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763A -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763A
KR20190035763A KR1020197004972A KR20197004972A KR20190035763A KR 20190035763 A KR20190035763 A KR 20190035763A KR 1020197004972 A KR1020197004972 A KR 1020197004972A KR 20197004972 A KR20197004972 A KR 20197004972A KR 20190035763 A KR20190035763 A KR 20190035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access network
connection
facility
network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5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04W28/0861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 H04W28/0865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e.g. LTE or WiF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04W28/0967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 H04W28/0983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for optimizing bandwidth or through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 실시예는 보조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고, 해당 방법은,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는 제1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방법과 장치는 사용자평면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하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
본 발명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인터넷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모바일 데이터도 폭발적인으로 성장을 나타내하고 있고, 데이터의 압력을 대비하기 위해 네트워크 설비의 배치는 갈수록 밀집해 지고 있으며, 매크로셀과 소형셀의 혼합구조의 설정도 더욱 광범해 지고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가 매크로셀과 소형셀 자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더블(멀티) 연결기술이 탄생되면서 매크로셀과 소형셀 사이의 데이터 복합을 실현하고 있다.
단말장치의 멀티(더블) 연결중에는 한개의 메인 연결과 여러개의 보조 연결이 존재한다. 메인 연결은 단말장치와 메인 접속망 설비의 네트워크 연결이고, 보조 연결은 단말장치와 보조 접속망 설비의 네트워크 연결이다. 단말장치의 제어 플레인의 데이터는 메인 연결을 통해 전달하고, 단말설비단말장치의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는 두 갈래로 나누어, 두개의 연결로 동시에 전송하므로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높이는 것이다. 혹은 보조 접속망 설비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메인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의 처리량을 향상하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부하를 감소하기 위해여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의 처리량을 향상하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부하를 감소할 수 있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방면에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해당 방법은, 메인 접속망 설비가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고;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해당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하는 것을 포함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는 제1설정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 사이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해당 단말설비단말장치가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 정보를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 보고하여,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해당 능력 정보에 따라 단말장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가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하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제1방면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첫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 방식중에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 제2설정정보도 포함하고, 해당 제2설정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이미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이다.
단말장치가 이미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를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발송하여 제1보조 접속망설비가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 및 제2설정정보를 동시에 고려하여 단말장치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와 제1보조 접속망 설비사이의 보조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제1방면의 상기 가능한 실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방면의 두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 방식중에서, 해당 메인 접속망이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 설비로부터 발송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되, 해당 제1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을 포함하고;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제1메시지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중에서 단말장치가 접속과정을 진행할 때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코어망 설비로 발송함으로써, 코어망 설비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의 접속 능력 정보를 메인 접속망 설비로 포워딩할 수 있다.
제1방면의 상기 가능한 실현방식과 결합하여, 제1 방면의 세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중에서,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단말장치가 발송한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은,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는 해당 단말장치가 발송한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해당 제1메시지는 해당 단말장치와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사이의 설정이 효력 발생을 지시한다.
제1방면의 상기 가능한 실현방식과 결합하여, 제1 방면의 네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중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거나,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추가할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중에서,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능력 정보일 수 있고, 단말장치가 모든 보조 네트워크 연결에서 사용 가능한 접속망 능력 정보일 수도 있으며, 또한, 단말장치가 다음 보조 네트워크 설정에 사용 가능한 접속망 능력 정보일 수도 있다.
제1방면의 상기 가능한 실현방식과 결합하여, 제1 방면의 다섯번째 가능한 실현방식중에서,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추가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기 전에,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단말설비단말장치가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수신하되, 해당 측정 결과 정보는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 사이의 링크품질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 중 각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에 따라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방면의 상기 가능한 실현방식과 결합하여, 제1 방면의 여섯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중에서, 해당 방법은,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단말장치로 해당 제1설정정보를 발송하여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제1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방면의 상기 가능한 실현방식과 결합하여, 제1방면의 일곱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제1통신 시스템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는 제2통신 시스템중의 네트워크 설비이다.
두 시스템하의 보조 연결을 지원함으로써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이 더욱 원활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제1통신 시스템은 롱텀 에볼루션LTE 시스템이고, 해당 제2통신 시스템은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이다.
제2 방면에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해당 방법은,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메인 접속망 설비로부터 발송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되,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지시하고;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따라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되,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사이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정보의 확인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는 해당 제1설정정보를 포함한다.
해당 단말설비단말장치가 해당 보조 접속망의 접속에 지원할 수 있는 능력 정보를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 보고함으로써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해당 능력 정보를 고려하여 단말장치를 설정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단말장치는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하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부하를 감소 할 수 있다.
제2방면을 결합하여, 제2 방면의 첫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2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2설정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이미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이고,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따라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와 해당 제2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해당 제1설정정보와 해당 제2설정정보가 대응하는 설정의 합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가 지시한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모든 보조 연결의 설정이 첫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언급한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초과하지 않은 것을 확보해야 한다.
제2 방면의 상기 가능한 실현방식을 결합하여, 제2 방면의 두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는데 사용되고, 해당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모든 보조 연결의 설정이 두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언급한 단말장치들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초과하지 않은 것을 확보해야 한다.
제3 방면에서, 연결 구축 방법을 제공하되, 해당 방법은, 단말장치가 메인 접속망 설비로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발송하되,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지시하고;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로부터 발송된 제1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사이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 정보를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 보고하는 것을 통해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능력 정보를 고려하여 단말장치를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단말장치는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여,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하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제3 방면을 결합하여, 제3 방면의 첫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로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발송하는 것은,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로 제1메시지을 발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해당 제1메시지는 해당 단말장치와 제1보조 접속망 설비사이의 설정이 효력 발생한 것을 지시하고, 해당 제1메시지는 해당 보조 접속망의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제3 방면의 상기 가능한 실현방식을 결합하여, 제3 방면의 두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보조 접속망을 접속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거나,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한다.
제3 방면의 상기 가능한 실현방식과 결합하여 제 3 방면의 세번째 종류의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장치가 제1설정정보에 따라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것도 포함한다.
제4 방면에서, 상기 제1방면 혹은 제1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장치는 상기 제1방면 혹은 제1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5 방면에서, 상기 제2방면 혹은 제2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장치는 상기 제2 방면이나 제2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6 방면에서, 상기 제3방면 혹은 제3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장치는 상기 제3 방면이나 제3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7 방면에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하되, 해당 장치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출력 인터페이스, 통신포트와 버스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중, 메모리, 프로세서, 입출력 인터페이스, 통신포트는 버스시스템을 통하여 연결되고, 해당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통신포트를 통해 제1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고, 작업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8 방면에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하되, 해당 장치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출력 인터페이스, 통신포트와 버스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중, 메모리, 프로세서, 입출력 인터페이스, 통신포트는 버스시스템을 통해 연결되고, 해당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통신포트를 통해 제2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며, 작업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9 방면에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하되, 해당 장치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출력 인터페이스, 통신포트와 버스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중, 메모리, 프로세서, 입출력 인터페이스, 통신포트는 버스시스템을 통해 연결되고, 해당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통신포트를 통해 제3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며, 작업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10 방면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되,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방면 혹은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방식 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제11 방면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되,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 방면 혹은 제2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방식 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제12 방면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되,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3 방면 혹은 제3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방식 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장치, 메인 접속망 설비, 보조 접속망 설비 및 코어망 설비의 명칭은 설비 자체에 대해 제한하지 않고, 실제의 실현에서 이 설비들은 기타 명칭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각 설비의 기능이 본 발명과 유사하기만 하면 본 발명의 청구항 및 이와 같은 기술의 범위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이런 방면과 기타 방면은 다음의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더 간단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는 보조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고, 해당 방법은,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는 제1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방법과 장치는 사용자평면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하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는 기술방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필요하는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할 것이다. 아래와 같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분 실시예에 그친다는 것은 분명하며, 본 영역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 노동을 들이지 않아도 이 도면들을 통해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장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방법의 설명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방법의 다른 하나의 설명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방법의 또 하나의 설명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방법의 설명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열결을 구축하는 장치의 또 하나의 설명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의 설명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의 다른 하나의 설명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의 또 하나의 설명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의 또 하나의 설명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의 또 하나의 설명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의 다른 하나의 설명 블럭도이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는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할 것이다. 설명할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그칠뿐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에의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영역 보통 기술자들이 비록 창조적 노동을 들이지 않고 취득하는 전부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글로벌이동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약칭'GSM')시스템,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약칭'CDMA' )시스템,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약칭'WCDMA')시스템, 일반패킷무선(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약칭'GPRS')시스템,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약칭'LTE')시스템, LTE 주파수분할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약칭'FDD')시스템, LTE시분할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약칭'TDD')시스템, 통용이동통신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약칭'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약칭'WiMAX')시스템 및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장치는 사용자 설비(User Equipment,약칭'UE'), 단말장치, 이동국(Mobile Station, 약칭'MS'), 모바일단말(Mobile Terminal) 혹은 미래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장치 등으로 부를수 있고, 해당 단말장치는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약칭'RAN')과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코어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말은 모바일폰(혹은 '셀'폰이라 함) 혹은 모바일 단말을 구비한 컴퓨터 등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단말은 또한 휴대형, 포켓형, 핸드핼드형, 컴퓨터 내장형 혹은 자동차에 내장된 이동장치일 수도 있고, 그들은 무선 접속망과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메인 접속망 설비와 보조 접속망 설비는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접속망 설비는 글로벌이동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약칭'GSM') 혹은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약칭'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약칭'BTS')일 수 있고,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약칭'WCDMA') 중의 기지국(Node B, 약칭'NB')일수도 있으며, 또한 LTE 중의 진화형기지국(Evolutional Node B, 약칭'eNB'혹은'eNodeB'), 혹은 중계국이나 엑세스포인트, 차량탑재설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접속망 설비일 수도 있다.
코어망 설비는 이동성관리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약칭'MME')일 수 있고, 서비스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약칭'S-GW') 혹은 P-GW(PDN Gateway)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베어러는 무선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 측이 사용자 서비스의 용량, 지연, 비트레이트에 대해 제어하는 기본단위이다. 한 사용자는 여러개 베어러를 통해 다양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접속망 설비는 예를 들어, 매크로셀(Macrocell)일 수 있고, 보조 접속망 설비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셀(Microcell), 피코셀(Picocell), 펨토셀(Femtocell)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는 LTE 네트워크설비일 수 있고,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는 NR네트워크설비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는 GSM 네트워크설비, CDMA네트워크설비 등일 수 있고,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는 GSM 네트워크설비, CDMA네트워크설비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응용장면의 설명도를 표시하고 있으며, 단말장치 주변의 네트워크는 메인 접속망 설비(110)와 적어도 한개의 보조 접속망 설비(120)를 포함하고,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110)는 LTE 네트워크일 수 있고,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120)는 NR 네트워크일 수 있다. 단말장치(130)는 동시에 메인 접속망 설비(110) 를 통하여 보조 접속망 설비(120)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단말장치(130)와 메인 접속망 설비(110)가 구축한 연결은 메인 연결이고, 단말장치(130)와 보조 접속망 설비(120)가 구축한 연결은 보조 연결이며 단말장치(130)의 제어 플레인 데이터는 메인 연결을 통해 전송할 수 있지만 단말장치의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는 메인 연결과 보조 연결을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으며 보조 연결만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접속망 설비(11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보조 접속 망 설비(120)를 선택하여 단말장치(130)의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메인 접속망 설비(11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미리 설정된 조건은 보조 접속망 설비(120)와 단말장치(130) 사이의 링크 품질이 데이터 전송 조건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 접속망 설비(120)는 서비스 수요와 사용자 밀도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며 메인 접속망 설비(110)의 데이터 분담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해당 데이터는 단말장치(130)의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와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포함하고, 보조 접속망 설비(120)의 배치는 불연속적일 수 있고, 인접하는 보조 셀 사이에 비교적 큰 면적의 중첩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LTE+NR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자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문의 전문 용어중에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빈번하게 대체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에 전문 용어 '및/혹은'은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는 것일뿐이고, 세가지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 및/혹은 B는 A만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만 존재한다는 이 세가지 경우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문에서 부호 '/'는 보통 앞 뒤 연관 대상은 '혹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방법(200)의 설명 블록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해당 방법(200)은,
S210, 메인 접속망 설비가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대한 지원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S220,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1보조 접속망 설비의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설비 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S230,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부터 발송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는 제1설정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에 연결하는 모든 능력 정보 혹은 단말장치가 모든 보조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할 수 있는 접속망 능력 정보일 수 있고,단말장치가 추가할 접속망 설비와의 연결에 사용할 수 있는 접속망 능력 정보일 수도 있으며,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단말장치가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연결하는 능력 정보가 포함하기만 하면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LTE 통신 시스템에서 해당 단말장치는 ?대 32개의 케리어 복합(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고, 단말장치가 메인 접속망 설비에 발송 가능한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포함한 케리어 복합 능력은 32가 될 수 있고, 단말이 서비스 상황에 따라 배분한 5가 될 수도 있다. 총괄하면 단말장치가 여러 개 보조 연결에 접속하는 설정정보에 대응한 보조 연결 능력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지시한 단말장치가 보조 네트워크 연결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다.
단말장치가 아이들(idle)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접속망 설비 주변의 보조 접속망 설비에 대해서 측정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단말장치의 보조 접속망 설비에 대한 측정은 네트위크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측정할 수 있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설정에 따라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 규정 혹은 메인 접속망 설비 설정은 일정한 간격 주기내에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 주변의 보조 접속망 설비를 측정하고; 선택적으로, 단말장치는 수신된 시스템 메시지 중 네트워크의 설정정보에 따라 보조 접속망 설비에 대해 측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단말장치는 우선 한개 보조 접속망 설비를 확정하여 추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단말장치는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하는것을 확정하고, 단말장치는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 최대 능력에 따라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 부분의 능력을 배정하고, 메인 접속망 설비에 고지한다. 고지정보에는 해당 배정된 능력 및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의 표식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배정한 능력을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발송한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보조 연결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며, 해당 데이터에는 제1제어 플레인 데이터 및/혹은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메인 접속망 설비는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 설비로부터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발송할 수 있어,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설정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장치로 해당 설정정보를 포워딩함으로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하고 영활원활한 새로운 보조 연결 구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메인 접속망 설비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장치는 메인 접속망 설비에 접속하는 과정중에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메인 접속망 설비로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장치가 메인 접속망 설비에 접속하는 과정은, 단말장치가 아이더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할 때 제1메인 접속망 설비에 접속하는 과정일 수 있고; 단말장치가 데이터 연결 상태에서 단말장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설비는 제2메인 접속망 설비에서 제1 메인 접속망 설비로 전환해야 하고,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제1메인 접속망 설비에 접속하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접속과정의 어느 단계인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해당 단말장치가 이미 메인 접속망 설비에 접속, 즉 해당 단말장치가 메인 접속망 설비와의 베어러를 구축하였다.
나아가, 보조 연결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고, 데이터는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와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포함하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와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메인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 간의 연결을 메인 열결로 할 수 있으며 해당 메인 연결은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할수도 있고,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단말장치의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는 메인 연결이나 보조 연결 중 하나만 통해 전송될 수 있고, 혹은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는 메인 연결과 보조 연결을 통하여 공동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단말장치의 제어 플레인 데이터는 메인 연결이나 보조 연결 중 하나만 통해 전송될 수 있고, 혹은 제어 플레인 데이터는 메인 연결과 보조 연결을 통하여 공동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식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데이터는 Up-link 데이터와 Down-link 데이터를 포함하고, Up-link 데이터는 상향 제어 플레인 데이터와 상향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포함하고, Down-link 데이터는 하향 제어 플레인 데이터와 하향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포함하며, 본 발명중의 전송은 상향전송 및/혹은 하향 전송으로 이해될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2설정정보를 더 포함하고, 해당 제2설정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구축한 보조연결의 설정정보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에 접속하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즉, 종래 기술에서의 단말장치의 접속 능력 파라미터(parameter)를 가리키고, 예를 들어, 한개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내 다운 공유채널(Downlink Share Channel, DSCH)이 베어링하는 비트 총수량, 총 소프트 채널비트수 혹은 공간분할다중화를 지원하는 최대층수(Max layer) 등 이다.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발송하는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와 단말장치가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제1설정정보를 생성할 때,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 내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와 제2설정정보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든 보조 연결의 설정이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지시된 단말장치의 접속망 능력보다 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세지는 해당 조보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 서비스 품질 (Quality of Service, 약칭 'QoS')등을 더 포함할 수 있어, 보조 접속망 설비가 이 정보들에 따라 보조 연결의 구축을 허락한 것인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보조 접속망 설비가 이 정보들 및 보조 접속망 현재의 부하 상태에 근거하여 보조 연결의 구축을 허락할 것인지 여부를 확정할 때,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 따라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메인 접속망 설비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을 피드백하고, 해당 확인 메시지에는 보조 연결의 구축에 사용되는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가 포함되고; 보조 연결 접속망 설비가 이 정보들에 따라 보조 연결의 구축을 거절할 때, 제1메인 접속망 설비로 실패 지시 메시지을 피드백하며 해당 실패 지시 메시지에는 보조 연결의 구축을 거절하는 원인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보조 접속망 설비의 QoS가 데이터 전송을 만족하지 못하거나 보조 접속망 설비의 링크품질이 너무 낮거나, 보조 접속망 설비가 현재 처리 혼잡상태를 포함한다. 메인 접속망 설비가 단말장치에 의해 보고된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재수신 할 때,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는 해당 실패 지시 메시지내의 실패 원인을 기반으로 해당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해당 측정 결과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 실패 원인이 네트워크 혼잡이면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재수신할 때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측정 결과 정보를 발송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파워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가능한 일 실시예로서, 단말장치는 메인 접속망 설비에 무선리소스컨트롤 (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구축을 개시하는 메시지에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RRC 연결이 구축된 다음에 단말장치는 메인 접속망 설비로 발송한 연결 완료 메시지에 해당 보조 네트워크의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단말장치는 메인 접속망 설비로 발송한 RRC 재설정 완료 메세지에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단말장치는 메인 접속망 설비로 개시한 임의 하나의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Air Interface Message)에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메인 접속망 설비는 코어망 설비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가 처음 시동해서 부착과정을 진행할 때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네트워크 부속메모리(Network Attached Storage, NAS)를 통해 코어망 설비로 전송한다.
선택가능한 일 실시예로서,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연결 추가 요청 메세지를 보내기 전에,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단말장치로부터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수신하되, 해당 측정 결과 정보는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 중의 각 보조 접속망의 측정 결과 정보에 따라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는 메인 접속망 설비에 접속하는 과정에 여러 개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메인 접속망 설비로 보낼 수 있고, 메인 접속망 설비는 단말장치의 측정 결과 정보를 수신한 이후 해당 측정 결과 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보조 접속망 설비를 추가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단말장치를 통하여 여러 개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메인 접속망 설비로 발송하고, 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설비로 선택할 수 있고, 데이터를 가능한 빠르게 보조 접속망 설비로 분류시켜 메인 접속망 설비가 구축한 보조 연결이 가능한 빠르게 메인 접속망 설비의 데이터를 분류하여 메인 접속망 설비의 전송 부하를 낮출 수 있다.
선택가능한 실시예로서 해당 방법은,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단말장치로 제1설정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설비단말장치가 해당 제1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트 설비이고,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는 제2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는 LTE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는 뉴 라디오NR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 방법(300)의 설명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해당 방법(300)은,
S310,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메인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되,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가 포함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을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고;
S320,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따라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되,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되고;
S330,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는 해당 제1설정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접속망 설비는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 설비로부터 획득한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보낼 수 있고,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을 참고하여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에 사용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설정정보를 메인 접속망 설비로 보낼 수 있으며 메인 접속망 설비는 해당 설정정보를 단말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하고 영활원활한 새로운 보조 연결 구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메인 접속망 설비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해당 보조 네트워크 능력 정보는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연결하는 모든 능력 정보 혹은 단말장치가 모든 보조 네트워크 연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속망 능력 정보일 수 있고, 그리고 단말장치가 추가할 접속망 설비를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접속망 능력 정보일 수도 있으며,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단말장치가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연결하는 능력 정보를 포함하기만 하면 되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한 제한하지 않는다.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모든 능력 정보일 때 메인 접속망 설비가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발송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 중에는 단말장치가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도 포함하고,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과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 있는 설정정보를 고려하여 제1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장치가 구축한 모든 보조 연결의 설정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지시한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다.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단말장치가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기 위해 배정한 부분 능력일 때,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수신한 후에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해당 단말장치를 위한 설정이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이 지시한 능력보다 크지 않다는것을 보증해야 한다.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단말장치가 한번에 추가하고자 하는 여러 개 접속망 설비에 배정한 부분 능력 정보를 지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가 접속망 설비를 접속 시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블록은 32이고, 단말장치가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제2접속망 설비를 한번에 추가하고자 할 때, 단말장치가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제2보조 접속망 설비에 전체 배정하는 전송가능한 최대 데이터 블록은 16일 수 있고, 만약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의 보조 연결을 먼저 구축시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배정된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따라 제1설정정보를 확정하며, 해당 제1설정정보 중의 최대 전송 데이터 블록은 16보다 크지 않고; 만약 메인 접속망 설비가 제2접속망 설비를 보조 연결로 추가하고자 할 때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배정된 보조 네트워크 능력 정보와 제1설정정보에 따라 제2설정정보를 확정해야 한다. 해당 제2설정정보와 제1설정정보 중의 최대 전송 데이터 블록의 합은 16을 초과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방법(300)에서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메인 접속망 설비간의 절차는 구체적으로 방법(200)을 참조할 수 있고, 간명한 설명 위해 여기서 반복하여 서술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한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 방법(400)의 설명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해당 방법(400)은,
S410, 단말장치가 메인 접속망 설비로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발송하되, 해당 보조 네트워크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에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고;
S420,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로부터 발송한 제1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접속망 설비는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으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 발송하여,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설정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장치로 해당 설정정보를 포워딩함으로써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하고 영활원활한 새로운 보조 연결 구축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메인 접속망 설비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선택가능한 실시예로서,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장치가 메인 접속망 설비에 여러 개의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하는 것을 포함하되, 해당 측정 결과 정보는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간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는데 사용함으로써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해당 여러 개의 측정 결과 정보에 따라 해당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장치와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간의 채널 품질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로 해당 측정 결과 정보를 전송한다. 해당 미리 설정된 조건은, 프로토콜 규정에 따른된 특정주기일 수 있고; 해당 단말장치에 의해 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채널 품질이 제1메인 접속망 설비와의 채널 품질보다 높은 것이 검출될 때일 수도 있고; 보조 접속망 설비의 채널 품질가 일정한 역치보다 높다는 것이 검출될 때 일 수도 있고; 현재의 작은 참조 신호 출력이 설정된 역치보다 작은 것 등 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의 실시간 측정, 실시간 보고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장치가 보고한 측정 결과 정보의 촉발 조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가능한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장치는 메인 접속망 설비로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발송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로 제1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해당 제1 메시지는 해당 단말장치와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간의 설정이 효력 발생한 것을 지시하고, 해당 제1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가능한 실시예로서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장치가 제1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것도 포함한다.
설명해야할 것은 방법(400)에서의 단말장치와 메인 접속망 설비간의 구체적인 절차는 방법(200)을 참조할 수 있고, 간단한 설명을 위하여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아래 도 5 내지 도 7을 결합하여 단말장치, 메인 접속망 설비와 보조 접속망 설비가 연동하는 각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 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하는 방법(500)의 설명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해당 방법(500)은,
S510, LTE 시스템의 메인 접속망 설비는 단말장치의 NR 능력 정보를 획득하되, 해당 NR 능력 정보는 단말장치가 NR 시스템의 접속망 설비를 접속할 수 있는 최대능력을 지시하고;
S520, LTE 시스템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NR 시스템 중의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추가하는 것을 결정하고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해당 단말장치의 NR 능력 정보를 포함한 NR 추가 요청을 전송하고;
S530, 시스템 중의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LTE 시스템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NR 추가 요청을 수신한 이후, 단말장치의 NR 능력 정보 즉, 제1설정정보에 따라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설정을 진행하고, LTE 시스템 중의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피드백 하고;
S540, LTE 시스템 중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RRC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설정를 단말장치로 발송하고;
S550, LTE 시스템 중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NR 시스템 중의 제2보조 접속망 설비를 제2보조 연결로 추가할 것을 결정할 때, 단말장치의 NR 능력 정보 및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설정를 추가 요청으로 NR 시스템 중의 제2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발송하고;
S560, NR 시스템 중의 제2접속망 설비가 단말의 NR 능력 정보 및 NR 시스템 중의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설정에 근거하여 NR 시스템의 제2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설정, 즉 제2설정정보를 생성하고, LTE 시스템 중의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피드백하고;
S570, LTE 시스템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RRC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제2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설정을 단말장치에 발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하고 영활원활한 새로운 보조 연결 구축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메인 접속망 설비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 방법(600)의 설명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해당 방법(600)은,
S610, LTE 시스템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단말장치의 NR 능력 정보를 획득하되, 해당 NR 능력 정보는 다음번 NR 연결에 사용될 수 있는 NR 능력 정보를 지시하고;
S620, LTE 시스템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NR 시스템 중의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추가할 것을 결정하고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NR 추가 요청을 발송하며 이중, 다음번의 NR 연결에 사용될 수 있는 NR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S630, NR 시스템 중의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LTE 시스템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NR 추가 요청을 수신한 이후, 단말장치의 NR 능력 정보, 즉 제1설정정보에 따라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설정을 진행하며 LTE 시스템 중의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피드백하고;
S640, LTE 시스템 중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RRC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설정을 단말장치로 발송하고;
S650, 단말장치가 RRC 재설정완료 메세지를 통해 다음번의 NR 연결에 사용될 수 있는 NR 능력 정보를 휴대하고;
S660, LTE 시스템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NR 시스템 중의 제2보조 접속망 설비를 제2보조 연결로 추가할 것을 결정할 때, 다음번의 NR 연결에 사용될 수 있는 NR 능력 정보를 NR 시스템 중의 제2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발송하고;
S670, NR 시스템 중의 제2보조 접속망 설비가 다음번의 NR 연결에 사용될 수 있는 NR 정보에 근거하여 NR 시스템 중 제2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전의 보조 연결 설정, 즉 제2설정정보를 생성하여 LTE 시스템 중의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발송하고;
S680, LTE 시스템의 메인 접속망 설비가 RRC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제2보조 접속망 설비와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설정를 단말장치에게 발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하고 영활원활한 새로운 보조 연결 구축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메인 접속망 설비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5와 도 6에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상세한 절차 혹은 동작을 보여주고 있지만, 이런 절차 혹은 동작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타 동작, 혹은 도 5와 도6에 각 작업의 변형을 실행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 외에 도 5와 도 6의 각 절차는 도 5와 도 6에 보여준 순서와 다르게 실행할 수 있으며 도 5 와 도 6의 전부 동작을 반드시 진행하지 않아도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밖에, 상기 각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장치 측의 절차는 단독으로 단말장치 측의 보조 연결 구축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고, 메인 접속망 설비 측의 절차는 단독으로 접속망 측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보조 접속망 설비 측의 절차도 단독으로 접속망 측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각 방법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접속망 설비는 기지국이고, 코어망 설비는 이동 관리 실체이고, 단말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이다.
네트워크 설비 측에서 기술한 네트워크 설비와 단말장치의 연동과 관련 특성, 기능 등은 단말장치 측에서의 관련 특성, 기능과 상응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에 순번의 크기는 진행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진행순서는 해당 기능과 내부로직으로 확정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과정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앞의 문장에서 도 2 ~ 도 6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아래 도 7~12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연결을 구추하는 장치를 설명할 것이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특징은 아래의 장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7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 구축하는 장치(700)의 설명 블럭도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700)는,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유닛(710),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고;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는 제1송신유닛(720),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의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는 제1수신유닛 (730)을 포함하되,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의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장치(700)는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 설비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 발송하여,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을 참조하여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장치(700)는 해당 설정정보를 수신한 다음에 해당 설정정보를 단말장치에 발송하여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하고 영활원활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2설정정보를 더 포함하고, 해당 제2설정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이미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획득유닛(710)은,
해당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 설비가 발송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제1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의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제1 메시지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획득유닛(710)이 수신한 해당 단말설비단말장치가 발송한 제1 메시지는 해당 단말장치와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간의 설정이 효력 발생한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 최대능력을 지시하거나, 혹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한는 능력을 지시하고, 해당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에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당 장치(700)는,
해당 단말장치가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유닛(740), 해당 측정 결과 정보는 상응한 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링크품질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 중 각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에 따라 해당 제1보조 연결 접속망 설비를 확정하는 확정유닛(75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장치(700)는,
해당 단말장치에게 제1설정정보를 발송하여,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제1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도록 하는 제2송신유닛(76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장치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설비는 제2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200)을 실행하는 주체와 대응할 수 있고, 그리고 장치(700) 중의 각 모듈의 상기 및 기타 작업 및/ 혹은 기능은 각각 도 2, 도 5와 도 6의 각 방법의 상응한 절차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한 설명을 위해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800)의 설명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장치(800)는,
메인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유닛(810),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1보조 접속망을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메시지는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에 따라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생성유닛(820),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발송하는 송신유닛(830)을 포함하되,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에는 해당 제1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메인 접속망 설비가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 설비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장치(800)로 발송하여, 해당 장치(800)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장치(800)와 해당 단말장치간 보조 연결을 구축할 때 사용되는 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메인 접속망 설비는 해당 설정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설정정보를 단말장치에게 포워딩함으로써 장치(800)와 해당 단말장치사이의 보조 연결을 구축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하고 영활원활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할 수 있는 최대능력을 지시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 제2설정정보를 더 포함하며, 해당 제2설정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이미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이다. 해당 생성유닛(820)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와 해당 제2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제1설정정보와 해당 제2설정정보가 대응하는 설정의 합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지시된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고, 해당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에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는 제2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800)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300)의 실행주체와 대응할 수 있고, 그리고 장치(800) 중에 각 모듈의 상기 및 기타 동작 및/ 혹은 기능은 도 3, 도 5와 도 6의 각 방법의 상응한 절차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900)의 설명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해당 장치(900)는,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발송하는 송신유닛(910),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고;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제1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유닛(920)을 포함하되,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구축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메인 접속망 설비가 장치(900)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발송하여,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을 참조하여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장치(900) 사이의 보조 연결을 구축할 때 사용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메인 접속망 설비는 해당 설정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설정정보를 장치(900)로 포워딩하므로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장치(900) 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하고 영활원활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 플레인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메인 접속망 설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송신유닛(9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제1 메시지을 발송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제1 메시지는 해당 단말장치와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 사이의 설정이 효력 발생했다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제1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 최대능력을 지시하거나, 혹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고, 해당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에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장치(900)는,
해당 제1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접속유닛(93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해당 보조 접속망 설비는 제2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400)의 실행 주체와 대응할 수 있고, 그리고 장치(900) 중에 각 모듈의 상기 및 기타 동작 및/혹은 기능은 도 4, 도 5와 도 6의 각 방법의 상응한 절차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한 설명을 위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이 필요할 점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장치는 그 기능을 실현할 때 상기 각 기능 유닛의 구분만으로 예시설명하였고, 실제응용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기능 분배를 다른 기능유닛으로 완성할 수 있으며, 즉 설비의 내부구조를 다른 기능유닛으로 분류하여 위에서 설명한 전부 혹은 부분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외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장치와 방법 실시예는 같은 아이디어에 속하고, 그 자세한 실현과정은 방법 실시예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기에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의 설명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장치(10)는, 메모리(11), 프로세서(12), 입출력 인터페이스(13), 통신포트(14)와 버스시스템(15)를 포함한다. 이중, 메모리(11), 프로세서(12), 입출력 인터페이스(13)와 통신포트(14)는 버스시스템(15)을 통해 연결되고, 해당 메모리(11)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프로세서(12)는 해당 메모리(11)에 저장된 지령을 실행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13)를 제어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고 작업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하며 통신포트(14)를 제어하여 신호를 발송하는 것이다.
프로세서(12)는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을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에는 제1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2설정정보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제2설정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이미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 설비가 발송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제1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1 메시지로부터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 설비가 발송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제1 메시지는 해당 단말장치와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간의 설정이 효력 발생했다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로의 접속을 지원하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혹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고, 해당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는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장치가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측정 결과 정보는 상응한 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 사이의 링크 품질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 중의 각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에 따라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해당 단말장치에게 해당 제1설정정보를 발송하여, 해당 단말장치가 해당 제1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데도 사용될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장치(10)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해당 접속망 설비는 제2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12)는 범용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전용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집적회로를 채용할 수 있고, 관련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통신포트(14)는 예를 들어 트랜시버와 유사한 송수신장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접속망실체(10)와 기타 설비 혹은 통신 네트워크간의 통신을 실현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해당 메모리(11)는 룸과 램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에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2)의 일부분은 비휘발성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는 장치 유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해당 버스시스템(15)은 데이터버스외에 전원버스, 제어버스와 상태신호버스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정확성을 위해 도면에서는 각 버스를 모두 버스시스템(15)으로 표기한다.
실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절차는 프로세서(12)중의 하트웨어의 집적로직회로 혹은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으로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개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은 직관적으로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실행할 수 있고, 혹은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스포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액세스메모리, 플래시메모리,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혹은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레지스터 등 본 영역에서 성숙한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매체는 메모리(11)에 위치하고, 프로세서(12)는 메모리(11) 내의 정보를 읽어서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200)의 절차를 완성한다. 이곳에서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20)의 설명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장치(20)는 메모리(21), 프로세서(22), 입출력 인터페이스(23), 통신포트(24)와 버스시스템(25)을 포함한다. 이중, 메모리(21), 프로세서(22), 입출력 인터페이스(23)와 통신포트(24)는 버스시스템(25)를 통해 연결되고, 해당 메모리(21)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22)는 해당 메모리(21)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23)를 제어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고, 작업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하고, 통신포트(24)를 제어하여 신호를 발송하는 것이다.
프로세서(22)는 메인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정보는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며; 해당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사이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에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발송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에 해당 제1설정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는 제2설정정보도 포함되며 해당 제2설정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이고, 프로세서(22)는 구체적으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와 해당 제2설정정보에 따라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제1설정정보와 해당 제2설정정보에 상응한 설정의 합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지시된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22)는 범용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전용직접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혹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직접회로를 채용할 수 있으며, 관련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통신포트(24)는 예를 들어 트랜시버와 유사한 송수신장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접속망실체(20)와 기타 설비 혹은 통신 네트워크간의 통신을 실현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해당 메모리(21)는 룸과 램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22)에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프로세서(22)의 일부분은 비휘발성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는 장치 유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해당 버스시스템(25)은 데이터버스 외에 전원버스, 제어버스와 상태신호버스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정확성을 위해 도면에서는 각 버스를 모두 버스시스템(25)으로 표기한다.
실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절차는 프로세서(22)중의 하트웨어의 집적로직회로 혹은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으로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개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은 직관적으로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실행할 수 있고, 혹은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스포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액세스메모리, 플래시메모리,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혹은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레지스터 등 본 영역에서 성숙한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매체는 메모리(21)에 위치하고, 프로세서(22)는 메모리(21) 내의 정보를 읽어서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300)의 절차를 완성한다. 이곳에서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30)의 설명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장치(30)는 메모리(31), 프로세서(32), 입출력 인터페이스(33), 통신포트(34)와 버스시스템(35)을 포함한다. 이중, 메모리(31), 프로세서(32), 입출력 인터페이스(33)와 통신포트(34)는 버스시스템(35)를 통해 연결되고, 해당 메모리(31)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32)는 해당 메모리(31)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33)를 제어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고, 작업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하고, 통신포트(34)를 제어하여 신호를 발송하는 것이다.
프로세서(32)는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을 발송할 때 사용되고,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제1설정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제1설정정보는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해당 단말장치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2)는 구체적으로, 해당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제1메시지를 발송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제1 메시지는 해당 단말장치와 해당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간의 설정이 효력 발생했다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해당제1 메시지는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보조 네트워크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혹은 해당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에 해당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2)는, 해당 제1설정정보에 따라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32)는 범용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전용직접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혹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직접회로를 채용할 수 있으며, 관련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통신포트(34)는 예를 들어 트랜시버와 유사한 송수신장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단말장치(30)와 기타 설비 혹은 통신 네트워크간의 통신을 실현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해당 메모리(31)는 룸과 램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32)에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32)의 일부분은 비휘발성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는 장치 유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해당 버스시스템(35)은 데이터버스외에 전원버스, 제어버스와 상태신호버스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정확성을 위해 도면에서는 각 버스를 모두 버스시스템(35)으로 표기한다.
실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절차는 프로세서(32)중의 하트웨어의 집적로직회로 혹은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으로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개된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은 직관적으로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실행할 수 있고, 혹은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스포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액세스메모리, 플래시메모리,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혹은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레지스터 등 본 영역에서 성숙한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매체는 메모리(31)에 위치하고, 프로세서(32)는 메모리(31) 내의 정보를 읽어서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500)의 절차를 완성한다. 이곳에서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와 대응한 B'는 B와 A는 서로 관련되고, A에 근거하여 B를 확정할 수 있다는 뜻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A에 근거하여 B를 확정하는 것은 A만으로 B를 확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A 및/혹은 기타 정보로 B를 확정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문 중 전문용어 '와/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할 뿐이고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한다는 뜻이며, 예를 들면 A와/또는 B는 , 단독으로 존재하는 A, A와 B가 동시에 존재, 단독으로 존재하는 B 세가지 경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외 본문장 중 부호 '/'은 보통 전후 관련 대상은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는 각종 실시예중 상기 각 프로세스 번호 순서는 실행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프로세스의 실행순서는 각각의 기능과 내부논리로 확정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는 실시 프로세스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영역의 일반 기술인원은, 본문에 공개된 실시예에 서술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절차는 전자 하드웨어, 혹은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기능들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방식으로 실행하는지에 대해서는 기술방안의 특정응용과 설계 제약조건에 따른다. 전문 기술인원은 각 특정 응용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설명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런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당해 분야의 기술인원은 설명의 간결과 간편을 위해 상기 설명한 시스템, 설비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과정은 상기 설명한 방법 실시예의 상응 과정을 참고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한 몇 실시예에서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 가능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예를 들어 해당 유닛의 구분은 로직기능 구분이며, 실제 실현 시 다른 구분방식이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유닛 혹은 부품은 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시킬수 있으며 , 또는 일부 특징은 생략 혹은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으로 표시된 혹은 토론하는 상호간의 결합 혹은 직접 결합 혹은 통신 연결은 일부의 포트, 장치, 혹은 유닛이 간접결합이나 통신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 혹은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여기서 분리 부품으로 설명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이거나 아닐수 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픔은 물리유닛이거나 아닐수도 있고, 한 곳에 위치하거나 여러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이중의 부분 혹은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그외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모듈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혹은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포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 혹은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한 컴퓨터의 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런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본질적으로 혹은 기존의 기술에 대하여 공헌하는 부분이나 해당 기술방안의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제현될 수 있다. 약간의 명령이 포함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한 저장매체에 저정되어 한 컴퓨터 설비(개인컴퓨터, 서버, 혹은 네트워크설비 등)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서술한 방법의 전부 혹은 부분 절차를 실행하도록 한다. 앞에 서술한 저장매체는, USB메모리, 이동식하트디스크, 롬(Read-Only Memory,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혹은 광 디스크 등 각종 프로스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 실시 방식이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하지 않고, 본 기술영역에 익숙한 임의의 기술인원은 본 발명에 공개된 기술범위내에서 기타 변형이나 대체를 쉽게 생각해 낼 수 있고,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110 : 메인 접속망 설비
120 : 보조 접속망 설비
130 : 단말장치

Claims (34)

  1. 메인 접속망 설비가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가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가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로부터 발송한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는 제1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정보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상기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2설정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설정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이미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가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가 상기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 설비로부터 발송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제1 메시지에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는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가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송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가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송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간의 설정이 효력 발생했다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5.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거나;
    혹은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6. 제1항 내지 제 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가 상기 제1보조접속망 설비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보내기 전에,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가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결과 정보는 상응한 보조 접속망 설비와 상기 단말장치사이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중의 각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에 따라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7.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가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제1설정정보를 발송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1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8. 제1항 내지 제 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상기 보조 접속망 설비는 제2통신 시스팀 중의 네트워크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9. 제1보조 접속망 설비는 메인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에 접속하는 것을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따라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설정정보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상기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로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전발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에는 상기 제1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을를 접속하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는 제2설정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설정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이미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이며,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에 따라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와 상기 제2설정정보에 따라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정보와 상기 제2설정정보에 대응한되는 상기 설정의 합은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의해 지시된되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12. 제9항 내지 제 1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상기 보조 접속망 설비는 제2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13. 단말장치가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상기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로부터 발송한 제1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설정정보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상기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구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상기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발송하는 것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제1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간 설정이 효력 발생했음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 최대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혹은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에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16. 제 13항 내지 제 1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는 제1설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17.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상기 보조 접속망 설비는 제2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 구축 방법.
  18.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유닛,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의 접속에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제1보조 접속망 설비에게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는 제1송신유닛,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수신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에 제1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정보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상기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의 구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 제2설정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설정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이미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유닛은,
    상기 단말장치 혹은 코어망 설비로부터 발송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상기 보조 네크워크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발송하고 상기 획득유닛이 수신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간의 설정이 효력 발생했다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2. 제 18항 내지 제 2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혹은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에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3. 제 18항 내지 제 2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장치가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제2수신유닛, 상기 측정 결과 정보는 상기응하는 보조 접속망 설비와 상기 단말장치간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접속망 설비의 각 보조 접속망 설비의 측정 결과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확정하는 확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4. 제 18항 내지 제 2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에게 상기 제1설정정보를 발송함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1설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제2송신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5. 제 18항 내지 제 2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상기 보조 접속망 설비는 제2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6. 메인 접속망 설비가 발송한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설비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는 보조 네크워크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생성유닛, 상기 제1설정정보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상기 단말장치의 보조 연결 구축에 사용되고;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를 발송하는 송신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에는 상기 제1설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 최대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조 연결 추가 요청 메시지에는 제2설정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설정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이미 구축한 보조 연결의 설정정보이고, 상기 생성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와 상기 제2설정정보에 따라 제1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설정정보와 상기제2설정정보에 대응한되는 설정의 합은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에 의해 지시된되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추가할 보조 네트워크 설비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9. 제 26항 내지 제 2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상기 장치는 제2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30.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상기 단말장치의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발송하는 송신유닛,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로부터 발송한 제1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설정정보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 상기 단말장치간의 보조 연결 구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에게 제1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간의 설정이 효력 발생한 것을 지시하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메시지는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32. 제 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보조 접속망 설비를을 접속하는 최대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혹은 상기 보조 네트워크 접속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를 접속하는데 지원하는 능력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추가할 보조 접속망 설비는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33. 제 30항 내지 제3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제1보조 접속망 설비와의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접속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34. 제 30항 내지 제 3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망 설비는 제1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설비이고, 상기 보조 접속망 설비는 제2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KR1020197004972A 2016-07-29 2016-07-29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 KR201900357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2360 WO2018018621A1 (zh) 2016-07-29 2016-07-29 建立辅连接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763A true KR20190035763A (ko) 2019-04-03

Family

ID=6101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972A KR20190035763A (ko) 2016-07-29 2016-07-29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0834770B2 (ko)
EP (2) EP3923672B1 (ko)
JP (1) JP6824378B2 (ko)
KR (1) KR20190035763A (ko)
CN (2) CN109417750B (ko)
ES (1) ES2890804T3 (ko)
TW (1) TWI735615B (ko)
WO (1) WO2018018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23672B1 (en) 2016-07-29 2022-07-2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econdary connection
CN107734569B (zh) * 2016-08-11 2021-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WO2019197461A1 (en) * 2018-04-10 2019-10-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tifications concerning ue unreachability
US11169998B2 (en) 2018-06-04 2021-11-09 Zuora, Inc. Multi-tenant system for providing arbitrary query support
US10956243B2 (en) 2018-06-04 2021-03-23 Zuo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niform access in a multi-tenant system
US11301617B2 (en) * 2018-06-04 2022-04-12 Zuo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ror recovery in data transmissions
US11409586B2 (en) 2019-06-03 2022-08-09 Zuo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the data model of a monolithic database through a microservice for a multi-tenant platform
CN112153757B (zh) * 2019-06-29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US11246025B1 (en) * 2020-09-21 2022-02-0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upporting a migration of user profile and policy information
US20240040514A1 (en) * 2022-08-01 2024-02-01 Apple Inc. Dynamic activation of network hardware based on real-time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9625B1 (en) * 1995-02-13 2014-01-28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EP1383283A1 (en) * 2002-07-03 2004-01-21 Alcatel A method for operating a cellular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9351193B2 (en) * 2009-01-28 2016-05-24 Headwater Partners I Llc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CN102843723B (zh) * 2011-06-23 2017-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联合传输的方法、系统及锚点网元
KR101896001B1 (ko) * 2011-07-12 2018-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방법
CN102932923B (zh) * 2011-08-11 2018-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3g网络和4g网络载波聚合方法及系统
CN104704900B (zh) * 2012-10-05 2018-07-20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通信系统、无线电站、无线电终端、通信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8867731B2 (en) * 2012-11-05 2014-10-21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real time communication with optimized transcoding
TWI491228B (zh) * 2012-12-26 2015-07-01 Ind Tech Res Inst 多網路上無線存取之頻寬整合方法與裝置
CN104105221B (zh) * 2013-04-15 2019-05-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连接的实现方法及基站
US10455549B2 (en) * 2013-06-25 2019-10-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trol of resources
CN104349419B (zh) * 2013-08-09 2019-12-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多连接的管理方法、装置和系统
CN104378842A (zh) * 2013-08-12 2015-02-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管理方法及接入网网元
KR102101517B1 (ko) * 2013-09-27 2020-04-16 이노스카이 주식회사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빙셀의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JP6151801B2 (ja) * 2013-12-24 2017-06-21 京セラ株式会社 マスタ基地局
JP6412887B2 (ja) * 2014-01-31 2018-10-24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5141846A1 (ja) * 2014-03-20 2015-09-24 京セラ株式会社 セカンダリ基地局、移動局、通信制御方法及びマスタ基地局
WO2015170858A1 (ko) * 2014-05-05 2015-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Sipto 서비스 중의 csfb 또는 srvcc를 처리하는 방법
WO2015170862A1 (ko) * 2014-05-05 2015-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Csipto에 기인하여 복수의 pdn 커넥션을 수립하는 방법
KR102241827B1 (ko) * 2014-05-16 2021-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5517043A (zh) * 2014-09-26 2016-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能力的上报、获取方法及装置
CN104378642A (zh) 2014-10-29 2015-02-25 南昌大学 一种基于cuda的h.264分数像素快速插值方法
WO2016163420A1 (ja) * 2015-04-07 2016-10-1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mme及びpgw
JP2018093253A (ja) * 2015-04-07 2018-06-1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mme、pgw、及び通信制御方法
JP6093049B2 (ja) * 2016-01-14 2017-03-08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通知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CN107666727B (zh) 2016-07-25 2023-04-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能力协商的方法及装置、系统
EP3923672B1 (en) 2016-07-29 2022-07-2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econdary connection
EP3497968A1 (en) * 2016-08-11 2019-06-19 Sony Corpo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method
US11678246B2 (en) * 2017-08-11 2023-06-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failure
KR102516019B1 (ko) * 2017-09-11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973040B2 (en) * 2017-11-20 2021-04-06 Ofinno, Llc Data notification during a service request procedure
CN116235525A (zh) * 2019-02-27 2023-06-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减轻无线网络中的拒绝服务(dos)攻击的方法和系统
US11490291B2 (en) * 2019-03-28 2022-11-01 Ofinno, Llc Handover for closed access group
US11197232B2 (en) * 2019-04-01 2021-12-07 Ofinno, Llc Location reporting handling
KR20200118724A (ko) * 2019-04-08 2020-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능력 보고 방법 및 장치
KR20200127393A (ko) * 2019-05-02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절차 판단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90804T3 (es) 2022-01-24
CN109417750B (zh) 2021-09-03
US20210022195A1 (en) 2021-01-21
US20190110329A1 (en) 2019-04-11
TW201804857A (zh) 2018-02-01
US10834770B2 (en) 2020-11-10
US11234284B2 (en) 2022-01-25
EP3461217B1 (en) 2021-09-01
JP6824378B2 (ja) 2021-02-03
EP3923672B1 (en) 2022-07-20
EP3923672A1 (en) 2021-12-15
CN113645672A (zh) 2021-11-12
JP2019527952A (ja) 2019-10-03
US20220104295A1 (en) 2022-03-31
EP3461217A1 (en) 2019-03-27
EP3461217A4 (en) 2019-05-29
WO2018018621A1 (zh) 2018-02-01
CN109417750A (zh) 2019-03-01
US11647555B2 (en) 2023-05-09
TWI735615B (zh)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5763A (ko)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
JP6804564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CN105517028B (zh) 一种触发和配置传输路径的方法及设备
US9084168B2 (en) Relay statio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20511893A (ja) QoS処理方法および機器
RU266588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управления (rrc)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вторного rrc соединения
JP2018536321A (ja) アンカー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及びデバイス
JP577013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サービングゲートウェイ、ネットワークおよび論理経路確立方法
KR102343455B1 (ko) 페이징 방법 및 페이징 장치
US11589331B2 (en) Interface establis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40338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
US10455627B2 (en) Data transmission link establishment apparatus and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JP7100167B6 (ja) 補助接続の確立方法および装置
JP2021048613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WO2023153333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