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965B1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965B1
KR101971965B1 KR1020120095528A KR20120095528A KR101971965B1 KR 101971965 B1 KR101971965 B1 KR 101971965B1 KR 1020120095528 A KR1020120095528 A KR 1020120095528A KR 20120095528 A KR20120095528 A KR 20120095528A KR 101971965 B1 KR101971965 B1 KR 101971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sub
multimedia device
electronic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810A (ko
Inventor
김건우
신정수
김윤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9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비디오 이미지를 수신하는 제1인터페이스 모듈과,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 및 현재 포커스된 제1서브 영역을 판단하는 컨트롤러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제2인터페이스 모듈과,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의 판단 결과 및 상기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제1서브 영역 대신 제2서브 영역을 포커싱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MULTIMEDIA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더 많은 종류의 전자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최근 보급되는 전자장치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TV, 오디오, DVD 플레이어, 에어컨, 선풍기 등의 각종 전자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최근 개발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TV 등)는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들을 수신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연결된 전자장치(예를 들어, STB, BD 플레이어, PC 등)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숫자 만큼 리모트 컨트롤러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개의 서로 다른 통신 규약하에서 이종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 하면서 동시에 이종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러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일부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할 수 없는 상태를 분석하고,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이미지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기설정된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예를 들어, 상기 비디오 이미지는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음)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 및 현재 포커스된 제1 서브 영역을 디텍트 하는 단계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컨트롤에 따라 상기 스크린상에서 위치가 변화하는 인디케이터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디텍트 및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서브 영역 대신 제2 서브 영역을 포커싱 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값을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추출된 코드값을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비디오 이미지를 수신하는 제1인터페이스 모듈(예를 들어, 상기 비디오 이미지는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음)과, 상기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 및 현재 포커스된 제1서브 영역을 판단하는 컨트롤러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제2인터페이스 모듈과,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의 판단 결과 및 상기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제1서브 영역 대신 제2서브 영역을 포커싱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비디오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예를 들어, 상기 비디오 이미지는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음)와, 상기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 및 현재 포커스된 제1서브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제1서브 영역 대신 제2서브 영역을 포커싱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 하면서 동시에 서로 다른 종류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통신을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를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컨트롤 하는 속도를 대폭 제고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비디오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에도 추가적인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기능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리모트 컨트롤러, 서버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IR 코드값들의 데이터베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IR 코드값들의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DB를 저장하고 있는 미들웨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제1OSD 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제2OS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로컬키 버튼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각 주체간 송수신되는 데이터 플로우를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들을 컨트롤 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Universal Remote Controller)으로 제어하고저 하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위치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서 표시되는 인디케이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위치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서 표시되는 인디케이터의 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은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그래픽 이미지 옵션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은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그래픽 이미지 옵션을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 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OSD 위치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a, 도 29b 및 도 29c 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OSD 컨텐트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0a 및 도 30b 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대상인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합 리모컨(Universal Remote Controller)으로 제어하고저 하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통합 리모컨(Universal Remote Controller)으로 제어하고저 하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시스템의 전체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리모트 컨트롤러, 서버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캡쳐 및 분석 모듈(3530)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을 호출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리모트 컨트롤러 및 외부 전자 디바이스간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특정 비디오 이미지를 분석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특정 비디오 이미지를 분석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도 39 또는 도 40에 도시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코드값을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도 38과 대비하여 코드값을 추출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 내지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간 데이터 통신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S4720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2가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전자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공간 리모컨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인터넷 TV, IPTV,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및 오픈하이브리드TV(OH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 PC 및 가전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 가능하지만, 보다 용이한 실시를 위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4가지 실시예들을 간략히 정리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각각의 실시예들이 독립적인 권리범위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4가지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케이스도 특허권의 범위에 속한다.
첫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STB, BD(blue-ray disk) 플레이어, PC, 노트북, 태블릿 등과 연결된 TV를 컨트롤 하기 위하여 오직 하나의 Universal 리모트 컨트롤러로 해당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킹이 가능한 TV는 외부 서버로부터 각각의 device 에 대응하는 IR code 테이블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TV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RF(Radio Frequency) 통신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의 특정 function 을 제어하기 위한 IR 코드값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IR 코드값을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IR 통신을 통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 IR 코드값을 포워딩 하도록 설계된다.
둘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본 발명의 Universal 리모컨을 적용하기 위해, control 대상이 되는 device 들을 설정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당해 특허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총 3개의 기술적 방법이 가능하다.
a) 자동 detecting 기술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로 TV와 유니버셜 리모컨으로 제어하고저 하는 Device 들이 연결된 경우, 상기 Device 들의 종류, 이름, 모델명 등의 정보가 Device 에서 TV 쪽으로 전송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카메라로 상기 디바이스를 촬영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종류, 이름 모델명 등)를 획득한 다음, 획득된 식별 정보를 TV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Device 관련 정보를 수신한 TV는, 외부 서버와 접속하여 해당 Device에 대응하는 IR 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user 는 별도로 기기 등록을 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HDMI, 케이블 등으로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전술한 정보를 전송하지 않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아래 b) 및 c) 목차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b) Hybrid 기술
우선, STB(Set Top Box)와 TV가 연결된 경우, TV는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TB의 maker 또는 케이블 방송국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현재 한국에서 관련 service 를 제공하고 있는 업체가 총 3개(ex : QOOK TV, BTV, UPLUS)인 경우, 3개 업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된다. 이 때, 유저가 특정 업체를 선택한 경우, TV 는 외부 서버로부터 해당 업체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IR 테이블을 자동으로 수신한다.
c) 사용자 입력 방식
한편, 네트워킹 환경의 변화 또는 기술적 error 로 인하여 전술한 b) 케이스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본 발명의 universal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하고저 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 및 모델명 등을 직접 입력하는 솔루션도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TV가 제공하는 OSD 가 아닌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STB 에서 제공하는 OSD 를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션에 따라, TV 스크린상의 pointer 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TV는 HDMI 등으로 연결된 STB 를 제어할 수 있는 TV OSD 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션을 제어하여 해당 영역에 pointer 를 위치시킴으로써, 유저는 자신이 원하는 STB 의 기능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가 있다. 반면, TV OSD 에서 제공하지 않는 추가 기능들이 있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STB에서 제공하지 않던 기능이나, 메뉴 옵션 등은 TV OSD 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물론, 이 때에도 STB OSD 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STB OSD 는 모션 리모컨의 포인터를 위치시켜서 선택할 수 없는 이미지 데이터 이다. 따라서, STB OSD 에 대해서는 모션 리모컨의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여 컨트롤 하는 솔루션이 필요하다.
예컨대, 모션 리모컨의 아래 방향 화살표 버튼을 클릭한 경우, 이에 대한 RF 신호가 TV 쪽으로 전송되고 TV는 이에 대응하는 IR 신호를 RF 네트워크를 통해 다시 리모컨 쪽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넷째,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기존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EPG 가 아니라 연결된 STB 등에 따라 flexible 하게 변동되는 채널 브라우징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당해 제4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발명을 구현하는 솔루션으로서 크게 2가지 Method 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a) 해당 STB 에서 제공하는 모든 채널의 정보(ex : 썸네일 이미지, 방송 시간, 부가 정보, 등장 인물 정보 등)를 이미 알고 있는 외부 서버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TV는, 전술한 외부 서버에, 현재 연결된 STB 의 타입을 알림으로써, 각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기술과 달리, 적어도 2개 이상의 채널 정보를 스크린의 일측에 위치시키고, user 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션을 생성하여, 원하는 채널 그룹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 한편, 전술한 a) 케이스와 같은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background 로 TV가 동작하여 각 채널을 스캐닝 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채널을 스캔하여 비디오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를 캡쳐하여, 각 채널에서 현재 제공하는 Content 에 대한 기본 정보 또는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 리모트 컨트롤러(110), 서버(120)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30)를 포함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 디바이스(130)의 개수만큼 복수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른바 종래 기술에 의한 통합 리모컨 역시 각 전자 디바이스(130)들의 모든 IR 코드값을 탑재해야 하므로, 메모리 용량상 한계가 있었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인터넷 네트워크 등을 통해 연결된 서버(120)로부터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IR 코드값들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한다. 물론,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IR 코드값들을 업데이트 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제1통신 수단(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에 대한 IR 코드값을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요청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기저장된 DB를 확인하여 해당 IR 코드값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IR 코드값을, 제2통신 수단(예를 들어, IR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해당 전자 디바이스(130)로 포워딩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중계기 역할을 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대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설명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보충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방송 수신 모듈(201), 복조부(2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04), 메모리(205), 제어부(206), 비디오 출력부(207), 오디오 출력부(208), 전원 공급부(209)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2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리모트 컨트롤러(21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10)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201)은, 예컨대 RF 튜너로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STB 등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 설계 가능하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201)은,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조부(202)는, 방송 수신 모듈(20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20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경우, 복조부(20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20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는 외부 장치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206)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06)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04)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05)는, 제어부(206)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05)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05)는, 예를 들어 다양한 OS, 미들웨어 및 플랫폼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06)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06)로부터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2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21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0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210))로 송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06)는, 방송 수신 모듈(201), 복조부(2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6)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207)는, 제어부(206)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207)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하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208)는, 제어부(206)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08)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209)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06)와,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207)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20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0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는 특정 서버에 접속한다. 나아가,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한 IR 코드값들은 메모리(205)에 저장되도록 설계한다. 한편, 상기 IR 코드값들은,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04)로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이다.
마지막으로, 리모트 컨트롤러(21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IR 코드값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10)로 전송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때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부(306)는, 역다중화부(310), 영상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그리고 포맷터(36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상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그리고,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컨트롤 하고자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OSD 는, 전술한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다. 그리고, 일반 방송 화면과 상기 OSD 가 오버레이된 형태를 만들기 위하여, 전술한 믹서(350)를 추가 설계한다. 상기 일반 방송 화면과 상기 OSD 가 오버레이된 형태는, 이하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 상에,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401)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좌우(도 4의 (b)), 상하(도 4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40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왼쪽으로 이동 시키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401)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로 전송된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4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401)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아래쪽으로 이동 시키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401)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을 신속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무선통신부(514), 사용자 입력부(515), 센서부(517), 출력부(516), 전원공급부(511), 저장부(512), 그리고 제어부(513)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514)는 임의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RF 모듈(514a)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하고, IR 모듈(514b)은 외부 전자 장치(530, 예를 들어 STB)와 적외선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로부터 수신한 IR 적외선 코드값을, STB(530)로 포워딩 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로,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514a)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514a)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514b)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1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517)는 자이로 센서(517a) 또는 가속도 센서(517b)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517a)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517a)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517b)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516)는 사용자 입력부(51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516)는 사용자 입력부(515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514)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516a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516b),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516c),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516d)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11)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511)는 리모트 컨트롤러(51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저장부(512)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13)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13)는, 사용자 입력부(51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517)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514)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 또는 STB(5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IR 코드값들의 데이터베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메모리(205)에는, 도 6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가 구축되어 있도록 설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일예인 TV의 각 기능에 대한 IR 코드값이 맵핑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는,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정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업데이트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으므로, 리모트 컨트롤러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에 대한 IR 코드값을 언제든지 전송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IR 코드값들의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도 6과 달리, 도 7은 복수개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서로 다른 메모리 어드레스에 저장해 두도록 설계한다. 즉, 제1메모리 어드레스에는, STB의 기능들에 대한 IR 코드값을 저장하고, 제2메모리 어드레스에는, BD(Blueray-Disk) 플레이어의 기능들에 대한 IR 코드값을 저장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설계하는 경우, 특정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OSD 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에 액세스 하는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도 7에서는 2개의 디바이스만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수시로 업데이트 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할 수 있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계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리모트 컨트롤러의 메모리를 별도로 개선할 필요가 없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DB를 저장하고 있는 미들웨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전술하여 설명한 데이터베이스(도 6 또는 도 7)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미들웨어의 설계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내에 위치하도록 미들웨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쉬 엔진 또는 브라우져 내에 위치하도록 미들웨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 8과 같이 설계하는 경우, 기존의 플랫폼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아닌 다른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고저 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솔루션으로 2가지를 제안한다. 1번째 솔루션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으며, 2번째 솔루션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제1OSD 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OSD는, 외부 입력 목록을 선택하는 키버튼을 사용자가 누른 경우,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0)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던 사용자가, 다른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고저 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에 부착되어 있는 키버튼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0)에 부착되어 있는 로컬 키 버튼을 누른다.
이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외부 입력 목록(1001)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외부 입력 목록(1001)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저장된 IR 코드값들을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로 한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입력 목록(1001)은, 최초 단자들의 이름 뿐만 아니라, 해당 단자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의 이름을 함께 표시하는 영역(1002)을 포함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컨트롤 하고저 하는 디바이스를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제2OS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달리, 도 11은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목록을 탭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던 사용자가, 다른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고저 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에 부착되어 있는 키버튼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에 부착되어 있는 로컬 키 버튼을 누른다.
이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외부 입력 디바이스들을 탭(1102, 1103)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탭들(1102, 1103)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저장된 IR 코드값들을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로 한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된 어플들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탭(1101)이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도 11에서는 탭 형식으로 컨트롤 하고저 하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과 유사한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유저에게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STB를 컨트롤 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기능들을 그래픽 이미지로 포함한 OSD 를 미리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상기 STB를 컨트롤 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기능들을 그래픽 이미지로 포함한 OSD 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도 10과 달리, 도 11과 같이 설계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방송 화면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컨트롤 하고저 하는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솔루션 역시 2가지로 나누어 설계 가능하다. 첫번째 실시예로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기본적인 기능들에 대해서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컨트롤할 수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두번째 실시예로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부가적인 기능들에 대해서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을 이용하여 컨트롤 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로컬키 버튼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신속하게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방법을 통해,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STB)를 제어하기로 선택한 경우를 가정하겠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210)도 STB의 볼륨 또는 채널을 로컬키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210)의 볼륨 업 버튼을 사용자가 누른 경우, STB의 볼륨 업에 대응하는 IR 코드값을 요청하는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에 전송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는 상기 STB의 볼륨 업에 대응하는 IR 코드값을 리모트 컨트롤러(1210)에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210)는 수신한 IR 코드값을 해당 STB(1230)로 포워딩 한다.
따라서, 상기 STB(130)는, 리모트 컨트롤러(1210)로부터 수신한 IR 코드값에 기초하여 볼륨 업 기능(1231)을 수행할 수가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부에 로컬키 버튼으로 부착되어 있지 않은,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예를 들어, STB의 메뉴 기능)을 컨트롤 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방법을 통해, 컨트롤 하고저 하는 디바이스로 STB를 표시하는 탭(1301)을 선택한 경우로 가정하겠다. 이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는, 선택된 STB의 기능들에 대한 OSD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OSD는 각 디바이스별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OSD 의 각 기능들은 리모트 컨트롤러(1310)에 의해 선택 가능한 포맷으로 설계되어 있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310)를 이동시켜서, 인디케이터(1302)가 STB의 메뉴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는 상기 STB 의 메뉴에 대응하는 IR 코드값을 리모트 컨트롤러(13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310)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로부터 수신한 IR 코드값을 해당 전자 디바이스인 STB(1330)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B(1430)의 메뉴 기능이 실행된 경우, 상기 STB(1430)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400)는 STB 메뉴가 실행된 화면(1401)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410)를 이용하여, 상기 STB 메뉴가 실행된 화면(1401) 상에서 특정 옵션을 추가 선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다고 할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부에 로컬키 버튼으로 부착되어 있지 않은,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예를 들어, STB의 채널 9번 기능)을 컨트롤 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방법을 통해, 컨트롤 하고저 하는 디바이스로 STB를 표시하는 탭(1501)을 선택한 경우로 가정하겠다. 이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선택된 STB의 기능들에 대한 OSD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OSD는 각 디바이스별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OSD 의 각 기능들은 리모트 컨트롤러(1510)에 의해 선택 가능한 포맷으로 설계되어 있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510)를 이동시켜서, 인디케이터(1502)가 STB의 채널 9번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상기 STB 의 채널 9번 기능에 대응하는 IR 코드값을 리모트 컨트롤러(15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510)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로부터 수신한 IR 코드값을 해당 전자 디바이스인 STB(1530)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B(1630)의 채널 9번 기능이 실행된 경우, 상기 STB(1630)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는 변경된 채널 9번의 화면(1601)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610)를 이용하여, STB(1630)의 다른 기능을 추가 컨트롤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부에 로컬키 버튼으로 부착되어 있지 않은,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예를 들어, BD 플레이어의 재생(play) 기능)을 컨트롤 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방법을 통해, 컨트롤 하고저 하는 디바이스로 BD 플레이어를 표시하는 탭(1701)을 선택한 경우로 가정하겠다. 이 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700)는, 선택된 BD 플레이어의 기능들에 대한 OSD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OSD는 각 디바이스별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도 17에 도시된 OSD 의 각 기능들은 리모트 컨트롤러(1710)에 의해 선택 가능한 포맷으로 설계되어 있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710)를 이동시켜서, 인디케이터(1702)가 BD 플레이어의 재생(play)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700)는 상기 BD 플레이어의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IR 코드값을 리모트 컨트롤러(17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710)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700)로부터 수신한 IR 코드값을 해당 전자 디바이스인 BD 플레이어(1730)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BD 플레이어(1830)의 재생 기능이 실행된 경우, 상기 BD 플레이어(8630)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800)는 해당 타이틀을 재생하는 화면(1801)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810)를 이용하여, BD 플레이어(1830)의 다른 기능(예를 들어, Stop, reverse 등)을 추가 컨트롤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각 주체간 송수신되는 데이터 플로우를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900), 리모트 컨트롤러(1910), 서버(1920),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930)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900)는 IR 코드값을 보유하고 있는 임의의 서버(1920)에 액세스 한다(S1901). 상기 서버(192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9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들을 컨트롤할 수 있는 IR 코드값을 전송한다(S1902).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900)는, 상기 서버(1920)로부터 수신한 IR 코드값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1903).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별로 다른 메모리 어드레스에 저장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910)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90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S1904).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910)는, 컨트롤 하고저 하는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에 대한 IR 코드값을 요청한다(S1905).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900)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910)의 요청에 따라, 해당 IR 코드값을 전송한다(S1906).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910)는 수신한 IR 코드값을 해당 전자 디바이스(1930)로 포워딩 한다(S1907).
그리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1930)는, 상기 IR 코드값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1908). 상기 S1908 단계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900)를 컨트롤 하는 기능과 연관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한편, 전술하여 설명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도 20을 보충 해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제1통신 경로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접속한다(S2001). 상기 접속된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을 메모리에 저장한다(S2002). 상기 코드값은, 예를 들어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에 대응하고, 제2통신 경로를 통해서도 전송되도록 설계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열하는 제1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S2003). 상기 제1통신 경로를 통해, 특정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2004).
상기 선택된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을 나열하는 제2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S2005). 상기 제1통신 경로를 통해,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2006).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추출한다(S2007). 그리고, 상기 제1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추출된 코드값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한다(S2008).
상기 S2001 단계는, 예를 들어 기설정된 주기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코드값을 업데이트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S2002 단계는, 예를 들어 제1전자 디바이스의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드값들을, 상기 메모리의 제1어드레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그리고 제2전자 디바이스의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드값들을, 상기 메모리의 제2어드레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2003 단계 및 상기 S2005 단계는,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OSD (On Screen Display) 생성부가 상기 제1리스트 및 상기 제2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1리스트에 해당하는 OSD와 상기 제2리스트에 해당하는 OSD 각각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내 서로 다른 영역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한다.
예를 들어, STB(Set Top Bos)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OSD 는 상기 스크린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고, BDP(Blueray Disk Player)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OSD 는 상기 스크린의 가장 우측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이종의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스크린상에서 거의 동시에 컨트롤 할 수 있는 바, 데이터 처리 속도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S2004 단계 및 상기 S2006 단계는, 예를 들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 감지 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전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특정 기능이 선택되도록 설계한다.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한편, 전술하여 설명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도 20을 보충 해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특정 전자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어하고자 하는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2101). 상기 S2101 단계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RF 모듈(514a)에서 수행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수신한다(S2102). 상기 S2102 단계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RF 모듈(514a)에서 수행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수신된 코드값을, 상기 특정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2103). 상기 S2103 단계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IR 모듈(514b)에서 수행하도록 설계한다. 나아가, 상기 제1통신과 상기 제2통신은 서로 다른 통신 규약으로 설계되어 있다.
상기 RF 모듈(514a)은, 예를 들어 복수개의 전자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특정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신호를 1차적으로 전송하고, 선택된 특정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복수개의 기능들 중에서, 상기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요청하는 신호를 2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내 포인터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나아가, 전술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도 2, 3,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기 위한 코드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코드값을 업데이트 하기 위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통신은 블루투스 (Bluetooth) 통신 규약으로 설정되고 있고, 상기 제2통신은 IR (Infrared Ray) 통신 규약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들을 컨트롤 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들과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STB(Set Top Box)(831), HTS(Home Theater System)(832) 및 BDP(Blueray Disk Player)(833)와 연결되어 있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STB(831), HTS(832) 또는 BDP(833) 전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의 리모트 컨트롤러(810)만으로 각각외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가 있다.
우선,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야 하는 IR 코드값을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하 도 23, 도 31 또는 도 32을 통해 후술하도록 하겠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가 라이브 방송 화면(801)을 출력하다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810)로부터 유니버셜 리모트 컨트롤러를 위한 OSD 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관련 OSD(811)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22에 도시된 OSD(811)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의 리모트 컨트롤러(810)는 외부 STB(831), HTS(832) 및 BDP(833)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OSD(811)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IR 코드값 및 전자 디바이스의 맵핑된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가 생성한 그래픽 이미지 이다. 예를 들어, 상기 OSD(811)는 기본적인 채널 브라우져(CHB)(805) 및 TV 기능(806)에 대한 탭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IR 코드값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는 전자 디바이스들(807, 808, 809)을 선택 가능한 탭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도 22에서는 유니버셜 리모트 컨트롤러(810)를 이용하여 제어하고저 하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 STB(831)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즉, 해당 탭(807)이 하이라이트 되어, 유저에게 리모트 컨트롤러(810)로 현재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고지해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OSD(811)는, 4방향 화살표 모양의 그래픽 옵션(802)을 포함하고 있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810)는, 예를 들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10)의 움직임에 따라 대응하는 인디케이터의 위치도 변경되도록 설계할 수 있는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가 생성한 그래픽 OSD(811)가 아닌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그래픽 이미지 옵션을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그래픽 옵션(802)을 추가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나아가, 도 22에 도시된 OSD(811)는, 위치 및 컨텐트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방향 탭들(803, 804)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도 22에 도시된 OSD(811)는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들 중에서 특정 전자 디바이스인 STB(831)의 기능을 컨트롤 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 옵션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옵션들은 해당 IR 코드값과 매핑되어 있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810)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예를 들어, 숫자 1 또는 숫자 7 등)에 해당하는 그래픽 이미지 옵션을 선택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해당 IR 코드값을 RF 통신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81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러(810)는 해당 IR 코드값을 STB(831)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기능(예를 들어, 채널 1로 튜닝 또는 채널 7로 튜닝)이 실행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그래픽 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컨트롤 영역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자체에서 생성된 그래픽 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2컨트롤 영역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2컨트롤 영역은,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OSD(811)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제1컨트롤 영역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자체적으로 생성하지 않은 이미지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STB 에서 전송한 메뉴 영역(1202) 또는 도 27에 도시된 채널 브라우져 영역(1301) 내의 옵션들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션만으로 선택할 수가 없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특정 영역만 선택할 수 없다면, 유저의 입장에서는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2에 도시된 4방향 화살표 모양의 그래픽 이미지(802)를 추가하였다.
도 2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Universal Remote Controller)으로 제어하고저 하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연결된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컨트롤할 수가 있다. 다만,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인지해야, 대응하는 IR 코드값 리스트를 수신할 수가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하고저 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OSD 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연결된 STB 의 제조사를 선택하는 옵션(902) 및 연결된 STB 의 모델명을 선택하는 옵션(903)을 출력하도록 설계한다. 제조사별로 또는 제품 모델명별로 다른 IR 코드값 체계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와 같은 OSD 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나아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현재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901)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유저의 오인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23에 설계된 OSD 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유저가 직접 입력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이하 도 31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도 23에서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유저가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이를 자동으로 디텍트 하는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하 도 32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위치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서 표시되는 인디케이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위치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서 표시되는 인디케이터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당업자는 이전 도 22 등을 참조하여 이하 도 24을 보충 해석할 수도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STB(1031), HTS(1032) 및 BDP(1033) 등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01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서 유저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10)를 컨트롤하는 위치, 방향, 속도 등을 센싱할 수가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010)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인디케이터(1001)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0)의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0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을 컨트롤하는 이미지 옵션을 선택할 수가 있다.
도 2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위치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서 표시되는 인디케이터의 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위치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서 표시되는 인디케이터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당업자는 이전 도 22 및 도 24 등을 참조하여 이하 도 25을 보충 해석할 수도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예를 들어 STB(1131), HTS(1132) 및 BDP(1133) 등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4에 도시된 인디케이터(1001)와 대비하여, 도 25에 도시된 인디케이터(1101)는 투명도, 형태 또는 색상 중 어느 하나가 다르게 설계된다. 즉, 상기 인디케이터(1101)가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들을 컨트롤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 영역을 이탈한 경우에는, 도 24과 다른 인디케이터(1001)로 변경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유니버셜 리모트 컨트롤러(1110)로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기 위한 영역으로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도 26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그래픽 이미지 옵션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와 STB(1231), HTS(1232) 및 BDP(1233)가 연결되어 있고, 특히 상기 STB(1231)를 컨트롤하는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겠다. 예컨대, 도 22에 도시된 STB를 컨트롤 하기 위한 탭(807)이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
나아가, 도 26에 도시된 유니버셜 리모트 컨트롤러를 위한 OSD 상에서 메뉴 옵션을 선택한 경우, STB(1231)가 제공하는 그래픽 이미지(1202)가 디스플레이 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생성한 유니버셜 리모트 컨트롤러를 위한 OSD 그래픽 이미지는, 리모트 컨트롤러(1210)의 위치 및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이동하여 원하는 특정 옵션을 선택할 수가 있다.
반면, STB(1231)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이미지 옵션(1202)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선택 가능한 항목(예컨대 실시간 방송, TV 다시보기, 영화/시리즈, Fun & Life 등)들은 리모트 컨트롤러(12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201)를 직접 위치시켜서 선택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유니버셜 리모트 컨트롤러를 위한 OSD와 달리, STB(1231)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이미지(1202)에 대해서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에서 다시 STB(1231) 전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별도로 사용한다면, 데이터 처리 속도도 지연되고 유저 입장에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첫번째 솔루션으로서, 인디케이터(1201)가 직접 선택할 수 없는 영역(1202)에서는 인디케이터(1201)의 모양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의 중앙을 덮어 쓰는 일직선 그래픽이 등장하도록 설계한다.
나아가, 두번째 솔루션으로서, 인디케이트(1201)를 도 22에서 전술한 4방향 화살표 버튼 부분(802)에 위치시킴으로써, STB(1231)가 제공하는 메뉴 이미지(1202)내 옵션들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이하 도 27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27은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그래픽 이미지 옵션을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 방송 화면을 출력하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는, STB(1331)가 제공하는 채널 브라우져와 관련된 그래픽 이미지(1301)를 디스플레이 한다. 물론, 상기 채널 브라우져와 관련된 그래픽 이미지(1301)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에서 데이터 처리하여 출력하는 경우라면, 리모트 컨트롤러(1310)를 움직여서 원하는 특정 채널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7에 도시된 채널 브라우져는, 채널별 썸네일 이미지,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전 도 26에서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브라우져와 관련된 그래픽 이미지(1301)를 외부 전자 디바이스인 예컨대 STB(1331)로부터 직접 수신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1310)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변화는 인디케이터(1304)를 해당 영역에 위치시켜서 바로 선택할 수가 없다. 이 때, 오류가 아님을 유저에게 전달하기 위해, 인디케이터(1304)의 모양, 형태, 색상, 투명도 등이 변경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STB(1331)를 위한 전용 리모컨 대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310)를 이용하여 채널 브라우져 이미지(1301) 내에서 특정 채널(1302)을 선택하고저 한다면, 인디케이터(1303)를 4방향 화살표 이미지에 위치시킨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310)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을 선택한 경우 이에 대응하는 IR 코드값(예를 들어, 특정 방향으로 한단계 이동시키는 커맨드)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310)로 전달되고, 리모트 컨트롤러(1310)는 해당 IR 코드값을 다시 STB(1331)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도 28a 및 도 28b 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OSD 위치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필요한 경우, 당업자는 이전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28a 및 도 28b를 보충 해석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유니버셜 리모트 컨트롤러 실행을 위한 OSD 의 위치를 변경하고저 하는 경우, 도 28a에 도시된 특정 방향의 탭(1401)을 선택한다. 도 28a에 도시된 탭(1401)이 선택된 경우,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최상단으로 OSD의 위치가 변경된다.
도 29a, 도 29b 및 도 29c 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OSD 컨텐트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필요한 경우, 당업자는 이전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29a 내지 도 29c를 보충 해석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유니버셜 리모트 컨트롤러 실행을 위한 OSD 컨텐트를 변경하고저 하는 경우, 도 29b에 도시된 특정 방향의 탭(1501)을 선택한다. 이 때, 다시 2가지 실시예를 각각 구현하는 것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일실시예로서, 도 29a에 도시된 탭(1501)이 선택된 경우,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상의 부가 항목들이 대체된다. 예컨대, 도 29a에서는 부가항목들로서 메뉴(MENU), 가이드(GUIDE), 정보(INFO) 및 EXIT 정도를 포함하고 있으나, 도 29b에서는 부가항목들로서 기능1(Func.1) 내지 기능4(Func.4)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도 29a에 도시된 탭(1501)이 선택된 경우,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의 전체 페이지가 완전히 다르게 변경된다. 예를 들어, 채널 번호 등의 옵션 들이 모두 사라지고, 변경된 부가항목들(기능1 내지 기능4)만이 표시된다.
도 29b의 경우, 부가항목들만 변경되는 장점이 있고, 도 29c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보다 많은 부가항목들을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0a 및 도 30b 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대상인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필요한 경우, 당업자는 이전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30a 및 도 30b를 보충 해석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유니버셜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하고저 하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변경하고저 하는 경우, 도 30a에 도시된 특정 탭(1601)을 선택한다. 도 30a에 도시된 탭(1601)이 선택된 경우,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S 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리스트 하는 OSD 로 변경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합 리모컨(Universal Remote Controller)으로 제어하고저 하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어하고저 하는 대상인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IR 코드값들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알고 있거나 서버에 액세스 하여 DB 등을 업데이트 해야 한다.
우선, 유니버셜 리모트 컨트롤러 설정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가정한다(S1701).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OSD 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디바이스인 STB가 연결된 입력 단자(ex :HDMI 등)를 선택한 후(S1702), 서비스명 및 제조사를 선택한다(S1703, S1704). 상기 서비스명이라 함은, 예컨대 케이블 방송, 인터넷 방송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회사 이름(ex : 쿡, LG 플러스)에 해당하며, 상기 제조사명이라 함은, 예컨대 STB 를 제조하는 회사 이름(ex : 엘지, 모토로라, 삼성 등)에 해당한다.
만약, 전술한 S1703 내지 S1704 단계 등을 통해 득한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기 위한 IR 코드값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 등에 액세스 하여 관련 IR 코드값을 업데이트 한다.
마지막으로, 업데이트가 완료된 경우 예를 들어 테스트를 위한 채널 업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고, 유저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선택시, 연결된 STB의 채널이 변경되는지 확인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정상적으로 설정이 이루어 진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현재 채널의 화면(901)이 +1 로 변경된 채널의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다만, 도 31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는 유저의 선택이 별도로 필요한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보다 간단히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하 도 32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32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통합 리모컨(Universal Remote Controller)으로 제어하고저 하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외부 전자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S1801),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연결된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802).
나아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자신의 제품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803). 상기 제품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들을 컨트롤 하기 위해 필요한 IR 코드값들을 콜렉트하기 위해 필요한 식별(ID) 정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식별된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을 컨트롤 하기 위해 필요한 IR 코드값들을 외부 서버에 요청하고 수신한다(S1804, S1805). 마지막으로, 수신된 IR 코드값들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한다(S1806). 따라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 만으로도, 임의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3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시스템의 전체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는 플로우 차트이다. 복수개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함에 있어서, 각각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리모컨 만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유니버셜 리모컨 실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901).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에 부착되어 있는 단축키를 눌러서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특별한 액션 없이 실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유니버셜 리모컨과 관련된 OSD 를 디스플레이 한다(S1902). 이와 관련해서는 이전 도 22 등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움직여서 S1902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이미지 옵션 중에서 특정 기능을 선택한 경우(S1903),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액세스 한다(S1904). 기보유하고 있거나 서버에 액세스하여 업데이트한 대응하는 IR 코드값을 추출하기 위한 스텝이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선택된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들 중에서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IR 코드값을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한다(S1905).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수신된 IR 코드값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906). 따라서, 외부 전자 디바이스는 해당 특정 기능을 실행하고(S1907), 대응하는 커맨드를,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908).
한편, 도 22 등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저는 자신이 컨트롤 하고자 하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들(STB(807), HTS(808), BDP(809)) 중에서 하나의 탭을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 속도가 지연되고 유저에게 다소 불편한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유저가 특별한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에 따라 적합한 OSD 그래픽 데이터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솔루션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34 내지 도 4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물론, 당업자라면 이전 도 1 내지 도 33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을 고려하여 도 34 내지 도 46의 실시예들을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RF 모듈 및 IR 모듈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터치 센서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 쿼티 자판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일반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리모트 컨트롤러, 서버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전 도 1에서는 RF 모듈과 IR 모듈을 모두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반면, 도 34에서는 별도의 중계기(3440)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400)와 RF 통신을 하고, 외부 전자 디바이스인 STB(3430)와 IR 통신을 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RF 통신의 일예로서 블루투스(bluetooth)가 채택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400)는 서버(342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기 위한 코드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물론, 상기 코드값을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HDMI 방식으로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과 관계 없이 미리 저장하고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디바이스인 STB(3430)를 컨트롤 하고저 하는 경우, 유저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400)의 리모트 컨트롤러(3410)를 이용하여 OSD 그래픽 데이터내 특정 영역(예를 들어, 채널 업)을 선택한다. 이 때,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400)는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RF 신호로 중계기(3440)에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3440)는 코드값을 IR 신호로 STB(343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뿐만 아니라, 도 34에 도시된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한편, 이전 도 1 내지 도 34 등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기 위한 OSD 그래픽 데이터는, 예컨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측에서 생성 및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OSD 그래픽 데이터내 선택 가능한 옵션들(예를 들어, 채널, 번호 등)의 위치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상기 OSD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생성하는 방식이 아니라,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이미지만 수신하여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임의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STB)가 제공하는 메뉴 화면을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할 뿐, 상기 메뉴 화면내 다양한 선택 가능한 서브 메뉴를 바로 인식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 대신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화살표 방향 키 버튼만을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에 대해서, 이하 도 35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물론, 당업자라면 도 1 내지 도 34에서 서술된 실시예들과 이하 도 35 내지 도 48에 서술된 실시예들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이하 도 35 내지 도 48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외부 전자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특히, 후술할 이하 도 35 내지 도 48에서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가 비디오 이미지 포맷 정도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때문에,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비디오 이미지내 선택 가능한 옵션들을 미리 알 수 없음을 가정하였다. 그러나,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간 양방향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컨트롤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6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와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일예인 STB(1231)는 전술한 HDMI 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STB(1231)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이미지(1202)의 각 서브 영역별 위치 정보는, 상기 STB(123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위치 정보를 미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가 저장하고 있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 때,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STB(1231)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이미지(1202)의 각 서브 영역별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1210)의 모션에 따라 움직이는 인디케이터(1201)가 상기 비디오 이미지(1202)내 특정 서브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바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는, 예컨대 HDMI-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핀을 통해, 상기 STB(1231)로 판단된 특정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커맨드(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TV 다시 보기")를 직접 상기 STB(1231)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가 상기 커맨드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리모트 컨트롤러(1210)로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리모트 컨트롤러(1210)와 STB(1231)간 위치가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당해 실시예의 효과는 극대화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HDMI 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컨트롤 데이터에 대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DiiVA(Digital Interactive Interface for Video & Audio)등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가 있다. 즉,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 및 외부 전자 디바이스가 양방향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섭된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외부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STB)로부터 수신한 특정 비디오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외부 인터페이스(3510), 디스플레이 모듈(3520), 캡쳐 및 분석 모듈(3530), 모션 위치 계산 모듈(3540), 컨트롤러(3550), 전송 모듈(3560), 그리고 메모리(3570) 등을 포함하고 있다. 물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삭제, 변경,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3510)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비디오 이미지를 수신한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3510)를 제1인터페이스 모듈로 명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 이미지는 예컨대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7에 도시된 메뉴 화면(3761)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3550)는, 상기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 및 현재 포커스된 제1서브 영역을 판단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캡쳐 및 분석 모듈(3530)은 비디오 이미지내 서브 영역들 및 현재 포커싱된 특정 서브 영역을 결정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하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모션 위치 계산 모듈(3540)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제2인터페이스 모듈로 명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520)은, 상기 컨트롤러의 판단 결과 및 상기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제1서브 영역 대신 제2서브 영역을 포커싱 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이미지 신호만을 수신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만을 사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550)는, 상기 비디오 이미지내 서브 영역 각각에 위치한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3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나아가, 상기 컨트롤러(3550)는, 문자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위치값 및 사이즈를 추정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357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기 위한 코드값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3550)는,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 하여, 상기 제1서브 영역 대신 상기 제2서브 영역을 포커싱 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값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4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송 모듈(3560)은, 상기 추출된 코드값을 외부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도 34와 같이 설계된 시스템인 경우 상기 외부 유닛은 별도의 중계기(3440)에 대응하며, 반면 도 1 또는 도 22와 같이 설계된 시스템인 경우 상기 외부 유닛은 리모트 컨트롤러에 해당한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캡쳐 및 분석 모듈(3530)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36 및 도 35를 참조하여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선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여 보충 해석이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외부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STB)로부터 특정 비디오 이미지(예를 들어, 메뉴 화면-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포함)를 수신한 경우, 각각의 서브 영역을 인식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캡쳐 및 분석 모듈(3630)은 문자 인식 모듈(3631), 특정 서브 영역 판단 모듈(3632) 그리고 서브 영역 사이즈 위치 판단 모듈(3633) 등을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우선, 상기 문자 인식 모듈(3631)은 도 37의 (b)에 도시된 특정 비디오 이미지(3761)내 문자를 인식하도록 설계된다. 물론, 각 글자의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경할 정도의 인식 수행 능력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특정 서브 영역과 서브 영역의 사이즈/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정도의 수행 능력이면 충분하다.
상기 특정 서브 영역 판단 모듈(36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진 비디오 이미지내에서 현재 포커싱되어 있는 특정 서브 영역을 디텍트 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칼라 또는 명암의 차이값을 기준으로 특정 서브 영역을 디텍트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 영역 사이즈/위치 판단 모듈(3633)은, 상기 특정 서브 영역 판단 모듈(3632)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사이즈 및 위치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결과값과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서브 영역의 사이즈 및 위치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전자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 도 3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으며, 후자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 도 4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을 호출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예를 들어, 메뉴 실행)을 최초 호출한 경우의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700)는 방송 화면(3720) 및 OSD 그래픽 데이터(3750)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고 있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OSD 그래픽 데이터(3750)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일예인 STB(3740)의 기능들을 컨트롤 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3710)의 모션에 따라 움직이는 인디케이터(3730)를 이용하여, 상기 OSD 그래픽 데이터(3750)내 특정 기능인 메뉴(3760)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메뉴(3760)를 선택한 경우, 도 3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701)는 STB(3741)로부터 수신한 특정 비디오 이미지인 메뉴 화면(3761)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OSD 그래픽 데이터(3750)내 각각의 옵션들(예를 들어, 채널, 볼륨, 숫자 등)은 STB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값으로 맵핑되어 있으나, 상기 메뉴 화면(3761)은 STB로부터 수신하였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각각의 옵션들(실시간 방송, TV 추천, 마이메뉴, Fun & Life)을 현재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리모트 컨트롤러 및 외부 전자 디바이스간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8을 참조하여(이전 도 37에서 설명된 경우를 가정),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일예인 STB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이미지내 옵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전 도 35 및 도 36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비디오 이미지를 분석하여 현재 포커싱된 서브 영역 및 리모트 컨트롤러로 위치시키고저 하는 다른 서브 영역을 판단할 수가 있다.
우선, 도 38의 (a)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3810)의 모션에 따라, 최초 인디케이터(3830)는 OSD 그래픽 데이터(3750)내 메뉴(3760) 부분에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STB(3820)가 제공하는 메뉴 관련 비디오 이미지(3040)가 출력되고 있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션 또는 위치가 변경된 경우(3811), 인디케이터의 위치도 변경된다(3831).
현재 포커싱 되어 있는 서브 영역(도 38의 (a)에 도시된 "실시간 방송")으로부터 한단계 아래 위치한 서브 영역(도 38의 (a)에 도시된 "TV 추천")을 유저가 선택하고저 하는 것으로 인식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701)는, 도 3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서브 영역(3850)을 포커싱 하기 위한 코드값(예를 들어, 하(아래) 방향 화살표 버튼에 대응하는 커맨드)을 리모트 컨트롤러(3812)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812)는 수신한 코드값을 다시 STB(3821)로 전송하며, 따라서 STB(3821)는 "TV 추천"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9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특정 비디오 이미지를 분석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디바이스(STB)로부터 수신한 메뉴 화면에서 특정 서브 영역(3900)(예컨대, 이전에 유저가 선택했던 기능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기능에 해당)이 자동으로 하이라이트 된 상태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현재 하이라이트 된 서브 영역(3900)의 사이즈가 "A" 에 해당함을 디텍트할 수가 있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도 3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서브 영역들(3901, 3902, 3903)도 동일한 사이즈인 "A"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하도록 설계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전술한 특정 서브 영역이 하이라이트된 상태로 표시되지 않거나 특정 서브 영역과 다른 서브 영역들이 구별된 상태임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하 도 40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40은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특정 비디오 이미지를 분석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4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포커싱되어 있는 특정 서브 영역이 하이라이트된 상태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 비디오 이미지내 문자를 분석하여 각각의 서브 영역의 위치값을 계산하는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각각의 문자의 가장 하단을 가상의 제1라인(4000)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TV 추천" 각각의 문자의 가장 상단을 가상의 제2라인(4001)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TV 추천" 각각의 문자의 가장 하단을 가상의 제3라인(4002)으로 추정하고, "마이 메뉴" 각각의 문자의 가장 상단을 가상의 제4라인(4003)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상기 추정된 각각의 라인들(4000, 4001, 4002, 4003)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도 4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영역들(4010, 4020, 4030, 4040)의 사이즈가 "B+b"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41은 도 39 또는 도 40에 도시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코드값을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이전 도면들에서는 비디오 이미지내 서브 영역들이 세로 방향으로만 나열된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서브 영역들이 위치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우선, 도 4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이미지(4100)내 각각의 서브 영역들이 실제 라인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총 9개의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사이즈 및 x,y 좌표 정보)를 판단할 수가 있다.
한편, 도 41의 (a)에 도시된 실제 라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 하이라이트(포커싱)된 특정 서브 영역(410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나머지 8개의 서브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의 컨트롤(예를 들어, 모션)에 따라 인디케이터가, 도 4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서브 영역인 메뉴 9(4102)로 이동한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최초 포커싱된 메뉴 1(4101)로부터 현재 인디케이터가 위치한 메뉴 9(4102)간의 위치 정보에 대한 차이값을 계산한다.
즉, 서브 영역 단위를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2회 및 아래 방향으로 2회 이동하는 커맨드가 필요하다. 따라서, 도 4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로부터 STB 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커맨드열(예를 들어, 오른쪽 방향의 화살표 버튼 2회 및 아래 방향의 화살표 버튼 2회-순서는 변경 가능)을 추출하도록 설계하며, 해당 특정 커맨드열을 표시하는 코드값은, 다시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설계한다.
나아가, 상기 인디케이터의 이동에 따른 코드값을 추출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당해 명세서에서는 2가지 실시예를 제안한다.
첫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이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상기 인디케이터의 위치가 서브 영역 단위로 변경될 때마다 해당 서브 영역을 다른 서브 영역과 구별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유저에게 보다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두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이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지 않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특정 버튼(예를 들어, "확인" 또는 "OK")이 선택된 경우에 한하여, 위치 이동을 계산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의 로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42는 도 38과 대비하여 코드값을 추출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전 도면들에서는, 서브 영역간 위치 정보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코드값을 추출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해당 코드값이 2개 이상의 시리즈(예컨대, 오른쪽 방향 1번, 하단 방향 1번 등)로 구성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이하 설명할 도 42에서는 오직 하나의 코드값으로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도 4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200)는 STB(4240)로부터 수신한 특정 비디오 이미지인 메뉴 화면(4210)을 출력한다. 이전 도면들과 달리, 이 때 상기 메뉴 화면(4210)내 서브 영역들은 각각을 식별하는 넘버들(4211, 4212, 4213, 4214)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툴을 이용하여 각 서브 영역을 인디케이트 하는 넘버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OCR 대신 다른 문자 인식 방법을 채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230)를 컨트롤 하여 인디케이터(4220)가 특정 서브 영역(4. Fun & Life)에 위치시킨 경우로 가정해 보겠다.
따라서, 도 4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201)는 특정 서브 영역(4250)을 인디케이트 하는 넘버인 숫자 4에 대응하는 코드값만을 리모트 컨트롤러(4231)로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4231)는 해당 코드값을 다시 STB(4241)로 전송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복수개의 코드값을 전송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데이터 손실율을 대폭 감소시키는 기술적 효과도 있다.
도 43 내지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전 도면들에서는 특정 비디오 이미지(외부 STB의 메뉴)가 하나의 뎁스(depth)로만 이루어진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하 도 43 내지 도 45에서는 외부 STB의 메뉴가 two depth (두 단계)로 이루어진 경우의 솔루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300)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의 일예인 STB(4320)로부터 수신된 특정 비디오 이미지(메뉴 화면)(4301)를 스크린 상에 출력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3710)를 이용하여 특정 서브 영역(마이 메뉴)를 선택한 경우, 다시 선택 가능한 서브 메뉴 화면(4302)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 메뉴 화면의 제공은 STB(4320) 관련 CP(Content Provider) 또는 SP(Service Provider)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300)는 여전히 이미지만을 디스플레이할 뿐이다.
따라서, 서브 메뉴 화면(4302)을 분석하는 프로세스가 다시 필요하며, 이와 관련하여 도 4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전 도 39 및 도 40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4에 도시된 메인 메뉴 화면(4400)의 서브 영역들의 사이즈(A)를 추정하고, 나아가 도 44에 도시된 서브 메뉴 화면(4410)의 서브 영역들에 대해서도 사이즈(a)를 추정한다. 메인 메뉴 화면(4400)과 서브 메뉴 화면(4410)이 동일한 사이즈가 아닐 가능성을 대비하여, 이와 같은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4420)의 컨트롤(예를 들어, 모션)에 따라, 인디케이터(4430)를 서브 메뉴 화면(4410)내 특정 서브 영역(VOD 찾기)에 위치시키는 경우, 전술한 방법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특정 서브 영역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메뉴 화면(4410)내 특정 서브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유저는 다시 메인 메뉴 화면으로 복귀하고저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 도 45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420)를 컨트롤하여 인디케이터(4530)가 서브 메뉴 화면(4510)인 아닌 메인 메뉴 화면(4500)으로 복귀한 것으로 가정해 보겠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문자 인식 방식 등에 기초하여 메인 메뉴 화면 및 서브 메뉴 화면의 각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를 알고 있다.
따라서, 서브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다시 메인 메뉴 화면내 임의의 서브 영역이 선택된 경우에는, 좌측 방향 화살표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코드값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STB로 전송되며, 결국 STB 는 다시 메인 메뉴 화면만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된다.
도 4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간 데이터 통신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외부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STB)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비디오 이미지를 전송한다(S4610).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이미지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기설정된 영역에 출력한다(S4620). 상기 비디오 이미지는, 예를 들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가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 및 현재 포커스된 제1 서브 영역을 디텍트 한다(S4630).
나아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컨트롤 신호(예를 들어, 모션 신호)를 수신하며(S4640),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컨트롤에 따라 상기 스크린상에서 위치가 변화하는 인디케이터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S4650).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디텍트 및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서브 영역 대신 제2 서브 영역을 포커싱 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값을 메모리로부터 추출한다(S4660).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추출된 코드값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한다(S4670). 또한, 상기 코드값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된 경우(S4680),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는 해당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S4690).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4630 단계는, 문자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이미지내 서브 영역의 위치값 및 사이즈를 추정하도록 설계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4630 단계는, 현재 포커싱된 제1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이미지내 서브 영역의 사이즈 및 개수를 추정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S4650 단계는, 상기 디텍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디케이터의 위치가 상기 비디오 이미지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 중 제2서브 영역으로 이동된 것을 판단한다.
상기 S4660 단계는, 상기 제1서브 영역과 상기 제2서브 영역 사이에 포함된 서브 영역의 개수에 따라 대응하는 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코드값은,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기 위한 커맨드에 대응한다. 또한, S4670 단계는 제1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코드값을 수신하고, S4680 단계는 제2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코드값을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1통신 방식은, 예컨대 RF(Radio Frequency) 통신 프로토콜에 해당하고, 상기 제2통신 방식은, 예컨대 IR(infrared) 통신 프로토콜에 해당한다.
도 4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비디오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S4710). 상기 비디오 이미지는, 예컨대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가상 또는 실질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 및 현재 포커스된 제1서브 영역을 판단하고(S4720),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따라 인디케이터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S4730).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제1서브 영역 대신 제2서브 영역을 포커싱 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인디케이터가 현재 위치한 제2서브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값을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S4740), 추출된 코드값을 외부 유닛으로 전송한다(S4750).
상기 S4720 단계는, 상기 비디오 이미지내 서브 영역 각각에 위치한 문자열을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문자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위치값 및 사이즈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S4720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2가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8을 참조하여, 특정 비디오 이미지내 서브 영역에 대한 정보를 디텍트 하는 2가지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비디오 이미지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 세로 라인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721).
상기 판단 결과(S4721)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로, 세로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이미지내 서브 영역의 사이즈, 위치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계산한다(S4722).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이미지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S4721)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비디오 이미지내 글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이미지내 서브 영역의 사이즈, 위치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계산한다(S4723).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9 또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이미지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1 내지 도 48(특히, 도 35 내지 도 48)에서 전술하여 충분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부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STB)가 제공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선택 가능한 서브 영역을 자동으로 디텍트 및 추출하고, 상기 STB가 제공하는 메뉴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따라서, 유저는 특정 조건하에서도 STB 리모트 컨트롤러 대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계속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공하는 모션 기능을 이용하여 STB가 제공하는 메뉴 화면내의 특정 기능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전술한 도면과 도면을 결합하여,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3510 : 외부 인터페이스
3520 : 디스플레이 모듈
3530 : 캡쳐 및 분석 모듈
3540 : 모션 위치 계산 모듈
3550 : 컨트롤러
3560 : 전송 모듈
3570 : 메모리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비디오 이미지를 수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 모듈 - 상기 비디오 이미지는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음 -;
    상기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 및 현재 포커스된 제 1 서브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비디오 이미지 내 서브 영역 각각에 위치한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하고,
    문자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위치값 및 사이즈를 추정하고,
    상기 제 1 서브 영역이 다른 서브 영역과 명확하게 구분되는 경우, 상기 제 1 서브 영역의 사이즈를 제 1 사이즈로 추정하고, 상기 제 1 서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 영역의 사이즈를 상기 제 1 사이즈로 추정하고,
    상기 제 1 서브 영역이 다른 서브 영역과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경우, 제 1 문자열에서, 개별 문자의 가장 하단을 제 1 가상 라인으로 추정하고, 제 2 문자열에서, 개별 문자의 가장 하단을 제 2 가상 라인으로 추정하고, 상기 제 1 가상 라인과 상기 제 2 가상 라인을 기초로, 상기 제 1 서브 영역의 사이즈를 추정하는 컨트롤러;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인터페이스 모듈;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의 판단 결과 및 상기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서브 영역 대신 제 2 서브 영역을 포커싱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기 위한 코드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 하여, 상기 제1서브 영역 대신 상기 제2서브 영역을 포커싱 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값을 추출하도록 설계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코드값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20095528A 2012-08-30 2012-08-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28A KR101971965B1 (ko) 2012-08-30 2012-08-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28A KR101971965B1 (ko) 2012-08-30 2012-08-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10A KR20140029810A (ko) 2014-03-11
KR101971965B1 true KR101971965B1 (ko) 2019-04-24

Family

ID=5064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528A KR101971965B1 (ko) 2012-08-30 2012-08-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1134B1 (fr) 2014-05-14 2023-01-0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mobile
KR101595958B1 (ko) 2014-08-27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CN106454530A (zh) * 2016-10-17 2017-02-22 山东浪潮商用系统有限公司 一种焦点控制方法和装置
KR102393917B1 (ko) 2017-10-13 202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9378A1 (en) 2005-09-14 2011-02-03 Jumptap, Inc. User Profile-Based Presentation of Sponsored Mobile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40B1 (ko) * 2007-10-16 2014-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570696B1 (ko) * 2009-05-29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9378A1 (en) 2005-09-14 2011-02-03 Jumptap, Inc. User Profile-Based Presentation of Sponsored Mobile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10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614B1 (ko)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커넥티트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556642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マルチメディアデバイスの制御方法
US11902627B2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789103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8875056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20260290A1 (en) User interface for audio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tv
US20110047573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971965B1 (ko)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4661B1 (ko)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812172B1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1873753B1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7692B1 (ko)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10411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49861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10444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