 개수가 복수개로 유지되지 않는다면 PTT 중계 역할을 포기할 수 있고, 현재 연결되고 있는 하나의 PTT 알림 피드백 단말과만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PTT 기지국 연결 확인부(210),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230) 및 PTT 중계 설정부(240) 간의 제어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PTT 단말 장치의 중계 수행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PTT 기지국 연결 확인부(210)는 PTT 기지국(100)과의 연결 실패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단계 S310).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PTT 기지국(100)과의 연결 실패가 상호 간격들을 다르게 가지는 복수의 연결 시도 시점들 모두에서 발생되면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PTT 단말 장치(이하, 중계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단계 S320). 일 실시예에서, 중계 PTT 단말 검색부(220)는 소유자에 의하여 설정된 중계 역할 가중치를 고려하여 결정된 특정 시간 동안에 중계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230)는 중계 PTT 단말 장치의 검색이 실패하면 직접적으로 연결가능한 주변 PTT 단말 장치에 PTT 중계 역할 알림을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단계 S330). 여기에서, PTT 중계 역할 알림은 제2 PTT 단말 장치(120-2)가 PTT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는 알림에 해당할 수 있다.
PTT 중계 설정부(240)는 PTT 중계 역할 알림에 관한 피드백을 수행한 주변 PTT 단말 장치들(이하,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할 수 있다(단계 S340). 일 실시예에서, PTT 중계 설정부(240)는 주변 PTT 단말 장치들이 복수로 존재하지 않으면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시스템
100: PTT 기지국 200: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210: PTT 기지국 연결 확인부 220: 중계 PTT 단말 검색부
230: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 240: PTT 중계 설정부
250: 제어부

Claims (7)

  1. PTT (Push To Talk) 기지국과의 연결 실패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PTT 기지국 연결 확인부;
    상기 연결 실패가 특정 기준을 만족하면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PTT 단말 장치(이하, 중계 PTT 단말 장치)를 특정 시간 동안 검색하는 중계 PTT 단말 검색부;
    상기 중계 PTT 단말 장치의 검색이 실패하면 직접적으로 연결가능한 주변 PTT 단말 장치에 PTT 중계 역할 알림을 브로드캐스팅하는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 및
    상기 PTT 중계 역할 알림에 관한 피드백을 수행한 주변 PTT 단말 장치들(이하,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하는 PTT 중계 설정부를 포함하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PTT 단말 검색부는
    상기 연결 실패가 상호 간격들을 다르게 가지는 복수의 연결 시도 시점들 모두에서 발생되면 상기 중계 PTT 단말 장치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PTT 단말 검색부는
    상기 특정 시간을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수학식]
    T = User_Setting_Weight * Expect_Inv_Duration(Current_Power_Remain)

    상기 T는 상기 특정 시간에 해당
    상기 User_Setting_Weight는 중계 역할을 위해 소유주에 의하여 설정된 중계 역할 가중치
    상기 Expect_Inv_Duration 함수는 배터리의 잔량을 기초로 배터리의 잔량에 역비례로 산출되는 잔존시간
    상기 Current_Power_Remain은 현재 배터리의 잔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 중계 브로드캐스팅부는
    상기 PTT 중계 역할 알림의 전에 현재 위치가 기 수신되었던 중계 불가능 지역에 포함된 경우에는 PTT 중계 요청을 상기 주변 PTT 단말 장치에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TT 중계 설정부는
    상기 PTT 중계 요청에 응답한 주변 PTT 단말 장치(이하, PTT 중계 요청 응답 단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PTT 중계 요청 응답 단말 장치를 상기 PTT 중계 역할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 중계 설정부는
    상기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과의 연결 실패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TT 중계 설정부는
    상기 연결 실패가 발생되면 현재 연결되고 있는 PTT 알림 피드백 단말들의 개수가 복수개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그렇지 않다면 PTT 중계 역할을 포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KR1020170133960A 2017-10-16 2017-10-16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KR102026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60A KR102026078B1 (ko) 2017-10-16 2017-10-16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60A KR102026078B1 (ko) 2017-10-16 2017-10-16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252A true KR20190042252A (ko) 2019-04-24
KR102026078B1 KR102026078B1 (ko) 2019-09-27

Family

ID=6628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960A KR102026078B1 (ko) 2017-10-16 2017-10-16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8761A (zh) * 2021-05-27 2021-08-31 深圳市威尔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微喇平台的wifi对讲装置
KR20220088287A (ko) * 2020-12-18 2022-06-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계기 기능을 구비하는 무전기 장치 및 그 신호 송수신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08B1 (ko) 2006-12-14 2008-06-20 유니챌(주) 무전기의 긴급호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64435A (ko) 2007-01-05 2008-07-09 유니챌(주) 음성 중계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중계 시스템
KR100865076B1 (ko) 2007-07-25 2008-10-24 주식회사 윈어텍 휴대용 중계기 겸용 무전기
KR20130137368A (ko) * 2012-06-07 2013-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모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KR20140110522A (ko) * 2013-03-08 2014-09-17 주식회사 브이플럭스 모바일 호스트 기기와 연동하는 중계기형 무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08B1 (ko) 2006-12-14 2008-06-20 유니챌(주) 무전기의 긴급호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64435A (ko) 2007-01-05 2008-07-09 유니챌(주) 음성 중계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중계 시스템
KR100865076B1 (ko) 2007-07-25 2008-10-24 주식회사 윈어텍 휴대용 중계기 겸용 무전기
KR20130137368A (ko) * 2012-06-07 2013-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모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KR20140110522A (ko) * 2013-03-08 2014-09-17 주식회사 브이플럭스 모바일 호스트 기기와 연동하는 중계기형 무전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287A (ko) * 2020-12-18 2022-06-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계기 기능을 구비하는 무전기 장치 및 그 신호 송수신 방법
CN113328761A (zh) * 2021-05-27 2021-08-31 深圳市威尔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微喇平台的wifi对讲装置
CN113328761B (zh) * 2021-05-27 2022-04-19 深圳市威尔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微喇平台的wifi对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078B1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26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동국, 기지 송수신국 및 그 이용 방법
EP29794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positio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603087B2 (en) Green femtocell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 same
EP31206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 call between devices of a single user
WO2006062692A2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low battery notification
CN101512926A (zh) 用于无线通信信号的协同分集接收的方法和装置
WO2001061373A1 (en) Handoff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positioning systems
CN102823227A (zh) 移动终端和移动终端的控制方法
US877475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signal sharing
KR20190042252A (ko)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US9609491B2 (en) Server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00067436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ignal transmission method thereof, and transmitting node
JP2003047045A (ja) 測位方法、測位システム、測位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移動通信端末
JP200621709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情報サーバ及びそれらに用いる感度悪化通知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WO2017186658A1 (en) Method for presence detection
KR102062770B1 (ko)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JP2004015518A (ja) 移動無線システムの無線チャネル接続切替方式
JP5125789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回線ビジー時の通信方法及び移動局
JPH0378810B2 (ko)
JPH09247737A (ja) 位置情報検出システム
JP565929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27571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JP5246019B2 (ja) 携帯電話機
JP2006180409A (ja) 無線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無線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無線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H08331634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