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595A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595A
KR20190036595A KR1020170125667A KR20170125667A KR20190036595A KR 20190036595 A KR20190036595 A KR 20190036595A KR 1020170125667 A KR1020170125667 A KR 1020170125667A KR 20170125667 A KR20170125667 A KR 20170125667A KR 20190036595 A KR20190036595 A KR 2019003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light source
housing
fan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룡
장상현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595A/ko
Priority to US16/145,451 priority patent/US20190090470A1/en
Publication of KR2019003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3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u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8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포충기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하부에 배치된 팬, 상기 팬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팬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과 체결가능한 포집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팬과 마주보는 개구를 갖는 포집망, 상기 포집망에 체결가능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브, 및 상기 제1 리브와 이격되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팬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는 셔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TRAP}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원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 및 포획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리, 모기, 나방 등과 같은 날아다니는 해충은 여러 가지 병균을 옮기는 전염체로서 인체나 농작물에 직, 간접적으로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해충을 없애기 위해서 각종 농약이나 살충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인체에 유해하고 생태계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그 대안으로 생분해성 살충제의 개발과 성적 유인물인 페로몬 또는 천적을 이용한 퇴치법 및 유인살충 등의 많은 방법이 연구되었다.
본 발명은 포충 효율이 높은 포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하부에 배치된 팬, 상기 팬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팬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과 체결 가능한 포집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팬과 마주보는 개구를 갖는 포집망, 상기 포집망에 체결가능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브, 및 상기 제1 리브와 이격되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팬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는 셔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충기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과 동일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바디 프레임과 다른 반지름을 갖는 동심원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제1 및 제2 회전 막대, 상기 회전 막대에 각각 장착된 판상의 제1 및 제2 셔터, 및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일측에 제공된 제1 및 제2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각각은 상기 회전 막대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막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는 각각 상기 제1 회전 막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메인 날개와 보조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날개에 상기 무게 추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상기 보조 날개는 상기 제1 리브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날개는 상기 팬이 구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2 리브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날개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팬이 구동되지 않을 때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는 상기 팬이 동작하지 않을 때 닫히고, 상기 팬이 동작할 때 상기 제2 방향에 경사지게 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막대는 상기 회전 막대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 프레임은 상기 걸림턱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리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충기는 상기 광원부를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충기는 상기 광원부, 상기 하우징, 상기 커버, 상기 팬, 및 상기 포집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살충제가 분사되는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충기는 상기 광원부, 상기 하우징, 상기 커버, 상기 팬, 및 상기 포집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열을 방사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과 상기 포집망과 결합하는 제1 체결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삽입 돌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집망은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삽입 돌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으로 돌출된 나선형 돌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포집망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충 효율이 높은 포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도 3a의 광원 소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망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포집망 덮개가 닫힌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도 6a의 I-I'선에 따른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c는 도 6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망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포집망 덮개가 열린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도 7a의 II-II'선에 따른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c는 도 7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 있어서, 셔터가 아니라 회전 막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조를 채용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집망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들로서, 도 13a은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 13b는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실외에서 곤충을 포획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포충기의 배치 장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실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천장, 벽, 바닥 등 다양한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포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포집부의 메쉬부)가 생략되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포충기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30), 하우징(30)의 일측을 덮는 커버(50), 하우징(30) 내에 수납되며 곤충을 유인하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10), 광원부(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송풍부(20), 송풍부(2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하우징(30)에 체결가능한 포집부(40)를 포함한다. 광원부(10)는 커버(50)와 체결된 광원 지지부(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외관을 구성하며, 전체적인 형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30)의 형상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충기의 용도, 포충기의 종류, 포획하고자 하는 곤충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0)이 상하로 연장된 원통 형상인 것을 일 예로서 설명한다.
하우징(30)은 그 내부에 광원부(10), 송풍부(20) 등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양 단부가 개구된다. 양 단부 중 상측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양 단 부 중 하측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부터 포집부(40)를 거쳐 외부로 공기가 배출된다.
하우징(30)은 파이프 형상을 갖는 본체(31)와, 본체(31)에 연결되어 상부에 배치되며 곤충이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30a)를 이루는 포스트들(33)과, 포스트들(33)의 상부에 제공되며 커버(50)와 체결되는 체결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일 단은 커버(50)와 체결되며, 공기 유입구(30a)는 하우징(30)의 측면에 제공된다. 하우징(30)의 타 단은 공기 배출구(30b)로서 포집부(40)와 연결된다.
본체(31)는 그 내부에 송풍부(20)를 수납하며, 본체(31)의 하부에는 포집부(40)가 체결될 수 있다. 본체(31)는 하우징(30)의 주요 부분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31)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설명한다. 특히, 본체(31)로부터 광원부(10) 쪽 방향을 상부 방향 또는 상방, 본체(31)로부터 포집부(40)쪽 방향을 하부 방향 또는 하방, 상하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에 대한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장치의 회전이나 배치에 따라 지칭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포스트들(33)은 복수 개로 제공되며, 서로 인접한 포스트들(33) 사이로 공기 유입구(30a)가 형성되도록 각각이 본체의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포스트들(3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유입구(30a)를 확보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포스트들(33)의 상부에는 체결부(35)가 연결된다. 체결부(35)는 커버(50) 및 광원 지지부(15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의 내측에는 단턱부(37)가 형성된다. 단턱부(37)는 광원 지지부(150)와 체결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포스트들(33)은 공기 유입구(30a)를 최대한 확보하는 동시에 본체와 커버(50) 및 광원 지지부(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30)에 있어서, 본체(31), 포스트들(33), 및 체결부(35)는 분리되지 않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31), 포스트들(33), 및/또는 체결부(35)는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조립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곤충들은 하우징(30)의 측면에 제공된 공기 유입구(30a)를 통해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30a)의 형상이나 크기는 유인하고자 하는 곤충의 종류, 크기, 비행 형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광원부(10)로부터의 광이 최대한 외부로 잘 출사될 수 있는 형상이나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커버(50)는 하우징(30)의 상부 일 단에 장착된다. 커버(50)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30)의 형상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커버(50)는 하우징(30)의 상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커버(50)는 하우징(30)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한다. 커버(50)는 대략적으로 편평한 판상으로 제공된 커버 본체(51)을 포함하며, 커버 본체(51)는 필요에 따라 계단식으로 단차를 가질 수도 있다. 커버(50)의 가장자리는 하방 연장될 수 있으며 하우징(30)의 체결부(35)와 대면한다. 커버(50)는 하우징(30)의 체결부(35)와 하나 이상의 체결 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체결 부재는 후크, 나사, 삽입 홈 및 돌기, 등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체결부(35)와 하우징(30)은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커버(50) 본체(51)의 상부에는 포충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리(55)가 설치될 수 있다.
광원 지지부(150)는 광원부(10)가 장착되는 구성 요소로서, 포충기 내에서 광원부(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광원 지지부(150)는 공기 유입구(30a)와 커버(50) 사이에 제공된다.
광원 지지부(150)는 하우징(3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조립될 수 있는 원형의 플레이트(151)와 플레이트(15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다리(1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153)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하우징(30)의 본체와 체결되어 광원 지지부(150)가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리(153)는 2개로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트(151) 상면의 일측에는 광원 지지부(150) 상에는 광원부(10)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실장된 구동 인쇄 회로 기판(157)이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인쇄 회로 기판(157)은 광원부(10)의 광원 유닛(110)에 배선(미도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구동 인쇄 회로 기판(157)은 광원 유닛(110)의 커넥터를 통해 각각의 광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해, 구동부는 하부의 배선을 통해 송풍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송풍부(20)의 팬(220)을 제어함으로써 송풍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송풍부(20)와 구동부는 배선 인출구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 지지부(150)의 배면 상에는 광촉매 재료를 포함하는 광촉매층이 제공될 수 있다. 광촉매 재료로는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재료로서, 티타늄 산화물(TiO2), 아연 산화물(ZnO), 주석 산화물(SnO2) 등을 들 수 있다. 광촉매층은 광원 지지부(150) 등의 표면에 별도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광원 지지부(150)를 제조할 때 그 재료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광촉매는 광촉매를 구성하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파장 대역의 광에 반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파장 대역의 광 중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에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광촉매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부(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따라 동일하거나 유사한 메커니즘을 갖는 다른 광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광촉매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되어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광촉매와 접촉하는 공기 내의 각종 오염 물질, 세균 등을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분해시킨다. 이러한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면 공기를 살균, 정화, 탈취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특히 살균의 경우, 균 세포내의 효소와 호흡계에 작용하는 효소 등을 파괴시켜 살균 또는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막고, 이들이 내놓는 독소도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있어서, 광촉매층은 티타늄 산화물층일 수 있다. 티타늄 산화물에 자외선이 조사될 때에는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며,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해 곤충이 유인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티타늄 산화물막이 제공되는 영역은 광원부(10)로부터 광이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광원 지지부(150) 배면의 전면에 제공되거나, 일부 영역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티타늄 산화물막은 광원 지지부(150)의 배면뿐만 아니라, 광이 도달하는 다른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타늄 산화물막은 송풍부(20)의 상면, 상세하게는 곤충 통과부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 지지부(150)의 배면은 광원부(10)로부터의 광이 효과적으로 분산 및/또는 산란될 수 있도록 거칠기(roughness)를 가질 수 있다. 거칠기를 가지는 영역은 광원 지지부(150)의 배면의 전체 영역일 수도 있고 일부 영역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 지지부(150)의 배면뿐만 아니라, 광이 도달하는 다른 구성 요소의 다른 영역도 광의 효과적인 분산 및/또는 산란을 위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부(20)의 상면, 상세하게는 곤충 통과부의 상면, 하우징(30)의 내측벽 등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광원 지지부(150)는 하우징(30)의 체결부에 제공된 단턱부 상에 놓이며, 다양한 체결 부재에 의해 하우징(30)과 체결된다. 광원 지지부(150)와 하우징(30)을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로는 후크, 나사, 삽입 홈 및 돌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0)의 단턱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으로 제공되고, 광원 지지부(150)는 하우징(30)의 단턱부와 중첩하도록 원형으로 제공되어 하우징(30)의 단턱부 개구된 부분에 놓인다.
광원 지지부(150)에는 광원부(1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는 개구(155)가 제공된다. 개구에 광원부(10)가 하측 방향으로 삽입되며, 그 결과 광원 지지부(150)의 배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광원부(10)가 돌출된다.
광원부(10)는 곤충이 유인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한다. 곤충에 따라 유인되는 광의 파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광원부(10)는 곤충이 유인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며, 곤충에 따라 유인되는 광의 파장이 다를 경우 파장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곤충을 포충할 수 있다.
광원부(10)는 광원 지지부(150)의 개구(155)에 삽입된다. 광원 지지부(150)와 광원부(10)는 후크, 나사, 삽입 홈 및 돌기, 등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도 3a의 광원 소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는 곤충을 유인하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 유닛(110), 광원 유닛(110)이 수납되는 광원 케이스(130), 및 광원 케이스(130)를 덮는 광원 커버(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부(10)는 곤충을 유인하는 광을 출사하는 것으로 면광원 형태 및/또는 점광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부(10)는 점광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광원부(10)가 점광원의 형태로 제공된 것을 설명한다.
광원 유닛(110)은 기판(111)과, 기판(111) 상에 실장된 적어도 1 개의 발광 소자(113)를 포함한다. 기판(111)은 소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기판(111)의 적어도 일면에는 적어도 1개,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발광 소자(113)가 소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발광 소자(113)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발광 소자(113)는 일 직선을 따라 제공되거나, 지그재그 형상을 따라 제공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발광 소자(113)가 기판(111)의 양면에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발광 소자들(113)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발광 소자(113)가 기판(111)의 양면에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발광 소자(113)의 배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광 소자(113)는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113)는 곤충이 선호하는 파장 대역, 예를 들어,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 소자(113)으로부터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이 출사되는 경우, 광의 파장은 약 320nm 내지 약 400nm일 수 있다. 발광 소자(113)가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113)을 포함하는 경우, 각 발광 소자(113)는 동일한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거나,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113)는 모두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발광 소자들(113)는 자외선 파장 대역 중 일부를 출사하고, 나머지 발광 소자들(113)는 자외선 파장 대역 중 다른 파장 대역의 일부를 출사할 수 있다. 일 예로, 일부 발광 소자들(113)는 약 320 nm 내지 약 400 nm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나머지 발광 소자(113)는 이와 다른 파장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발광 소자들(113)이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경우, 발광 소자들(113)는 다양한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113)로부터 출사된 광의 파장은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파장 대역에 더해, 곤충이나 세균을 살균 또는 불활성화시키는 파장 대역의 광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경우, 포충기 내부에 곤충이 포획되는 바, 이러한 곤충 사체 등으로 인한 세균의 증식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살균 기능을 갖는 광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113)는 자외선 C 파장 대역인 약 100 nm 내지 280 nm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 할 수 있다.
그러나, 발광 소자(113)가 출사하는 광의 파장 대역은 상술한 범위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곤충이 유인되는 파장과 관련하여, 일 예로서, 파리 및 벼멸구의 경우 약 340 nm 또는 약 575 nm의 파장의 빛을 선호하며, 나방과 모기의 경우 약 366 nm 파장의 빛을 선호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다양한 곤충들은 가시 광선 파장 대역의 다양한 컬러, 예를 들어, 흰색, 노란색, 빨간색, 녹색, 파란색 광에 의한 곤충의 유인활성도 알려져 있다. 이에, 상술한 파장 대역뿐만 아니라, 곤충의 시각을 자극하여 유인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 상술한 예에 개시되지 않은 다른 다양한 파장의 광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소자(113)는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는 도 3a의 광원 소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발광 소자(113)가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수직형 또는 플립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b는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플립형 발광 다이오드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발광 다이오드(113)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활성층(1112)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을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113)의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의 하부에는 제1 전극으로 사용되는 기판(1100), 접착층(1101), 및 반사층(1109)이, 제2 도전형 반도체(1113)의 상부에는 제2 전극(1120)이 제공될 수 있다.
기판(1100)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Si, GaAs, GaP, AlGaINP, Ge, SiSe, GaN, AlInGaN 또는 InGaN 등이나, Al, Zn, Ag, W, Ti, Ni, Au, Mo, Pt, Pd, Cu, Cr 또는 Fe의 단일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활성층(1112)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Ⅲ-Ⅴ 계열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Al, Ga, In)N과 같은 질화물계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은 제1 도전형 불순물(예를 들어, Si)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제2 도전형 불순물(예를 들어, M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에는 러프닝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층(1112)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러프닝 처리된 계면에서 반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과 광원 기판(1110) 사이에 반사층(1109)이 개재될 수 있다. 반사층(1109)은 반사율이 큰 금속 물질, 예컨대 은(Ag) 또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 반사율이 높은 다른 금속이나 이들과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반사층(1109)과 광원 기판(1110) 사이에 접착층(1101)이 개재될 수 있으며, 접착층(1101)은 광원 기판(1110)과 반사층(1109)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광원 기판(1110)이 반사층(1109)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접착층(1101)과 반사층(1109) 사이에 확산방지층이 개재될 수 있다. 확산방지층은 접착층(1109) 또는 광원 기판(1110)으로부터 금속원소들이 반사층(1109)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사층(1109)의 반사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 상에는 제2 전극(1120)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전극으로 사용되는 광원 기판(1110)과 제2 전극(1120)을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113)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활성층(1112)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을 포함하는 메사(M), 제1 절연층(1130a, 1130b), 제1 전극(1140), 및 제2 절연층(1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판(1100) 및 제2 전극(11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0)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판이면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사파이어 기판,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 질화갈륨 기판, 질화알루미늄 기판, 실리콘 기판 등일 수 있다. 기판(1100)의 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활성층(1112)에서 생성된 광의 추출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활성층(1112)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Ⅲ-Ⅴ 계열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Al, Ga, In)N과 같은 질화물계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은 제1 도전형 불순물(예를 들어, Si)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제2 도전형 불순물(예를 들어, M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일 수도 있다. 활성층(1112)은 다중양자우물구조(MQM)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113)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면 활성층(1112)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금속유기화학 기상증착(MOCVD) 또는 분자선에피택시(MBE)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1100) 상에 성장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113)은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사(M)를 포함할 수 있다. 메사(M)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돌출부들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 다이오드(113)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메사(M)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사(M)의 측면은 포토레지스트 리플로우와 같은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진 메사(M)의 측면은 활성층(112)에서 생성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에는 메사(M)를 통해 노출되는 제1 컨택 영역(R1) 및 제2 컨택 영역(R2)이 제공된다. 메사(M)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상에 배치된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을 제거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메사(M)를 제외한 부분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의 노출된 상면인 컨택 영역이 된다. 제1 전극(1140)은 제1 컨택 영역(R1) 및 제2 컨택 영역(R2)과 접함으로써,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컨택 영역(R1)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의 외곽을 따라 메사(M) 주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사(M)와 발광 다이오드(113)의 측면 사이에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면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컨택 영역(R2)은 메사(M)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전극(1120)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 상에 배치되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2 전극(1120)은 메사(M) 상에 형성되며, 메사(M)의 형상을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1120)은 반사 금속층(1121)을 포함하며, 나아가 장벽 금속층(1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벽 금속층(1122)은 반사 금속층(1121)의 상면 및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예컨대, 반사 금속층(1121)의 패턴을 형성하고, 그 위에 장벽 금속층(1122)을 형성함으로써, 장벽 금속층(1122)이 반사 금속층(1121)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금속층(1121)은 Ag, Ag 합금, Ni/Ag, NiZn/Ag, TiO/Ag층을 증착 및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장벽 금속층(1122)은 Ni, Cr, Ti, Pt, Au 또는 그 복합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 상면에 순차적으로 Ni/Ag/[Ni/Ti]2/Au/Ti으로 형성된 복합층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전극(112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300Å 두께의 Ti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1120)의 상면 중 제1 절연층과 접하는 영역이 Ti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절연층(1130a, 1130b)과 제2 전극(1120)의 접착력이 개선되어, 발광 다이오드(113)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전극(1120) 상에 전극 보호층(116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전극 보호층(1160)은 제1 전극(1140)과 동일한 재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제1 절연층(1130a, 1130b)은 제1 전극(1140)과 메사(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30a, 1130b)을 통해, 제1 전극(1140)과 메사(M)가 절연될 수 있으며, 제1 전극(1140)과 제2 전극(1120)이 절연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30a, 1130b)은 제1 컨택 영역(R1) 및 제2 컨택 영역(R2)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연층(1130a, 1130b)은 개구부(1130a)를 통해 제2 컨택 영역(R2)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제1 절연층(1130a, 1130b)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의 외곽과 메사(M) 사이에서 제1 컨택 영역(R1)의 일부 영역만을 덮어, 제1 컨택 영역(R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30a, 1130b)이 제2 컨택 영역(R2) 상에서, 제2 컨택 영역(R2)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제1 절연층(1130a, 1130b)은 제1 컨택 영역(R1)과 제1 전극(1140)이 접하는 영역보다 메사(M)에 인접하게 한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30a, 1130b)은 제2 전극(112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130b)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1130b)를 통해 제2 전극(1120)은 패드 또는 범프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평면 상에서 볼 때, 제1 컨택 영역(R1)과 제1 전극(140)이 접하는 영역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상면의 전 외곽을 따라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컨택 영역(R1)과 제1 전극(1140)이 접하는 영역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의 네 측면과 모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메사(M)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1140)과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이 접하는 영역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제1 전극(1140)에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으로 흐르는 전류가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어서, 순방향 전압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113)의 제1 전극(1140) 및 제2 전극(1120)은 직접 혹은 패드를 통하여 기판(111)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113)이 패드를 통하여 기판(111)에 실장되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113)과 기판(111)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패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패드 각각은 각각 제1 전극(1140) 및 제2 전극(1120)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는 솔더 또는 유테틱 메틸(Eutectic Metal) 일 수 있으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테틱 메탈로 AuSn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광 다이오드(113)이 직접 기판(111)에 실장되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113)의 제1 전극(1140) 및 제2 전극(1120)이 직접 기판(111) 상의 배선에 본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딩 물질은 도전 성질을 갖는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딩 물질은 은(Ag), 주석(Sn),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딩 물질은 도전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유닛(110)은 광원 케이스(130)에 수납된다. 광원 케이스(130)는 기판(111)과 발광 소자들(113)을 보호한다.
광원 케이스(130)는 광원 유닛(110)이 수용되는 일측이 개구된 내부 공간(131)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 케이스(130)는 상방이 개구된 형태로서, 광원 유닛(110)이 상하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광원 케이스(130)의 내벽에는 광원 유닛(110)의 기판(111)이 체결되는 체결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 유닛(110)은 광원 케이스(130)에 슬라이드 체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원 케이스(130)에는 광원이 슬라이딩되도록 슬릿(133)이 제공될 수 있다.
광원 케이스(130)의 상부에는 광원 커버(120)가 제공되며 광원 유닛(110) 및 광원 케이스(130)를 덮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 커버(120)와 광원 케이스(130)는 서로 체결 부재를 통해 체결된다. 체결 부재로는 후크, 나사, 삽입 홈 및 돌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 케이스(130)는 투명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광원들과 기판(111)을 보호함과 동시에 광원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 케이스(13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충기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원 유닛(110)이 한 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 유닛(110)이 두 개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광원 유닛(110)에 제공된 개별 광원 및/또는 기판(111)의 개수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광원부(10)의 하부에는 송풍부(20)가 제공된다. 송풍부(20)는 공기를 공기 유입부로부터 공기 배출구(30b)로 이동시킨다. 송풍부(20)는 하우징(30)의 내주면에 체결 부재를 통해 체결된다. 체결 부재로는 후크, 나사, 삽입 홈 및 돌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송풍부(20)는 팬(220)과, 팬(220)의 상부나 하부 중 적어도 일 측에 제공된 곤충 통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곤충 통과부는 팬(220)의 상부에 제공된 상부 곤충 통과부(210)와 팬(220)의 하부에 제공된 하부 곤충 통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곤충 통과부(210)는 광원부(10)와 팬(220) 사이에 제공되며, 하부 곤충 통과부(230)는 팬(220)과 포집부(40) 사이에 제공된다. 상부 곤충 통과부(210)와 하부 곤충 통과부(230)는 팬(220)을 사이에 두고 체결 부재로 채결된다. 채결 부재는 후크, 나사, 삽입 홈 및 돌기, 등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부 곤충 통과부(210), 하부 곤충 통과부(230), 및 팬(220)은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부 곤충 통과부(210)와 하부 곤충 통과부(230)는 평면 상에서 볼 때 팬(220)과 중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 곤충 통과부(210)와 하부 곤충 통과부(230)의 직경은 하부의 팬(220)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곤충 통과부(210) 및 하부 곤충 통과부(230)는 공기 및 곤충이 관통되는 관통 홀(211, 231)을 갖는다.
관통 홀(211, 231)을 통해 팬(220)의 회전에 따라 공기가 관통하며, 공기의 유동에 따라 곤충이 상하로 통과할 수 있다. 관통 홀(211, 231)의 크기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팬(220)은 모터 및 모터에 연결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한다. 복수의 날개는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모터에 의해 팬(220)이 구동되는 경우, 송풍부(20) 상부의 공기 유입구(30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송풍부(20) 하부의 공기 배출구(30b)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팬(2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팬(220)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곤충 통과부의 하부에는 포집부(40)가 제공된다.
포집부(40)는 송풍부(20)에 의해 유입된 곤충을 포집한다. 포집부(40)는 송풍부(20)의 하부에 제공되며, 하우징(30)의 하단부에 장착된다. 포집부(40)에는 곤충이 가두어지는 포집 공간 및 포집 공간 내로 곤충이 유입될 수 있는 입구를 갖는다. 포집부(40)는 송풍부(20)로부터 제공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메쉬 형태로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 있어서, 포집부(40)는 포집망(410)과, 포집망(410)의 상부를 개폐하는 포집망 덮개(420)를 포함한다.
포집망(410)은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 예를 들어, 하부는 막히고 상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포집망(410) 상부의 개구에는 포집망 덮개(420)가 배치된다.
포집망(410)은 가장 하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파지부(4111)를 갖는 저면부(411)와, 저면부(41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포스트들(413), 및 포스트들(413) 사이에 제공된 메쉬부(425), 포스트들(413)에 연결되며, 포집망 덮개(420)와 및 하우징(30)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 부재를 갖는 상부 링(412)을 갖는다.
포집망 덮개(420)는 포집망(4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포집망(410)의 상부를 커버한다.
포집망 덮개(420)는 공기의 유동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는 셔터들(427)과, 하부의 셔터들(427)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바디 프레임(421)을 포함한다.
바디 프레임(421)에는 내외부의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바디 프레임(421)의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는 등 바디 프레임(421)의 강성을 유지하는 리브들(423, 435)이 제공된다. 리브들(423, 435)은 연장 방향에 따라 제1 리브들(423)과 제2 리브들(425)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집망 덮개(420)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과 함께 상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집망 덮개(420)는 포집망(410)과 체결되어, 포집부(40)를 이룬다. 이를 위해 포집망 덮개(420)에는 포집망(410)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 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후크, 나사, 삽입 홈 및 돌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집망 덮개(420)에는 삽입 돌기(429)가 제공되고, 포집망(410)의 상부 링(412)에는 상기 삽입 돌기(429)가 삽입되는 삽입 홈(419)이 제공될 수 있다.
포집부(40) 전체, 즉, 포집망(410)과 포집망 덮개(420)가 장착된 조립체는 하우징(3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포집망(410)과 하우징(30)에는 체결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 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후크, 나사, 삽입 홈 및 돌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집망(410)의 일부에는, 예를 들어, 상부 링(412)에는 삽입 돌기(417)가 제공되고, 하우징(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 돌기(417)가 삽입되는 삽입 홈(317)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포집망(410)의 상부 링(412)에는 포집망(410)이 하우징(30)에 회전 삽입될 수 있도록 나선 형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에는 나선형의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나, 나선형의 돌기와 맞물리는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포집망(410)을 하우징(30) 내에 배치시킨 후 포집망(41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포집망(410)을 하우징(3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나선형 돌기의 끝부분에 후크를 배치함으로써, 포집망(410)이 하우징(30)에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집부(40) 내에서의 체결 구조와 포집부(40)와 하우징(30)의 체결 관계는 본 발명의 한도 내에서 달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포집망(410)과 포집망 덮개(420)가 체결되고, 포집망(410)이 하우징(30)과 체결되는 구조로 설명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포집망(410)과 포집망 덮개(420)가 체결되되, 포집망 덮개(420)가 하우징(30)과 체결될 수도 있다.
포집부(40)에 충분한 곤충이 포집되는 경우, 포집부(40)를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한 후, 포집부(40) 내부의 곤충을 버리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곤충을 제거할 수 있다. 곤충이 제거된 포집부(40)는 다시 하우징(30)에 장착되어 다른 곤충을 포획할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망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포집망 덮개가 닫힌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도 6a의 I-I'선에 따른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c는 도 6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망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포집망 덮개가 열린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도 7a의 II-II'선에 따른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c는 도 7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망 덮개(420)는 바디 프레임(421), 바디 프레임(421)에 연결된 리브, 바디 프레임(421)에 장착된 셔터부(427)를 포함한다.
바디 프레임(421)은 포집망(410)의 전체적인 형상을 구성하는 바, 평면 상에서 볼 때(즉,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바라볼 때), 링 형상이되, 상하 방향으로 폭을 갖는 판상을 갖는다. 바디 프레임(421)의 평면 상에서의 형상은 포집망(410)에 형성된 개구의 둘레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포집망(410)의 상부 링(412)이 평면 상에서 볼 때 원형으로 제공된 경우, 바디 프레임(421) 또한 원형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 프레임(421)은 포집망(410)의 상부 링(412)의 끼워지도록 상부 링(412)과 비슷한 형태로 제공된다. 이 경우, 바디 프레임(421)의 외경은 상부 링(412)의 내경보다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제공되며, 바디 프레임(421)의 외주면이 상부 링(412)의 내주면과 만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바디 프레임(421)의 내주면에는 바디 프레임(421)의 형상 및 강성을 유지하는 리브가 적어도 1개 이상 제공된다.
리브는 상하 방향(즉, 제1 방향(D1))으로 폭을 가지며, 제1 방향(D1)에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판상의 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2 방향(D2)은 바디 프레임(421)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리브는 제2 방향(D2)을 따라 양 단부를 가지며, 양 단부 중 하나는 바디 프레임(421)의 일 영역에, 나머지 하나는 바디 프레임(421)의 다른 영역에 연결된다. 평면 상에서 볼 때 리브는 원 형상의 바디 프레임(421)에 있어서 현에 대응될 수 있다.
리브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브가 복수 개로 제공될 때, 리브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리브가 복수 개로 제공될 때, 리브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리브들은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리브들(423)과, 제2 방향(D2)과 교차하는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2 리브들(4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방향(D3)도 바디 프레임(421)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이다. 제2 방향(D2)과 제3 방향(D3)이 이루는 각도는 동일한 방향이 아닌 한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90도거나 90도에 가까운 값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90도인 것을 일 예로서 도시하였다. 제1 및 제2 리브들(423, 425)이 이루는 각도가 약 90도인 경우, 인가되는 스트레스가 제1 및 제2 리브들(423, 425)에 더 효율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그러나, 바디 프레임(421)의 형상이 원이 아닌 타원이나 기타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 제1 리브(423)와 제2 리브(425)가 이루는 각도가 90도일 필요는 없으며 바디 프레임(421)의 강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리브들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바디 프레임(421)이 상대적으로 강성이 큰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리브들의 개수는 적을 수 있으며, 바디 프레임(421)이 상대적으로 강성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리브들의 개수는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리브(423)와 제2 리브(425)가 각각 2개인 것이 도시되었다.
제1 리브(423), 및 제2 리브(425)는 상하 방향(즉, 제1 방향(D1))으로 폭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브(423), 및 제2 리브(425)의 상하 방향 폭을 각각 제1 폭(W1) 및 제2 폭(W2)이라고 하면, 제1 리브(423)의 제1 폭(W1)과 제2 리브(425)의 제2 폭(W2)은 후술할 셔터부(427)가 최대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값을 갖는다. 즉, 제1 폭(W1)과 제2 폭(W2)는 셔터부(427)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폭(W1) 및 제2 폭(W2)은 바디 프레임(421)의 폭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제1 폭(W1)과 제2 폭(W2)이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 프레임(421), 제1 리브(423) 및 제2 리브(425)는 분리되지 않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망 덮개(420)에는 셔터부(427)가 제공된다. 셔터부(427)는 송풍부(20; 도 2, 도 4 참조)의 온/오프에 따라 포집망(410) 상부를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한다.
셔터부(427)는 두 개의 셔터들, 즉 제1 셔터(4273a)와 제2 셔터(4273b)를 포함한다. 제1 셔터(4273a)와 제2 셔터(4273b)는 하나의 원을 이루는 한 쌍의 반원 형상으로 제공된다. 제1 셔터(4273a)와 제2 셔터(4273b)는 평면 상에서 볼 때, 바디 프레임(421)이 이루는 원을 커버하도록 바디 프레임(421)의 반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지름을 갖는다. 평면 상에서 볼 때, 제1 셔터(4273a)의 둘레는 반원 형상의 호와 중심의 근처를 지나는 현으로 이루어지며, 제2 셔터(4273b)의 둘레는 나머지 반원 형상의 호와 중심의 근처를 지나는 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셔터(4273a)와 제2 셔터(4273b)의 호 부분은 바디 프레임(421)의 내주면과 각각 마주보며, 제1 셔터(4273a)와 제2 셔터(4273b)의 현에 해당하는 부분은 서로 마주본다. 셔터부(427)와 바디 프레임(421)의 내주면 사이, 및 제1 셔터(4273a)와 제2 셔터(4273b) 사이는 곤충이 통과하지는 못할 정도이되,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한 정도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셔터(4273a)에는 제1 셔터(4273a)가 회전할 수 있도록 피봇 축에 해당하는 제1 회전 막대(4271a)가 제공된다. 제1 회전 막대(4271a)는 제1 셔터(4273a)의 현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공되며, 일측과 타측이 바디 프레임(421)에 체결된다. 바디 프레임(421)에는 제1 회전 막대(4271a)가 장착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은 바디 프레임(421)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회전 막대(4271a)는 상기 구멍에 끼워진다.
상기 제1 회전 막대(4271a)에 의해 제1 셔터(4273a)의 양쪽에는 서로 다른 면적으로 분할된 제1 메인 날개(4273ma)와 제1 서브 날개(4273sa)가 배치된다. 제1 메인 날개(4273ma)는 활꼴 형상을 가지며, 회전 막대 부분이 활꼴에서의 현에 해당한다. 제1 메인 날개(4273ma)는 제1 서브 날개(4273sa)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제1 서브 날개(4273sa)는 제1 회전 막대(4271a)를 사이에 두고 제1 메인 날개(4273ma)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대체적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제1 서브 날개(4273sa)에는 제1 무게 추(4275a)가 제공된다. 제1 무게 추(4275a)는 면적이 작은 제1 서브 날개(4273sa)에 제공됨으로써, 면적이 넓은 제1 메인 날개(4273ma)와의 무게 차이를 보상한다. 제1 무게 추(4275a)는 제1 메인 날개(4273ma)와 제1 서브 날개(4273sa)와의 무게 차이에 상응하는 무게를 갖거나 더 무거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셔터(4273a)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제1 셔터(4273a)는 제1 회전 막대(4271a)를 사이에 두고 제1 셔터(4273a)가 바디 프레임(421)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제2 방향(D2)과 제3 방향(D3)이 이루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셔터(4273b)에는 제2 회전 막대(4271b)가 제공되며, 제2 회전 막대(4271b)를 사이에 두고 제2 메인 날개(4273mb)와 제2 서브 날개(4273sb)가 배치된다. 제2 서브 날개(4273sb)에는 제2 무게추가 장착되며, 제2 셔터(4273b)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제2 셔터(4273b)는 제2 회전 막대(4271b)를 사이에 두고 제2 셔터(4273b)가 바디 프레임(421)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제2 방향(D2)과 제3 방향(D3)이 이루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셔터부(427)에 송풍부(20)의 팬(220)에 의해 공기가 제공되는 경우, 공기에 의한 압력으로 셔터부(427)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포집망(410)이 열리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송풍부(20)의 팬(220)이 구동되는 경우, 송풍부(20)로부터 포집망(410)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며, 상기 공기의 이동으로 인해 셔터에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제1 메인 날개(4273ma)와 제2 메인 날개(4273mb)의 면적이 제1 서브 날개(4273sa)와 제2 서브 날개(4273sb)의 면적보다 훨씬 넓으므로, 공기에 의한 힘은 주로 제1 및 제2 메인 날개(4273ma, 4273mb)에 인가되고, 그 결과, 셔터부(427)는 제1 및 제2 회전 막대(4271a, 4271b)를 피봇 중심으로 소정 각도(θ)로 회전함으로써 수평 방향에 경사지게 이동된다. 이에 따라, 셔터부(427)가 열리게 된다.
도 7c에서는 셔터부(427)의 원래 위치와 이동에 의해 수평 방향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함께 도시하였다. 여기서, 제1 및 제2 셔터들(4273a, 4273b)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각도나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셔터들(4273a, 4273b) 각각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오픈될 수 있으며, 그 각도는 0도부터 180도까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셔터(4273a)와 제2 셔터(4273b)는 대칭적으로 또는 비대칭적으로 오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셔터(4273a)와 제2 셔터(4273b)는 둘다 45도 각도로 오픈되거나, 둘다 90도의 각도로 오픈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셔터(4273a)는 95도 각도로 오픈되고, 제2 셔터(4273b)는 85도 각도로 오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셔터(4273a)와 제2 셔터(4273b)는 대칭적으로 오픈되든, 또는 비대칭적으로 오픈되든지 간에, 셔터부(427)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으로의 각도 제한이 없기 때문에 인가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최대한의 유로를 확보될 수 있게 한다. 유로가 넓어지는 경우, 처리할 수 있는 유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포집기로 더 많은 공기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이동은 결국 포집 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회전 막대(4271a, 4271b)가 끼워지는 구멍은 바디 프레임(421)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리브들(423, 425)은 바디 프레임(421)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리브들(423, 425)은 셔터들의 일부 영역에서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서브 날개(4273sa, 4273sb)와 이격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바디 프레임(421)은 회전 막대 구멍과 제1 및 제2 리브들(423, 425)이 충분히 멀리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폭(W1)이나 제2 폭(W2)보다 충분히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서브 날개(4273sa, 4273sb)가 제1 및 제2 회전 막대(4271a, 4271b)를 따라 회전 하더라도, 제1 리브(423)나 제2 리브(425)에 의해서는 회전이 방해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포충기는 포집망(410)에 포집망(410)을 덮는 포집망 덮개(420)가 장착됨으로써 포획된 곤충들이 유실되거나 탈출하는 일이 방지된다. 특히, 포집망 덮개(420)는 송풍부(20)의 팬(220)이 구동되는 경우에만 열리는 바, 송풍부(20)의 팬(220)이 구동될 때는 지속적으로 공기가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곤충이 개구된 포집망(410) 입구로부터 탈출하기 어렵다. 또한, 송풍부(20)의 팬(220)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공기에 의한 압력이 없어지므로, 셔터부(427)가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역시 곤충이 포집망(410)으로부터 탈출할 수 없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집부(40)로부터 곤충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도 포획된 곤충의 탈출이나 유실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포집망(410)과 포집망 덮개(420)가 장착된 조립체가 닫힌 상태에서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되므로, 포획된 곤충들이 유실되거나 탈출할 수 없다. 기존 발명에서는 포집망(410)만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포집망(410)의 상부로 포획된 곤충들이 탈출하거나 유실될 수 있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 덮개(420)는 본 발명의 개념에 맞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리브(423)와 제2 리브(425) 중 어느 하나는 셔터부(427)의 회전 각도를 일부 제한하는 리미터로서 기능하도록, 제1 리브(423)와 제2 리브(425)는 서로 다른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셔터부(427)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포집망(410)의 개구가 다시 열린다. 이에 따라, 셔터부(427)의 상방 회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리브(425)의 제2 폭(W2)을 제1 리브(423)의 제1 폭(W1)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2 리브(425)를 셔터의 상방 회전을 방지하는 리미터로서 이용한다.
다시 말해, 제2 리브(425)는 셔터부(427)가 회전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셔터부(427)가 수평면 상을 지나 상방으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제2 리브(425)는 셔터부(427)의 피봇 중심인 회전 막대(4271a, 4271b)와 평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회전 막대(4271a, 4271b)는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되므로, 제2 리브(425) 또한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1 서브 날개(4273sa)와 제2 서브 날개(4273sb)의 회전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 리브(423)는 제1 서브 날개(4273sa)와 제2 서브 날개(4273sb)로부터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부(427)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셔터부(427)가 항상 수평하도록 무게의 평형을 굳이 유지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부(427)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무게 추(4275a, 4275b)는 제1 및 제2 메인 날개(4273ma, 4273mb)의 무게보다 더 무거울 수 있다. 송풍부(20)에 의한 별도의 힘의 인가가 없는 이상, 제1 및 제2 무게 추(4275a, 4275b)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날개(4273ma, 4273mb)는 제2 리브(425)에 접촉하며, 포집부(40)는 닫힌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충기에는 셔터의 회전 각도를 일부 제한하는 리미터로서 리브 중 일부를 사용하되, 리브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바디 프레임(421)에는 평면 상에서 볼 때 바디 프레임(421)을 가로지르는 제1 리브(423')와, 원 형상을 갖는 제2 리브(425')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리브(423')는 복수 개로 제공되어 평면 상에서 볼 때 바디 프레임(42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리브(423')는 일단이 원의 중심에 있고 타단이 바디 프레임(42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일단이 바디 프레임(421) 내 소정 영역에 있고, 타단만 바디 프레임(421)에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리브(425')는 바디 프레임(421)과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리브(425')는 단수 개 또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리브(423', 425')는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리브(423', 425')는 셔터부(427)의 회전, 특히, 제1 및 제2 서브 날개(4273sa, 4273sb)의 회전 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소정 구간에서 제1 및 제2 서브 날개(4273sa, 4273sb)와 이격될 수 있는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서브 날개(4273sa, 4273sb)가 회전하는 구간인 제1 및 제2 회전 막대(4271a, 4271b) 부근에서의 제1 및 제2 리브들(423, 425)은 상대적으로 좁은 제1 폭(W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브들(423, 425)은, 제1 및 제2 서브 날개(4273sa, 4273sb)가 회전하는 구간과 거리가 떨어진 구간이면서, 제1 및 제2 메인 날개(4273ma, 4273mb)의 회전 구간에서는 제1 및 제2 메인 날개(4273ma, 4273mb)의 상방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리미터로서 기능하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제2 폭(W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리브(423', 425')는 바디 프레임(421)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충기에는 셔터의 회전 각도를 일부 제한하는 리미터로서 다른 구성 요소가 채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디 프레임(421)에는 하나는 셔터부(427)의 회전 각도를 일부 제한하는 회전 리미터(4211)가 제공될 수 있다.
회전 리미터(4211)는 바디 프레임(42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상을 갖는다. 회전 리미터(4211)는 단순한 반원형이나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셔터(4273a)와 제2 셔터(4273b)의 상방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도 내에서 그 크기와 형상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 리미터(4211)는 셔터부(427)가 닫혔을 때 수평 방향을 이루는 위치에 대응하여 바디 프레임(421)에 형성된다. 셔터부(427)의 상면은 회전 리미터(4211)의 하부면과 접촉하면서 상방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는데, 이때, 셔터부(427)의 상면은 수평 방향과 평행하다.
그러나, 회전 리미터(4211)의 위치는 셔터부(427)의 상면이 완전히 수평 방향과 평행하도록 하는 위치에만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상술한 제2 리브(425)가 리미터로 기능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리미터(4211)가 수평 방향보다 약간 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셔터부(427)는 회전 리미터(4211)가 배치된 위치까지 상방으로 약간 더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리미터(4211)의 위치는 셔터부(427)가 상방 회전함으로써 틈이 발생하더라도 그 틈을 통해 포획된 곤충이 탈출하기는 어려울 정도 내에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브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회전 리미터를 채용하는 것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셔터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 있어서, 셔터가 아니라 회전 막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조를 채용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시된 부분은 도 6a의 P1 부분에 대응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회전 막대(4271a)와, 제1 회전 막대(4271a)와 체결되는 바디 프레임(421)에는 제1 회전 막대(4271a)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프레임(421)에는 제1 회전 막대(4271a)가 삽입 체결되는 구멍이 제공되며, 제1 회전 막대(4271a)는 구멍에 삽입된 후 제1 회전 막대(4271a)의 중심 축을 피봇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 막대(4271a)에는 일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4271p)이 제공된다. 바디 프레임(421)에는 걸림턱(4271p)의 회전 각도 및 위치를 제한하도록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피봇 리미터(4213)가 제공된다. 걸림턱(4271p)은 제1 회전 막대(4271a)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피봇 리미터(4213)가 형성된 영역 내에서 회전한다.
여기서, 걸림턱(4271p)의 형상이나 개수, 피봇 리미터(4213)의 형상이나 개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봇 리미터(4213)의 개수, 및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셔터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회전 막대(4271a) 자체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경우, 상술한 다른 리미터들, 예를 들어, 별도의 회전 리미터(4211)나 제2 리브(425)를 이용한 리미터를 형성해도 되고, 또는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부는 송풍부의 온/오프에 따라 개폐가 가능한 것으로서 다른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집망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들로서, 도 13a은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 13b는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집망 덮개(420)는 바디 프레임(421)과 바디 프레임(421)의 하단에 장착된 셔터부(42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부(427)는 커팅 라인(4273t)을 따라 절개된 복수의 절개형 셔터(4273c)들을 포함한다. 커팅 라인(4273t)은 평면 상에서 볼 때 바디 프레임(42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셔터부(427)는 가요성을 가지면서도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부로부터 공기의 이동으로 인한 압력이 인가될 때 하방으로 휘어지면서 셔터가 열리게 된다. 공기의 이동으로 인한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셔터부(427)가 다시 닫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부(427)는 서로 연결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셔터부(427)는, 별도로 제조되어 바디 프레임(421)에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바디 프레임(42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 하우징, 포집부 등에는 포획된 해충을 살충하는 살충제 분사부가 제공될 수 있다. 살충제 분사부에는 포집부에 포집된 곤충을 살충하는 살충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살충제가 분사됨으로써 포집부에 잡힌 곤충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살충제 분사부의 형상이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포집 효과 및 살충 효과에 더해, 살균, 정화, 탈취 등의 효과를 내는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살균 효과를 갖는 광촉매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 하우징, 포집부 등에는 가열부(예를 들어, 열선)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자외선 광원과의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는 포충기의 경우, 주면 온도를 높임으로써 자외선과 광촉매 물질과의 반응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포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가열부가 포충기에 장착되는 경우, 고온을 좋아하는 곤충 등을 추가적으로 유인할 수 있으며, 고온으로 포획된 곤충을 건조시킴으로써 포획된 곤충을 확실히 살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구동부는 곤충에 따라 다른 파장을 방출하거나, 곤충의 양에 따라 출사 광량을 조절하거나, 광원의 온/오프나 점멸 정도를 제어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광량 감지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광량 감지 센서는 외부 광량을 감지하여 광원부의 광량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거나, 광원부의 광량을 감지하여 광원부의 교체 시기를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광원부 110 : 광원 유닛
111 : 기판 113 : 발광 소자
120 : 광원 커버 130 : 광원 케이스
150 : 광원 지지부 20: 송풍부
210: 상부 곤충 통과부 220: 팬
230: 하부 곤충 통과부 30: 하우징
31 : 본체 33 : 포스트
30a : 공기 유입구 30b : 공기 배출구
40: 포집부 410 : 포집망
420 : 포집망 덮개(lid) 421 : 바디 프레임
423 : 제1 리브 425 : 제2 리브
427 : 셔터부 4271a, 4271b : 제1 및 제2 회전 막대
4273a, 4273b : 제1 및 제2 셔터(shutter)
4273ma, 4273mb : 제1 및 제2 메인 날개(wing)
4273sa, 4273sb : 제1 및 제2 서브 날개
4275a, 4275b : 제1 및 제2 무게추
50 : 커버
D1, D2, D3 :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
W1, W2, W3 : 제1 폭 내지 제2 폭

Claims (25)

  1.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하부에 배치된 팬;
    상기 팬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팬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과 체결 가능한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팬과 마주보는 개구를 갖는 포집망;
    상기 포집망에 체결가능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브; 및
    상기 제1 리브와 이격되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팬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는 셔터부를 포함하는 포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포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포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리브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은 서로 수직인 포충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과 동일한 포충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큰 포충기.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원형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바디 프레임과 다른 반지름을 갖는 동심원으로 제공된 포충기.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제1 및 제2 회전 막대;
    상기 회전 막대에 각각 장착된 판상의 제1 및 제2 셔터; 및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일측에 제공된 제1 및 제2 무게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각각은 상기 회전 막대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포충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막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인 포충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는 각각 상기 제1 회전 막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메인 날개와 보조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날개에 상기 무게 추가 장착되는 포충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상기 보조 날개는 상기 제1 리브와 이격된 포충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날개는 상기 팬이 구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2 리브와 접촉하는 포충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날개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팬이 구동되지 않을 때 서로 마주보는 포충기.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는 상기 팬이 동작하지 않을 때 닫히고, 상기 팬이 동작할 때 상기 제2 방향에 경사지게 열리는 포충기.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막대는 상기 회전 막대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프레임은 상기 걸림턱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리미터를 포함하는 포충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를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상기 하우징, 상기 커버, 상기 팬, 및 상기 포집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살충제가 분사되는 디스펜서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상기 하우징, 상기 커버, 상기 팬, 및 상기 포집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열을 방사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은 상기 바디 프레임과 상기 포집망과 결합하는 제1 체결부를 가지는 포충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삽입 돌기이며, 상기 포집망은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갖는 포충기.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가지는 포충기.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삽입 돌기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갖는 포충기.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으로 돌출된 나선형 돌기이며, 상기 포집망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삽입되는 포충기.
KR1020170125667A 2017-09-28 2017-09-28 포충기 KR20190036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667A KR20190036595A (ko) 2017-09-28 2017-09-28 포충기
US16/145,451 US20190090470A1 (en) 2017-09-28 2018-09-28 Insect 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667A KR20190036595A (ko) 2017-09-28 2017-09-28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595A true KR20190036595A (ko) 2019-04-05

Family

ID=6580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667A KR20190036595A (ko) 2017-09-28 2017-09-28 포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090470A1 (ko)
KR (1) KR201900365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638B1 (ko) * 2022-09-19 2023-01-18 주식회사 비에프엔지니어링 전기 해충 퇴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762B1 (ko) * 2017-01-10 2022-12-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US11369104B2 (en) * 2017-05-01 2022-06-28 Pelsis Limited Pest trap
US10980224B2 (en) * 2017-10-12 2021-04-20 Sterling International Inc. Pillar device for adhesive insect capture with bird guards
US20190297868A1 (en) * 2018-02-17 2019-10-03 Shane Patrick Warner Trap System For Insects
GB201816993D0 (en) * 2018-10-18 2018-12-05 Pelsis Ltd Trap
WO2020219946A1 (en) 2019-04-26 2020-10-29 Pic Corporation Solar powered lighting element with simulated flame and electrical insect eliminator
CN109997820B (zh) * 2019-04-30 2023-12-26 林英强 一种诱捕器
CN111296380A (zh) * 2020-02-14 2020-06-19 巢湖学院 一种电子混合式灭蚊器及其使用方法
USD914128S1 (en) 2020-03-03 2021-03-23 Sterling International Inc. End cap for an insect trap
USD915544S1 (en) 2020-03-03 2021-04-06 Sterling International Inc. Bird guard for an insect trap
CN111520639A (zh) * 2020-04-30 2020-08-11 付慢利 一种具有自灭蚊虫功能的户外led照明灯
CN112119992B (zh) * 2020-09-24 2022-04-01 裴睿昕 一种智能控制杀虫灯
US20220132824A1 (en) * 2020-10-30 2022-05-05 19 Thrasio Nineteen, Inc. Insect capture device
CN214102884U (zh) * 2020-12-02 2021-09-03 浙江硕而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灭蚊灯
CN113519481A (zh) * 2021-07-05 2021-10-22 巢湖市友林林业有害生物防治有限公司 一种用于林业有害生物综合防控管理的专用装置
EP4223117A1 (en) * 2022-02-04 2023-08-09 Biogents Aktiengesellschaft Insect catching device and method for catching flying ins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638B1 (ko) * 2022-09-19 2023-01-18 주식회사 비에프엔지니어링 전기 해충 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90470A1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6595A (ko) 포충기
CN110831437B (zh) 捕虫器
KR102457324B1 (ko) 포충기
WO2007135687A2 (en) Devices for trapping insects
JP2004521641A (ja) 虫取り器
KR101854414B1 (ko) 해충 유인형 포충기
JP2008104444A (ja) 害虫除去装置
CN204733790U (zh) 害虫诱捕装置
KR20190019763A (ko) 포충기
KR20150125220A (ko) 포충 장치
KR100538043B1 (ko) 전자 포충기
KR101270820B1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KR20160067341A (ko) 해충 퇴치 장치
US20190297868A1 (en) Trap System For Insects
EP2319302B1 (en) Insect trap
KR100537635B1 (ko) 해충 포집장치
TWI820305B (zh) 捕蟲器
US20200323189A1 (en) Trapping method, light source device, and trapping device for adult moths belonging to indoor phycitinae subfamily
KR200410977Y1 (ko) 해충 포살기
KR101994264B1 (ko) 포충기
KR102525233B1 (ko) 포충기
KR20120019875A (ko) 끈끈이 해충 포집기
JP2007319154A (ja) 電撃殺虫器の殺虫効果を増大させる装置。
WO2022201495A1 (ja) 捕虫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