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816A - 촬영 장치 및 용기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816A
KR20190041816A KR1020170133522A KR20170133522A KR20190041816A KR 20190041816 A KR20190041816 A KR 20190041816A KR 1020170133522 A KR1020170133522 A KR 1020170133522A KR 20170133522 A KR20170133522 A KR 20170133522A KR 20190041816 A KR20190041816 A KR 20190041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wall
thermal conductivity
wall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5145B1 (ko
Inventor
박노근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1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05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3Control means
    • F17C2250/038Control means using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체가 충전된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2 이상의 벽, 및 상기 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다중벽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촬영부; 및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냉매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영 장치 및 용기{PHOTOGRAPHING DEVICE AND CASE}
본 발명은 촬영 장치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청정연료이자 탄소배출량이 다른 화석연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천연가스는 환경 친화적 에너지원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그 수요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가스전과의 거리가 멀어 가스전 부근의 액화플랜트에서 천연가스를 초저온으로 액화하여 LNG상태로 우리나라 저장기지까지 LNG선으로 운송한다. 많은 양의 천연가스를 운송 및 저장하기 위해서는 부피를 600분의 1로 줄이는 액화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주성분인 메탄을 영하 162 이하로 냉각시켜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LNG와 직접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내부탱크와 외부 온도와의 차이를 극복하는 단열시스템 그리고 내부탱크와 단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외부탱크를 갖춘 저장시설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를 LNG저장탱크라고 하며 LNG기지의 핵심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인수기지의 설비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인 LNG 저장탱크는 보통 1기의 용량은 100,000㎥ ~ 200,000㎥이며, 그 용량이 매우 크고 인화성과 폭발성이 강한 천연가스의 특성상 LNG저장탱크의 안전성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재 LNG 저장설비는 설계단계에서부터 해외규격이나 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사고요인을 차단하고, 운전단계에서 표준운전절차서 개발 및 적용과 철저한 교육의 실시, 방호 및 방재설비까지 갖추고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복합적인 설비운전 조건, 설비의 노후화 및 각 설비의 신뢰성 등 설비와 관련된 사고와 운전보수요원의 경험 및 지식의차이등에 기인된 인적 오류에 의한 사고 가능성은 항상 잠재되어 있다.
현재 건설된 LNG 저장탱크는 방호형식 측면에서 보면, 최고의 안전성 기반으로 설계되는 완전방호식 탱크 및 멤브레인 탱크이다. 그러나 액화가스를 대용량으로 저장 및 처리를 하고 있어 근본적인 위험은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초대용량 LNG 저장탱크 및 노후 LNG 저장탱크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운전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LNG 저장탱크 및 배관 설비 등의 유지관리 관련 수명평가 및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고 수명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도 1은 종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가 충전된 용기 내부를 촬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액체 질소(liquid nitrogen), LNG 등의 액체는 대략 영하 200 ℃ 내지 영하 150 ℃ 정도의 극저온 상태로 용기 내에 저장, 보관될 수 있다. 상기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저장, 보관된 용기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은 종래의 촬영 장치를 용기 내부로 투입하였다. 종래에는 극저온 액체가 보관된 용기 내부를 촬영하기 위하여, 케이싱을 구성하는 벽이 단열 처리된 촬영 장치를 이용하였다. 다만, 종래의 촬영 장치를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보관된 용기 내부로 투입하는 경우, 카메라가 구비된 케이싱 내부는 상온으로, 케이싱 내부의 온도와 상기 용기 내의 온도 차에 의하여, 상기 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기화되어 액체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기포는, 열교환이 많이 발생되는 포트의 유리 부분에서 주로 발생되게 된다. 포트의 유리 부분에 기포가 다량으로 발생됨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포트를 통해 용기 내부를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온 또는 극저온의 액체가 충전된 용기 내부의 환경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는 촬영 장치 및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체가 충전된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2 이상의 벽, 및 상기 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다중벽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촬영부; 및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냉매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액체가 충전되는 용기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2 이상의 벽, 및 상기 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다중벽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냉매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충전된 용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내부에 충전되는 용기로, 내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가 충전된 용기 내부를 촬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개의 벽이 구비된 다중벽 케이싱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충전된 용기 내부에 촬영 장치가 투입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관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 개의 벽이 구비된 다중벽 케이싱을 포함하는 용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가 충전된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종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가 충전된 용기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가 충전된 용기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모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체가 충전된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2 이상의 벽, 및 상기 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다중벽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촬영부; 및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냉매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충전된 용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내벽(111), 외벽(112) 및 이격 공간(120)을 포함하는 다중벽 구조를 가지는 케이싱(100), 케이싱(100) 내부에 구비되는 촬영부(200), 케이싱(100)의 다중벽을 관통하는 관통부(300) 및 케이싱(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입부(400), 케이싱(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배출부(500)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은 다중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은 2 이상의 벽을 포함하는 다중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케이싱(100) 내부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내벽(111)과 상기 케이싱(100) 외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외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은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벽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개의 벽이 구비된 다중벽 케이싱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케이싱(100) 내부로부터 케이싱(100) 외부방향을 따라 내벽(111), 중간벽(113) 및 외벽(112)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다중벽 구조를 가지는 케이싱(100)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에 포함되는 2 이상의 벽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2 이상의 벽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벽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싱(100)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내벽(111)과 외벽(112)은 이격되어 구비되며,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에는 이격 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에 하나의 중간벽(113)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내벽(111)과 상기 중간벽(113) 사이에 제1 이격 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간벽(113)과 상기 외벽(112) 사이에 제2 이격 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가 충전된 용기 내부를 촬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케이싱(2) 내부에 카메라(3)가 구비되고, 케이싱(2)의 벽을 관통하는 포트(4)를 포함하며, 포트(4)를 통해 카메라(3)로 용기(1)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액체 질소(liquid nitrogen), LNG 등의 액체는 대략 영하 200 ℃ 내지 영하 150 ℃ 정도의 극저온 상태로 용기 내에 저장, 보관될 수 있다. 상기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저장, 보관된 용기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은 종래의 촬영 장치를 용기 내부로 투입하였다. 종래에는 극저온 액체가 보관된 용기 내부를 촬영하기 위하여, 케이싱을 구성하는 벽이 단열 처리된 촬영 장치를 이용하였다. 다만, 종래의 촬영 장치를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보관된 용기 내부로 투입하는 경우, 카메라가 구비된 케이싱 내부는 상온으로, 케이싱 내부의 온도와 상기 용기 내의 온도 차에 의하여, 상기 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기화되어 액체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기포는, 열교환이 많이 발생되는 포트의 케이싱 외부 측에 위치하는 유리 부분(이하, 앞 유리)에서 주로 발생되게 된다. 포트의 앞 유리 부분에 기포가 다량으로 발생됨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포트를 통해 용기 내부를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이격 공간 내의 냉매 내로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의 발생을 유도하여, 용기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이격 공간의 냉매에 기포 발생을 유도하여,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관통부의 타측 부근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촬영부를 이용하여 관통부를 통해 용기 내부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은 냉매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상기 이격 공간은 유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이격 공간으로 냉매를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이격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는 상온(25 ℃)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와 상기 이격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차에 의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에 이동하는 냉매에 기포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충전된 용기 내부에 촬영 장치가 투입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저온 또는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내부에 충전된 용기(1) 내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0)를 투입하여 용기(1) 내부를 촬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용기(1) 외부로부터 냉매를 케이싱(100)의 이격 공간(120) 내로 유입하고 있다. 반면, 도 4b는 용기(1) 내부의 액체를 냉매로 사용하여, 용기(1) 내부의 액체를 케이싱(100)의 이격 공간(120) 내로 유입하고 있는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상기 이격 공간(120) 내에서 이동하는 냉매에 기포(b) 발생이 유도될 수 있다. 특히, 이격 공간(120) 내에 위치하는 관통부(300) 부근에서 다량의 기포(b)가 발생될 수 있다. 이격 공간(120) 내의 냉매에 발생된 기포(b)는 케이싱(100)의 이격 공간과 용기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온 또는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보관된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하여 촬영 장치를 투입하는 경우에도, 촬영 장치 내부와 용기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기포를 케이싱 내부의 이격 공간 내로 유도함으로써,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용기 내부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내벽의 열전도율과 외벽의 열전도율의 비는 1:1 내지 1:100,000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외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외벽, 케이싱 내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내벽을 포함하는 다중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과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의 비는 1:1 내지 1:95,000, 1:1 내지 1:80,000, 1:1 내지 1:60,000, 1:1 내지 1:50,000, 1:1 내지 1:30,000, 1:1 내지 1:15,000, 1:1 내지 1:10,000, 1:1 내지 1:8,000, 1:1 내지 1:6,000, 1:1 내지 1:4,500, 1:1 내지 1:2,500, 1:1 내지 1:1,500, 1:1 내지 1:800, 또는 1:1 내지 1:50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과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의 비는 1:1.5 내지 1:100,000, 1:5 내지 1:100,000, 1:10 내지 1:95,000, 1:15 내지 1:80,000, 1:20 내지 1:75,000, 1:30 내지 1:60,000, 1:50 내지 1:50,000, 1:75 내지 1:450,000, 1:100 내지 1:40,000, 1:150 내지 1:35,000, 1:200 내지 1:30,000, 1:300 내지 1:25,000, 1:450 내지 1:10,000, 1:600 내지 1:8,000, 1:900 내지 1:65,000, 1:1,000 내지 1:50,000, 1:1,500 내지 1:30,000, 1:2,000 내지 1:15,000, 또는 1:3,000 내지 1:15,000일 수 있다.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과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이격 공간 내의 냉매에 기포 발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상기 관통부의 타측 부근에 기포가 발생되어 불명확한 촬영 영상이 획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에 과도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과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의 비가 1:1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이격 공간 내로 기포 발생을 유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과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의 비가 1:10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격 공간 내로 기포가 다량으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벽의 재질로 스테인리스 강, 구리, 알루미늄, 및 탄소강 등의 금속 및/또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의 재질로 나무, 종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외벽의 열전도율과 동일하거나 낮은 열전도율을 보유하는 금속 및/또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외벽과 내벽을 구성하는 재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외벽의 열전도율은 내벽의 열전도율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외벽의 열전도율이 내벽의 열전도율보다 높게 함으로써,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에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용기(1) 내부에 저온 또는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충전되어 있고, 상기 촬영 장치의 케이싱(100) 내부가 상온인 경우, 상기 케이싱(100)의 외벽(112)은 열전도율이 높아 열교환이 잘 일어날 수 있고, 상기 케이싱(100)의 내벽(111)은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열교환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외벽 근처의 이격 공간 내 냉매는, 상기 내벽 근처의 이격 공간 내 냉매의 온도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상기 이격 공간은 열교환이 발생되는 곳으로,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을 내벽의 열전도율보다 높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유도함과 동시에, 기포가 다량으로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은 0.1 mm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의 이격 거리는 0.1 mm 이상 200 mm 이하, 0.5 mm 이상 180 mm 이하, 1 mm 이상 165 mm 이하, 2 mm 이상 150 mm 이하, 3.5 mm 이상 130 mm 이하, 5 mm 이상 100 mm 이하, 10 mm 이상 100 mm 이하, 15 mm 이상 80 mm 이하, 25 mm 이상 60 mm 이하, 30 mm 이상 50 mm 이하, 1 mm 이상 10 mm 이하, 20 mm 이상 50 mm 이하, 70 mm 이상 100 mm 이하, 120 mm 이상 150 mm 이하, 또는 160 mm 이상 185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격 공간 내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이격 공간 내로 기포 발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격 공간(120) 내의 기포(b)를 상기 배출부(500)를 통하여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며, 기포(b)가 상기 유입부(400)를 통하여 케이싱(1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의 일측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부의 일측 및 타측에 투명 막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는 밀폐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케이싱(100) 내부에 위치하는 일측과 케이싱(100) 외부에 위치하는 타측에 투명 막(310)이 각각 구비되어 밀폐되는 관통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300)의 일측 및 타측에 투명 막(310)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300)의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 내부로 물질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부 내부는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300)는 내부 공간(320)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구비된 촬영부(200)는 상기 관통부(300)를 통해 상기 케이싱(100) 외부, 즉 용기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막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막의 재질로 수지, 유리, 석영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막의 재질은 촬영부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부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파장이 상이한 바, 상기 촬영부가 보다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 막의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재질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투명 재질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수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수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지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막은 표면이 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 표면이 열처리된 투명 막을 사용하여, 투명 막을 통해 상기 관통부 내부에 열교환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일측 및 타측에 투명 막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의 내부 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촬영부(200)는 상기 관통부(300)의 일측에 구비된 투명 막(310)과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촬영부는 케이싱 외부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 내부에는 흡습제, 흡수 장치, 진공 장치, 수분 조절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 내부에 흡습제, 흡수 장치, 진공 장치, 수분 조절 장치 등을 구비시켜, 상기 관통부 내부 공간에 함유된 수분이 응결되어 상기 투명 막 표면에 맺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에는 흡습제, 흡수 장치, 진공 장치, 수분 조절 장치 등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구성을 사용할 수 있고, 관통부 내부의 수분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액체의 응결점보다 낮은 온도의 응결점을 갖는 기체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를 액체가 충전된 용기의 내부에 투입하는 경우, 상기 촬영 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관통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용기 내부에 충전된 액체의 응결점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기체로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관통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용기 내부에 충전된 액체의 응결점보다 낮은 응결점을 갖는 기체로 충전시킴으로써, 상기 관통부 내부 온도가 저하되어 응결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촬영부는 상기 관통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영역, 상기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관통부의 열전도율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서의 관통부의 열전도율 보다 낮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관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관통부(300)의 제1 영역(331)이 케이싱(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관통부(300)의 제2 영역(332)이 이격 공간(120)의 내부에 위치하고, 관통부(300)의 제3 영역(333)이 케이싱(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관통부(300)의 제2 영역(332)의 열전도율은 관통부(300)의 제1 영역(331) 및 제3 영역(333)의 열전도율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관통부의 제2 영역의 열전도율을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의 열전도율보다 낮게 함으로써, 상기 관통부의 제2 영역 부근에 기포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관통부의 제2 영역, 즉 이격 공간 내 관통부의 외벽 부근에 기포의 발생이 유도될 수 있다. 이격 공간 내 관통부의 외벽 부근에 기포의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기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는 3개의 단위체를 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위체, 제2 단위체, 제3 단위체를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도 6과 같이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이 구비된 관통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체는 제1 영역, 제2 단위체는 제2 영역, 제3 단위체는 제3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단위체의 열전도율은 제1 단위체 및 제3 단위체의 열전도율보다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 내부에는 발열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발열체를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촬영부 주위 온도를 상온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촬영부 주위 온도를 상온 이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촬영부의 가동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유입부(400)는 케이싱(100)의 하부측에 구비될 수 있고, 배출부(500)는 케이싱(100)의 상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용기의 내부 온도와 촬영 장치 내부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의 밀도는 냉매의 밀도보다 낮아, 기포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부를 케이싱의 상측에 구비시킴으로써,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입부를 케이싱의 하측에 구비시킴으로써, 기포가 유입부를 통해 케이싱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에 이격되는 거리를 0.1 mm 이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기포가 케이싱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 내부에는 촬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당업계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공지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액체가 충전되는 용기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2 이상의 벽, 및 상기 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다중벽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냉매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내부에 충전되는 용기로, 내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포함되는 촬영부, 관통부, 유입부 및 배출부 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쵤영 장치에 포함되는 촬영부, 관통부, 유입부 및 배출부 등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저온 또는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저장, 보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내벽(111), 외벽(112) 및 이격 공간(120)을 포함하는 다중벽 구조를 가지는 케이싱(100), 케이싱(100)의 다중벽을 관통하는 관통부(300) 및 케이싱(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입부(400), 케이싱(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배출부(500)를 포함하는 용기(20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은 다중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의 케이싱은 2 이상의 벽을 포함하는 다중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케이싱(100) 내부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내벽(111)과 상기 케이싱(100) 외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외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은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벽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 개의 벽이 구비된 다중벽 케이싱을 포함하는 용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케이싱(100) 내부로부터 케이싱(100) 외부방향을 따라 내벽(111), 중간벽(113) 및 외벽(112)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다중벽 구조를 가지는 케이싱(100)을 포함하는 용기(2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에 포함되는 2 이상의 벽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2 이상의 벽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벽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케이싱(100)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내벽(111)과 외벽(112)은 이격되어 구비되며,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에는 이격 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에 하나의 중간벽(113)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내벽(111)과 상기 중간벽(113) 사이에 제1 이격 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간벽(113)과 상기 외벽(112) 사이에 제2 이격 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이격 공간 내의 냉매 내로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의 발생을 유도하여, 용기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상기 이격 공간의 냉매에 기포 발생을 유도하여,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관통부의 일측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촬영부를 이용하여 관통부를 통해 용기 내부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은 냉매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상기 이격 공간은 유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이격 공간으로 냉매를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이격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케이싱 내부에는 저온 또는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충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싱 외부는 상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외부의 온도와 상기 이격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차에 의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에 이동하는 냉매에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충전되는 액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별도로 공급되는 냉매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부는, 케이싱 외부로부터 별도로 공급되는 냉매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 충전된 액체를 상기 이격 공간 내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가 충전된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저온 또는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내부에 충전된 용기의 케이싱(100) 내부를 촬영하기 위하여, 케이싱(100) 외부에 구비된 촬영부(200)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이격 공간(120) 내에서 이동하는 냉매에 기포(b)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격 공간(120) 내에 위치하는 관통부(300) 부근에서 다량의 기포(b)가 발생될 수 있다. 이격 공간(120) 내의 냉매에 발생된 기포(b)는 케이싱(100)의 이격 공간과 케이싱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온 또는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용기의 케이싱 내부에 충전되는 경우, 케이싱 내부와 케이싱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기포를 케이싱 내부의 이격 공간 내로 유도함으로써,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용기 내부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외벽의 열전도율과 내벽의 열전도율의 비는 1:1 내지 1:100,000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외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외벽, 케이싱 내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내벽을 포함하는 다중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구체적으로,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과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의 비는 1:1 내지 1:95,000, 1:1 내지 1:80,000, 1:1 내지 1:60,000, 1:1 내지 1:50,000, 1:1 내지 1:30,000, 1:1 내지 1:15,000, 1:1 내지 1:10,000, 1:1 내지 1:8,000, 1:1 내지 1:6,000, 1:1 내지 1:4,500, 1:1 내지 1:2,500, 1:1 내지 1:1,500, 1:1 내지 1:800, 또는 1:1 내지 1:50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과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의 비는 1:1.5 내지 1:100,000, 1:5 내지 1:100,000, 1:10 내지 1:95,000, 1:15 내지 1:80,000, 1:20 내지 1:75,000, 1:30 내지 1:60,000, 1:50 내지 1:50,000, 1:75 내지 1:450,000, 1:100 내지 1:40,000, 1:150 내지 1:35,000, 1:200 내지 1:30,000, 1:300 내지 1:25,000, 1:450 내지 1:10,000, 1:600 내지 1:8,000, 1:900 내지 1:65,000, 1:1,000 내지 1:50,000, 1:1,500 내지 1:30,000, 1:2,000 내지 1:15,000, 또는 1:3,000 내지 1:15,000일 수 있다.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과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이격 공간 내의 냉매에 기포 발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상기 관통부의 일측 부근에 기포가 발생되어 불명확한 촬영 영상이 획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에 과도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과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의 비가 1:1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이격 공간 내로 기포 발생을 유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의 열전도율과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의 비가 1:10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격 공간 내로 기포가 다량으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벽의 재질로 스테인리스 강, 구리, 알루미늄, 및 탄소강 등의 금속 및/또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의 재질로 나무, 종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내벽의 열전도율과 동일하거나 낮은 열전도율을 보유하는 금속 및/또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외벽과 내벽을 구성하는 재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내벽의 열전도율은 외벽의 열전도율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내벽의 열전도율이 외벽의 열전도율보다 높음으로써,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에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용기(2000)의 케이싱(100) 내부에 저온 또는 극저온 상태의 액체가 충전되어 있고, 용기(2000) 외부가 상온인 경우, 상기 케이싱(100)의 내벽(111)은 열전도율이 높아 열교환이 잘 일어날 수 있고, 상기 케이싱(100)의 외벽(112)은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열교환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벽 근처의 이격 공간 내 냉매는, 상기 외벽 근처의 이격 공간 내 냉매의 온도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상기 이격 공간은 열교환이 발생되는 곳으로, 상기 내벽의 열전도율을 외벽의 열전도율보다 높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유도함과 동시에, 기포가 다량으로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은 0.1 mm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의 이격 거리는 0.1 mm 이상 200 mm 이하, 0.5 mm 이상 180 mm 이하, 1 mm 이상 165 mm 이하, 2 mm 이상 150 mm 이하, 3.5 mm 이상 130 mm 이하, 5 mm 이상 100 mm 이하, 10 mm 이상 100 mm 이하, 15 mm 이상 80 mm 이하, 25 mm 이상 60 mm 이하, 30 mm 이상 50 mm 이하, 1 mm 이상 10 mm 이하, 20 mm 이상 50 mm 이하, 70 mm 이상 100 mm 이하, 120 mm 이상 150 mm 이하, 또는 160 mm 이상 185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격 공간 내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이격 공간 내로 기포 발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이격 공간 내의 기포(b)를 상기 배출부(500)를 통하여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며, 기포(b)가 상기 유입부(400)를 통하여 케이싱(1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의 일측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부의 일측 및 타측에 투명 막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는 밀폐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케이싱(100) 내부에 위치하는 일측과 케이싱(100) 외부에 위치하는 타측에 투명 막(310)이 각각 구비되어 밀폐되는 관통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300)의 일측 및 타측에 투명 막(310)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300)의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 내부로 물질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부 내부는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300)는 내부 공간(320)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케이싱(100) 외부에 구비된 촬영부(200)는 상기 관통부(300)를 통해 상기 케이싱(100) 내부, 즉 용기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막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막의 재질로 수지, 유리, 석영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막의 재질은 촬영부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부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파장이 상이한 바, 상기 촬영부가 보다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 막의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재질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투명 재질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수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수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지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막은 표면이 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 표면이 열처리된 투명 막을 사용하여, 투명 막을 통해 상기 관통부 내부에 열교환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 내부에는 흡습제, 흡수 장치, 진공 장치, 수분 조절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 내부에 흡습제, 흡수 장치, 진공 장치, 수분 조절 장치 등을 구비시켜, 상기 관통부 내부 공간에 함유된 수분이 응결되어 상기 투명 막 표면에 맺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에는 흡습제, 흡수 장치, 진공 장치, 수분 조절 장치 등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구성을 사용할 수 있고, 관통부 내부의 수분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액체의 응결점보다 낮은 온도의 응결점을 갖는 기체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용기 내부에 충전된 액체의 응결점보다 낮은 응결점을 갖는 기체로 충전시킴으로써, 상기 관통부 내부 온도가 저하되어 응결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촬영부는 상기 관통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영역, 상기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관통부의 열전도율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서의 관통부의 열전도율 보다 낮을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관통부(300)의 제2 영역(332)의 열전도율은 관통부(300)의 제1 영역(331) 및 제3 영역(333)의 열전도율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관통부의 제2 영역의 열전도율을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의 열전도율보다 낮게 함으로써, 상기 관통부의 제2 영역 부근에 기포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관통부의 제2 영역, 즉 이격 공간 내 관통부의 외벽 부근에 기포의 발생이 유도될 수 있다. 이격 공간 내 관통부의 외벽 부근에 기포의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기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는 3개의 단위체를 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위체, 제2 단위체, 제3 단위체를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함시킴으로써, 도 6과 같이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이 구비된 관통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체는 제1 영역, 제2 단위체는 제2 영역, 제3 단위체는 제3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단위체의 열전도율은 제1 단위체 및 제3 단위체의 열전도율보다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의 타측에는 발열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의 타측에 발열체를 구비시킴으로써, 관통부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유입부(400)는 케이싱(100)의 하부측에 구비될 수 있고, 배출부(500)는 케이싱(100)의 상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용기의 내부 온도와 용기 외부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의 밀도는 냉매의 밀도보다 낮아, 기포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부를 케이싱의 상측에 구비시킴으로써,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입부를 케이싱의 하측에 구비시킴으로써, 기포가 유입부를 통해 케이싱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에 이격되는 거리를 0.1 mm 이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기포가 케이싱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는 당업계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공지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a는 종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가 충전된 용기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가 충전된 용기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영하 196 ℃에서 액화 질소를 보관하는 용기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또한, 도 11b는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영하 196 ℃에서 액화 질소를 보관하는 용기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a를 참고하면, 종래의 촬영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촬영 장치 외부인 용기 내부의 온도와, 촬영 장치 내부의 온도 차에 의하여 포트의 앞 유리에 기포가 발생되어, 용기 내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어려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11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케이싱 외부 측에 위치하는 관통부 부근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용기 내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용기
2: 케이싱
3: 카메라
4: 포트
1000: 촬영 장치
100: 케이싱
111: 내벽
112: 외벽
113: 중간벽
120: 이격 공간
121: 제1 이격 공간
122: 제2 이격 공간
300: 관통부
310: 투명 막
320: 내부 공간
400: 유입부
500: 배출부

Claims (16)

  1. 액체가 충전된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2 이상의 벽, 및 상기 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다중벽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촬영부; 및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냉매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내벽의 열전도율과 외벽의 열전도율의 비는 1:1 내지 1:100,000 인 것인 촬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은 0.1 mm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인 촬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일측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부의 일측 및 타측에 투명 막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는 밀폐되는 것인 촬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액체의 응결점보다 낮은 온도의 응결점을 갖는 기체로 충전되는 것인 촬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영역, 상기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관통부의 열전도율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서의 관통부의 열전도율 보다 낮은 것인 촬영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는 발열체가 구비되는 것인 촬영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것인 촬영 장치.
  9. 액체가 충전되는 용기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2 이상의 벽, 및 상기 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다중벽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냉매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이격 공간 내의 냉매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외벽의 열전도율과 내벽의 열전도율의 비는 1:1 내지 1:100,000 인 것인 용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다중벽에 포함되는 벽 상호간은 0.1 mm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인 용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일측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부의 일측 및 타측에 투명 막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는 밀폐되는 것인 용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액체의 응결점보다 낮은 온도의 응결점을 갖는 기체로 충전되는 것인 용기.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영역, 상기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관통부의 열전도율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서의 관통부의 열전도율 보다 낮은 것인 용기.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타측에는 발열체가 구비되는 것인 용기.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것인 용기.
KR1020170133522A 2017-10-13 2017-10-13 촬영 장치 및 용기 KR102105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22A KR102105145B1 (ko) 2017-10-13 2017-10-13 촬영 장치 및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22A KR102105145B1 (ko) 2017-10-13 2017-10-13 촬영 장치 및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816A true KR20190041816A (ko) 2019-04-23
KR102105145B1 KR102105145B1 (ko) 2020-05-13

Family

ID=6628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522A KR102105145B1 (ko) 2017-10-13 2017-10-13 촬영 장치 및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1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558A (ja) * 1994-12-20 1996-07-02 Tokyo Gas Co Ltd 極低温液体用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JP2005061932A (ja) 2003-08-11 2005-03-10 Hitachi Eng Co Ltd 容器充填液体の異物検査方法とその装置並びに容器充填液体の気泡除去法とその装置
US20110132076A1 (en) * 2008-08-11 2011-06-09 Robert Brockmann Production of a clean gas, in particular for testing a pressurized construction component for leaks
JP7069258B2 (ja) * 2015-11-13 2022-05-17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組換えfviii変異型をコードする血友病a遺伝子治療用高発現ウイルスベク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558A (ja) * 1994-12-20 1996-07-02 Tokyo Gas Co Ltd 極低温液体用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JP2005061932A (ja) 2003-08-11 2005-03-10 Hitachi Eng Co Ltd 容器充填液体の異物検査方法とその装置並びに容器充填液体の気泡除去法とその装置
US20110132076A1 (en) * 2008-08-11 2011-06-09 Robert Brockmann Production of a clean gas, in particular for testing a pressurized construction component for leaks
JP7069258B2 (ja) * 2015-11-13 2022-05-17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組換えfviii変異型をコードする血友病a遺伝子治療用高発現ウイルスベ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145B1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twig et al. Screen channel LAD bubble point tests in liquid hydrogen
KR20080019689A (ko) 이슬점 온도 측정에 기초하여 하이레벨 폐기물을건조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8661847B2 (en) Production of a clean gas, in particular for testing a pressurized construction component for leaks
Duband et al. Herschel flight models sorption coolers
JP4975554B2 (ja) 液体窒素を用いた携帯用センサー冷却器
DE202006004344U1 (de) Selbstkühlender Transportbehälter für den Versand von tiefgefrorenen Gewebeproben und anderen temperaturempfindlichen Gütern
FR2927146A1 (fr) Systeme de chauffage de stockages des gaz liquefies sous pression
KR20190041816A (ko) 촬영 장치 및 용기
US8405057B1 (en) Radiation shield device with embedded cryogen storage and associated method
CN108692187A (zh) 低温恒温器布置系统
Savas et al. Thermal analysis of a cryogenic liquid acquisition device under autogenous and non-condensable pressurization schemes
KR102596251B1 (ko) 고온, 고압형 이산화탄소-유체-암석 표면특성 측정시스템및 측정방법
Hahn et al. The LBNE 35 ton prototype cryostat
JP5529797B2 (ja) 原子炉冷却装置
US8579146B2 (en) Gas storage apparatus
Louchart et al. The PRESPEC liquid-hydrogen target for in-beam gamma spectroscopy of exotic nuclei at GSI
Kendellen et al. A cryogenic target for Compton scattering experiments at HIγS
ES2345159T3 (es) Dispositivo para la comprobacion de la estanqueidad de capsulas para barras de combustible.
ES2630703T3 (es) Caja fría
KR20160148309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Bellur et al. Results from neutron imaging phase change experiments with LH2 and LCH4
Vega-Martínez et al. Drop tower setup to study the diffusion-driven growth of a foam ball in supersaturated liquids in microgravity conditions
JP2018510996A (ja) 流体循環路およびそのためのコンポーネントを有する風力発電装置
US20170312562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KR10175184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누출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