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552A -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 - Google Patents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552A
KR20190037552A KR1020170127014A KR20170127014A KR20190037552A KR 20190037552 A KR20190037552 A KR 20190037552A KR 1020170127014 A KR1020170127014 A KR 1020170127014A KR 20170127014 A KR20170127014 A KR 20170127014A KR 20190037552 A KR20190037552 A KR 20190037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raditional
building
forming
traditiona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자
Original Assignee
강영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자 filed Critical 강영자
Priority to KR102017012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552A/ko
Publication of KR2019003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the handle being at one side, the bolt at the other side or inside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현관문 손잡이 및 화장실문 잠금장치와 같은 각종 건축물부속장치에 별도로 제조된 전통문양형 장식구를 건축물부속장치와 함께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건축물부속장치를 형성하는 장치 본체 또는 지지구의 외면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이다.
본 발명은, 장치들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미감을 갖도록 하며, 사용자들에게는 건물이 속하는 지역 또는 장소의 특성을 어필하고 인식 및 광고할 수 있으며, 전통문양형 장식구 및 전통문양외테형성부는 건축물부속장치를 형성하는 장치 본체 또는 지지구의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전통문양외테형성부에 형성되는 문양도 도형, 문자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A Tradition Pattern Type Structure Part Device}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는 건축물부속장치에 전통문양형 장식구를 일체형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현관문 손잡이 및 화장실문 잠금장치와 같은 각종 건축물부속장치에 별도로 제조된 전통문양형 장식구를 건축물부속장치와 함게 일체형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건축물부속장치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에 축공이 뚫어지고, 축공의 외측에 복수개의 조립장착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장착판의 외측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를 형성하여 전통문양형장식구를 형성하고, 건축물부속장치를 설치할 때에 상기 전통문양형장식구를 건축물과 건축물부속장치와의 사이에 끼워 설치하거나; 또는 건축물부속장치의 외주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로 형성하여서 된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는 종래의 건축물부속장치들로는 주로 출입문(현관문, 방문, 사무실출입문 등)에 설치되는 도어락 및 출입문 잠금장치를 비롯하여 공중화장실에서 각 화장실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화장실문 잠금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축물부속장치들로서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40028호(도어록의 잠금장치), 등록특허 제10-1404431호(2단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등록특허 제10-1767196호(도어 잠금장치), 등록특허 제10-1773085호(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 잠금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또, 화장실문 잠금장치로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18606호(도어 잠금장치), 등록특허 제10-1047235호(공공시설물의 사용중 표시장치), 등록특허 제10-1458087호(대소변 표시기능을 갖춘 화장실 잠금장치)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 등록실용신안 제20-0140028호(도어록의 잠급장치)는, 통상의 도어록에 있어서 외측 손잡이 내에 키레바가 길게 돌출된 키레바헤드를 장치하고, 상기 키레바헤드 전면에는 원형작동편을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되, 키레바헤드에 장치된 키레바는 아웃스핀들 내에 장치된 소스핀들의 절개공에 끼워지게 하므로서 키레버를 회전시키면 키레버가 소스핀들을 회전시켜 도어록에 장치된 렛치를 내측을 당겨 잠금이 해지되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404431호(2단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는, 도어내측 측면에 고정되어 문을 닫으면 래치볼트 경사면이 문틀(턱) 또는 벽면에 닿으면서 래치모듈 안쪽으로 밀려들어갔다 문이 닫히면 문틀 홈으로 래치볼트가 돌출하여 잠기도록 래치볼트(1단 잠금)와 데드볼트(2단 깊이잠금)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767196호(도어 잠금장치)는,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잠금부; 상기 잠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 1방향으로의 슬라이딩하면 상기 잠금부를 수용하는 잠금 수용부; 상기 잠금부의 슬라이딩을 조절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잠금부가 상기 잠금 수용부로 수용되면 발광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773085호(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 잠금장치)는, 손잡이를 밀고 당기는 손잡이의 틸팅작용과, 손잡이의 좌우로 회전시키는 손잡이의 스윙작용, 그리고 손잡이를 미는 푸쉬작용에 의해서도 라쳇이 후퇴하여, 잠금된 도어가 개방되도록 개량한 것으로서, 전방에 진퇴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에 조립되어 본체의 전방에 형성된 진퇴로를 따라 진퇴하는 라쳇; 및 상기 본체에 지렛대 구조로 설치되어, 가압단의 가압에 의해 작용단에 견착된 슬라이더를 견인하여 후퇴시키는 견인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래치모듈과; 상기 래치모듈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레버의 가압단을 가압시켜 견인레버의 정방향 회전을 도모하여 라쳇이 조립된 슬라이더를 후퇴시키는 손잡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모듈은, 상기 본체의 측부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지지 케이스와; 상기 지지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캠축; 및 상기 지지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어 캠축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18606호(도어 잠금장치)는, 화장실문의 전면에는 표시판과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전면지지구를 장착하고, 배면에는 배터리와 스위치기능이 구비된 배면지지구를 설치하여 배면지지구에 장착된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스위치가 ON/OFF되어 발광다이오드를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047235호(공공시설물의 사용중 표시장치)는 공중 화장실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화장실의 사용여부를 전기를 이용한 문자에 의해 표시하재도록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458087호(대소변 표시기능을 갖춘 화장실 잠금장치)는,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도어를 잠글 때에 대변 또는 소변을 보고 있음을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게 하는 대소변 표시기능을 갖춘 화장실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공 및 수용부를 구비하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잠금작동 및 소변표시를 위해 제1 손잡이 작동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의 후방에 장착되는 소변표시용 잠금구; 볼트부에 체결된 소변표시용 잠금구의 작동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축; 상기 내부축에 장착되어서 상기 소변표시용 잠금구의 작동에 따른 내부축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여 소변표시를 하는 소변표시부; 잠금작동 및 대변표시를 위해 제2 손잡이 작동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장착되는 대변표시용 잠금구; 상기 대변표시용 잠금구의 작동에 따른 상기 원통축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여 대변표시를 하는 대변표시부; 상기 소변표시부 또는 상기 대변표시부와 대향하여 설치된 미사용중 표시부; 및 소변표시, 대변표시 또는 비었음 표시를 나타내는 표시창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각종 장치들은 장치의 본체 또는 지지구의 외면이 별도의 형상 모양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민면으로 되어 있고, 이들 장치의 본체 또는 지지구에 별도로 제조된 장식구를 부가 설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들 장치들은 외관이 매우 단조롭고 단순하며, 뿐만 아니라 단순히 장치의 기능만을 구비하는 것 외에는 외적인 미관이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건축물부속장치에 별도로 형성된 전통문양형 장식구를 일체형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건축물부속장치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현관문 손잡이 및 화장실문 잠금장치와 같은 각종 건축물부속장치에 별도로 제조된 전통문양형 장식구를 건축물부속장치와 함께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건축물부속장치를 형성하는 장치 본체 또는 지지구의 외면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에 축공이 뚫어지고 축공의 외측에 복수개의 조립장착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장착판의 외측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를 형성하여 전통문양형장식구를 형성하고, 건축물부속장치를 설치할 때에 상기 전통문양형장식구를 건축물과 건축물부속장치와의 사이에 끼워 설치하거나; 또는 건축물부속장치의 외주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로 형성하여서 된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부속장치를 설치할 때에 상기 전통문양형장식구를 건축물과 건축물부속장치와의 사이에 끼워 설치하거나; 또는 건축물부속장치의 외주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장치들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미감을 갖도록 하며, 사용자들에게는 건물이 속하는 지역 또는 장소의 특성을 어필하고 인식 및 광고할 수 있으며, 전통문양형 장식구 및 전통문양외테형성부는 건축물부속장치를 형성하는 장치 본체 또는 지지구의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전통문양외테형성부에 형성되는 문양도 도형, 문자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건축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각종 건축물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부속장치에는 별도로 제조된 전통문양형 장식구를 건축물부속장치와 함께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설치하거나;
상기 건축물부속장치를 형성하는 장치 본체 또는 지지구의 외면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현관문 손잡이 및 화장실문 잠금장치와 같은 각종 건축물부속장치에 별도로 제조된 전통문양형 장식구를 건축물부속장치와 함께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건축물부속장치를 형성하는 장치 본체 또는 지지구의 외면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들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미감을 갖도록 하며, 사용자들에게는 건물이 속하는 지역 또는 장소의 특성을 어필하고 인식 및 광고할 수 있으며, 전통문양형 장식구 및 전통문양외테형성부는 건축물부속장치를 형성하는 장치 본체 또는 지지구의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전통문양외테형성부에 형성되는 문양도 도형, 문자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를 예시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에서 전통문양형 장식구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및 횡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에서 전통문양형 장식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및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에서 전통문양형 장식구의 문양형성부에 형성되는 문자도형을 보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를 예시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에서 전통문양형 장식구(1)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및 횡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에서 전통문양형 장식구(1)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및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에서 전통문양형 장식구(1)의 문양형성부(24)에 형성되는 문자도형(26)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예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에서 전통문양형 화장실문잠금장치(100-1)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화장실문잠금장치(100-1)는 외측장착구(110)와 내측장착구(120) 및 걸고리구(130) 그리고 상기 외측장착구(110)의 후측에 결합(장착)되는 전통문양형 장식구(1)로 크게 구분하여 형성하였다.
회장실문짝(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외면에 장착되는 외측장착구(110)는, 전면 상측에 표시공(111)을 형성하였고, 내부를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부로 형성하되 공간부의 내부에는 사용여부회전표시판(112)을 회전축봉(11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으며, 배면판(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은 중심에서 좌우 양측에 너트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형성하여 통상의 볼트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끼워 차후에 설명되는 내측장착구(120)의 너트봉(121)에 나사 결합하여 화장실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전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회장실문짝(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내면에 장착되는 내측장착구(120)는, 내면(전면)을 개방형으로 형성하되 중앙에는 축공(122)을 뚫어 회전축봉결합공(123)이 형성된 회전축(127)의 선단을 외측(후방)에서 내측(내부)으로 삽입시켰고, 축공(122)의 양측에는 너트봉(121)을 형성하여 상기 외측장착구(110)에서 결합되는 볼트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회전축(127)에는 핸들(125)을 횡으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되 핸들(125)의 선단에는 걸이봉(126)을 형성하였다.
화장실의 전면판 내면에 장착(고정)되는 걸고리구(130)는, 상단부과 하단부에 장착공(132)을 형성하여 볼트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나사 결합하여 전면판의 내면에 장착(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걸고리구(130)의 외면(배면)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잠금편(131)을 일체로 형성하여 전술한 핸들(125)의 걸이봉(126)을 삽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외측장착구(110)와 내측장착구(120) 및 걸고리구(130)는 종래의 장치와 동일 유사한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외측장착구(110)의 후측에 결합(장착)되는 전통문양형 장식구(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장착판(11)의 중앙에는 축공(12)을 뚫어 전술한 외측장착구(110)의 회전축봉(113)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축공(12)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조립장착공(13)을 뚫어 볼트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나사 결합하여 화장실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전면에 고정(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장착판(11)의 외측에는 전통문양외테형성부(20)를 일체로 형성하되, 장착판(11)과 전통문양외테형성부(20)와의 사이에 단턱(15)을 형성하여 장착판(11)의 전방으로 제품설치중앙요부(10)가 형성되어 외측장착구(110)을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전통문양외테형성부(20)는 외주 가장자리를 파형(호형), 꽃잎모양형, 나뭇잎모양형 등 다양한 형상 모양으로 형성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통문양형 장식구(1)는 도 2a와 도 2b 및 도 3a와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설치(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제품설치중앙요부(10)에 별도로 제작(제조)된 장식캡(30)을 끼워 결합시켜 주는 것으로서, 장식캡(30)의 전면에 그림, 도형, 로고, 문자 등을 새겨 주게 되면 홍보 기능과 함께 전통문양형 장식구(1) 자체 및 주변 등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통문양형 장식구(1)는 금속(주물)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제 등을 감안하여 금속(주물) 또는 불연성 합성수지로 성형(형성)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 전통문양형 장식구(1)를 형성하는 전통문양외테형성부(20)의 전면에는 도 3a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형문양(25)과 문자문양(26)을 비롯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로고문양, 그림문양 등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통문양외테형성부(20)는 내테(21)와 외테(22)와의 사이에 분할칸막이(23)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문양형성부(24)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각 문양형성부(24)에 도형문양(25), 문자문양(26), 로고문양, 그림문양 등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전통문양형 화장실문잠금장치(100-2)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화장실문잠금장치(100-2)는 외측장착구(110-1)와 내측장착구(120-1) 및 걸고리구(130-1)로 크게 구분하여 형성하였으며, 상기에서 외측장착구(110-1)와 내측장착구(120-1) 및 걸고리구(130-1)는 도 1 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의 전통문양형 화장실문잠금장치(100-1)와는 형상과 모양만을 달리하고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므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화장실문잠금장치(100-2)는 외측장착구(110-1)와 내측장착구(120-1) 및 걸고리구(130-1)의 외주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20)를 일체로 형성(성형 제조)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외측장착구(110-1)와 내측장착구(120-1) 및 걸고리구(130-1)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통문양외테형성부(20)는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전통문양외테형성부(2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의 전통문양형 화장실문잠금장치(100-1)(100-2)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의 전통문양형 화장실문잠금장치(100-1)(100-2)는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측장착구(110)(100-1)와 전통문양장식구(1) 및 내측장착구(120)(120-1)를 화장실(200)의 문짝(220)에 장착하고, 걸고리구(130)(130-1)를 전면판(210)의 내면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화장실(2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핸들(125)을 돌려 걸이봉(126)을 걸고리구(130)의 잠금편(131)에 걸어주거나 안치시키면 외측장착구(110)(110-1)의 사용유무표시회전판(112)이 회전하여 표시공(111)에는 사용중의 문자가 나타난다.
반면에 화장실(200)의 사용을 완료한 사용자가 핸들(125)을 역으로 돌려 걸이봉(126)을 걸고리구(130)의 잠금편(131)에서 이탈시키면 외측장착구(110)(110-1)의 사용유무표시회전판(112)이 역으로 회전하여 표시공(111)에는 비어있음의 문자가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화장실(200)의 사용 유무표시 방법은 기히 알려진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100)의 전통문양형 화장실문잠금장치(100-1)(100-2)는 외측장착구(110)의 내측에 전통문양장식구(1)를 설치하거나, 외측장착구(110-1) 및 내측장착구(120-1) 및 걸고리구(130-1)의 외주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치들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미감을 갖도록 하고, 사용자들에게는 건물이 속하는 지역 또는 장소의 특성을 어필하고 인식 및 광고시킬 수 있으며, 전통문양형 장식구 및 전통문양외테형성부는 건축물부속장치를 형성하는 장치 본체 또는 지지구의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전통문양외테형성부에 형성되는 문양도 도형, 문자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더욱 미려하고 화려한 건축물부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전통문양형 장식구 10: 제품설치중앙요부
11: 장착판 12: 축공
13: 조립장착공 20: 전통문양외테형성부
21: 내테 22: 외테
23: 분할칸막이 24: 문양형성부
25: 도형문양 26: 문자문양
100: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
100-1. 100-2: 전통문양형 화장실문잠금장치
110. 110-1: 외측장착구 120. 12-1: 내측장착구
125: 핸들 130: 걸고리구

Claims (6)

  1. 건축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각종 건축물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부속장치에는 별도로 제조된 전통문양형 장식구를 건축물부속장치와 함께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
  2. 건축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각종 건축물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부속장치를 형성하는 장치 본체 또는 지지구의 외면에 전통문양외테형성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축물부속장치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전통문양형 장식구는;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장착판;
    상기 장착판의 중앙에 뚫어진 축공과, 상기 축공의 외측에는 복수개가 뚫어진 조립장착공;
    상기 장착판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통문양외테형성부;
    상기 장착판과 전통문양외테형성부와의 사이에 단턱을 형성하여 장착판의 전방으로 제품설치중앙요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전통문양외테형성부는;
    상기 전통문양외테형성부는 전면에 도형문양, 문자문양, 로고문양, 그림문양 중에서 어느 하나를 형성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성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전통문양외테형성부는;
    내테와 외테와의 사이에 분할칸막이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문양형성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과;
    각 문양형성부에는 도형문양, 문자문양, 로고문양, 그림문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전통문양외테형성부는;
    전통문양외테형성부의 외주 가장자리를 호형, 꽃잎모양형, 나뭇잎모양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양형 건축물부속장치.
KR1020170127014A 2017-09-29 2017-09-29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 KR20190037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14A KR20190037552A (ko) 2017-09-29 2017-09-29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14A KR20190037552A (ko) 2017-09-29 2017-09-29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52A true KR20190037552A (ko) 2019-04-08

Family

ID=6616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014A KR20190037552A (ko) 2017-09-29 2017-09-29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75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7173S1 (en) Patio door panel sash extrusion with weatherstripping
ITFE20100004U1 (it) Cassaforte adatta all'utilizzo di portavalori da applicare in maniera fissa agli ombrelloni degli stabilimenti balneari.
JP4410777B2 (ja) 非表示型打掛錠の非常解錠構造
KR20190037552A (ko) 전통문양형 장식구가 구비된 건축물부속장치
CA1327892C (en) Escutcheon assembly
KR200391489Y1 (ko) 좌우 겸용 사용과 도어 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경첩장치
KR20100119938A (ko) 조립식 우편함
USD495233S1 (en) Toilet seat base hinge and leaf combination
KR101937142B1 (ko)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JP2010121392A (ja) 光透過性素材を用いた電光表示付きドア機構
USD506916S1 (en) Multi-step oval rosette/oval door knob
JP2004211350A (ja) ドアシステム及び自動復帰ヒンジ
USD488048S1 (en) Lock box
KR101486191B1 (ko) 슬라이드 힌지
USD510696S1 (en) Multi-step oval rosette/oval door knob
USD499631S1 (en) Multi-step oval rosette/oval door knob
KR200358110Y1 (ko) 센서가 구비된 장식장
JP2003232155A (ja) 錠前構造
USD458837S1 (en) Dispenser
JP4199884B2 (ja) ドア錠
CN219864500U (zh) 一种集成锁芯的一体式执手锁锁控结构
USD527608S1 (en) Latch for gates and doors
JP4107181B2 (ja) 可動式袖パネルを備えた扉装置
KR200391885Y1 (ko) 넓은 개폐각도를 갖는 가구용 경첩
JP3484955B2 (ja) 引き戸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