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205A -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205A
KR20190035205A KR1020170124172A KR20170124172A KR20190035205A KR 20190035205 A KR20190035205 A KR 20190035205A KR 1020170124172 A KR1020170124172 A KR 1020170124172A KR 20170124172 A KR20170124172 A KR 20170124172A KR 20190035205 A KR20190035205 A KR 20190035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hiller
compressor
phase change
chang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610B1 (ko
Inventor
성 훈 김
Original Assignee
성 훈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 훈 김 filed Critical 성 훈 김
Priority to KR1020170124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10B1/ko
Priority to PCT/KR2017/012228 priority patent/WO2019066127A1/ko
Publication of KR2019003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8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의 순환에 의해 상변화 물질을 냉동시키고, 냉동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습윤 압축공기가 제습되어 건조 압축공기로 변화되도록 하는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습윤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단계, 에어 드라이어의 분할된 구획공간인 리히터에서 칠러로 습윤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단계, 냉동 싸이클에 따라 제어부가 컴프레서를 턴온함으로써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어 칠러에 배치된 상변화 물질을 기 설정된 온도까지 냉동하고, 상변화 물질이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부가 컴프레서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지 않는 동안 또는 컴프레서가 턴오프된 시간 동안 유입된 습윤 압축공기가 냉동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칠러에서 냉각 및 제습되어 물방울이 형성되는 단계, 및 제습에 의해 건조 압축공기로 변화되고, 건조 압축공기가 칠러에서 리히터로 이동하고, 리히터에서 건조 압축공기와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습윤 압축공기가 서로 열교환되면서 고온의 습윤 압축공기는 냉각되어 칠러로 이동되고, 건조 압축공기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상승되고 상대 습도가 낮아지면서 압축공기 유출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air dryer}
본 발명은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의 순환에 의해 상변화 물질을 냉동시키고, 냉동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습윤 압축공기가 제습되어 건조 압축공기로 변화되도록 하는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습윤 압축공기를 건조 압축공기로 변화시키는 종래의 일반 냉동식 드라이어는 냉매를 사용하여 습윤 압축공기를 직접 제습하는 방식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나 압축공기의 부하와 관계없이 냉동 컴프레서를 연속 운전하여야 하기 때문에 초기 설치시의 부담 비용은 적으나 전력 비용의 심각한 낭비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0591141에서는 종래의 일반 냉동식 드라이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선행문헌에서도 냉매에 의해 습윤 압축공기를 제습하는 드라이어가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0591141(발명의 명칭 : 응축수 세퍼레이팅 기능을 가진 일체형 판형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150688(발명의 명칭 : 유분제거를 겸한 에어 드라이어)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냉매의 순환에 의해 상변화 물질을 냉동시키도록 제어하고, 냉동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습윤 압축공기가 제습되도록 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동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제습되는 동안에는 컴프레서를 턴오프(휴지기 싸이클 구간)시키고, 상변화 물질이 다시 설정온도로 상승하면 컴프레서를 턴온(냉동 싸이클 구간) 시키도록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습윤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단계, 에어 드라이어의 분할된 구획공간인 리히터에서 칠러로 습윤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단계, 냉동 싸이클에 따라 제어부가 컴프레서를 턴온함으로써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어 칠러에 배치된 상변화 물질을 기 설정된 온도까지 냉동하고, 상변화 물질이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부가 컴프레서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지 않는 동안 또는 컴프레서가 턴오프된 시간 동안 유입된 습윤 압축공기가 냉동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칠러에서 냉각 및 제습되어 물방울이 형성되는 단계, 및 제습에 의해 건조 압축공기로 변화되고, 건조 압축공기가 칠러에서 리히터로 이동하고, 리히터에서 건조 압축공기와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습윤 압축공기가 서로 열교환되면서 고온의 습윤 압축공기는 냉각되어 칠러로 이동되고, 건조 압축공기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상승되고 상대 습도가 낮아지면서 압축공기 유출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영상 온도)인 경우에 컴프레서를 턴온시켜 상변화 물질을 냉각시키고, 상변화 물질이 냉동되어 제2 설정온도(영하 온도)에 다다르면 컴프레서를 턴오프시켜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변화 물질의 냉각 기울기를 인식하며, 냉각 기울기에 따라 컴프레서의 턴오프 시점을 서로 달리 제어하고 제2 설정온도에 다다르기 전에 컴프레서의 턴오프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설정온도에 맞춰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냉각 기울기에 따라 압축공기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인식할 수 있으며, 냉각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울기 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많아짐을 예측함으로써 제2 설정온도의 설정값을 상대적으로 더 내려가게 설정하여 컴프레서의 동작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변화 물질의 냉각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계산 및 학습함으로써 컴프레서의 턴오프 시점을 계산할 수 있고, 냉각 기울기에 따라 컴프레서의 턴오프 시점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상변화 물질이 과냉각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습윤 압축공기의 유입량이나 유입온도에 따라 상변화 물질의 냉각 목표 온도를 변경함으로써 컴프레서의 구동횟수를 줄여 운전 수명을 연장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잠열이 있는 상변화 물질을 이용하여 제습을 하도록 함으로써 단위 체적당 축냉 효율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 컴프레서를 냉동 싸이클 구간과 휴지기 싸이클 구간으로 구분 구동함으로서 에너지를 절감하고, 컴프레서의 운전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통해 안정적인 이슬점을 제공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물질의 냉각 목표 온도와 냉각 기울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물질의 냉각 기울기에 따라 컴프레서의 턴오프 시점을 달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울기의 차이에 따라 냉각 목표 온도를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컴프레서의 구동횟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구성 및 기능>
본 발명은 상변화 물질(또는 상변환 물질, Phase Change Material)을 냉매 순환에 의해 냉각(또는 쿨링)시키고, 냉각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유입되는 습윤 압축공기를 제습하여 건조 압축공기로 변환하도록 한 장치이다. 이때, 상변화 물질은 일정한 온도 기준으로 물질의 상태가 액체와 고체로 변화하면서 많은 열(또는 잠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도록 만들어진 물질이다. 잠열은 온도를 올리기 위해 필요한 현열의 수십 배 이상이므로 상변화를 이용하면 축냉매의 단위 체적당 축냉 효율이 수십 배 증가한다. 이에 따라 소량의 상변화 물질의 사용으로도 충분한 축냉이 가능하며, 종래의 간접 냉각식(Thermal Mass)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구조는 간단하고,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변화 물질은 특정 온도에서 응고, 용융되는 물질이 적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잠열이 클수록 좋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1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10)는 상변화 물질을 냉매에 의해 냉각시키고, 냉각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유입된 습윤 압축공기를 제습하여 건조 압축공기로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습윤 압축공기(21)는 압축공기 유입포트(11)를 통해 리히터(18) 영역(또는 구역)으로 유입되고, 리히터(18) 영역에서 칠러(19) 영역으로 이동하여 제습이 되고 다시 칠러(19) 영역에서 리히터(18) 영역으로 건조 압축공기(22)가 이동하며, 압축공기 유출포트(12)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유입된 압축공기는 리히터(18) 영역과 칠러(19) 영역을 순환하게 된다.
리히터(18) 영역과 칠러(19) 영역 사이에는 이를 구획하는 구획부(18a, 또는 연통부)가 배치되어 서로 연통 되며, 습윤 압축공기(21)는 리히터(18) 영역에서 칠러(19) 영역으로 이동될 때 구획부(18a)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리히터(18) 영역에서 1차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칠러(19) 영역에서 냉각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습윤 압축공기(21)가 건조 압축공기(22)로 변화되고, 건조 압축공기(22)는 에어 드라이어(10)의 하측영역을 통해 칠러(19) 영역에서 리히터(18) 영역으로 다시 이동된다. 이때, 고온의 포화 압축공기(21)가 리히터(18) 영역으로 유입되면 차가워진 건조 압축공기(22)와의 열교환을 통해 1차로 냉각된다. 이와 반대로, 제습된 건조 압축공기(22)는 다시 리히터(18) 영역을 통과하면서 드라이어로 유입되는 고온의 압축공기(21)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는 상승되고, 상대습도는 더욱 낮아져 건조한 양질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에도 리히터(18) 영역에서 제습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응축수(23)가 에어 드라이어(10)의 하부영역에 저장되고 물 유출포트(13)를 통해 응축수(23)를 배출한다. 유입된 습윤 압축공기(21)는 리히터(18) 영역에서 칠러(19) 영역으로 이동할 때 이동경로가 최대한 길어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히터(18) 영역에서 구획부(18a)를 통해 칠러(19) 영역으로 이동한 습윤 압축공기(21)는 냉매의 순환에 의해 냉각된 상변화 물질과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습윤 압축공기(21)는 제습되어 응축수가 생성되며, 생성된 응축수(23)는 에어 드라이어의 하측 영역에 저장된다. 칠러(19) 영역에는 냉매가 냉동 싸이클에 의해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 배관(14)이 컴프레서(16) 및 콘덴서(17)와 상호 접속되어 있다. 또한, 칠러(19) 영역에는 상변화 물질이 저장되는 배관(15)이 배치된다.
한편, 컴프레서(16)와 콘덴서(17)에 의해 냉동 싸이클이 운전되며, 냉동 싸이클에 의해 냉매가 칠러(19) 영역으로 순환되면서 상변화 물질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변화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 컴프레서(16)를 지속적으로 가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예로서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3도씨인 경우 컴프레서(16)를 가동하고, 상변화 물질이 냉각되다가 온도가 영하 5도씨에 다다르면 컴프레서(16)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충분히 세이빙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즉, 컴프레서(16)의 턴온 시점부터 턴오프 시점까지를 냉동 싸이클이라하고 턴오프 시점부터 다시 턴온 시점까지를 휴지기 싸이클이라고 하면, 냉동 사이클 내에서 냉매의 순환에 의해 상변화 물질을 냉동시키게 되고 휴지기 싸이클 동안 컴프레서(16)가 구동을 멈추어 에너지를 절약함과 동시에 유입된 습윤 압축공기(21)를 제습하게 된다. 물론 습윤 압축공기(21)의 제습은 냉동 싸이클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습윤 압축공기(21)의 유입량이 많으면 상변화 물질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유입량이 적으면 상변화 물질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도 4 또는 도 5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 유입포트 및 유출포트(11,12) 영역에 각각 제1,2 온도센서(31,32)를 배치하여 압축공기의 온도를 제어부가 감지하고, 칠러(19) 영역에 습도센서(33)를 배치하여 칠러(19) 영역의 습도를 제어부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입포트 및 유출포트(11,12) 영역에 유량센서를 배치하여 압축공기의 유입 및 유출 유량을 제어부가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센서의 배치 위치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냉매의 온도 및 상변화 물질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의 배관(14,15)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유량 값, 온도 값, 습도 값을 바탕으로 제어부는 컴프레서(16)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컴프레서(16)는 냉동 싸이클과 휴지기 싸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일예로서 앞서 설명은 상변화 물질의 온도만을 기준으로 제어부가 컴프레서(16)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제어부는 센서부의 입력에 따라 이슬점을 계산할 수 있고 유량센서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슬점 계산 값과 유입량에 따라 냉동 싸이클과 휴지기 싸이클의 구동 시간을 달리하거나 상변화 물질의 냉각 목표 온도(일예로서 영하 5도씨)를 변경할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의 냉각 목표 온도를 변경하여 더 낮추게 되면(일예로서 영하 10도씨) 그만큼 컴프레서(16)의 구동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냉동 싸이클과 휴지기 싸이클의 반복횟수가 줄어들게 된다. 또 따른 예로서 제어부는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온도와 유출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센싱하여 상변화 물질의 최적의 냉각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는 다양한 환경하(일예로서 추운지방과 더운지방에 설치된 경우에 외부 공기의 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음)에서 다를 수 있으며(일반적으로 외부 공기의 온도를 대략 30도씨로 가정함), 에어 드라이어에 의해 건조된 건조 압축공기의 온도는 대략 4~7도씨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온도가 일반적인 상황에 비해 높으면 컴프레서(16)의 구동횟수가 자주 반복될 것이기 때문에 냉각 목표 온도를 더 낮춤으로써 구동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술한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값과 컴프레서(16)의 제어를 반복 학습함으로써 최적의 컴프레서(16) 제어값(이때 제어값은 컴프레서의 온/오프 시점)을 도출해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부하량에 따라 필요시에만 냉동 컴프레서(16)를 가동시킴으로써 컴프레서의 운전 수명을 최대화하고, 에너지를 절감하고, 안정적인 이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습윤 압축공기(21)가 압축공기 유입포트(11)를 통해 리히터(18) 내로 유입되면, 에어 드라이어(10)의 분할된 구획공간인 리히터(18)에서 칠러(19)로 습윤 압축공기(21)가 이동한다.
냉동 싸이클(컴프레서 턴온 시점에서 턴오프 시점까지)에 따라 제어부가 컴프레서(16)를 턴온함으로써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어 칠러(19)에 배치된 상변화 물질을 냉동 목표 온도까지 냉동하고, 상변화 물질이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휴지기 싸이클(컴프레서 턴오프 시점에서 턴온 시점까지)에 따라 제어부가 컴프레서(16)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지 않는 동안 또는 휴지기 싸이클 동안 유입된 습윤 압축공기(21)가 냉동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칠러(19)에서 냉각 및 제습되어 물방울이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3도씨인 경우 냉동 싸이클이 시작되어 컴프레서(16)가 턴온되고, 냉동 목표 온도인 영하 5도씨에 다다르면 휴지기 싸이클이 시작되어 컴프레서(16)가 턴오프된다.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영하 5도씨에 다다라 컴프레서(16)가 턴오프되면 상변화 물질과 유입된 습윤 압축공기(21)의 열교환(제습이 이루어짐)에 의해 서서히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올라가기 시작하며, 영상 3도씨에 다다르면 다시 컴프레서(16)가 턴온되어 냉동 싸이클이 반복된다. 상술한 영상 3도씨의 목표 온도와 영하 5도씨의 냉각 목표 온도는 필요에 따라 조금씩 변경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냉각 목표 온도의 경우에는 도 5와 함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컴프레서(16)의 반복횟수를 줄이기 위해 변경 설정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장점이다.
다음으로, 제습에 의해 습윤 압축공기(21)가 건조 압축공기(22)로 변화되고, 건조 압축공기(22)가 칠러(19)에서 리히터(18)로 이동한다. 리히터(18)에서 건조 압축공기(22)와 유입포트(11)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습윤 압축공기(21)가 서로 열교환되면서 고온의 습윤 압축공기(21)는 1차 냉각되어 칠러(19)로 이동하고, 건조 압축공기(22)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상승되고 상대 습도가 낮아지면서 압축공기 유출포트(12)를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한편,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냉각 목표 온도인 영하 5도씨를 넘어서서 대략적으로 영하 13도씨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변화 물질 배관(15)이 얼어버리거나 터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제습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응축수가 얼어서 칠러(19) 내부에서 배관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막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바람직하게는 영하 5도씨 부근에서 상변화 물질이 냉매에 의해 냉각을 멈춰야 한다(물론 상변화 물질의 냉각 허용범위의 온도는 대략적으로 영하 5도씨에서 영하 13도씨까지 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가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영하 5도씨일때 컴프레서(16)의 구동을 멈추어도(도 3의 t2 시점에서)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더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는 냉동 싸이클 구간(도 3의 컴프레서 턴온 시점에서 t2까지)에서 미리 컴프레서(16)의 구동을 멈추도록 하여 바람직하게 상변화 물질의 냉동 온도가 영하 5도씨에 맞춰지도록 한다. 미리 컴프레서(16)의 구동을 턴오프하기 위해(일예로서 도 3의 t1 시점) 제어부는 냉동 싸이클 구간 내에서 지속적으로 상변화 물질의 냉각 기울기(△a)를 계산하고, 계산된 냉각 기울기에 따라 컴프레서(16)의 이상적인 턴오프 시점(t1 시점)을 도출해 냄으로써 냉각 목표 온도를 정확하게 영하 5도씨로 맞출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의 냉각 기울기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일예로서 압축공기의 유입량 또는 압축공기의 유입 온도), 제어부는 냉각 기울기를 냉동 싸이클 구간 내에서 지속적으로 계산함으로써 냉각 기울기에 따라 컴프레서(16)의 턴오프 시점을 유기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1, 기울기 2, 기울기 3을 예로 들면, 기울기 1은 t1 시점에서(또는 상변화 물질의 C1 온도에서) 컴프레서(16)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빨간색 기울기를 따라 정확하게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제어부가 제어하고, 만찬가지로 기울기 2는 t2 시점에서(또는 상변화 물질의 C2 온도에서) 컴프레서(16)를 턴오프시키고, 기울기 3은 t3 시점에서(또는 상변화 물질의 C3 온도에서) 컴프레서(16)를 턴오프시킴으로써 각각의 빨간색 냉각 기울기에 따라 상변화 물질의 목표 냉각 온도가 영하 5도씨로 맞춰지도록 제어부가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각각의 냉각 기울기에 따라 컴프레서(16)의 턴오프 시점을 달리하여 유기적으로 제어한다. 이렇게 시점을 달리하여 컴프레서(16)를 제어하지 않으면 상변환 물질이 과냉각 되어 배관의 막힘이나 파손을 유발하고, 입출력 포트에서 막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냉동 싸이클 구간 내에서 상변화 물질을 냉각시키는 제어방법으로서 PD 제어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압축공기의 유입량이나 온도에 따라 상변화 물질의 냉각 기울기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1 보다는 기울기 3이 냉각 시간이 더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는 압축공기의 유입량이 상대적으로 많거나 온도가 다른 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유입됨으로써 냉매의 순환에 따라 상변화 물질의 냉각이 서서히 냉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냉동 싸이클 구간 내에서 지속적으로 상변화 물질의 냉각 기울기를 계산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냉각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학습함으로써 현재의 상변화 물질의 냉각이 어떤 기울기 상태에 있는지 알 수 있다. 즉, 1시간 동안의 학습결과 기울기 1과 같은 냉각 기울기가 지속적으로 생성되었으나 그 이후에(현재의 시점에서) 기울기 3과 같은 냉각 기울기로 바뀌었다면 제어부는 현재 압축공기의 유입량(또는 온도이거나 이슬점 온도의 변경일 수 있음)이 과거에 비해 많아졌음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컴프레서(16)를 미리 적당한 시점(도 3의 t1)에 턴오프함으로써 목표 냉각 온도인 영하 5도씨에 상변화 물질의 온도를 맞출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변화 물질의 냉각 기울기가 기울기 1에서 기울기 3으로 바뀌면 압축공기의 유입량이 그만큼 많아졌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컴프레서(16)의 턴온(또는 냉각 싸이클) 및 턴오프(또는 휴지기 싸이클) 횟수가 많아진다. 이러한 컴프레서(16)의 구동횟수를 줄이기 위해 제어부는 기울기 1에서 기울기 3으로 냉각 기울기가 변화되면 상변화 물질의 냉각 목표 온도를 영하 5도씨에서 허용 범위 내의 냉각 온도인 일예로서 영하 10도씨로 변경한다. 이렇게 냉각 목표 온도가 기울기에 따라 더 내려가면 그만큼 컴프레서(16)의 구동횟수를 줄일 수 있고, 컴프레서(16)의 구동횟수를 줄여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므로 이에 상승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어부는 상변화 물질의 냉각 기울기 값을 통해 상변화 물질의 냉각 목표 온도 값을 바꿀 수도 있고, 또는 유량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유량값 또는 이슬점 온도의 변화에 따라 동일하게 냉동 목표 온도 값 변경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에어 드라이어
11 : 압축공기 유입포트
12 : 압축공기 유출포트
13 : 물 유출포트
14 : 냉매 배관
15 : 상변화 물질 배관(또는 상변화 물질 배관)
16 : 컴프레서
17 : 콘덴서
18 : 리히터(Reheater)
18a : 구획부(또는 연통부)
19 : 칠러(Chiller)
21 : 습윤 압축공기(Wer air)
22 : 건조 압축공기(Dry air)
23 : 물(또는 응축수)
31 : 제1 온도센서
32 : 제2 온도센서
33 : 습도센서

Claims (4)

  1. 습윤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단계,
    에어 드라이어의 분할된 구획공간인 리히터에서 칠러로 상기 습윤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단계,
    냉동 싸이클에 따라 제어부가 컴프레서를 턴온함으로써 냉매가 상기 칠러로 순환되어 상기 칠러에 배치된 상변화 물질을 기 설정된 온도까지 냉동하고, 상기 상변화 물질이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컴프레서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냉매가 상기 칠러로 순환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상기 냉매가 상기 칠러로 순환되지 않는 동안 또는 상기 컴프레서가 턴오프된 시간 동안 유입된 상기 습윤 압축공기가 냉동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상기 칠러에서 냉각 및 제습되어 물방울이 형성되는 단계, 및
    제습에 의해 건조 압축공기로 변화되고, 상기 건조 압축공기가 상기 칠러에서 상기 리히터로 이동하고, 상기 리히터에서 상기 건조 압축공기와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습윤 압축공기가 서로 열교환되면서 고온의 습윤 압축공기는 냉각되어 상기 칠러로 이동되고, 상기 건조 압축공기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상승되고 상대 습도가 낮아지면서 압축공기 유출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인 경우에 상기 컴프레서를 턴온시켜 상기 상변화 물질을 냉각시키고, 상기 상변화 물질이 냉동되어 제2 설정온도에 다다르면 상기 컴프레서를 턴오프시켜 상기 냉매가 칠러로 순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변화 물질의 냉각 기울기를 인식하며, 상기 냉각 기울기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의 턴오프 시점을 서로 달리 제어하고 상기 제2 설정온도에 다다르기 전에 컴프레서의 턴오프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상변화 물질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설정온도에 맞춰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 기울기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냉각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울기 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많아짐을 예측함으로써 상기 제2 설정온도의 설정값을 상대적으로 더 내려가게 설정하여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KR1020170124172A 2017-09-26 2017-09-26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KR102018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72A KR102018610B1 (ko) 2017-09-26 2017-09-26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PCT/KR2017/012228 WO2019066127A1 (ko) 2017-09-26 2017-11-01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72A KR102018610B1 (ko) 2017-09-26 2017-09-26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05A true KR20190035205A (ko) 2019-04-03
KR102018610B1 KR102018610B1 (ko) 2019-09-05

Family

ID=6590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172A KR102018610B1 (ko) 2017-09-26 2017-09-26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8610B1 (ko)
WO (1) WO20190661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2252A (zh) * 2021-12-20 2022-04-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组合式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KR102615320B1 (ko) * 2023-01-19 2023-12-19 (주)제넥 Pcm 에어 드라이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165B2 (ja) * 1988-06-22 1999-05-31 セブ ソシエテ アノニム 加熱装置の温度制御装置及び温度制御方法
KR200150688Y1 (ko) 1996-10-30 1999-07-01 이병승 유분제거를 겸한 에어드라이어
KR100591141B1 (ko) 2004-03-09 2006-06-19 이병승 응축수 세퍼레이팅 기능을 가진 일체형 판형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0046567A (ja) * 2008-08-19 2010-03-04 Orion Mach Co Ltd 圧縮空気除湿装置及び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20110045436A (ko) * 2009-10-27 2011-05-04 (주)지에스에이 에너지절약형 냉동식 에어드라이어 제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3481B2 (ja) * 1996-01-16 1999-03-03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圧縮空気除湿用熱交換器
JPH10148483A (ja) * 1996-11-20 1998-06-02 Hitachi Ltd 空気圧縮機用エアドライヤの熱交換器
JP2010240623A (ja) * 2009-04-09 2010-10-28 Orion Mach Co Ltd 除湿装置
CN107106975B (zh) * 2015-03-10 2020-04-03 三菱电机株式会社 除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165B2 (ja) * 1988-06-22 1999-05-31 セブ ソシエテ アノニム 加熱装置の温度制御装置及び温度制御方法
KR200150688Y1 (ko) 1996-10-30 1999-07-01 이병승 유분제거를 겸한 에어드라이어
KR100591141B1 (ko) 2004-03-09 2006-06-19 이병승 응축수 세퍼레이팅 기능을 가진 일체형 판형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0046567A (ja) * 2008-08-19 2010-03-04 Orion Mach Co Ltd 圧縮空気除湿装置及び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20110045436A (ko) * 2009-10-27 2011-05-04 (주)지에스에이 에너지절약형 냉동식 에어드라이어 제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2252A (zh) * 2021-12-20 2022-04-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组合式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CN114322252B (zh) * 2021-12-20 2022-12-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组合式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KR102615320B1 (ko) * 2023-01-19 2023-12-19 (주)제넥 Pcm 에어 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127A1 (ko) 2019-04-04
KR102018610B1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225B1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CN100472155C (zh) 电冰箱及其控制方法
KR10123721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U2012281861B2 (en) Humidity adjustment device
KR101081821B1 (ko) 에너지절약형 냉동식 에어드라이어 제습장치
US9857103B2 (en) Refrigerator having a condensation loop between a receiver and an evaporator
US20070137227A1 (en) Refrigeration device comprising controlled de-humidification
CN103547872A (zh) 冷藏库
EP2719976B1 (en) Refrigeration apparatus
JP4783048B2 (ja) 恒温恒湿装置
CN102095270A (zh) 风冷冰箱的制冷系统及其制冷方法
JP2017190936A (ja) 冷蔵庫
KR20190035205A (ko)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
JP6448991B2 (ja) 冷蔵庫
US20060042279A1 (en) Cooling plant for a fluid with control of variables
KR2015005899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4641473B2 (ja) 恒温恒湿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6533479B2 (ja) 冷蔵庫
KR101314676B1 (ko) 냉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504188B2 (ja) 冷蔵庫
EP1508752A1 (en) Thermohygrostat-type air conditioner with means for controlling evaporation temperature
JP6555710B2 (ja) 冷凍・冷蔵システム
KR100249195B1 (ko) 냉장고
JP2019174087A (ja) 環境形成装置及び環境形成方法
JP2011202914A (ja) 除湿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