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403A -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403A
KR20190036403A KR1020170125559A KR20170125559A KR20190036403A KR 20190036403 A KR20190036403 A KR 20190036403A KR 1020170125559 A KR1020170125559 A KR 1020170125559A KR 20170125559 A KR20170125559 A KR 20170125559A KR 20190036403 A KR20190036403 A KR 20190036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air purifier
guide memb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박봉균
정해융
김차중
정연우
한임경
주소미
차진희
한가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403A/ko
Publication of KR2019003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24F3/16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 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송풍 모듈에 의해 토출구로 송풍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필터, 하우징에 장착되고, 외부 공기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하우징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고, 센서에서 감지된 외부 공기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정화 장치{AIR PURIFIER}
본 발명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실내 공기를 환기하기 위하여 창문을 연다. 물론, 일부 사람들은 공기 청정기와 같은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창문 개폐 없이 실내 공기를 정화하지만, 공기 청정기는 구매 비용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 비용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사람들은 공기 청정기를 구매하고도 창문 개폐를 통해 실내 공기 환기 또는 정화를 종종 하는데, 최근에는 미세먼지가 자주 발생하면서 창문 개폐를 통한 실내 공기 환기 또는 정화가 어려워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 사이(또는 벽과 창문 사이)에 설치 가능하고,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에 배치 가능한 충전 도크를 통해 충전 및 실내 공기 정화가 가능한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 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송풍 모듈에 의해 토출구로 송풍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필터 및, 하우징을 창문 사이(또는 벽과 창문 사이)에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탄성 고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창문 사이(또는 벽과 창문 사이)에 설치 가능하고,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하우징이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충전 도크를 포함함으로써 충전 및 실내 공기 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창문 사이(또는 벽과 창문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바, 미세먼지가 심할 때에도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설치 대상 창문과 두께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변형이 가능한 탄성 고정 부재를 통해 설치 대상 창문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문 두께와 상관없이 다양한 창문에 설치 가능하고, 작업자의 설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충전 도크를 통해 실내 어디에든 직립 형태로 설치 가능한바, 실내 공기 정화 효율 및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도크를 통해 충전 작업 및 실내 공기 정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바, 작업 효율성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충전 도크가 분리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이드 부재가 인입출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공기 정화 장치가 창문 사이에 설치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7은 도 1의 하우징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의 탄성 고정 부재가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공기 정화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충전 도크가 분리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이드 부재가 인입출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공기 정화 장치가 창문 사이에 설치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7은 도 1의 하우징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의 탄성 고정 부재가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공기 정화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는 하우징(100), 충전 도크(300), 가이드 부재(200), 송풍 모듈(도 7의 135), 공기 정화 필터(도 7의 140), 보호용 유리(도 7의 270), 디스플레이 모듈(250), 탄성 고정 부재(320), 제어 모듈(도 10의 450), 입력 모듈(도 10의 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흡입구(도 7의 122)와 토출구(115)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토출구(115)가 형성된 전면 커버(110)와, 흡입구(도 7의 122)가 형성된 후면 커버(120)와, 전면 커버(110)의 하단과 후면 커버(120)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고 송풍 모듈(도 7의 135) 및 공기 정화 필터(도 7의 140)가 설치되는 받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토출구(115)는 후술하는 공기 정화 필터(도 7의 140)와 Y축 방향(Y)으로 오버랩되도록 전면 커버(110)의 하단에 형성되고, 흡입구(도 7의 122)는 토출구(115)와 Y축 방향(Y)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후면 커버(12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도 7의 122)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15)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참고로, Y축 방향(Y), X축 방향(X), Z축 방향(Z)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전면 커버(110)의 후면에는 세로 방향(즉, Z축 방향(Z))으로 연장되도록 제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후면 커버(120)의 전면에는 세로 방향(즉, Z축 방향(Z))으로 연장되도록 제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커버(110) 및 후면 커버(120)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200)의 슬라이딩 돌기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2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세로 방향(즉, Z축 방향(Z))으로 인입출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센서(도 10의 420)가 장착되고,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송풍 모듈(도 7의 135) 및 공기 정화 필터(도 7의 140)가 구비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충전 도크(300)는 하우징(100)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도크(300)는 하우징(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하우징(100)이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충전 도크(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하단에 결합시 하우징(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을 공기 정화 장치(1)의 각 구성요소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도크(30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도크(300)가 유선 방식으로 충전되는 경우, 충전 도크(300)는 전선(미도시)을 통해 전력 공급 장치에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
반면에 충전 도크(300)가 무선 방식으로 충전되는 경우, 충전 도크(300)는 전력 공급 장치(즉, 무선 충전 송신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되는 무선 충전 수신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도크(300)는 무선 충전 수신기로써, 다양한 방식(예를 들어, 자기유도방식(WPC 또는 PMA) 또는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충전 도크(300)를 통해, 하우징(100), 즉, 공기 정화 장치(1)가 실내 어디에든 직립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바, 공간 활용도가 개선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실내 공간 중 공기 오염이 심한 곳에 공기 정화 장치(1)를 설치함으로써 실내 공기 정화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세로 방향(즉, Z축 방향(Z))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00)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50)과 보호용 유리(도 7의 27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200)는 받침부(130)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 사이에서 세로 방향(즉, Z축 방향(Z))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즉,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200)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Z축 방향(Z)으로 연장되는 전면 슬라이딩 돌기 및 후면 슬라이딩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200)의 전면 슬라이딩 돌기는 전면 커버(110)의 제1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 부재(200)의 후면 슬라이딩 돌기는 후면 커버(120)의 제2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가이드 부재(200)의 Z축 방향(Z)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200)가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하우징(100)으로부터 Z축 방향(Z)으로 인입출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250) 역시 가이드 부재(200)와 함께 인입출되는바, 인입출되는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이는 면적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200)의 Z축 방향(Z) 인입출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가 창문(W1, W2) 사이에 설치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정화 장치(1)는 먼저, 각 창문(W1, W2)의 프레임(WS1, WS2) 사이에 고정 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볼트, 걸쇠, 집게 등 다양한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 후, 가이드 부재(200)를 창문(W1, W2)의 높이에 맞추어 Z축 방향(Z)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설치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설치 방법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가 설치된 창문(W1, W2)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빈 공간을 통해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가이드 부재(200)의 인입출 방식은 슬라이딩 이동 방식 외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200)의 인입출 방식이 슬라이딩 방식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송풍 모듈(135)은 하우징(도 1의 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흡입구(122)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토출구(115)로 송풍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송풍 모듈(135)은 받침부(130)에 설치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송풍팬 및 송풍팬을 구동하는 송풍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외부 공기는 공기 정화 장치(1)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정화 장치(1)가 창문 사이(또는 벽과 창문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 외부 공기는 실외 공기를 의미할 수 있고, 공기 정화 장치(1)가 실내에 충전 도크(도 1의 300)를 통해 설치되는 경우, 외부 공기는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즉, 실내 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
공기 정화 필터(14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송풍 모듈(135)에 의해 토출구(115)로 송풍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정화 필터(140)는 받침부(130)에 설치될 수 있고, 송풍 모듈(135)과 전면 커버(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 필터(140)는 탈취 필터(141), 활성 탄소 필터(142),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143) 및, 초미세먼지 필터(1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공기 정화 필터(140)가 탈취 필터(141), 활성 탄소 필터(142), HEPA 필터(143) 및, 초미세먼지 필터(144)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각 필터는 도 7에 도시된 순서대로 Y축 방향(Y)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순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호용 유리(270)는 디스플레이 모듈(25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20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용 유리(270)는 공기 정화 장치(1)의 후단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250)은 공기 정화 장치(1)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 정화 장치(1)의 후단은 공기 정화 장치(1)가 창문 사이(또는 벽과 창문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실내가 아닌 실외를 향하는 부분인바, 보호용 유리(270)가 없는 경우, 외부 물체(새, 곤충, 바람, 비, 우박 등)가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직접 접촉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용 유리(270)가 공기 정화 장치(1)의 후단에 배치됨으로써 외부 물체가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250)은 가이드 부재(도 1의 200)에 장착되고, 센서(도 10의 420)에서 감지된 외부 공기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50)은 가이드 부재(도 1의 200)에 의해 Z축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한바, 가이드 부재(도 1의 200)의 Z축 방향(Z) 이동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250)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50)에는 전자 잉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햇빛이 강한 오후에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되는 외부 공기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자 잉크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50)의 시인성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50)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직접 터치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공기 정화 장치(1)에 특정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외부 공기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냄새(Odor)에 대한 정보(252)와 먼지(Dust)에 대한 정보(256)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외부 공기의 냄새(Odor)가 심할수록 냄새에 대한 정보(252)가 변경(예를 들어, 빛을 발산하는 칸의 수가 증가)될 수 있고,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예를 들어,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진해질수록 먼지에 대한 정보(256)가 변경(예를 들어, 빛을 발산하는 칸의 수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는 미세먼지 종류별로 특정 칸(258)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극초미세먼지(PM1.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칸(258)에 표시되거나 자동으로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극초미세먼지(PM1.0)에 대한 정보가 번갈아가며 특정 칸(258)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되는 정보는 도 8에 도시된 정보 외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정보는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되는 정보의 일 예에 불과하다.
이어서,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탄성 고정 부재(320)는 하우징(100)을 창문 사이(또는 벽과 창문 사이)에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고정 부재(320)는 예를 들어, 고무 패킹 또는 창문 틈새 브러시 등을 포함할 수 있는바,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고정 부재(320)는 하우징(100)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하우징(100)의 두께(예를 들어, Y축 방향(Y) 두께)가 창문의 두께(예를 들어, Y축 방향(Y) 두께)와 차이가 나더라도 탄성 고정 부재(320)를 통해 두께 차이가 보완될 수 있다.
물론, 탄성 고정 부재(320)는 하우징(100)의 가장자리 전부가 아닌 일부 가장자리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 정화 장치(1)의 제어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모듈(4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아 제어 모듈(450)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 모듈(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50) 상에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우징(100) 또는 가이드 부재(200)에 별도의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420)는 하우징(100)에 장착되고, 외부 공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420)는 외부 공기 상태(예를 들어,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냄새(악취) 농도, 실내 먼지 농도 등)를 감지하고, 감지된 외부 공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어 모듈(45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듈(450)은 하우징(100) 내에 구비되고, 센서(420)에서 감지된 외부 공기 상태를 토대로 송풍 모듈(135) 및 디스플레이 모듈(25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450)은 입력 모듈(40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고, 센서(420)로부터 외부 공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450)은 제공받은 사용자의 입력 및 외부 공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송풍 모듈(135) 및 디스플레이 모듈(2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450)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을 통해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 경우, 센서(420)로부터 제공받은 외부 공기 상태에 관한 정보 중 먼지 농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2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450)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을 통해 실내 환기가 필요하다는 요청을 한 경우, 송풍 모듈(135)을 구동시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450)은 충전 도크(300)와 하우징(100)의 결합 여부를 토대로 구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도크(300)가 하우징(100)과 결합된 경우, 제어 모듈(450)은 실내에 공기 정화 장치(1)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실내 공기 정화 모드로 공기 정화 장치(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 장치(1)가 실내 공기 정화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제어 모듈(450)은 센서(420)로부터 제공받은 외부 공기 상태(즉, 실내 공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 모듈(250)을 제어하고, 자동으로 실내 공기 정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450)은 센서(420)로부터 제공받은 외부 공기(즉, 실내 공기) 상태에 관한 정보 중 냄새 또는 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냄새 또는 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송풍 모듈(135)을 구동하여 실내 공기가 공기 정화 필터(140)를 통해 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어 모듈(450)은 디스플레이 모듈(250)을 제어하여 실내 냄새 또는 먼지 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 모듈(450)은 충전 도크(300)가 하우징(100)과 결합되지 않은 경우, 창문 사이(또는 창문과 벽 사이)에 공기 정화 장치(1)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실내 환기 모드(즉,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정화)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 장치(1)가 실내 환기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제어 모듈(450)은 센서(420)로부터 제공받은 외부 공기 상태(즉, 실외 공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 모듈(250) 및 송풍 모듈(135)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450)은 디스플레이 모듈(250)을 제어하여 실외 공기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송풍 모듈(135)을 제어하여 실외 공기가 실내로 정화되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충전 도크(300)는 하우징(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입력 모듈(400), 센서(420), 제어 모듈(450), 송풍 모듈(135), 디스플레이 모듈(250)과 같이 전력 공급이 필요한 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는 창문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바, 미세먼지가 심할 때도 환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대상 창문과 두께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변형이 가능한 탄성 고정 부재(320)를 통해 설치 대상 창문에 고정 가능하다. 이에 따라, 창문 두께와 상관없이 다양한 창문에 설치 가능하고, 작업자의 설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는 충전 도크(300)를 통해 실내 어디에든 직립 형태로 설치 가능한바, 실내 공기 정화 효율 및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도크(300)를 통해 충전 작업 및 실내 공기 정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바, 작업 효율성도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하우징 110: 전면 커버
120: 후면 커버 130: 받침부
200: 가이드 부재 300: 충전 도크

Claims (11)

  1.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 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송풍 모듈에 의해 상기 토출구로 송풍되는 상기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필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외부 공기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외부 공기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커버와,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의 하단과 상기 후면 커버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송풍 모듈 및 상기 공기 정화 필터가 설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공기 정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 커버의 전면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전면 슬라이딩 돌기 및 후면 슬라이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전면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후면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제2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탈취 필터, 활성 탄소 필터,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 및, 초미세먼지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전자 잉크 방식이 적용되는
    공기 정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은,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송풍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창문 사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탄성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는 보호용 유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하우징이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충전 도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외부 공기 상태를 토대로 상기 송풍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아 상기 제어 모듈에 제공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1020170125559A 2017-09-27 2017-09-27 공기 정화 장치 KR20190036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559A KR20190036403A (ko) 2017-09-27 2017-09-27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559A KR20190036403A (ko) 2017-09-27 2017-09-27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403A true KR20190036403A (ko) 2019-04-04

Family

ID=6610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559A KR20190036403A (ko) 2017-09-27 2017-09-27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64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298B1 (ko) * 2019-07-25 2019-12-02 주식회사 이루미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CN110822581A (zh) * 2019-11-18 2020-02-21 上海三菱电机·上菱空调机电器有限公司 智能空调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298B1 (ko) * 2019-07-25 2019-12-02 주식회사 이루미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WO2021015368A1 (ko) * 2019-07-25 2021-01-28 주식회사 이루미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CN110822581A (zh) * 2019-11-18 2020-02-21 上海三菱电机·上菱空调机电器有限公司 智能空调系统
CN110822581B (zh) * 2019-11-18 2021-07-09 上海三菱电机·上菱空调机电器有限公司 智能空调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7384A1 (ja) 送風システム
TWI579511B (zh) 空氣清淨機
EP3447400A1 (en) Local air cleaner
TWI555954B (zh) 空氣清淨機
KR101993561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200477918Y1 (ko) 공기 측정 장치
KR20190036403A (ko) 공기 정화 장치
KR20180089240A (ko) 창문 부착형 환기 장치
EP2049842B1 (en) Air conditioner
US8007553B2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N101109562B (zh) 空调器
KR102032618B1 (ko) 공기청정기 자동이동장치
CN101109564B (zh) 空调器
JP6444608B2 (ja) 空気調和機
CN101598369A (zh) 空调器
CN101109563B (zh) 空调器
JPH1189771A (ja) 電気掃除機
JP2015025572A (ja) 空気清浄機
JP5857192B2 (ja) 空気清浄機
KR20180000131A (ko) 모듈결합방식의 이동형 공기청정복합기
KR102171100B1 (ko) 공기조화기
KR101306127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5873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126540B (zh) 空调器及运行空调器的方法
CN111741705A (zh) 清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