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826A - 금속 가공에서의 이동식 단열 대차 - Google Patents

금속 가공에서의 이동식 단열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826A
KR20190039826A KR1020197008770A KR20197008770A KR20190039826A KR 20190039826 A KR20190039826 A KR 20190039826A KR 1020197008770 A KR1020197008770 A KR 1020197008770A KR 20197008770 A KR20197008770 A KR 20197008770A KR 20190039826 A KR20190039826 A KR 20190039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iabatic
heat insulating
insulating
metal strip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피엘크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3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8Heat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2Covers or shie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압연기에서의 이용을 위해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서 이송될 금속 스트립(102)을 위한 가공 라인에서 이용을 위한 단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단열 장치는, 온도 손실들의 감소를 위해 금속 스트립(102)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는 단열 후드(11)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단열 대차(10); 및 단열 대차(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단열 대차(10)가 수평으로, 바람직하게는 직선 라인을 따라서 가공 라인에서부터 인출 이동될 수 있고 그 내로 인입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 가공에서의 이동식 단열 대차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압연기에서의 이용을 위해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서 이송될 금속 스트립을 위한 가공 라인에서의 이용을 위한 단열 장치(heat-insulating device)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단열 장치는 단열 후드(heat-insulating hood)를 포함한다.
특히 압연기에서의 조압연기열 및 다듬질 압연기열에서 금속 가공 시, 금속 스트립의 이송 동안 온도 손실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정식 또는 가변식 단열 후드들이 이용된다. 예컨대 DE 1 452 102 A1호는, 압연 공정에서 열간압연 스트립의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온도 측정 장치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 상기 독일 공보의 청구항 제1항 대로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열간압연 스트립 위쪽의 차폐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식 반사판 유닛들(reflector unit);이 제공된다. 단열 커버를 포함하여 스트립 형태의 압연 스톡을 열간압연하기 위한 또 다른 설비는 EP 0 141 798 A2호에 기술되어 있다.
종래의 단열 후드들에서의 단점은, 보통 회동 이동으로서 실행되는 뜻밖의 이동성에도 불구하고, 또는 바로 그 이동성 때문에 상기 단열 후드들이 생산라인에서의 설치 공간을 차단한다는 점에 있다. 단열 후드들은 압연 모드에 대한 조망을 저하시키고 유지보수 또는 고장 해결을 어렵게 하는데, 그 이유는 설비의 상응하는 영역들에 대한 접근이 단열 후드들을 통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차단된 공간도 다른 장치들을 위해 이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바람직하게는 압연기에서의 이용을 위해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서 이송될 금속 스트립을 위한 가공 라인에서의 이용을 위한 단열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기술적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극복하는 상기 단열 장치를 명시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금속 스트립의 가공을 위한 설비의 신뢰성 및 유연성이 개선되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단열 장치, 그리고 청구항 제12항의 특징들을 갖는 설비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본 발명의 하기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기재내용에서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압연기에서의 이용을 위해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서 이송될 금속 스트립을 위한, 생산라인으로서도 지칭되는 가공 라인에서의 이용을 위해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원의 단열 장치는 연연속 압연 모드(endless rolling mode) 및/또는 반무단 압연 모드(semi-endless rolling mode) 및/또는 배치 압연 모드(batch rolling mode)를 갖는 열간압연기에서의 조압연기열 및 다듬질 압연기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원의 단열 장치는, 온도 손실들의 감소를 위해 금속 스트립 위쪽으로,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금속 스트립 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단열 후드를 구비한 단열 대차(heat-insulating carriage)를 포함한다. 단열 후드는 모듈 유형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예컨대 복수의 단열 부재들(heat-insulating element)이 제공됨으로써 확장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단열 부재들의 개수 및/또는 구성은 상이한 환경들, 재료들 및/또는 작동 조건들에 매칭될 수 있다. 단열 후드는 단열 구조를 보유한다. 예컨대 열 방사선과 관련하여 낮은 열전도도 및/또는 높은 반사율을 보유한 재료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단열은 상응하는 부재들의 기하학적 또는 구조적 특성들 및 진공 단열을 통해서도 보장되거나 보조될 수 있다. 이는 유사한 방식으로 계속 하기에서 기술되는 단열 대차의 선택적인 또는 선호되는 단열 부재들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또한, 본원의 단열 장치는 이송 수단(transport means)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 이송 수단은 단열 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단열 대차가 수평으로 가공 라인에서부터 인출 이동될 수 있고 그 내로 인입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평으로"란 표현은 가공 라인에 상대적으로 보여지는 표현이며, 다시 말하면 단열 대차는 설비(예: 압연기)의 바닥 또는 기초(fundament), 또는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열 대차는 스트립 이송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그리고 직선 라인을 따라서 가공 라인에서부터 인출 이동될 수 있고 그 내로 인입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는 각각의 구조 형상에 따라서 바닥 아래에(underfloor) 또는 바닥면(surface)에 제공될 수 있다. 단열 대차의 이동성은 엄격하게 스트립 이송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실현되지 않아도 되며, 이동 궤적은 엄격하게 선형일 필요는 없다. 여기서 중요한 사항은, 단열 대차가, 인출 이동된 상태에서 가공 라인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문제없이 가공 라인에서부터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는, 작은 설치 공간에서, 특히 스트립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다시 말해 수평으로 위치하는 라인을 따르는 이동성이 실행될 때 보장된다.
그에 따라, 단열 후드는 회동 방식으로, 또는 레버 유형으로 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열 대차의 형상인 완전한 단열부가 가공 라인에서 제거되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유도 가열부와 같은 또 다른 장치들 또는 또 다른 모듈이 가공 라인 내의 상응하는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설비는 매우 유연하게 설정되고 이용된다. 또한, 단열 대차를 인출 이동시킨 후에, 가공 라인에 대한 조망 및 그 접근성은 탁월하게 향상되며, 그럼으로써 유지보수도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고 뜻밖의 고장은 신속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이송 수단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레일 및/또는 바아(bar) 및/또는 롤러를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가공 라인에서부터 단열부의 인출 이동 또는 활주 인출(sliding out)은 기계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게 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구동은 예컨대 유압식으로, 그리고/또는 전기식으로, 그리고/또는 공압식으로, 그리고/또는 이들의 조합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공 라인을 따라서 금속 스트립의 이송을 위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한 롤러 컨베이어가 제공되되, 본원의 단열 장치는, 관련된 단열 대차가 2개의 인접한 롤러 사이의 중간 공간 내로 인입 이동될 수 있고 그로부터 인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제공되어 있는 설치 공간은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그에 따라, 특히 롤러들 사이의 영역은 쉽게 접근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열 대차는, 단열 후드와 함께 횡단면에서 스트립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U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측면 단열부들을 포함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단열 대차는 밑면부(undersi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밑면부는, 단열 대차가 인입 이동될 때 금속 스트립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면, 중력 방향을 따라서 볼 때에는 단열 후드가 금속 스트립 위쪽에 배치되도록, 단열 후드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밑면부는 온도 손실들의 감소를 위해 단열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단열 후드, 측면 단열부들 및 밑면부는 터널(tunnel)의 벽부들을 형성할 수 있되, 터널은 단열 챔버를 에워싸며, 그리고 이 터널을 통해서는 단열 대차가 인입 이동된 상태에서 금속 스트립이 통과한다.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터널의) 터널 벽부들의 형태들, 구조들 및/또는 재료들을 통해, 단열은 의도되는 요건으로 설정된다. "터널"이란 명칭은, 본원의 문맥에서, 단열 대상 영역, 다시 말하면 단열 챔버가 단열 부재들에 의해 완전하게 에워싸여 있지 않을 때 이용된다. 예컨대 금속 스트립은 단열 후드와 밑면부 사이에 샌드위치 유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때 측면 단열부들은 제공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역시도 "터널"이란 명칭에 포함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단열 챔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널 유형으로 단열 부재들에 의해 에워싸여 있기 때문이다. 특히 터널 벽부들은 조정 가능하게, 예컨대 변위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개방 및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터널 벽부들은 폐쇄된 터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금속 스트립을 위한 유입 개구부 및 유출 개구부를 제외하고 상기 금속 스트립을 완전하게 에워싸는 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단열 대차는 압연 모드에서, 또는 일반적으로 가공 모드에서는 인입 및 인출 이동될 수 없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단열 대차를 인입 및 인출 이동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측면 단열부와 밑면부 사이에 측면 슬롯이 제공된다. 이런 슬롯을 통해, 금속 스트립은, 단열 대차가 가공 라인 내로 이동될 때, 터널 또는 단열 챔버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금속 스트립은, 단열 대차를 인출 이동시킬 때, 마찬가지로 슬롯을 통해 유출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완벽한 인입 및 인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가공 공정, 바람직하게는 압연 공정 내로 인입 이동은 공정 시작 전에, 또는 공정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단열 대차는 공정 동안 가공 라인 바깥쪽의 대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롯의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터널의 일 섹션은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단열 부재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단열 부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측면 단열부이다. 그 결과, 터널 또는 터널 개구부는 확대되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고장 동안 작동 안전성은 향상된다. 이 경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모듈은 예컨대 금속 스트립 위쪽으로 견인되며, 그리고 금속 스트립 위쪽으로 단열 대차를 끌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로 개구부를 확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밑면부는, 단열 대차의 인입 이동된 상태에서 금속 스트립의 전달을 위해 금속 스트립과 접촉될 수 있는 전달 수단(transfer means),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달 리브들(transfer rib) 및/또는 전달 롤러들을 포함한다. 이런 방식으로 단열 대차는, 자신의 일차 기능(가공 동안 열 손실 최소화)에 추가로 전달 테이블(transfer table)로서 기능함으로써, 시너지 방식으로 금속 스트립의 안내를 위해, 그리고/또는 금속 스트립의 안전한 이송을 위해 함께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단열 대차는 접근 가능한 플랫폼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단열 장치뿐만 아니라 설비의 다른 영역들 역시도 그 유지보수가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단열 대차는, 설비 부분들, 특히 고정식 설비 부분들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게 될 정도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과제는,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서 금속 스트립의 이송을 위한 롤러들을 구비한 롤러 컨베이어; 및 자신의 단열 대차들이 롤러 컨베이어의 인접한 롤러들 사이의 관련된 중간 공간들 내로 인입 이동될 수 있고 그로부터 인출 이동될 수 있는 것인 앞에서 기술한 단열 장치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하여, 금속 스트립의 가공을 위한 설비, 바람직하게는 압연기에 의해 해결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본원의 단열 장치는, 관련된 단열 대차가 압연기 내의 롤 스탠드들 사이로 인입 및 인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또는 대안의 적용은 터널로(tunnel furnace)와 롤 스탠드, 바람직하게는 제1 롤 스탠드 사이의 영역에서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가공 라인 내로, 바람직하게는 단열 대차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중간 공간들 내로 인입 이동될 수 있고 그로부터 인출 이동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이동식 유도 가열부가 제공된다. 이런 방식으로, 가공 라인 내에서의 공간들은 모듈 형식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들은 어느 정도 접근성의 향상을 위해 비워지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작동 상황에 따라서 단열 대차 및/또는 유도 가열부를 갖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열 장치의 복수의 단열 대차는 하나의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그룹화가 실행되고 단열 대차들의 그룹별 인입 및 인출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본원에서 기재한 단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압연기들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연연속 압연 모드 및/또는 반무단 압연 모드 및/또는 배치 압연 모드를 갖는 열간압연기들에서의 조압연기열 및 다듬질 압연기열에서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가공, 특히 강재 및 비철금속들에 관계되는 점에 한해, 또 다른 설비들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하기 기재내용에서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기술되는 특징들은, 해당 특징들이 모순되지 않는 점에 한해, 단독으로, 또는 앞에서 설명한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와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압연기에서의 이용을 위한 단열 대차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되, 도 1a는 단열 대차의 3차원도이며, 도 1b 및 1c는 단열 대차를 각각 측면에서 폐쇄된 상태 및 측면에서 개방된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가공 라인을 따라 기본 프레임 상에 배치된 복수의 단열 대차를 상부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도이다.
도 3은 가공 라인을 따라 기본 프레임 상에 유도 가열 모듈들과 조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단열 대차를 상부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도이다.
하기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따라서 기술된다. 이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작용하는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부여되며, 그리고 상기 요소들의 반복적인 기재내용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생략된다.
도 1a에는, 예시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단열 대차(10)가 도시되어 있다. 단열 대차(10)는 하나의 단열 후드(11)와, 각각 단열 구조를 보유하는 2개의 측면 단열부(12 및 13)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단열 부재들(및 경우에 따른 단열을 위한 추가 부재들)은 열 방사선과 관련하여 낮은 열전도도 및/또는 높은 반사율을 보유하는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단열은 상응하는 부재들의 기하학적 또는 구조적 특성들 및 진공 단열을 통해서도 보장되거나 보조될 수 있다.
단열 후드(11) 및 두 측면 단열부(12 및 13)는, 마찬가지로 단열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밑면부(14)와 함께, 단열 챔버(16)를 에워싸며, 이 단열 챔버를 통해서는 스트립 재료 또는 금속 스트립으로서도 지칭되는 단열 대상 스트립형 재료(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에는 미도시)가 통과한다. 이를 위해, 스트립형 재료가 그를 통과하여 단열 대차(10)의 단열 챔버(16) 내로 유입되고 그로부터 유출되는 곳인 개구 슬롯들(aperture slot)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개구 슬롯들을 포함하는 단열 챔버(16)는 스트립형 재료를 위한 터널을 형성한다.
밑면부(14)는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 전달 리브(15)들을 포함하며, 이들 전달 리브는 단열 챔버(16)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리고 단열 대상 재료가 전달 리브(15)들 상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단열 대상 재료의 이송을 위해 이용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전달 롤러들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밑면부(14)는, 가공 대상 재료, 예컨대 압연된 박판 또는 압연 대상 박판이 문제없이 단열 대차(10)의 단열 챔버(16)를 통과할 수 있는 점에 한해, 또 다른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단면도들 1b 및 1c에서는, 특히 단열 후드(11) 및/또는 측면 단열부(12 및 13)들이 모듈 유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점을 분명하게 유추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예컨대 간단한 방식으로 상이한 환경들, 재료들 및/또는 작동 조건들에 매칭되는 복수의 단열 부재들이 제공될 수 있다.
측면 단열부(13)는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단열 챔버(16)는 측면에서 개방되고 폐쇄된다. 이는, 도 1b와 1c의 비교에서 특히 충분하게 유추되되, 도 1b에는 폐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c에는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기능성은 고장이 있는 경우에 단열 챔버(16)의 개방을 위해, 그리고/또는 단열 성능의 조절을 위해 이용된다. 자명한 사실로서,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측면 단열부(12)도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하나 또는 복수의 단열 측면을 조정 가능하게(변위 및 회동 등이 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단열 대차(10)는 간단한 방식으로 상이한 작업 조건들을 위해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 단열부(13)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모듈이 스트립형 재료, 예컨대 압연 스톡 위쪽으로 견인될 수 있음으로써 단열 대차(10)가 측면에서 가공 라인으로부터 끌어내어 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렇게, 단열 대차(10)는 예컨대 연연속 압연 모드 및/또는 배치 압연 모드에서 인입 및 인출 이동된다.
여기서 도시된 예시의 실시형태의 경우, 측면 단열부(13)의 회동성에 추가로, 가공 공정 동안에도 단열 대차(10)를 가공 라인 내로 인입 이동하고 그로부터 인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항상 측면 슬롯(17)이 측면 단열부(13)와 밑면부(14) 사이에 제공된다. 대안의 구조 형상은 스트립 또는 압연 모드 동안 인입 또는 인출 이동될 수 없는 폐쇄된 단열 대차(10)이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단열 대차(10)는 안전 핸드레일(safety handrail)을 구비한 접근 가능한 플랫폼(18)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단열 장치 및/또는 설비에서 유지보수, 제어 및/또는 점검 작업들은 간단하면서도 안전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게 된다.
스트립 가공 설비 내에 복수의 단열 대차(10)의 임베딩, 특히 상기 단열 대차들의 모듈성 및 이동성은 도 2 및 도 3에서 분명하게 유추된다.
도 2에는, 스트립 재료, 예컨대 연속 박판의 이송을 위해 적합하도록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롤러(21)들을 구비한 롤러 컨베이어(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롤러(21)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복수의 단열 대차(10)는 롤러 컨베이어(20) 내로, 그에 따라 가공 라인 내로 인입 이동되며, 그리고 그로부터 인출 이동되며, 특히 단열 대차들은 인입 이동된 상태에서 롤러(21)들 사이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 단열 대차(10)들은 레일들 또는 바아들 상에서, 또는 롤러들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단열 대차(10)들의 이동 또는 조정은, 조작 측(operating side)에 위치되는 이동 실린더(22)(moving cylinder)를 통해 기계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단열 대차(10)들의 신뢰성 있는 인입 및 인출 이동이 보장되는 한, 구동은 전기식으로, 공압식으로, 유압식으로, 이들의 조합 방식으로, 또는 또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인입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조작 측에서부터 수행되지만, 그러나 가공 라인에 상대적으로 조작 측에 대향하여 있는 구동 측에서의 인입 이동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열 대차(10)는, 자신들이 예컨대 그룹 형성을 위한 하나의 연결 부재(23)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그룹화된다. 그 결과, 단열 대차(10)들은 각각의 필요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이동된다.
단열 대차(10)들의 인입 및 인출 이동을 위한 구동은, 특히 도 3에서 분명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처럼, 바닥 아래에서 가능하다. 도 3에는, 기초부(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기초부 내에는 단열 대차(10)들)(및 경우에 따른 추가 모듈들)의 이동 가능한 작동을 위한 언더플루어 구동부(101)(underfloor drive)가 장착되어 있다. 도 3에는, 스트립 재료, 다시 말하면 예컨대 압연 스톡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면부호 102로 표시되어 있다. 압연 및/또는 이송 방향은 도 2 및 도 3의 도면에서는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향한다.
또한, 도 3에서는, 단열 대차(10)들의 이동성이 설비의 모듈형 특성을 특별한 방식으로 보조하는 점을 추가로 분명하게 유추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열 대차(10)들에 추가로, 스트립 재료(102)를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모듈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의 예시에서는, 단열 대차(10)들의 대안으로, 스트립 재료(102)를 능동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가공 라인 내로 이동되는 유도 가열부(103)들이 제공되어 있다. 그 대안으로, 각각의 필요에 따라서, 단열 및 가열이 모두 필요하지 않은 위치들에서, 또는 유지보수, 고장 해결 등의 이유에서, 가공 라인 내의 간극(104)들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단열 대차(10)들을 통해, 압연 라인 또는 일반적으로는 스트립 가공 라인에서 설치 공간은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이동성을 통해, 유지보수 작업들을 위한 자유 공간이 추가로 제공된다.
단열 대차(10)들 및 이들 단열 대차의 모듈형 임베딩은 압연기들에서의 적용, 예컨대 연연속 압연 모드 및/또는 배치 압연 모드를 갖는 열간압연기들에서의 조압연기열 및 다듬질 압연기열에서의 적용을 위해 특히 적합하다. 단열 대차(10)들은, 온도 손실들의 방지를 위해 이용되며, 그리고 필요한 점에 한해, 압연 스톡을 위한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전달 리브(15)들을 통해 실현되는] 전달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단열 대차(10)들은 예컨대 유도 가열부(103)들과 같은 다른 장치들과 모듈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점에 한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모든 개별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조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서로 교환될 수 있다.
10: 단열 대차
11: 단열 후드
12: 측면 단열부(고정식)
13: 측면 단열부(개방 및 폐쇄를 위해 이동식)
14: 밑면부
15: 전달 리브
16: 단열 챔버
17: 측면 슬롯
18: 플랫폼
20: 롤러 컨베이어
21: 롤러
22: 이동 실린더
23: 그룹 형성을 위한 연결 부재
100: 기초부
101: 언더플로어 구동부
102: 스트립 재료 / 압연 스톡
103: 유도 가열부
104: 가공 라인 내의 간극 / 중간 공간

Claims (14)

  1. 바람직하게는 압연기에서의 이용을 위해,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서 이송될 금속 스트립(102)을 위한 가공 라인에서의 이용을 위한 단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열 장치는
    온도 손실들의 감소를 위해 상기 금속 스트립(102)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는 단열 후드(11)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단열 대차(10); 및
    상기 단열 대차(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단열 대차(10)가 수평으로, 바람직하게는 직선 라인을 따라서 상기 가공 라인에서부터 인출 이동될 수 있고 그 내로 인입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레일 및/또는 바아 및/또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유압식으로, 그리고/또는 전기식으로, 그리고/또는 공압식으로, 그리고/또는 이들의 조합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라인을 따라서, 상기 금속 스트립(102)의 이송을 위한 복수의 롤러(21)를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20)가 제공되며, 상기 단열 장치는, 상기 관련된 단열 대차(10)가 2개의 인접한 롤러(21) 사이의 중간 공간 내로 입인 이동될 수 있고 그로부터 인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대차(10)는 측면 단열부(12, 13)들을 포함하며, 이들 측면 단열부는 상기 단열 후드(11)와 함께 횡단면에서 스트립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U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대차(10)는 밑면부(14)를 포함하며, 상기 밑면부는, 상기 단열 대차(10)가 인입 이동될 때 상기 금속 스트립(102)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열 후드(11)에 대향하여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밑면부(14)는 온도 손실들의 감소를 위해 단열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부(14)는, 상기 단열 대차(10)의 인입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 스트립의 전달을 위해 상기 금속 스트립(102)과 접촉될 수 있는 전달 수단, 바람직하게는 전달 리브(15)들 및/또는 전달 롤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8. 제5항 및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후드(11), 상기 측면 단열부(12, 13)들, 및 상기 밑면부(14)는 터널의 벽부들을 형성하되, 상기 터널은 단열 챔버(16)를 에워싸며, 상기 터널을 통해서는 상기 단열 대차(10)가 인입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 스트립(102)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은 측면 슬롯(17)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터널 벽부들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은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단열부(13)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대차(10)는 접근 가능한 플랫폼(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장치.
  12.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서 금속 스트립(102)의 이송을 위한 롤러(21)들을 구비한 롤러 컨베이어(20); 및 자신의 단열 대차(10)들이 바람직하게는 롤러 컨베이어(20)의 인접한 롤러(21)들 사이의 관련된 중간 공간(104)들 내로 인입 이동될 수 있고 그로부터 인출 이동될 수 있는 것인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열 장치;를 포함하는 금속 스트립(102)의 가공을 위한 설비, 바람직하게는 압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이동식 유도 가열부(103)가 제공되며, 상기 유도 가열부는 가공 라인 내로, 바람직하게는 단열 대차(10)들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중간 공간(104)들 내로 인입 이동될 수 있고 그로부터 인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단열 장치의 복수의 단열 대차(10)는 하나의 연결 부재(2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그룹화가 실행되고 상기 단열 대차(10)들의 그룹별 인입 및 인출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KR1020197008770A 2016-09-16 2017-09-11 금속 가공에서의 이동식 단열 대차 KR201900398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7720.6 2016-09-16
DE102016217720.6A DE102016217720A1 (de) 2016-09-16 2016-09-16 Verfahrbarer Wärmedämmwagen bei der Metallbearbeitung
PCT/EP2017/072675 WO2018050574A1 (de) 2016-09-16 2017-09-11 Verfahrbarer wärmedämmwagen bei der metallbearbei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826A true KR20190039826A (ko) 2019-04-15

Family

ID=5982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770A KR20190039826A (ko) 2016-09-16 2017-09-11 금속 가공에서의 이동식 단열 대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33443B2 (ko)
EP (1) EP3512646B1 (ko)
JP (1) JP2019529121A (ko)
KR (1) KR20190039826A (ko)
CN (1) CN109715305B (ko)
DE (1) DE102016217720A1 (ko)
RU (1) RU2714003C1 (ko)
WO (1) WO20180505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8005A (en) * 1934-12-26 1937-04-20 W C Coryell Mill plant for rolling hot metal
GB1040420A (en) 1963-11-19 1966-08-24 United Eng Foundry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hot strip
JPS5742566Y2 (ko) * 1976-11-24 1982-09-20
JPS5852274B2 (ja) 1976-12-15 1983-1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検針装置
US4343168A (en) * 1977-05-04 1982-08-10 Laws William R Heat shield arrangements for a rolling mill
US4420029A (en) * 1979-04-27 1983-12-13 Nippon Steel Corporation Apparatus for blocking escape of heat in hot slabs manufactured on continuous casting machines
JPS5680806U (ko) * 1979-11-13 1981-06-30
JPS5680804U (ko) * 1979-11-13 1981-06-30
JPS59106608U (ja) * 1982-12-29 1984-07-18 日本鋼管株式会社 鋼塊及び長尺鋼片保温用断熱カバ−
AT377712B (de) * 1983-09-08 1985-04-25 Voest Alpine Ag Anlage zum warmwalzen von band- oder tafelfoermigem walzgut
SU1407604A1 (ru) * 1986-05-28 1988-07-07 Череповец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Им.50-Летия Ссср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грев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еталла
FR2607036B1 (fr) 1986-11-24 1992-07-03 Usinor Aciers Tunnel amovible de maintien en temperature d'un produit lamine a chaud dans un train de laminage continu
JPH0225212A (ja) 1988-07-12 1990-01-26 Sumitomo Metal Ind Ltd 高温鋼材搬送ラインの保温方法
SU1585044A1 (ru) * 1988-09-19 1990-08-15 Моск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стали и сплав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кранировани гор чего металла на рольганге полосового стана
IT1262220B (it) 1993-10-19 1996-06-19 Danieli Off Mecc Via di trasporto mobile coibentata per colata continua di bramme
GB9407566D0 (en) 1994-04-12 1994-06-08 Encomech Eng Services Heat shields for rolling shields
RU2122475C1 (ru) * 1997-05-28 1998-11-27 Хлопонин Виктор Николаевич Секц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го экрана рольганга полосового стана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JPH11172325A (ja) 1997-12-09 1999-06-29 Sumitomo Metal Ind Ltd 鋼板エッジ部の誘導加熱制御方法
CN2803549Y (zh) 2005-04-05 2006-08-09 鞍山市润辉冶金设备制造有限公司 热轧带材连铸连轧机组传输辊道上的保温罩
KR101321696B1 (ko) * 2007-03-09 2013-10-2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CN102125932B (zh) * 2010-12-16 2012-11-07 重庆研镁科技有限公司 一种镁合金热轧装置及轧制加热的方法
CN102836884A (zh) * 2011-10-24 2012-12-26 南通天华和睿科技创业有限公司 一种热轧机护罩
GB2506395A (en) 2012-09-28 2014-04-02 Siemens Plc Roller table and method of rolling a Material
KR101435056B1 (ko) 2013-04-29 2014-08-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가열장치
RU2646514C2 (ru) 2013-12-26 2018-03-05 Поско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катки,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и прокатки
CN203751005U (zh) * 2014-04-01 2014-08-06 郭志元 一种移动式轧钢用保温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33443B2 (en) 2022-09-06
EP3512646A1 (de) 2019-07-24
DE102016217720A1 (de) 2018-03-22
CN109715305A (zh) 2019-05-03
JP2019529121A (ja) 2019-10-17
RU2714003C1 (ru) 2020-02-11
WO2018050574A1 (de) 2018-03-22
CN109715305B (zh) 2021-04-06
US20190210081A1 (en) 2019-07-11
EP3512646B1 (de)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1481A (en) Furnace for heating slabs, billets, rough castings and the like
JP5121721B2 (ja) ロールを交換する方法と装置
KR101770602B1 (ko) 열처리용 오븐 및 대차 시스템
KR20110079750A (ko) 슬래브 가공 방법 및 장치
US7793771B2 (en) Device for pushing metallic goods
ITUD970210A1 (it) Procedimento di controllo assialita' per bramme uscenti da colata continua e relativo dispositivo
US8186198B2 (en) Rolling installation
KR20190039826A (ko) 금속 가공에서의 이동식 단열 대차
CN101512279B (zh) 用于由连续铸坯机排出的板坯的保温的装置以及辊道装置
US5800161A (en) Heating and/or temperature-maintaining furnace for slabs
US20190374987A1 (en) Rolling plant for rolling billets or blooms
KR102551750B1 (ko) 롤러 테이블 장치
KR101811825B1 (ko) 길쭉한 금속 압연 스톡의 온도 상승 장치, 그리고 길쭉한 금속 압연 스톡의 제조 및/또는 가공을 위한 다듬질 압연기열
JP2013505139A (ja) モジュール的な案内装置
ITUD20000031A1 (it) Procedimento di controllo assialita' per bramme uscenti da colata continua e relativo dispositivo
KR101220561B1 (ko) 불량재 처리 장치
KR20120122071A (ko) 교정기의 철강 제품 가이드 장치
US20190307132A1 (en) Baking Device
KR20100025903A (ko) 압연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US20240003628A1 (en) Centering device for metal blanks
US3127034A (en) Furnace feed apparatus
KR20010112333A (ko) 열 차폐물 설비
KR100961356B1 (ko) 자력을 이용한 슬라브 푸셔장치
KR101399868B1 (ko) 가열로의 도어장치
US653507A (en) Feeding mechanism for rolling-m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