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921A -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921A
KR20190037921A KR1020170127749A KR20170127749A KR20190037921A KR 20190037921 A KR20190037921 A KR 20190037921A KR 1020170127749 A KR1020170127749 A KR 1020170127749A KR 20170127749 A KR20170127749 A KR 20170127749A KR 20190037921 A KR20190037921 A KR 20190037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arm
clamp
sun visor
insertion hol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921A/ko
Publication of KR2019003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선바이저에 설치되어 헤드라이너에 힌지된 피봇암 및 상기 피봇암과 결합되는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선바이저의 처짐 및 선바이저 복귀 시 발생되는 텅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sun-visor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선바이저에 설치되어 헤드라이너에 힌지된 피봇암 및 상기 피봇암과 결합되는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선바이저의 처짐 및 선바이저 복귀 시 발생되는 텅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여러 종류의 다양한 편의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어 이 편의장치들을 탑승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그 중에서 선바이저는 전면 유리나 또는 측면의 도어글래스를 통해 차실내로 조사되는 태양광선을 일부 차단시켜 앞좌석으로 탑승하는 승객이 햇빛가리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선바이저는 평상 시에는 루프의 내장재인 헤드라이너에 밀착시켜 접어두었다가 햇빛이 차실내로 들어오면 접어 두었던 선바이저를 헤드라이너로부터 펼쳐 햇빛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햇빛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너(미도시)에 그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피봇암(16)의 타단부에 선바이저(2)가 설치된다.
상기 선바이저(2)의 일측에는 선바이저(2)의 내부에 절곡 형성된 프레임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 고정되는 브라켓(4)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4)의 일측에는 클램프(6)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6)에는 피봇암(16)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에는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클램프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6)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8)과, 상기 하우징(8) 내에 결합되어 있는 평판형의 제1받침판(10)과, 상기 제1받침판(1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받침판(10)을 지지하는 스프링(12)과, 상기 스프링(12) 하단의 제2받침판(14)으로 구성된다.
도 3에는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피봇암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받침판(10)과 하우징(8) 사이 공간에 삽입 결합되는 피봇암(16)은 중앙부에 평면부(18)가 형성되어 부분적으로 캠형상과 같이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18)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클램프(6)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램프(6)에 고정된다.
상기 선바이저(2)는 상기 피봇암(16)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상기 피봇암(16)을 탄성 지지하는 상기 클램프(6)에 의해 상기 선바이저(2)의 회전 및 고정, 복귀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6)와 피봇암(16)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2) 탄성력이 약할 경우, 상기 피봇암(16)의 평면부(18)가 강하게 지지되지 못해 상기 선바이저(2)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지 않아 처짐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주행 중 떨림에 의한 이음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스프링(12)의 탄성력이 강할 경우, 상기 선바이저(2)의 사용 후 복귀 시 선바이저(2)의 회전 속도가 빨라 헤드라이너를 강하게 타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텅노이즈가 발생하게 되고, 반복 사용 시 피봇암(16)의 표면 마모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53837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클램프의 탄성구조에 의해 피봇암을 조정할 수 있도록 피봇암 및 상기 피봇암과 결합되는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선바이저의 처짐을 방지하고, 선바이저 복귀 시 발생되는 텅노이즈를 저감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에 있어서,
피봇암은 클램프를 구성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고정 및 회동되며,
선바이저의 초기 고정 시 피봇암에 가해지는 클램프의 고정력과 선바이저의 복귀 시 피봇암에 가해지는 클램프의 고정력의 크기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램프는,
판형 플레이트가 역 유(U)자형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는 평판형의 하부받침판;
하부받침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부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받침판은 일정 길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는 사각형상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홀의 둘레부 중 상부받침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삽입홀의 양측 둘레부 하단에는 판스프링 형태의 가이드부가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는 일정 각도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휘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가 휘어진 방향의 일측에는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봇암은 하우징과 상부받침판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봇암에서 클램프에 삽입되는 부분의 원주면상에는 부분 절개되어 평탄면이 형성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요홈부의 중앙에는 피봇암에서 요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홀과 클램프의 상부받침판에 형성되는 삽입부의 형상 및 크기는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부는 삽입홀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부의 탄성에 의해 삽입홀에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선바이저가 헤드라이너에 맞닿아 있는 초기 고정 단계;
선바이저가 차량의 하측을 향하여 회전하는 펼침 단계;
선바이저가 헤드라이너를 향하여 회전하는 복귀 단계;를 포함하며,
초기 고정 단계와 복귀 단계 시 클램프와 피봇암 사이의 고정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 고정 단계에서 피봇암의 삽입부는 클램프를 구성하는 상부받침판의 삽입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펼침 단계는,
피봇암 회전 단계;
피봇암의 회전에 의한 상부받침판 하강 단계;
상부받침판의 하강에 의한 클램프의 탄성부재 압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봇암 회전 단계는, 피봇암을 회전축으로 하는 선바이저의 회전에 의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 고정 단계에서 삽입홀에 삽입되어있던 삽입부는 펼침 단계가 진행되면서 삽입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펼침 단계에서 클램프를 구성하는 상부받침판의 삽입홀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는 점차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귀 단계는,
피봇암을 회전축으로 하여 선바이저가 헤드라이너를 향하여 회전을 시작하는 복귀 시작 단계;
상부받침판의 삽입홀로 피봇암의 삽입부 삽입이 진행되는 복귀 진행 단계;
선바이저의 회전이 계속되면서 삽입부가 삽입홀에 완전히 삽입되는 복귀 완료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귀 단계에서 상부받침판의 삽입홀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는 점차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 고정 단계에서의 클램프와 피봇암 사이의 고정력은 복귀 단계에서의 클램프와 피봇암 사이의 고정력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 고정 단계와 복귀 단계에서의 클램프와 피봇암 사이의 고정력 차이로 인해 펼침 단계에서의 피봇암의 회전 속도와 복귀 단계에서의 피봇암의 회전 속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귀 단계에서의 피봇암의 회전 속도는 펼침 단계에서의 피봇암의 회전 속도 보다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봇암의 삽입부가 클램프를 구성하는 상부받침판의 삽입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때, 삽입부는 삽입홀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부의 탄성에 의해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바이저의 고정 시 클램프의 고정력과 선바이저의 복귀 시 클램프의 고정력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선바이저의 고정 시 클램프의 고정력을 보다 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선바이저의 처짐을 방지하여 주행 중 선바이저의 떨림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바이저의 복귀 시 클램프의 고정력을 보다 약하도록 구성하여 선바이저의 복귀 시 회전 속도를 줄여줌으로써 상기 선바이저의 헤드라이너 타격 시 텅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분리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클램프 구조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피봇암 구조도.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클램프와 피봇암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헤드라이너 타격 시 텅노이즈 발생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클램프와 피봇암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구성하는 상부받침판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피봇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받침판과 피봇암의 결합 상세도.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B-B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초기 고정 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펼침 시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복귀 초기 시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복귀 중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복귀 완료 시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상부받침판의 제2실시예 하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상부받침판의 제2실시예 상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피봇암의 제2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받침판과 제2실시예에 따른 피봇암의 결합 상세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선바이저에 설치되어 헤드라이너에 힌지된 피봇암 및 상기 피봇암과 결합되는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선바이저의 처짐 및 선바이저 복귀 시 발생되는 텅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선바이저에 관한 발명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클램프와 피봇암의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선바이저는, 일단이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길이 연장된 피봇암(2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26)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피봇암(20)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차량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26)는 상기 선바이저의 일단에 형성된 브라켓 홈에 삽착되어 상기 선바이저에 결합된다.
먼저, 상기 클램프(26)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클램프를 구성하는 상부받침판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26)는, 판형 플레이트가 역 유(U)자 형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8)과, 상기 하우징(28)의 하단에 결합되는 평판형의 하부받침판(32)과, 상기 하부받침판(32)의 상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탄성부재(30)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부받침판(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받침판(34)은 일정 길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는 사각형상의 삽입홀(3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36)의 둘레부 중 상기 상부받침판(34)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양측 둘레부 하단에는 판스프링 형태의 가이드부(38)가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8)는 일정 각도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홀(36)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38)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휘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받침판(34) 하단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부(38)가 휘어지는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는 삽입홀(36)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피봇암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받침판(34)과 상기 하우징(28) 사이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피봇암(20)은,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받침판(34)과 상기 하우징(28) 사이 공간에서 고정 및 회동된다.
상기 피봇암(20)에서 상기 클램프(26)에 삽입되는 부분의 원주면 상에는 부분 절개되어 평판면이 형성되는 요홈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피봇암(20)에서 상기 요홈부(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28)과 상기 상부받침판(34) 사이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요홈부(22)의 중앙에는 상기 삽입홀(36)에 삽입되도록 일정 돌출된 형태의 삽입부(24)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부(24)는 상기 피봇암(20)에서 상기 요홈부(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4)는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게 되며, 상기 삽입부(24)의 일단면은 상기 삽입홀(36)의 형상 및 크기가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상부받침판과 피봇암의 결합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삽입부(24)는 상기 삽입홀(36)에 삽입될 때, 상기 상부받침판(34) 상면으로부터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된 상기 삽입부(24)는 상기 삽입홀(36)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38) 사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홀(36)에 억지끼움 형태로 삽입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선바이저는,
상기 선바이저가 상기 헤드라이너에 맞닿아 있는 초기 고정 단계;
상기 선바이저가 차량의 하측을 향하여 회전하는 펼침 단계;
상기 선바이저가 상기 헤드라이너를 향하여 회전하는 복귀 단계;
를 진행하여 작동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초기 고정 시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초기 단계에서, 상기 요홈부(22)의 평판면은 상기 상부받침판(34)의 상면과 맞닿으며, 상기 삽입부(24)는 상기 삽입홀(36)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0 및 도 11에는 상기 삽입부(24)가 상기 삽입홀(36)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때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삽입부(24)가 상기 삽입홀(36)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삽입부(24)와 상기 가이드부(38)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가장 크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24)에 가해지는 상기 가이드부(38)의 고정력은 상기 초기 단계에서 가장 크게 작용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펼침 시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펼침 단계는,
상기 피봇암 회전 단계;
상기 피봇암의 회전에 의한 상기 상부받침판 하강 단계;
상기 상부받침판의 하강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단계;
를 통해 진행된다.
상기 피봇암 회전 단계는 상기 피봇암(20)을 회전축으로 하는 상기 선바이저의 회전에 의해 진행된다.
상기 피봇암(20)이 회전하면서 상기 피봇암(20)의 둘레부 중 상기 요홈부(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상부받침판(34)을 밀게 되고, 상기 상부받침판(34)이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받침판(34)은 상기 탄성부재(30)를 압축시키게 된다.
상기 초기 고정 단계에서 상기 삽입홀(36)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삽입부(24)는 상기 펼침 단계가 진행되면서 상기 삽입홀(36)부터 서서히 탈거되어지고, 상기 삽입부(24)가 탈거됨에 따라 상기 삽입부(24)의 양측을 잡고 있던 상기 가이드부(38) 사이의 거리는 점차 가까워지게 된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복귀 초기 시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복귀 중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복귀 완료 시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복귀 단계는,
상기 피봇암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선바이저가 헤드라이너를 향하여 회전을 시작하는 복귀 시작 단계;
상기 삽입홀 내측으로 상기 삽입부의 삽입이 진행되는 복귀 진행 단계;
상기 선바이저의 회전이 계속되면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홀에 완전히 삽입되는 복귀 완료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복귀 단계에서의 회전은 상기 펼침 단계에서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상기 복귀 시작 단계에서 상기 피봇암(20)은 상기 펼침 단계에서의 상기 피봇암 회전 단계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피봇암(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요홈부(22)의 평판면이 상기 상부받침판(34)의 상면과 점점 가까워지게 되면서 상기 삽입부(24)가 상기 삽입홀(36)의 내측으로 서서히 삽입된다.
상기 삽입부(24)가 상기 삽입홀(3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38) 사이의 거리도 점차 멀어지게 되고, 상기 가이드부(38)와 상기 삽입부(24)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면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삽입부(24)에 고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피봇암(20)의 회전이 계속되면서 상기 삽입부(24)는 상기 삽입홀(36)에 완전히 삽입되어지고 상기 선바이저는 헤드라이너를 향한 복귀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 복귀 단계는 상기 삽입부(24)가 상기 삽입홀(36)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삽입부(24)에 가해지는 상기 가이드부(38)의 고정력은 상기 초기 고정 단계에서 상기 삽입부(24)에 가해지는 상기 가이드부(38)의 고정력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초기 고정 단계에서 상기 클램프(26)와 상기 피봇암(20) 사이의 고정력은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클램프(26)와 상기 피봇암(20) 사이의 고정력 보다 크게 작용된다.
상기 초기 고정 단계와 상기 복귀 단계에서의 상기 클램프(26)와 상기 피봇암(20) 사이의 고정력 차이로 인해 상기 펼침 단계에서의 상기 피봇암(20)의 회전과 상기 복귀 단계에서의 상기 피봇암(20)의 회전은 서로 다른 속도로 진행되는 것으로 즉, 상기 복귀 단계에서의 상기 피봇암(20)의 회전 속도는 상기 펼침 단계에서의 상기 피봇암(20)의 회전 속도 보다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초기 고정 상태에서 상기 선바이저는 보다 큰 고정력을 갖기 때문에 처짐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복귀 상태에서 상기 선바이저는 보다 작은 고정력을 갖기 때문에 기존에 발생되던 텅 노이즈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상부받침판의 제2실시예 하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본 발명의 상부받침판의 제2실시예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서의 상기 상부받침판(34)은 일정 길이의 플레이트 형상이며, 중앙부에는 원형상의 제2삽입홀(4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홀(40)의 둘레부 중 상기 상부받침판(34)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둘레부 하단에는 상기 상부받침판(34)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42)가 형성된다.
도 19에는 본 발명의 피봇암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피봇암(20)은 도 8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피봇암(20)과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이 아닌 반구형상으로 돌출되는 제2삽입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부(44)의 일단면은 상기 제2삽입홀(40)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받침판과 제2실시예에 따른 피봇암의 결합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클램프(26)와 피봇암(20)의 결합 및 작동은 도 6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한 상기 클램프(26)와 상기 피봇암(20)의 결합 및 작동과 동일하지만, 상기 슬라이딩부(42)는, 상기 제2삽입홀(40)에 대한 상기 제2삽입부(44)의 삽입 및 탈거 시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제2삽입부(44)에 고정력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 피봇암(20)이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42)가 상기 제2삽입부(44)에 고정력을 가하여 상기 피봇암(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상기 삽입부, 상기 삽입홀 및 상기 가이드부는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종래의 선바이저
4 : 종래의 브라켓
6 : 종래의 클램프
8 : 종래의 하우징
10 : 종래의 제1받침판
12 : 종래의 스프링
14 : 종래의 제2받침판
16 : 종래의 피봇암
18 : 종래의 평면부
20 : 피봇암
22 : 요홈부
24 : 삽입부
26 : 클램프
28 : 하우징
30 : 탄성부재
32 : 하부받침판
34 : 상부받침판
36 : 삽입홀
38 : 가이드부
40 : 제2삽입홀
42 : 슬라이딩부
44 : 제2삽입부

Claims (23)

  1. 일단이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길이 연장된 피봇암과, 상기 피봇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어 상기 피봇암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차량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피봇암은 상기 클램프를 구성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고정 및 회동되며,
    상기 선바이저의 초기 고정 시 상기 피봇암에 가해지는 상기 클램프의 고정력과 상기 선바이저의 복귀 시 상기 피봇암에 가해지는 상기 클램프의 고정력의 크기는 서로 다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판형 플레이트가 역 유(U)자형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는 평판형의 하부받침판;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부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판은 일정 길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는 사각형상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둘레부 중 상기 상부받침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삽입홀의 양측 둘레부 하단에는 판스프링 형태의 가이드부가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정 각도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휘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휘어진 방향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암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받침판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암에서 상기 클램프에 삽입되는 부분의 원주면상에는 부분 절개되어 평탄면이 형성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중앙에는 상기 피봇암에서 상기 요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과 상기 클램프의 상부받침판에 형성되는 삽입부의 형상 및 크기는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홀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홀에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선바이저가 헤드라이너에 맞닿아 있는 초기 고정 단계;
    상기 선바이저가 차량의 하측을 향하여 회전하는 펼침 단계;
    상기 선바이저가 상기 헤드라이너를 향하여 회전하는 복귀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고정 단계와 상기 복귀 단계 시 클램프와 피봇암 사이의 고정력은 서로 다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고정 단계에서 상기 피봇암의 삽입부는 상기 클램프를 구성하는 상부받침판의 삽입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단계는,
    상기 피봇암 회전 단계;
    상기 피봇암의 회전에 의한 상부받침판 하강 단계;
    상기 상부받침판의 하강에 의한 상기 클램프의 탄성부재 압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암 회전 단계는, 상기 피봇암을 회전축으로 하는 상기 선바이저의 회전에 의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고정 단계에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있던 상기 삽입부는 상기 펼침 단계가 진행되면서 상기 삽입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단계에서 상기 클램프를 구성하는 상부받침판의 삽입홀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는 점차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단계는,
    상기 피봇암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선바이저가 헤드라이너를 향하여 회전을 시작하는 복귀 시작 단계;
    상기 상부받침판의 삽입홀로 상기 피봇암의 삽입부 삽입이 진행되는 복귀 진행 단계;
    상기 선바이저의 회전이 계속되면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홀에 완전히 삽입되는 복귀 완료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상부받침판의 삽입홀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는 점차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고정 단계에서의 상기 클램프와 상기 피봇암 사이의 고정력은 상기 복귀 단계에서의 상기 클램프와 상기 피봇암 사이의 고정력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고정 단계와 상기 복귀 단계에서의 상기 클램프와 상기 피봇암 사이의 고정력 차이로 인해 상기 펼침 단계에서의 상기 피봇암의 회전 속도와 상기 복귀 단계에서의 상기 피봇암의 회전 속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단계에서의 상기 피봇암의 회전 속도는 상기 펼침 단계에서의 상기 피봇암의 회전 속도 보다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암의 삽입부가 상기 클램프를 구성하는 상부받침판의 삽입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홀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부의 탄성에 의해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작동방법.
KR1020170127749A 2017-09-29 2017-09-29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 KR20190037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49A KR20190037921A (ko) 2017-09-29 2017-09-29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49A KR20190037921A (ko) 2017-09-29 2017-09-29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21A true KR20190037921A (ko) 2019-04-08

Family

ID=6616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49A KR20190037921A (ko) 2017-09-29 2017-09-29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79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6371A (zh) * 2020-02-26 2021-08-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细长结构的滑动遮阳板
KR20240014370A (ko) 2022-07-25 2024-02-01 신인학 자동차 선바이저의 피봇용 클램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700A (en) 1993-04-17 1995-01-24 Gebr. Happich Gmbh Position detent for sun visor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700A (en) 1993-04-17 1995-01-24 Gebr. Happich Gmbh Position detent for sun visor for vehic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6371A (zh) * 2020-02-26 2021-08-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细长结构的滑动遮阳板
CN113306371B (zh) * 2020-02-26 2024-04-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细长结构的滑动遮阳板
KR20240014370A (ko) 2022-07-25 2024-02-01 신인학 자동차 선바이저의 피봇용 클램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733B1 (en) Method for blocking glare from the sun
US10232686B2 (en) Sun visor with slide on rod function
KR20190037921A (ko) 차량용 선바이저 및 작동방법
KR20120089279A (ko) 차양장치
US4821374A (en) Hinge assembly for vehicle visor and other vehicle accessories
KR100676677B1 (ko) 서로 연결된 두 물체 사이의 상호 위치 및 자세 변화메커니즘
US20030024073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nitor
US9669684B2 (en) Clip on car visor extension
KR20090102336A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미러장치
RU2690950C1 (ru) Узел солнцезащитного козырька, имеющий несколько зеркал
JP2005119536A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の軸受構造
JP7098357B2 (ja) 乗物用サンバイザ装置
KR101081164B1 (ko) 선바이저 피봇암 고정용 클램프
JPS6231657B2 (ko)
CN213676334U (zh) 车载遮阳装置
CN219749480U (zh) 一种遮阳板装置及车辆
KR100578473B1 (ko) 차량용 측면 선바이저 조립체
US20130076058A1 (en) Sun visor for shielding sunlight
JPH09224814A (ja) 着脱式ブラインド
KR20220161656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훅 어셈블리
KR20040024183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0207581Y1 (ko) 선바이저용 피봇암 고정용 클램프 (A clam for fixing a pivot arm of a sun-visor)
JP2005335686A (ja) 扇子式遮光方法
KR20240000054A (ko) 자동차용 이중 선바이저
KR200440210Y1 (ko) 차량용 선바이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