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901A -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901A
KR20190040901A KR1020180118752A KR20180118752A KR20190040901A KR 20190040901 A KR20190040901 A KR 20190040901A KR 1020180118752 A KR1020180118752 A KR 1020180118752A KR 20180118752 A KR20180118752 A KR 20180118752A KR 20190040901 A KR20190040901 A KR 20190040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ship
engine
mod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이데구치
도미오 시가키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7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fuel supply

Abstract

조종자의 의향을 반영시켜 최적의 주행 제어를 행한다.
원격 제어 장치(1)는 선박의 목표 속도를 지령하는 속도 지령부와, 목표 속도와 선박의 현재 속도의 차분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엔진의 회전수 지령 신호를,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 중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따라서 조정하는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박 등의 선박의 속도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는, 조종 레버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면, 그 위치에 따른 속도로 될 때까지, 엔진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수를 선형으로 변화시키는 조종 모드가 미리 준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류의 조종 모드는, 엔진의 부하나, 연비,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단위 시간당의 회전수의 변화량을 미리 고정적으로 설정하고 있어, 이 변화량을 마음대로는 변경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02644호 공보
그러나, 선박에서 항행할 때에는, 연료를 가능한 한 절약하여 항행하고 싶은 경우나, 가능한 한 빠른 속도로 항행하고 싶은 경우 등, 항행 시에 요망되는 요구는 다양하다. 따라서, 상기의 조종 모드를 선택하였을 때에, 연비나 속도 등이 생각했던 대로 되지 않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상기의 조종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매뉴얼로 항행을 행하는 경우, 부지런히 조종 레버를 조작해야만 하여, 조종자의 부담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조종자의 의향을 반영시켜 최적의 주행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선박의 목표 속도를 지령하는 속도 지령부와,
상기 목표 속도와 상기 선박의 현재 속도의 차분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엔진의 회전수 지령 신호를,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 중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따라서 조정하는 회전수 지령 조정부를 구비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신호여도 된다.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선박의 적재량 또는 중량이 증대될수록, 또는 상기 흘수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변화량이 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해도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따라서 상기 회전수의 최대 변화량을 설정하는 최대 변화량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른 상기 회전수의 최대 변화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해도 된다.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선박의 적재량 또는 중량이 증대될수록, 상기 변화량의 조정 범위를 좁게 해도 된다.
선박의 연비보다도 속도를 우선시키는 제1 우선 모드와, 상기 선박의 속도보다도 연비를 우선시키는 제2 우선 모드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제1 우선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우선 모드가 선택된 경우보다도 상기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해도 된다.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제2 우선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우선 모드가 선택된 경우보다도 상기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함과 함께, 상기 엔진의 연료 분사량을 일정하게 제어해도 된다.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목표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제1 조종 모드, 또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일정하게 하는 제2 조종 모드를 선택 가능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제1 조종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우선 모드 또는 상기 제2 우선 모드를 선택 가능하고,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제2 조종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상기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이 일정해지도록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해도 된다.
상기 제2 조종 모드는, 상기 선박이 항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를 항행하고 있는 경우에 선택되고,
상기 제1 조종 모드는, 상기 선박이 항으로부터 상기 소정 범위 외를 항행하고 있는 경우에 선택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종 모드 선택 시의 구체적인 조종 내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엔진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엔진의 설정 회전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50%의 적재량일 때의 회전수의 변화량의 가변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80%의 적재량일 때의 회전수의 변화량의 가변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100%의 적재량일 때의 회전수의 변화량의 가변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1)를 구비한 엔진 제어 시스템(2)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의 원격 제어 장치(1)와 엔진 제어 시스템(2)은 선박의 엔진을 제어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1)와 엔진 제어 시스템(2)은 엔진을 탑재한 임의의 탈것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엔진이란, 연료에 의해 회전하는 엔진 외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도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선박에는 전기 추진선도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화물 운반선)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의 엔진 제어 시스템(2)은 원격 제어 장치(1)(리모트 컨트롤러라고도 불림)와, 엔진 컨트롤러(3)와, 엔진(4)을 구비하고 있다. 원격 제어 장치(1)는, 예를 들어 선박의 브리지 또는 기관 제어실 등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 컨트롤러(3)는, 예를 들어 엔진 제어실에 설치되어 있다. 원격 제어 장치(1)는 엔진(4)의 시동, 정지, 역전, 회전수의 설정 등을 지령하는 지령 신호를 엔진 컨트롤러(3)에 보낸다. 엔진 컨트롤러(3)는 원격 제어 장치(1)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4)을 제어한다.
원격 제어 장치(1)는 조종 레버(속도 지령부)(5)와, 입력부(6)와, 흘수계(7)와, 데이터 저장부(8)와, 표시부(9)와, 제어부(10)를 갖는다. 조종 레버(5)는 엔진(4)의 시동, 정지, 역전, 회전수의 지령을 행한다. 조종 레버(5)를 소정 위치까지 조작하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속도가 되도록, 엔진 컨트롤러(3)에 회전수 지령 신호가 보내진다. 입력부(6)는 조종 모드의 선택 등을 행한다. 흘수계(7)는 선박의 적재량(선박에 적재된 화물의 양) 또는 중량(화물 이외에, 밸러스트수 등을 포함하는 선박 전체의 중량)을 계측하는 기기이다. 적재물이 유체인 경우에는 그 유량이 적재량에 포함되고, 콘테이너선의 경우에는 컨테이너의 개수도 적재량에 포함된다. 제어부(10)는 흘수계(7)로부터의 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선박의 적재량 또는 중량을 검출한다. 데이터 저장부(8)는 엔진(4)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8)에 저장되는 구체적인 데이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표시부(9)는 선박의 항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표시부(9)는 하나여도 복수여도 된다.
제어부(10)는 모드 선택부(11)와,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를 갖는다. 모드 선택부(11)가 선택 가능한 모드 중에는, 선박이 목표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제1 조종 모드가 있다. 목표 속도란, 조종 레버(5)로 조작 지령한 속도이다. 모드 선택부(11)는 조종자가 입력부(6)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드 선택을 행한다. 혹은, 모드 선택부(11)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면, 자동적으로 특정한 조종 모드를 선택해도 된다. 모드 선택부(11)는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일정하게 하는 제2 조종 모드를 선택 가능해도 된다. 또한, 모드 선택부(11)는 엔진(4)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제3 조종 모드를 선택 가능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모드 선택부(11)가 적어도 제1 내지 제3 조종 모드를 임의로 선택 가능한 예를 설명한다.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는 선박의 목표 속도와 선박의 현재 속도의 차분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엔진(4)의 회전수 지령 신호를,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 중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따라서 조정한다. 회전수 지령 신호란,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신호이다.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는 제1 조종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는 선박의 적재량 또는 중량이 증대될수록, 또는 흘수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변화량이 보다 작아지도록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한다.
제어부(10)는 최대 변화량 설정부(13)를 갖고 있어도 된다. 최대 변화량 설정부(13)는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라서, 엔진(4)의 회전수의 최대 변화량을 설정한다. 이 경우,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는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라서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엔진(4)의 회전수가 최대 변화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엔진(4)의 회전수의 변화량을 조정한다.
도 2는 엔진(4)의 설정 회전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는, 선박이 출항하여 엔진(4)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은 제2 조종 모드가 선택되고, 엔진(4)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를 초과하면, 제1 조종 모드가 선택되고, 선박의 속도가 조종 레버(5)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속도에 도달하면, 제3 조종 모드가 선택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조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조정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변화량은 예를 들어 입력부(6)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해도 되고,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변화량을 조정해도 된다. 소정의 조건이란, 예를 들어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이다. 선박의 적재량 또는 중량이 가벼울수록, 또는 흘수가 얕을수록, 제1 조종 모드의 변화량을 크게 하고, 선박의 적재량 또는 중량이 무거울수록, 또는 흘수의 깊이가 깊을수록, 제1 조종 모드의 변화량을 작게 것이 생각된다. 선박의 적재량 또는 중량이 무거울수록, 또는 흘수의 깊이가 깊을수록, 엔진(4)을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데 요하는 엔진 부하가 커지고, 연료도 보다 많이 소비한다. 따라서, 선박의 적재량 또는 중량이 무거울수록, 또는 흘수의 깊이가 깊을수록, 엔진(4)의 회전수의 변화량을 보다 작게 함으로써, 엔진(4)의 부하를 저감시킴과 함께, 연비를 좋게 할 수 있다.
도 2에는, 적재량을 3가지로 변화시킨 경우의 회전수의 변화량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직선 g1, g2, g3은 각각, 50%, 80%, 100%의 적재량의 선박에 있어서의 제1 조작 모드 시의 단위 시간당 회전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50%의 적재량의 선박은, 80% 또는 100%의 적재량의 선박보다도, 제1 조종 모드 시의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크게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80%의 적재량의 선박은, 100%의 적재량의 선박보다도, 제1 조종 모드 시의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크게 하고 있다.
또한, 50%의 적재량의 선박에 있어서의 제1 조종 모드 시의 회전수의 변화량은, 반드시 도 2의 직선 g1일 필요는 없고, 도 3의 사선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서 변화량을 비선형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마찬가지로, 80%의 적재량의 선박에 있어서의 제1 조종 모드 시의 회전수의 변화량은, 반드시 도 2의 직선 g2일 필요는 없고, 도 4의 사선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정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100%의 적재량의 선박에 있어서의 제1 조종 모드 시의 회전수의 변화량은, 반드시 도 2의 직선 g3일 필요는 없고, 도 5의 사선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정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의 사선 범위 중에서 좌단의 직선은, 엔진(4)의 회전수의 허용 가능한 최대 변화량을 나타내고 있다. 선박의 적재량이 많을수록, 최대 변화량의 기울기는 낮아져, 사선 범위의 면적이 좁아진다. 이것은, 선박의 적재량이 많을수록,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의 조정 범위가 좁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각 적재량에 있어서의 회전수의 최대 변화량은, 엔진(4)의 내부 압력이 너무 올라가지 않는 최대 한도의 변화량이다. 최대 변화량보다도 큰 변화량을 설정하면, 엔진(4)의 정상 동작이 보증되지 않게 되고, 엔진(4)의 수명도 짧아질 우려가 있다.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와, 엔진(4)의 회전수의 최대 변화량의 상대 관계는, 미리 데이터 저장부(8)에 저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어부(10)는 흘수계(7)에 의해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가 검출되면, 검출된 값에 따른 최대 변화량을 데이터 저장부(8)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최대 변화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설정할 수 있다.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이 커질수록, 회전수의 상승 정도가 커져, 단시간에 선박의 속도를 올릴 수 있다. 단, 엔진(4)의 회전수가 단시간에 커지기 때문에, 연비는 나빠진다. 일반적으로, 연료의 소비량은, 엔진(4)의 회전수와 1회전당의 연료 분사량의 승산으로 표시된다. 1회전당의 연료 분사량이 일정한 것으로 하면, 엔진(4)의 회전수가 높을수록, 연료의 소비량은 커진다.
선박은, 때와 경우에 따라, 가능한 한 고속으로 항행하고 싶은 경우와, 가능한 한 연료 소비량을 적게 하여 항행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모드 선택부(11)는 제1 조종 모드를 선택하였을 때에는, 속도를 우선시키는 속도 우선 모드(제1 우선 모드)와, 연비를 우선시키는 연비 우선 모드(제2 우선 모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들 2개의 우선 모드는 일례이며, 다른 우선 모드를 설정해도 되고, 우선 모드 자체를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속도 우선 모드에서는, 도 3 내지 도 5의 사선 범위 내 중, 좌단의 실선을 따라서 엔진(4)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비 우선 모드에서는, 도 3 내지 도 5의 사선 범위 내의 우측 즉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이 가능한 한 적어지도록 엔진(4)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1)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의 처리는, 선박이 항행을 개시한 시점에서 개시되고, 항행을 한창 행하고 있을 때는 계속해서 반복하여 행해진다.
먼저, 모드 선택부(11)는 제2 조종 모드를 선택하고, 엔진(4)을 시동한다(스텝 S1). 그 후, 제어부(10)는 엔진(4)의 회전수가 제1 역치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 제1 역치란, 도 2에 있어서, 제2 조종 모드로부터 제1 조종 모드로 전환할 때의 기준이 되는 회전수이다. 제1 역치는 가변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라서 제1 역치를 가변시켜도 된다.
엔진(4)의 회전수가 제1 역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텝 S2에 머물고, 도달하면, 모드 선택부(11)는 제1 조종 모드를 선택한다(스텝 S3). 또한, 스텝 S3의 선택은 수동이어도 되고, 자동적으로 행해도 된다.
다음에, 제어부(10)는 흘수계(7)로부터의 계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를 추측한다(스텝 S4). 이 스텝 S4의 처리는, 제2 조종 모드를 선택하고 있는 동안에 행해도 된다.
다음에,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는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라서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설정한다(스텝 S5).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마다 변화량의 조정 범위가 상이하다.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와,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미리 준비하고, 데이터 저장부(8) 또는 다른 저장부에 저장해 두고, 스텝 S5에서는,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대응하는 변화량의 조정 범위를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해도 된다.
다음에, 모드 선택부(11)에서, 속도 우선 모드나 연비 우선 모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한다(스텝 S6). 속도 우선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는,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라서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엔진(4)의 회전수의 변화량의 조정 범위 중에서, 최대 변화량 또는 그것에 가까운 변화량을 선택한다(스텝 S7).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의 사선 범위의 좌단의 최대 변화량을 나타내는 직선 또는 그 직선 부근의 범위로부터 변화량을 선택한다. 그리고,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는, 스텝 S7에서 선택한 엔진(4)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사용하여, 엔진(4)의 회전수를 시간과 함께 증대시킨다(스텝 S8).
한편, 연비 우선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는,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라서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엔진(4)의 회전수의 변화량의 조정 범위의 우측, 즉 변화량의 기울기가 가능한 한 작은 영역을 선택한다(스텝 S9). 그리고, 회전수 지령 조정부(12)는, 스텝 S9에서 선택한 엔진(4)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사용하여, 엔진(4)의 회전수를 시간과 함께 증대시킨다(스텝 S10).
스텝 S6 내지 S10의 처리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반복하여 행해진다. 이에 의해, 엔진(4)의 회전수는 시간과 함께 서서히 높아진다. 또한,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은, 시간에 따라서 선형으로 변화시켜도 되고, 시간에 따라서 비선형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그 후, 엔진(4)의 회전수가 제2 역치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제2 역치는, 조종 레버(5)의 조작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다. 조종 레버(5)의 조작 위치는, 목표 속도를 나타내고 있고, 선박이 목표 속도에 도달하였을 때의 엔진(4)의 회전수가 제2 역치이다.
엔진(4)의 회전수가 제2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S6 내지 S11의 처리를 반복한다. 엔진(4)의 회전수가 제2 역치에 도달하면, 모드 선택부(11)는 제3 조종 모드를 선택한다(스텝 S12). 이 제3 조종 모드에서는, 엔진(4)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한다. 이에 의해, 선박은 대략 등속으로 항행하게 된다.
도 6의 흐름도에서는,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라서,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의 조정 범위를 변경한 후에, 속도 우선 모드나 연비 우선 모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최종적인 변화량을 결정하고 있지만, 속도 우선 모드나 연비 우선 모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는 처리는 생략해도 된다. 또한,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라서 변화량의 조정 범위를 변경하는 처리도, 반드시 필수는 아니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조종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점에 특징이 있고, 변화량을 조정시키는 요인은,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박의 흔들림의 대소에 의해, 변화량의 조정 범위를 변경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박의 목표 속도와 현재 속도의 차분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엔진(4)의 회전수 지령 신호를,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라서 조정하기 때문에, 선박의 적재량이나 중량 등이 변화되어도, 조종자에게 부담을 강요하지 않고, 선박의 최적의 주행 제어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조종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엔진(4)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조정하기 때문에, 엔진(4)에 극단적인 부하가 걸리지 않는 범위에서 엔진(4)의 회전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선박 등의 선박의 적재량이나 중량에 따라서 변화량을 조정하거나, 속도와 연비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지에 따라 변화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선박의 조종자의 다양한 의향을 고려하여 선박을 주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상술한 개개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상도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도 포함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효과도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특허 청구 범위에 규정된 내용 및 그 균등물로부터 도출되는 본 발명의 개념적인 사상과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추가, 변경 및 부분적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선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탈것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 원격 제어 장치
2 : 엔진 제어 시스템
3 : 엔진 컨트롤러
4 : 엔진
5 : 조종 레버
6 : 입력부
7 : 흘수계
8 : 데이터 저장부
9 : 표시부
10 : 제어부
11 : 모드 선택부
12 : 회전수 지령 조정부
13 : 최대 변화량 설정부

Claims (9)

  1. 선박의 목표 속도를 지령하는 속도 지령부와,
    상기 목표 속도와 상기 선박의 현재 속도의 차분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엔진의 회전수 지령 신호를,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 중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따라서 조정하는 회전수 지령 조정부를 구비하는 원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신호인 원격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선박의 적재량 또는 중량이 증대될수록, 또는 상기 흘수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변화량이 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하는 원격 제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따라서 상기 회전수의 최대 변화량을 설정하는 최대 변화량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따른 상기 회전수의 최대 변화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하는 원격 제어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선박의 적재량 또는 중량이 증대될수록, 상기 변화량의 조정 범위를 좁게 하는 원격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선박의 연비보다도 속도를 우선시키는 제1 우선 모드와, 상기 선박의 속도보다도 연비를 우선시키는 제2 우선 모드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제1 우선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우선 모드가 선택된 경우보다도 상기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하는 원격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제2 우선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우선 모드가 선택된 경우보다도 상기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함과 함께, 상기 엔진의 연료 분사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목표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제1 조종 모드, 또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일정하게 하는 제2 조종 모드를 선택 가능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제1 조종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우선 모드 또는 상기 제2 우선 모드를 선택 가능하고,
    상기 회전수 지령 조정부는, 상기 제2 조종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상기 선박의 적재량, 중량 또는 흘수의 깊이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 엔진의 회전수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회전수 지령 신호를 조정하는 원격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종 모드는, 상기 선박이 항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를 항행하고 있는 경우에 선택되고,
    상기 제1 조종 모드는, 상기 선박이 항으로부터 상기 소정 범위 외를 항행하고 있는 경우에 선택되는 원격 제어 장치.
KR1020180118752A 2017-10-11 2018-10-05 원격 제어 장치 KR20190040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7858A JP7019369B2 (ja) 2017-10-11 2017-10-11 遠隔制御装置
JPJP-P-2017-197858 2017-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901A true KR20190040901A (ko) 2019-04-19

Family

ID=6611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752A KR20190040901A (ko) 2017-10-11 2018-10-05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19369B2 (ko)
KR (1) KR20190040901A (ko)
CN (1) CN1096538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13507A (ja) * 2020-01-16 2021-08-05 ナブテスコ株式会社 燃料供給制御装置、燃料供給制御方法および燃料供給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644A (ja) 2008-02-26 2009-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推進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8156B1 (ja) * 2010-09-30 2012-04-18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のエンジン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4994505B1 (ja) * 2011-03-15 2012-08-08 三井造船株式会社 舶用エンジン制御装置および方法
CN103814201B (zh) * 2011-09-20 2016-03-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驱动力控制装置
JP6372225B2 (ja) 2013-07-31 2018-08-15 東レ株式会社 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169691A (ja) 2015-03-13 2016-09-2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ジェット推進艇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088119A (ja) * 2015-11-17 2017-05-2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の操船制御方法および船舶の操船制御システム
JP2017094945A (ja) * 2015-11-25 2017-06-0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の制御方法、及び、船舶の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644A (ja) 2008-02-26 2009-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推進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53883B (zh) 2023-01-10
JP7019369B2 (ja) 2022-02-15
CN109653883A (zh) 2019-04-19
JP2019069744A (ja)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679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urface drive for a watercraft in the upper speed range
JP3957137B2 (ja) 航走制御装置
US9771138B2 (en) Boat maneuvering control method for boat and boat maneuvering control system for boat
US92488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peed of a marine vessel
US101126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im position of propulsion device on a marine vessel
CN110177741B (zh) 用于操作包括多个推进单元的船舶的方法
US95981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ttitude of a marine vessel with trim devices
US20070093147A1 (en) Control unit for multiple installation of propulsion units
CA2543269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a controllable pitch marine propeller
US100113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im position of propulsion devices on a marine vessel
US977765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engine speed in a marine propulsion device
US97648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engine speed using a feed forward signal
US1182732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rim position of a marine drive
JP6125124B1 (ja) モータ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20190040901A (ko) 원격 제어 장치
US10000267B1 (en) Methods for trimming trimmable marine devices with respect to a marine vessel
US9745035B2 (en) Control apparatus for outboard motor
US96827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engine speed relative to operator demand
CA2974575C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im position of propulsion device on a marine vessel
JPS62234741A (ja) 装輪式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方法
WO2009156318A1 (en) Method for engine control
US101322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engine speed control during a garage shift
US113124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im position of marine drives on a multi-hull marine vessel
US20230011707A1 (en) Range efficiency of watercraft
US20230264798A1 (en) Marine propulsion device with forward/reverse shifting mechanism, and marine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24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1018

Effective date: 202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