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235A - 히알루론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235A
KR20190041235A KR1020170132568A KR20170132568A KR20190041235A KR 20190041235 A KR20190041235 A KR 20190041235A KR 1020170132568 A KR1020170132568 A KR 1020170132568A KR 20170132568 A KR20170132568 A KR 20170132568A KR 20190041235 A KR20190041235 A KR 20190041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graft
diacrylate
hyaluronic acid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744B1 (ko
Inventor
노인섭
다스 디판카르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744B1/ko
Priority to PCT/KR2018/012018 priority patent/WO2019074314A1/ko
Publication of KR2019004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2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알루론산(hyalruronic acid)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acrylate monomer)가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graft-polymerized copolymer); 및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diacrylate cross-linker);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HYDROGEL INCLUDING CROSSLINKED HYALURONATE GRAFT-POLYMERIZED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젤(Hydrogel)은 화학적 결합이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작용하는 분자들이 친수성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형성하고, 건조중량의 수백배에 해당하는 수분을 흡수하는 물질이다. 이와 같은 하이드로젤은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친수성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제약, 조직재생공학 및 의학 분야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하이드로젤은 손상된 인체 조직의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조직공학 기질의 제조에 유용한 후보물질로 알려져 있다. 하이드로젤에 의해 형성되는 3차원 구조는 지지체(scaffold)라고도 불리며, 이와 같은 지지체를 다양한 조직공학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하이드로젤의 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물질 중, 히알루론산을 적용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 중에 있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살아 있는 유기체 내에서 자연 상태로 존재하는 성분으로, 인체 내 다양한 부위에 분포되어 있다. 히알루론산은 면역에 관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아 조직공학과 약물전달시스템 등에 이용될 수 있는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지니고 있어 하이드로젤의 성분으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히알루론산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점탄성 특성이나 기계적 물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지지체 골격의 강도가 낮고, 과도한 친수성과 세포부착 리간드 특성으로 인해 세포부착성, 세포 분화능 등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히알루론산을 화학적으로 개질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의 점탄성 특성과 기계적 물성 모두를 만족할 만한 수준까지 구현할 수 있는 결과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점탄성 특성, 세포적합성 및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히알루론산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알루론산(hyalruronic acid)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acrylate monomer)가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graft-polymerized copolymer); 및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diacrylate cross-linker);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젤은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젤은 pH 의존적 약물방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히알루론산(hyalruronic acid)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acrylate monomer)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graft-polymerized copolymer)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diacrylate cross-linker)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HEA)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중합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과황화칼륨(KPS, Potassium persulfate)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은 히알루론산과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하이드로젤의 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점탄성 특성과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이드로젤을 조직공학 지지체, 주사용 젤, 3D 프린팅용 소재, 약물 전달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이드로젤은 균일한 형상의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약물 방출성과 기계적 물성 조절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을 반응 단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I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H1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TGA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DMOG 및 TCN 약물방출 거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pH 조건별 팽윤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레올로지(Rheology)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세포 적합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알루론산(hyalruronic acid)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acrylate monomer)가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graft-polymerized copolymer); 및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diacrylate cross-linker);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이 제공된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그 자체로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나타내는 반면, 점탄성 특성이나 기계적 물성 등이 취약하기 때문에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물성을 보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E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알루론산과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그라프트 공중합체(graft-polymerized copolymer)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선형 공중합체에 비해 밀집된 분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히알루론산의 점탄성 특성과 기계적 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2개 혹은 그 이상의 불포화 작용기를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에 의해 가교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아크릴레이트게 가교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tetraacrylate), 성상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멀티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ultiacryla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교제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간 더욱 밀집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며, 이를 통해 최종 생성물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은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다공성 구조는 가교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도(degree x-linking)와 다공성 구조에 따라 상기 하이드로젤은 내부에 약물을 담지할 수 있는 약물 전달체, 조직공학 지지체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3D 프린팅용 소재, 주사용 젤 등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이드로젤은 내부에 약물을 담지하여 생체 내 약물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이드로젤은 pH 의존적 약물방출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이드로젤은 pH가 낮은 산성 조건에서는 서방성 약물방출을 나타낼 수 있는 반면, pH가 높은 염기성 조건에서는 속방성 약물방출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하이드로젤이 적용되는 pH 환경에 따라 약물방출성을 달리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적용 부위의 pH에 따라 하이드로젤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을 반응 단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히알루론산(hyalruronic acid)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acrylate monomer)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graft-polymerized copolymer)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diacrylate cross-linker)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그라프트 중합에 필요한 단량체인 히알루론산과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준비한 뒤, 이들을 혼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히알루론산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의 형태,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E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혼합된 단량체 간 그라프트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합 반응이 라디칼 반응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중합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과황화칼륨(KPS, Potassium persulfa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과산화벤조일 등과 같이 라디칼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라디칼 활성을 나타내어 히알루론산 또는 히알루로네이트의 양성자를 분리함으로써 히알루론산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히알루론산 라디칼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반응하여 히알루론산과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간의 그라프트 중합 반응(graft polymerization)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는 그라프트 중합 반응에 의해 생성된 히알루론산과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간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diacrylate cross-linker)를 첨가하여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는 적절한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해 2개의 불포화 작용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최종 생성물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은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간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에 의해 가교결합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에 약물을 담지하는 약물 전달체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젤은 적절한 점탄성 특성과 기계적 물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3D 프린팅용 소재, 주사형 젤, 조직공학 지지체 등으로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생체 고분자인 히알루론산 나트륨 0.25g,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EA) 2㎖를 단량체로 사용하고, 과황화칼륨(KPS) 0.0025g을 중합 개시제로 사용하여 고온에서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 이 때, 하이드로젤의 다공성 구조를 조절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EGDA) 가교제를 0.25㎖, 0.50㎖, 0.75㎖로 조절하면서 중합 반응을 진행하여 HA-p(2-HEA)-PEG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 사용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함량은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온도
(℃)
Sodium hyaluronate
(g)
KPS
(g)
2-HEA
(㎖)
PEGDA
(㎖)
실시예 1 75 0.25 0.0025 2.0 0.25
실시예 2 75 0.25 0.0025 2.0 0.50
실시예 3 75 0.25 0.0025 2.0 0.75
실험예 1: IR 결과 분석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화학적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ATR-FTIR 분광기(Travel IR, Smiths Detection, USA)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히알루론산(H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EA),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EGDA)의 ATR-FTIR 스펙트럼과 함께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고하면, 실시예 2의 하이드로젤(d)은 3425㎝-1 (HA 및 2-HEA), 2398㎝-1(2-HEA), 2878㎝-1 (PEGDA) 및 1723㎝-1 (PEGDA)에서의 신호(peak)가 모두 확인되어 HA, 2-HEA 및 PEGDA 모두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H 1 NMR 결과 분석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화학적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H1 NMR 분광기(DD2 700, Agilent Technologies-Korea, USA)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히알루론산(H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EA),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EGDA)의 H1 NMR 스펙트럼과 함께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HA, 2-HEA, PEGDA 및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H1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하이드로젤은 HA, 2-HEA 및 PEGDA를 모두 포함하는 구조의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하이드로젤 구조 관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젤 각각의 미세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하이드로젤의 주사전자현미경(SEM, Joel, Korea) 이미지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a), (b)는 각각 실시예 1에 따른 하이드로젤의 표면, 단면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c), (d)는 각각 실시예 2에 따른 하이드로젤의 표면, 단면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며, (e), (f)는 각각 실시예 3에 따른 하이드로젤의 표면, 단면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각각의 하이드로젤이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교제의 함량에 따라 그 구조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가교제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다공구조가 균일하지 않았으며(a), 가교제의 농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균일하지 않은 다공구조가 생성되었다(c). 이와 같은 다공성 구조의 하이드로젤은 약물 담지체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구조 제어에 따라 약물의 방출성 또한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4: TGA (thermos- gravimetric analysis) 결과 분석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열분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중량분석기(DTG-6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5℃/분의 스캔 속도로 TGA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히알루론산(HA)의 TGA 분석 결과와 함께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 2의 하이드로젤은 가교결합으로 인해 분자 내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어, 히알루론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열분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약물 방출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약물 방출성을 평가하기 위해, 27.9μM과 13.9μM의 DMOG(dimethyloxalyglycine) 약물과 TCN(tetracycline) 약물을 각각 높이 7㎜, 직경 10㎜ HA-p(2-HEA)-PEG젤 샘플을 48웰 폴리스티렌 웰(well)에 넣은 다음, 100㎖ 버퍼 용액(pH 7.0 및 7.4)에서 4일 동안 37℃ 조건에서 약물이 방출되도록 유도하였으며, 얻어진 샘플용액 내의 약물 양을 UV-Vis 분광기(BioMATE 3, Thermo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6: 팽윤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수분에 대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팽윤도(swelling)를 평가하였다. 하이드로젤의 팽윤도 특성에 따라 내부에 담지된 물질, 예를 들어 약물의 방출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간접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미리 칭량한 0.25g의 건조된 하이드로젤을 37℃에서 16시간 동안 50㎖의 희석된 완충 용액(pH 2.5, 7.0 및 7.4)에 담지하였다. 1시간 경과 후 하이드로젤을 배지에서 꺼내어 세척한 뒤, 무게가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하이드로젤의 무게를 칭량하였다. 팽윤도(%)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팽윤도(%) = [(침지 후 시편의 중량 - 침지 전 시편의 중량) / 침지 전 시편의 중량] × 100(%)
실험예 7: 레올로지 (Rheology) 분석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유동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Rotational rheometer(TA Instrument Ltd., DHR-1)를 이용하여 37℃ 온도 하에서 전단 저장 모듈러스(shear storage modulus; G')와 전단 손실 모듈러스(shear loss modulus; G")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측정 갭 및 시편의 규격은 각각 1.0㎜ 및 25㎜ 플레이트에 합성된 HA-p(2-HEA)-PEG 하이드로젤 샘플을 첨가하여 젤 샘플에 진동 토크(torque oscillation)를 제공하면서 샘플의 젤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소 진동 토크(minimum torque oscillation)은 10nM-m으로 설정하였고, 전단 속도는 0.1 내지 1,300/sec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응력 스윕(stress sweep) 측정을 위해, 주파수와 진동 응력(oscillation stress)은 각각 1 Hz와 1~1,000 Pa로 설정하였다. 사용된 최소 및 최대 토크는 10nN-m 및 150mN-m이었다.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 측정의 경우, 토크 분해능(resolution)과 변형률(strain)은 각각 0.1nN-m 및 1%로 하였으며, 주파수를 0.1~10Hz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고하면, 프리퀀시 범위에서 전단 저장 모듈러스(G')와 전단 손실 모듈러스(G") 값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고(a), 전단 저장 모듈러스(G')와 전단 손실 모듈러스(G")가 중첩되어 젤 형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b), 전단속도에 따라 전단 점도는 감소(c)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하이드로젤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다.
실험예 8: 세포 적합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세포에 대한 적합성을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마우스 유래 조골모세포(MC3T3)를 10% Fetal Bovine Serum(FBS) 및 100unit/㎖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alpha-MEM 배지에 넣어 100㎜×20㎜ polystyrene culture dish에서 배양하였으며,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in vitro 세포배양을 진행하였다.
live & dead assay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0㎖ conical tube 에 6×(600㎕ PBS, 1.2㎕ EthD-1, 0.3㎕ Calcein AM)을 넣어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pH 7.0, pH 7.4의 10:1, 2:1, 1:10 샘플 1개씩 총 6개의 샘플에서 배지를 제거한 뒤, 미리 제조한 live & dead 용액을 각 well 당 600㎕씩 넣고 빛을 차단한 상태로 5% CO2, 37℃ 인큐베이터에 30 분간 방치하였다. 30분 후 live & dead 용액을 제거하고 PBS로 1회 세척한 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live & dead assay 진행 시 모든 빛을 차단하고 진행하였다.
세포 수 및 세포 증식률을 관찰하기 위해 cell counting kit-8(CCK-8)을 사용하여 세포증식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CCK-8 용액 2㎖를 10% FBS를 포함하는 alpha-MEM 18㎖ 배지용액과 혼합하여 20㎖를 준비하였다. 샘플 종류별로 3개씩 각각의 샘플에 cck 혼합 용액을 1㎖씩 넣은 후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2시간 후 각 well에서 100㎕씩 샘플을 채취하고, 96well plate에 각 샘플 당 3회씩 옮겼다. 각각의 샘플에 대해 Microplate reader(Tecan)를 사용하여 450㎚ 파장에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적합성 측정 결과는 도 9 내지 12에 나타내었다. 도 9 내지 12를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하이드로젤이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히알루론산(hyalruronic acid)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acrylate monomer)가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graft-polymerized copolymer); 및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diacrylate cross-linker);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은 다공성 구조를 갖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은 pH 의존적 약물방출성을 나타내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
  6. (a) 히알루론산(hyalruronic acid)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acrylate monomer)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graft-polymerized copolymer)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diacrylate cross-linker)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과황화칼륨(KPS, Potassium persulfate)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인,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KR1020170132568A 2017-10-12 2017-10-12 히알루론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568A KR101974744B1 (ko) 2017-10-12 2017-10-12 히알루론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8/012018 WO2019074314A1 (ko) 2017-10-12 2018-10-12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568A KR101974744B1 (ko) 2017-10-12 2017-10-12 히알루론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235A true KR20190041235A (ko) 2019-04-22
KR101974744B1 KR101974744B1 (ko) 2019-09-06

Family

ID=6628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568A KR101974744B1 (ko) 2017-10-12 2017-10-12 히알루론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7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755A (ko) * 2020-05-08 2021-1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축성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38937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베스트앤퍼스트바이오텍 이중 가교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WO2024038936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베스트앤퍼스트바이오텍 가교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0445A (ja) * 2006-03-14 2009-08-27 ノボザイムス バイオポリマー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アクリル化ヒアルロン酸
JP2010510347A (ja) * 2006-11-17 2010-04-02 エージェンシー フォー サイエンス, テクノロジー アンド リサーチ 架橋性湿潤剤を有する多孔質ポリマー材料
JP4869066B2 (ja) * 2003-04-25 2012-02-01 ケイオウエス ライフ サイエンスイ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丈夫な超多孔性ヒドロゲルの形成技術
KR20120131528A (ko) * 2011-05-25 2012-12-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방출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3056955A (ja) * 2011-09-07 2013-03-28 Seed Co Ltd 重合性ヒアルロン酸誘導体、ならびにその重合体を含むヒアルロン酸ヒドロゲル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9066B2 (ja) * 2003-04-25 2012-02-01 ケイオウエス ライフ サイエンスイ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丈夫な超多孔性ヒドロゲルの形成技術
JP2009530445A (ja) * 2006-03-14 2009-08-27 ノボザイムス バイオポリマー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アクリル化ヒアルロン酸
JP2010510347A (ja) * 2006-11-17 2010-04-02 エージェンシー フォー サイエンス, テクノロジー アンド リサーチ 架橋性湿潤剤を有する多孔質ポリマー材料
KR20120131528A (ko) * 2011-05-25 2012-12-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방출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3056955A (ja) * 2011-09-07 2013-03-28 Seed Co Ltd 重合性ヒアルロン酸誘導体、ならびにその重合体を含むヒアルロン酸ヒドロゲル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ATERIALS 27 (2006) 3782-379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755A (ko) * 2020-05-08 2021-1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축성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38937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베스트앤퍼스트바이오텍 이중 가교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WO2024038936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베스트앤퍼스트바이오텍 가교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744B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Fabrication of strong hydrogen-bonding induced coacervate adhesive hydrogels with antibacterial and hemostatic activities
Kostina et al. Novel antifouling self-healing poly (carboxybetaine methacrylamide-co-HEMA) nanocomposite hydrogels with superior mechanical properties
Lai et al. Gelatin methacrylate/carboxybetaine methacrylate hydrogels with tunable crosslinking for controlled drug release
Borges et al. Nanofibrillated cellulose composite hydrogel for the replacement of the nucleus pulposus
Qi et al. Cationic Salecan-based hydrogels for release of 5-fluorouracil
Tang et al. Robust MeO2MA/vinyl-4, 6-diamino-1, 3, 5-triazine copolymer hydrogels-mediated reverse gene transfection and thermo-induced cell detachment
Shahbuddin et al. Glucomannan-poly (N-vinyl pyrrolidinone) bicomponent hydrogels for wound healing
CN101824123B (zh) 高强度温度敏感水凝胶及制备方法和应用
Suvarnapathak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hotocrosslinkable hydrogels from bovine skin gelatin
Gostynska et al. 3D porous collagen scaffolds reinforced by glycation with ribose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
Nistor et al. Synthesis of hydrogels based on poly (NIPAM) inserted into collagen sponge
Hu et al. Morph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annic acid/PAAm semi-IPN hydrogels for cell adhesion
KR20190041235A (ko) 히알루론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Liu et al. Mechanically strong and tough hydrogels with pH-triggered self-healing and shape memory properties based on a dual physically crosslinked network
Yeh et al. The effect of polymer molecular weight and UV radiation on physical properties and bioactivities of PCL films
Zhang et al. A novel single precursor-based biodegradable hydrogel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Xiang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biocompatible clay/P (MEO2MA-co-OEGMA) nanocomposite hydrogels
DK2358774T3 (en) MATERIALS IN THE FORM OF NETWORK INTERPENETREREDE WITH POLYMERS AND COMBINES A fibrin AND A GLYCOLPOLYETHYLENNETVÆRK
Oveissi et al. Tough hydrophilic polyurethane-based hydrogels with mechanical properties similar to human soft tissues
Aranaz et al. Pseudo-double network hydrogels with unique properties as supports for cell manipulation
Wang et al. The photocrosslinkable tissue adhesive based on copolymeric dextran/HEMA
Gupta et al. Stiffness‐and wettability‐dependent myoblast cell compatibility of transparent poly (vinyl alcohol) hydrogels
Burek et al. Thermoresponsive microgels containing trehalose as soft matrices for 3D cell culture
Moghadam et al. Biodegradable HEMA‐based hydrogels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Sun et al. Fenton reaction-initiated formation of biocompatible injectable hydrogels for cell encaps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