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788A -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788A
KR20190037788A KR1020170127478A KR20170127478A KR20190037788A KR 20190037788 A KR20190037788 A KR 20190037788A KR 1020170127478 A KR1020170127478 A KR 1020170127478A KR 20170127478 A KR20170127478 A KR 20170127478A KR 20190037788 A KR20190037788 A KR 20190037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asphalt
emulsified asphalt
hopper
emuls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3041B1 (ko
Inventor
신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현산업
Priority to KR102017012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0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04Reconditioning or reprocessing bituminous mixtures, e.g. salvaged paving, fresh patching mixtures grown unserviceable; Recycling salvaged bituminous mixtures; Apparatus for the in-plant recyc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5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apparatus; Aggregate screening, cleaning, drying or heating apparatus; Dust-collec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65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i.e. hot or cold reprocessing of paving in situ or on the traffic surface, with or without adding virgin material or lifting of salvaged material; Repairs or resurfacing involving at least partial reprocessing of the existing p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계량부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골재이송부재와, 상기 골재이송부재의 타단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이송부재로 이송된 골재가 투입되는 혼합믹서와, 상기 혼합믹서에 투입되는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혼합믹서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와, 상기 혼합믹서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화아스팔트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로 구성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 및,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에 투입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믹서에 결합되는 이송펌프로 구성되되,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성질에 따른 배합비에 맞게 상기 골재가 상기 혼합믹서에 투입되어 상기 버너로 인해 일정온도로 가열된 후 상기 이송펌프로 인해 상기 유화아스팔트가 상기 혼합믹서 내부로 분사되어 혼합되면서 상기 버너로 가열하여 상기 유화아스팔트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수차량에 설치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포장도로가 파손된 부분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가 실린 보수차량이 이동되는 단계와, (b) 상기 보수차량에서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파손된 부분에 채워지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상기 파손된 부분에 포설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후 새롭게 포설된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기존도로 표면을 산업폐기물이 생기지 않도록 레이크를 이용하여 섞어 기존의 도로 표면과 수평이 되도록 다짐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b)단계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b1)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계량부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골재가 골재이송부재에 배출된 후 상기 골재이송부재로 인해 상기 골재가 혼합믹서로 이송되는 단계와, (b2) 상기 골재가 교반되면서 상기 혼합믹서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로 가열되되, 상기 혼합믹서의 일측에 설치된 온도계에 의해서 측정되는 상기 골재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b3) 상기 단계 후 유화아스팔트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로 구성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가 계량되는 단계와, (b4) 상기 (b3)단계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로부터 이송펌프로 전달된 후 상기 이송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화아스팔트가 혼합믹서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 및, (b5) 상기 (b4)단계 후 상기 버너로 상기 유화아스팔트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가열하면서 유화아스팔트와 골재가 혼합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제조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The asphalt concrete manufacture equipment of movable type and the repairing method of damaged paved road using it}
본원발명은 차량의 통행 등에 의해서 포장도로에 발생되는 포트홀, 소성변형 및 크랙 등의 손상을 보수하기 위한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대표적인 포장방법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한 포장방법과 아스팔트를 이용한 포장방법이 있다. 아스팔트를 이용한 포장방법에 의하여 포장된 도로는 여름철의 장기간 고온 현상과 교통량 증가에 따른 포장도로에 포트홀, 소성변형 및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손상은 아스팔트 포장도로 파손의 절대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포장수명이 단축되고 도로의 유지 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내구성이 뛰어난 포장도로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종래의 포장도로 상에 크랙이나 포트홀 등과 같은 도로 파손이 발생한 경우, 파손 부분에 여러 종류의 보수용 혼합물을 충진시키는데 그러기 위해서 공장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보수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오랜 시간 주변 도로를 통제해야 함으로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공사비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현장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현장에서 대충 배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함으로 인해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품질이 좋지 못하여 잦은 파손의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3227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도로에 발생되는 포트홀, 소성변형 및 크랙 등의 손상에 현장에서 바로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손상된 부분을 보수하는 방법으로 포장도로의 손상을 신속하게 보수하여 교통 체증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호퍼와 로드셀을 이용하여 골재와 유화아스팔트의 정확한 배합비를 준수할 수 있어 품질이 우수한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보수할 곳으로 손쉽게 이동하여 보수할 수 있도록 보수차량에 설치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계량부와, 상기 골재계량부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계량부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골재이송부재와, 상기 골재이송부재의 타단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이송부재로 이송된 골재가 투입되는 혼합믹서와, 상기 혼합믹서에 투입되는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혼합믹서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와, 상기 혼합믹서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화아스팔트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로 구성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 및,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에 투입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믹서에 결합되는 이송펌프로 구성되되,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성질에 따른 배합비에 맞게 상기 골재가 상기 혼합믹서에 투입되어 상기 버너로 인해 일정온도로 가열된 후 상기 이송펌프로 인해 상기 유화아스팔트가 상기 혼합믹서 내부로 분사되어 혼합되면서 상기 버너로 가열하여 상기 유화아스팔트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보수차량에 설치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포장도로가 파손된 부분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가 실린 보수차량이 이동되는 단계와, (b) 상기 보수차량에서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파손된 부분에 채워지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상기 파손된 부분에 포설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후 새롭게 포설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도로 표면과 수평이 되도록 다짐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b)단계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b1)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계량부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골재가 골재이송부재에 배출된 후 상기 골재이송부재로 인해 상기 골재가 혼합믹서로 이송되는 단계와, (b2) 상기 골재가 교반되면서 상기 혼합믹서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로 가열되되, 상기 혼합믹서의 일측에 설치된 온도계에 의해서 측정되는 상기 골재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b3) 상기 단계 후 유화아스팔트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로 구성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가 계량되는 단계와, (b4) 상기 (b3)단계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로부터 이송펌프로 전달된 후 상기 이송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화아스팔트가 혼합믹서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 및, (b5) 상기 (b4)단계 후 상기 버너로 상기 유화아스팔트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가열하면서 유화아스팔트와 골재가 혼합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제조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도로 보수시 사용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제조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필요한 량만큼만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가 시스템화되어 있어 작업생산성이 높고, 보수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보수 공사시 교통 체증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유화아스팔트와 골재가 호퍼에 담겨 있어 배출되는 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드셀을 사용하여 정확한 배합비에 맞는 유화아스팔트와 골재를 혼합할 수 있어 현장에서 제조하더라도 품질이 우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혼합믹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가 제조박스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4가 보수차량에 실린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원발명의 제어부가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7은 본원발명의 제어부에 의해서 각 구성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원발명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9는 본원발명의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관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혼합믹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가 제조박스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는 도4가 보수차량에 실린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원발명의 제어부가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7은 본원발명의 제어부에 의해서 각 구성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수할 곳으로 손쉽게 이동하여 보수할 수 있도록 보수차량에 설치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계량부(100)와, 상기 골재계량부(100)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계량부(100)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골재이송부재(200)와, 상기 골재이송부재(200)의 타단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이송부재(200)로 이송된 골재가 투입되는 혼합믹서(300)와, 상기 혼합믹서(300)에 투입되는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혼합믹서(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350)와, 상기 혼합믹서(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화아스팔트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 구성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300)에 투입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믹서(300)에 결합되는 이송펌프(500)로 구성되되,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성질에 따른 배합비에 맞게 상기 골재가 상기 혼합믹서(300)에 투입되어 상기 버너(350)로 인해 일정온도로 가열된 후 상기 이송펌프(500)로 인해 상기 유화아스팔트(20)가 상기 혼합믹서(300) 내부로 분사되어 혼합되면서 상기 버너(350)로 가열하여 상기 유화아스팔트(20)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골재계량부(100), 골재이송부재(200), 혼합믹서(300), 버너(350),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이송펌프(500)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로 보수시 사용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보수 현장에서 제조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필요한 량만큼만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되어 있어 작업생산성이 높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대표적인 포장방법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한 포장방법과 아스팔트를 이용한 포장방법이 있다. 아스팔트를 이용한 포장방법에 의하여 포장된 도로는 여름철의 장기간 고온 현상과 교통량 증가에 따른 포장도로에 포트홀, 소성변형 및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손상은 아스팔트 포장도로 파손의 절대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포장수명이 단축되고 도로의 유지 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내구성이 뛰어난 포장도로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종래의 포장도로 상에 크랙이나 포트홀 등과 같은 도로 파손이 발생한 경우, 파손 부분에 여러 종류의 보수용 혼합물을 충진시키는데 그러기 위해서 공장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보수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오랜 시간 주변 도로를 통제해야 함으로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공사비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현장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현장에서 대충 배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함으로 인해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품질이 좋지 못하여 잦은 파손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도로에 발생되는 포트홀, 소성변형 및 크랙 등의 손상에 현장에서 바로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손상된 부분을 보수하는 방법으로 포장도로의 손상을 신속하게 보수하여 교통 체증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호퍼와 로드셀을 이용하여 골재와 유화아스팔트의 정확한 배합비를 준수할 수 있어 품질이 우수한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도로 보수시 사용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제조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필요한 량만큼만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가 시스템화되어 있어 작업생산성이 높고, 보수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보수 공사시 교통 체증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화아스팔트와 골재가 호퍼에 담겨 있어 배출되는 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드셀을 사용하여 정확한 배합비에 맞는 유화아스팔트와 골재를 혼합할 수 있어 현장에서 제조하더라도 품질이 우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골재계량부(100)는 골재가 보관되는 호퍼 형상의 부재이다. 즉, 골재계량부(100)는 일단의 구멍이 타단의 구멍보다 작은 호퍼 형상으로 타단으로 투입된 골재가 사용자에 의해서 일단으로 배합비에 맞게 배출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골재계량부(100)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골재가 배합비에 맞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일례로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호퍼(110)와, 일단이 상기 골재호퍼(1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호퍼(110)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120)와, 상기 골재호퍼(110)와 상기 제1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호퍼(110)에 담겨진 골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로드셀(130) 및, 상기 골재호퍼(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골재의 량을 제어하는 배출판(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골재호퍼(110)는 일반적인 호퍼 형상의 부재이다. 제1지지대(120)는 골재호퍼(110)가 일정 높이에 있도록 지지하는 막대부재로 골재호퍼(110)의 외면 일측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4개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로드셀(130)은 골재호퍼(110)와 제1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호퍼(110)에 담겨진 골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부재이다. 즉, 제1로드셀(130)에 의해서 골재호퍼(110)에 담겨진 골재의 무게가 측정됨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배출된 골재의 무게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배합비에 맞게 골재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제1로드셀(130)은 골재호퍼(110)에 담겨진 골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일반적인 셀이 가능한데 일례로 3축 로드셀이 사용되어 호퍼의 무게를 마이너스 계량을 통해 골재 양을 설정치에 맞게 측정할 수 있다. 배출판(140)은 골재호퍼(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골재의 량을 제어하는 부재이다. 즉, 배출판(140)은 골재호퍼(110)의 일단을 개폐하는 방법으로 제1로드셀(130)에 의해서 측정되는 골재의 배출량 제어할 수 있다. 배출판(140)은 골재호퍼(110)의 일단을 개폐할 수 있으면 다양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120)에 결합되고 판 형상의 타단이 피스톤 형식으로 움직여 골재호퍼(110)의 일단을 개폐할 수 있다.
골재는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지고 있는 골재가 사용되는데 상세하게 직경 0.3 ~ 1mm가 1 내지 10 중량부, 직경 1.1 ~ 3mm가 20 내지 30 중량부, 직경 4 ~ 6mm가 50 내지 70 중량부로 구성되어 있되 아스팔트가 1 내지 3중량부로 코팅되어 일정규격의 포대에 패키지화하여 적재해서 다니며 언제 어디에서든지 같은 품질의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다. 골재가 아스팔트로 코팅되어 있어 아스콘 제조시 미분말의 재료분리를 막아주고 가열시 채움재의 소실을 막아주는 특징이 있다. 즉, 골재는 프리코팅한 골재를 사용함으로 입도관리가 편리하고 정량 조절이 가능하며 품질의 변화가 없다. 또한, 생석회분말은 1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어 있어 아스팔트와 골재간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습윤면으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기존 도로에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골재계량부(100)는 일측에 제어장치가 있어 사용자가 직접 배합비에 맞게 골재를 배출할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배합비에 맞게 골재를 배출할 수 있다.
골재이송부재(200)는 골재계량부(100)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계량부(100)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부재이다. 골재이송부재(200)는 골재계량부(100)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배출되는 골재를 일단에서 혼합믹서(300)가 있는 타단 방향으로 이송시켜 골재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골재이송부재(200)는 다양한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컨베이어 벨트 또는 이송스크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또는 이송스크류 모두 모터의 힘으로 움직이는 구성으로 모터를 제어하여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골재이송부재(200)가 이송스크류 형태인 경우 관 내부에 스크류 형태의 봉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일단으로 골재가 투입된 경우 스크류의 날개 방향을 따라 골재가 움직여 타단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혼합믹서 내부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골재이송부재(200)는 일측에 제어장치가 있어 사용자가 직접 골재를 이송할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골재가 이송될 수 있다.
혼합믹서(300)는 골재이송부재(200)의 타단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이송부재(200)로 이송된 골재가 투입되는 구성이다. 혼합믹서(300)는 골재 뿐만 아니라 뒤에서 설명하는 유화아스팔트가 투입되어 혼합시킴으로써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곳이다. 혼합믹서(300)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곳으로 재료를 가열하는 버너(350)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혼합믹서(300) 내부 일측에는 유화아스팔트가 분사될 수 있는 노즐이 형성되어 있어 이송펌프(500)에 의해서 전달되는 유화아스팔트가 이송되는 압에 의해서 손쉽게 분사될 수 있다.
혼합믹서(300)는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혼합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혼합믹서(300)는 내부가 빈 통 모양으로 하면에 구멍이 형성된 혼합탱크(301)와, 일단이 상기 혼합탱크(30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302)과, 판이 타단에 형성된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회전축(302)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교반부재(303)와, 상기 회전축(302)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0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04) 및, 상기 혼합탱크(301)의 구멍에 설치되어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출판(305)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혼합탱크(301)는 내부가 빈 통 모양으로 하면에 구멍이 형성된 부재이다. 즉, 혼합탱크(301)는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혼합되기 편리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통으로 하면에 배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혼합탱크(301)는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혼합되어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형태면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회전축(302)은 일단이 상기 혼합탱크(30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뒤에서 설명하는 회전모터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부재이다. 교반부재(303)는 판이 타단에 형성된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회전축(302)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구성이다. 교반부재(303)는 회전축(302)이 회전됨에 따라 움직여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교반시켜 혼합시키는 부재이다. 다수개가 설치된 교반부재(303)의 타단은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용이하게 교반시키기 위하여 각각 다른 각도로 판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모터(304)는 회전축(302)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02)을 회전시키는 부재이다. 배출판(305)은 혼합탱크(301)의 구멍에 설치되어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배출판(305)은 혼합탱크(301)의 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배출판(305)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단이 혼합탱크(301)의 외면에 결합되고 타단의 판이 실린더의 왕복운동 방식으로 움직여 혼합탱크(301)의 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혼합믹서(300)는 일측에 제어장치가 있어 사용자가 직접 골재와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보수에 필요한 량만큼 배출할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골재와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보수에 필요한 량만큼 배출할 수 있다. 즉, 혼합믹서(300)에 혼합과 동시 온도유지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 배출 버튼을 눌러 필요한 량만큼 배출할 수 있다.
버너(350)는 혼합믹서(300)에 투입되는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혼합믹서(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버너(350)는 설치된 온도계와 연동되어 혼합믹서(300)에 투입되는 재료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구성이다. 버너(350)는 재료를 직접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가열(불꽃이 직접적으로 골재에 닿지 않고 고온의 열기와 원적외선을 방출시켜 가열)하여 혼합믹서(300)에 투입되는 재료가 일정온도로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면 다양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버너(350)는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분사되면 다시 2차 가열하여 상기 유화아스팔트(20)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버너(350)는 혼합믹서(300)에 설치되어 혼합믹서(300)에 투입되는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 온도는 140도 내지 170도로 조절할 수 있는 통상적인 공기강제혼합식 가스버너이다. 버너(350)는 혼합믹서(300)에 설치된 제어장치 또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구성이다. 버너(350)는 골재의 양에 따라 가열시간이 설정이 되며 150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량조절이 2단계로 나누어져 가열시 2단계, 온도 유지시 1단계 버너열량을 사용할 수 있다.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는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를 계량하는 구성으로 혼합믹서(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화아스팔트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유화아스팔트호퍼(410)는 일단의 구멍이 타단의 구멍보다 작은 호퍼 형상으로 타단으로 투입된 유화아스팔트가 사용자에 의해서 일단으로 배합비에 맞게 배출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구성이다.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는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무게측정장치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는 유화아스팔트를 배합비에 맞게 계량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43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44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담겨지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면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지지대(4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로드셀(450)과,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와 상기 이송펌프(500)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량을 조절하는 제3밸브(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430)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가 일정 높이에 있도록 지지하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의 외면 일측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4개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밸브(440)는 제2로드셀(450)에서 측정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가 배합비에 맞도록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제2로드셀(450)은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담겨지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부재이다. 즉, 제2로드셀(450)에 의해서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담겨진 유화아스팔트의 무게가 측정됨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사용자가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제2로드셀(450)은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담겨진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일반적인 셀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2축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다. 제3밸브(460)는 계량된 유화아스팔트가 이송펌프(5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밸브이다. 즉, 제3밸브(460)는 유화아스팔트가 배합비에 맞게 계량될 동안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와 이송펌프(500) 간의 이동통로를 차단하고, 계량이 끝나면 이동통로를 열어 유화아스팔트가 이송펌프(500)로 이동되도록 하는 밸브이다. 유화아스팔트(20)는 물과 고분자 형태로 혼합되어 있어 가열을 하지 않아도 연화되어 계량 및 사용이 편리하고 물과 섞여 있어 버너(350)로 가열시 화재의 위험이 없다. 유화아스팔트는 18L 사각 캔에 규격화하여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취급성, 안정성,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는 일측에 제어장치가 있어 사용자가 직접 배합비에 맞는 유화아스팔트를 계량하여 이송펌프(500)로 보낼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배합비에 맞는 유화아스팔트를 계량하여 이송펌프(500)로 보낼 수 있다.
이송펌프(500)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300)에 투입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믹서(30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송펌프(500)는 일단에서 들어온 유화아스팔트를 타단인 혼합믹서(300)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통상의 펌프로 유화아스팔트의 분사가 용이하도록 타단 끝에 노즐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혼합믹서(300)로 투입되는 유화아스팔트는 이송펌프(500)의 이송 압력에 의해서 손쉽게 혼합믹서(30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송펌프(500)는 일측에 제어장치가 있어 사용자가 직접 유화아스팔트를 혼합믹서(300)로 보낼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유화아스팔트를 혼합믹서(300)로 보낼 수 있다.
본원발명은 이송펌프(500)의 내부 잔류 유화아스팔트의 굳어지는 현상으로 펌프에 과부하를 막고 세척하기 위하여 이송펌프(500)와 연결되는 세척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본원발명은 내부에 세척제가 담긴 통으로 일단이 상기 이송펌프(500)의 일단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펌프(500) 타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세척부재(600)와, 상기 이송펌프(500)와 상기 세척부재(6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제1밸브(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척부재(600)는 계량된 유화아스팔트를 혼합믹서(300)에 이송 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시 잔류 유화아스팔트가 굳어져 펌프에 과부하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경유나 등유와 같은 아스팔트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제를 이용하여 펌프내 잔류 유화아스팔트를 제거하고 잔류 유화아스팔트를 연화시켜 굳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세척부재(600)는 이송펌프(500)보다 위에 위치하여 제1밸브(700)로 이동통로를 막지 않는 한 중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흘러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밸브(700)로 상기 세척부재(600)와 상기 이송펌프간(500)의 연결통로를 막고 상기 이송펌프(500)를 작동시켜 상기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300)로 이송시키고, 상기 유화아스팔트가 혼합믹서(300)로 이송된 후 상기 제1밸브(700)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펌프(50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 및 상기 혼합믹서(300) 간의 연결통로 막고 상기 이송펌프(500)를 작동시켜 상기 세척부재(600)의 세척제가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펌프(500)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재(600)는 이송펌프를 세척하고 돌아오는 세척제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610)를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610)에 의해서 세척제에 함유된 유화아스팔트 또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어 세척제를 재활용 할 수 있다. 세척제로는 이송펌프(500)를 청소할 수 있으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등유, 휘발유, 경유 등의 기름이 사용될 수 있다. 세척제의 순한이 끝나면 이송펌프(500)의 일측에 있는 공기 밸브를 열고 공기를 최대한 순환시켜 펌프내에 남은 세척제를 세척부재(600)로 이송시켜 잔류량을 최대한 적게할 수 있다.
제1밸브(700)는 이송펌프(500)의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이송펌프(500)를 세척할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이송펌프(500)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유화아스팔트를 보낸 후 이송펌프(500)를 세척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골재계량부(100), 상기 골재이송부재(200), 상기 혼합믹서(300), 상기 버너(35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상기 이송펌프(500)에 각각 연결되어 각 구성들을 제어하여 배합비에 맞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연결된 각 구성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각 구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각 구성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각 구성을 제어하여 배합비에 맞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각 구성을 다음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골재계량부(100)를 제어하여 배합비에 맞는 골재를 혼합믹서로 보낼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제1로드셀(130)에서 측정되는 골재 무게에 따라 배출판(140)을 움직여 배합비에 맞는 골재의 배출량 제어하고, 골재가 골재이송부재(200)로 전달되면 골재이송부재(200)의 모터를 제어하여 골재를 혼합믹서(300)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버너(350)에 부착된 온도계의 신호에 따라 투입되는 골재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도록 버너(350)를 제어할 수 있고,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분사되면 다시 버너(350)가 가열되도록 하여 상기 유화아스팔트(20)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를 제어하여 배합비에 맞는 유화아스팔트를 계량할 수 있는데 상세하게 제3밸브(460)로 유화아스팔트 이동통로를 막은 후 제2로드셀(450)에서 측정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가 배합비에 맞도록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량을 제2밸브(440)로 제어하고, 배합비에 맞게 계량된 유화아스팔트를 제3밸브(460)를 조정하여 이송펌프(500)로 전달되도록 하고, 이송펌프(500)를 제어하여 전달된 유화아스팔트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혼합믹서(300)를 제어하여 투입된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교반하여 혼합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회전모터(304)를 작동시켜 회전축(302)이 회전되도록 하여 교반부재(303)가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교반하는 방법으로 혼합시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보수시 필요한 량 만큼 배출하도록 배출판(305)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세척부재(600)가 설치된 경우 제1밸브(700)를 제어하여 세척부재(600)의 세척제로 이송펌프(5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골재계량부(100), 상기 골재이송부재(200), 상기 혼합믹서(300), 상기 버너(35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상기 이송펌프(5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외면에 상기 제어부(800)가 설치되는 박스형태의 부재로 상면에 골재가 상기 골재계량부(100)로 투입되도록 뚫려 있는 골재투입구(910)와 측면에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가 형성된 박스형태의 제조박스(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조박스(900)는 박스 형태의 부재로 내부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가 설치되고 외면에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800)가 설치되어 현장에서 손쉽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이 보이지 않아 미관에 좋고, 제조시 생길 수 있는 분진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어부(800)에는 각 구성의 조작버튼 및 작동여부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고, 조작패널 및 작업상태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패널은 터치화면으로 각 구성을 조작할 수 있고, 작업상태 모니터는 터치화면 위쪽으로 조각패널을 사용하여 작동상태를 멀리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안성이 뛰어난 고휘도 LED가 사용될 수 있다. 제조박스(900)는 상면에 골재가 상기 골재계량부(100)로 투입되도록 뚫려 있는 골재투입구(910)와 측면에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골재투입구(910)는 골재가 투입될 때 골재가 골재계량부(100)의 골재호퍼(110)로 들어가도록 하는 구멍이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는 현장에 맞게 배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현장에 타설되는 량만큼 배출되는 구멍이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가지고 나올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어 자동으로 제조박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8은 본원발명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9는 본원발명의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순서도이다.
본원발명은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수차량에 설치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포장도로가 파손된 부분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가 실린 보수차량(1)이 이동되는 단계와, (b) 상기 보수차량(1)에서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를 이용하여 파손된 부분에 채워지는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상기 파손된 부분에 포설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후 새롭게 포설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도로 표면과 수평이 되도록 다짐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b)단계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제조하는 단계는, (b1)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계량부(100)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골재(30)가 골재이송부재(200)에 배출된 후 상기 골재이송부재(200)로 인해 상기 골재(30)가 혼합믹서(300)로 이송되는 단계와, (b2) 상기 골재(30)가 교반되면서 상기 혼합믹서(300)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350)로 가열되되, 상기 혼합믹서(300)의 일측에 설치된 온도계에 의해서 측정되는 상기 골재(30)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b3) 상기 (b2)단계 후 유화아스팔트(20)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20)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 구성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20)가 계량되는 단계와, (b4) 상기 (b3)단계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20)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부터 이송펌프(500)로 전달된 후 상기 이송펌프(50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 및, (b5) 상기 (b4)단계 후 상기 버너(350)로 상기 유화아스팔트(20)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가열하면서 유화아스팔트(20)와 골재(30)가 혼합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제조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a)단계 내지 (d)단계로 구성되는 것으로 포장도로에 발생되는 포트홀, 소성변형 및 크랙 등의 손상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보수 현장에서 제조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필요한 량만큼만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되어 있어 작업생산성이 높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를 이용한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a)단계는 포장도로가 파손된 부분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가 실린 보수차량(1)이 이동되는 단계이다. (a)단계는 포장도로의 손상된 부위를 빨리 보수하기 위하여 보수차량이 이동되는 단계이다.
(b)단계는 상기 보수차량(1)에서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를 이용하여 파손된 부분에 채워지는 것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b)단계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b1)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계량부(100)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골재(30)가 골재이송부재(200)에 배출된 후 상기 골재이송부재(200)로 인해 상기 골재(30)가 혼합믹서(300)로 이송되는 단계와, (b2) 상기 골재(30)가 교반되면서 상기 혼합믹서(300)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350)로 가열되되, 상기 버너(350)에 설치된 온도계에 의해서 측정되는 상기 골재(30)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b3) 상기 (b2)단계 후 유화아스팔트(20)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20)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 구성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20)가 계량되는 단계와, (b4) 상기 (b3)단계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20)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부터 이송펌프(500)로 전달된 후 상기 이송펌프(50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 및, (b5) 상기 (b4)단계 후 상기 버너(350)로 상기 유화아스팔트(20)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가열하면서 유화아스팔트(20)와 골재(30)가 혼합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제조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b1)단계는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계량부(100)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골재(30)가 골재이송부재(200)에 배출된 후 상기 골재이송부재(200)로 인해 상기 골재(30)가 혼합믹서(300)로 이송되는 단계이다.
골재계량부(100)는 골재가 보관되는 호퍼 형상의 부재이다. 즉, 골재계량부(100)는 일단의 구멍이 타단의 구멍보다 작은 호퍼 형상으로 타단으로 투입된 골재가 사용자에 의해서 일단으로 배합비에 맞게 배출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골재계량부(100)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골재가 배합비에 맞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일례로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호퍼(110)와, 일단이 상기 골재호퍼(1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호퍼(110)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120)와, 상기 골재호퍼(110)와 상기 제1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호퍼(110)에 담겨진 골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로드셀(130) 및, 상기 골재호퍼(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골재의 량을 제어하는 배출판(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골재호퍼(110)는 일반적인 호퍼 형상의 부재이다. 제1지지대(120)는 골재호퍼(110)가 일정 높이에 있도록 지지하는 막대부재로 골재호퍼(110)의 외면 일측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4개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로드셀(130)은 골재호퍼(110)와 제1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호퍼(110)에 담겨진 골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부재이다. 즉, 제1로드셀(130)에 의해서 골재호퍼(110)에 담겨진 골재의 무게가 측정됨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배출된 골재의 무게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배합비에 맞게 골재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제1로드셀(130)은 골재호퍼(110)에 담겨진 골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일반적인 셀이 가능한데 일례로 3축 로드셀이 사용되어 호퍼의 무게를 마이너스 계량을 통해 골재 양을 설정치에 맞게 측정할 수 있다. 배출판(140)은 골재호퍼(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골재의 량을 제어하는 부재이다. 즉, 배출판(140)은 골재호퍼(110)의 일단을 개폐하는 방법으로 제1로드셀(130)에 의해서 측정되는 골재의 배출량 제어할 수 있다. 배출판(140)은 골재호퍼(110)의 일단을 개폐할 수 있으면 다양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120)에 결합되고 판 형상의 타단이 실린더의 왕복운동 방식으로 움직여 골재호퍼(110)의 일단을 개폐할 수 있다.
골재는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지고 있는 골재가 사용되는데 상세하게 직경 0.3 ~ 1mm가 1 내지 10 중량부, 직경 1.1 ~ 3mm가 20 내지 30 중량부, 직경 4 ~ 6mm가 50 내지 70 중량부로 구성되어 있되 아스팔트가 1 내지 3중량부로 코팅되어 일정규격의 포대에 패키지화하여 적재해서 다니며 언제 어디에서든지 같은 품질의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다. 골재가 아스팔트로 코팅되어 있어 아스콘 제조시 미분말의 재료분리를 막아주고 가열시 채움재의 소실을 막아주는 특징이 있다. 즉, 골재는 프리코팅한 골재를 사용함으로 입도관리가 편리하고 정량 조절이 가능하며 품질의 변화가 없다. 또한, 생석회분말은 1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어 있어 아스팔트와 골재간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습윤면으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기존 도로에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골재계량부(100)는 일측에 제어장치가 있어 사용자가 직접 배합비에 맞게 골재를 배출할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배합비에 맞게 골재를 배출할 수 있다.
골재이송부재(200)는 골재계량부(100)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계량부(100)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부재이다. 골재이송부재(200)는 골재계량부(100)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배출되는 골재를 일단에서 혼합믹서(300)가 있는 타단 방향으로 이송시켜 골재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골재이송부재(200)는 다양한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컨베이어 벨트 또는 이송스크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또는 이송스크류 모두 모터의 힘으로 움직이는 구성으로 모터를 제어하여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골재이송부재(200)가 이송스크류 형태인 경우 관 내부에 스크류 형태의 봉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일단으로 골재가 투입된 경우 스크류의 날개 방향을 따라 골재가 움직여 타단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혼합믹서 내부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골재이송부재(200)는 일측에 제어장치가 있어 사용자가 직접 골재를 이송할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골재가 이송될 수 있다.
(b2)단계는 상기 골재(30)가 교반되면서 상기 혼합믹서(300)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350)로 가열되되, 상기 버너(350)에 설치된 온도계에 의해서 측정되는 상기 골재(30)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혼합믹서(300)는 골재이송부재(200)의 타단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이송부재(200)로 이송된 골재가 투입되는 구성이다. 혼합믹서(300)는 골재 뿐만 아니라 뒤에서 설명하는 유화아스팔트가 투입되어 혼합시킴으로써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곳이다. 혼합믹서(300)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곳으로 재료를 가열하는 버너(350)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혼합믹서(300) 내부 일측에는 유화아스팔트가 분사될 수 있는 노즐이 형성되어 있어 이송펌프(500)에 의해서 전달되는 유화아스팔트가 이송되는 압에 의해서 손쉽게 분사될 수 있다.
혼합믹서(300)는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혼합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혼합믹서(300)는 내부가 빈 통 모양으로 하면에 구멍이 형성된 혼합탱크(301)와, 일단이 상기 혼합탱크(30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302)과, 판이 타단에 형성된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회전축(302)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교반부재(303)와, 상기 회전축(302)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0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04) 및, 상기 혼합탱크(301)의 구멍에 설치되어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출판(305)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혼합탱크(301)는 내부가 빈 통 모양으로 하면에 구멍이 형성된 부재이다. 즉, 혼합탱크(301)는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혼합되기 편리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통으로 하면에 배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혼합탱크(301)는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혼합되어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형태면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회전축(302)은 일단이 상기 혼합탱크(30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뒤에서 설명하는 회전모터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부재이다. 교반부재(303)는 판이 타단에 형성된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회전축(302)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구성이다. 교반부재(303)는 회전축(302)이 회전됨에 따라 움직여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교반시켜 혼합시키는 부재이다. 다수개가 설치된 교반부재(303)의 타단은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용이하게 교반시키기 위하여 각각 다른 각도로 판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모터(304)는 회전축(302)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02)을 회전시키는 부재이다. 배출판(305)은 혼합탱크(301)의 구멍에 설치되어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배출판(305)은 혼합탱크(301)의 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배출판(305)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단이 혼합탱크(301)의 외면에 결합되고 타단의 판이 실린더의 왕복운동 방식으로 움직여 혼합탱크(301)의 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혼합믹서(300)는 일측에 제어장치가 있어 사용자가 직접 골재와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보수에 필요한 량만큼 배출할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골재와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보수에 필요한 량만큼 배출할 수 있다. 즉, 혼합믹서(300)에 혼합과 동시 온도유지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 배출 버튼을 눌러 필요한 량만큼 배출할 수 있다.
버너(350)는 혼합믹서(300)에 투입되는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혼합믹서(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버너(350)는 설치된 온도계와 연동되어 혼합믹서(300)에 투입되는 재료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구성이다. 버너(350)는 재료를 직접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가열(불꽃이 직접적으로 골재에 닿지 않고 고온의 열기와 원적외선을 방출시켜 가열)하여 혼합믹서(300)에 투입되는 재료가 일정온도로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면 다양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버너(350)는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분사되면 다시 2차 가열하여 상기 유화아스팔트(20)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버너(350)는 혼합믹서(300)에 설치되어 혼합믹서(300)에 투입되는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 온도는 140도 내지 170도로 조절할 수 있는 통상적인 공기강제혼합식 가스버너이다. 버너(350)는 혼합믹서(300)에 설치된 제어장치 또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구성이다. 버너(350)는 골재의 양에 따라 가열시간이 설정이 되며 150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량조절이 2단계로 나누어져 가열시 2단계, 온도 유지시 1단계 버너열량을 사용할 수 있다.
(b3)단계는 상기 (b2)단계 후 유화아스팔트(20)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20)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 구성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20)가 계량되는 단계이다.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는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를 계량하는 구성으로 혼합믹서(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화아스팔트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유화아스팔트호퍼(410)는 일단의 구멍이 타단의 구멍보다 작은 호퍼 형상으로 타단으로 투입된 유화아스팔트가 사용자에 의해서 일단으로 배합비에 맞게 배출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구성이다.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는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무게측정장치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는 유화아스팔트를 배합비에 맞게 계량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43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조절하는 제2밸브(44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담겨지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면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지지대(4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로드셀(450)과,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와 상기 이송펌프(500)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량을 조절하는 제3밸브(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430)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가 일정 높이에 있도록 지지하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의 외면 일측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4개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밸브(440)는 제2로드셀(450)에서 측정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가 배합비에 맞도록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제2로드셀(450)은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담겨지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부재이다. 즉, 제2로드셀(450)에 의해서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담겨진 유화아스팔트의 무게가 측정됨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사용자가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제2로드셀(450)은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담겨진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일반적인 셀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2축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다. 제3밸브(460)는 계량된 유화아스팔트가 이송펌프(5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밸브이다. 즉, 제3밸브(460)는 유화아스팔트가 배합비에 맞게 계량될 동안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와 이송펌프(500) 간의 이동통로를 차단하고, 계량이 끝나면 이동통로를 열어 유화아스팔트가 이송펌프(500)로 이동되도록 하는 밸브이다. 유화아스팔트(20)는 물과 고분자 형태로 혼합되어 있어 가열을 하지 않아도 연화되어 계량 및 사용이 편리하고 물과 섞여 있어 버너(350)로 가열시 화재의 위험이 없다. 유화아스팔트는 18L 사각 캔에 규격화하여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취급성, 안정성,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는 일측에 제어장치가 있어 사용자가 직접 배합비에 맞는 유화아스팔트를 계량하여 이송펌프(500)로 보낼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배합비에 맞는 유화아스팔트를 계량하여 이송펌프(500)로 보낼 수 있다.
(b4)단계는 상기 (b3)단계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20)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부터 이송펌프(500)로 전달된 후 상기 이송펌프(50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이다.
이송펌프(500)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300)에 투입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믹서(30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송펌프(500)는 일단에서 들어온 유화아스팔트를 타단인 혼합믹서(300)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통상의 펌프로 유화아스팔트의 분사가 용이하도록 타단 끝에 노즐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혼합믹서(300)로 투입되는 유화아스팔트는 이송펌프(500)의 이송 압력에 의해서 손쉽게 혼합믹서(30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송펌프(500)는 일측에 제어장치가 있어 사용자가 직접 유화아스팔트를 혼합믹서(300)로 보낼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유화아스팔트를 혼합믹서(300)로 보낼 수 있다.
본원발명은 이송펌프(500)의 내부 잔류 유화아스팔트의 굳어지는 현상으로 펌프에 과부하를 막고 세척하기 위하여 이송펌프(500)와 연결되는 세척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본원발명은 내부에 세척제가 담긴 통으로 일단이 상기 이송펌프(500)의 일단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펌프(500) 타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세척부재(600)와, 상기 세척부재(6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상기 이송펌프를 세척하고 순환되는 세척제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610) 및, 상기 이송펌프(500)와 상기 세척부재(6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제1밸브(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b4)단계에서 상기 제1밸브(700)로 상기 세척부재(600)와 상기 이송펌프간(500)의 연결통로를 막고 상기 이송펌프(500)를 작동시켜 상기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300)로 이송시키고, 상기 유화아스팔트가 혼합믹서(300)로 이송된 후 상기 제1밸브(700)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펌프(50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 및 상기 혼합믹서(300) 간의 연결통로 막고 상기 이송펌프(500)를 작동시켜 상기 세척부재(600)의 세척제가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펌프(500)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재(600)는 계량된 유화아스팔트를 혼합믹서(300)에 이송 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시 잔류 유화아스팔트가 굳어져 펌프에 과부하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경유나 등유와 같은 아스팔트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제를 이용하여 펌프내 잔류 유화아스팔트를 제거하고 잔류 유화아스팔트를 연화시켜 굳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세척부재(600)는 이송펌프(500)보다 위에 위치하여 제1밸브(700)로 이동통로를 막지 않는 한 중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흘러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밸브(700)로 상기 세척부재(600)와 상기 이송펌프간(500)의 연결통로를 막고 상기 이송펌프(500)를 작동시켜 상기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300)로 이송시키고, 상기 유화아스팔트가 혼합믹서(300)로 이송된 후 상기 제1밸브(700)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펌프(50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 및 상기 혼합믹서(300) 간의 연결통로 막고 상기 이송펌프(500)를 작동시켜 상기 세척부재(600)의 세척제가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펌프(500)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재(600)는 이송펌프를 세척하고 돌아오는 세척제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610)를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610)에 의해서 세척제에 함유된 유화아스팔트 또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어 세척제를 재활용 할 수 있다. 세척제로는 이송펌프(500)를 청소할 수 있으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등유, 휘발유, 경유 등의 기름이 사용될 수 있다. 세척제의 순한이 끝나면 이송펌프(500)의 일측에 있는 공기 밸브를 열고 공기를 최대한 순환시켜 펌프내에 남은 세척제를 세척부재(600)로 이송시켜 잔류량을 최대한 적게할 수 있다.
제1밸브(700)는 이송펌프(500)의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이송펌프(500)를 세척할 수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800)에 이송펌프(500)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유화아스팔트를 보낸 후 이송펌프(500)를 세척할 수 있다.
(b5)단계는 상기 (b4)단계 후 상기 버너(350)로 상기 유화아스팔트(20)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가열하면서 유화아스팔트(20)와 골재(30)가 혼합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제조되는 단계이다. 혼합믹스(3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b2)단계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다. 상기 (b5)단계에서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교반부재(303)에 의해서 상기 혼합탱크(301)에 투입되는 골재(30)와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되면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제조된 후 상기 배출판(305)의 움직임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b5)단계는 보수에 필요한 량만큼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골재계량부(100), 상기 골재이송부재(200), 상기 혼합믹서(300), 상기 버너(35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상기 이송펌프(500)에 각각 연결되어 각 구성들을 제어하여 배합비에 맞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800)의 작동으로 배합비에 맞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자동으로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제어부(800)는 골재계량부(100)를 제어하여 배합비에 맞는 골재를 혼합믹서로 보낼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제1로드셀(130)에서 측정되는 골재 무게에 따라 배출판(140)을 움직여 배합비에 맞는 골재의 배출량 제어하고, 골재가 골재이송부재(200)로 전달되면 골재이송부재(200)의 모터를 제어하여 골재를 혼합믹서(300)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버너(350)에 부착된 온도계의 신호에 따라 투입되는 골재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도록 버너(3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분사되면 다시 버너(350)가 가열되도록 하여 상기 유화아스팔트(20)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를 제어하여 배합비에 맞는 유화아스팔트를 계량할 수 있는데 상세하게 제3밸브(460)로 유화아스팔트 이동통로를 막은 후 제2로드셀(450)에서 측정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가 배합비에 맞도록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량을 제2밸브(440)로 제어하고, 배합비에 맞게 계량된 유화아스팔트를 제3밸브(460)를 조정하여 이송펌프(500)로 전달되도록 하고, 이송펌프(500)를 제어하여 전달된 유화아스팔트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혼합믹서(300)를 제어하여 투입된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교반하여 혼합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회전모터(304)를 작동시켜 회전축(302)이 회전되도록 하여 교반부재(303)가 골재와 유화아스팔트를 교반하는 방법으로 혼합시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보수시 필요한 량 만큼 배출하도록 배출판(305)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세척부재(600)가 설치된 경우 제1밸브(700)를 제어하여 세척부재(600)의 세척제로 이송펌프(5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골재계량부(100), 상기 골재이송부재(200), 상기 혼합믹서(300), 상기 버너(35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상기 이송펌프(5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외면에 상기 제어부(800)가 설치되는 박스형태의 부재로 상면에 골재가 상기 골재계량부(100)로 투입되도록 뚫려 있는 골재투입구(910)와 측면에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가 형성된 박스형태의 제조박스(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800)에 표시된 각 구성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배합비에 맞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자동으로 제조하되 각 구성의 작동여부가 상기 제어부(800)에 표시되고, 현장에 맞게 배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를 통해서 현장에 타설되는 량만큼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조박스(900)는 박스 형태의 부재로 내부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가 설치되고 외면에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800)가 설치되어 현장에서 손쉽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이 보이지 않아 미관에 좋고, 제조시 생길 수 있는 분진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어부(800)에는 각 구성의 조작버튼 및 작동여부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고, 조작패널 및 작업상태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패널은 터치화면으로 각 구성을 조작할 수 있고, 작업상태 모니터는 터치화면 위쪽으로 조각패널을 사용하여 작동상태를 멀리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안성이 뛰어난 고휘도 LED가 사용될 수 있다. 제조박스(900)는 상면에 골재가 상기 골재계량부(100)로 투입되도록 뚫려 있는 골재투입구(910)와 측면에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골재투입구(910)는 골재가 투입될 때 골재가 골재계량부(100)의 골재호퍼(110)로 들어가도록 하는 구멍이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는 현장에 맞게 배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현장에 타설되는 량만큼 배출되는 구멍이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가지고 나올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어 자동으로 제조박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상기 파손된 부분에 포설하는 단계이다.
(d)단계는 상기 (c)단계 후 새롭게 포설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도로 표면과 수평이 되도록 다짐하는 단계이다. (d)단계는 새롭게 포설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표면을 도로 표면과 일치되도록 다짐하여 도로의 사용성을 높이는 단계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 : 보수차량
10 :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20 : 유화아스팔트
30 : 골재 40 : 아스팔트 콘크리트
100 : 골재계량부
200 : 골재이송부재
300 : 혼합믹서
350 : 버너
400 : 유화아스팔트계량부
500 : 이송펌프
600 : 세척부재
700 : 제1밸브
800 : 제어부
900 : 제조박스

Claims (15)

  1. 보수할 곳으로 손쉽게 이동하여 보수할 수 있도록 보수차량에 설치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계량부(100);
    상기 골재계량부(100)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계량부(100)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골재이송부재(200);
    상기 골재이송부재(200)의 타단 밑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이송부재(200)로 이송된 골재가 투입되는 혼합믹서(300);
    상기 혼합믹서(300)에 투입되는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혼합믹서(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350);
    상기 혼합믹서(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화아스팔트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 구성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300)에 투입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믹서(300)에 결합되는 이송펌프(500)로 구성되되,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성질에 따른 배합비에 맞게 상기 골재가 상기 혼합믹서(300)에 투입되어 상기 버너(350)로 인해 일정온도로 가열된 후 상기 이송펌프(500)로 인해 상기 유화아스팔트(20)가 상기 혼합믹서(300) 내부로 분사되어 혼합되면서 상기 버너(350)로 가열하여 상기 유화아스팔트(20)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세척제가 담긴 통으로 일단이 상기 이송펌프(500)의 일단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펌프(500) 타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세척부재(600); 및,
    상기 이송펌프(500)와 상기 세척부재(6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제1밸브(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밸브(700)로 상기 세척부재(600)와 상기 이송펌프간(500)의 연결통로를 막고 상기 이송펌프(500)를 작동시켜 상기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300)로 이송시키고, 상기 유화아스팔트가 혼합믹서(300)로 이송된 후 상기 제1밸브(700)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펌프(50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 및 상기 혼합믹서(300) 간의 연결통로 막고 상기 이송펌프(500)를 작동시켜 상기 세척부재(600)의 세척제가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펌프(500)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6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펌프(500)를 세척하고 돌아오는 세척제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6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계량부(100)는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호퍼(110);
    일단이 상기 골재호퍼(1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호퍼(110)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120);
    상기 골재호퍼(110)와 상기 제1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호퍼(110)에 담겨진 골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로드셀(130); 및,
    상기 골재호퍼(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골재의 량을 제어하는 배출판(140)으로 구성되되,
    상기 배합비에 맞게 상기 제1로드셀(130)에서 측정되는 상기 골재의 무게로 상기 골재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는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430);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44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담겨지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면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지지대(4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로드셀(45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와 상기 이송펌프(500)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량을 조절하는 제3밸브(4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로드셀(450)에서 측정되는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의 유화아스팔트 무게가 상기 배합비에 맞도록 상기 제2밸브(440)로 상기 유화아스팔트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믹서(300)는
    내부가 빈 통 모양으로 하면에 구멍이 형성된 혼합탱크(301);
    일단이 상기 혼합탱크(30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302);
    판이 타단에 형성된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회전축(302)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교반부재(303);
    상기 회전축(302)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0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04); 및,
    상기 혼합탱크(301)의 구멍에 설치되어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출판(305)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교반부재(303)에 의해서 상기 혼합탱크(301)에 투입되는 골재(30)와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되는 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제조된 후 상기 배출판(305)의 움직임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계량부(100), 상기 골재이송부재(200), 상기 혼합믹서(300), 상기 버너(35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상기 이송펌프(500)에 각각 연결되어 각 구성들을 제어하여 배합비에 맞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계량부(100), 상기 골재이송부재(200), 상기 혼합믹서(300), 상기 버너(35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상기 이송펌프(5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외면에 상기 제어부(800)가 설치되는 박스형태의 부재로 상면에 골재가 상기 골재계량부(100)로 투입되도록 뚫려 있는 골재투입구(910)와 측면에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가 형성된 박스형태의 제조박스(9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800)에는 각 구성의 조작버튼 및 작동여부가 표시되고, 현장에 맞게 배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를 통해서 현장에 타설되는 량만큼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9. 보수차량에 설치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포장도로가 파손된 부분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가 실린 보수차량(1)이 이동되는 단계;
    (b) 상기 보수차량(1)에서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를 이용하여 파손된 부분에 채워지는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상기 파손된 부분에 포설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후 새롭게 포설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도로 표면과 수평이 되도록 다짐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b)단계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40)를 제조하는 단계는,
    (b1)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계량부(100)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골재(30)가 골재이송부재(200)에 배출된 후 상기 골재이송부재(200)로 인해 상기 골재(30)가 혼합믹서(300)로 이송되는 단계;
    (b2) 상기 골재(30)가 교반되면서 상기 혼합믹서(300)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350)로 가열되되, 상기 버너(350)에 설치된 온도계에 의해서 측정되는 상기 골재(30)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
    (b3) 상기 (b2)단계 후 유화아스팔트(20)가 보관되는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에 연결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20)의 무게를 계량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 구성되는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로부터 배합비에 맞게 유화아스팔트(20)가 계량되는 단계;
    (b4) 상기 (b3)단계에서 계량된 유화아스팔트(20)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부터 이송펌프(500)로 전달된 후 상기 이송펌프(50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믹서(300)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 및,
    (b5) 상기 (b4)단계 후 상기 버너(350)로 상기 유화아스팔트(20)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가열하면서 유화아스팔트(20)와 골재(30)가 혼합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제조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내부에 세척제가 담긴 통으로 일단이 상기 이송펌프(500)의 일단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펌프(500) 타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세척부재(600);
    상기 세척부재(6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상기 이송펌프를 세척하고 순환되는 세척제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610); 및,
    상기 이송펌프(500)와 상기 세척부재(6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제1밸브(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b4)단계에서 상기 제1밸브(700)로 상기 세척부재(600)와 상기 이송펌프간(500)의 연결통로를 막고 상기 이송펌프(500)를 작동시켜 상기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혼합믹서(300)로 이송시키고, 상기 유화아스팔트가 혼합믹서(300)로 이송된 후 상기 제1밸브(700)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펌프(50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 및 상기 혼합믹서(300) 간의 연결통로 막고 상기 이송펌프(500)를 작동시켜 상기 세척부재(600)의 세척제가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펌프(500)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계량부(100)는
    골재가 보관되는 골재호퍼(110);
    일단이 상기 골재호퍼(1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호퍼(110)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120);
    상기 골재호퍼(110)와 상기 제1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호퍼(110)에 담겨진 골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로드셀(130); 및,
    상기 골재호퍼(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골재의 량을 제어하는 배출판(140)으로 구성되되,
    상기 (b1)단계에서 상기 배합비에 맞게 상기 제1로드셀(130)에서 측정되는 상기 골재(30)의 무게로 상기 골재(30)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는
    일단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430);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와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호퍼(41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조절하는 제2밸브(44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에 담겨지는 유화아스팔트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면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지지대(4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로드셀(450); 및,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와 상기 이송펌프(500)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로부터 배출되는 유화아스팔트의 량을 조절하는 제3밸브(4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b3)단계에서 상기 제2로드셀(450)에서 측정되는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재(420)의 유화아스팔트 무게가 상기 배합비에 맞게 상기 제2밸브(440)로 상기 유화아스팔트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믹서(300)는
    내부가 빈 통 모양으로 하면에 구멍이 형성된 혼합탱크(301);
    일단이 상기 혼합탱크(30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302);
    판이 타단에 형성된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회전축(302)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교반부재(303);
    상기 회전축(302)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0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04); 및,
    상기 혼합탱크(301)의 구멍에 설치되어 제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출판(305)으로 구성되되,
    상기 (b5)단계에서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교반부재(303)에 의해서 상기 혼합탱크(301)에 투입되는 골재(30)와 유화아스팔트(20)가 혼합되는 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제조된 후 상기 배출판(305)의 움직임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40)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계량부(100), 상기 골재이송부재(200), 상기 혼합믹서(300), 상기 버너(35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상기 이송펌프(500)에 각각 연결되어 각 구성들을 제어하여 배합비에 맞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800)의 작동으로 배합비에 맞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자동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계량부(100), 상기 골재이송부재(200), 상기 혼합믹서(300), 상기 버너(350), 상기 유화아스팔트계량부(400) 및 상기 이송펌프(5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외면에 상기 제어부(800)가 설치되는 박스형태의 부재로 상면에 골재가 상기 골재계량부(100)로 투입되도록 뚫려 있는 골재투입구(910)와 측면에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가 형성된 박스형태의 제조박스(9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800)에 표시된 각 구성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배합비에 맞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자동으로 제조하되 각 구성의 작동여부가 상기 제어부(800)에 표시되고, 현장에 맞게 배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40)가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출구(920)를 통해서 현장에 타설되는 량만큼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KR1020170127478A 2017-09-29 2017-09-29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KR102033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478A KR102033041B1 (ko) 2017-09-29 2017-09-29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478A KR102033041B1 (ko) 2017-09-29 2017-09-29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788A true KR20190037788A (ko) 2019-04-08
KR102033041B1 KR102033041B1 (ko) 2019-11-08

Family

ID=6616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478A KR102033041B1 (ko) 2017-09-29 2017-09-29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0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895A (zh) * 2019-05-20 2019-08-0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混凝土下料装置及使用方法
CN112796190A (zh) * 2021-01-05 2021-05-14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沥青现场加工设备及其使用方法
CN112982087A (zh) * 2021-01-29 2021-06-18 吉林省嘉鹏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拌缸的使用在热再生机组
KR102316150B1 (ko) * 2021-06-30 2021-10-22 안덕테크 주식회사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313Y1 (ko) * 2005-01-13 2005-04-14 김옥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의 이동식 재생장치
KR101322760B1 (ko) 2011-12-07 2013-10-29 흥진산업(주) 도로 보수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도로 보수 방법
KR20150063996A (ko) * 2015-05-20 2015-06-10 주식회사 다현산업 유화 아스팔트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313Y1 (ko) * 2005-01-13 2005-04-14 김옥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의 이동식 재생장치
KR101322760B1 (ko) 2011-12-07 2013-10-29 흥진산업(주) 도로 보수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도로 보수 방법
KR20150063996A (ko) * 2015-05-20 2015-06-10 주식회사 다현산업 유화 아스팔트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895A (zh) * 2019-05-20 2019-08-0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混凝土下料装置及使用方法
CN110076895B (zh) * 2019-05-20 2024-04-26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混凝土下料装置及使用方法
CN112796190A (zh) * 2021-01-05 2021-05-14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沥青现场加工设备及其使用方法
CN112982087A (zh) * 2021-01-29 2021-06-18 吉林省嘉鹏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拌缸的使用在热再生机组
KR102316150B1 (ko) * 2021-06-30 2021-10-22 안덕테크 주식회사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041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788A (ko)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KR101655083B1 (ko) 유화 아스팔트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CA2793350C (en) Pothole repair product and mobil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phalt patch
US7654772B1 (en) Mobile asphalt production machine
KR101764830B1 (ko)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를 위한 프리믹싱장치
CN103702812B (zh) 混凝土砌块生产装置和用于生产至少两色混凝土砌块的方法
KR101142349B1 (ko) 연속식믹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처플랜트 및 그 배처플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RU2351469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ой смеси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371392B1 (ko) 상온 재생아스콘용 프리믹싱장치
US201002477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ntrolled process for producing mixtures of lightweight construction materials and systems for automatic production of lightweight bricks
KR101128050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CN104988835B (zh) 模块式沥青冷再生搅拌设备
KR101770199B1 (ko) 가열아스콘 제조장치
KR101533375B1 (ko) 계량 제어가 가능한 가열아스콘 및 상온재생아스콘 제조장치
CN211074172U (zh) 一种用于混凝土生产的称重配比装置
KR101926446B1 (ko) 맨홀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CN104480833A (zh) 称重式木质素纤维投放装置及方法
KR100672002B1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KR101897965B1 (ko) 자동 경량 기포 콘크리트 공급 장치
KR200417671Y1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KR101926445B1 (ko)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1386060B1 (ko) 상온 재생아스콘 플랜트
JP4658728B2 (ja) 計量装置
KR101218700B1 (ko) 믹싱 플랜트
CN204185746U (zh) 称重式木质素纤维投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