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675A - 라벨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라벨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675A
KR20190040675A KR1020170130097A KR20170130097A KR20190040675A KR 20190040675 A KR20190040675 A KR 20190040675A KR 1020170130097 A KR1020170130097 A KR 1020170130097A KR 20170130097 A KR20170130097 A KR 20170130097A KR 20190040675 A KR20190040675 A KR 2019004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base film
defective
film
pee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322B1 (ko
Inventor
신희택
윤성용
김형주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17013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3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675A/ko
Priority to KR1020220141216A priority patent/KR102648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322B1/ko
Priority to KR1020240034570A priority patent/KR20240037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006Removing back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4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 B65C2009/402Controls; Safety devices for detecting properties or defects of labels
    • B65C2009/404Controls; Safety devices for detecting properties or defects of labels prior to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5Label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에 부착될 라벨을 처리하기 위한 라벨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처리장치는 불량 라벨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기의 작동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 불량 라벨을 적재시킬 수 있는 적재기가 구비되며,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각도가 조절되고, 라벨이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과 받침대는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벨 처리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라벨 처리 장치{LABEL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부품 등에 부착하기 위한 라벨을 처리하는 라벨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산된 전자부품에는 제품명, 제품 사양, 생산일자 및 생산공장 등과 같은 해당 전자부품에 관한 필요한 정보가 인쇄된 라벨이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라벨은 감긴 형태의 베이스 필름에 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필름이 풀리면서 제공되며,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후 전자부품에 부착된다.
라벨을 전자부품에 부착 처리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16216호(선행기술 1)호를 제시한 바 있다. 선행기술 1은 정보를 인쇄하고 라벨의 불량 여부를 확인한 후 불량 라벨은 제거하고, 정상 라벨만 전자부품에 부착시키는 기술이다.
선행기술 1에 의하면 자동화된 공정 내에서 전자부품에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는 효율성이 있으나, 정보의 인쇄 상태가 불량 한 등의 불량 라벨을 제거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장비 전체의 처리 용량이 떨어진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47765호(선행기술 2) 및 10-2016-0047781호(선행기술 3)로 불량 라벨이 제거된 롤을 준비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선행기술 2 및 3에 의하면 정상 라벨을 전자부품에 부착시키는 작업과 불량 라벨을 제거시키는 작업이 분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라벨 부착 작업에 정상 라벨들만 부착된 롤을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장비의 처리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선행기술 2 및 3에 의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곤란한 점이 발생한다.
첫째, 베이스 필름(선행기술들에는 '라벨 필름'으로 명명됨)으로부터 박리된 불량 라벨이 받침판의 부착면에 적재되기 때문에 차후에 일정한 두께로 적재된 불량 라벨을 제거할 때 장비가 정지되어야만 하고, 이로 인해 불량 라벨의 제거 작업도 정지되므로 장비의 가동률이 떨어진다.
둘째, 선행기술 2 및 3에 따르면 박리되면 안되는 정상 라벨의 일 측 부위가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 라벨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베이스 필름에 자연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데, 라벨의 크기가 커서 무거운 경우에는 박리된 부분이 중력에 의해 처짐으로써 이동 과정에서 자연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베이스 필름이 다수의 방향 전환 롤러 등을 거치는 과정에서 라벨이 뭉개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개연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수거되어 적재된 불량 라벨을 제거하는 작업이 장비의 가동을 방해하지 않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일부 박리에 의해 정상 라벨이 훼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는 정보가 인쇄된 라벨들이 일렬로 부착된 베이스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분; 상기 필름 공급부분에서 공급된 베이스 필름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베이스 필름 상에 부착된 라벨들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기;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라벨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기; 상기 확인기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후 상기 수거기에 의해 수거된 불량 라벨이 적재되는 적재기; 상기 수거기에서 수거된 불량 라벨을 상기 적재기로 이동시켜서 적재시키는 이동기;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베이스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거나 베이스 필름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롤러들;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공급된 후 라벨이 박리되는 지점에서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이 회수되는 필름 회수부분; 및 상기 확인기에 의해 확인된 정보에 따라 불량 라벨을 수거하도록 상기 수거기 및 상기 이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기는 상기 수거기의 작동과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상기 수거기는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라벨이 수거되는 수거판; 및 상기 수거판을 상기 받침대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수거판이 라벨을 수거하는 상태로 되게 하거나 라벨을 수거하지 않는 상태로 되게 하는 진퇴원; 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기는, 상기 수거판과 분리되어 있으며, 불량 라벨이 적재되는 적재판; 및 상기 이동기가 상기 적재판에 불량 라벨을 지속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상기 적재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원; 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이 박리되거나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조절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정역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며, 베이스 필름이 걸쳐지는 조절봉; 및 상기 회전부재를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절봉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상기 조절봉을 거쳐 지나가는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이 박리되거나 베이스 필름에 라벨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회전원; 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확인기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불량 라벨만 수거하고, 정상 라벨은 베이스 필름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필름 회수부분에 의해 회수되도록 상기 수거기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확인기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불량 라벨은 상기 적재기로 이동시키고, 정상 라벨은 전자부품에 부착시키도록 상기 이동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는 정보가 인쇄된 라벨들이 일렬로 부착된 베이스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분; 상기 필름 공급부분에서 공급된 베이스 필름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베이스 필름 상에 부착된 라벨들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기;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라벨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기;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이 박리되거나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절기; 상기 확인기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후 상기 수거기에 의해 수거된 불량 라벨이 적재되는 적재기; 상기 수거기에서 수거된 불량 라벨을 상기 적재기로 이동시켜서 적재시키는 이동기;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베이스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거나 라벨 필름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롤러들;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공급된 후 라벨이 박리되는 지점에서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이 회수되는 필름 회수부분; 및 상기 확인기에 의해 확인된 정보에 따라 불량 라벨을 수거하도록 상기 수거기 및 상기 이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에 의해 라벨이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은 상기 받침대와 상기 수거기 사이에 위치하며, 라벨이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과 받침대는 이격되어 있다.
상기 조절기는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기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롤러들 중 하나는 상기 조절기에 의해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발생하는 베이스 필름의 장력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는 정보가 인쇄된 라벨들이 일렬로 부착된 베이스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분; 상기 필름 공급부분에서 공급된 베이스 필름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베이스 필름 상에 부착된 라벨들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기;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라벨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기;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베이스 필름에 라벨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을 박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조절기; 상기 조절기가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을 박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베이스 필름을 밀어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을 박리시키는 박리기; 상기 확인기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후 상기 수거기에 의해 수거된 불량 라벨이 적재되는 적재기; 상기 수거기에서 수거된 불량 라벨을 상기 적재기로 이동시켜서 적재시키는 이동기;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베이스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거나 라벨 필름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롤러들;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공급된 후 라벨이 박리되는 지점에서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이 회수되는 필름 회수부분; 및 상기 확인기에 의해 확인된 정보에 따라 불량 라벨을 수거하도록 상기 적재기 및 상기 이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에 의해 라벨이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은 상기 받침대와 상기 수거기 사이에 위치하며, 라벨이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과 받침대는 이격되어 있다.
상기 박리기는, 상기 수거기 측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거기 측으로 이동했을 때는 베이스 필름을 밀어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각도를 작게 해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이 박리될 수 있게 하는 박리판; 및 상기 박리판을 진퇴 이동시키는 진퇴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적재판에 적재된 불량 라벨을 제거하는 작업이 불량 라벨 수거 작업과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장비의 가동률이 향상된다.
둘째, 정상 라벨의 일부가 박리되는 현상이 방지되거나 줄어들어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셋째, 일부가 박리된 정상 라벨의 훼손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벨 처리 장치에 베이스 필름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라벨 처리 장치에 적용된 수거기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4는 도 1의 라벨 처리 장치에 적용된 조절기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절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라벨 처리 장치에 적용된 가압기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은 도 1의 라벨 처리 장치에 적용된 적재기에 대한 발췌도이다.다.
도 8은 도 1의 라벨 처리 장치에 적용된 이동기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9는 도 1의 라벨 처리 장치의 변형예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라벨 처리 장치의 주요 부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승강원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라벨 처리 장치(LHA)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벨 처리 장치(LHA)에 베이스 필름(BF)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LHA)는 필름 공급부분(100), 받침대(210), 제1 확인기(221), 제2 확인기(222), 조명기(230), 수거기(310), 조절기(240), 가압기(250), 적재기(320), 이동기(330), 롤러(261 내지 266)들, 필름 회수부분(270), 제어기(400)를 포함한다.
필름 공급부분(100)은 생산된 전자부품에 대한 정보가 인쇄된 라벨들이 일렬로 부착된 베이스 필름(BF)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필름 공급부분(100)은 공급롤링기(110) 및 프린터(120)를 포함한다.
공급롤링기(110)는 정보가 미기입된 라벨들이 부착된 베이스 필름(BF)이 감겨있는 롤(R)을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한다. 따라서 롤(R)이 회전하면 감겼던 베이스 필름(BF)이 풀리면서 프린터(120)를 거쳐 받침대(210) 측으로 공급된다.
프린터(120)는 베이스 필름(BF)에 부착된 라벨에 필요한 정보를 인쇄한다.
받침대(210)는 필름 공급부분(100)과 조절기(240) 사이에서 베이스 필름(BF)이 처지지 않게 받친다. 이러한 받침대(210)로 인해 양 확인기(221, 222)에 의한 라벨의 불량 여부에 대한 확인이 왜곡 없이 가능해진다.
제1 확인기(221)는 하방에 있는 라벨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로서 구비된다. 물론, 제어기(400)는 제1 확인기(221)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라벨이 불량인지 정상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제2 확인기(222)는 중복 확인용으로서 제1 확인기(221)에 의해 촬영된 후 이동되어 온 라벨을 재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로서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어기(400)는 제2 확인기(222)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라벨이 불량인지 정상인지를 재차 판단하게 된다.
조명기(230)는 라벨에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확인기(221, 222)에 의해 라벨에 대한 적절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게 한다.
수거기(310)는 받침대(210)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되는 라벨(L)을 수거한다. 이를 위해 도 3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수거기(310)는 수거판(311)과 진퇴기(312)를 포함한다.
수거판(311)은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된 라벨을 수거한다.
진퇴기(312)는 수거판(311)을 받침대(210)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킨다. 즉, 진퇴기(312)에 의해 수거판(311)이 받침대(210) 측으로 전진되면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된 라벨이 수거판(311)에 얹히게 되고, 진퇴기(312)에 의해 수거판(311)이 받침대(210)와 먼 방향 측으로 후퇴되면 수거판(311)이 라벨을 수거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조절기(240)는 받침대(210)와 수거기(310) 사이에 배치되며, 받침대(210)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라벨이 박리되거나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4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조절기(240)는 회전부재(241), 조절봉(242) 및 회전원(243)을 포함한다.
회전부재(241)는 전후 방향으로의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A)의 범위에서 정역 회전한다.
조절봉(242)에는 베이스 필름(BF)이 걸쳐진다. 이러한 조절봉(242)은 라벨(L)이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과 받침대(210)를 지나서 이동하는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기준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 5의 (a) 및 (b)에서와 같이 조절봉(242)은 회전부재(241)에 설치되어서 회전부재(241)의 회전에 따라 이 좌우로 이동하며 다소간의 상하 이동도 하게 된다. 여기서 조절봉(242)이 수거판(311) 측으로 이동하면서 다소간 상승하면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각도(θ1)가 작아져서 라벨(L, 점선 도시 참조)이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되고, 조절봉(242)이 받침대(210) 측으로 이동하면서 다소간 하강하면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각도(θ2 : θ1 < θ2)가 커져서 라벨(L)이 베이스 필름(BF)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방향이 전환될 수 있게 된다. 거듭 설명하면, 조절봉(242)은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기준점(T1, T2)을 제공하기도 하고, 라벨(L)이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E)을 제공하기도 한다. 즉, 종래에는 받침대의 끝단이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기준점이자 라벨(L)이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을 제공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봉(242)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조절봉(242)은 받침대(210)와 수거기(310) 사이에 위치하며, 조절봉(242)과 받침대(210)는 이격되어 있다. 이는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기준점(T1, T2)이나 라벨(L)이 박리되는 기준점(E)이 받침대(210)와 수거기(310) 사이에 위치하며, 조절봉(242)과 받침대(210)는 이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기준점(T1, T2)은 두 지점이어서 상황에 따라서 변동되지만, 라벨(L)이 박리되는 기준점(E)은 일 지점으로 결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회전원(243)은 회전부재(241)를 소정 각도(A)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봉(242)에 의한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각도(θ1, θ2)를 조절한다. 이 때,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각도(θ1, θ2)가 조절되면서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기준점(T1, T2)도 이동된다.
가압기(250)는 베이스 필름(BF)이 조절봉(242)을 거치면서 방향 전환이 이루진 라벨(L)을 베이스 필름(BF)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라벨(L)을 베이스 필름(BF)에 재부착시킨다. 가압기(250)의 필요성은 방향 전환 각도(θ2)가 큰 경우에도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도 6에서와 같이 정상 라벨(Lg)의 일 부위가 박리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소형 라벨(L)의 경우에는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일부 박리가 이루어지더라도 방향 전환이 마무리되면 다시 베이스 필름(BF)에 부착되지만, 대형 라벨(L)의 경우에는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일부 박리가 이루어진 부분이 중량으로 인해 베이스 필름(BF)에 제대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베이스 필름(BF)이 후단의 롤러(262, 263, 266)를 거치면서 라벨(L)이 뭉개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압기(250)는 라벨(L)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할 수도 있고 필요하지 않아서 생략될 수도 있는 선택적인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기(250)가 라벨(L)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시킴으로써 공압에 의해 라벨(L)을 가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별도의 가압부재 등을 라벨(L)에 접촉시켜 가압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도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적재기(320)는 확인기(221, 222)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후 수거기(310)에 의해 수거된 불량 라벨을 적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 7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적재기(320)는 적재판(321)과 승강원(322)을 포함한다.
적재판(321)은 선행기술과 달리 수거판(311)과 분리되어 있으며,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되어서 수거기(310)를 거쳐 이동기(330)에 의해 이동되어 온 불량 라벨(Lb)이 적재된다.
승강원(322)은 적재판(321)에 적재된 불량 라벨(Lb)의 적재 개수에 대응하여 적재판(321)을 단계적으로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이동기(330)에 의해 적재판(321)에 적재되는 불량 라벨(Lb)의 적재지점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적재기(320)는 선행기술들과는 달리 수거기(310)와 분리되어 있으며, 수거기(310)의 작동과 별개로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그리고 적재판(321)의 하강 종료 위치의 인식은 별도의 감지기나 스토퍼 등을 구비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제어기(400)가 불량 라벨(Lb)의 적재 개수를 세어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적재판(321)이 하강 종료 위치까지 하강하면 승강원(322)은 적재판(321)을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킨다. 즉, 승강원(322)은 이동기(330)가 적재판(321)에 불량 라벨을 지속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돕는 구성인 것이다.
이동기(330)는 수거기(310)에서 수거된 불량 라벨(Lb)을 적재기(320)로 이동시켜서 적재판(321)에 적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LHA)가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장치에 결합된 경우에는 이동기(330)가 수거기(310)에서 수거된 정상 라벨(Lg)을 전자부품에 부착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 8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이동기(330)는 픽커(331), 수직 이동원(332) 및 수평 이동원(333)을 포함한다.
픽커(331)는 진공 흡착에 의해 라벨(L)을 파지한다.
수직 이동원(332)은 픽커(331)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킴으로써 픽커(331)가 라벨(L)을 파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거나 픽커(331)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
수평 이동원(333)은 픽커(331)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픽커(331)를 수거판(311)이나 적재판(32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LHA)가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장비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평 이동원(333)이 픽커(331)를 전자부품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기능도 더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이동원(333)의 구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픽커(331)를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도록 구현하고, 이에 따라 후퇴한 상태에 있는 수거판(311)이 적재판(321)과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수평 이동원이 픽커를 전후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적재판(321)에 허용 개수만큼 불량 라벨(Lb)이 적재되면 관리자는 적재판(321)에 적재된 불량 라벨(Lb)들을 뜯어내어 제거하며, 이 과정에서도 필름 공급부분(100), 확인기(221, 222), 수거기(310) 및 필름 회수부분(270) 등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서 적재판(321)에 적재된 불량 라벨(Lb)을 제거하는 작업이 라벨 처리 장치(LHA)의 가동률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물론, 적재판(321)에 적재된 불량 라벨(Lb)이 제거되면 제어기(400)가 이를 인식하여 적재판(321)을 자동 상승시키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261 내지 266)들은 필름 공급부분(100)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베이스 필름(BF)의 장력을 유지시키거나 베이스 필름(BF)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며, 또는 라벨(L)을 베이스 필름(BF)에 더 강하게 압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부호 261의 롤러는 베이스 필름(BF)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무게에 의해 베이스 필름(BF)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서 다소간 승강될 수 있게 구비되며, 부호 262 및 263의 롤러는 라벨(L)의 베이스 필름(BF)에 더 강하게 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비된다. 나머지 부호 264 내지 266의 롤러들은 베이스 필름(BF)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것들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기(240)가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각도(θ1, θ2)를 조절하면서 베이스 필름(BF)의 장력 변화가 일어날 상황이 종종 발생되기 때문에 부호 261의 롤러는 베이스 필름(BF)의 장력 변화를 방지하면서 베이스 필름(BF)의 적절한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중요 구성이다.
필름 회수부분(270)은 필름 공급부분(100)으로부터 공급된 후 방향 전환 기준점(T1, T2)에서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BF)을 회수한다. 이러한 필름 회수부분(270)은 베이스 필름(BF)을 감아서 회수할 수 있는 회수 롤링기를 포함한다.
제어기(400)는 위의 구성들 중 제어가 필요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특히, 불량 라벨(Lb)의 확인에 따른 수거기(310)의 진퇴원(312)이나 적재기(320)의 승강원(322) 및 이동기(330)를 적절히 제어한다.
계속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라벨 처리 장치(LHA)에 대한 몇 가지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1. 불량 라벨(Lb)만 제거
확인기(221, 222)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불량 라벨(Lb)만 수거하고, 정상 라벨(Lg)은 베이스 필름(BF)에 부착된 상태로 회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400)는 불량 라벨(Lb)이 발생하면, 조절기(240)를 통해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각도를 θ1으로 작게 하고, 수거기(310), 이동기(330) 및 적재기(320)를 제어하여 불량 라벨(Lb)을 제거한다. 당연히 정상 라벨(Lg)이 이동할 시에는 조절기(240)가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각도를 θ2로 크게 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본 적용예에서는 제어기(400)가 조절기(240)를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각도(θ1, θ2)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도록 조절기(240)를 제어한다.
2. 불량 라벨(Lb) 제거 및 정상 라벨(Lg)을 전자부품에 부착
정상 라벨(Lg)을 전자부품에 부착해야 하는 경우에는 제어기(400)가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전환 각도를 θ1으로 작게 유지시키고 수거판(311)은 받침대(210) 측으로 전진시킨 상태에서 이동기(330)를 제어하여 불량 라벨(Lb)은 적재판(321)으로 이동시키고 정상 라벨(Lg)은 전자부품에 부착시킨다. 그래서 본 적용예에서는 제어기(400)가 이동기(330)를 제어하는데 초점이 맞추어 진다.
3. 정상 라벨(Lg)만 전자부품에 부착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LHA)는 정상 라벨(Lg)은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시키고 불량 라벨(Lb)은 베이스 필름(BF)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서 회수하는 방식으로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변형예>
본 변형예는 위의 제1 실시예 따른 라벨 처리 장치(LHA)에서 받침대(210)와 조절기(240)를 변형시킨다.
도 9는 본 변형예에 따른 라벨 처리 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받침대(210)의 좌측 끝단(A 부위 참조)은 곡면형으로 처리되어 있으며, 조절기(240)의 회전부재(231)는 그 회전각도가 제1 실시예에서보다 더 크다.
따라서 도 9의 (a) 상태에서는 조절봉(232)에 의해 라벨(L)이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되지만, 도 9의 (b) 상태에서는 조절봉(232)이 베이스 필름(BF)을 지지하는 지지봉으로서의 기능만 하게 된다. 즉, 도 9의 (b) 상태에서는 베이스 필름(BF)이 받침대(210)의 좌측 끝단에 있는 곡면 부위와 조절봉(232)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을 따라 완만하게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라벨(L)이 베이스 필름(BF)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방향 전환 구간을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르면 가압기(250)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위의 제1 실시예 따른 라벨 처리 장치(LHA)에서 조절기(240)를 변형시키고, 박리기(510)를 추가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조절기(240)에 구비된 조절봉(242)의 직경이 제1 실시예에서보다 상당히 크다. 따라서 도 10의 상태에서는 베이스 필름(BF)이 조절봉(240)을 따라서 완만한 곡면을 이동하므로 라벨(L)이 베이스 필름(BF)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박리기(510)는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라벨(L)을 박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박리기(510)는 박리판(511)과 진퇴기(512)를 포함한다.
박리판(511)은 수거기(310) 측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 방향인 받침대(210) 측으로 이동하며, 수거기(310) 측으로 이동했을 때는 베이스 필름(BF)을 수거기(310) 측으로 팽팽하게 밀어 베이스 필름(BF)의 방향 각도를 작게 하고, 이에 의해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라벨(L)이 박리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박리판(511)은 수거기(310)와 받침대(210) 사이에 배치된다.
진퇴기(512)는 박리판(511)을 수거기(310) 측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킴으로써 라벨(L)이 베이스 필름(BF)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라벨(L)이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박리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서와 같이 회전부재(241)가 시계방향으로 정회전함으로써 조절기(240)가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라벨(L)을 박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이와 함께 박리판(511)이 수거기(310) 측으로 이동하여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라벨(L)이 박리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11의 상태에서 베이스 필름(BF)으로부터 라벨(L)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회전부재(241)가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여 조절기(240)가 베이스 필름(BF)에 라벨(L)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환된다.
당연히,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도 가압기(250)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적재기에 대한 다른 예>
도 12의 개략도를 참조하면, 적재기(320)의 승강원(322)은 적재판(321)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프링은 압축에 의해 적재판(321)이 하강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적재판(321)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적재판(321)을 상승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이다.
도 12의 적재기(320)에 의하면 이동기(330)에 구비된 픽커(331)가 하강하면 적재판(321)이 눌려지면서 하강하고, 픽커(331)가 상승하면 적재판(321)이 상승한다. 물론, 불량 라벨(Lb)들이 적재판(321)에 한계점까지 쌓이면 픽커(331)에 의해 눌려질 때 적재판(321)의 하강 폭이 커지므로, 별도의 감지기나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해 적재판(321)의 하강폭을 지속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적재된 불량 라벨(Lb)의 제거 시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LHA : 라벨 처리 장치
100 : 필름 공급부분
210 : 받침대
221, 222 : 확인기
240 : 조절기
250 : 가압기
261 내지 266 : 롤러
270 : 필름 회수부분
310 : 수거기
311 : 수거판 312 : 진퇴원
320 : 적재기
321 : 적재판 322 : 승강원
330 : 이동기
400 : 제어기
510 : 박리기
511 : 박리판 512 : 진퇴기

Claims (10)

  1. 정보가 인쇄된 라벨들이 일렬로 부착된 베이스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분;
    상기 필름 공급부분에서 공급된 베이스 필름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베이스 필름 상에 부착된 라벨들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기;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라벨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기;
    상기 확인기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후 상기 수거기에 의해 수거된 불량 라벨이 적재되는 적재기;
    상기 수거기에서 수거된 불량 라벨을 상기 적재기로 이동시켜서 적재시키는 이동기;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베이스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거나 베이스 필름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롤러들;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공급된 후 라벨이 박리되는 지점에서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이 회수되는 필름 회수부분; 및
    상기 확인기에 의해 확인된 정보에 따라 불량 라벨을 수거하도록 상기 수거기 및 상기 이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기는 상기 수거기의 작동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라벨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기는,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라벨이 수거되는 수거판; 및
    상기 수거판을 상기 받침대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수거판이 라벨을 수거하는 상태로 되게 하거나 라벨을 수거하지 않는 상태로 되게 하는 진퇴원; 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기는,
    상기 수거판과 분리되어 있으며, 불량 라벨이 적재되는 적재판; 및
    상기 이동기가 상기 적재판에 불량 라벨을 지속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상기 적재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원; 을 포함하는
    라벨 처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이 박리되거나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조절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정역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며, 베이스 필름이 걸쳐지는 조절봉; 및
    상기 회전부재를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절봉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상기 조절봉을 거쳐 지나가는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이 박리되거나 베이스 필름에 라벨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회전원; 을 포함하는
    라벨 처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확인기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불량 라벨만 수거하고, 정상 라벨은 베이스 필름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필름 회수부분에 의해 회수되도록 상기 수거기를 제어하는
    라벨 처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확인기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불량 라벨은 상기 적재기로 이동시키고, 정상 라벨은 전자부품에 부착시키도록 상기 이동기를 제어하는
    라벨 처리 장치.
  6. 정보가 인쇄된 라벨들이 일렬로 부착된 베이스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분;
    상기 필름 공급부분에서 공급된 베이스 필름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베이스 필름 상에 부착된 라벨들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기;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라벨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기;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이 박리되거나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절기;
    상기 확인기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후 상기 수거기에 의해 수거된 불량 라벨이 적재되는 적재기;
    상기 수거기에서 수거된 불량 라벨을 상기 적재기로 이동시켜서 적재시키는 이동기;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베이스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거나 라벨 필름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롤러들;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공급된 후 라벨이 박리되는 지점에서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이 회수되는 필름 회수부분; 및
    상기 확인기에 의해 확인된 정보에 따라 불량 라벨을 수거하도록 상기 수거기 및 상기 이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에 의해 라벨이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은 상기 받침대와 상기 수거기 사이에 위치하며, 라벨이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과 받침대는 이격되어 있는
    라벨 처리 장치.
  7.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기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각도를 조절하는
    라벨 처리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들 중 하나는 상기 조절기에 의해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발생하는 베이스 필름의 장력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라벨 처리 장치.
  9. 정보가 인쇄된 라벨들이 일렬로 부착된 베이스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분;
    상기 필름 공급부분에서 공급된 베이스 필름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베이스 필름 상에 부착된 라벨들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기;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라벨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기;
    상기 받침대를 지나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베이스 필름에 라벨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을 박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조절기;
    상기 조절기가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을 박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베이스 필름을 밀어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을 박리시키는 박리기;
    상기 확인기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후 상기 수거기에 의해 수거된 불량 라벨이 적재되는 적재기;
    상기 수거기에서 수거된 불량 라벨을 상기 적재기로 이동시켜서 적재시키는 이동기;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베이스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거나 라벨 필름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롤러들;
    상기 필름 공급부분으로부터 공급된 후 라벨이 박리되는 지점에서 방향이 전환된 베이스 필름이 회수되는 필름 회수부분; 및
    상기 확인기에 의해 확인된 정보에 따라 불량 라벨을 수거하도록 상기 적재기 및 상기 이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에 의해 라벨이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은 상기 받침대와 상기 수거기 사이에 위치하며, 라벨이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기준점과 받침대는 이격되어 있는
    라벨 처리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기는,
    상기 수거기 측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거기 측으로 이동했을 때는 베이스 필름을 밀어 베이스 필름의 방향 전환 각도를 작게 해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라벨이 박리될 수 있게 하는 박리판; 및
    상기 박리판을 진퇴 이동시키는 진퇴기; 를 포함하는
    라벨 처리 장치.
KR1020170130097A 2017-10-11 2017-10-11 라벨 처리 장치 KR102462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097A KR102462322B1 (ko) 2017-10-11 2017-10-11 라벨 처리 장치
KR1020220141216A KR102648333B1 (ko) 2017-10-11 2022-10-28 라벨 처리 장치
KR1020240034570A KR20240037927A (ko) 2017-10-11 2024-03-12 라벨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097A KR102462322B1 (ko) 2017-10-11 2017-10-11 라벨 처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216A Division KR102648333B1 (ko) 2017-10-11 2022-10-28 라벨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75A true KR20190040675A (ko) 2019-04-19
KR102462322B1 KR102462322B1 (ko) 2022-11-03

Family

ID=6628335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097A KR102462322B1 (ko) 2017-10-11 2017-10-11 라벨 처리 장치
KR1020220141216A KR102648333B1 (ko) 2017-10-11 2022-10-28 라벨 처리 장치
KR1020240034570A KR20240037927A (ko) 2017-10-11 2024-03-12 라벨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216A KR102648333B1 (ko) 2017-10-11 2022-10-28 라벨 처리 장치
KR1020240034570A KR20240037927A (ko) 2017-10-11 2024-03-12 라벨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62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5332A (zh) * 2019-11-05 2020-02-04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标签自动贴装设备及其标签自动贴装头
CN115123639A (zh) * 2022-07-31 2022-09-30 北京国金源富科技有限公司 一种植入式标签自动贴标发行设备及电缆生产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257A (ko) * 2002-11-13 2004-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중 라벨부착 블로우용 라벨 인몰딩 시스템
JP2005112410A (ja) * 2003-10-08 2005-04-28 Fuji Seal International Inc ラベル供給装置
JP2007176590A (ja) * 2005-12-28 2007-07-12 Sato Corp ラベル貼付装置
KR20160047765A (ko) * 2014-10-23 2016-05-03 (주)테크윙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257A (ko) * 2002-11-13 2004-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중 라벨부착 블로우용 라벨 인몰딩 시스템
JP2005112410A (ja) * 2003-10-08 2005-04-28 Fuji Seal International Inc ラベル供給装置
JP2007176590A (ja) * 2005-12-28 2007-07-12 Sato Corp ラベル貼付装置
KR20160047765A (ko) * 2014-10-23 2016-05-03 (주)테크윙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5332A (zh) * 2019-11-05 2020-02-04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标签自动贴装设备及其标签自动贴装头
CN110745332B (zh) * 2019-11-05 2021-08-31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标签自动贴装设备及其标签自动贴装头
CN115123639A (zh) * 2022-07-31 2022-09-30 北京国金源富科技有限公司 一种植入式标签自动贴标发行设备及电缆生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333B1 (ko) 2024-03-18
KR20220149499A (ko) 2022-11-08
KR20240037927A (ko) 2024-03-22
KR102462322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333B1 (ko) 라벨 처리 장치
KR101173960B1 (ko) 윈도우 필름 자동 부착 장치
JP2977393B2 (ja) 媒体供給ロール装置
KR101692074B1 (ko) 보호 테이프 부착 방법 및 보호 테이프 부착 장치
JP2013145872A (ja) ディーエフエスアール(dfsr)用フィルム剥離システム及び剥離方法
CN113247401A (zh) 一种兼容多款卷料产品的检测设备
CN210312409U (zh) 用于柔性电路板自动组装线的正反面载具料框组件
KR102246410B1 (ko)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KR101320773B1 (ko) 디에프에스알용 필링시스템
CN112429564A (zh) 卷盘自动更换系统
KR20180014529A (ko) 카메라 모듈 렌즈 보호용 테이프 부착 장치
KR20150116216A (ko) 전자부품 케이싱 장비 및 라벨링 장비
CN114287173B (zh) 复合基板的制造系统及制造方法
KR20190034844A (ko) 소자실장형 fpcb 검사시스템
KR20160047781A (ko)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JP2895417B2 (ja) 印刷機のために枚葉紙パイルを自動的に準備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4540167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recording medium
KR102386966B1 (ko) 전자부품 라벨링장치
JP4167369B2 (ja) 紙葉類供給装置
KR101762552B1 (ko) 전자기기용 테이프형 패키지원단 제조용 박막시트지 부착장치
CN108712857B (zh) 贴片送料装置
JP2022096772A (ja) バックアップ部材の配置方法および部品装着機
JP2001129962A (ja) スクリーン印刷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CN114682507B (zh) 一种自动产品检测、移除及补位机器
KR102519101B1 (ko) 시트 자동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자동 부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