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588A - Reinforced earth block - Google Patents

Reinforced earth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588A
KR20190037588A KR1020170127089A KR20170127089A KR20190037588A KR 20190037588 A KR20190037588 A KR 20190037588A KR 1020170127089 A KR1020170127089 A KR 1020170127089A KR 20170127089 A KR20170127089 A KR 20170127089A KR 20190037588 A KR20190037588 A KR 20190037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block
reinforcing
block
reinforcing soil
r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7090B1 (en
Inventor
신창언
신성철
Original Assignee
신창언
신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언, 신성철 filed Critical 신창언
Priority to KR102017012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090B1/en
Publication of KR2019003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0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reinforced earth block (10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reinforced earth block of a novel structure, capable of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during a building process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d earth block (100) includes: a rear surface unit (10) having at least a through hole (11) in which an anchor is inserted; a front surface unit (20) installed to face the rear surface unit (10) and having a width wider than that of the rear surface unit (10); a side unit (30)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unit (20) and the rear surface unit (10)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ed earth block (100) and having at least a curve unit (31,32); a horizontal partition (40) connecting the side unit (30) and building space on the rear surface unit (10) and the space on the front surface unit (20); and a vertical partition (50) connecting the rear surface unit (10) and the front surface unit (20) and individually building the space on the side unit (30).

Description

보강토 블록{REINFORCED EARTH BLOCK}REINFORCED EARTH BLOCK

본 발명은 보강토 블록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보강토 블록의 하부면에 구비된 돌기가 하부 보강토 블록의 상부면에 구비된 결합홈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하부의 인접한 보강토 블록이 소정의 각을 이루어 배치되더라도 그 상부에 보강토 블록이 안정적으로 적층되게 하는 구조를 갖는 보강토 블록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soil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ed soil block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an upper reinforcing soil block is horizontally movable along an engaging groov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a lower reinforcing soil block, The reinforcing soil bloc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soil blocks are stably stacked on top of the blocks even if the block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보강토 블록(reinforced earth block)은 일정한 크기로 성형된 블록과, 상하로 적층 축조되는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성토된 흙에 수평으로 깔아주는 보강재(지오그리드, 타이백, 등)로 시공되는 것으로서, 보강토 블록의 장점으로서 시공의 구조가 안정적이다는 것과, 성토체의 품질 관리가 용이하다는 것과, 보강재와 성토된 흙과의 상호 결속으로 하중을 균등하게 분포시킴으로써 부등 침하의 내성이 강하면서 동시에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Generally, a reinforced earth block used for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composed of a block formed at a predetermined size and a reinforc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blocks vertically stacked and laid horizontally on the clay soil (geogrid, , Etc.). The advantages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are that the construction is stable, the quality control of the embankment is easy, and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between the reinforcements and the clay soil, And that they are also excellent in economy.

이러한 보강토 블록은 콘트리트로 성형된 블록과, 뒤채움흙에 부식되지 않는 보강재로 구성되며, 보강재와 흙의 결속으로 하나의 큰 중력식 구조체가 되어 전단 저항과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어 부등 침하에 잘 적응하며, 성토된 흙과 보강재가 서로 결속되는 구조로 구축된다.This reinforced soil block is composed of a block made of concrete and a reinforcing material which is not corroded in backfilled soil. It becomes one large gravity type structure due to the binding of the stiffener and soil, so that the shear resistance and the load are uniformly dispersed, ,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clay soil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are bound to each other.

참고로, 이러한 보강토 블록은 블록과 보강재 간의 결속 방법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블록에 핀이 삽입되는 핀 구멍을 형성하여 이 핀을 통해서 블록과 보강재를 결속시키는 방법과, 블록의 상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이 돌기에 보강재를 결속시키는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soil block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inding method between the block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Specifically, a method of binding a block and a reinforcing material through the pin by forming a pin hole into which the pin is inserted, And a reinforcing member is bound to the projection.

이와 같이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미리 형성된 복수 개의 보강토 블록을 상호 적층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적층 과정에서 상부 보강토 블록의 하부면에 형성된 사각형(또는 다각형) 돌기를 하부 보강토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 맞추게 되고, 여기서 보강토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은 하부면에 형성된 사각형(또는 다각형)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construct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reinforcing soil blocks previously formed are laminated to each other. Generally, in such a laminating process, rectangular (or polygonal) protrusion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inforcing soil block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soil block Wherein th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rectangular (or polygonal)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이러한 고정 형상의 맞춤식/끼움식 홈-돌기의 구성은 복수의 보강토 블록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함에 있어 유용할 수는 있겠으나, 보강토 옹벽의 축조 과정에서 보강토 블록을 소정의 방향, 예컨대 수평(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그러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구현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he reinforcing soil block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horizontal (right and left) There is a restriction that such horizontal movement can not be realized.

게다가,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는 장소에 따라 보강토 옹벽을 소정의 곡선의 형태로 굽어져 축조해야만 하는 경우에, 종래의 고정 형상의 맞춤식/끼움식 홈-돌기의 구성을 활용해서는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굽어진 보강토 옹벽을 구축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needs to be bent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curved shape according to a place where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is to be constructed, the conventional fixed / tailing groove- There is a restric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보강토 옹벽의 축조 시에 보강토 블록의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굽어진 보강토 옹벽의 축조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구조의 보강토 블록에 대한 필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new structure of a reinforcing soil block which not only enabl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during the building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ut also enables the building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 is a situ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의 축조 과정에서 보강토 블록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구조의 보강토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ed soil block having a new structure that enables horizontal movement of a reinforcing soil block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굽어진 보강토 옹벽의 축조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구조의 보강토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soil block having a new structure which enables the building of a bent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참고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은, 앵커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되, 상기 후면부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는 전면부; 상기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를 상기 보강토 블록의 양 측면에서 연결하되,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갖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후면부 측의 공간과 상기 전면부 측의 공간을 구축하는 수평 격벽; 및 상기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측면부 측의 공간을 각각 구축하는 수직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inforcement block comprising: a rear portion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into which an anchor is inserted; A front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rear portion and configur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a width of the rear portion; A side portion connecting the rear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at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the side portion having at least one bent portion; A horizontal partition wall connecting the side portions to each other to construct a space on the side of the rear portion and a space on the side of the front portion; And a vertical partition wall for interconnecting the rear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to construct the space on the side of the side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 및 상기 수직 격벽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horizontal partition and the vertical partition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at right angl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은 상기 보강토 블록의 상부면 방향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rizontal partition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groove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extending horizontally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은 상기 보강토 블록의 하부면 방향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돌기는 그 외주면이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horizontal parti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projection and a second projec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is curved Lt; / RTI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2 결합홈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돌기의 곡면 형태에 매칭되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engagement groove and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may each have a shape of a groove matching a curved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respective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a concavo-convex structure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은, 상기 보강토 블록의 상부면 방향의 일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결합홈 및 제4 결합홈; 및 상기 보강토 블록의 하부면 방향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 돌기 및 제4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및 제4 돌기는 그 외주면이 곡면 형태를 갖고, 상기 제3 결합홈 및 상기 제4 결합홈은 각각 상기 제3 및 제4 돌기의 곡면 형태에 매칭되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vertical partition includes a third coupling groove and a fourth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And third protrusions and fourth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have a curved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third engaging groove and the fourth The coupling grooves may each have a shape of a groove matching the curved shape of the third and fourth projec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의 축조 과정에서 보강토 블록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강토 옹벽 축조의 수평 방향의 적절한 보정 길이를 갖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inforced soil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reinforcing soil bloc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ring the building process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hereby enabling the correcting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uild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에 의하면,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굽어진 보강토 옹벽의 축조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inforced soi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상부면(6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하부면(7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상부면(6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하부면(7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의 교차 적층 및 보강토 블록(100)의 수평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의 수직 적층 및 보강토 블록(100)의 수평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의 굽어진 형태의 적층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상부면(6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하부면(7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of a top surface 60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of a top surface 60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FIG. 3A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cross lamination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orizontal movement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FIG. 3B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vertical stacking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 / RTI >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bending type stacking method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of a top surface 60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상부면(6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하부면(7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of a top surface 60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은 내부가 중공형이고 후면부(10)의 폭이 전면부(20)의 폭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보강토 블록(100) 복수 개를 상호 적층함으로써 목적하는 장소에 보강토 옹벽을 축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은, 예컨대 재생용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1,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hollow and the width of the rear portion 1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20, A plurality of blocks 100 are laminated together to form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t a desired location. Further,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for reproductio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면부(10)와, 전면부(20)와, 측면부(30)와, 수평 격벽(40)과, 그리고 수직 격벽(50)으로 구성될 수 있다.1A and 1B,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portion 10, a front portion 20, a side portion 30, A partition wall 40, and a vertical partition wall 50. [

후면부(10)는 보강토 옹벽의 축조 시에 내측(즉, 토양 측)으로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후면부(1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후면부(10)에는 앵커(anchor)가 삽입 및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토 블록(100)의 후면부(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6개의 관통홀(11)을 이용하여 앵커를 연결함으로써 앵커와 보강토 블록(100) 간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ar portion 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nd the rear portion 10 may have an anchor inserted and / or inserted into the rear portion 10, At least one through hole 11 to be connected may be form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anchor and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by connecting the anchors using at least one, preferably six, through holes 11 formed in the rear portion 10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참고로, 도 1의 예에서는 후면부(10)의 좌우측 각각에 3개의 원형 관통홀 및 2개의 반원형 관통홀이 배치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관통홀(11)의 배치, 개수, 형태 등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1, three circular through holes and two semicircular through holes are dispos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ortion 10, but the arrangement, number, and shape of the through holes 11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May vary depending on the examples.

전면부(20)는 보강토 옹벽의 축조 시에 외측(즉, 시공자/행인 측)으로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전면부(20) 또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면부(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요철 구조(21)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전면부(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요철 구조(21)는 보강토 옹벽의 심미감을 개선하여 행인 등으로 하여금 옹벽 설치물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한 구조물에 해당한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의 심미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 1에 예시되는 볼록 구조 이외의 다른 형태를 갖는 요철 구조가 활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The front portion 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nd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portion 20 The concavoconvex structure 21 may be formed in the region. For reference, the concavo-convex structure 21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portion 20 corresponds to a structure for improving the esthetic sens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reducing the feeling of rejection against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Therefore, it is clear that a convex-concave structure having a shape other than the convex structure shown in Fig. 1 can be utilized to improve the esthetics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면부(20)에 요철 구조(21)가 형성됨이 없이 전면부(20)가 평평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ortion 20 may be flat without forming the concave-convex structure 21 in the front portion 20.

또한, 전면부(20)는 후면부(10)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후면부(10)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은 전체적인 형태가 소정의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urther, the front portion 20 is disposed opposite to the rear portion 10, and may have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portion 10. [ Therefore,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redetermined trapezoidal shape as a whole.

측면부(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의 양 측면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부(30)는 후면부(10)와 전면부(20)를 보강토 블록(100)의 양 측면에서 상호 연결하되, 그 연장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1, 32)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토 블록(100)의 측면부(30)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1, 32)를 구비함으로써, 보강토 블록(100)의 좌우 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The side portions 30 constitute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side portion 30 can interconnect the rear portion 10 and the front portion 20 at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and at least one bent portion 31, 32 can be provided on the extending portion have. The side surface portion 30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has at least one bent portion 31 and 32 so that the resistan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ac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can be further improved.

수평 격벽(40)은 측면부(30)를 상호 연결하여 후면부(10) 측의 공간과 전면부(20) 측의 공간을 구축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 격벽(40)에 의해서 보강토 블록(100)의 내측 공간이 후면부(10) 측의 상부 공간과 전면부(20) 측의 하부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horizontal partition 40 can interconnect the side portions 30 to form a space on the side of the rear portion 10 and a space on the side of the front portion 20. 1, the inner space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can be partitioned into an upper space on the side of the rear portion 10 and a lower space on the side of the front portion 20 by the horizontal partition 40. As shown in FIG.

또한, 수평 격벽(40)은 측면부(30)의 일 영역으로부터 반대 측면부(30)의 타 영역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데, 여기서 측면부(30)의 일 영역 및 반대 측면부(30)의 타 영역은 측면부(30)에 의한 균등한 하중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영역으로 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평 격벽(40)은 후면부(10) 및 전면부(2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horizontal partition 40 extends from one region of the side portion 30 to another region of the opposite side portion 30 where one region of the side portion 30 and the other region of the opposite side portion 30 are located on the side portion 30 30), which can be used for the load distribution. Preferably, the horizontal partition 4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ear portion 10 and the front portion 20.

수직 격벽(50)은 후면부(10)와 전면부(20)를 상호 연결하여 측면부(30) 측의 공간을 각각 구축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 격벽(50)에 의해서 보강토 블록(100)의 내측 공간이 좌측 측면부(30) 측의 좌측 공간과 우측 측면부(30) 측의 우측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vertical partition 50 can interconnect the rear portion 10 and the front portion 20 to construct a space on the side portion 30 side.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inner space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can be partitioned into the left space on the left side portion 30 side and the right space on the right side portion 30 side by the vertical partition 50 .

또한, 수직 격벽(50)은 후면부(10)의 일 영역으로부터 전면부(20)의 일 영역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데, 여기서 후면부(10)의 일 영역 및 전면부(20)의 일 영역은 후면부(10) 및/또는 전면부(20)에 의한 균등한 하중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영역(예컨대, 중간 영역)으로 선정될 수 있다.The vertical partition 50 extends from one region of the rear portion 10 to one region of the front portion 20 where one region of the rear portion 10 and one region of the front portion 20 are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10) and / or the front portion 20 (e. G., The middle region). ≪ / RTI >

바람직하게, 수평 격벽(40)과 수직 격벽(50)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강토 블록(100)의 내부 공간에 수평 격벽(40) 및 수직 격벽(50)을 구성함으로써 보강토 블록(100)의 내부 공간은 서로 이격되는 4개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0 and the vertical partition wall 50 may be disposed so as to intersect each other at right angles.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0 and the vertical partition wall 50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inforcing layer block 100 as shown in FIG. 50, the inner space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can be divided into four space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 격벽(40)은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면(60) 방향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홈(41)과 제2 결합홈(42)이 구비될 수 있다. 1A, the horizontal partition 4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groove (not show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reinforcing layer block 100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60, (41) and a second engaging groove (4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 격벽(40)은 하부면(70) 방향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43) 및 제2 돌기(4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및 제2 돌기(43, 44)는 그 외주면이 곡면 형태(예컨대, 반구 형상, 원기둥 형상, 등)를 가질 수 있다. 1B,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0 includes a first projection 43 and a second projection 44 protruding from on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70,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43 and 44 may have a curved outer surface (e.g., a hemispherical shape, a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보강토 블록(100)의 하부면(7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돌기(43, 44)가 그 외주면이 곡면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보강토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 보강토 블록(100)을 효율적으로 적층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돌기(43, 44)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결합홈(41, 42) 또한 제1 및 제2 돌기(43, 44)의 곡면 형태에 매칭되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예컨대, 도 1a의 결합홈(41, 42)의 형상 참조).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43 and 4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70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can be efficiently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grooves 41 and 42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43 and 44 to laminate are also formed in the grooves 41 and 42 that match the curved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43 and 44 (See,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engaging grooves 41 and 42 in Fig. 1A).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면(60)에 형성되는 결합홈(41, 42)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그에 결합되는 돌기(43, 44)가 결합홈(41, 42)의 영역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되게 하는데,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grooves 41 and 4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60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are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projections 43 and 44, 41, and 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면(60)에 형성되는 결합홈(41, 42)과 그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돌기(43, 44)가 곡면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보강토 옹벽을 소정의 각을 갖도록 축조하는 경우에도 보강토 블록의 상하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4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gaging grooves 41 and 4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60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and the protrusions 43 and 44 corresponding thereto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can be stacked. Such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2a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상부면(6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하부면(7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of a top surface 60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결합홈(41, 42)과 그에 결합되는 돌기(43, 44)가 수평 격벽(40)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축조 시에 보강토 블록(100)이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함을 기술하였다. 1A and 1B, the coupling grooves 41 and 42 and the projections 43 and 44 coupled thereto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0 so that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can be moved horizontally.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 격벽(50)은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면(60) 방향의 일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결합홈(51) 및 제4 결합홈(52)과, 보강토 블록(100)의 하부면(70) 방향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 돌기(53) 및 제4 돌기(54)를 구비하고, 여기서 제3 및 제4 돌기(53, 54)는 그 외주면이 곡면 형태를 갖고, 제3 및 제4 결합홈(51, 52)은 제3 및 제4 돌기(53, 54)의 곡면 형태에 매칭되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2A and 2B, the vertical partition wall 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60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In other words, A third protrusion 53 and a fourth protrusion 54 protruding from on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70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nd the third and fourth projections 53 and 54 have a curved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third and fourth engagement grooves 51 and 52 are curved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projections 53 and 54 And may have a shape of a matching groove.

그러므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의 구조를 활용하면, 보강토 옹벽의 축조 시에 보강토 블록(100)의 수직(즉,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by utilizing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ccording to the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vertically (i.e., vertically) move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면(60)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면(70)에 돌기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서 복수의 보강토 블록(100)을 적층함에 있어 그 상부면(60)에 돌기를 형성하고 그 하부면(70)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구조 또한 구현 가능하다.1 and 2, an embodiment is shown in which an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60 of the reinforcing layer block 100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70.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60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soil blocks 100 and to form a coupling groove on the lower surface 70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soil blocks 100 in order to construct them.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의 교차 적층 및 보강토 블록(100)의 수평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의 수직 적층 및 보강토 블록(100)의 수평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3A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cross lamination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orizontal movement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FIG. 3B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vertical stacking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 / RTI >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 복수의 보강토 블록을 교차 적층하거나 또는 수직 적층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은 교차 적층 및 수직 적층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Generally, in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reinforcing soil blocks are alternately stacked or vertically stacked. However,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both crossing and vertical stacking.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에 두 개의 제1 및 제2 보강토 블록(100-1, 100-2)이 배치되고, 그 상측에 제3 보강토 블록(100-3)이 제1 및 제2 보강토 블록(100-1, 100-2)과 적어도 일부 중첩하도록 교차 배치되며, 여기서 제1 보강토 블록(100-1)의 제2 결합홈(42)에 제3 보강토 블록의 제2 돌기(44)가 결합되고, 제2 보강토 블록(100-2)의 제1 결합홈(41)에 제3 보강토 블록의 제1 돌기(43)가 결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A, two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soil blocks 100-1 and 100-2 are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a third reinforcing soil block 100-3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thereof. 1 of the first reinforcing soil block 100-1 and the second reinforcing soil block 100-1 and the second reinforcing soil block 100-1 at least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The projection 44 may be engaged and the first projection 43 of the third reinforcing layer block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41 of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block 100-2.

또는,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에 하나의 제4 보강토 블록(100-4)이 배치되고 그 상측에 제5 보강토 블록(100-5)이 실질상 완전하게 중첩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제4 보강토 블록(100-4)의 제1 및 제2 결합홈(41, 42)에 각각 제5 보강토 블록(100-5)의 제1 및 제2 돌기(43, 44)가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B, one fourth reinforcement block 100-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a fifth reinforcement block 100-5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thereof so as to substantially completely overlap with each other. Here,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43 and 44 of the fifth reinforcing layer block 100-5 may b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41 and 42 of the fourth reinforcing block 100-4.

그에 따라,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결합홈(41, 42)의 구성에 의해, 상측에 배치되는 보강토 블록(100-3 또는 100-5)이 보강토 옹벽의 축조 시에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에 따라 보강토 옹벽 축조의 수평 방향의 적절한 보정 길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3A and 3B, by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41 and 42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3 or 100- 5) can be moved laterally when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is built,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have an appropriate correction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 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의 굽어진 형태의 적층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bending type stacking method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강토 옹벽의 축조 환경에서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굽어지게 보강토 옹벽을 구축해야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은 이와 같이 소정의 각을 이룬 배치의 보강토 블록의 적층을 가능하게 한다.4,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having the predetermined angular arrangement Thereby enabling stacking.

도 4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6 및 제7 보강토 블록(100-6, 100-7)이 소정의 각(예컨대, θ)을 이루도록 배치되더라도, 그 상측에 배치되는 제8 보강토 블록(100-8)의 돌기(43, 44)가 각각 외주면이 곡면 형태를 갖고, 돌기(43, 44)가 결합되는 제6 및 제7 보강토 블록(100-6, 100-7)의 결합홈(41, 42) 또한 돌기(43, 44)의 곡면 형태에 매칭되는 홈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6 및 제7 보강토 블록(100-6, 100-7)의 상부에 제8 보강토 블록(100-8)이 교차 적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Even if the sixth and seventh reinforcing soil blocks 100-6 and 100-7 arranged on the lower side are arranged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e.g.,?) As illustrated in Fig. 4, the eighth The protrusions 43 and 44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8 have curved outer surfaces and the joints of the sixth and seventh reinforced soil blocks 100-6 and 100-7 to which the protrusions 43 and 44 are coupled The grooves 41 and 42 also have grooves that match the curved shapes of the projections 43 and 44 so that the sixth and seventh reinforcing soil blocks 100-6 and 100-7 So that the eighth reinforcing soil block 100-8 can be cross-laminated.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상부면(6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100)을 하부면(70)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of a top surface 60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oil block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0).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결합홈(41, 42)과 그에 결합되는 돌기(43, 44)가 수평 격벽(40)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축조 시에 보강토 블록(100)이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기술하였고,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결함홈(51, 52)과 그에 결합되는 돌기(53, 54)가 수직 격벽(50)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축조 시에 보강토 블록(100)이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기술하였다.1A and 1B, the coupling grooves 41 and 42 and the projections 43 and 44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41 and 42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partition 40 so that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A and 2B, the defect grooves 51 and 52 and the protrusions 53 and 54 coupled to the defect grooves 51 and 52 are formed in the vertical partition 50, And thus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is vertically movable during the building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면(60) 방향의 일단에서 수평 격벽(40) 및 수직 격벽(50) 모두가 각각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결합홈(41, 42)과 제3 및 제4 결합홈(51, 52)이 구비될 수 있고, 보강토 블록(100)의 하부면(70) 방향의 일단에서 수평 격벽(40) 및 수직 격벽(50) 모두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돌기(43, 44)와 제3 및 제4 돌기(53, 5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돌기(43, 44, 53, 54)는 그 외주면이 곡면 형태를 갖고, 결합홈(41, 42, 51, 52)은 돌기(43, 44, 53, 54)의 곡면 형태에 매칭되는 홈의 형상을 가지며, 그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축조 시에 보강토 블록(100)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A and 5B, both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0 and the vertical partition wall 50 at on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60 of the reinforced earth block 100 ar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41 and 42 and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grooves 51 and 5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provided and the lower surface 70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43 and 44 and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53 and 54 protruding from both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0 and the vertical partition wall 50 at one end in the direction Wherein the projections 43, 44, 53 and 54 have a curved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engaging grooves 41, 42, 51 and 52 are grooves that match the curved shapes of the projections 43, 44, 53 and 54 So that it is possible to move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en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is buil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의 축조 과정에서 보강토 블록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강토 옹벽 축조의 수평 방향의 적절한 보정 길이를 갖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inforced soil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reinforcing soil bloc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ring the building process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have an appropriate correction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uilding ha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블록에 의하면,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굽어진 보강토 옹벽의 축조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inforced soi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후면부 11: 관통홀
20: 전면부 21: 요철 구조
30: 측면부 31, 32: 굴곡부
40: 수평 격벽 41: 제1 결합홈
42: 제2 결합홈 43: 제1 돌기
44: 제2 돌기 50: 수직 격벽
51: 제3 결합홈 52: 제4 결합홈
53: 제3 돌기 54: 제4 돌기
60: 상부면 70: 하부면
100: 보강토 블록
10: rear portion 11: through hole
20: front portion 21: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30: side portion 31, 32: bent portion
40: horizontal partition wall 41: first coupling groove
42: second engaging groove 43: first projection
44: second projection 50: vertical partition
51: third engaging groove 52: fourth engaging groove
53: third projection 54: fourth projection
60: upper surface 70: lower surface
100: Reinforced earth block

Claims (7)

보강토 블록(100)으로서,
앵커(anchor)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이 형성되는 후면부(10);
상기 후면부(10)에 대향하여 배치되되, 상기 후면부(10)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는 전면부(20);
상기 후면부(10)와 상기 전면부(20)를 상기 보강토 블록(100)의 양 측면에서 연결하되,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1, 32)를 갖는 측면부(30);
상기 측면부(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후면부(10) 측의 공간과 상기 전면부(20) 측의 공간을 구축하는 수평 격벽(40); 및
상기 후면부(10)와 상기 전면부(2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측면부(30) 측의 공간을 각각 구축하는 수직 격벽(50)
을 포함하는,
보강토 블록(100).
As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A rear portion (10) in which at least one through hole (11) into which an anchor is inserted is formed;
A front portion 20 disposed opposite the rear portion 10 and configur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portion 10;
A side portion 30 connecting the rear portion 10 and the front portion 20 at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layer block 100 and having at least one bent portion 31 and 32;
A horizontal partition wall 40 interconnecting the side portions 30 to construct a space on the side of the rear portion 10 and a space on the side of the front portion 20; And
A vertical partition wall 50 for interconnecting the rear portion 10 and the front portion 20 to construct a space on the side of the side portion 30,
/ RTI >
Reinforcing soil block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40) 및 상기 수직 격벽(50)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보강토 블록(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0) and the vertical partition wall (50)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t right angles.
Reinforcing soil block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40)은 상기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면(60) 방향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홈(41) 및 제2 결합홈(42)이 구비되는,
보강토 블록(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0 includes a first coupling groove 41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4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reinforcing layer block 100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60.
Reinforcing soil block 10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40)은 상기 보강토 블록(100)의 하부면(70) 방향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43) 및 제2 돌기(44)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돌기(43, 44)는 그 외주면이 곡선 형태를 갖는,
보강토 블록(100).
The method of claim 3,
The horizontal partition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projection 43 and a second projection 44 protruding from on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70 of the reinforcing layer block 100, The two protrusions 43 and 44 have curved outer peripheral surfaces,
Reinforcing soil block 10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홈(41) 및 상기 제2 결합홈(42)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돌기(43, 44)의 곡선 형태에 매칭되는 홈의 형상을 갖는,
보강토 블록(100).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engaging groove 41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42 have a shape of a groove matching the curved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43 and 44,
Reinforcing soil block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요철 구조(21)가 형성되는,
보강토 블록(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part (20) is provided with a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21)
Reinforcing soil block 10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50)은,
상기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면(60) 방향의 일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결합홈(51) 및 제4 결합홈(52); 및
상기 보강토 블록(100)의 하부면(70) 방향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 돌기(53) 및 제4 돌기(54)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및 제4 돌기(53, 54)는 그 외주면이 곡선 형태를 갖고, 상기 제3 결합홈(51) 및 상기 제4 결합홈(52)은 각각 상기 제3 및 제4 돌기(53, 54)의 곡선 형태에 매칭되는 홈의 형상을 갖는,
보강토 블록(100).
The method of claim 3,
The vertical barrier ribs 5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A third engaging groove 51 and a fourth engaging groove 5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reinforcing layer block 100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60; And
A third projection 53 and a fourth projection 54 protruding from on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70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100,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53 and 54 have a curved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third and fourth engagement grooves 51 and 52 are formed by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53 and 53, 54 having a groove shape matching the curved shape,
Reinforcing soil block 100.
KR1020170127089A 2017-09-29 2017-09-29 Reinforced earth block KR1022170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89A KR102217090B1 (en) 2017-09-29 2017-09-29 Reinforced earth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89A KR102217090B1 (en) 2017-09-29 2017-09-29 Reinforced earth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88A true KR20190037588A (en) 2019-04-08
KR102217090B1 KR102217090B1 (en) 2021-02-18

Family

ID=6616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089A KR102217090B1 (en) 2017-09-29 2017-09-29 Reinforced earth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0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880A (en) 2022-10-28 2024-05-08 김지연 Mold Device of Reinforced Earth Block Having Holes in Front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inforced Earth Block by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787Y1 (en) * 2002-02-15 2002-05-09 (주) 경화엔지니어링 Reinforcement block
KR200396206Y1 (en) * 2005-06-24 2005-09-21 대영산업(주) Retaining Block
KR200412272Y1 (en) * 2006-01-06 2006-03-27 이세영 Retaining Wall Vegetation Block
KR100704408B1 (en) * 2006-05-15 2007-04-09 박병도 The provisions and living thing breast wall bl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787Y1 (en) * 2002-02-15 2002-05-09 (주) 경화엔지니어링 Reinforcement block
KR200396206Y1 (en) * 2005-06-24 2005-09-21 대영산업(주) Retaining Block
KR200412272Y1 (en) * 2006-01-06 2006-03-27 이세영 Retaining Wall Vegetation Block
KR100704408B1 (en) * 2006-05-15 2007-04-09 박병도 The provisions and living thing breast wall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090B1 (en)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5118B2 (en) Interlocking masonry blocks for construction of load bearing and non-load bearing walls
CN103403279A (en) System for a floor covering
JP6499853B2 (en) Seismic wall structure
JP6220581B2 (en) Wall body, wall construction method
JP5294439B1 (en) Structural members used for rainwater storage laminated structure
KR101219570B1 (en) 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laying structureusing the block
JP5496121B2 (en) Water storage space forming block
KR20190037588A (en) Reinforced earth block
JP5759343B2 (en) Water tank wall unit
KR102045117B1 (en) Breakwat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80106715A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JP5392940B1 (en) Structural member used for rainwater storage laminated structure
JP5341722B2 (en) Rainwater storage and penetration facility
ES2408238B1 (en) CONSTRUCTION SYSTEM
RU2660847C1 (en) Building block and building blocks assembly method
KR102249058B1 (en) Prefabricated wall
JP6091933B2 (en) Water tank wall unit
JP6265653B2 (en) Block and wall structure
JP6418523B2 (en) Foundation structure using heat-insulating formwork and method for forming pressure-proof soil foundation
KR101444429B1 (en)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rface of a wallutilizing and structure material thereof
KR102567893B1 (en) A prefabricated wall using concrete structure
JP2013194458A (en) Spatial construction block
KR101095990B1 (en) Reinforced retainaing wall
JP5789176B2 (en) Foam resin block for architectural civil engineering
JP6796409B2 (en) Foundation p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