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827A -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827A
KR20150075827A KR1020130164170A KR20130164170A KR20150075827A KR 20150075827 A KR20150075827 A KR 20150075827A KR 1020130164170 A KR1020130164170 A KR 1020130164170A KR 20130164170 A KR20130164170 A KR 20130164170A KR 20150075827 A KR20150075827 A KR 20150075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mote controller
protocol
image contro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5827A/ko
Publication of KR2015007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영상 제어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영상 제어 장치와 페어링하는 통신부, 영상 표시 장치에게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및 식별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고, 통신부는 분석된 식별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에게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리모컨은 하나의 디지털 장치와 매칭되어 제조되었다. 즉, 해당 리모콘은 매칭된 디지털 장치를 제어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다만, 가정내 이용되는 디지털 장치의 수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리모컨의 수도 함께 늘어났고,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하였다.
최근 범용화된 방식의 리모컨은 다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리모컨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제어 코드를 해당 가전기기에 맞게 변환해서 다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한다. 이 때, 사용자는 리모컨 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가전기기의 목록 중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를 리모컨을 통해 일일이 탐색하고, 선택함으로써,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에게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영상 제어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상기 영상 제어 장치와 페어링하는 통신부, 영상 표시 장치에게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분석된 식별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영상 제어 장치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페어링하고, 상기 영상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프로토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게 전송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상기 영상 제어 장치와 페어링하는 단계, 영상 표시 장치에게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식별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방법은 영상 제어 장치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페어링하고, 상기 영상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영상 제어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게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영상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제어 시스템은 영상 제어 장치(100), 리모트 컨트롤러(200), 영상 표시 장치(3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영상 제어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영상 제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전송해주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제어 장치(100)는 셋탑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 제어 장치(100)은블루레이 플레이어, 및 DVD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이 때, 영상 제어 장치(100)는 컨텐츠 저장 매체(예를 들어, 블루레이, DVD, CD 등)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제어 장치(10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와의 상호 통신을 위해,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페어링은 영상 제어 장치(100)와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제조사에 의해 연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연결 설정될 수 있다.
영상 제어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식별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형태일 수 있고, 영상 표시 장치(200)의 제조사 정보 및/또는 모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어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식별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제어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적합한 형태(리모트 컨트롤러(200)에서 인식 가능한 포맷)로 가공하고, 양방향 프로토콜(예를 들어, RF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당 식별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 장치(100)는 영상 제어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200)에게 더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제어 장치(100)는 HDMI 인터페이스, DVI 인터페이스, 및 MHL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장착되어 있어,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내장되어 있는 영상 표시 장치(300)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어 장치(100)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의 연결 상태 및 모델 정보, 영상 표시 장치(300)의 해상도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영상 제어 장치(100)와 페어링하고, 영상 제어 장치(100)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영상 제어 장치(100)로부터 영상 제어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수신된 영상 제어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제어 장치(100)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수신된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영상 제어 장치(100) 및 영상 표시 장치(300)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 방식으로 각각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및 프로토콜을 보관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제어 장치(100)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은 양방향 프로토콜일 수 있으며, 영상 표시 장치(300)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은 단방향 프로토콜일 수 있다. 양방향 프로토콜(예를 들어, RF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양방향 통신(예를 들어, RF 통신)은 리모트 컨트롤러(200)와 영상 제어 장치(100)가 서로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응답형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단방향 프로토콜(예를 들어, IR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단방향 통신(예를 들어, IR 통신)은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300)의 전원을 ON 또는 OFF하거나,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영상 제어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 제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영상 제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예를 들어, 영상 제어 장치(100)의 전원을 ON 또는 OFF하거나, 방송 컨텐츠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VOD 컨텐츠의 트릭 모드(예를 들어, VOD 컨텐츠의 일시정지, 빨리감기, 되감기 등)를 수행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300)는 영상 제어 장치(100)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시키고,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한 텔레비전 장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TV(Television),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웹 TV(Web Television), 컴퓨터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제어 장치(100) 및 영상 표시 장치(300)가 상호 결합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어 장치(100) 및 영상 표시 장치(300)가 결합된 장치는 스마트 TV(Smart TV) 및 커넥티드 TV(Connected TV)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400)는 방송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의 송출을 담당하는 서버로서, 영상 제어 장치(100)로부터 방송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 받으면, 컨텐츠 제공 장치(400)는 요청 받은 방송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를 영상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 각각은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영상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영상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영상 제어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210), 인터페이스부(220), 정보처리부(230), 데이터 수신부(240) 및 DB(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영상 제어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영상 제어 장치(1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영상 제어 장치(100)와 페어링할 수 있다. 이 때, 페어링은 영상 제어 장치(100)와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제조사에 의해 연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연결 설정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정보처리부(230)에 의해 분석된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될 식별 정보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된 것으로서, 식별 정보에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제조사 정보 및/또는 모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된 식별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형태이고, 영상 표시 장치(300)의 제조사 정보 및/또는 모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20)는 영상 표시 장치(300)가 영상 제어 장치(100)와 새롭게 페어링될 경우, 해당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영상 표시 장치를 구입함으로써, 기존에 영상 제어 장치(100)와 연결되어 있던 영상 표시 장치(300)를 새로 구입한 영상 표시 장치로 교체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220)는 교체된 새로운 영상 표시 장치의 모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220)는 HDMI 인터페이스, DVI 인터페이스, 및 MHL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영상 제어 장치(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간,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데이터 수신부(240)에서 수신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정보처리부(230)는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처리부(230)는 EDID 형태인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식별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240)는 컨텐츠 제공 장치(400)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DB(25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DB(2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영상 제어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영상 제어 장치(100)와 영상 제어 장치(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250)는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250)는 컨텐츠 제공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250)의 일 예에는 영상 제어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통신부(210), 인터페이스부(220), 정보처리부(230), 데이터 수신부(240) 및 DB(25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제 1 통신부(310), 프로토콜 선택부(320), 제 2 통신부(330) 및 데이터베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제 1 통신부(310)는 영상 제어 장치(100)를 리모트 컨트롤러(200)와 페어링하고, 영상 제어 장치(100)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310)는 영상 제어 장치(100)로부터 영상 제어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통신부(310)는 영상 제어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양방향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 제어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통신부(310)는 RF 통신 방식으로 영상 제어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프로토콜 선택부(32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와 영상 제어 장치(100)를 페어링하기 위해 수신된 영상 제어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추출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토콜 선택부(32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와 영상 표시 장치(300)를 페어링하기 위해 수신된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추출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 선택부(320)는 영상 제어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로서, RF 프로토콜을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추출하여 선택할 수 있다. 프로토콜 선택부(320)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로서, IR 프로토콜을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추출하여 선택할 수 있다.
프로토콜 선택부(320)는 수신된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기선택된 프로토콜과 다른 경우, 기선택된 프로토콜을 수신된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어 장치(100)에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300)가 교체됨으로써, 영상 제어 장치(100)에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300)의 모델이 변경될 경우, 프로토콜 선택부(320)는 기선택된 프로토콜을 변경된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갱신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330)는 선택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300)의 전원을 ON 또는 OFF하는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통신부(330)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방향 프로토콜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통신부(330)는 IR 통신 방식으로 영상 표시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40)는 복수의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및 프로토콜을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340)는 영상 제어 장치(100)의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프로토콜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40)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프로토콜을 보관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340)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모델이 변경될 경우, 인터페이스부(220)는 변경된 영상 표시 장치(300)의 모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4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 리모트 컨트롤러(200)와 리모트 컨트롤러(2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40)의 일 예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제 1 통신부(310), 프로토콜 선택부(320), 제 2 통신부(330) 및 데이터베이스(34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어 장치(100), 리모트 컨트롤러(200), 영상 표시 장치(3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4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영상 제어 장치(100), 리모트 컨트롤러(200), 영상 표시 장치(3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4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영상 제어 장치(100)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페어링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400)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영상 제어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형태일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영상 제어 장치(100)는 단계 S403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제어 장치(100)는 EDID 형태의 식별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식별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영상 제어 장치(100)는 단계 S405에서 분석된 식별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식별 정보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제조사 정보 및/또는 모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 장치(100)는 단계 S401에서 수신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어 장치(100), 리모트 컨트롤러(200) 및 영상 표시 장치 (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의 영상 제어 장치(100), 리모트 컨트롤러(200) 및 영상 표시 장치 (3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단계 S501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영상 제어 장치(100)와 페어링하고, 영상 제어 장치(100)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복수의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및 프로토콜을 보관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단계 S501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단계 S501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추출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로서, IR 프로토콜을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추출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단계 S501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기선택된 프로토콜과 다른 경우, 단계 S501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기선택된 프로토콜을 갱신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단계 S503에서 선택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05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영상 제어 장치
200: 리모트 컨트롤러
300: 영상 표시 장치

Claims (14)

  1. 영상 제어 장치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상기 영상 제어 장치와 페어링하는 통신부;
    영상 표시 장치에게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분석된 식별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게 전송하는 것인, 영상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 장치는 셋탑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및 DVD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HDMI 인터페이스, DVI 인터페이스, 및 MHL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인 것인, 영상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형태이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EDID 형태의 식별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식별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는 것인, 영상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사 정보 및/또는 모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게 전송하는 것인, 영상 제어 장치.
  7.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영상 제어 장치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페어링하고, 상기 영상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프로토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게 전송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8. 제 7 항에 있어서,
    복수의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및 프로토콜을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선택부는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선택하는 것인, 리모트 컨트롤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선택부는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기선택된 프로토콜과 다른 경우,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상기 기선택된 프로토콜을 갱신하는 것인, 리모트 컨트롤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는 RF 통신 방식으로 상기 영상 제어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IR 통신 방식으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통신하는 것인, 리모트 컨트롤러.
  11.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상기 영상 제어 장치와 페어링하는 단계;
    영상 표시 장치에게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식별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형태이고,
    상기 EDID 형태의 식별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식별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제어 장치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페어링하고, 상기 영상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130164170A 2013-12-26 2013-12-26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75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70A KR20150075827A (ko) 2013-12-26 2013-12-26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70A KR20150075827A (ko) 2013-12-26 2013-12-26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827A true KR20150075827A (ko) 2015-07-06

Family

ID=5378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170A KR20150075827A (ko) 2013-12-26 2013-12-26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58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522A1 (en) * 2015-10-16 2017-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9074260A1 (en) * 2017-10-13 2019-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3022285A1 (ko) * 2021-08-19 2023-02-23 주식회사 오성전자 Edid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4053841A1 (ko) * 2022-09-05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522A1 (en) * 2015-10-16 2017-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36562B2 (en) 2015-10-16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9074260A1 (en) * 2017-10-13 2019-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24794B2 (en) 2017-10-13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23022285A1 (ko) * 2021-08-19 2023-02-23 주식회사 오성전자 Edid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4053841A1 (ko) * 2022-09-05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8960B2 (en) Digital media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908108B2 (en) User interface to control video content play
EP36546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configuring a user equipment device with content consumption material
US9600226B2 (en) Media playback processing and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401818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lating generic requests into device specific request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20200313993A1 (en) Generating Playback Configurations Based on Aggregated Crowd-Sourced Statistics
EP3013063A2 (en) Closed caption-support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system having the same, and closed caption-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40176807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ication of remote control device modes
US11805297B2 (en) Video quality optimization based on display capabilities
US98071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KR20150075827A (ko)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107405A (zh) 投屏方法、服务器、投屏系统和存储介质
US1026431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P-based HDMI device
US20110238731A1 (en) Method to provide an unlimited number of customized user interfaces
US201201175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xternal menu display
US201601427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EP28544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5961B1 (ko) 미디어 재생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페어링 하는 서버,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
US102751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s
KR101406425B1 (ko)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8848409B (zh) 机顶盒的无线路由模块参数设置方法及机顶盒
US20180184141A1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subscription content to multiple client devices connected in a home network
US11652894B2 (en) Device capability over dial
US2017012683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ching a media asset
US10291948B2 (en) Network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HDMI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