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425B1 -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425B1
KR101406425B1 KR1020120117335A KR20120117335A KR101406425B1 KR 101406425 B1 KR101406425 B1 KR 101406425B1 KR 1020120117335 A KR1020120117335 A KR 1020120117335A KR 20120117335 A KR20120117335 A KR 20120117335A KR 101406425 B1 KR101406425 B1 KR 101406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smart
information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917A (ko
Inventor
정광수
김동칠
이은재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4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23Monitoring of network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network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스마트 TV를 통해 시청하는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콘텐츠를 인접 디바이스들에게 제공하는 디바이스 협업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스마트 TV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콘텐츠를 시청할 때 스마트 TV와 인접하는 디바이스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상태, 성능(해상도,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정보(성별, 연령, 직업) 등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콘텐츠(비디오, 오디오, 이미지)를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THE DIFFERENTIAL MEDIA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NETWORK STATUS IN A HOME ENVIRONMENT}
본 발명은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스마트 TV를 통해 시청하는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콘텐츠를 인접 디바이스들에게 제공할 때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상태, 성능, 사용자 정보 등을 기반으로 차등적인 부가 콘텐츠(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의 빠른 확산으로 N스크린 서비스가 부각되고 있다. N스크린 서비스는 하나 혹은 다수의 콘텐츠를 여러 디바이스에서 연속적으로 즐길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N스크린 서비스는 OSMU(One Source Multi Use)와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로 구분할 수 있다. OSMU(One Source Multi Use)는 하나의 콘텐츠를 스마트 TV, PC, 스마트폰, 그리고 스마트패드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은 사용자가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유한 환경에서 각 디바이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를 서비스 하는 방식이다.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디바이스로 이어 보는 OSMU 방식은 이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많지 않고, 사용자에게는 유용해도 시장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ASMD 방식은 OSMU 방식에 비해 특정 디바이스를 가리지 않으며, 디바이스 별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콘텐츠 제작사 및 개발사에게 새로운 수익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ASMD 방식의 N스크린 서비스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협업 콘텐츠 이용 시 사용자 정보 및 네트워크 상태 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서비스 품질 향상 및 효율적인 서비스를 보장할 수 없다. 특히, 스마트 홈 환경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 각 디바이스에 전송될 부가 콘텐츠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직업 등과 같은 특성에 따라 적합한 부가 콘텐츠를 전송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에 따라 고용량의 콘텐츠인 비디오를 전송하거나 저용량의 콘텐츠인 오디오나 이미지를 전송하여 지연이 적고, 디바이스 특성에 맞는 부가 콘텐츠를 전송하는 협업 서비스 내 미디어 콘텐츠 변경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마트 TV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콘텐츠를 시청할 때 해당 영상과 관련된 부가 콘텐츠를 인접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홈 환경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상태, 성능(해상도,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정보(성별, 연령, 직업) 등을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부가 콘텐츠(비디오, 오디오, 이미지)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스트리밍 콘텐츠 및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와 연관되는 부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 홈 내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홈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탐색하여 인접한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상태, 성능,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 사용자가 선택한 스트리밍 콘텐츠를 요청하면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요청한 스트리밍 콘텐츠와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는 재생하고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인접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에 따라 차등적으로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스마트 T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기 부가 콘텐츠가 액세스 정보인 경우,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제공받은 액세스 정보로 접속하고 상기 액세스 정보에 해당하는 외부의 웹 서버로부터 해당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TV는, 상기 인접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협업 서비스로 제공할 부가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제공받은 부가 콘텐츠를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 시점과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TV는, 홈 내 인접하는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모듈; 상기 디바이스 탐색 모듈을 통해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상태를 측정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 상기 디바이스 탐색 모듈을 통해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성능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측정된 네트워크 상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로 저장하는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협업 운영 모듈; 및 상기 협업 운영 모듈에서 수신한 부가 콘텐츠 중에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적합한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협업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기 디바이스 탐색 모듈은, 디바이스 동적 탐색(NFC, BT, UPnP, Bonjour)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은, 홈 내에 위치한 스마트 TV가 주변에 인접하고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탐색에 응답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성능, 네트워크 상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리밍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와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적합한 부가 콘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탐색에 응답한 사용자 디바이스에 차등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마트 TV를 통해 스트리밍 콘텐츠를 재생할 때, 스트리밍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에 부가 콘텐츠를 인접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추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부가 콘텐츠 전송 시 사용자 디바이스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 및 디바이스의 성능 정보, 그리고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 차등적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는 협업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미디어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TV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어 서버(100), 웹 서버(200), 코어 및 액세스 네트워크(300), 스마트 TV(400), 사용자 디바이스(500)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스마트 TV(400)와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액세스 포인트(AP: 320)와 같은 홈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웹 서버(200)는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부가 콘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부가 콘텐츠는 스트리밍 콘텐츠 자체를 부가적으로 보완하거나 관련 또는 파생되는 미디어 콘텐츠(비디오, 오디오, 이미지)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영화나 드라마의 OST와 같이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있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콘텐츠, 주인공에 대한 이미지, 주인공이 출연한 다른 콘텐츠, 스트리밍 콘텐츠에 노출되는 상품 또는 그 파생 상품에 대한 정보, 스트리밍 콘텐츠의 시리즈(series)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고, 스마트 TV(4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스트리밍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미디어 서버(100)는 웹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부가 콘텐츠 중에서 각 스마트 TV(4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콘택스트(context) 정보에 기인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부가 콘텐츠를 선택하여 스트리밍 콘텐츠와 함께 제공한다.
이 경우, 미디어 서버(100)는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에 맞추어 부가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부가 콘텐츠에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 시간과 동기화할 수 있는 동기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400)는 코어 및 액세스 네트워크(300)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스트리밍 콘텐츠를 요청하고 제공받는다.
또한, 스마트 TV(400)는 홈내 위치한 사용자 디바이스(500)를 탐색하고 탐색을 통해 응답한 사용자 디바이스(500)의 네트워크를 측정하여 사용자 디바이스(500)간 네트워크 상태, 성능,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한 정보들을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로 관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TV(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를 제공받을 때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부가 콘텐츠를 함께 제공받고, 이 부가 콘텐츠를 주변에 인접하고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500)의 네트워크 상태, 성능, 사용자 정보(이하,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따라 차등적으로 선택하여 전달한다. 따라서, 스마트 TV(40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안에 주변의 인접 사용자 디바이스(500)에서는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다양한 부가 콘텐츠(비디오, 오디오, 이미지)를 재생하여 각 디바이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를 서비스한다.
이때, 스마트 TV(400)가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제공받는 부가 콘텐츠는 콘텐츠 내용 자체가 포함된 정보일 수 있지만, 콘텐츠 내용은 외부의 웹 서버(200)에 저장되고 저장된 웹 서버(200)로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정보(예를 들어 url정보)를 포함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웹 서버(200)에 접속하여 해당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은 후 재생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코어 및 액세스 네트워크(300)는 미디어 서버(100)와 스마트 TV(400), 웹 서버(2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500)의 상호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하는 모든 통신망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310)는 2G, 3G, 4G, WiBro, WiMax, LTE 등 다양한 세대의 이동 통신망이나, 무선랜(W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망,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접 통신망을 포함한다.
AP(320)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이 정해진 공간 내에 존재하는 정보통신 기기를 연결해 주는 것으로, 통상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반의 사설망(private network)에 존재하는 다양한 홈 네트워크 장치에 미들웨어라 불리는 공통의 가상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고 그 위에서 각 홈 네트워크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510), 스마트 패드(520), 노트북(530), PC 테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스마트 TV(400)의 주변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스마트 TV(400)로부터 탐색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500)가 탐색 메시지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스마트 TV(400)로 피드백하면 스마트 TV(400)와의 통신 연결로 협업하게 된다.
협업 관계를 맺은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스마트 TV(400)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부가 콘텐츠를 바로 재생하거나 또는 부가 콘텐츠에 액세스 정보가 포함된 경우 액세스 정보를 통해 웹 서버(200)로 접속하여 해당 부가 콘텐츠를 요청하고 제공받는다.
이상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미디어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는 협업 생성 모듈(110), 스트리밍 모듈(120), 스트리밍 콘텐츠 저장부(130), 부가 콘텐츠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밍 콘텐츠 저장부(130)는 스마트 TV로 제공할 스트리밍 콘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한다.
부가 콘텐츠 저장부(140)는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부가 콘텐츠를 웹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고, 또는 부가 콘텐츠의 내용은 웹 서버에 그대로 유지하고 웹 서버로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정보만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협업 생성 모듈(110)은 스마트 TV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기인하여 사용자에 맞는 부가 콘텐츠를 부가 콘텐츠 저장부(140)로부터 선택한다.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협업할 콘텐츠를 생성한다.
스트리밍 모듈(120)은 스마트 TV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스트리밍 콘텐츠를 요청받고, 해당 스트리밍 콘텐츠를 스트리밍 콘텐츠 저장부(130)로부터 불러 와 해당 스마트 TV로 전송한다. 이때, 스트리밍 모듈(120)은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부가 콘텐츠가 존재할 경우 협업 생성 모듈(110)을 통해 선택한 부가 콘텐츠를 스트리밍 콘텐츠와 함께 스마트 TV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TV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TV(400)는 디바이스 탐색 모듈(410),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420), 협업 운영 모듈(430),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440), 협업 서비스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모듈(410)은 홈 내에서 협업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탐색한다. 즉, 스마트 TV(400)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탐색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의해 스마트 TV(400)는 사용자 디바이스(500)로부터 협업 서비스의 요청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디바이스 탐색 모듈(410)은 디바이스 동적 탐색(NFC, BT, UPnP, Bonjou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의 존재 유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탐색 모듈(410)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의 해상도,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포함한 성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의 수신 시점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협업 관계를 맺은 이후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420)은 디바이스 탐색 모듈(410)을 통해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해상도,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성능 정보와, 디바이스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직업 등의 사용자 정보, 또 탐색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여 사용자별 콘택스트 정보로 저장한다.
협업 운영 모듈(430)은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42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디바이스의 성능,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고, 미디어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부가 콘텐츠를 관리한다. 이때의 부가 콘텐츠는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 미디어 포맷에 따라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등의 미디어 콘텐츠로 구분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440)은 디바이스 탐색 모듈(410)을 통해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와 스마트 TV(400)간의 네트워크 상태 즉, 가용 대역폭, 네트워크 지연 정보 등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측정한 결과는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420)에 저장한다. 네트워크의 측정 방법으로는 TCP 상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제어하는 TFRC(TCP Friendly Rate Contro)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협업 서비스 모듈(450)은 사용자가 선택한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하여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고, 협업 운영 모듈(430)에서 관리하고 있는 부가 콘텐츠 중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440)을 통해 측정한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적절한 부가 콘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해상도,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성능 정보를 고려하여 스마트폰과 같이 디스플레이 작은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패드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큰 디바이스로 구분하고 이에 따라 저용량 또는 고용량의 부가 콘텐츠를 차등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의 코어 수, 클락, 그래픽 처리 능력, 메모리 용량 등 종합적인 성능 평가를 통해 비디오, 오디오, 또는 이미지 등의 미디어 포맷을 차등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직업 등의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협업 운용 모듈(430)에서 관리하는 부가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부가 콘텐츠만을 선택하여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다양한 부가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의 연령과 동떨어지는 정보는 전달하지 않고 사용자의 직업과 관련된 정보는 선택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다수의 디바이스(510)가 구비될 수 있고, 각 디바이스(510)에는 스마트 TV로부터 해당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부가 콘텐츠가 액세스 정보인 경우 액세스 정보에 접속하여 해당 부가 콘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재생하는 브라우저 모듈(520)을 포함한다.
이상의 시스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6에서는 이해를 돕고자 스마트 TV(400)와 협업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사용자 디바이스1(510) 및 사용자 디바이스2(520) 두 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사용자 디바이스는 도시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홈내 네트워크를 통해 수용 가능한 단말의 수 또는 단말의 접속 수 여부에 따라 다수의 디바이스와 협업할 수 있다.
먼저, 홈 내에 위치한 스마트 TV(400)가 디바이스 탐색 모듈에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510, 520)로 탐색 메시지를 전송하여 협업할 사용자 디바이스를 탐색한다(S1).
그리고, 스마트 TV(400)가 탐색에 응답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성능, 사용자 정보,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여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로 사용자별 콘택스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S3, S5).
이를 위해, 스마트 TV(400)와 인접하고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1(510) 및 사용자 디바이스2(520)는 스마트 TV(400)로부터 수신한 탐색 메시지에 응답하여 협업 서비스에 접속하려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사용자 디바이스(510, 520)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 즉, 해상도,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성능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스마트 TV(400)로 전송한다(S2).
그러면, 스마트 TV(400)는 각 사용자 디바이스(510, 520)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성능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하고(S3), 탐색을 통해 응답한 각 사용자 디바이스(510, 520)와의 네트워크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4).
따라서, 스마트 TV(400)는 각 사용자 디바이스(510, 520)로부터 수집한 성능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를 결정한다(S5).
그리고, 결정한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를 스마트 TV(400)가 협업 운영 모듈을 통해 미디어 서버(100)로 전달한다(S6).
이후, 스마트 TV(400)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스트리밍 콘텐츠의 선택이 있으면 선택한 스트리밍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100)로 요청한다(S7, S8).
미디어 서버(100)는 스마트 TV(400)로부터 요청받은 스트리밍 콘텐츠를 스트리밍 콘텐츠 저장부에 기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불러오고, 해당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부가 콘텐츠를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따라 추출한다(S9).
이때, 미디어 서버(100)는 부가 콘텐츠를 웹 서버(200)로부터 미리 제공받아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부가 콘텐츠들을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된 부가 콘텐츠에서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따른 부가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시 부가 콘텐츠 자체를 불러올 수 있고 또는 부가 콘텐츠를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정보만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디어 서버(100)는 스마트 TV(400)가 요청한 스트리밍 콘텐츠와 부가 콘텐츠를 스마트 TV(400)로 전송한다(S10).
스마트 TV(400)는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스트리밍 콘텐츠를 재생하고(S11), 수신한 부가 콘텐츠는 기 설정된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510) 및 사용자 디바이스2(520)로 제공할 부가 콘텐츠를 차등적으로 선택하여 제공한다(S12).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510)가 오디오 재생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면, 스마트 TV(400)가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부가 콘텐츠 중에서 오디오 포맷의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510)로 제공한다.
또, 사용자 디바이스2(520)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크고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한 디바이스이면, 스마트 TV(400)가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부가 콘텐츠 중에서 동영상 포맷의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5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510) 및 사용자 디바이스2(520)는 브라우저 모듈을 통해 스마트 TV(400)로부터 수신한 부가 콘텐츠를 바로 재생한다(S13). 따라서, 사용자는 홈내의 스마트 TV(400)를 통해 스트리밍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510, 520)를 통해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되는 다양한 부가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부가 콘텐츠가 액세스 정보(이를 테면, url)를 포함한 정보일 경우, 이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1(510) 및 사용자 디바이스2(520)는 수신한 부가 콘텐츠의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웹 서버(200)로 접속한 후 부가 콘텐츠를 요청하고, 요청한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는다(S14, S15).
이후, 각 사용자 디바이스(510, 520)가 브라우저 모듈을 통해 부가 콘텐츠를 재생한다(S16).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미디어 서버 200: 웹 서버
300: 코어 및 액세스 네트워크 400: 스마트 TV
500: 사용자 디바이스 110: 협업 생성 모듈
120: 스트리밍 모듈 130: 스트리밍 콘텐츠 저장부
140: 부가 콘텐츠 저장부 410: 디바이스 탐색 모듈
420: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 430: 협업 운영 모듈
440: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 450: 협업 서비스 모듈
510: 디바이스 1, 2 420: 브라우저 모듈

Claims (9)

  1. 스트리밍 콘텐츠 및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와 연관되는 부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
    홈 내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홈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탐색하고,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네트워크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상태, 성능,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 사용자가 선택한 스트리밍 콘텐츠를 요청하면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요청한 스트리밍 콘텐츠와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는 재생하고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에 따라 차등적으로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스마트 TV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는 상기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TV 사이의 가용 대역폭 및 네트워크 지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TV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오디오 재생 기능을 가지면 상기 부가 콘텐츠 중 오디오 포맷의 부가 콘텐츠를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영상 재생 기능을 가지면 상기 부가 콘텐츠 중 동영상 포맷의 부가 콘텐츠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에 노출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의 시리즈(series)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TV는 TFRC(TCP Friendly Rate Control)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부가 콘텐츠를 차등적으로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콘텐츠가 액세스 정보인 경우,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제공받은 액세스 정보로 접속하고 상기 액세스 정보에 해당하는 외부의 웹 서버로부터 해당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TV는
    상기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협업 서비스로 제공할 부가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제공받은 부가 콘텐츠를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 시점과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TV는
    홈 내 인접하는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모듈;
    상기 디바이스 탐색 모듈을 통해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상태를 측정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
    상기 디바이스 탐색 모듈을 통해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성능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측정된 네트워크 상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로 저장하는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협업 운영 모듈; 및
    상기 협업 운영 모듈에서 수신한 부가 콘텐츠 중에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적합한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협업 서비스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탐색 모듈은,
    디바이스 동적 탐색(NFC, BT, UPnP, Bonjour)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7. 홈 내에 위치한 스마트 TV가 주변에 인접하고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네트워크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성능, 네트워크 상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리밍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와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적합한 부가 콘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에 차등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는 상기 탐색된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TV 사이의 가용 대역폭 및 네트워크 지연 정보를 포함하고,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TV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오디오 재생 기능을 가지면 상기 부가 콘텐츠 중 오디오 포맷의 부가 콘텐츠를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영상 재생 기능을 가지면 상기 부가 콘텐츠 중 동영상 포맷의 부가 콘텐츠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에 노출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의 시리즈(series)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TV는 TFRC(TCP Friendly Rate Control)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부가 콘텐츠를 차등적으로 상기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적합한 부가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해상도, 프로세서, 메모리 정보를 포함한 성능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가 작은 또는 큰 디바이스를 구별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대한 코어 수, 클락, 그래픽 처리 능력, 메모리 용량 정보를 토대로 종합적인 성능 평가를 통해 재생 가능한 미디어 포맷의 부가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사용자 콘택스트 정보에 적합한 부가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성별, 연령, 직업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부가 콘텐츠를 통계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홈 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20117335A 2012-10-22 2012-10-22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06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335A KR101406425B1 (ko) 2012-10-22 2012-10-22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335A KR101406425B1 (ko) 2012-10-22 2012-10-22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917A KR20140050917A (ko) 2014-04-30
KR101406425B1 true KR101406425B1 (ko) 2014-06-27

Family

ID=5065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335A KR101406425B1 (ko) 2012-10-22 2012-10-22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385B1 (ko) * 2015-04-15 2019-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 공유를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23105B1 (ko) * 2018-11-12 2020-06-1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네트워크에서 단말-미디어 상황정보 매칭 기반의 적응적 트래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952A (ko) * 2004-07-29 2006-05-1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대역폭이 제한된 네트워크를 통한 미디어 트랜스레이팅
KR101138936B1 (ko) * 2011-01-14 2012-04-25 전자부품연구원 모바일 디바이스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홈 서버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952A (ko) * 2004-07-29 2006-05-1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대역폭이 제한된 네트워크를 통한 미디어 트랜스레이팅
KR101138936B1 (ko) * 2011-01-14 2012-04-25 전자부품연구원 모바일 디바이스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홈 서버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917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8914B2 (en) Multiple flinging devices in a media fling system
US9131266B2 (en) Ad-hoc media presentation based upon dynamic discovery of media output devices that are proximate to one or more users
US9591042B2 (en) In-house location based services
US96281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US9003301B2 (en) Imag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thumbnail in DLNA system
KR101784184B1 (ko) 아이피티비에서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148756B2 (en) Output of content from the internet on a media rendering device
US83808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09246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media resource playlist in local area network
US89144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002965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WO2015035957A1 (zh) 一种视频资源获取方法、后台服务器、视频客户端及系统
EP3160101B1 (en)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method, cloud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KR101406425B1 (ko)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9100631A1 (zh) 视频播放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1231821B1 (ko)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1129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LNA network information
JP2006331199A (ja) サービス決定装置及びサービス決定方法
KR101395529B1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98232B1 (ko) 효과적으로 iptv 개인 정보의 처리를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iptv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US20240179205A1 (en) Multiple Flinging Devices in a Media Fling System
KR101008040B1 (ko) 단말 간 통신을 기반으로 한 iptv 제어 장치
JP2014204238A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KR20120088072A (ko)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KR20120036496A (ko) 고객 이력 기반 부가 서비스가 연동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