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811A -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4811A KR20190034811A KR1020170123284A KR20170123284A KR20190034811A KR 20190034811 A KR20190034811 A KR 20190034811A KR 1020170123284 A KR1020170123284 A KR 1020170123284A KR 20170123284 A KR20170123284 A KR 20170123284A KR 20190034811 A KR20190034811 A KR 201900348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se
- hole
- base assembly
- suction
- 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성이 개선된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세척장치는 하부 베이스 조립체, 제1저장용기, 제2저장용기, 상부커버, 펌핑유닛, 제1핸들 조립체 그리고 흡입유닛을 포함한다. 제1저장용기는 하부 베이스 조립체에 결합되고 세척수가 수용된다. 제2저장용기는 제1저장용기와 밀착되도록 하부 베이스 조립체에 결합되어 하부 베이스 조립체, 제1저장용기와 함께 하부몸체를 형성하고, 오수가 저장된다. 상부커버는 하부 베이스 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몸체를 형성하고,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진다. 펌핑유닛은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제1유입관을 통해 제1저장용기에 수용된 세척수를 흡입한다. 제1핸들 조립체는 하부 베이스 조립체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측에는 펌핑유닛과 연결되어 펌핑유닛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이동되는 공급관이 구비되는 제1호스와, 제1호스 및 공급관과 연결되고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과, 제1호스로 이동되도록 오수가 흡입되는 흡입부를 가지는 샤워핸들을 포함한다. 흡입유닛은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흡입부로 오수가 흡입되어 제1호스를 통해 이동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며, 흡입유닛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은 제2저장용기의 내측을 통해 제1호스의 내측으로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성이 개선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들은 몸에 많은 털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주기적으로 털이 빠지기 때문에 털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것은 물론 야외 활동 시 털이 쉽게 오염될 수 있어 수시로 털을 세척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비눗물 또는 샴푸 등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빗겨주면서 세척해 주기 위한 애완동물 전용 세척도구가 없어 애완동물의 털 관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세척 시 많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애완동물의 털에 비누칠을 하고, 일반적인 빗 등을 이용하여 털을 빗겨주거나 또는 샤워기를 이용하여 털을 세척하는 것이 일반적인 세척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털 세척방법은 빗질과 샤워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곤란하여 세척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 비눗물이나 세척수의 불필요한 과다 사용으로 인해 자원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핸드 드라이어기 등으로 털을 건조시켜야 하기 때문에 건조 과정이 불편한 것은 물론 털과 피부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성이 개선된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하부 베이스 조립체;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에 결합되고 세척수가 수용되는 제1저장용기; 상기 제1저장용기와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 상기 제1저장용기와 함께 하부몸체를 형성하고, 오수가 저장되는 제2저장용기;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몸체를 형성하고,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상부커버;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제1유입관을 통해 상기 제1저장용기에 수용된 세척수를 흡입하는 펌핑유닛;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측에는 상기 펌핑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펌핑유닛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이동되는 공급관이 구비되는 제1호스와, 상기 제1호스 및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과, 상기 제1호스로 이동되도록 오수가 흡입되는 흡입부를 가지는 샤워핸들을 포함하는 제1핸들 조립체;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로 오수가 흡입되어 상기 제1호스를 통해 이동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은 상기 제2저장용기의 내측을 통해 상기 제1호스의 내측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는 하부 버킷과, 상기 하부 버킷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버킷과 함께 내측에 상기 제1호스 및 전선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제1연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 버킷과,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1연결홀을 연결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펌핑유닛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안내되는 안내관과 상기 공급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상부 버킷의 상부에 상기 제1연결홀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홈을 가지는 제1지지부 및 제2삽입홈을 가지는 제2지지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흡입유닛이 마련되며, 상기 제1유입관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안내관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과, 상기 흡입유닛과 연결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마운트와, 상기 제1마운트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로드 및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삽입로드를 가지는 상부 베이스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용기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버킷의 일측에 탈착되도록 상기 상부 버킷의 일측 상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용기 베이스와, 상기 제2용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제2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버킷의 일측에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로 결합되며, 상기 제3관통홀과 연결되는 흡입홀을 가지는 제2용기 커버와, 상기 제2저장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안내하며, 오수가 미리 정해진 수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흡입홀을 밀폐하는 체크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는 상기 제2용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2용기 베이스의 하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어댑터와 연결되는 유로홀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유로홀이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배수기둥과, 상기 배수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배수기둥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배수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커버기둥과, 상기 커버기둥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오수에 뜨는 부력부재와, 상기 커버기둥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기둥이 상향 이동 시에 상기 흡입홀을 밀폐하는 밀폐판을 가지는 부력기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에 힌지 회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는 슬릿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회전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1삽입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상부 베이스 조립체 간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가압구를 가지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홈은 상기 제1삽입홈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의 내측에는 상기 제2삽입로드가 관통 삽입되는 제1통공과, 상기 제2삽입로드의 하단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통공을 가지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샤워핸들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액이 저장되는 제3저장용기와, 상기 제3저장용기에 연결되는 제2유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액의 흐름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펌핑유닛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관,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세척액을 공급하는 제1관 및 상기 세척수 및 세척액을 혼합하여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안내관이 결합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스위치 손잡이와 연결되는 조절축과, 상기 조절축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캠과,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조절바디와, 상기 조절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홈과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관과 연결되는 제1포트 및 상기 제1관과 연결되는 제2포트와, 상기 슬라이딩홈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캠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어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를 연결하는 연결로를 가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연결로가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를 연결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커버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흡입유닛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호스와, 상기 제2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2호스를 통해 이동되는 고온의 공기가 분사되는 배기구를 가지는 건조핸들을 포함하는 제2핸들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호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호스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핸들 조립체에서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노즐로 분사되도록 하여 세척을 할 수 있고, 세척된 오수는 흡입부를 통해 제1호스로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세척 작업에서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에서 제3저장용기에 수용되는 세척액의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어 세척수 만으로 세척이 필요한 경우와 세척액을 이용하여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 따라 세척액의 투입 여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가 저장되는 제2저장용기에 체크부가 마련되어 오수가 제2저장용기의 밖으로 흘러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삽입홈이 제1삽입홈을 회전축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지지부의 내측에 스토퍼가 마련되어 상부 베이스 조립체가 회전된 상태로 들어 올려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하부몸체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펌핑유닛 및 제3용기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조절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샤워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체크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상부 베이스 조립체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하부몸체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펌핑유닛 및 제3용기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조절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샤워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체크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상부 베이스 조립체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하부몸체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펌핑유닛 및 제3용기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조절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절개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샤워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장치는 하부 베이스 조립체(100), 제1저장용기(200), 제2저장용기(300), 상부커버(400), 펌핑유닛(500), 제1핸들 조립체(600) 그리고 흡입유닛(8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 조립체(100)는 하부 버킷(110), 상부 버킷(120), 어댑터(130), 연결관(135),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150)를 가질 수 있다.
하부 버킷(110)은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버킷(120)은 하부 버킷(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버킷(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버킷(120)과 하부 버킷(110)이 결합되면 그 내측에는 수용공간(10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버킷(110) 및 상부 버킷(120)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제1결합홀(111,121) 및 제2결합홀(112,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홀(111,121) 및 제2결합홀(112,122)은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홀(111,121)에는 플러그(102)의 전선(103)이 관통될 수 있으며, 제2결합홀(112,122)에는 후술할 제1호스(610)가 관통될 수 있다.
하부 버킷(110)의 바닥면에는 제2결합홀(112) 방향으로 그루브(1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버킷(110)에는 한 쌍의 제1오목부(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버킷(120)에는 제1오목부(114)에 대응되는 제2오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오목부(114) 및 제2오목부(124)는 제1저장용기(200) 및 제2저장용기(300)를 탈착 시에 사용자의 손이 제1저장용기(200) 및 제2저장용기(30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버킷(120)의 상부에는 제1연결홀(1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홀(123)은 상부 버킷(1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130)는 수용공간(101)에 마련될 수 있다. 어댑터(130)는 그루브(113)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댑터(130)는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어댑터(130)의 하단부는 제1호스(6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어댑터(130)의 상단부는 제1연결홀(12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댑터(130)는 제1호스(610)와 제1연결홀(123)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관(135)은 어댑터(13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어댑터(13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결관(135)의 일단부에는 후술할 안내관(5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130)의 내측에서 연장되는 연결관(135)의 타단부에는 제1호스(6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공급관(6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내관(5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는 공급관(6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150)는 상부 버킷(120)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150)는 제1연결홀(123)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부(140)는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홈(141)을 가질 수 있으며, 제2지지부(150)는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홈(151)을 가질 수 있다.
제1저장용기(200)는 하부 베이스 조립체(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저장용기(200)에는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저장용기(200)는 제1용기 베이스(210) 및 제1용기 커버(220)를 가질 수 있다.
제1용기 베이스(210)는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150)를 기준으로 상부 버킷(120)의 일측 상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용기 베이스(210)는 바닥면에 제1손잡이홈(211)을 가질 수 있다. 제1손잡이홈(211)은 사용자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용기 커버(220)는 제1용기 베이스(2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용기 베이스(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용기 커버(220)가 제1용기 베이스(210)와 결합되면 그 내측에는 제1저장공간(2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저장공간(201)에는 세척수(1)가 수용될 수 있다. 세척수(1)는 깨끗한 물일 수 있다.
또한, 제1용기 커버(220)의 상부에는 유입관 통공(2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유입관 통공(221)으로는 제1유입관(10)이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저장용기(200)에 수용된 세척수는 제1유입관(10)을 통해 후술할 펌핑유닛(5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저장용기(200)는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150)를 기준으로 상부 버킷(120)의 일측에 탈착될 수 있다. 제1유입관(10)은 유연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저장용기(200)가 상부 버킷(120)의 상부에 결합 시에, 제1유입관(10)은 형상이 변형되면서 유입관 통공(221)을 통해 제1저장용기(2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저장용기(200)가 상부 버킷(120)의 상부에서 분리 시에, 제1유입관(10)은 형상이 변형되면서 유입관 통공(221)을 통해 제1저장용기(200)의 외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제2저장용기(300)는 제2용기 베이스(310), 제2용기 커버(320) 및 체크부(330)를 가질 수 있다.
제2용기 베이스(310)는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150)를 기준으로 상부 버킷(120)의 타측 상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용기 베이스(310)는 바닥면에 제2손잡이홈(311)을 가질 수 있다. 제2손잡이홈(311)은 사용자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용기 커버(320)는 제2용기 베이스(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2용기 베이스(3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용기 커버(320)가 제2용기 베이스(310)와 결합되면 그 내측에는 제2저장공간(3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저장공간(301)에는 오수(汚水)(2)가 수용될 수 있다. 오수(2)는 세척수가 분사된 후 세척 작업을 거치면서 생성되는 더러운 물일 수 있다. 또한, 제2용기 커버(320)의 상부에는 흡입홀(3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저장용기(300)는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150)를 기준으로 상부 버킷(120)의 타측에 탈착될 수 있다. 제2저장용기(300)가 상부 버킷(120)에 결합되면 제2용기 커버(320)의 요부(322)는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150)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홀(321)은 상부 버킷(120)에 형성되는 제1연결홀(123)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저장용기(300)의 요부(322)는 제1저장용기(200)의 홈부(22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지지부(140), 제1저장용기(200), 제2지지부(150) 및 제2저장용기(300)는 연속적인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베이스 조립체(100), 제1저장용기(200) 및 제2저장용기(300)는 세척장치의 하부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체크부(330)는 제2저장공간(301)에 구비될 수 있다. 체크부(330)는 어댑터(130)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제2저장공간(301)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체크부(330)는 오수가 미리 정해진 수위 이상이 되는 경우 흡입홀(321)을 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크부(330)는 배수기둥(331) 및 부력기둥(335)을 가질 수 있다.
배수기둥(331)은 제2용기 베이스(310)의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배수기둥(331)은 내측에 유로홀(332)이 형성될 수 있다. 유로홀(332)은 배수기둥(33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용기 베이스(310)의 하측으로 관통될 수 있다. 제2저장용기(300)가 하부 베이스 조립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유로홀(332)은 제1연결홀(123)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댑터(130)와도 연결될 수 있다.
배수기둥(331)의 상단부는 밀폐될 수 있으며, 배수기둥(331)의 상단부의 측면에는 관통공(3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홀(332)은 관통공(333)을 통해 배수기둥(331)의 외측으로 연통될 수 있다.
부력기둥(335)은 커버기둥(336), 부력부재(337) 및 밀폐판(338)을 가질 수 있다.
커버기둥(336)은 배수기둥(33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기둥(336)의 내주면은 배수기둥(331)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기둥(336)은 배수기둥(3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부력부재(337)는 커버기둥(336)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오수에 뜰 수 있다.
밀폐판(338)은 커버기둥(336)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밀폐판(338)은 흡입홀(321)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130)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는 제1연결홀(123) 및 배수기둥(331)의 유로홀(332)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관통공(33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관통공(333)으로 배출되는 오수는 제2저장용기(300)의 제2저장공간(301)에 수용되고, 오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력부재(337)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부력부재(337)가 상승되면 커버기둥(336)도 상승하게 되고, 밀폐판(338)은 제2용기 커버(320)의 흡입홀(321)을 밀폐할 수 있게 된다.
상부커버(400)는 하부 베이스 조립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커버(4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부커버(400)가 결합되면 그 내측에는 설치공간(401)을 형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400)는 제1슬롯(410), 제2슬롯(420) 및 안착홈(430)을 가질 수 있다.
제1슬롯(410)은 상부커버(400)의 내주면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롯(410)은 상부커버(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롯(410)에는 제1마운트(7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슬롯(420)은 상부커버(400)의 내주면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슬롯(420)은 제1슬롯(410)의 상측에 제1슬롯(410)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커버(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슬롯(420)에는 제2마운트(750)가 결합될 수 있다.
안착홈(430)은 상부커버(40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430)은 제1호스(61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호스(610)는 안착홈(430)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부커버(400)의 상부에는 손잡이(440)가 형성될 수 있다.
펌핑유닛(500)은 상부커버(4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마운트(75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펌핑유닛(500)은 제1유입포트(501) 및 제1유출포트(502)를 가질 수 있다.
제1유입포트(501)에는 제1유입관(10)이 연결될 수 있다. 펌핑유닛(50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제1저장용기(200)에 수용되는 세척수는 제1유입관(10)을 통해 제1유입포트(501)로 유입될 수 있다.
세척장치는 제3저장용기(510), 조절부(520) 및 밸브(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저장용기(510)는 제2마운트(75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3저장용기(510)에는 세척액이 저장될 수 있다. 세척장치는 애완동물, 반려견과 같은 동물뿐만 아니라, 카페트, 의복과 같은 섬유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액은 세척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대상이 동물인 경우 세척액은 샴푸일 수 있으며, 세척 대상이 섬유제품인 경우 세척액은 액체 세제일 수 있다.
제3저장용기(510)는 하부에 제2유출포트(511)를 가질 수 있다. 제2유출포트(511)에는 제2유입관(20)이 연결될 수 있다. 제3저장용기(510)에 수용된 세척액은 제2유출포트(511)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제2유입관(20)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3저장용기(510)는 제3저장용기(510)를 개폐하는 캡(512)을 가질 수 있다. 캡(512)은 상부커버(40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조절부(520)는 제2마운트(750)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3저장용기(5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520)는 조절축(521), 캠(523), 조절바디(530), 제1포트(532), 제2포트(533), 슬라이더(540) 및 탄성부재(547)를 가질 수 있다.
조절축(521)은 스위치 손잡이(522)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손잡이(522)는 상부커버(4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조절축(521)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스위치 손잡이(522)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캠(523)은 조절축(521)에 결합될 수 있다. 캠(523)은 조절축(521)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조절축(521)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조절바디(530)는 캠(523)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조절바디(530)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홈(5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포트(532) 및 제2포트(533)는 슬라이딩홈(531)와 연결되도록 조절바디(5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포트(532) 및 제2포트(533)는 조절바디(530)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포트(532) 및 제2포트(533)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포트(532)에는 제2유입관(2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포트(533)에는 제1관(30)이 연결될 수 있다. 제3저장용기(510)의 세척액은 제2유입관(20) 및 제1포트(532)를 통해 슬라이딩홈(531)으로 유입될 수 있고, 제2포트(533)를 통해 제1관(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포트(532) 및 제2포트(533)에는 각각 가이드바(534)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바(534)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540)는 슬라이딩블록(541) 및 가이더(545)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블록(541)은 슬라이딩홈(531)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홈(53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블록(541)은 연결로(542)를 가질 수 있다. 연결로(542)는 슬라이딩블록(54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블록(54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블록(541)의 하단부가 슬라이딩홈(531)의 하면에 밀착되었을 때, 연결로(542)는 제1포트(532) 및 제2포트(533)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로(542)의 상측 및 하측으로 슬라이딩블록(54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링홈(543)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링홈(543)에는 실링부재(544)가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544)는 슬라이딩홈(531)의 내주면과 슬라이딩블록(541)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실링하여 슬라이딩홈(531)의 내주면과 슬라이딩블록(541)의 외주면 사이로 세척액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더(545)는 슬라이딩블록(541)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더(545)에는 가이드홀(54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홀(546)에는 가이드바(534)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블록(5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가이더(545)는 가이드바(53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블록(541)은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547)는 하단부가 조절바디(530)에 위치되고, 상단부는 가이더(545)의 하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547)는 슬라이더(540)를 상향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다. 즉, 슬라이더(540)에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슬라이더(540)는 탄성부재(547)의 탄발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연결로(542)는 제1포트(532) 및 제2포트(533) 중 하나 이상을 밀폐할 수 있으며, 제2유입관(20)을 통해 제1포트(532)로 이동되는 세척액은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손잡이(522)가 회전되고 조절축(521) 및 캠(523)이 회전되어 캠(523)이 가이더(545)를 하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슬라이딩블록(541)은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로(542)는 제1포트(532) 및 제2포트(533)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제1포트(532)로 이동되는 세척액은 연결로(542)를 통해 제2포트(533)를 거쳐 제1관(3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스위치 손잡이(522)가 다시 반대로 회전되고 캠(523)이 회전되어 슬라이더(540)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재(547)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더(540)가 상향 이동되고, 연결로(542)가 제1포트(532) 및 제2포트(533)를 연결하지 않게 되어 세척액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밸브(550)는 제2유입포트(551), 제3유입포트(552) 및 제3유출포트(553)를 가질 수 있다.
제2유입포트(551)에는 펌핑유닛(500)의 제1유출포트(502)와 연결되는 제2관(4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관(4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는 제2유입포트(551)로 유입될 수 있다.
제3유입포트(552)에는 제1관(3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관(3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액은 제3유입포트(552)로 유입될 수 있다.
제3유출포트(553)에는 안내관(50)이 연결될 수 있다. 조절부(520)가 개방된 경우, 제2유입포트(551)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액의 흐름에 따라 제1관(30)을 통해서는 세척액이 이동되어 밸브(550)에서 혼합되고 안내관(5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조절부(520)가 밀폐된 경우, 제3유입포트(552)로 세척액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제3유출포트(553)에서는 세척액만 배출되어 안내관(50)으로는 세척액만 공급될 수 있다.
제1핸들 조립체(600)는 제1호스(610) 및 샤워핸들(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호스(610)는 하부 베이스 조립체(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호스(610)의 일단부는 상부 버킷(120) 및 하부 버킷(110)의 수용공간(101)에 위치되어 어댑터(1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호스(610)의 내측에는 공급관(60)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급관(60)은 제1호스(61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급관(60)의 일단부는 어댑터(130)에 결합되는 연결관(135)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관(135)은 안내관(50)과 연결되기 때문에, 안내관(5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액은 연결관(135)을 통해 공급관(6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호스(610) 및 공급관(60)은 유연하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샤워핸들(620)은 제1호스(610)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샤워핸들(620)은 노즐(621), 흡입부(622) 및 작동손잡이(623)를 가질 수 있다.
노즐(621)은 공급관(60)과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급관(6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액은 노즐(621)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노즐(621)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샤워핸들(6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즐(621)은 세척수를 분사함과 더불어 세척 대상을 긁거나 빗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털이 있는 애완동물을 샤워시키는 경우, 노즐(621)은 세척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의 털을 빗는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흡입부(622)는 세척수가 분사된 후 세척과정을 거치면서 생성되는 오수가 흡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작동손잡이(623)는 공급관(60)을 개폐하여 노즐(621)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거나 분사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세척장치는 상부 베이스 조립체(7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베이스 조립체(700)는 제1마운트(710), 제1삽입로드(720) 및 제2삽입로드(730)를 가질 수 있다.
제1마운트(710)는 상부커버(400)의 제1슬롯(4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마운트(710)는 제1유입관(10)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711)과, 안내관(50)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71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마운트(710)는 후술할 흡입유닛(800)과 연결되는 제3관통홀(713)을 가질 수 있다.
제1삽입로드(720) 및 제2삽입로드는 제1마운트(7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삽입로드(720)는 제1지지부(140)의 제1삽입홈(14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2삽입로드(730)는 제2지지부(150)의 제2삽입홈(15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삽입로드(720) 및 제2삽입로드(730)가 각각 제1삽입홈(141) 및 제2삽입홈(151)에 삽입되면 제1마운트(710)는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15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1삽입로드(720)는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721)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721)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흡입유닛(800)은 제1마운트(710)에 구비될 수 있다. 흡입유닛(800)은 제1마운트(710)에 형성되는 제3관통홀(713)와 연결될 수 있으며, 흡입유닛(800)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은 제3관통홀(713), 흡입홀(321)을 통해 제2저장용기(300)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800)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은 배수기둥(331)에 형성되는 관통공(333)을 통해 유로홀(332)로 제공되며, 제1연결홀(123), 어댑터(130)를 통해 제1호스(610)로 제공될 수 있다.
흡입유닛(800)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가 흡입될 때, 오수도 같이 흡입될 수 있게 된다. 즉, 공기가 흡입될 때, 오수도 비산되면서 같이 흡입될 수 있게 된다.
흡입부(622)로 유입되는 오수는 제1호스(610), 어댑터(130), 제1연결홀(123), 유로홀(332)을 통해 관통공(333)으로 배출되어 제2저장용기(300)에 수용될 수 있다. 오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부재(337)를 가지는 커버기둥(336)은 배수기둥(3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오수가 미리 정해진 수위 이상이 되면 밀폐판(338)은 흡입홀(321)을 밀폐하게 되며, 흡입유닛(80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수가 제2저장용기(30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세척장치는 제2핸들 조립체(9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핸들 조립체(900)는 제2호스(910) 및 건조핸들(9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호스(910)는 흡입유닛(8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커버(400)를 관통하여 상부커버(40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호스(910)는 흡입유닛(80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건조핸들(920)은 제2호스(910)와 연결될 수 있다. 건조핸들(920)은 배기구(921)를 가질 수 있으며, 배기구(921)에서는 제2호스(910)를 통해 이동되는 고온의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흡입유닛(800)은 작동과정에서 열을 발생할 수 있으며, 흡입유닛(80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후 배출되는 과정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흡입유닛(800)으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제2호스(910)는 이러한 고온의 토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건조핸들(920)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공기는 세척 대상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체크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상부 베이스 조립체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장치는 잠금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160)는 제1지지부(14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부(160)는 지지블록(161), 회전부(162), 레버(163) 및 가압구(164)를 가질 수 있다.
지지블록(161)은 제1지지부(14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162)는 지지블록(161)의 상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레버(163)는 회전부(162)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지지부(140)의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는 슬릿(14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릿(142)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버(163)가 슬릿(142)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부(162)는 회전될 수 있다.
가압구(164)는 회전부(162)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16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삽입로드(720)의 하단부에는 플랜지(721)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721)는 제1삽입로드(72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62)의 회전 정도에 따라 가압구(164)는 플랜지(721)의 상부에 위치되어 플랜지(721)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구(164)가 플랜지(721)의 상부에 위치되어 플랜지(721)를 가압하게 되면, 제1삽입로드(720)가 제1삽입홈(141)의 상측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부 베이스 조립체(700)와 하부 베이스 조립체(100) 간에 결합력이 제공되어 상부 베이스 조립체(700)와 하부 베이스 조립체(100)는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163)에 외력이 가해져서 회전부(162)가 회전되어 가압구(164)가 플랜지(721)의 상측에서 벗어나 플랜지(721)를 가압하지 못하게 되면, 제1삽입로드(720)는 제1삽입홈(141)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되고, 상부 베이스 조립체(700)와 하부 베이스 조립체(100)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140)의 외주면에는 장착홈(170)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170)은 슬릿(14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170)에는 샤워핸들(62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장착홈(170)에는 삽입공(17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공(171)에는 샤워핸들(620)의 노즐(621)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샤워핸들(620)은 장착홈(17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포함해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지지부(150)의 제2삽입홈(151)은 제1삽입홈(141)을 중심축(A)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2지지부(150)의 제2삽입홈(151)은 제1삽입홈(141)에 삽입되는 제1삽입로드(720)를 중심축(A)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150)의 내측에는 스토퍼(1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152)는 제1통공(153) 및 제2통공(154))을 가질 수 있다.
제1통공(153)은 제2삽입로드(730)가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공(154))은 스토퍼(152)의 중앙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삽입로드(730)의 하단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52)는 제2삽입로드(730)가 제2삽입홈(151)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제2삽입로드(730)의 하단부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160)에 의해 제1삽입로드(720)가 분리되지 않도록 된 상태에서는 도 11의 (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삽입로드(730)는 제1통공(153)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제2저장용기(300)의 흡입홀(321)은 제1마운트(710)의 제3관통홀(713)과 결합되어 흡입력이 누설되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때는 제2저장용기(300)가 제1마운트(710)에 밀착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2저장용기(300)의 오수를 버리기 위해 제2저장용기(3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분리가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삽입로드(720)에 대한 잠금부(160)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부커버(400)에 형성되는 손잡이(440)를 잡고 상부몸체를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마운트(710)가 상측으로 들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커버(400)의 제1슬롯(410) 및 제2슬롯(420)에는 각각 제2마운트(750) 및 제1마운트(710)가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부커버(400)를 들어올림으로써 상부몸체가 들어올려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삽입로드(720)가 제1삽입홈(141)에서 완전히 빠져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제1삽입로드(720)를 기준으로 상부몸체를 회전시켜 제2삽입로드(730)가 스토퍼(15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도 11의 (b) 참조). 이때에는 사용자가 손잡이(440)를 놓아도 상부몸체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며, 제1저장용기(200) 또는 제2저장용기(300)가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세척수
2: 오수
10: 제1유입관 50: 안내관
60: 공급관 100: 하부 베이스 조립체
130: 어댑터 135: 연결관
140: 제1지지부 150: 제2지지부
152: 스토퍼 160: 잠금부
200: 제1저장용기 201: 제1저장공간
300: 제2저장용기 330: 체크부
331: 배수기둥 336: 커버기둥
400: 상부커버 500: 펌핑유닛
510: 제3저장용기 520: 조절부
550: 밸브 600: 제1핸들 조립체
700: 상부 베이스 조립체 710: 제1마운트
720: 제1삽입로드 721: 플랜지
730: 제2삽입로드 750: 제2마운트
800: 흡입유닛 900: 제2핸들 조립체
10: 제1유입관 50: 안내관
60: 공급관 100: 하부 베이스 조립체
130: 어댑터 135: 연결관
140: 제1지지부 150: 제2지지부
152: 스토퍼 160: 잠금부
200: 제1저장용기 201: 제1저장공간
300: 제2저장용기 330: 체크부
331: 배수기둥 336: 커버기둥
400: 상부커버 500: 펌핑유닛
510: 제3저장용기 520: 조절부
550: 밸브 600: 제1핸들 조립체
700: 상부 베이스 조립체 710: 제1마운트
720: 제1삽입로드 721: 플랜지
730: 제2삽입로드 750: 제2마운트
800: 흡입유닛 900: 제2핸들 조립체
Claims (12)
- 하부 베이스 조립체;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에 결합되고 세척수가 수용되는 제1저장용기;
상기 제1저장용기와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 상기 제1저장용기와 함께 하부몸체를 형성하고, 오수가 저장되는 제2저장용기;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몸체를 형성하고,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상부커버;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제1유입관을 통해 상기 제1저장용기에 수용된 세척수를 흡입하는 펌핑유닛;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측에는 상기 펌핑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펌핑유닛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이동되는 공급관이 구비되는 제1호스와, 상기 제1호스 및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과, 상기 제1호스로 이동되도록 오수가 흡입되는 흡입부를 가지는 샤워핸들을 포함하는 제1핸들 조립체;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로 오수가 흡입되어 상기 제1호스를 통해 이동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은 상기 제2저장용기의 내측을 통해 상기 제1호스의 내측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는
하부 버킷과,
상기 하부 버킷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버킷과 함께 내측에 상기 제1호스 및 전선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제1연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 버킷과,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1연결홀을 연결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펌핑유닛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안내되는 안내관과 상기 공급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상부 버킷의 상부에 상기 제1연결홀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홈을 가지는 제1지지부 및 제2삽입홈을 가지는 제2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흡입유닛이 마련되며, 상기 제1유입관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안내관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과, 상기 흡입유닛과 연결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마운트와,
상기 제1마운트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로드 및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삽입로드를 가지는 상부 베이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용기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버킷의 일측에 탈착되도록 상기 상부 버킷의 일측 상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용기 베이스와,
상기 제2용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제2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버킷의 일측에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로 결합되며, 상기 제3관통홀과 연결되는 흡입홀을 가지는 제2용기 커버와,
상기 제2저장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안내하며, 오수가 미리 정해진 수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흡입홀을 밀폐하는 체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는
상기 제2용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2용기 베이스의 하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어댑터와 연결되는 유로홀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유로홀이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배수기둥과,
상기 배수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배수기둥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배수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커버기둥과, 상기 커버기둥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오수에 뜨는 부력부재와, 상기 커버기둥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기둥이 상향 이동 시에 상기 흡입홀을 밀폐하는 밀폐판을 가지는 부력기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에 힌지 회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는 슬릿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회전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1삽입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상부 베이스 조립체 간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가압구를 가지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홈은 상기 제1삽입홈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의 내측에는 상기 제2삽입로드가 관통 삽입되는 제1통공과, 상기 제2삽입로드의 하단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통공을 가지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샤워핸들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세척액이 저장되는 제3저장용기와,
상기 제3저장용기에 연결되는 제2유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액의 흐름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펌핑유닛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관,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세척액을 공급하는 제1관 및 상기 세척수 및 세척액을 혼합하여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안내관이 결합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스위치 손잡이와 연결되는 조절축과,
상기 조절축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캠과,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조절바디와,
상기 조절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홈과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관과 연결되는 제1포트 및 상기 제1관과 연결되는 제2포트와,
상기 슬라이딩홈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캠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어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를 연결하는 연결로를 가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연결로가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를 연결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커버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흡입유닛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호스와,
상기 제2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2호스를 통해 이동되는 고온의 공기가 분사되는 배기구를 가지는 건조핸들을 포함하는 제2핸들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호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호스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3284A KR101976580B1 (ko) | 2017-09-25 | 2017-09-25 | 세척장치 |
PCT/KR2018/000651 WO2019059465A1 (ko) | 2017-09-25 | 2018-01-15 | 세척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3284A KR101976580B1 (ko) | 2017-09-25 | 2017-09-25 | 세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4811A true KR20190034811A (ko) | 2019-04-03 |
KR101976580B1 KR101976580B1 (ko) | 2019-05-09 |
Family
ID=6581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3284A KR101976580B1 (ko) | 2017-09-25 | 2017-09-25 | 세척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6580B1 (ko) |
WO (1) | WO2019059465A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1705Y1 (ko) * | 2003-08-16 | 2003-11-01 | 성신공업 주식회사 |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
KR20030089805A (ko) * | 2002-05-20 | 2003-11-28 | 한선우 | 애완동물 세척장치 |
KR100586385B1 (ko) * | 2003-04-15 | 2006-06-08 | 성신공업 주식회사 | 애견용 귀세척기 |
KR101022991B1 (ko) | 2010-07-28 | 2011-03-24 | 김인휘 | 애완동물 샤워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3116A (ko) * | 2007-10-29 | 2009-05-06 | 주식회사 케이티 | 전자태그를 활용한 애완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139229A (ko) * | 2015-05-27 | 2016-12-07 | 유성연 | 사물 인터넷 기반 반려 동물 생애 주기 관리 시스템 |
-
2017
- 2017-09-25 KR KR1020170123284A patent/KR1019765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1-15 WO PCT/KR2018/000651 patent/WO201905946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9805A (ko) * | 2002-05-20 | 2003-11-28 | 한선우 | 애완동물 세척장치 |
KR100586385B1 (ko) * | 2003-04-15 | 2006-06-08 | 성신공업 주식회사 | 애견용 귀세척기 |
KR200331705Y1 (ko) * | 2003-08-16 | 2003-11-01 | 성신공업 주식회사 |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
KR101022991B1 (ko) | 2010-07-28 | 2011-03-24 | 김인휘 | 애완동물 샤워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59465A1 (ko) | 2019-03-28 |
KR101976580B1 (ko) | 2019-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5873B1 (ko) | 세탁장치 | |
US20100132111A1 (en) | Kitchen sink with a dish-washing apparatus, and washing-water spray apparatus therefor | |
KR101635705B1 (ko) | 골프채 헤드 세척기 | |
CN112135939B (zh) | 洗干一体机 | |
KR20150142948A (ko) | 식기세척기 | |
KR101976580B1 (ko) | 세척장치 | |
KR102144613B1 (ko) | 애견 목욕 장치 | |
WO2008128288A1 (en) | Body washing machine | |
KR20060023017A (ko) | 세탁기 | |
JP2019098010A (ja) | リントフィルタ装置および洗濯機 | |
KR102354338B1 (ko) |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 |
WO2008093972A1 (en) | Kitchen sink with a dish-washing apparatus, and washing-water spray apparatus therefor | |
JP4318590B2 (ja) | 浴室洗浄装置 | |
KR102482014B1 (ko) | 애완동물 목욕장치 | |
KR20210121895A (ko) | 반려동물용 원핸드 세척장치 | |
JP2022514764A (ja) | 衣類処理設備 | |
CN112998376A (zh) | 一种洗头机用供水装置及洗头机 | |
CN109402933B (zh) | 一种清洗装置 | |
CN114532933B (zh) | 一种茶杯清洗装置的控制方法 | |
JP6964220B2 (ja) | 食器洗い機 | |
US20060054197A1 (en) | Dishwasher | |
CN219887069U (zh) | 具有吹干功能的排便装置 | |
KR20020049709A (ko) | 애완견 목욕장치 | |
JP3897951B2 (ja) | 洗浄機能付きシンク | |
KR20040084351A (ko) | 애완견 세척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