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690A -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690A
KR20190041690A KR1020170133211A KR20170133211A KR20190041690A KR 20190041690 A KR20190041690 A KR 20190041690A KR 1020170133211 A KR1020170133211 A KR 1020170133211A KR 20170133211 A KR20170133211 A KR 20170133211A KR 20190041690 A KR20190041690 A KR 20190041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evice
control code
control
information
cod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917B1 (ko
Inventor
임채영
조경익
서제환
김민섭
송기현
윤석훈
윤현규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917B1/ko
Priority to US16/137,849 priority patent/US10924794B2/en
Priority to EP18196170.7A priority patent/EP3471074B1/en
Priority to PCT/KR2018/011859 priority patent/WO2019074260A1/en
Priority to CN201811187032.1A priority patent/CN109671260B/zh
Publication of KR2019004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08C19/28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using pulse cod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원격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원격 제어 장치는 입력부,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이 저장된 저장부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코드 셋 중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 내에 있는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IR(Infrared) 리모컨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IR 리모컨의 경우 제한적인 공간 내에서만 송수신이 가능한 IR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들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와 IR 리모컨 간에 신호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장애물(예를 들어, 수납 공간, 가구, 벽)에 따른 제약이 상대적으로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블루투스 방식과 같은 RF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IR 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적인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자 장치와 리모컨 간의 복잡한 페어링 설정 과정이 요구되며, RF 신호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전자 장치는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IR 리모컨은 상대적으로 공간적인 제약이 크고, RF 리모컨은 블루투스 등을 지원하지 않는 전자 장치들의 경우에는 제어할 수 없으며, 사용자에게 페어링 설정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IR 통신 및 RF 통신을 적절히 이용하여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고 복수의 전자 장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번거로운 페어링 설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RF 통신 또는 IR 통신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변경된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된 원격 제어 장치는 입력부,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코드 셋 중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추가적으로 연결된 제2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이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어 코드 셋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코드의 인덱스(index)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제어 코드 셋에서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은,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를 RF(Radio Frequency)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RF 제어 코드 셋 및 IR(Infrared)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IR 제어 코드 셋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IR 통신 모듈 및 RF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 셋에서 RF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RF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R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를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상기 IR 제어 코드 셋에서 IR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IR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IR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재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추가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은,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를 RF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RF 제어 코드 셋 및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IR 제어 코드 셋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상기 RF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간 페어링 유지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상기 IR 제어 코드 셋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R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된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하며,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제어 코드 셋 중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된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저장된 제어 코드 셋 중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추가적으로 연결된 제2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어 코드 셋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코드의 인덱스(index)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제어 코드 셋에서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은,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를 RF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RF 제어 코드 셋 및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IR 제어 코드 셋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 셋에서 RF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RF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R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를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상기 IR 제어 코드 셋에서 IR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IR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IR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공간적인 제약 없이 RF 통신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으며, 소스 디바이스가 RF 통신이 불가한 경우에는 IR 통신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므로,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와 소스 디바이스 간 페어링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와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 간 페어링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어링 유지 상태의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시스템(1000)은 원격 제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소스 디바이스(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소스 디바이스(30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소스 디바이스(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원격 제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소스 디바이스(300)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리모컨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pairing)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블루투스 규격으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2) 각각과 페어링되어 맥 어드레스(Mac address)와 같은 연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멀티 페어링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기저장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수신하여 원격 제어 장치(100)에 저장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소스 디바이스(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디바이스(300)는 셋탑 박스, DVD Player, Blu-ray player, 음향 장치 등과 같은 컨텐츠 제공 장치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스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가 될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30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수동으로 소스 디바이스(300)를 식별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조사 별, 모델 별 소스 디바이스(300) 리스트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300)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300)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동으로 소스 디바이스(300)를 식별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소스 디바이스(3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분석하여 소스 디바이스(300)를 식별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3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는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소스 디바이스(300)의 제조사 별, 모델 별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 연결 정보는 소스 디바이스(300)와 RF 통신 방식의 페어링 수행 시 요구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소스 디바이스(300) 마다 페어링 수행 시 요구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는 외부 장치와 페어링 수행 시 핀 코드 입력이 요구될 수 있고, 제2 소스 디바이스(300-2)는 핀 코드 입력 없이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동작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어링 연결 정보는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핀 코드(Pin Code), 디바이스 ID(Device Identifier),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 수행 시 요구되는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300)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은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300)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식별 정보와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소스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 및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자 시스템(1000)에 포함된 원격 제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30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통신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다양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등일 수 있다. 또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11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통신 모듈, 페어링된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프로세서(140)에 포함된 롬(ROM),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4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12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원격 제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원격 제어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고, 원격 제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소스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각각의 식별 정보,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각각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저장부(12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페어링 수행 시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은 RF 제어 코드 셋 및 IR 제어 코드 셋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F 제어 코드 셋은 원격 제어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RF 통신으로 전송하는 경우 이용되는 제어 코드 셋을 의미하고, IR 제어 코드 셋은 원격 제어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IR 통신으로 전송하는 경우 이용되는 제어 코드 셋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후술한다.
통신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30)는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cable), 무선 LAN, 셀룰러(cellular), D2D(Device to Device),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3G, LTE, Wi-Fi, 애드혹 방식의 Wi-Fi Direct 및 LTE Direct,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IR(Infrared) 등을 이용 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Zigbee 통신 모듈, Bluetooth 통신 모듈, BLE 통신 모듈 및 Wi-Fi 통신 모듈과 같은 RF 통신 모듈 및 IR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CPU, 원격 제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및 원격 제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원격 제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을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저장부(12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 수행 시 요구되는 정보 및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이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 수행 시 요구되는 정보는 소스 디바이스(300)의 핀 넘버(Pin Number), 디바이스 ID(Device Identifier),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 수행 시 요구되는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페어링 수행 시 요구되는 정보를 페어링 연결 정보로 통칭하도록 한다.
소스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장치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셋탑 박스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셋탑 박스의 제조사, 모델 또는 방송 사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셋탑 박스의 식별 정보, 셋탑 박스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세부 구성에 대한 도 3에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소스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 및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와 소스 디바이스(300) 간의 페어링은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블루투스 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F 신호를 이용하여 장치 간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통신 규격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제어 장치(100)에 마련된 복수의 물리적 버튼 중에서 볼륨 업(Volume up)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볼륨 업에 대응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되어도,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가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볼륨 업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되어도,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볼륨이 증가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중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구성 및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가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제어 코드 셋 중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 및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의 인덱스(index)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제어 코드 셋 중에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 정보는 제어 코드 셋 중에서 특정 제어 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인덱스 정보는 제어 코드의 유형, ID, 제어 코드 셋 내에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코드의 유형은 RF 또는 IR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코드의 유형이 RF 유형이면, 프로세서(14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 셋 및 IR 제어 코드 셋 중에서 RF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RF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3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각각과 페어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제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제2 소스 디바이스(300-2)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추가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소스 디바이스(300-2)가 추가적으로 연결되면,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식별 정보,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RF 통신 지원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소스 디바이스(300-2)가 RF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와 각각 페어링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제어 장치(100)가 제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각각 페어링된 상태이면, 프로세서(140)는 제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각각의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체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0)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가 페어링된 상태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RF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40)는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출력 중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3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원격 제어 장치(100)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가 페어링 해제된 상태이면,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IR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페어링 유지 상태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소스 디바이스(300)를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서 제2 소스 디바이스(300-2)로 변경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와 원격 제어 장치(100)의 페어링 유지 상태를 요청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페어링 유지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RF 제어 코드의 인덱스 정보 또는 IR 제어 코드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페어링된 상태이고,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제어 코드를 RF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RF 통신 모듈(미도시) 및 IR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RF 제어 코드를 획득한 경우 R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RF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페어링 해제된 상태이면,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제어 코드를 IR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IR 제어 코드를 획득한 경우 IR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IR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10), 제1 통신부(220), 제2 통신부(230), 저장부(240) 및 프로세서(25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10)는 제1 통신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30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투명한 재질로 구현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1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210)는 컨텐츠 출력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
제1 통신부(220)는 소스 디바이스(300)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통신부(220)는 유/무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각각으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제1 통신부(220)는 다양한 타입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 USB, MHL, AES/EBU,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통신부(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통신부(230)는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cable), 무선 LAN, 셀룰러(cellular), D2D(Device to Device),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3G, LTE, Wi-Fi, 애드혹 방식의 Wi-Fi Direct 및 LTE Direct,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IR(Infrared) 등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통신부(230)는 Zigbee 통신 모듈, Bluetooth 통신 모듈, BLE 통신 모듈 및 Wi-Fi 통신 모듈과 같은 RF 통신 모듈 및 IR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통신 모듈,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240)는 프로세서(250)에 포함된 롬(ROM),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25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24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40)에는 복수의 제어 코드 셋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해, 저장부(240)에는 각종 소스 디바이스(300)의 제조사 별 또는 모델 별로 상이한 제어 코드 셋이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각각의 식별 정보 및 페어링 연결 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조 단계에서 저장부(240)에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각각의 식별 정보,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이 기저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스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수신 및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조 이후에 새롭게 출시된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한 식별 정보,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 등의 방식으로 저장부(240)에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각각의 식별 정보,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이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240)에 저장된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은 RF 제어 코드 셋 및 IR 제어 코드 셋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300)를 RF 통신으로 제어하는 경우와 IR 통신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제어 코드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RF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RF 제어 코드 셋 및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IR 제어 코드 셋이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40)에 저장된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는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페어링 연결 정보는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핀 코드(Pin Code), 디바이스 ID(Device Identifier),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 수행 시 요구되는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 연결 정보가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됨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는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프로세서(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50)는 CPU,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을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저장부(2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프로세서(250)는 제1 통신부(220)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300)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가 출력 중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300)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2)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중이면, 프로세서(25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식별하고,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동은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조사, 모델 등이 선택되면 이에 기초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동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부터 수신하거나,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제조사, 모델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수동 또는 자동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25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제조사 및 모델 등을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250)는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식별할 수도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도 있으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50)는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제어 코드 셋 중에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 중에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식별하고, 식별된 제어 코드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볼륨 업이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제어 코드 셋에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볼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코드를 식별하고, 인덱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 정보는 제어 코드 셋에서 특정 제어 코드를 획득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인덱스 정보는 제어 코드 셋에서 볼륨 업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가 위치한 순서, ID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250)는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 및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명령이 볼륨 업이면, 프로세서(25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제어 코드 셋에서 볼륨 업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획득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25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RF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 마련된 저장부(120)에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RF 제어 코드 셋에서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R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RF 통신을 이용하여 페어링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250)는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00)와 소스 디바이스(300) 간 페어링 유지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장치(100)와 소스 디바이스 간 페어링 유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연결되어 있으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각각 페어링된 상태이고, 페어링 유지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페어링 유지 상태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이 아닌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이 해제되면, 페어링이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300)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서 제2 소스 디바이스(300-2)로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원격 제어 장치(100)와 소스 디바이스 간 페어링 유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요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요청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가 페어링 유지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면, 프로세서(250)는 원격 제어 장치(100)와 소스 디바이스 간 페어링 유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50)는 원격 제어 장치(100)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 간 페어링 유지 상태 및 원격 제어 장치(100)와 제2 소스 디바이스(300-2) 간 페어링 유지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25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원격 제어 장치(100)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 간의 페어링 유지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장치(100)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 간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원격 제어 장치(100)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RF 통신으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0)가 제어 코드를 RF 통신이 아닌 IR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해야 하므로, 프로세서(250)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에 관련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이 볼륨 업이면, 프로세서(25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IR 제어 코드를 IR 제어 코드 셋에서 식별하고, 식별된 IR 제어 코드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에 마련된 저장부(120)에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IR 제어 코드 셋에서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IR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IR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250)는, 제2 소스 디바이스(300-2)가 제1 통신부(220)를 통해 추가적으로 연결되면,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식별 정보,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 의 식별 정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에 더하여,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식별 정보,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출력 중인 컨텐츠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된 상태이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가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서 제2 소스 디바이스(300-2)로 변경되는 경우도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2) 각각과 페어링된 상태이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가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인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소스 디바이스(300-2)가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식별 정보 및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되면, 원격 제어 장치는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RF 통신을 이용하여 제2 소스 디바이스(30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와 소스 디바이스 간 페어링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연결되고(S410),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원격 제어 장치(100)가 연결될 수 있다(S420). 설명의 편의상 S410 단계가 S420 단계보다 선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S420 단계가 S410 단계보다 선행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원격 제어 장치(100) 간의 연결은 RF 또는 IR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원격 제어 장치(100)는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페어링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연결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 페어링 연결 정보,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430). 여기서, 식별 정보,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기 저장된 상태에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가 연결된 것으로 식별되면 기 저장된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소스 디바이스(300-1)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것으로 식별되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수신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 및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S440). 여기서, 페어링 연결 정보는 페어링 수행 시 요구되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고유한 연결 정보를 의미한다. 일 예로, 소스 디바이스(300) 마다 페어링 연결 시 요구되는 연결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는 특정 핀 코드 입력이 요구되고, 제2 소스 디바이스(300-2)는 특정 버튼에 대한 누름 동작이 요구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3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와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 간 페어링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에서(S510), 제2 소스 디바이스(300-2)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S520). 도 4에 이어서, 도 5의 S520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추가적으로 연결된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식별 정보,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530).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의 식별 정보 및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S540). 일 예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300-2) 각각과 페어링된 상태 즉, 멀티페어링 상태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도 4의 S430 단계에서 수신된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에 더하여, S530 단계에서 수신된 제2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S610),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 중인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S620),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아니다. 일 예로, 원격 제어 장치(100)가 채널 변경 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른 채널 변경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여도,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채널이 변경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S630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를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식별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제어 코드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S650). 일 예로, 수신된 정보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식별 정보 및 제어 코드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획득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할 수 있다(S660). 이에 따라,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원격 제어 장치(100)가 페어링된 상태이고, RF 통신이 가능함을 상정하여 설명하였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0)는 RF 제어 코드 셋에서 RF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RF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할 수 있다. 페어링이 해제된 상태에서 IR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어링 유지 상태의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원격 제어 장치(100)가 페어링된 상태에서(S710), 원격 제어 장치(10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페어링 유지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페어링 유지 상태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S720).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만을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연결되어있으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페어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원격 제어 장치(100) 간의 페어링 연결이 해제되면(S730),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페어링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740).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재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수신된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페어링을 재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원격 제어 장치(100)로 재전송하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페어링 연결 정보는 도 4의 S430 단계에서 전송된 페어링 연결 정보에 대비하여 업데이트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원격 제어 장치(100)간 RF 통신을 이용한 제어 신호 송신 및 수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의 IR 제어 코드 셋에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를 식별하고, 식별된 IR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RF 제어 코드 셋이 아닌 IR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획득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IR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IR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IR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와 연결될 수 있다(S810).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300-1, 300-2) 중에서 제2 소스 디바이스(300-2)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300)가 변경되면(S820: Y),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변경된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유지 상태의 체크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요청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제2 소스 디바이스(300-2)에서 제1 소스 디바이스(300-1)로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제1 소스 디바이스(300-1)와 원격 제어 장치(100) 간 페어링 유지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체크 결과에 따라 변경된 소스 디바이스(300)와 원격 제어 장치(100) 간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S840: N), 원격 제어 장치(100)는 페어링 해제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IR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IR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85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S910).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S920). 그리고,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장치에 저장된 제어 코드 셋 중 제어 코드를 획득한다(S930). 획득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94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와 추가적으로 연결된 제2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제2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2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수신하는 단계 및 식별 정보 및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의 인덱스(index)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S930 단계는,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은, 제1 소스 디바이스를 RF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RF 제어 코드 셋 및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IR 제어 코드 셋을 포함하고,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S930 단계는,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 셋에서 RF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전송하는 S940 단계는, 원격 제어 장치의 RF 통신 모듈을 통해 R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제1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제1 소스 디바이스를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S930 단계는, 요청에 따라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 셋에서 IR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전송하는 S940 단계는, 원격 제어 장치의 IR 통신 모듈을 통해 IR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제1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및 요청에 따라 수신된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소스 디바이스 식별한다(S1010). 이어서,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S1020). 이어서, 획득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S10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제2 소스 디바이스가 제1 통신부를 통해 추가적으로 연결되면, 제2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제2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제2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은, 제1 소스 디바이스를 RF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RF 제어 코드 셋 및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IR 제어 코드 셋을 포함하고,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S1020 단계는, 제1 소스 디바이스의 RF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원격 제어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간 페어링 유지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S1020 단계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장치와 제1 소스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 셋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원격 제어 장치 200: 디스플레이 장치
300: 소스 디바이스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된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코드 셋 중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추가적으로 연결된 제2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이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어 코드 셋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코드의 인덱스(index)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제어 코드 셋에서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원격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은,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를 RF(Radio Frequency)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RF 제어 코드 셋 및 IR(Infrared)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IR 제어 코드 셋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IR 통신 모듈 및 RF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 셋에서 RF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RF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R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를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원격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상기 IR 제어 코드 셋에서 IR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IR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IR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재수행하는, 원격 제어 장치.
  8. 디스플레이;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추가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은,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를 RF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RF 제어 코드 셋 및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IR 제어 코드 셋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상기 RF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간 페어링 유지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상기 IR 제어 코드 셋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R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된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하며,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저장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제어 코드 셋 중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시스템.
  13.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된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제1 소스 디바이스를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저장된 제어 코드 셋 중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추가적으로 연결된 제2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연결 정보 및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어 코드 셋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코드의 인덱스(index)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식별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제어 코드 셋에서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은,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를 RF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RF 제어 코드 셋 및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IR 제어 코드 셋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RF 제어 코드 셋에서 RF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RF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RF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를 IR 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제어 코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상기 IR 제어 코드 셋에서 IR 제어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IR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IR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 유지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 중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페어링 연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페어링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70133211A 2017-10-13 2017-10-13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11A KR102393917B1 (ko) 2017-10-13 2017-10-13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6/137,849 US10924794B2 (en) 2017-10-13 2018-09-21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18196170.7A EP3471074B1 (en) 2017-10-13 2018-09-24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CT/KR2018/011859 WO2019074260A1 (en) 2017-10-13 2018-10-10 REMOTE CONTROL,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811187032.1A CN109671260B (zh) 2017-10-13 2018-10-12 遥控器、显示设备、系统以及用于控制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11A KR102393917B1 (ko) 2017-10-13 2017-10-13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90A true KR20190041690A (ko) 2019-04-23
KR102393917B1 KR102393917B1 (ko) 2022-05-04

Family

ID=6368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211A KR102393917B1 (ko) 2017-10-13 2017-10-13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24794B2 (ko)
EP (1) EP3471074B1 (ko)
KR (1) KR102393917B1 (ko)
CN (1) CN109671260B (ko)
WO (1) WO2019074260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48A1 (ko) * 2021-01-11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2270655A1 (ko) * 2021-06-24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30037359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오성전자 사용자 단말의 ir 제어코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
KR20230037358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오성전자 Ir 블라스터를 이용한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068502A1 (ko) * 2021-10-20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3182547A1 (ko) * 2022-03-24 2023-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53841A1 (ko) * 2022-09-05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3997B2 (en) * 2017-08-09 2022-02-0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sources of media presentations
KR102369121B1 (ko) * 2017-10-12 2022-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KR102660266B1 (ko) * 2019-02-27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986392B2 (en) * 2019-06-07 2021-04-20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Hybrid IR/RF remote control system
CN110996307B (zh) * 2019-11-22 2022-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配件设备、主机设备以及数据传输方法
US11943622B2 (en) * 2020-03-06 2024-03-26 Dish Network Technologies India Pvt.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mote control units and paired devices
TWI739370B (zh) * 2020-04-01 2021-09-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訊號處理裝置及訊號處理方法
WO2022259432A1 (ja) * 2021-06-09 2022-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機器
CN115731683A (zh) * 2021-08-30 2023-03-03 佛山市顺德区美的电子科技有限公司 遥控器连接方法、装置、遥控器及系统
CN114071439B (zh) * 2021-11-15 2023-10-2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蓝牙遥控器与多设备配对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101A (ko) * 2008-04-23 200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75538A1 (en) * 2009-06-15 2012-03-29 Sachiko Okuda Remote control system, television set and pairing method
KR20120031694A (ko) * 2010-09-27 2012-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리모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68213A (ko) * 2013-12-11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071944A (ko) * 2013-12-19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통합 리모컨 및 이의 설정 방법
KR20170025400A (ko) * 2015-08-28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9590A1 (en) 2002-03-01 2004-09-0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ppliance power awareness to select a remote control command set
US20050054289A1 (en) * 2003-09-05 2005-03-10 Innovative Intelcom Industries Communications, command, and control system with plug-and-play connectivity
US7579961B2 (en) 2003-09-26 2009-08-25 Openpeak Inc. Device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4413100B2 (ja) 2004-07-26 2010-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KR101472912B1 (ko) 2007-09-03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통합 리모콘 제어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US7639907B2 (en) 2007-11-14 2009-12-29 Elbex Vide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C powered appliances via video interphones, two way IR drivers and remote control devices
JP5003518B2 (ja) * 2008-02-04 2012-08-15 ソニー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遠隔制御方法
CN102542782A (zh) 2010-12-27 2012-07-04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遥控器及相关的显示系统
KR101772653B1 (ko) 2010-12-31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KR101861373B1 (ko) * 2011-12-05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CN102411840B (zh) 2011-12-15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遥控装置
KR101971965B1 (ko) 2012-08-30 201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4113772B (zh) * 2013-04-22 2018-11-2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966940B1 (ko) * 2013-11-15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CN103702158A (zh) 2013-12-13 2014-04-02 海信集团有限公司 显示系统的集成控制方法和显示装置
KR20150075827A (ko)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4967888A (zh) 2015-06-30 2015-10-0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遥控控制方法和装置、遥控设备
KR102402262B1 (ko) * 2015-08-25 2022-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70256160A1 (en) * 2016-03-02 2017-09-07 Le Holdings(Beijing)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an operating mode of a remote controller
CN106375808B (zh) 2016-08-29 2020-01-14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蓝牙遥控的优化方法、优化系统及机顶盒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101A (ko) * 2008-04-23 200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75538A1 (en) * 2009-06-15 2012-03-29 Sachiko Okuda Remote control system, television set and pairing method
KR20120031694A (ko) * 2010-09-27 2012-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리모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68213A (ko) * 2013-12-11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071944A (ko) * 2013-12-19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통합 리모컨 및 이의 설정 방법
KR20170025400A (ko) * 2015-08-28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48A1 (ko) * 2021-01-11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2270655A1 (ko) * 2021-06-24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30037359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오성전자 사용자 단말의 ir 제어코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
KR20230037358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오성전자 Ir 블라스터를 이용한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068502A1 (ko) * 2021-10-20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3182547A1 (ko) * 2022-03-24 2023-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53841A1 (ko) * 2022-09-05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24794B2 (en) 2021-02-16
EP3471074A1 (en) 2019-04-17
CN109671260A (zh) 2019-04-23
WO2019074260A1 (en) 2019-04-18
US20190116334A1 (en) 2019-04-18
CN109671260B (zh) 2022-09-02
KR102393917B1 (ko) 2022-05-04
EP3471074B1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917B1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9434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20210258786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2415036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863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7161B1 (ko)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451618B2 (en) Universal voice assistant
US8514336B2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pairing method thereof
US109709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20130129358A1 (en) Terminal apparatus for auto pairing,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1700412B2 (en) Universal voice assistant
US11665757B2 (en) Universal audio device pairing assistant
KR201500719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통합 리모컨 및 이의 설정 방법
US202303686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services and/or devices with a voice assistant
JPWO2015001772A1 (ja) 無線接続設定方法、無線通信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1241967B1 (ko) 제어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기록매체
US20150046968A1 (en) Function upgrad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US1101105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10119718A1 (en)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ler, content reproduc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determination method
JP6051639B2 (ja) 携帯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261451A1 (en) Universal audio device pairing assistant
WO2014192155A1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068207A (ja) 情報処理端末、再生装置、情報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