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338B1 -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338B1
KR101640338B1 KR1020147032526A KR20147032526A KR101640338B1 KR 101640338 B1 KR101640338 B1 KR 101640338B1 KR 1020147032526 A KR1020147032526 A KR 1020147032526A KR 20147032526 A KR20147032526 A KR 20147032526A KR 101640338 B1 KR101640338 B1 KR 10164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band processing
processing device
network
delay
network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847A (ko
Inventor
헤이드런 그롭-립스키
파리보즈 데락산
번드 하버랜드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5000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controllers and backbone network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1)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13)를 동작시키는 방법(33)에 관한 것이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11)는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을 포함한다. 실시간 제약들이 충족되도록 다수의 협력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에 의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작업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방법(33)은 네트워크 엘리먼트(13)와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에 의존하는 지연 메트릭(RTT_BBU)을 결정하는 단계(39) - 지연 메트릭(RTT_BBU)은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의 프로세싱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트리거링하는 이벤트(e)가 발생하기 이전에 결정됨 - ; 및 지연 메트릭(RTT_BBU)에 의존하여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55, 65)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METHOD FOR OPERATING A NETWORK ELE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NETWORK ELEMEN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네트워크는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네트워크 엘리먼트,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용 기지국을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 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로 세분하는 것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기지국은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연결된 다수의 무선 헤드들의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광학 링크들이 원격 무선 헤드들을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무선 헤드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 인터페이스가 특정되었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및 원격 무선 헤드를 포함하는 기지국 아키텍처는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에 기저대역 프로세싱 작업들을 분산시키는 메커니즘을 도입함으로써 최근에 확장되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비교적 다수의 원격 무선 헤드들에 대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작업들을 수행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풀(pool)을 구축하는 것을 허용한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풀링은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이용의 증가를 허용하고, 따라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핸들링되는 특정한 양의 통신 트래픽을 프로세싱하는데 필요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총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배치가 집중화될 수 있다. 그 결과,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풀을 갖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설치 및 동작이 개별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에 대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작업들의 고정된 할당을 갖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보다 비용 효율적이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풀에서, 다수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은 특정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협력할 수 있다. 이러한 협력은 협력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 대한 추가의 지연들을 도입한다. 그러나, 기저대역 프로세싱 작업들은 서비스 품질 요건들로부터 발생하는 실시간 제약들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사용된 시그널링 절차들에서의 타이밍 제약들을 준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그것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실시간 제약들이 충족되도록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풀의 다수의 협력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에 의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작업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러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동작시키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네트워크는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이 방법은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에 의존하는 지연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지연 메트릭에 의존한다.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대한 지연 메트릭을 결정하고, 지연 메트릭에 의존하여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함으로써, 이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만이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고려되고,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각각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은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대한 원격 프로세싱을 수행할 때 실시간 제약들이 충족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낮다.
일 실시예에서, 지연 메트릭은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라운드트립 시간에 의존한다. 라운드트립 시간은 원격 노드(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로 요청을 전송한 이후에 원격 노드로부터의 즉시 응답의 수신을 허용하는 임의의 적합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층 2(예를 들어, 이더넷)에서 또는 네트워크 계층(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IP)에서의 에코 요청 및 에코 응답 메시지들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연 메트릭은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트리거링하는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초기화 페이즈 동안 -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가 네트워크에서 셋업될 때, 무선 베어러가 변경되거나 해체될 때 또는 모바일 단말기의 핸드오버가 네트워크에서 수행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이벤트의 발생 이전에 결정된 지연 메트릭을 제1 지연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의존하여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지연 메트릭이 제1 지연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로서 선택된다. 지연 메트릭 및 제1 지연 임계값 모두가 1-방향 지연 또는 라운드트립 시간과 관련될 수 있다.
방법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로서 선택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지연 메트릭은 기저대역 프로세싱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트리거링하는 이벤트의 발생시에 결정될 수 있고, 지연 메트릭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대해 결정된다. 지연 메트릭은 예를 들어, 초기화 페이즈에서, 이벤트의 발생 이전에 결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세싱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초래할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도 결정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할 때 지연 메트릭을 다시 결정함으로써, 이벤트의 발생시에 계산된 지연 메트릭이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상호연결하는 상호연결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기 때문에, 방법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연 메트릭은 각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의 발생시에 다시 결정된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도달가능한 모든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대해서가 아니라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에 대해서만 지연 메트릭을 결정함으로써, 방법은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지연 메트릭의 불필요한 측정들을 회피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이벤트의 발생시에 결정된 지연 메트릭을 제2 지연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의존하여 원격 프로세싱을 위한 이웃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로서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웃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위에서 언급한 실시간 제약들과 관련하여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사용되기에 적합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이다. 제2 지연 임계값은 1-방향 지연 또는 라운드트립 시간과 관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이웃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로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이웃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원격 무선 헤드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에 의존하는 추가 지연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 추가 지연 메트릭에 의존하여 제1 지연 임계값 및/또는 제2 지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원격 무선 헤드는 무선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에 송신하고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회로를 포함한다. 그러나, 원격 무선 헤드는 네트워크와 단말기 사이의 무선 송신을 위해 필요한 완전한 신호 프로세싱 회로, 특히, 기저대역 시그널링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지 않는다. 원격 무선 헤드는 예를 들어, 광학 링크를 포함할 수 있는 통신 배열에 의해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지연 메트릭은 통신 배열, 특히, 광학 링크에 의해 초래된 네트워크 지연을 반영할 수 있다. 원격 무선 헤드에 대해 수행되지 않은 신호 프로세싱의 일부에 대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프로세싱 자원들이 할당된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 지연 메트릭은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원격 무선 헤드 사이의 네트워크 라운드트립 시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제공되고, 이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에 의존하는 지연 메트릭을 결정하고,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해 배열되고, 상기 선택하는 것은 지연 메트릭에 의존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동작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되어 있고, 이 방법의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기저대역 신호를 원격 무선 헤드에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원격 무선 헤드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배열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엘리먼트 및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제공되고, 여기서,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에 의존하는 지연 메트릭을 결정하고,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해 동작가능하고, 상기 선택하는 것은 지연 메트릭에 의존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배열되고, 그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엘리먼트 및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제공되고, 여기서,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엘리먼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의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프로세서상에 실행될 때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바람직하게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에 의존하는 지연 메트릭을 결정하고,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해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선택하는 것은 지연 메트릭에 의존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반도체 메모리 또는 자기 또는 광 대용량 저장 매체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프로세서가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킬 때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그래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추가의 이점들이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원격 무선 헤드들 사이의 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 메시지들의 메시지 시퀀스 차트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추가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사이의 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 차트를 도시한다.
도 5는 핸드오버가 기저대역 프로세싱 자원들의 재할당을 트리거링하는 핸드오버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단지 예시한다. 따라서, 당업자가 여기에 명확하게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원리들을 실시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배열들을 발명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여기에 인용되는 모든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발명자에 의해 기여된 개념들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독자를 보조하기 위한 교육적인 목적인 것으로만 명백하게 의도되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인용된 예들 및 조건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예들을 인용하는 여기에서의 모든 서술들뿐만 아니라 그것의 특정한 예들은 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 및 다수의 원격 무선 헤드들(15)을 포함하는 셀룰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1)를 도시한다. 단일의 무선 헤드(15) 또는 다수의 무선 헤드들(15)의 클러스터가 단일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할당된다. 특정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할당된 원격 무선 헤드들(15)은 임의의 적합한 통신 배열에 의해 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신 배열은 적어도 하나의 광학 링크(17)를 포함한다. 도 1의 중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배열은 원격 무선 헤드들(15)과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사이의 다수의 점 대 점(point to point) 링크들(17)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트리 토폴로지(19)의 통신 배열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점 대 다중점(point to multipoint) 토폴로지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배열은 수동 광학 네트워크(PON; 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배열은 다수의 원격 무선 헤드들(15)을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광학 링들(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도 1의 상부 우측상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는 2개의 광학 링들(23)에 연결된다. 그러나, 단일의 광학 링(23) 또는 2개보다 많은 광학 링들(23)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 링크들(25)을 갖는 통신 배열을 사용할 때, 통신 배열의 전체 용량은 파장 분할 멀티플렉스(WDM)를 사용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배열의 이용도는 리던던트 링크들(17)을 사용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은 하나 이상의 상호연결 링크들(25)을 포함하는 상호연결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상호연결된다. 따라서, 도시된 상호연결 네트워크는 점 대 점 링크들(25)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토폴로지의 상호연결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연결 네트워크는 링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호연결 네트워크(11)의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또는 전용 스위칭 노드들(미도시)이 상호연결 네트워크의 상이한 링크들(25) 사이에서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호연결 네트워크는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일 수 있고, 스위칭 노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용 스위칭 노드(예를 들어, 이더넷 스위치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터 등)로서 기능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노드는 하나의 링크(25)로부터 수신되고 다른 링크(25)로 포워딩될 패킷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패킷 버퍼들을 가질 수 있다. 패킷 버퍼에 패킷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은 상호연결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부터 다른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 송신된 패킷들의 전송 지연에서의 변동들을 초래한다. 일반적으로, 전송 지연은 패킷 버퍼들의 평균 점유율이 순간 부하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상호연결 네트워크의 순간 부하에 의존한다.
네트워크(11)의 셀(27)이 적어도 하나의 원격 무선 헤드(15)에 의해 커버된다. 셀(27)에 등록된 사용자 장비(UE)로 또한 칭하는 모바일 단말기(29)가 단말기(29)와 그 셀(27)을 담당하는 원격 무선 헤드(15) 사이의 무선 링크(31)를 통해 네트워크(11)와 통신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1)는 GSM, UMTS 및/또는 LTE와 같은 다수의 무선 표준들을 지원한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1)를 상이한 표준들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들(미도시)에 연결하는 다수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을 또한 MSS-BBU(Multi-Side Multi-Standard BaseBand Units)로 지칭한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특히, MSS-BBU는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동작가능한 프로세싱 수단,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은 데이터(예를 들어, 페이로드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9)에 송신하거나 원격 무선 헤드(15)를 통해 단말기(29)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협력한다. 기저대역 프로세싱은 기저대역 신호 프로세싱, 예를 들어, 변조, 코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 원격 무선 헤드들(15) 사이의 통신은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사양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CPRI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이한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과 원격 무선 헤드들(15)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11)를 동작시킬 때, 단말기(29)는 무선 링크(31)를 통해 단말기(29)에 의해 도달가능한 원격 무선 헤드(15)와 통신함으로써 네트워크(11)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무선 헤드(15)를 서빙 RRH로서 지칭한다. 즉, 네트워크(11)와 단말기(29) 사이에서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원격 무선 헤드(15)가 서빙 RRH이다. 따라서, 서빙 RRH는 주로 단말기(29)의 현재의 위치에 의존한다. 서빙 RRH에 할당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를 특정한 단말기(29)의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서 지칭한다.
단말기(29)와 네트워크(11)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무선 베어러(RB)가 셋업될 수 있다. 무선 베어러(RB)를 셋업할 때, 이러한 무선 베어러(RB)에 관한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요구된 기저대역 프로세싱 자원들이 할당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베어러(RB)를 핸들링하기 위해 요구된 모든 기저대역 프로세싱 자원들이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서 할당된다. 그러나, 다른 경우들에서는, 예를 들어,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가 무선 베어러를 핸들링하기 위한 충분한 가용 프로세싱 자원들을 갖지 않는 경우에, 무선 네트워크(11)의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그 무선 베어러(RB)에 관한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상이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의 프로세싱 자원들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다른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를 요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특정한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대한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를 또한 그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관한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서 지칭한다. 특정한 단말기(29) 또는 원격 무선 헤드(13)에 대한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가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대한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서 또한 기능할 수 있다. 더욱이, 네트워크(11)는 어떠한 원격 무선 헤드(15)에도 연결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은 결코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이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의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대한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로서 기능할 수 있다.
원격 프로세싱을 수행할 때,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는 저절로 다운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시그널링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페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를 원격 신호 프로세싱을 위해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포워딩한 후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부터 프로세싱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며, 프로세싱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서빙 원격 무선 헤드(15)에 포워딩한다. 단말기(13)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가 서빙 원격 무선 헤드(15)에 의해 수신되고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포워딩된다.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는 업링크 데이터를 원격 업링크 프로세싱을 위해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송신하고,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부터 프로세싱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는, 업링크 데이터의 타입에 의존하여, 프로세싱된 업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시그널링 데이터)를 소비하거나 프로세싱된 업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페이로드 데이터)를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 포워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바람직하게는, 모든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은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이 특정한 무선 베어러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상이한 어느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가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분산 클라우드 제어기(DC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DCC는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한 최상의 적합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를 선택한다. 사전정의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충족시키고 무선 링크(31)에 사용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과 같은 시그널링 프로토콜들의 타이밍 제한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저대역 프로세싱 동안 실시간 제약들이 준수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호연결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사이의 송신 지연이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사용되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을 선택할 때 고려될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이다. 특히, 이 지연이 너무 높으면, 실시간 제약들이 충족될 수 없고, 각각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사용될 수 없다.
도 2는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사용된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사이의 지연을 특징화하는 지연 메트릭에 의존하여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를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법(33)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33)은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의해, 특히, 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의 DCC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 특히, 그것의 DCC - 는 프로세서 및 저장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를 동작시킬 때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저장 엘리먼트상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가 프로세서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동할 때 여기에 설명한 방법(33)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는 상이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 같은 상이한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방법은 네트워크(11)의 임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의 DCC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다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과 같은 다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이 분산 방식으로 방법(33)을 실행하기 위해 서로 협력할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법(33)은 방법(33)의 시작(37) 이후에 진입되는 초기화 페이즈(35)를 갖는다. 초기화 페이즈(35)는 네트워크(11)의 개시(start-up) 동안,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전원을 공급(power up)한 이후에 실행될 수 있다. 초기화 페이즈(35)는 무선 베어러와 같은 특정한 통신 프로세스에 기저대역 송신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요구하는 이벤트(e)가 네트워크(11)에서 발생하기 이전에 실행될 수 있다.
초기화 페이즈(35)의 단계(39)는 방법(33)의 시작(37) 이후에 실행된다. 단계(39)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 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가 할당되고 그리고/또는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무선 헤드(15) 사이의 모든 지연들이 측정된다. 이러한 지연은 라운드트립 시간(RTT_RRH)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는 라운드트립 시간이 측정되어야 하는 각 원격 무선 헤드(15)에 제1 테스트 메시지(41)를 송신하고, 제1 테스트 메시지(41)에 응답하여 원격 무선 헤드(15)에 의해 송신된 제1 응답 메시지(43)를 수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연결된 원격 무선 헤드(15)에 대한, 바람직하게는 각 연결된 무선 헤드(15)에 대한 라운드트립 시간(RTT_RRH)을 측정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는 각각의 제1 응답 메시지(43)의 수신 시간으로부터 제1 테스트 메시지(41)의 송신 시간을 감산함으로써 원격 무선 헤드(15)에 대한 라운드트립 시간(RTT_RRH)를 결정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을 특징화하는 지연 메트릭에 대한 제1 지연 임계값(TH1)을 결정하는 단계(45)가 단계(39) 이후에 실행된다. 이러한 지연 메트릭은 추가 라운드트립 시간(RTT_BBU)일 수 있다.
제1 지연 임계값(TH1)은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지연 버짓(budget)을 고려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4111916244-pct00001
TRTT는 HARQ에 관련된 타이밍 요건이다.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시스템에서, 완전한 HARQ 프로세스는 8개의 송신 시간 간격들(TTI)이 걸리고, 각 TTI는 1ms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HARQ 프로세스 동안, 네트워크(11)는 그 HARQ 프로세스의 제1 TTI에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단말기(29)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는데 이용가능한 4개의 TTI들을 갖는다. 제5 TTI에서, 단말기는 긍정 확인응답(ACK) 또는 부정 확인응답(NACK)을 송신해야 한다. 그 후, 네트워크(11)는 긍정 또는 부정 확인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하나의 TTI 및 수신된 확인응답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3개의 TTI들을 갖는다. 부정 확인응답의 경우에서, 네트워크(11)는 HARQ 프로세스의 8개의 TTI에서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해야 한다. 즉, 네트워크(11)는 3개의 TTI들, 즉, TRTT = 3ms의 확인응답에 응답하는 총 지연 버짓을 갖는다.
ProcessingTimeBS 및 ProcessingTimeUE는 기지국(즉,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및 원격 무선 헤드(15))에서 필요한 신호 프로세싱 시간 및 단말기(29)에서 필요한 신호 프로세싱 시간에 각각 대응한다. RTT_AIR은 원격 무선 헤드(15)와 단말기(29) 사이의 무선 링크(31)상의 전파 지연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링크(31)상의 전파 지연(RTT_AIR)을 포함하는 전체 프로세싱 시간은 ProcessingTimeBS + ProcessingTimeUE + RTT_AIR = 2.84325 ms이다. 따라서, LTE와 관련된 이러한 실시예에서, 최대 전송 지연은 TransportDelaymax = 156.75 ㎲이다. 상이한 실시간 제약들 및/또는 UMTS 또는 GPS와 같은 상이한 모바일 통신 표준들을 고려할 때, 최대 전송 지연(TransportDelaymax)의 유사한 계산들이 수행될 수 있고, 이는 최대 전송 지연(TransportDelaymax)의 상이한 값들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전송 지연에 대한 하기의 수학식이 유효하다.
Figure 112014111916244-pct00002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 그것의 연결된 원격 무선 헤드들(15) 사이의 지연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일정하다. 그러나, 상이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 사이의 지연은 일정하고 동적인 부분을 갖는다. 일정한 부분은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 사이의 거리에 의존한다. 동적인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연결 링크들(25)에 대한 링크 부하 조건들을 변화시킴으로써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연 임계값(TH1)은 하기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4111916244-pct00003
항 min(RTT_RRH)는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 그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연결된 원격 무선 헤드(15) 사이의 모든 측정된 라운드트립 시간 값들(RTT_RRH) 중 최소값을 나타낸다. 측정된 라운드트립 시간들(RTT_BBU)의 최소값에 의존하여 제1 지연 임계값(TH1)을 계산하는 것은 더 높은 수의 잠재적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이 초기화 페이즈(35) 동안 선택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단계(45) 다음에는 모든 도달가능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을 발견하는 단계(47)가 후속한다. 그 후, 지연 메트릭, 예를 들어, 단계(47)에 발견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에 대한 라운드트립 시간(RRT_BBU)을 결정하는 단계(49)가 실행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라운드트립 시간(RTT_BBU)은 제2 테스트 메시지(51)를 단계(47)에 발견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에 전송하고 제2 테스트 메시지에 응답하여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에 의해 송신된 제2 응답 메시지(53)를 수신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테스트 메시지(51) 및 제2 응답 메시지(53)는 상호연결 링크들(25)에서 사용된 이더넷 프로토콜들에 따른 루프백 테스트 메시지("이더넷 핑(Ethernet Ping)")일 수 있다. 이러한 루프백 테스트 메시지는 IP 계층에서의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에코 요청 메시지 및 ICMP 에코 응답 메시지와 유사하게 라운드트립 지연(RTT_BBU)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트립 시간(RTT_BBU)은 각각의 제2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으로부터 제2 테스트 메시지(51)의 송신 시간을 감산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테스트 메시지(41, 51) 및 제1 및/또는 제2 응답 메시지(43, 53)는 ICMP 에코 요청 및 ICMP 에코 응답 각각일 수 있다.
단계(55)가 단계(49) 이후에 실행된다. 단계(55)는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로서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의 초기 이웃 리스트(NL_INIT)를 컴파일링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단계(55)는 일 방향 송신 지연이 제1 지연 임계값(TH1) 미만인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만을 초기 리스트(NL_INIT)에 포함시키는데, 즉, 다음의 조건
Figure 112014111916244-pct00004
이 성립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만이 초기 이웃 리스트(NL_INIT)에 포함된다.
초기 이웃 리스트(NL_INIT)는 초기화 페이즈(35)의 결과이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계(55)는 초기화 페이즈(35)의 최종 단계이다. 그 결과, 방법(33)은 초기화 페이즈(35), 특히, 초기화 페이즈(35)의 단계(55)를 완료한 이후에 동작 페이즈(57)에 진입한다.
동작 페이즈(57)의 단계(59)가 단계(55) 이후에 실행된다. 단계(59)는 무선 베어러(RB)와 같은 특정한 통신 프로세스에 기저대역 송신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트리거링하는 이벤트(e)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러한 이벤트(e)는 새로운 무선 베어러(RB)가 셋업될 때, 무선 베어러(RB)가 변경되거나 비활성화될 때 또는 상이한 서빙 원격 무선 헤드(15)로의 단말기(29)의 핸드오버가 실행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벤트(e)가 발생한 이후에, 동작 페이즈(57)의 단계(61)가 지연 메트릭, 예를 들어,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 리스트(NL_INIT)에 포함된 잠재적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 사이의 라운드트립 시간(RRT_BBU)을 다시 측정한다. 동작 페이즈(57)에서 라운드트립 시간(RRT_BBU)의 측정을 반복하는 것은, 상호연결 네트워크에서, 특히, 상호연결 링크들(25)상에서 순간 부하 상황 및/또는 버퍼 점유율에 대응하는 이러한 라운드트립 시간(RRT_BBU)의 최신 값들이 결정되기 때문에 방법(33)의 신뢰도 및 정확도를 증가시킨다.
단계(61) 다음에는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제2 지연 임계값(TH2)을 결정하는 동작 페이즈(57)의 단계(63)가 후속하는데, 즉,
Figure 112014111916244-pct00005
여기서, RTT_RRH는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가 선택되어야 하는 통신 프로세스(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에서 수반되는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 서빙 무선 헤드(15) 사이의 (예를 들어, 단계(39)에서 측정된) 라운드트립 시간을 나타낸다.
단계(63)의 완료 이후에, 초기 이웃 리스트(NL_INIT)에서의 각 잠재적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대해, 측정된 라운드트립 시간(RRT_BBU)이 제2 지연 임계값(TH2) 미만인지를 검증하는 단계(65)가 실행된다. 그렇다면, 각각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는 이웃 리스트(NL)에 포함된다. 그렇지 않으면, 각각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는 이웃 리스트(NL)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63)의 결과는 위에서 논의한 실시간 제약들과 관련하여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을 포함하는 이웃 리스트(NL)이다.
실시예에서,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이웃 리스트(NL)에 존재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 중에서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N)를 선택하는 단계(67)가 제공될 수 있다. 단계(67)에서의 선택을 위해, 여기에서 논의한 실시간 제약들과 관련되지 않을 수 있는 추가 선택 기준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 리스트(NL)에 존재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에서의 부하 상황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도한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이용가능한 충분한 프로세싱 자원들을 갖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N)가 단계(67)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단계(67)의 완료 이후에, 방법(33)은 단계(59)로 복귀한다.
단계들(61, 63 및 65)에서의 이웃 리스트(NL)의 재계산을 트리거링하는 이벤트(e)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통상적으로 트리거링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특히,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네트워크(11)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이벤트일 수 있다. 이벤트(e)는 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의 확립, 변경 또는 제거에 대한 요청일 수 있다. 또한, 이벤트(e)는 액세스 네트워크(11)의 상이한 셀들(27) 사이의 핸드오버들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e)는 동일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연결된 상이한 셀들(27) 사이에서의 단말기(29)의 핸드오버일 수 있다. 특히, 이벤트(e)는 이러한 핸드오버에 관한 핸드오버 커맨드의 발생일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핸드오버는 원격 무선 헤드(15)의 변화를 초래하지만,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원격 무선 헤드(15)가 변화하였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와 서빙 원격 무선 헤드(15) 사이의 라운드트립 시간(RTT_RRH)의 상이한 값이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핸드오버는 제2 지연 임계값(TH2)의 변경을 초래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방법(33)의 동작 페이즈(57)가 이웃 리스트(NL)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실제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가 이웃 리스트로부터 사라지고, 즉, 무선 베어러(RB)는 다른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의해 또는 심지어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의해 프로세싱될 필요가 있다.
약간 상이한 상황이, 상이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연결된 셀들(27) 사이의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들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핸드오버는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핸드오버의 예시적인 시나리오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가 이러한 타입의 핸드오버로 인해 변화하였기 때문에, 단계(61)는 새로운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에 대한 라운드트립 시간 값들(RTT_BBU)을 계산한다. 제2 지연 임계값(TH2) 및 이웃 리스트(NL)가 그에 따라 재계산된다. 단계(67)는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한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서 재계산된 이웃 리스트(NL)에서 하나의 이웃 N을 선택할 수 있다.
요약해서, 여기에 설명한 방법(33)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는 분산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위해 다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의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3GPP LTE 및 고속 패킷 액세스(HSPA)에서, HARQ 타이밍 요건들로부터 단말기(29) 및 분산된 기지국의 컴포넌트들(13, 15)에서의 프로세싱 시간들 및 에어 인터페이스 전파 지연의 감산 이후에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한 지연 제약들을 충족시키는 지연들의 합에 의해 이웃 관계(NL)가 결정된다. 지연들의 합은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부터 서빙 원격 무선 헤드(15)로 그리고 홈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부터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13)로의 전체 누적 지연으로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조건들(예를 들어, 패킷 버퍼 점유율)의 변화로 인해, 이웃 리스트(NL)는 동적 변동들의 경향이 있다. 방법(33)의 동작 페이즈(57)는 이웃 리스트(NL)를 이들 동적 변동들에 적응시키고, 적용가능하면 원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13)을 재선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네트워크(11)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33)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11)는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33)은,
    -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상기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에 의존하는 지연 메트릭(RTT_BBU)을 결정하는 단계(39) -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트리거링하는 이벤트(e)가 발생하기 이전에 결정됨 - ; 및
    -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에 의존하여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55, 65)
    를 포함하는, 방법(3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은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상기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라운드트립 시간에 의존하는, 방법(3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e)의 발생 이전에 결정된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을 제1 지연 임계값(TH1)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의존하여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33).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33)은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로서 선택된 상기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후보 리스트(NL_INIT)를 생성하는 단계(55)를 포함하는, 방법(33).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은 기저대역 프로세싱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트리거링하는 상기 이벤트(e)의 발생시에 결정되고,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대해 결정되는, 방법(33).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e)의 발생시에 결정된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을 제2 지연 임계값(TH2)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의존하여 원격 프로세싱을 위한 이웃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로서 후보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33).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33)은 이웃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로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이웃 리스트(NL)를 생성하는 단계(65)를 포함하는, 방법(33).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33)은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적어도 하나의 원격 무선 헤드(15)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에 의존하는 추가 지연 메트릭(RRT_RRH)을 결정하는 단계(49) 및 상기 추가 지연 메트릭(RRT_RRH)에 의존하여 제1 지연 임계값(TH1) 및/또는 제2 지연 임계값(TH2)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33).
  9.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1)용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서,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상기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에 의존하는 지연 메트릭(RTT_BBU)을 결정(39)하고 -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트리거링하는 이벤트(e)가 발생하기 이전에 결정됨 - ; 그리고
    -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에 의존하여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55, 65)
    하도록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엘리먼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33)을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엘리먼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기저대역 신호를 원격 무선 헤드(15)에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원격 무선 헤드(15)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배열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11)용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인, 네트워크 엘리먼트.
  12. 네트워크 엘리먼트 및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1)로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11) 및/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11)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33)을 실행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11).
  13.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프로세서상에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상기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지연에 의존하는 지연 메트릭(RTT_BBU)을 결정(39)하고 -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자원들의 할당 또는 재할당을 트리거링하는 이벤트(e)가 발생하기 이전에 결정됨 - ; 그리고
    - 상기 지연 메트릭(RTT_BBU)에 의존하여 원격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선택(55, 65)
    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33)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47032526A 2012-05-25 2013-03-22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 KR101640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05584.0A EP2667683B1 (en) 2012-05-25 2012-05-25 Method for operating a network ele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network element
EP12305584.0 2012-05-25
PCT/EP2013/056124 WO2013174544A1 (en) 2012-05-25 2013-03-22 Method for operating a network ele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network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47A KR20150003847A (ko) 2015-01-09
KR101640338B1 true KR101640338B1 (ko) 2016-07-15

Family

ID=4791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526A KR101640338B1 (ko) 2012-05-25 2013-03-22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78652B2 (ko)
EP (1) EP2667683B1 (ko)
JP (1) JP5926452B2 (ko)
KR (1) KR101640338B1 (ko)
CN (1) CN104380835B (ko)
WO (1) WO2013174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2151A4 (en) * 2013-04-05 2017-03-01 Kyocera Corporation Dynamic radio coverage area transition management
CN106465470B (zh) * 2014-05-12 2020-04-10 英特尔公司 C-ran前端预处理和信令单元
PL2953399T3 (pl) * 2014-06-02 2019-04-30 Alcatel Lucent Sposób działania sieci komunikacji radiowej i jej elementu sieciowego
US9451571B2 (en) * 2014-09-22 2016-09-20 Alcatel Lucent Determining uplink and downlink delays between a baseband unit and a remote radio head
JP6623516B2 (ja) * 2014-12-17 2019-12-2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ベースバンドユニット、制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9122962A1 (en) * 2017-12-19 2019-06-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aseband and method for selecting a co-ordination set of neighboring basebands in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c-ran)
EP3854126B1 (en) * 2018-09-18 2023-08-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ordination set generation for baseband units of a communications network
WO2023018897A1 (en) * 2021-08-12 2023-02-16 Intel Corporation Delay measurements between gnb-cu and gnb-du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8446A1 (en) 2010-05-02 2011-11-03 Cune William P Providing digital data services in optical fiber-based distributed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s system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20120071201A1 (en) 2009-05-27 2012-03-22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1186A1 (en) * 2004-02-17 2006-11-15 Jadi, Inc. Ultra wide band navigation system with mobile base stations
WO2005086510A1 (fr) * 2004-03-05 2005-09-15 Utstarcom Telecom Co., Ltd Optimisation de la transmission sur la base du partage de charge dans un systeme de station radio fixe
CN100364250C (zh) 2004-09-23 2008-01-23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移动通信中的延迟补偿方法及其系统
CN100426897C (zh) 2005-01-12 2008-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分体式基站系统及其组网方法和基带单元
US7940640B2 (en) * 2006-01-20 2011-05-10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orthogonal scheduling for virtual MIMO system
CN101132648A (zh) 2007-10-11 2008-02-27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跟踪方法及设备
KR101139583B1 (ko) 2008-06-06 2012-04-27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다운링크 반지속적 스케쥴링을 위해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정보에 대해 예비할당된 시그널링
JP5031687B2 (ja) 2008-07-03 2012-09-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遅延補正方法
US8230291B2 (en) 2008-08-04 2012-07-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Dynamic overwriting of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ssociations for downlink semi-persistent scheduling
CN102076024B (zh) 2009-11-24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网络系统及实现方法
RU2556081C1 (ru) 2011-05-17 2015-07-10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1201A1 (en) 2009-05-27 2012-03-22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20110268446A1 (en) 2010-05-02 2011-11-03 Cune William P Providing digital data services in optical fiber-based distributed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s system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80835B (zh) 2019-03-01
JP2015523778A (ja) 2015-08-13
CN104380835A (zh) 2015-02-25
US20150139100A1 (en) 2015-05-21
JP5926452B2 (ja) 2016-05-25
US10178652B2 (en) 2019-01-08
WO2013174544A1 (en) 2013-11-28
EP2667683A1 (en) 2013-11-27
EP2667683B1 (en) 2015-04-01
KR20150003847A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338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
CN103202089B (zh) 用于控制无线设备中的多个无线电接入承载的重新配置的方法
US9560628B2 (en) Method and node for pag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US20140362829A1 (en) Eps bearer splitting for dual connectivity devices
US20160234713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190035763A (ko) 보조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치
US9282476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A3006394A1 (en) Status detection method and wireless network node
CN112534874A (zh) 用于处置链路转换的第一网络节点、无线装置以及由此执行的方法
CN107371210A (zh) 切换方法及装置
CN104955128A (zh) 一种负荷信息传递方法和系统、以及网元
US20220053400A1 (en) Methods for uplink-based mobility management, related network node and related wireless device
CN107079515B (zh) 提高通信效率
US978165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UE to take measurements
EP242682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1465059B (zh) 一种上行信息传输路径确定方法和终端
JP623925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転送データ待ち制御方法
US9094879B2 (en) Handover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of the same system
CN107690197B (zh) 一种传输节点更换方法及相关设备
WO2020067960A1 (en) Transmission of protocol data units
JP200717428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端末装置およびハンドオーバ方法
WO2023274127A1 (zh) 路由选择、重路由及路由配置方法、iab节点和cu节点
US20210058200A1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4209185A1 (en) Method and first radio node for conveying a message to a second radio node
CN117793645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