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508A -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 - Google Patents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508A
KR20190037508A KR1020170126939A KR20170126939A KR20190037508A KR 20190037508 A KR20190037508 A KR 20190037508A KR 1020170126939 A KR1020170126939 A KR 1020170126939A KR 20170126939 A KR20170126939 A KR 20170126939A KR 20190037508 A KR20190037508 A KR 20190037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nd
groove
horizontal plate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307B1 (ko
Inventor
곽철성
Original Assignee
성화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화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3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주에 고정설치되어 완철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는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주화의 결합시 결착력 및 고정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전선 정렬이 용이하고 또한 설치 후 본체가 틀어지거나 휘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주를 감싸는 U밴드와 이에 연결 고정되는 양쪽 보울트에 이중너트를 매개로 고정체결되는 완철밴드용 아답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들이 관통되는 보울트 구멍들을 갖춘 본체의 양선단은 수평으로 유지되고, 이 본체의 중앙부분은 후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판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판의 전면으로는 양쪽으로 이격되게 삼각형상의 돌출된 절곡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Adapter apparatus for crown bars}
본 발명은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주에 고정설치되어 완철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는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는 각종 전선과 애자 등을 보유 지지하는 완철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완철은 전주에 U밴드와 아답터 및 보울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부착되어 있으나, 종래 완철은 전주에 장착될 때 완철밴드가 이 전주둘레를 감싸면서 아답터로 보유 지지한 다음, 보울트와 너트로 견고하게 결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완철밴드용 아답터는 대부분 일자형 각봉구조를 사용한 아답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완철밴드인 U밴드와 보울트 체결시 접촉면적의 축소로 전주에 완벽하게 결착되지 못하고, 전주 결착시 유격 등에 의하여 유동성이 발생할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완철 부착시 보유 지지하는 힘 분배력에 따른 하중 분배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 20-2008-0001122호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또한 상기 결착 유격 및 지지력에 따른 힘 분배력에 따른 하중 분배력을 향상시키는 하였지만 구조상 전체적인 지지력이 미미한 문제가 잔재하고 있다. 또한 체결 완성시 체결부 내부로 이물질 등이 투입되어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1122호(2008.05.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주화의 결합시 결착력 및 고정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전선 정렬이 용이하고 또한 설치 후 본체가 틀어지거나 휘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체결 완성시 결속력이 좋아지며 체결부 상부 및 측부의 틈새를 없애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는,
전주를 감싸는 U밴드와 이에 연결 고정되는 양쪽 보울트에 이중너트를 매개로 고정체결되는 완철밴드용 아답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들이 관통되는 보울트 구멍들을 갖춘 본체의 양선단은 수평으로 유지되고, 이 본체의 중앙부분은 후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판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판의 전면으로는 양쪽으로 이격되게 삼각형상의 돌출된 절곡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판의 양단으로는 절개홈을 가지면서 후단으로 꺽음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체 폭방향 양단부에는 길이방향 후단으로 연장되어 본체의 후측으로 꺽임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수평판 길이방향 내로는 소정 간격을 두고 후단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2개의 보강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밴드와 양쪽 보울트 및 이중너트에 고정체결되는 아답터 본체는, 체결부의 일측 및 상측의 틈새를 막아주도록 된 틈새방지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틈새방지마개는 상판 및 상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직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에는 상기 U밴드와 대칭된 형태의 동일 동심원상으로 이루어진 반호형의 밀착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호형의 밀착홈부에는 아답터 본체의 돌출된 절곡지지편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에 의하면, 전주와 완철밴드의 결합시 수평판에 형성된 돌출된 절곡지지편에 의하여 전주의 양측면을 접촉하며 단단히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설치 고정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판의 양단으로 형성된 절개홈으로는 여분의 전선 등을 관통형성 시킬 수 있으며 이때의 전선은 꺽음쇠의 작용에 의해 양쪽으로 이탈되지 않고 내측으로 모아주어 배선의 정렬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폭방향의 길이방향 보강판에 의해 완철밴드의 고정 설치 후 본체가 틀어지거나 휘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체결 완성시 결속력이 좋아지며 체결부 상부 및 측부의 틈새를 없애도록 하여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완철밴드 어댑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틈새방지마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엘이디 조명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완철밴드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전주(1)를 감싸는 U밴드(2)와 이에 연결 고정되는 양쪽 보울트(3)에 이중너트(4a,4b)를 매개로 고정체결되는 완철밴드용 아답터 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공지된 자명한 기술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상기 보울트(3)들이 관통되는 보울트 구멍(6)들을 갖춘 본체(7)의 양선단은 수평으로 유지되고, 이 본체(7)의 중앙부분은 후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판(7a)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판(7a)의 전면으로는 양쪽으로 이격되게 삼각형상의 돌출된 절곡지지편(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울트(3)와 이중너트(4a,4b)는 전주(1)를 U밴드(2)와 아답터 본체(7)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조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결속수단이다.
이때 전주(1)의 바깥쪽은 U밴드(2)의 내측면에 안쪽은 아답터 본체(7)의 절곡지지편(8)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수평판(7a)의 양단으로는 절개홈(7b)을 가지면서 후단으로 꺽음쇠(7c)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필요에 따라 절개홈(7b)을 통해 전선을 통과시킬 수도 있으며, 꺽음쇠(7c)에 의해 배선부가 간섭을 피하면서 정렬을 좋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7)의 전체 폭방향 양단부에는 길이방향 후단으로 연장되어 본체의 후측으로 꺽임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판(7d)이 더 구비된다. 이때의 보강판(7d)에 의해 체결 후 본체(7)가 틀어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보강수단으로 상기 본체(7)의 수평판 길이방향 내로는 소정 간격을 두고 후단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2개의 보강띠(7e)를 더 형성하여 내구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U밴드(2)와 양쪽 보울트(3) 및 이중너트(4a,4b)에 고정체결되는 아답터 본체(7)는, 체결부의 일측 및 상측의 틈새를 막아주도록 된 틈새방지마개(9)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새방지마개(9)는 상판(9a) 및 상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직격벽(9b)으로 이루어지며, 상판(9a)에는 상기 U밴드(2)와 대칭된 형태의 동일 동심원상으로 이루어진 반호형의 밀착홈부(9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호형의 밀착홈부(9c)에는 아답터 본체(7a)의 돌출된 절곡지지편(8)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지지홈(9d)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의 지지홈(9d)의 일측면부에는 근접되게 절개한 탄성홈(9e)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틈새방지마개(9)는 결합시 U밴드(2)와 하나의 동심원을 그리며 형성하게 되며, 지지홈(9d)에 절곡지지편(8)이 탄성홈(9e)의 역할에 의해 삽입되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판(9a), 밀착홈부(9c) 뿐만아니라 측부의 수직격벽(9b)들에 의해 체결 틈새가 없어져 체결부 내측으로 이물질 등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틈새방지마개는 상판의 구성을 하부로 오게 뒤집어서 체결할 수도 있음을 밝히며, 이러한 변경은 당업자로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전주 2 : U밴드
3 : 보울트 4a, 4b : 이중너트
6 : 보울트 구멍 7 : 아답터 본체
7a : 수평판 7b : 절개홈
7c : 꺽음쇠 7d : 보강판
7e : 보강띠 8 : 절곡지지편
9 : 틈새방지마개 9a : 상판
9b : 수직격벽 9c : 밀착홈부
9d : 지지홈 9e : 탄성홈
10 : 완철

Claims (8)

  1. 전주(1)를 감싸는 U밴드(2)와 이에 연결 고정되는 양쪽 보울트(3)에 이중너트(4a,4b)를 매개로 고정체결되는 완철밴드용 아답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3)들이 관통되는 보울트 구멍(6)들을 갖춘 본체(7)의 양선단은 수평으로 유지되고, 이 본체(7)의 중앙부분은 후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판(7a)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판(7a)의 전면으로는 양쪽으로 이격되게 삼각형상의 돌출된 절곡지지편(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밴드의 어댑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7a)의 양단으로는 절개홈(7b)을 가지면서 후단으로 꺽음쇠(7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밴드의 어탭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7)의 전체 폭방향 양단부에는 길이방향 후단으로 연장되어 본체의 후측으로 꺽임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판(7d)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밴드의 어탭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7)의 수평판 길이방향 내로는 소정 간격을 두고 후단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2개의 보강띠(7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밴드의 어탭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밴드(2)와 양쪽 보울트(3) 및 이중너트(4a,4b)에 고정체결되는 아답터 본체는, 체결부의 일측 및 상측의 틈새를 막아주도록 된 틈새방지마개(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밴드용 아답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틈새방지마개(9)는 상판(9a) 및 상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직격벽(9b)으로 이루어지며, 상판(9a)에는 상기 U밴드(2)와 대칭된 형태의 동일 동심원상으로 이루어진 반호형의 밀착홈부(9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밴드용 아답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반호형의 밀착홈부(9c)에는 아답터 본체(7a)의 돌출된 절곡지지편(8)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지지홈(9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밴드용 아답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9d)의 일측면부에는 근접되게 절개한 탄성홈(9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밴드용 아답터 장치.
KR1020170126939A 2017-09-29 2017-09-29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 KR10199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39A KR101994307B1 (ko) 2017-09-29 2017-09-29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39A KR101994307B1 (ko) 2017-09-29 2017-09-29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08A true KR20190037508A (ko) 2019-04-08
KR101994307B1 KR101994307B1 (ko) 2019-06-28

Family

ID=6616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939A KR101994307B1 (ko) 2017-09-29 2017-09-29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3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91Y1 (ko) * 1999-11-02 2000-03-15 주식회사건화상사 완금 고정장치
KR200288537Y1 (ko) * 2002-06-19 2002-09-11 주식회사 건화 이앤아이 완철 밴드
KR200343379Y1 (ko) * 2003-11-20 2004-03-02 성화금속 주식회사 완철밴드용 체결구조
KR20080001122U (ko) 2006-11-13 2008-05-16 성화금속 주식회사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91Y1 (ko) * 1999-11-02 2000-03-15 주식회사건화상사 완금 고정장치
KR200288537Y1 (ko) * 2002-06-19 2002-09-11 주식회사 건화 이앤아이 완철 밴드
KR200343379Y1 (ko) * 2003-11-20 2004-03-02 성화금속 주식회사 완철밴드용 체결구조
KR20080001122U (ko) 2006-11-13 2008-05-16 성화금속 주식회사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307B1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357Y1 (ko) 라인포스트 애자용 커버
US9464438B2 (en) Method of repairing spacer fitting assemblies
KR100730510B1 (ko) 전선케이블용 십자형 경완금 연결장치
US3987877A (en) Trolley busway housing
KR100883391B1 (ko) 파이프 체결장치
KR101994307B1 (ko)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
RU167947U1 (ru) Анкерный кронштейн
KR200417712Y1 (ko) 파이프용 크램프가 결합된 케이블 행거
KR20080001122U (ko)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KR100547003B1 (ko) 전주용 핀애자 지지구
RU168353U1 (ru) Анкерный кронштейн
KR200417714Y1 (ko) H빔용 크램프가 결합된 케이블 행거
KR0136267Y1 (ko) 저압 가선용 단선 랙크
KR200147606Y1 (ko) 수직 장주용 금구의 설치구조
KR101247326B1 (ko) 인장 및 인류 클램프
US2596022A (en) Combination hanger and clamp for supporting electrical conductors
JP4837447B2 (ja) 螺旋状ケーブルハンガーの支持線固定金具
JP2009183130A (ja) 配電機器を収納した外箱におけるケーブル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構造
JP3555029B2 (ja) バスダクト
KR200343379Y1 (ko) 완철밴드용 체결구조
RU171276U1 (ru) Анкерный кронштейн
KR20130039991A (ko) 케이블 고정장치
KR20120134447A (ko) 기능성 클램프
RU61761U1 (ru) Комплект для опоры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варианты)
KR20130039565A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