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856A - 텐셔너 - Google Patents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856A
KR20190039856A KR1020180115805A KR20180115805A KR20190039856A KR 20190039856 A KR20190039856 A KR 20190039856A KR 1020180115805 A KR1020180115805 A KR 1020180115805A KR 20180115805 A KR20180115805 A KR 20180115805A KR 20190039856 A KR20190039856 A KR 20190039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oil
housing
oil supply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409B1 (ko
Inventor
오사무 요시다
마사노리 와타나베
유다이 다카기
유지 쿠레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9003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간소한 구성으로, 고정밀의 씰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텐셔너 내에서의 오일의 재순환 효율의 향상, 오일 펌프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에의 의존도를 저감 하는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플런저(20)와 하우징(30)과 체크 밸브(40)와 메인 부세 유닛(50)과 오일 공급로와 압력 조정 기구(60)를 구비하고, 오일 공급로는, 하우징유 공급공(33)과 플런저유 공급공(23)과 연통 조정구(32)를 갖고, 압력 조정 기구(60)는, 실린더부(61)와, 실린더부(61)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간(12)을 저유실(13)과 조정 공간(14)으로 구획하는 피스톤(62)을 구비하고, 실린더부(61)와 피스톤(62) 사이는, 피스톤(62)이 가장 저유실(13) 측으로 이동한 위치로부터 가장 조정 공간(14) 측으로 이동한 위치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도, 액밀 상태로 보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텐셔너(10).

Description

텐셔너{TENSIONER}
본 발명은, 엔진의 타이밍 시스템 등에서, 전동 벨트나 전동 체인에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인 등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는 텐셔너를 이용하는 것이 관용되고, 예를 들면, 엔진 룸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한 스프로켓 간에 무단으로 걸린 롤러 체인 등의 전동 체인을 텐셔너 레버에 의해서 접동 안내를 실시하는 체인 가이드 기구에서,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기 위해서 텐셔너에 의해서 텐셔너 레버를 부세하는 것이 공지이다.
이러한 체인 가이드 기구에 이용되는 공지의 텐셔너(510)는, 예를 들면 도 7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듯이, 일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플런저 수용혈(531)을 갖는 하우징(530)과, 플런저 수용혈(531)의 원통면(531a)에 접동 자재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플런저(520)와, 플런저(520)를 플런저 돌출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부세 유닛은 코일 용수철(55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530)에 설치된 오일 공급공(535)으로부터 오일이 공급됨으로써, 플런저 수용혈(531)과 플런저(520) 사이에 형성된 압유실(511)이 오일로 채워지고, 오일에 의해 플런저(520)를 플런저 돌출 방향으로 부세함과 동시에, 체크 밸브(540)(모식적으로 체크 볼만을 도시.)와 오일 공급공(535)으로부터의 오일의 유출이 저지되고 있다. 이것으로, 플런저(520)의 왕복동에 수반하여 플런저(520)와 플런저 수용혈(531) 사이의 미세한 간극을 오일이 흐르고, 그 유로 저항에 의해서 플런저(520)의 왕복동을 감쇠시키는 덤핑 효과를 얻고 있다.
이러한, 공지의 텐셔너(510)에서는, 오일의 공급이 정지된(엔진의 경우, 엔진이 정지한) 후에 장시간 방치하면, 다음의 기동 직후에는 오일의 공급에는 타임랙이 발생하여, 플런저(520)가 왕복동하여도 압유실(511) 내의 오일은 누출될뿐 새롭게 공급되지 않고 압유실(511) 내의 오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플런저(520)의 오일에 의한 덤핑력이 작용하지 않고, 전동 체인이 크게 진동하여 이상음을 발생시키거나, 전동 체인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듯이, 플런저(620)의 내부에 저유실(613)을 설치하고, 저유실(613)로부터 압유실(611)에 오일을 공급하는 구조로 하고, 저유실(613) 내에 일정량의 오일을 누출하지 않고 잔류시키고, 장시간 정지 후의 기동 직후에도 저유실(613) 내에 잔류한 오일이 압유실(611)에 공급되어, 플런저(620)의 오일에 의한 덤핑력을 유지하여 체인의 진동을 억제하고 손상을 방지하는 텐셔너(610)가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특허문헌 1 기재의 텐셔너(610)에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하우징(630)에, 하우징(630)의 외벽 측에서 플런저 수용혈(631) 측으로 관통하는 하우징유 공급공(633)을 형성하고, 플런저(620)의 외주면에, 플런저 수용혈(631)의 내주면 및 플런저(620)의 외주면의 사이에 오일 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연통 조정구(626)를 형성함과 동시에, 플런저(620)에, 연통 조정구(626) 측에서 플런저(620) 내의 저유실(613) 측으로 관통하는 플런저유 공급공(623)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유 공급공(633)과 오일 통로와 플런저유 공급공(623)을 통하여, 하우징(630)의 외부로부터 저유실(613)에 오일을 공급한다.
일본 공개 특허 특개2009-002495호 공보
이러한 특허문헌 1 기재의 텐셔너(610)에서는, 압유실(611) 내의 오일압이 높아졌을 때에, 플런저(620)의 외주면 및 플런저 수용혈(631)의 내주면의 사이를 통해 압유실(611)로부터 누출된 오일의 일부를, 연통 조정구(626) 및 플런저유 공급공(623)을 통해 저유실(613) 내에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압유실(611)로부터 누출된 오일의 일부가, 하우징유 공급공(633)을 통해 오일 펌프 측으로도 방출되기 때문에, 오일 펌프 측에서 텐셔너(610) 내로 일정량의 오일을 보충할 필요가 있고, 오일 펌프 등에 의한 공급 유압을 크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소위 오토 텐셔너(auto tensioner)와 같이, 텐셔너 내에 오일을 완전 밀폐함으로써, 오일 펌프 등에 의한 오일 공급을 불요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오토 텐셔너에서는, 외부로 오일을 누출시키지 않기 위해, 고정밀의 씰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거기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고정밀의 씰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텐셔너 내에서의 오일의 재순환 효율의 향상, 오일 펌프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에의 의존도를 저감하는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혈을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혈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플런저 사이의 공간을 압유실 및 내부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압유실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오일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메인 부세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저유실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와, 상기 저유실 내의 오일압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텐셔너이며, 상기 오일 공급로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내주면까지 관통하는 하우징유 공급공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플런저혈의 내주면까지 관통하는 플런저유 공급공과,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내주면 또는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된 연통 조정구를 갖고, 상기 압력 조정 기구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저유실과 조정 공간으로 구획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피스톤 사이는, 상기 피스톤이 가장 상기 저유실 측으로 이동한 위치로부터 가장 상기 조정 공간 측으로 이동한 위치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도, 액밀 상태로 보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유실 내의 오일압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 기구가, 실린더부와, 실린더부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저유실과 조정 공간으로 구획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실린더부와 피스톤 사이는, 피스톤이 가장 저유실 측으로 이동한 위치로부터 가장 조정 공간 측으로 이동한 위치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도, 액밀 상태로 보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의 관성을 이용하여, 플런저의 후퇴 시에는, 플런저에 대해서 피스톤을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플런저의 전진 시에는, 플런저에 대해서 피스톤을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피스톤의 동작을 이용하여, 오일 펌프 등에 의한 공급 유압을 작게 설계했을 경우나, 하우징유 공급공의 지름을 작게 설계하는 등, 하우징유 공급공의 유로 저항을 크게 설계했을 경우에도, 하우징유 공급공을 통해서 저유실이나 압유실 내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우징유 공급공의 유로 저항을 크게 설계함으로써, 압유실 내의 오일압이 높아졌을 때에, 플런저의 외주면 및 플런저 수용혈의 내주면의 사이를 통해 압유실로부터 누출된 오일의 대부분을, 연통 조정구 및 플런저유 공급공을 통해 저유실 내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텐셔너 내에서의 오일의 재순환 효율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오일 펌프 등에 의한 공급 유압을 작게 설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일 소비량을 저감함과 동시에, 오일 펌프 등의 유압 발생원의 동력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오일 펌프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에의 의존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일 펌프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의 원유 종류, 유온, 유량 등에 의한 영향을 저감하여, 체인 보관 유지력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
또, 텐셔너 내에 오일을 완전 밀폐하는 소위 오토 텐셔너의 경우에는, 외부에 오일을 누출시키지 않기 위해, 고정밀의 씰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텐셔너 외부로부터 오일을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정밀의 씰 기구가 불필요해져, 코스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사용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3] 텐셔너의 일부의 부품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4] 통상 시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피스톤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하우징유 공급공 내에 오리피스 또는 체크 밸브를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관련 기술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 다른 관련 기술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10)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텐셔너(10)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자동차 엔진의 타이밍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체인 전동장치에 조입되는 것으로, 엔진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어, 복수의 스프로켓(S1~S3)에 걸린 전동 체인(CH)의 이완 측에 텐셔너 레버(G)를 통해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주행시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텐셔너(1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으로 개구된 원통형의 플런저혈(21)을 갖는 플런저(20)와, 플런저(20)를 수용하는 플런저 수용혈(31)을 갖는 하우징(30)과, 하우징(30) 및 플런저(20) 사이의 공간을 전방 측의 내부 공간(12) 및 후방 측의 압유실(11)로 구획하고, 압유실(11)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내부 공간(12)으로의 오일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40)와, 압유실(11)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플런저(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메인 부세 유닛)(50)과, 하우징(30)의 외부에서 내부 공간(12) 내의 저유실(13)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와, 저유실(13) 내의 오일압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 기구(60)와, 플런저(20)의 외주면 및 플런저 수용혈(31)의 내주면 사이를 씰 하는 씰 부재(7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텐셔너(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플런저(20)는, 철 등의 금속으로 유저(有底)의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도 2에 나타내듯이, 플런저 수용혈(31) 내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고 있다.
플런저(20)의 플런저혈(21)은, 도 2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의 대경혈(21a)과, 대경혈(21a)의 전방 측에 연속하여 동축상(同軸狀)으로 형성된 전방 측의 소경혈(21b)과, 이들 대경혈(21a) 및 소경혈(21b)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21c)를 가지고 있다.
소경혈(21b)의 내주면에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환상구(環狀溝)(22)가 형성되고 있다. 이 환상구(22)는, 후술하는 이동 규제 부재(65)를 설치하는 부위로서 기능한다.
또, 소경혈(21b) 중, 환상구(22)보다 전방 측의 부분의 내주면은, 압력 조정 기구(60)를 구성하는 피스톤(62)을 설치하는 실린더부(61)로서 기능한다.
또, 단차부(21c)는, 체크 밸브(40)의 내부 공간(12)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위로서 기능한다.
또, 플런저(20)에는, 그 외주면에서 소경혈(21b)(저유실(13))의 내주면까지 관통하는 플런저유 공급공(23)이 형성되고 있다.
0또, 플런저(20)의 저부(전단부)의 내면(하면)에는, 요부(24)가 형성되고, 또, 플런저(20)의 저부(전단부)에는, 조정 공간(14)과 플런저(2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릴리프공(25)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외부 릴리프공(25)에서는, 저유실(13)이나 조정 공간(14) 내에 들어간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점에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특히, 엔진 시동 시에, 저유실(13) 내의 에어를 외부 릴리프공(25)으로부터 즉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시동음의 저소음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하우징(30)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런저 수용혈(31)의 내주면에 환상으로 형성된 연통 조정구(32)와, 하우징(30)의 외부로부터 플런저 수용혈(31)의 내주면까지 관통하여, 연통 조정구(32)에 오일을 공급하는 하우징유 공급공(33)과, 연통 조정구(32)보다 전방 측에서 플런저 수용혈(3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씰 부재(70)를 설치하기 위한 환상구(34)를 가지고 있다.
플런저유 공급공(23) 및 하우징유 공급공(33)은, 플런저유 공급공(23)의 유로 저항보다 하우징유 공급공(33)의 유로 저항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유 공급공(33)의 단면적(지름 치수)이, 플런저유 공급공(23)의 단면적(지름 치수)보다 작게 설계되고 있다.
또한, 하우징유 공급공(33)의 단면적(지름 치수)을 작게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나타내듯이, 하우징유 공급공(33)에, 오일의 유로 저항을 크게 하는 오리피스(35a)를 설치해도 좋고, 또, 하우징(30)의 외부로의 오일의 유출을 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30)의 외부로부터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35b)를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 오리피스(35a) 및 체크 밸브(35b)의 양쪽 모두를, 하우징유 공급공(33) 내에 설치해도 좋다.
오일 공급로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런저유 공급공(23), 하우징유 공급공(33), 및, 연통 조정구(3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연통 조정구(32)는, 플런저(20)의 외주면 또는 플런저 수용혈(31)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하면 좋다.
코일 용수철(50)은,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그 일단(전단)을 체크 밸브(40)(리테이너(43)의 플랜지부)에 당접시킴과 동시에, 그 외단(후단)을 플런저 수용혈(31)의 저부에 당접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50)은,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런저(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함과 동시에, 체크 밸브(40)(리테이너(43) 및 시트 부재(41))를 단차부(21c)에 가압하고, 체크 밸브(40)를 대경혈(21a) 내에서 고정하고 있다.
체크 밸브(40)는, 대경혈(21a)(의 전방 측 부분) 내에 설치되고,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시트 부재(41)와, 구상(球狀)의 밸브 부재(42)와, 밸브 부재(42)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테이너(43)와, 밸브 부재(42)와 리테이너(43)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체크 밸브(40)의 구체적 구성에서는, 압유실(11)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내부 공간(12)(저유실(13))으로의 오일의 역류를 저지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밸브 부재(42)를 시트 부재(41)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스프링을 밸브 부재(42)와 리테이너(43) 사이에 배치해도 좋다.
또, 체크 밸브(40)의 각 구성 부재는, 금속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압력 조정 기구(60)는, 저유실(13) 내의 오일압을 조정하는 것으로, 도 2~도 4에 나타내듯이, 원통형의 실린더 내주면(61a)을 갖는 실린더부(61)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실린더부(61) 내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12)을 저유실(13)과 조정 공간(14)으로 구획하는 피스톤(62)과, 피스톤(62)을 저유실(13)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피스톤 부세 유닛(63)과, 피스톤(62)의 조정 공간(14) 측(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64)와, 피스톤(62)의 저유실(13) 측(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65)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부(61)는, 그 내측에 피스톤(62)(의 적어도 일부)를 전후 방향으로 접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런저(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일부분, 구체적으로는, 플런저(20)의 소경혈(21b)의 내주벽이, 실린더부(61)(실린더 내주면(61a))로서 기능한다.
피스톤 부세 유닛(63)은,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코일 용수철(63)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63)은,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그 일단(후단)이 피스톤(62) 내에 설정되고, 그 외단(전단)이 플런저(20)의 저부에 형성된 요부(24) 내에 설치된 상태로, 조정 공간(1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규제부(64)는, 피스톤(62)의 조정 공간(14) 측(전방 측)에 배치되어, 피스톤(62)의 조정 공간(14) 측(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런저(20)의 저부가, 제1 규제부(64)로서 기능한다.
제2 규제부(65)는, 피스톤(62)의 저유실(13) 측(후방 측)에 배치되어, 피스톤(62)의 저유실(13) 측(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플런저(20)에 형성된 환상구(22)에 설정된 복수(2개)의 이동 규제 부재(65)가, 제2 규제부(65)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동 규제 부재(65)의 구체적 태양(수량, 형상 등)은, 피스톤(62)의 저유실(13) 측(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피스톤(62)은, 도 3에 나타내듯이, 실린더부(61) 내에 설치되는 통상(원통상)의 피스톤 본체부(62a)와, 피스톤 본체부(62a)의 저유실(13) 측(후방 측)의 일단에 형성된 저부(62b)를 가진, 합성 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부(62a)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실린더부(61)(소경혈(21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내주면(61a) 및 피스톤 본체부(62a)의 외주면(피스톤 외주면)의 지름의 차이는, 실린더 내주면(61a) 및 피스톤 본체부(62a)의 외주면의 사이가 액밀 상태로 보관 유지되는 정도로 작고, 이것에 의해, 실린더 내주면(61a) 및 피스톤 본체부(62a)의 외주면의 사이를 빠져 오일이 유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도 4나 도 5에 나타내듯이, 피스톤(62)이 가장 저유실(13) 측으로 이동한 위치(제2 규제부(65)에 의해서 이동이 규제되는 위치)로부터, 가장 조정 공간(14) 측으로 이동한 위치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도, 실린더부(61)와 피스톤(62) 사이는 액밀 상태로 보관 유지되고,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내주면(61a)과 피스톤 본체부(62a)의 외주면과의 사이는 액밀 상태로 보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씰 부재(70)는, 합성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O링으로서 구성되고, 도 2에 나타내듯이, 플런저(20)의 외주면 및 플런저 수용혈(3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30)에 형성된 환상구(34) 내에 배치되어, 플런저(20)의 외주면 및 플런저 수용혈(31)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씰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텐셔너가 자동차 엔진용의 타이밍 시스템에 조입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텐셔너의 구체적 용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텐셔너가 텐셔너 레버를 통해 전동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플런저의 선단에 직접적으로 전동 체인의 접동 안내를 실시하여, 전동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동 체인에 의한 전동 기구에 한정하지 않고, 벨트, 로프 등의 유사한 전동 기구에 적용되어도 좋고, 장척물(長尺物)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는 용도이면, 여러 가지의 산업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엔진 블록 등에 장착되는 소위 텐셔너 바디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하우징의 구체적 태양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텐셔너 바디에 형성된 바디혈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소위 슬리브여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실린더 내주면 및 피스톤 본체부의 외주면(피스톤 외주면)의 지름 치수를 근소차로 함으로써, 실린더 내주면 및 피스톤 본체부의 외주면의 사이를 액밀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상기 액밀 상태를 보관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실린더 내주면 및 피스톤 본체부의 외주면의 사이에, 패킹 등의 액밀 상태를 보관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액밀 상태」란, 실린더 내주면 및 피스톤 본체부의 외주면(피스톤 외주면)에서의 오일의 유동이 완전하게 저지되는 상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린더 내주면 및 피스톤 본체부의 외주면의 사이를 근소량의 오일밖에 유동하지 않는 상태도 그 의미에 포함하고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씰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환상구(環狀溝)를 하우징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씰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환상구는, 플런저 수용혈의 내주면 또는 플런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하면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이 단일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피스톤의 구체적 태양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피스톤을 구성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규제부를 설치함으로써, 피스톤의 조정 공간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러한 제1 규제부를 설치하지 않고, 피스톤 부세 유닛의 부세력을 조정함으로써, 피스톤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0···텐셔너
11···압유실
12···내부 공간
13···저유실
14···조정 공간
20···플런저
21···플런저혈
21a···대경혈(大徑穴)
21b···소경혈(小徑穴)
21c···단차부
22···환상구(環狀溝)
23···플런저유 공급공(오일 공급로)
24···요부(凹部)
25···외부 릴리프공
30···하우징
31···플런저 수용혈
32···연통 조정구(오일 공급로)
33···하우징유 공급공(오일 공급로)
34···환상구
35a···오리피스
35b···체크 밸브
40···체크 밸브
41···시트 부재
42···밸브 부재
43···리테이너
50···코일 용수철(메인 부세 유닛)
60···압력 조정 기구
61···실린더부
61a···실린더 내주면
62···피스톤
62a···피스톤 본체부
62b···저부(底部)
63···피스톤 부세 유닛(코일 용수철)
64···제1 규제부
65···제2 규제부(이동 규제 부재)
70···씰 부재
CH···전동 체인
G···텐셔너 레버
S1~S3···스프로켓

Claims (4)

  1.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혈을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혈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플런저 사이의 공간을 압유실 및 내부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압유실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오일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메인 부세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저유실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와, 상기 저유실 내의 오일압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텐셔너이며,
    상기 오일 공급로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내주면까지 관통하는 하우징유 공급공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플런저혈의 내주면까지 관통하는 플런저유 공급공과,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내주면 또는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된 연통 조정구를 갖고,
    상기 압력 조정 기구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저유실과 조정 공간으로 구획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피스톤의 사이는, 상기 피스톤이 가장 상기 저유실 측으로 이동한 위치로부터 가장 상기 조정 공간 측으로 이동한 위치까지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도, 액밀 상태로 보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는, 상기 하우징유 공급공, 상기 플런저유 공급공, 상기 연통 조정구보다 전방 측에서,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 및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된 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유 공급공 및 상기 하우징유 공급공은, 상기 플런저유 공급공의 유로 저항보다 상기 하우징유 공급공의 유로 저항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 공급공 내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의 오일의 유출을 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 또는, 오리피스의 적어도 일방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KR1020180115805A 2017-10-06 2018-09-28 텐셔너 KR102217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95601 2017-10-06
JP2017195601A JP7022273B2 (ja) 2017-10-06 2017-10-06 テンショ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856A true KR20190039856A (ko) 2019-04-16
KR102217409B1 KR102217409B1 (ko) 2021-02-19

Family

ID=6581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805A KR102217409B1 (ko) 2017-10-06 2018-09-28 텐셔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71208B2 (ko)
JP (1) JP7022273B2 (ko)
KR (1) KR102217409B1 (ko)
CN (1) CN109630630B (ko)
DE (1) DE10201821703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9831A (zh) * 2017-06-15 2019-01-04 博格华纳公司 带有刚度可控止回阀的张紧器
US11448293B2 (en) 2018-02-26 2022-09-20 Borgwarner Inc. Variable force tensioner with internal reservoir technology primary bore
JP2020101279A (ja) * 2018-12-21 2020-07-02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内部チェックバルブを含むピストンが備えられたテンショナ
JP7174246B2 (ja) * 2019-02-13 2022-11-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7417032B2 (ja) * 2019-06-11 2024-01-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7348484B2 (ja) * 2019-07-12 2023-09-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052A (ja) * 1998-12-22 2000-07-14 Sachs Automotive France Sa 無端動力伝達帯のための流体圧を利用した張力印加装置
JP2009002495A (ja) 2007-06-25 2009-01-08 Tsubakimoto Chain Co 油圧式テンショナ
KR20090089252A (ko) * 2008-02-18 2009-08-21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유압식 텐셔너
KR20150110331A (ko) * 2014-03-24 2015-10-02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텐셔너
KR20150141183A (ko) * 2013-03-05 2015-12-17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체인 구동 텐셔너 스프링력 제어 메커니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2353A (ja) * 1994-09-12 1996-03-26 Borg Warner Automot Kk 油圧テンショナ
JP2008092495A (ja) * 2006-10-05 2008-04-17 Sharp Corp 音声メッセージサーバ、情報処理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DE102008016654B4 (de) 2008-04-01 2019-02-21 Elringklinger Ag Autark-Kettenspanner mit Doppeldichtring
JP5355628B2 (ja) * 2011-06-23 2013-11-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DE102011079188A1 (de) * 2011-07-14 2013-01-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es Spannsystem mit Öleigenversorgung
US9377087B2 (en) * 2011-09-22 2016-06-28 Borgwarner Inc. Chain drive tensioner spring force control mechanism
JP6294851B2 (ja) * 2015-04-03 2018-03-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及びリリーフバルブユニット
JP6345622B2 (ja) * 2015-04-15 2018-06-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6408975B2 (ja) * 2015-11-10 2018-10-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052A (ja) * 1998-12-22 2000-07-14 Sachs Automotive France Sa 無端動力伝達帯のための流体圧を利用した張力印加装置
JP2009002495A (ja) 2007-06-25 2009-01-08 Tsubakimoto Chain Co 油圧式テンショナ
KR20090089252A (ko) * 2008-02-18 2009-08-21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유압식 텐셔너
KR20150141183A (ko) * 2013-03-05 2015-12-17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체인 구동 텐셔너 스프링력 제어 메커니즘
KR20150110331A (ko) * 2014-03-24 2015-10-02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텐셔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71208B2 (en) 2020-12-22
JP2019070393A (ja) 2019-05-09
US20190107178A1 (en) 2019-04-11
KR102217409B1 (ko) 2021-02-19
CN109630630A (zh) 2019-04-16
DE102018217037A1 (de) 2019-04-11
DE102018217037B4 (de) 2021-04-29
JP7022273B2 (ja) 2022-02-18
CN109630630B (zh)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9856A (ko) 텐셔너
KR102119610B1 (ko) 텐셔너
KR101867699B1 (ko) 체인 텐셔너
KR102630267B1 (ko) 텐셔너
KR20170054989A (ko) 체인 텐셔너
KR102647237B1 (ko) 체인 텐셔너
JP2017089842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10753433B2 (en) Tensioner
CN107795649B (zh) 张紧装置
JP6767656B2 (ja) テンショナ
US11268598B2 (en) Tensioner
KR102072408B1 (ko) 텐셔너
CN109424705B (zh) 张紧装置
CN112065939A (zh) 张紧装置
US11156272B2 (en) Chain tensioner
JP6928261B2 (ja) 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