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990B1 - Reinforced retainaing wall - Google Patents

Reinforced retainaing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990B1
KR101095990B1 KR1020090023423A KR20090023423A KR101095990B1 KR 101095990 B1 KR101095990 B1 KR 101095990B1 KR 1020090023423 A KR1020090023423 A KR 1020090023423A KR 20090023423 A KR20090023423 A KR 20090023423A KR 101095990 B1 KR101095990 B1 KR 10109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joint
retaining wall
reinforcing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4785A (en
Inventor
박병영
김희정
Original Assignee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990B1/en
Publication of KR2010010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7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9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0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후토사(1)의 토압력에 저항하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이음용 블록(110)이 상하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축조된 적어도 하나의 이음벽체(100); 상기 이음벽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이 상하방향을 따라 엇쌓기 축조된 다수의 표면벽체(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시함으로써, 조적식이면서 신축이음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for preventing soil collapse by resisting soil pressure of the rear soil (1).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joint block 110 is at least one joint wall 100 is built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connect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t wall 10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includes a plurality of surface walls 200 are stacked stack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y doing so, it can be constructed and expanded joints.

옹벽, 보강토, 조적식, 블록, 신축이음 Retaining wall, reinforced soil, masonry, block, expansion joint

Description

보강토 옹벽{REINFORCED RETAINAING WALL}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REINFORCED RETAINAING WALL}

본 발명은 건설,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후토사(1)의 토압력에 저항하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for preventing soil collapse by resisting soil pressure of the rear soil (1).

'식생'이란 나무가 심어진 상태를 말하고, '녹생'이란 잔디 등 풀이 심어진 상태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하에서는 상기 '녹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식생'을 사용하고자 한다.The term 'vegeta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rees are planted, and 'greenness' refers to a state in which grass, such as grass, is planted. Hereinafter, 'vegetation' is used as a concept including the 'greenness'.

옹벽이란, 배후토사의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경사지에 타 구조물의 건설을 위한 대지의 조성, 용수로나 하천 부근에서 붕괴의 주원인이 되는 토사 유출의 방지, 아파트 단지 조성, 사면의 안정성 확보 등의 목적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Retaining wall refers to a wall structure that prevents soil from collapsing due to earth pressure of the earth and sand. It is common to be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sediment, building an apartment complex,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slope.

이러한 옹벽은 콘크리트 등의 재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일체식, 블럭 등의 재료에 의해 축조식으로 설치되는 조적식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어떠한 구조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옹벽의 전면에 나타나는 외관이 달라지게 된다.These retaining wal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one-piece installations that are integrally installed by materials such as concrete, and masonry installations that are installed by construction such as blocks, and the appearance that appears on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s depends on which structure is selected. Will be different.

도 1은 종래의 조적식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조적식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강토 옹벽은 배후토사(1)로부터 소정 이격공간을 두고 다수의 블록(2)이 축조되고, 보강재(3)가 배후토사(1)에 매립된 앵커체(미도시)(미도시)와 결합된 상태에서 축조된 블록(2)에 정착됨과 아울러, 보강토(4)가 배후토사(1)와 블록(2)의 사이 공간에 채움 및 다짐됨으로써, 그 블록(2)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1 and 2,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has a plurality of blocks (2) are construct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soil (1), the reinforcement (3) is embedded in the rear soil (1) In addition to the anchoring body (not shown) and the anchoring block (2) in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block 2, while the reinforcement soil (4) is filled and compact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soil 1 and the block (2), The structure which prevents the collapse of the block 2 is taken.

이러한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 중력식 옹벽에 비해 경제성 및 역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므로, 다양한 변형예에 의해 시공되고 있다.Since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evaluated as having excellent economic and mechanical stability compared to the concrete gravity retaining wall, it is being constructed by various modifications.

그런데, 종래의 보강토 옹벽은 역학적 안정성을 위해 다수의 블록(2)이 상하방향을 따라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되는데, 이 때문에 열팽창 및 수축 등 응력에 따른 균열 방지를 위한 신축이음시공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locks (2)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mechanical stability, because of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expansion joint construction for preventing cracks due to stress such as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difficult.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역학적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됨과 아울러 신축이음시공될 수 있는 보강토 옹벽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that can be secured and stretched with sufficient mechanical stabilit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이음용 블록(110)이 상하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축조된 적어도 하나의 이음벽체(100); 상기 이음벽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이 상하방향을 따라 엇쌓기 축조된 다수의 표면벽체(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at least one joint wall 100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connect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t wall 10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includes a plurality of surface walls 200 are stacked stack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o.

상기 이음용 블록(110)과 상기 표면용 블록(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나머지 하나가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may be formed with an engagement portion so that the other one can be engaged.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이음용 블록(110)과 상기 표면용 블록(2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그 나머지 하나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용 홈(H)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ement portion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and at least one engagement groove H into which the other one may be inserted.

상기 이음용 블록(110)과 상기 표면용 블록(210)은 서로 맞접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맞물림용 홈(H)는 상기 표면용 블록(210)에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ement groove H may be formed in the surface block 210.

상기 표면벽체(200)는 상기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의 기본 블록(220)이 좌 우방향으로 축조되어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1블록체(212); 및, 상기 다수의 기본 블록(220)이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제1블록체(212)의 기본 블록(220)과 엇갈리게 축조된 기본 블록부(214A)와, 상기 기본 블록부(214A)와 상기 이음용 블록(110) 사이에 축조되는 표면용 블록(210)의 보조 블록(230)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2블록체(2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rface wall 20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block body 212 formed by constructing the basic blocks 220 of the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basic block portion 214A in which the plurality of basic blocks 220 are alternately constructed with the basic block 220 of the first block body 212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basic block portion 214A, and th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block body 214 consisting of the auxiliary block 230 of the surface block 210 is constructed between the joint block 110.

상기 보조 블록(230)은 그 외형이 상기 기본 블록(220)의 일부분의 외형과 같은 형상을 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lock 23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at of a part of the basic block 220.

상기 보조 블록(230)의 외형은 상기 기본 블록(220)의 반토막의 외형과 같은 형상을 취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auxiliary block 23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half-membrane of the basic block 220.

상기 기본 블록(22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2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조 블록(230)의 외측면에는 상기 기본 블록(220)의 키(222)가 맞물릴 수 있도록 키 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key 2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ic block 220, and a key groove (not shown) to engage the key 222 of the basic block 220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block 230. 232 may be formed.

상기 기본 블록(220)과 상기 보조 블록(230) 중 적어도 상기 기본 블록(220)의 상면에는, 그 상측에 축조되는 기본 블록(220) 또는 보조 블록(230)에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2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key on the upp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basic block 220 and the auxiliary block 230 may be engaged with the basic block 220 or the auxiliary block 230 constructed thereon. 222 may protrude.

상기 기본 블록(220) 및 상기 보조 블록(230)에는 식생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식생공(224, 234)이 형성되고, 상기 키(222)는 상기 식생공(224, 234)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식생공(224, 234)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At least one vegetation hole 224, 234 is formed in the basic block 220 and the auxiliary block 230 to penetrate up and down for vegetation, and the key 222 is the vegetation hole 224, 234.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n be inser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getation holes (224, 234).

상기 이음용 블록(110) 및 상기 표면용 블록(210) 중 적어도 표면용 블 록(210)의 일부는 식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생공(224, 234)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vegetation hole 224, 234 for vegetation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block 210 of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상기 식생공(224, 234)의 전부 또는 상기 보강토 옹벽의 상측부에 축조된 상기 블록에 형성된 식생공(224, 234)은, 그 바닥면이 복개되고, 그 복개된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Vegetation holes (224, 234) formed in all of the vegetation holes (224, 234) or the block built on the upper side of the retaining soil retaining wall, the bottom surface is covered, at least one hole in the covered bottom surface This can be formed.

상기 이음용 블록(110)과 상기 표면용 블록(210)은, 배후토사(1)에 매설된 앵커체(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보강재(300, 310, 320)가 정착될 수 있도록, 보강재 정착부(116,226, 236)가 형성될 수 있다.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a reinforcement so that the reinforcement (300, 310, 320) supported by the anchor body (not shown) embedded in the rear soil (1) can be fixed Fusing units 116, 226, and 236 may be formed.

상기 이음용 블록(110) 및 표면용 블록(210) 중 적어도 일부의 보강재 정착부(116, 226, 236)는 하나의 블록(110, 210)에 복수개의 보강재(300, 310)의 일부가 정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보강재(300, 310)의 다른 일부가 각각, 좌우방향을 따라 축조된 서로 다른 인접 블록(110, 210)에 정착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fixing units 116, 226, and 236 of at least some of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have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300 and 310 fixed to one block 110 and 210. Formed to be; Oth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300 and 310 may be fixed to different adjacent blocks 110 and 210 construct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상기 보강재 정착부(116, 226, 236)는 상기 인접 블록(110, 210)의 보강재 정착부(116, 226. 2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정착홈(116A, 226A, 236A);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정착홈(116A, 226A, 236A)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보강재(300, 310)가 정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후방향 정착홈(116B, 226B, 226C, 236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iffener fixing unit 116, 226, 236 is at least one left and right fixing groove 116A, 226A form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tiffener fixing unit 116, 226, 236 of the adjacent block 110, 210. , 236A); The at least one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116B, 226B, 226C, and 236B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left and right fixing grooves 116A, 226A, and 236A, and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300 and 310 are fixed. It may include.

상기 보강재(300, 310)는 상기 이음용 블록(110) 또는 표면용 블록(210)에 전후방향으로 정착되는 제1보강부(302, 312); 상기 제1보강부(302, 312)가 정착된 블록(110, 210) 및 그 인접 블록(110, 210)에 좌우방향으로 정착되도록 상기 제1보강부(302, 312)로부터 절곡된 제2보강부(304, 314); 상기 제2보강부(304, 314)로부 터 절곡되어 상기 제1보강부(302, 312)가 정착된 블록(110, 210)의 인접 블록(110, 210)에 전후방향으로 정착됨과 아울러 상기 앵커체와 결합되는 제3보강부(306, 3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s 300 and 310 may include first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fixed to the joint block 110 or the surface block 2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Second reinforcement bent from the first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are fixed to the blocks 110 and 210 and the adjacent blocks 110 and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ortions 304 and 314; The anchors are bent from the second reinforcing parts 304 and 314 and fixed to the adjacent blocks 110 and 210 of the blocks 110 and 210 on which the first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are fixed. And third reinforcing parts 306 and 316 coupled to the sieve.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보강재 정착부(116)는, 상기 보강재(320)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 정착부(116C)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In the reinforcing member fixing unit 116 of the joint block 110, at least one fixing unit 116C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reinforcing member 32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보강재(320)는 일부가 상기 앵커체와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보강재 정착부(116)에 전후방향으로 정착되는 제1보강부(322) 및,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상하방향 정착부(116C)에 삽입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보강부(322)로부터 절곡된 제2보강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320 is a part is coupled to the anchor body, the other part is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322 is fixed to the reinforcement fixing unit 116 of the joint block 1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joint The second reinforcing part 324 bent from the first reinforcing part 322 may be included in the vertical fixing part 116C of the block 110 to be fixed.

상기 이음용 블록(110)은 상하방향으로 축조된 복수의 이음용 블록(110)들을 결속하기 위한 이음용 결속부재(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속용 삽입부(116D)가 형성될 수 있다.The joint block 1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binding inserting portion 116D so that the joint binding member 330 for binding the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constru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nserted therein. Can be.

상기 이음용 블록(110) 및 상기 표면용 블록(210)은 각각, 식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생공(114, 224, 234)이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식생공(114)에 정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인접 표면용 블록(210)의 식생공(224, 234)에 정착되는 블록 결속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are each formed with at least one vegetation hole (114, 224, 234) for vegetation; Part of the block binding is fixed to the vegetation hole 114 of the joint block 110, the other part is fixed to the vegetation holes (224, 234) of the block 210 for the adjacent surface of the joint block 110 It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340.

상기 이음용 블록(110)과 상기 표면용 블록(210)은 각각, 상기 식생공(114, 224, 23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 결속부재(340)가 정착되는 결속부재 정착부(118, 228, 238)가 형성될 수 있다.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are formed between the vegetation holes 114, 224, and 234, respectively, and 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s 118 and 228 to which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is fixed. , 238 may be formed.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결속부재 정착부(118)는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식생공(114)으로부터 상기 표면용 블록(210)을 향해 확장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 118 of the joint block 110 may be formed as a groove extending from the vegetation hole 114 of the joint block 110 toward the surface block 210.

상기 표면용 블록(210)의 결속부재 정착부(228, 238)는 상기 블록 결속부재(340)의 정착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결속부재(34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s 228 and 238 of the surface block 210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so as to guide the fixing of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은, 조적식이면서 중력식 옹벽의 장점인 신축이음될 수 있기 때문에, 역학적 안정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Since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retched and joined,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gravitation retaining wall, the mechanical stability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은, 보강재에 의해 블록이 좌우방향으로 결속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의 균열, 블록과 블록사이의 틈새벌어짐 현상, 표면벽체의 배부름현상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역학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lock the block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by the reinforcing material, the crack of the block, the gap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and the filling of the surface wall can be prevented. The stability is very good.

이하, 첨부된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은, 배후토사(1)의 정면에 소정 이격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표면재 구조물를 포함하며, 이 표면재 구조물은 다수의 이음용 블록(110)이 상하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축조된 적어도 하나의 이음벽체(100)와; 이음벽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이 상하방향을 따라 엇쌓기 축조된 다수의 표면벽체(200)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3 below,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rface material structure that is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spaced space in front of the rear soil (1), the surface material structure is a plurality of joint block 110 is At least one joint wall 100 construct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t wall 10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ar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urface walls 20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다수의 표면벽체(200)는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됨으로써 역학적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이음벽체(100)에 의해 다수의 표면벽체(200)가 신축이음됨으로써 시공 후 열팽창 및 수축 등에 의한 응력에 대응하여 균열도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은 역학적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surface walls 200 may be constructed in a stacking manner to sufficiently secure mechanical st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surface walls 200 are stretched by the joint wall 100, cracks may be prevented in response to stress caused by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after construction. Therefore,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effect that the mechanical st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maintenance can be facilitated.

이러한 이음용 블록(110)과 표면용 블록(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나머지 하나가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부가 형성됨으로써, 맞물림부에 의해 이음용 블록(110)과 표면용 블록(210)의 상호 결속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는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formed so that the other one can be engaged, so that the engaging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of the engaging block by the engaging portion. It can further take advantage of the fact that mutual cohesion can be made stronger.

맞물림부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음용 블록(110)과 표면용 블록(2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그 나머지 하나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용 홈(H)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용 블록(210)의 외측면에 이음용 블록(11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맞물림용 홈(H)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이음용 블록(110)의 외측면에 표면용 블록(21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맞물림용 홈(H)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engagement por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engagement groove (H) in which one of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inserted and the other one may be inserted therein. . That is, as shown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urface block 210, the engaging groove (H) that can be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joint block 110 may be formed, or not shown, but the joint block if necessary An engaging groove H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110 so that a part of the surface block 210 may be inserted.

이와 같이 맞물림부가 형성됨으로써, 이음용 블록(110) 및 표면용 블록(210)의 형상을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As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is way, the shape of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can be advantageously formed.

여기서, 맞물림용 홈(H)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용 블록(2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이음용 블록(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engaging groove (H) may be formed in the surface block 210 as shown, and may be formed in the joint block 110 as necessary, although not shown.

또한 맞물림용 홈(H)은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용 블록(210)과 이음용 블록(110)이 상하방향으로는 서로 간섭을 일으키(222)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음용 블록(110)이 좌우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groove (H) may be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urface block 210 and the joint block 110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2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The joint block 110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나아가, 이음용 블록(110)과 표면용 블록(210)은 도 4 및 도 5의 'A'로 지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접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표면용 블록(210)이 이음용 블록(110)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as indicated by the 'A' in Figs. 4 and 5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the surface block 210 is a joint The block 110 may be rotated within a rang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용 블록(110)과 표면용 블록(210)에 의해 직선구간의 옹벽시공은 물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및 만곡구간의 옹벽 시공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형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 That is,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of the straight section by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as shown in Figure 3, as well as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of the bending and bending section as shown in Figures 12 and 13 It can be done easi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take advantage of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of a variety of structures according to the terrain conditions.

특히 표면용 블록(210)은 기본 블록(220)과 보조 블록(230) 2종류로 형성됨과 아울러, 표면벽체(200)는 다수의 기본 블록(220)이 좌우방향으로 축조되어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1블록체(212)와; 다수의 기본 블록(220)이 좌우방향을 따라 제1블록체(212)의 기본 블록(220)과 엇갈리게 축조된 기본 블록부(214A) 및 기본 블록부(214A)와 이음용 블록(110) 사이에 축조되는 보조 블록(230)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2블록체(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urface block 210 is formed of two types of the basic block 220 and the auxiliary block 230, and the surface wall 200 is formed of at least one agent made of a plurality of basic blocks 220 buil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1 block body 212; A plurality of basic blocks 220 are alternately formed between the basic block portion 214A and the basic block portion 214A and the joint block 110 that are alternately constructed with the basic block 220 of the first block body 212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econd block body 214 made of an auxiliary block 230 constructed in.

즉, 제2블록체(214)에서, 기본 블록부(214A)가 제1블록체(212)와의 엇쌓기 축조를 위해 이음용 블록(110)과 거리를 두고 축조되더라도, 보조 블록(230)이 기본 블록부(214A)와 이음용 블록(110) 사이를 채워준다. 따라서, 표면벽체(200)는 역학적 안정성을 위해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되되,이음벽체(100)와의 사이에 빈틈이 없도록 축조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econd block body 214, even if the basic block portion 214A is constructed at a distance from the joint block 110 for stack construction with the first block body 212, the auxiliary block 230 is It fills between the basic block portion 214A and the joint block 110. Accordingly, the surface wall 200 may be constructed in a staggered manner for mechanical stability, and may be constructed such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wall wall 100 and the joint wall 100.

기본 블록(220)은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취함은 물론,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The basic block 220 may not only take the shape as shown, but may also take various shapes as necessary.

보조 블록(230)은 제2블록체(214)에서, 기본 블록부(214A)와 이음용 블록(110) 사이를 견고하게 채워줄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취하든 무방하다.The auxiliary block 230 may tak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firmly fill the space between the basic block portion 214A and the joint block 110 in the second block body 214.

다만, 보조 블록(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형이 기본 블록(220)의 일부분의 외형과 같은 형상을 취함으로써, 표면벽체(200)가 전체적으로 일관된 구조를 취할 수 있고, 형상을 맞추기 위해 신경쓸 필요없이 표면벽체(200)가 용이하게 축조될 수 있으며, 기본 블록(220)과 형상이 유사하여 기본 블록(220)과 함께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However, the auxiliary block 230 has a shape that is the same as the shape of a portion of the basic block 220, as shown, the surface wall 200 can take a consistent structure as a whole, the nerve to fit the shape The surface wall 200 can be easily constructed without the need for writing, and the shape of the surface wall 200 may be similar to that of the basic block 220, so that it may be easily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basic block 220.

나아가 제1블록체(212)의 기본 블록(220)과 제2블록체(214)의 기본 블록(220)이 반씩 겹쳐지게 엇쌓기될 수 있도록, 보조 블록(230)의 외형은 기본 블록(220)의 반토막의 외형과 같은 형상을 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hape of the auxiliary block 230 is a basic block 220 so that the basic block 220 of the first block body 212 and the basic block 220 of the second block body 214 can be stacked in half. It can take the shape similar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half membrane.

이러한 표면벽체(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체(212)와 제2블록체(214)가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축조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표면벽체(200)는 제1블록체(212)와 제2블록체(2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하방향을 따라 2단 이상 연속되게 축조될 수 있다.In the surface wall 200, as illustrated, the first block body 212 and the second block body 214 may be alternately construc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if necessary,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ck body 212 and the second block body 214 may be continuously constructed in two or more step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표면벽체(200)는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이 일관되게 축조되지 않으면 응력이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일부의 표면용 블 록(210)에 집중됨으로써 역학적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다. 또한, 표면벽체(200)는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이 일관되게 축조되지 않으면 미관 상 보기 좋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wall 200 is not mechanically uniformly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is stress is not evenly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and concentrated in some of the surface block 210 by mechanical Stability is not sufficiently secured. In addition, the surface wall 200 may not look good unless a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are consistently constructed.

따라서,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은 표면벽체(200)의 구조적 일관성 및 역학적 안정성 등을 위해 서로 정확한 위치에 축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are preferably constructed at precise positions with each other for structural consistency and mechanical stability of the surface wall 200.

이때,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이 서로 축조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기본 블록(220)의 상면에는 그 상측에 축조되는 기본 블록(220) 또는 보조 블록(230)과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2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may be engaged with the basic block 220 or the auxiliary block 230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lock 220 so as to guide the positions where the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are constructed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key 222 may protrude.

따라서,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을 특별한 노력없이도 서로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 및 역학적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고, 축조 시공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can be easily constructed at the correct position with each other without special effort, construction properties and mechanical stability can be increased, and construction can be easily and simply made. have.

이러한 기본 블록(220)의 키(222)는 특히, 그 상측에 축조되는 기본 블록(220) 또는 보조 블록(230)의 식생공(224, 234)에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key 222 of the basic block 220 may be formed to be specifically engaged with the vegetation holes 224 and 234 of the basic block 220 or the auxiliary block 230 constructed thereon.

물론, 기본 블록(220) 또는 보조 블록(230)에는 기본 블록(220)의 키(222)가 맞물릴 수 있도록 홈 등의 키 맞물림부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키 맞물림부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본 블록(220) 또는 보조 블록(230)이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키 맞물림부의 형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 및 응력 집중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Of course, in the basic block 220 or the auxiliary block 230, a key engaging portion such as a groove may be additionally formed so that the key 222 of the basic block 220 may be engaged,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separately form a key engaging portion. Since there is no need, the basic block 220 or the auxiliary block 230 may be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and may further take advantage of preventing degradation of durability and stress concentration due to the formation of the key engagement portion.

나아가 기본 블록(220)의 키(222)는 기본 블록(220)의 식생공(224, 234)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그 상측에 축조되는 기본 블록(220)의 식생공(224, 234)의 좌,우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됨으로써(특히 도 5 참조), 그 상측에 축조되는 기본 블록(220)을 좌우 양쪽에서 동시에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다는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key 222 of the basic block 220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getation holes 224 and 234 of the basic block 220, respectively, and the vegetation holes 224 and 234 of the basic block 220 constructed thereon. By being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 of (), in particular (see Fig. 5), it is possible to further take advantage of the fact that the basic block 220 constructed on the upper side can be firmly constrained at both the left and right at the same time.

한편, 보조 블록(2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블록(230)의 식생공(234)에 그 하측에 축조된 기본 블록(220)의 키(222)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측에 축조된 기본 블록(220)의 키(222)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그 외측면에 키 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block 230 may be formed to engage the key 222 of the basic block 220 built below the vegetation hole 234 of the auxiliary block 230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a key groove 232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key 222 of the basic block 220 constructed below may be inserted and engaged.

보조 블록(230)의 키 홈(232)은 보조 블록(230)에 형성된 식생공(234)과는 별도로 보조 블록(230)의 외측면에 형성됨으로써, 보조 블록(230)과의 구조적 간섭없이 기본 블록(220)의 키(222) 위치 및 형상 등이 용이하고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는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The key groove 232 of the auxiliary block 23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block 230 separately from the vegetation hole 234 formed in the auxiliary block 230, thereby providing a basic structure without structural interference with the auxiliary block 230. It may further take advantage that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key 222 of the block 220 can be easily and variously determined.

이와 아울러, 기본 블록(220) 및 보조 블록(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생을 위한 식생토가 채워질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식생공(224, 234)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basic block 220 and the auxiliary block 230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vegetation hole (224, 234)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vegetation soil for vegetation is filled as described above. .

식생공(224, 234)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될 수도 있으나, 중력에 의한 토사 침식 등으로 인해 식생토가 밑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닥면(B)이 복개될 수 있다. The vegetation holes 224 and 234 may be penetra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4 to 7, but the vegetation soil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due to soil erosion due to gravity. As shown at 10, the bottom surface B may be covered.

후자의 경우, 식생공(224, 234)의 바닥면(B)이 복개됨으로써, 식생토 유출로 인한 식생토 부족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원활한 배수를 위해 식생공(224, 234)의 복개된 바닥면에 홀(D)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latter case, the bottom surface (B) of the vegetation hole (224, 234) is cove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ck of vegetation soil due to the outflow of vegetation soil, and, in addition, the vegetation hole (224, 234) for smooth drainage The hole (D) may be formed in the covered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후자의 경우, 식생공(224, 234)의 복개된 바닥면(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공(224, 234)이 형성된 표면용 블록(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용 블록(2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C)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이 관통홀(C)에 식생공(224, 234)의 복개된 바닥면을 이루는 받침대(D1)가 삽입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식생공(224, 234)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latter case, the bottom surface B of the vegetation holes 224 and 23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rface block 210 on which the vegetation holes 224 and 234 are formed, as shown in FIG. 8. 9 and 10, at least one through-hole C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surface block 210, and the vegetation holes 224 and 234 are covered with the through-hole C. The vegetation holes 224 and 234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by inserting the pedestal D1 forming the bottom surface.

여기서, 받침대(D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용 블록(210)의 관통홀의 내부에는 받침대(D1)를 받칠 수 있도록 받침턱(210A)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D1)는 식생토 유출 방지를 위해, 표면용 블록(210)의 관통홀(C) 내면에 밀착되게 삽입됨은 물론이며, 받침턱(210A)은 표면용 블록(210)의 관통홀(C)의 전 둘레를 따라 링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돌기처럼 적어도 하나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Here, as shown in FIG. 9, the pedestal D1 may protrude from the support jaw 210A so as to support the pedestal D1 in the through hole of the surface block 210. At this time, the pedestal (D1)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C) of the surface block 210, in order to prevent the vegetation soil leakage, and the support jaw (210A) is a through hole of the surface block (210)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ring shape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C), or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least one like a projection.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용 블록(210)의 관통홀(C)은 받침대(D1)가 걸쳐질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즉, 받침대(D1)가 표면용 블록(210)의 관통홀(C)에 삽입되어 표면용 블록(210)과의 간섭에 의해 표면용 블록(210)에 걸쳐질 수 있다. 이때, 받침대(D1)의 둘레면(D2)은, 받침대(D1)가 표면용 블록(21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표면용 블록(210)의 관통홀(C)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 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받침대(D1)는 볼트 체결 등 표면용 블록(210)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 the through hole C of the surface block 21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gradually narrows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pedestal D1 may be covered. That is, the pedestal D1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C of the surface block 210 and may span the surface block 210 by interference with the surface block 210. At this tim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D2 of the pedestal D1 corresponds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hrough hole C of the surface block 210 so that the pedestal D1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surface block 2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addition, the pedestal (D1) may be coupled to the surface block 210, such as bolt fastening in a variety of ways.

이와 같은 받침대(D1)는 표면용 블록(2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표면용 블록(210)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표면용 블록(210)은 역학적 안정성을 위해 콘크리트 등과 같은 강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고, 받침대는 비용 절감이나 또 다른 기능적 효과 등을 위해, 수지나 목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destal D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rface block 210 and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surface block 210 as necessary. In the latter case, the surface block 210 is formed of a rigid material such as concrete for mechanical stability, and the pedestal may be formed of resin or wood material for cost reduction or another functional effect.

또한, 받침대(D1)가 탈착 가능함에 따라, 보강토 옹벽을 이루는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 중 필요한 표면용 블록(210)에만 선택적으로 조합됨으로써, 받침대(D1)의 필요여부와 상관없이 보강토 옹벽을 이루는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을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므로 제조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pedestal (D1) is removable, by selectively combining only the necessary surface block 210 of the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forming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pedestal (D1) retaining wall retaining wall Since a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forming the same may all be formed in the same shape, it may b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manufacturability.

여기서, 보강토 옹벽의 상측부는 식생토 유출이 문제될 수 있지만, 보강토 옹벽의 하측부는 식생토가 유출되더라도 보강토 옹벽의 상측부에 축조된 블록으로부터 유출된 식생토에 의해 채워질 수 있기 때문에 식생토 유출이 문제되지 않는다.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may be a problem of outflow of vegetated soil, but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may be filled by the vegetation soil leaked from the block construct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even if the vegetation soil is leaked. It doesn't matter.

따라서, 표면용 블록(210), 즉 기본 블록(220) 및 보조 블록(230)은 모두 식생공(224, 234)의 바닥면이 복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강토의 하측부에 축조되는 것은 식생공(224, 234)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보강토의 상측에 축조되는 것만 식생공(224, 234)의 바닥면이 복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rface block 210, that is, the basic block 220 and the auxiliary block 230 may be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s of the vegetation holes 224 and 234 are all covered. The holes 224 and 234 may be formed to penetrate, and only bottoms of the vegetation holes 224 and 234 may be formed so as to be constructed above the reinforcement soil.

또한, 이음용 블록(110)도 상술한 표면용 블록(210)처럼 식생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block 110 may be formed with the vegetation hole 114 like the surface block 210 described above.

한편, 이음용 블록(110) 및 표면용 블록(210)은 배후토사(1)에 매설된 앵커체(미도시)와 결합되는 보강재(300, 310, 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may be supported by the reinforcement materials 300, 310, and 320 coupled to the anchor body (not shown) embedded in the rear soil sand 1.

이때, 보강토 옹벽의 직선구간에서 보강재(300, 310, 320)는 다음과 같이 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300, 310, 320 in the straight section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may be constructed as follows.

첫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용 블록(110)은 신축이음을 위해, 표면용 블록(210)과 결속되지 않고 단독으로 보강재(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독용 보강재(320)'라 한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표면용 블록(210)은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표면용 블록(210)과 좌우방향으로 결속된 상태로, 보강재(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속용 보강재(300, 310)'라 한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표면용 블록(210) 중 좌우방향으로 이음용 블록(110)과 바로 인접한 표면용 블록(210) 및 좌우방향으로 가장자리에 시공되는 표면용 블록(210)을 제외하고는, 하나의 표면용 블록(210)에 결속용 보강재(300, 310) 2개가 동시에 정착됨으로써, 표면용 블록(210)이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결속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4 to 7, the joint block 110 is not bound to the surface block 210 for expansion joints, but is solely a reinforcing material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only reinforcing material'). And 320). In addition, the surface block 210 is bound to the surface block 210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reinforc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inding reinforcement (300, 3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can be supported by). At this time, except for the surface block 210 immediately adjacent to the joint block 1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urface block 21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constructed on the edg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or one surface By fixing two binding reinforcement (300, 310) to the block 210 at the same time, the surface block 210 may be simultaneously bou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둘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용 블록(110) 및 표면용 블록(210)에 모두 결속용 보강재(300, 310) 2개가 동시에 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음용 블록(110) 및 표면용 블록(210)이 좌우방향으로 보다 견고하게 결속됨으로써, 역학적 안정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Second, as shown in FIG. 11, two binding reinforcements 300 and 310 may be fixed to both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more firmly bou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may b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mechanical stability.

또한, 보강토 옹벽의 곡선구간에서 보강재(300, 310, 320)는 다음과 같이 시 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300, 310, 320) in the curved section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may be constructed as follows.

첫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처럼, 이음용 블록(110)은 단독용 보강재(320)에 의해 지지되고, 표면용 블록(210)은 결속용 보강재(300, 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4 to 7, the joint block 110 is supported by the sole reinforcement 32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supported by the binding reinforcements 300 and 310. Can be.

특히, 하나의 표면용 블록(210)에는 복수 개의 결속용 보강재(300, 310)의 일부가 정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결속용 보강재(300, 310)의 다른 일부가 각각 그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한 표면용 블록(210)에 정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one surface block 210 has a portion of a plurality of binding reinforcement (300, 310) is fixed, the oth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binding reinforcement (300, 310) is a surface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It may be settled in the dragon block 210.

따라서, 표면용 블록(210)이 좌우방향으로 모두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Therefore, the surface block 210 may be firmly bound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둘째,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용 블록(110)은 단독용 보강재(320)에 의해 지지되고, 표면용 블록(210)은 결속용 보강재(300, 31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으로 축조된 복수의 이음용 블록(110)들이 이음용 결속부재(330)에 의해 서로 결속됨으로써, 역학적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Second, as shown in FIGS. 12 to 17, the joint block 110 is supported by the sole reinforcement 32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supported by the binding reinforcements 300 and 310.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constru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bound to each other by the joint coupling member 330, mechanical stability may be increased.

이때, 상하방향으로 축조된 복수의 이음용 블록(110)들에 각각 단독용 보강재(320)가 정착될 수도 있으나, 이음용 블록(110)들이 이음용 결속부재(330)에 의해 서로 결속될 수 있는 바,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축조된 복수의 이음용 블록(110) 중 일부 이음용 블록(110)에만 단독용 보강재(320)가 정착되는 것이 작업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le reinforcement 320 may be fix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constru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joint blocks 110 may be bound to each other by the joint coupling member 330. As shown in FIGS. 12 to 17, the sole reinforcement 320 is fixed to only some of the joint blocks 110 of the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constru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reducing work time and cost. It may b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saving.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축조된 복수의 이음용 블록(110) 모두가 하나의 이음용 결속부재(330)에 의해 결속될 수도 있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축조된 복수의 이음용 블록(110)이 나뉘어서 복수의 이음용 결속부재(330)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축조된 복수의 이음용 블록(110)이 경사지게 축조될 때, 일자형의 이음용 결속부재(330)로도 상하방향으로 축조된 이음용 블록(110)을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14, all of the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constru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bound by one joint binding member 330,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constru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divided and bound by the plurality of joint coupling members 330. In the latter case, when the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constru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6 are inclinedly constructed, the joint block 110 constru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so by the straight joint member 330 of the straight type. ) Can be easily bonded, which is preferable.

셋째, 도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용 블록(210)을 결속용 보강재(300, 310)에 의해 지지하고, 표면용 블록(210)과 이음용 블록(110)을 블록 결속부재(340)에 의해 결속함으로써, 이음용 블록(110)과 표면용 블록(210)을 모두 좌우방향으로 보다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Third,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surface block 210 is supported by the binding reinforcement materials 300 and 310, and the surface block 210 and the joint block 110 are supported by the block binding member ( By binding by 340, both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can be more firmly bou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와 아울러, 필요에 따라 이음용 블록(110)은 단독용 보강재(320)에 의해 더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이음용 블록(110)은 이음용 결속부재(330)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block 110 may be further supported by the sole reinforcement 320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joint block 110 may be more firmly bound by the joint coupling member 330.

이와 같이, 이음용 블록(110) 및 표면용 블록(210)이 결속용 보강재(300, 310) 및 단독용 보강재(300)에 의해, 배후토사(1)에 결속됨과 아울러 좌우방향으로 서로 결속됨으로써, 블록(110, 210)의 과다한 변위가 억제되어, 블록(110, 210)의 균열, 블록(110, 210)과 블록(110, 210) 사이의 틈새벌어짐현상, 블록(110, 210)으로 이루어진 표면벽체의 배부름 현상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역학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보강토 옹벽의 직선구간(도 3 참조)은 물론 절곡, 만곡구간(도 12 참조)에서도 충분히 작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are bound to the rearing soil 1 by the binding reinforcement members 300 and 310 and the sole reinforcement member 300, and are bound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Excessive displacement of the blocks (110, 210) is suppressed, cracks in the blocks (110, 210), gaps between the blocks (110, 210) and blocks (110, 210), consisting of blocks (110, 210) Since the filling phenomenon of the surface wall can be prevented, the effect that the mechanical stability is very excellent can be obtained. This effect can be fully applied to the straight section (refer to Figure 3)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s well as bending, curved section (see Figure 12).

여기서, 결속용 보강재(300, 310)는 이음용 블록(110) 또는 표면용 블 록(210)을 좌우방향으로 모두 결속하기 위해 하나의 이음용 블록(110) 또는 하나의 표면용 블록(210)에 복수 개 정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음용 블록(110) 또는 하나의 표면용 블록(210)는 2개의 결속용 보강재(300, 310)만으로 충분히 좌우방향으로 모두 결속될 수 있다.Here, the binding reinforcement (300, 310) is one joint block 110 or one surface block 210 to bind the joint block 110 or the surface block 210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plurality of fixing units may be fixed in one, and as shown, one joint block 110 or one surface block 210 may be bound together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with only two binding reinforcements 300 and 310. .

상기한 바와 같은 결속용 보강재(300, 310)는 갈고리처럼 이음용 블록(110) 및 표면용 블록(210)에 견고하게 정착되기 위해, 이음용 블록(110) 또는 표면용 블록(210)에 전후방향으로 정착되는 제1보강부(302, 312)와, 제1보강부(302, 312)가 정착된 블록(110, 210) 및 그 인접 블록(110, 210)에 좌우방향으로 정착되도록 제1보강부(302, 312)로부터 절곡된 제2보강부(304, 314)와, 제2보강부(304, 314)로부터 절곡되어 제1보강부(302, 312)가 정착된 블록(110, 210)의 인접 블록(110, 210)에 전후방향으로 정착됨과 아울러 앵커체와 결합되는 제3보강부(306, 3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inding reinforcement materials 300 and 310 are fixed to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like hooks, and then, before and after the joint block 110 or the surface block 210. The first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fixed in the direction, the first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to the blocks 110 and 210 and the adjacent blocks 110 and 210 to which the first fixing parts are fixed. Blocks 110 and 210 having the second reinforcing parts 304 and 314 bent from the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and the first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bent from the second reinforcing parts 304 and 314.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reinforcing portion (306, 316) is fixed to the adjacent block (110, 210) of the back and forth and coupled to the anchor body.

결속용 보강재(300, 310)의 제1보강부(302. 312)는 앵커체와 결합될 필요없는 바, 비용 절감을 위해 결속용 보강재(300, 310)의 제3보강부(306, 316)보다 짧게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302. 312) of the binding reinforcement (300, 310) does not need to be combined with the anchor bar, the third reinforcing portion (306, 316) of the binding reinforcement (300, 310) for cost reduction Shorter formation may be more desirable.

단독용 보강재(320) 또한 갈고리처럼 이음용 블록(110)에 견고하게 정착되기 위해, 일부가 앵커체와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이음용 블록(110)에 전후방향으로 정착되는 제1보강부(322) 및, 이음용 블록(110)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제1보강부(322)로부터 절곡된 제2보강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ole reinforcing material 320 is also a first reinforcing part 322 that is coupled to the anchor body and the other part is fixed to the joint block 1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order to be firmly fixed to the joint block 110 like a hook. And a second reinforcing part 324 bent from the first reinforcing part 322 to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joint block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단독용 보강재(320)의 제2보강부(324)는 단독용 보강재(320)의 제1보 강부(322)로부터 절곡되어 좌우방향으로 정착될 수도 있으나, 도 13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용 결속부재(330)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정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324 of the sole reinforcing material 320 may be bent from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322 of the single reinforcing material 320 may be fix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S. 13 and 18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joint binding member 330,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be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이음용 결속부재(330)는 복수의 이음용 블록(110)을 상하방향으로 결속할 수 있다면 충분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ㄱ'자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joint coupling member 330 is sufficient if it is possible to bind the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it is more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as shown, and if necessary, various shapes such as 'a' Of course it can be taken.

블록 결속부재(340)는 특히 일부가 이음용 블록(110)의 식생공(114)에 정착되고, 다른 일부가 이음용 블록(110)의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표면용 블록(210)의 식생공(224, 234)에 정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art of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is in particular settled in the vegetation hole 114 of the joint block 110, the other part of the vegetation hole of the surface block 210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joint block 110 ( 224, 234.

즉, 블록 결속부재(340)는 이음용 블록(110)의 식생공(114)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어 정착되는 제1결속부(342)와, 표면용 블록(210)의 식생공(224, 234)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어 정착되는 제2결속부(344) 및, 제1결속부(342)와 제2결속부(344)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이음용 블록(110) 및 표면용 블록(210)에 좌우방향으로 정착되는 제3결속부(3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is inserted into the vegetation hole 114 of the joint block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first binding portion 342, the vegetation hole 224 of the surface block 210, The second binding portion 344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vertical direction 234 and the first binding portion 342 and the second binding portion 344 are formed to connect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binding unit 346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210.

따라서, 블록 결속부재(340)는 보강재(300, 310, 320), 식생 등 주변과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음용 블록(110)과 표면용 블록(210)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may firmly bind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easily and simply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surroundings such as the reinforcement members 300, 310, 320, and vegetation. .

이와 아울러, 이음용 블록(110) 및 표면용 블록(210)은 보강재(300, 310, 320)가 정착되는 보강재 정착부(116, 226, 236)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may be formed of the reinforcement fixing unit 116, 226, 236 is fixed to the reinforcement (300, 310, 320).

따라서, 보강재 정착부(116, 226, 236)에 의해, 보강재(300, 310, 320)의 정 착이 가이드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시공성이 좋고, 보강재(300, 310, 320)가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어서, 역학적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fixing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310, 320) can be guided by the reinforcing material fixing parts (116, 226, 236), so that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the workability is good, and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310, 320) is more It can be firmly and stably settled, and the effect that the mechanical stability can be increased can be obtained.

이음용 블록(110)의 보강재 정착부(116)는 결속용 보강재(300, 310)에 의해 표면용 블록(210)과 좌우방향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좌우방향 정착홈(116A)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fixing unit 116 of the joint block 110 is fixed to the surface block 210 by the binding reinforcing member (300, 310),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ixing groove 116A ope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May be included.

이음용 블록(110)의 좌우방향 정착홈(116A)은, 필요에 따라 도시되지 않았지만 좌측용, 우측용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후자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인접한 표면용 블록(210)과의 결속을 위한 보강재(300)와 우측에 인접한 표면용 블록(210)과의 결속을 위한 보강재(310)의 좌우방향 정착경로가 겹치지 않기 때문에 복수 개의 결속용 보강재(300, 310)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정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left and right fixing grooves 116A of the joint block 110 may be formed separately for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if necessary, but may be formed as one as shown. That is, in the latter case, as show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for binding with the surface block 210 adjacent to the left and the surface block 210 adjacent to the right side Since the fixing paths do not overlap, the plurality of binding reinforcing members 300 and 310 may be fixed without causing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이음용 블록(110)의 보강재 정착부(116)는, 결속용 보강재(300, 310) 또는 단독용 보강재(320)가 전후방향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전후방향 정착홈(116B)이 형성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member fixing unit 116 of the joint block 110, the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116B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the binding reinforcing members 300 and 310 or the sole reinforcing member 320 can be fix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May be formed.

이때, 이음용 블록(110)의 전후방향 정착홈(116B)은 결속용 보강재(300, 310)의 정착이 용이하도록 좌우방향 정착홈(116A)과 연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116B of the joint block 110 may be more preferably communicated with the left and right fixing grooves 116A to facilitate the fixing of the binding reinforcement (300, 310).

이음용 블록(110)의 전후방향 정착홈(116B)은 도 4 내지 도 7,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음용 블록(110)의 전 후방향 정착홈(116B)에 복수의 보강재(300, 310, 320)가 정착되는 것보다는, 하나의 보강재(300, 310, 320)만 정착되는 것이 보강재(300, 310, 320) 간 간섭 방지 등을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 실시 예는 도 4 내지 도 7,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용 블록(110)이 단독용 보강재(32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7 and 12 to 18, only one front and rear fixing groove 116B of the joint block 110 may be formed. At this time, rather than fixing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aterials (300, 310, 320) in the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116B) of the joint block 110, only one reinforcing material (300, 310, 320) is fixed to the reinforcing material ( It is more preferable for the interference prevention between 300, 310, 320, and the like. Therefore, this embodiment may be more preferable when the joint block 110 is supported by the sole reinforcement 320, as shown in Figures 4 to 7, 12 to 18.

물론 이음용 블록(110)의 전후방향 정착홈(116B)은 복수 개의 보강재(300, 310, 320)가 동시에 정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 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용 블록(110)이 결속용 보강재(300, 310)에 의해 표면용 블록(210)과 좌우방향으로 결속되는 경우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Of course, the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116B of the joint block 110 may be formed in plural so that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300, 310, and 320 may be fix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11, the joint block 110 may be more preferable when the joint block 110 is bound to the surface block 2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binding reinforcement members 300 and 310.

이음용 블록(110)의 전후방향 정착홈(116B)은 보강재(300, 310, 320)가 식생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이음용 블록(110)의 좌우방향 정착홈(116A)을 중심으로 이음용 블록(110)의 식생공(114)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116B of the joint block 110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fixing grooves 116A of the joint block 110 so that the reinforcing members 300, 310, and 320 do not interfere with vegetation. It may be more preferably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egetation hole 114 of the block (110).

한, 이음용 블록(110)의 보강재 정착부(116)는, 단독용 보강재(320)의 제2보강부(324)의 정착을 위해, 홈 또는 홀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상하방향 정착부(116C)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fixing unit 116 of the joint block 110 is a groove or hole-shaped at least one up-down fixing unit 116C for fixing the second reinforcing unit 324 of the single reinforcing member 320. ) May be included.

이음용 블록(110)의 상하방향 정착부(116C)는 단독용 보강재(320)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정착되되,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용 결속부재(340)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음용 블록(110)의 전후방향 정착홈(116B)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vertical fixing unit 116C of the joint block 110 is easily and firmly fixed to the sole reinforcing material 32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joint member 340 for the joint as shown in FIGS. It may be more preferabl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116B of the joint block 110.

또한, 이음용 블록(110)은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용 결속부재(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결속용 삽입부(116D)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block 110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binding inserting portion 116D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joint binding member 330 can be inserted as shown in FIGS. 12 to 18. have.

이음용 블록(110)의 결속용 삽입부(116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이음용 블록(110)의 보강재 정착부(116) 내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binding inserting portion 116D of the joint block 110 may be more preferably formed in the reinforcement fixing unit 116 of the joint block 1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vegetation as shown.

또한, 이음용 블록(110)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결속부재(340)가 정착되는 결속부재 정착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결속부재(340)의 정착이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고, 블록 결속부재(34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joint block 110 may include a binding member fixing unit 118 to which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is fixed. Therefore, the fixing of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can be easily guided, and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can be firmly and stably fixed.

이때, 이음용 블록(110)의 결속부재 정착부(118)는, 블록 결속부재(340)의 형상 및 시공 간소화, 그리고 보강재(300, 310, 320)와의 간섭 방지 등을 위해, 이음용 블록(110)의 식생공(114)과 표면용 블록(210)의 식생공(224, 23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 118 of the joint block 110, the block coupling member 340 for the purpose of simplifying the shape and construction, an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310, 320), It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vegetation holes 114 of 110 and the vegetation holes 224, 234 of the surface block 210.

또한, 이음용 블록(110)의 결속부재 정착부(118)는, 직선구간은 물론 절곡, 만곡구간에서도 블록 결속부재(340)가 꺽이는 등의 변형없이 용이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이음용 블록(110)의 식생공(114)으로부터 표면용 블록(210)을 향해 확장되는 홈 형상을 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 118 of the joint block 110, so that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can be easily fixed without deformation, such as bending, bending, bending section, straight line, such as the joint block ( It is preferable to take a groove shape extending from the vegetation hole 114 of the 110 toward the surface block 210.

다음으로, 표면용 블록(210)은 기본 블록(220)과 보조 블록(230)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보강재 정착부(226, 236)가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surface block 210 may be formed of the reinforcement fixing parts 226 and 236 according to the basic block 220 and the auxiliary block 230 as follows.

먼저, 기본 블록(220)의 보강재 정착부(226)는, 좌우방향 인접된 기본 블록(220) 또는 보조 블록(230)의 보강재 정착부(226, 2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정착홈(226A)과,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정착홈(226A)과 연결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결속용 보강재(300, 310)가 각각 정착되는 복수개의 전후방향 정착홈(226B, 226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the reinforcement fixing unit 226 of the basic block 220 is at least one form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basic block 220 and the reinforcing member fixing units 226 and 236 of the auxiliary block 230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226B and 226C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fixing grooves 226A and the at least one left and right fixing grooves 226A, and to which the plurality of binding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10 are respectively fixed. It can be made of).

이때, 2개의 결속용 보강재(300, 310)만으로도 하나의 기본 블록(220)을 좌우방향으로 모두 결속하는데 충분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기본 블록(220)에 2개의 결속용 보강재(300, 310)가 정착되는 구조가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only two binding reinforcement (300, 310) is sufficient to bind all of the one basic block 2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shown, two binding reinforcement (300, in one basic block 220) The structure in which 310 is fixed may be more preferable.

이러한 기본 블록(220)의 보강재 정착부(226)에 의해, 하나의 기본 블록(220)에 정착되는 복수개의 결속용 보강재(300, 310)의 정착이 각각 독립적으로 가이드됨으로써, 결속용 보강재(300, 310) 간 간섭이 방지될 수 있고, 결속용 보강재(300)가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다. By the reinforcing member fixing unit 226 of the basic block 220, the fixing of the plurality of binding reinforcing materials (300, 310) to be fixed to one basic block 220 is independently guided, thereby the binding reinforcing material 300 , 310 may be prevented, and the binding reinforcement 300 may be more easily, firmly and stably fixed.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블록(220)은 블록 결속부재(340)의 정착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결속부재 정착부(228)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17 and 18, in the basic block 220, 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 228 may be formed to guide the fixing of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 결속부재(340)가 이음용 블록(110)의 결속부재 정착부(118) 내에서 이동 가능한 바, 기본 블록(220)의 결속부재 정착부(228)는 블록 결속부재(340)의 흔들림 방지를 위해, 블록 결속부재(34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is movable in 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 118 of the joint block 110, and 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 228 of the basic block 220 is the block binding member. In order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340,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보조 블록(230)의 보강재 정착부(236) 또한 좌우방향 정착홈(236A)과 전후방 향 정착홈(236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블록(230)이 기본 블록(220)의 일부로 이루어진 것인 바, 전후방향 정착홈(236B)은 1개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reinforcing member fixing unit 236 of the auxiliary block 230 may also be formed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grooves 236A and the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236B, in which the auxiliary block 230 is formed of the basic block 220. As it is made of a part, only one front and rear fixing groove 236B may be formed.

또한 보조 블록(230)은 기본 블록(220)의 결속부재 정착부(228)와 같은 결속부재 정착부(238)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block 230 may be formed with a binding member fixing unit 238, such as 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 228 of the basic block 220.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inc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hich together with the base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조적식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도 2는 종래의 조적식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asonry reinforced retaining wall.

도 3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3 or less, relates to the retaining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모식도.3 is a schematic view of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도 3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FIG. 3;

도 5는 도 3의 주요부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3;

도 6은 도 3의 제1블록체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the first block body of FIG. 3;

도 7은 도 3의 제2블록체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block body of FIG. 3;

도 8은 블록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block;

도 9 및 도 10은 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9 and 10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block.

도 11은 제2실시 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주요부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a main part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2는 제3실시 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모식도.1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 평면도.FIG. 13 is a plan view of main parts of FIG. 12; FIG.

도 14는 도 1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15는 도 13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FIG. 15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3, and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FIG.

도 16은 도 13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FIG. 16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3 and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FIG.

도 17은 제3실시 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주요부 평면도.17 is a plan view of a main part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8은 도 17의 주요부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FIG. 17;

도 19는 제4실시 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모식도.19 is a schematic view of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이음벽체 110; 이음용 블록100; Joint wall 110; Joint Block

200; 표면벽체 210; 표면용 블록200; Surface walls 210; Surface Block

212; 제1블록체 214; 제2블록체212; First block 214; Second block

220; 기본 블록 230; 보조 블록220; Basic block 230; Secondary block

300,310,320; 보강재 330; 이음용 결속부재300,310,320; Stiffener 330; Joint Binding Member

340; 블록 결속부재340; Block binding member

Claims (24)

다수의 이음용 블록(110)이 상하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축조된 적어도 하나의 이음벽체(100) 및, 상기 이음벽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이 상하방향을 따라 엇쌓기 축조된 다수의 표면벽체(200)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용 블록(110)과 상기 표면용 블록(210)은 각각 배후토사(1)에 매설된 앵커체(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보강재(300, 310, 320)가 정착될 수 있도록 보강재 정착부(116,226, 236)가 형성되며;A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ar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joint wall 10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t wall 100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are respectively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rface walls 200 are stack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an anchor body (not shown) embedded in the rear soil 1, respectively. The reinforcement fixing parts 116, 226 and 236 are formed such that the reinforcement members 300, 310, and 320 supported by the fixing member may be fixed; 상기 각 블록(110, 210)의 보강재 정착부(116, 226, 236)는 좌우방향을 따라 인접한 블록(110, 210)의 보강재 정착부(116, 226. 2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좌우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정착홈(116A, 226A, 236A)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정착홈(116A, 226A, 236A)과 연결되며 복수의 보강재(300, 310)의 일부가 각각 정착될 수 있도록 복수 형성된 전후방향 정착홈(116B, 226B, 226C, 236B)을 포함하고;The reinforcement fixing units 116, 226, and 236 of the blocks 110 and 210 may have a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reinforcing member fixing units 116, 226 and 236 of the adjacent blocks 110 and 210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least one left and right fixation grooves 116A, 226A, and 236A formed to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e at least one left and right fixation grooves 116A, 226A, and 236A, and a part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1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116B, 226B, 226C, and 236B formed so as to be fixed; 상기 보강재(300, 310)는 상기 이음용 블록(110) 또는 표면용 블록(210)에 전후방향으로 정착되는 제1보강부(302, 312)와, 상기 제1보강부(302, 312)가 정착된 블록(110, 210) 및 상기 제1보강부(302, 312)가 정착된 블록(110, 210)의 좌우방향 인접 블록(110, 210)에 좌우방향으로 정착되도록 상기 제1보강부(302, 312)로부터 절곡된 제2보강부(304, 314)와, 상기 제2보강부(304, 314)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보강부(302, 312)가 정착된 블록(110, 210)의 좌우방향 인접 블록(110, 210)에 전후방향으로 정착됨과 아울러 상기 앵커체와 결합되는 제3보강부(306, 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reinforcing members 300 and 310 may include first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and the first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fixed to the joint block 110 or the surface block 2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reinforcing part (110, 210) and the first reinforcing part (302, 312) of the first reinforcing part (110, 210) in the left and right adjacent blocks (110, 210) of the fixed block (110, 210) Second reinforcing parts 304 and 314 that are bent from 302 and 312 and blocks 110 and 210 that are bent from the second reinforcing parts 304 and 314 to fix the first reinforcing parts 302 and 312.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omprising: a third reinforcing portion (306, 316)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adjacent blocks (110, 210) and coupled to the ancho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음용 블록(110)과 상기 표면용 블록(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나머지 하나가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At least one of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other one is engaged.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이음용 블록(110)과 상기 표면용 블록(2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그 나머지 하나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용 홈(H)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of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H) is formed in any one of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can be insert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음용 블록(110)과 상기 표면용 블록(210)은 서로 맞접되는 면이, 곡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맞물림용 홈(H)는 상기 표면용 블록(21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engaging groove (H) is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urface block (210).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표면벽체(200)는 The surface wall 200 is 상기 다수의 표면용 블록(210)의 기본 블록(220)이 좌우방향으로 축조되어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1블록체(212); 및, At least one first block body 212 formed by forming the basic blocks 220 of the plurality of surface blocks 210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상기 다수의 기본 블록(220)이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제1블록체(212)의 기본 블록(220)과 엇갈리게 축조된 기본 블록부(214A)와, 상기 기본 블록부(214A)와 상기 이음용 블록(110) 사이에 축조되는 표면용 블록(210)의 보조 블록(230)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2블록체(214);The basic block portion 214A, the basic block portion 214A and the base block portion 214A and the joint for which the plurality of basic blocks 220 are alternately constructed with the basic block 220 of the first block body 212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least one second block body 214 including an auxiliary block 230 of the surface block 210 constructed between the blocks 1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omprising a.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보조 블록(230)은 그 외형이 상기 기본 블록(220)의 일부분의 외형과 같은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auxiliary block 230 is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takes the same shape as the outline of a portion of the basic block 220.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보조 블록(230)의 외형은 상기 기본 블록(220)의 반토막의 외형과 같은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보강토 옹벽.Reinforcing 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hape of the auxiliary block 230 has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half-piece of the basic block 220.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기본 블록(22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222)가 돌출 형성되고,At least one key 222 is protrud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ic block 220, 상기 보조 블록(230)의 외측면에는 상기 기본 블록(220)의 키(222)가 맞물릴 수 있도록 키 홈(2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block 230, the key groove 232 is formed so that the key 222 of the basic block 220 can be engaged.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기본 블록(220)과 상기 보조 블록(230) 중 적어도 상기 기본 블록(220)의 상면에는, 그 상측에 축조되는 기본 블록(220) 또는 보조 블록(230)에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22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At least one key on the upp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basic block 220 and the auxiliary block 230 may be engaged with the basic block 220 or the auxiliary block 230 constructed thereon.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222 is protruding.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기본 블록(220) 및 상기 보조 블록(230)에는 식생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식생공(224, 234)이 형성되고, At least one vegetation hole (224, 234) is formed in the basic block 220 and the auxiliary block 230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for vegetation, 상기 키(222)는 상기 식생공(224, 234)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식생공(224, 234)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key 222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getation hole (224, 234),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getation hole (224, 23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상기 이음용 블록(110) 및 상기 표면용 블록(210) 중 적어도 표면용 블록(210)의 일부는 식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생공(224, 2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block 210 of 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vegetation hole (224, 234) for vegeta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식생공(224, 234)의 전부 또는 상기 보강토 옹벽의 상측부에 축조된 상기 블록에 형성된 식생공(224, 234)은, 그 바닥면이 복개되고, 그 복개된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Vegetation holes (224, 234) formed in all of the vegetation holes (224, 234) or the block built on the upper side of the retaining soil retaining wall, the bottom surface is covered, at least one hole in the covered bottom surfac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보강재 정착부(116)는, 상기 보강재(320)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 정착부(116C)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reinforcing member fixing part 116 of the joint block 110, the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ixing unit 116C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32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청구항 18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보강재(320)는 일부가 상기 앵커체와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보강재 정착부(116)에 전후방향으로 정착되는 제1보강부(322) 및,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상하방향 정착부(116C)에 삽입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보강부(322)로부터 절곡된 제2보강부(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reinforcing member 320 is a part is coupled to the anchor body, the other part is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322 is fixed to the reinforcement fixing unit 116 of the joint block 1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joint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324 bent from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322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vertical fixing unit (116C) of the block (1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상기 이음용 블록(110)은 상하방향으로 축조된 복수의 이음용 블록(110)들을 결속하기 위한 이음용 결속부재(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속용 삽입부(116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joint block 1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binding inserting portion 116D so that the joint binding member 330 for binding the plurality of joint blocks 110 constru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nserted therein.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음용 블록(110) 및 상기 표면용 블록(210)은 각각, 식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생공(114, 224, 234)이 형성되고;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are each formed with at least one vegetation hole (114, 224, 234) for vegetation; 일부가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식생공(114)에 정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인접 표면용 블록(210)의 식생공(224, 234)에 정착되는 블록 결속부재(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Part of the block binding is fixed to the vegetation hole 114 of the joint block 110, the other part is fixed to the vegetation holes (224, 234) of the block 210 for the adjacent surface of the joint block 110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further comprises a member (340). 청구항 21에 있어서, 23.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이음용 블록(110)과 상기 표면용 블록(210)은 각각, 상기 식생공(114, 224, 23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 결속부재(340)가 정착되는 결속부재 정착부(118, 228, 2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joint block 110 and the surface block 210 are formed between the vegetation holes 114, 224, and 234, respectively, and 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s 118 and 228 to which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is fixed. , 238 is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청구항 22에 있어서, 23.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결속부재 정착부(118)는 상기 이음용 블록(110)의 식생공(114)으로부터 상기 표면용 블록(210)을 향해 확장되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 118 of the joint block 110 is a reinforcement soi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groove extending from the vegetation hole 114 of the joint block 110 toward the surface block 210. Retaining wall. 청구항 2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3, 상기 표면용 블록(210)의 결속부재 정착부(228, 238)는 상기 블록 결속부재(340)의 정착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결속부재(34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binding member fixing units 228 and 238 of the surface block 2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so as to guide the fixing of the block binding member 340. Gusset retaining wall.
KR1020090023423A 2009-03-19 2009-03-19 Reinforced retainaing wall KR1010959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423A KR101095990B1 (en) 2009-03-19 2009-03-19 Reinforced retainaing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423A KR101095990B1 (en) 2009-03-19 2009-03-19 Reinforced retainaing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785A KR20100104785A (en) 2010-09-29
KR101095990B1 true KR101095990B1 (en) 2011-12-19

Family

ID=4300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423A KR101095990B1 (en) 2009-03-19 2009-03-19 Reinforced retainaing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99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220A (en) * 2002-07-26 2004-02-26 Kyokado Eng Co Ltd Reinforcing soil structure and wall surface block
KR100583294B1 (en) * 2002-11-01 2006-05-25 (주)한국조형종합건축사사무소 A Facing panel for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632966B1 (en) * 2006-07-21 2006-10-16 이정수 A corner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KR200440047Y1 (en) * 2007-04-09 2008-05-21 도명희 Block for reinforcing wa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220A (en) * 2002-07-26 2004-02-26 Kyokado Eng Co Ltd Reinforcing soil structure and wall surface block
KR100583294B1 (en) * 2002-11-01 2006-05-25 (주)한국조형종합건축사사무소 A Facing panel for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632966B1 (en) * 2006-07-21 2006-10-16 이정수 A corner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KR200440047Y1 (en) * 2007-04-09 2008-05-21 도명희 Block for reinforcing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785A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7578C2 (en) Structure from reinforced soil
KR101077949B1 (en) Block for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AU1738699A (e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101219570B1 (en) 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laying structureusing the block
KR101284122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758601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KR101095990B1 (en) Reinforced retainaing wall
KR101265079B1 (en) Precasted retaining-wall segment structure and precasted retaining-wall structure
KR20060026098A (en)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KR200238747Y1 (en) Anchor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1072414B1 (en) Reinforced retainaing wall
KR102178399B1 (en) A reinforced earth wall block with supporting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for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and the con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52187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mprising all-in-one type facing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JP2003003474A (en) Reinforcing earth structure and reinforcing earth block
KR101452188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mprising all-in-one type facing blocks for edge angle or curve area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062534B1 (en) Structure for grid join
KR101065726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JP686031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side wall for lightweight embankment
KR101592933B1 (en) The structure of steel composite hybrid pil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KR20120113521A (en) Anchor and reinforced retainaing wall using the same
KR100872999B1 (en) The reinforced earth block equipped with the fastening device
KR102316592B1 (en) Retaining Wall Connection Structure
KR102135475B1 (en) retaining wall block with stopp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KR100752688B1 (en) Segmental retaining block and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KR20010097072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building concrete b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