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991B1 - 애완동물 샤워 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샤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991B1
KR101022991B1 KR1020100072932A KR20100072932A KR101022991B1 KR 101022991 B1 KR101022991 B1 KR 101022991B1 KR 1020100072932 A KR1020100072932 A KR 1020100072932A KR 20100072932 A KR20100072932 A KR 20100072932A KR 101022991 B1 KR101022991 B1 KR 101022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pet
main body
shower devic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휘
Original Assignee
김인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9390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229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휘 filed Critical 김인휘
Priority to KR102010007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46B11/06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by means of a supply pip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목욕시킬 수 있는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는 브러쉬부와 상기 브러쉬부에 세정수를 강제 송출하는 펌프가 내설된 본체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세정수가 흡입되는 흡입부로 구성됨으로써, 애완동물의 털을 빗겨주면서 간편하게 샤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여 야외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또한 세정수 대신에 에어를 분사시킴으로써 애완동물의 털과 피부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애완동물 샤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샤워 장치{Shower appratus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목욕시킬 수 있는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정수를 분사시킬 수 있는 브러쉬부와 펌프가 내설된 본체 및 세정수 흡입부로 구성하되, 상기 브러쉬부는 다수개의 갈고리를 통해 세정수를 분사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애완동물의 털의 빗질과 샤워를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세정수 외에 에어를 분사시켜 털과 피부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애완견 샤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들은 몸에 많은 털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주기적으로 털이 빠지기 때문에 털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것은 물론 야외 활동시 털이 쉽게 오염될 수 있어 수시로 털을 세척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비눗물 또는 샴푸 등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빗겨주면서 세척해 주기 위한 애완동물 전용 세척도구가 없어 애완동물의 털 관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세척시 많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애완동물의 털에 비누칠을 하고, 일반적인 빗 등을 이용하여 털을 빗겨주거나 또는 샤워기를 이용하여 털을 세척하는 것이 일반적인 세척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털 세척방법은 빗질과 샤워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곤란하여 세척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 비눗물이나 세정수의 불필요한 과다 사용으로 인해 자원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별도의 핸드 드라이어기 등으로 털을 건조시켜야 하기 때문에 건조 과정이 불편한 것은 물론 털과 피부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는 갈고리 형태의 브러쉬부를 구비함으로써, 빗질과 동시에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둘째, 털의 안쪽부분과 피부까지 효과적으로 세척시킬 수 있게 하며, 셋째, 에어를 분사시킴으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털을 건조시킬 수 있게 하고, 넷째, 충전지를 이용하여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애완동물 샤워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게 선단부에 분사구가 형성된 브러쉬부와, 상기 브러쉬부와 세정수배출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브러쉬부에 세정수를 강제 송출하는 펌프가 내설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세정수유입관으로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세정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유로가 내설된 중공형 손잡이부, 및 후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분사구가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중공형 갈고리가 구비된 샤워헤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구는 상기 갈고리의 안쪽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갈고리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에는 상기 세정수가 상기 복수의 분사구에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유량조절돌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면에는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슬립방지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부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흡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흡입체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냉각용 환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다수개의 고무패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체에는 상기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를 내설하여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사용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애완동물의 털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세척시킴과 동시에 비눗물이나 세정수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애완동물 목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여 야외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샤워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브러쉬부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입부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샤워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샤워장치의 세정수 흐름도,
도 8은 브러쉬부의 털 세척과정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샤워장치의 에어를 분사하는 실시예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샤워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 샤워장치는 브러쉬부(30)와 본체(60) 및 흡입부(70)로 구성된다.
브러쉬부(30)는 애완동물의 털 안쪽 부분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손잡이부(10)와 샤워헤드부(20)로 구성된다.
이때 샤워헤드부(20)는 몸체(21)의 선단부에 다수개의 갈고리(25)가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갈고리(25)의 안쪽 부분에는 세정수가 분사되는 분사구(27,28)(도2에 도시함)가 설치된다.
한편 본체(60)는 브러쉬부(30)의 손잡이부(10)와 세정수배출관(41)으로 연결되어 세정수를 브러쉬부(30)로 송출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세정수를 강제 송출하기 위한 펌프(65)(도3에 도시함)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60)의 상측면에는 펌프(65)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62)가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내부 분위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환기구(68)가 관통 형성된다.
한편 흡입부(70)는 세정수나 세척용 샴푸 등을 본체(60)를 통해 브러쉬부(3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입체(71)와 다수개의 흡입공(75)으로 구성되며, 이때 흡입체(71)는 본체(60)의 펌프(65)와 세정수유입관(45)으로 연결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브러쉬부(3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브러쉬부(30)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부(30)의 손잡이부(10)와 샤워헤드부(20)는 내부에 세정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50)가 형성된 중공형으로 구비되며, 유로(50)는 샤워헤드부(20)의 각각의 갈고리(25)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손잡이부(10)의 후측부에는 세정수배출관(41)이 손잡이부(10)의 내측 유로(50)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세정수배출관(41)은 유연성이 있는 튜브(tube)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사 결합 등 통상적인 튜브 또는 관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손잡이부(10)와 본체(60)에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손잡이부(1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를 위한 슬립방지패드(15)가 설치될 수 있다.
슬립방지패드(15)는 고무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부(10)와 일체로 성형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손잡이부(10)의 외측면에 접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구(27,28)는 각각의 갈고리(25)의 안쪽부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갈고리(25) 내측의 유로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측 분사구(28)가 유로와 연통되는 부분에는 유량조절돌기(26)가 유로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유량조절돌기(26)는 유로를 이동하는 세정수가 갈고리(25) 하측부의 분사구(27)에 집중되어 하측 분사구(27)의 분사압력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정수의 일부가 상측 분사구(28)로 용이하게 유도되도록 하여 세정수가 두 개의 분사구(27,28)에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유량조절돌기(26)는 유로의 내경과 분사구(27,28)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절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형상(예:반원형 등)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체(6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60)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60)는 세정수를 브러쉬부(30)에 송출할 수 있도록 세정수배출관(41)을 통해 브러쉬부(3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하우징(61) 내부에는 세정수를 강제 송출시키기 위한 펌프(63)가 설치된다.
이때 펌프(63)는 세정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파이프(67)에 설치되며, 안내파이프(67)는 양단부가 세정수배출관(41)과 세정수유입관(45)에 각각 연통되도록 하우징(61)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안내파이프(67)는 본체(60)의 구조와 펌프(63)의 위치를 고려하여 굴곡 형성될 수도 있다.
펌프(63)는 수중모터를 이용한 수중펌프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체(60)의 상측부에는 펌프(63) 작동을 위한 스위치(62)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61) 내측 하부에는 충전지(65)가 설치된다.
충전지(65)는 전원라인(66)을 통해 스위치(62)와 연결되며, 세정수가 사용되는 본 발명의 특성상 방수기능을 가진 방수 충전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충전지(65)는 하우징(61) 하측의 하부커버(68)를 착탈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하부커버(68)의 하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를 위해 다수개의 고무패드(64)가 설치되고, 고무패드(64)의 바닥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는 흡입부(70)의 측단면도를 나타내 것으로서, 흡입부(70)는 흡입체(71)와 흡입체(71)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흡입공(75)으로 구성된다.
흡입공(75)은 흡입체(7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체(71)의 내부에는 흡입공(75)의 단부와 연통되도록 중공부(72)가 형성되며, 중공부(72)는 세정수유입관(45)과 연통되도록 세정수유입관(45)의 단부와 결합된다.
세정수유입관(45)은 세정수배출관(4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흡입체(71)는 세정수나 샴푸 등에 잠길 수 있는 중량을 가짐과 동시에 방청 기능이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정수는 흡입공(75)을 경유하여 중공부(72)로 이동한 후, 세정수유입관(45)을 통해 본체(6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샤워장치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샤워장치의 세정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샤워헤드부(20)의 털 세척 과정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 샤워장치는 세정수(100)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110)에 흡입부(70)의 흡입체(71)가 충분히 잠기도록 하여 세정수가 본체(60)의 펌프(63) 작동에 의해 브러쉬부(3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세정수유입관(45)과 세정수배출관(41)은 애완동물을 샤워시키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길이가 확보되도록 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소재의 튜브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60)의 스위치(62)를 'ON'시켜 펌프(63)를 작동시킴으로써, 세정수 또는 샴푸 등이 브러쉬부(30)의 분사구(27,28)를 통해 분사되도록 함과 동시에 브러쉬부(30)에 구비된 샤워헤드부(20)의 갈고리(25)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마사지하듯이 순차적으로 빗겨 주어 세척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는 펌프(63)의 작동에 의해 흡입체(71)의 흡입공(75)으로 흡입된 후, 중공부(72)와 세정수유입관(45) 및 안내파이프(67)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세정수배출관(41)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후, 브러쉬부(30)의 손잡이부(10)와 샤워헤드부(20)의 내측 유로(50)를 통해 각각의 갈고리(25) 내부로 이동하게 되어 분사구(27,28)를 통해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세정수는 갈고리(25)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된 분사구(27,28)에 의해 2단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헤드부(20)의 갈고리(25)는 애완동물의 털 속에 위치하게 되고, 세정수는 분사구(27,28)를 통해 털 안쪽 부분에 효과적으로 분사됨으로써, 털 세정은 물론 피부 세정까지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애완동물 샤워장치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의 사용 실시예는 세척이 완료된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세정수가 아닌 에어(200)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흡입부(70)와 세정수유입관(45)을 본체(60)로부터 제거 한 후 펌프(63)를 작동시킨다.
에어(200)는 펌프(63) 작동에 의해 본체(60) 내의 안내파이프(67)로 강제 흡입된 후, 세정수배출관(41)을 통해 브러쉬부(30)로 이동하게 되고, 브러쉬부(30)의 샤워헤드부(20)에 설치된 갈고리(25)의 분사구(27,28)를 통해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부(30)의 갈고리(25)를 이용하여 털을 빗겨주게 되면, 에어(200)는 분사구(27,28)를 통해 분사되어 털과 피부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러쉬부(30)의 샤워헤드부(20)에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는 갈고리(25)를 구비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세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빗질과 동시에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털의 안쪽부분과 피부까지 효과적으로 세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에어 분사를 통한 건조가 가능하여 애완동물의 세척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휴대가 가능하여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잡이부 15 : 슬립방지패드
20 : 샤워헤드부 21 : 몸체
25 : 갈고리 26 : 유량조절돌기
27,28 : 분사구 30 : 브러쉬부
41 : 세정수배출관 45 : 세정수유입관
50 : 유로 60 : 본체
61 : 하우징 62 : 스위치
63 : 펌프 65 : 충전지
66 : 전원라인 67 : 안내파이프
68 : 하부커버 69 : 고무패드
70 : 흡입부 71 : 흡입체
72 : 중공부 75 : 흡입공
100 : 세정수 110 : 용기
200 : 에어

Claims (9)

  1.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게 선단부에 분사구가 형성된 브러쉬부;
    상기 브러쉬부와 세정수배출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브러쉬부에 세정수를 강제 송출하는 펌프가 내설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세정수유입관으로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흡입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세정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유로가 내설된 중공형 손잡이부와,
    후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분사구가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중공형 갈고리가 구비된 샤워헤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갈고리의 안쪽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샤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에는 상기 세정수가 상기 복수의 분사구에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유량조절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샤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면에는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슬립방지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샤워장치.
  6.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입공과 연통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흡입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샤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냉각용 환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샤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다수개의 고무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샤워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가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샤워장치.















KR1020100072932A 2010-07-28 2010-07-28 애완동물 샤워 장치 KR10102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32A KR101022991B1 (ko) 2010-07-28 2010-07-28 애완동물 샤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32A KR101022991B1 (ko) 2010-07-28 2010-07-28 애완동물 샤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991B1 true KR101022991B1 (ko) 2011-03-24

Family

ID=4393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932A KR101022991B1 (ko) 2010-07-28 2010-07-28 애완동물 샤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9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4869A (zh) * 2013-07-13 2013-09-25 陈同星 节水槽型宠物脚爪清洗刷
KR20190034811A (ko) 2017-09-25 2019-04-03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세척장치
KR20190046488A (ko) 2017-10-26 2019-05-07 도정훈 애완동물용 샤워기
KR20210121895A (ko) 2020-03-31 2021-10-08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반려동물용 원핸드 세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40U (ja) * 1992-07-21 1994-03-29 キクチ株式会社 ペット用シャワー兼用ブラシ具
JPH1146866A (ja) * 1997-07-30 1999-02-23 Aiwa Co Ltd 洗浄用ブラシ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可搬型洗浄装置
JP2001071872A (ja) * 1999-09-08 2001-03-21 Seisho Taniguchi 携帯式の洗車用具
KR200324858Y1 (ko) * 2003-06-11 2003-08-27 성낙영 애완동물용 샤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40U (ja) * 1992-07-21 1994-03-29 キクチ株式会社 ペット用シャワー兼用ブラシ具
JPH1146866A (ja) * 1997-07-30 1999-02-23 Aiwa Co Ltd 洗浄用ブラシ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可搬型洗浄装置
JP2001071872A (ja) * 1999-09-08 2001-03-21 Seisho Taniguchi 携帯式の洗車用具
KR200324858Y1 (ko) * 2003-06-11 2003-08-27 성낙영 애완동물용 샤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4869A (zh) * 2013-07-13 2013-09-25 陈同星 节水槽型宠物脚爪清洗刷
KR20190034811A (ko) 2017-09-25 2019-04-03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세척장치
KR20190046488A (ko) 2017-10-26 2019-05-07 도정훈 애완동물용 샤워기
KR20210121895A (ko) 2020-03-31 2021-10-08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반려동물용 원핸드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98192B (zh) 洗手机
US20110297103A1 (en) Pet bathtub
US20110061602A1 (en)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EP2676544A1 (en) Pet grooming glove
KR101022991B1 (ko) 애완동물 샤워 장치
US7987819B1 (en) Animal washing system
CN204260634U (zh) 洗手机
KR20210147854A (ko) 애완동물을 위한 세정장치
CN204207690U (zh) 自动洒水拖把
KR102112953B1 (ko) 반려견의 다리 건조 겸용 세척장치
CN105379638A (zh) 宠物洗澡吹干一体机
KR100989681B1 (ko) 모발 건조 장치
CN201905120U (zh) 宠物清洗器
CA2313909C (en) Animal grooming device
JP2007037538A (ja) 犬用洗浄装置
KR20130016553A (ko) 반려동물을 위한 알칼리성 다면 필터 샤워기
JP3204945U (ja) シャワー器の付着キャップユニット
WO2022265143A1 (ko) 다용도 세척 브러시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CN209788156U (zh) 多功能宠物洗护吹风机
CN207744554U (zh) 一种带喷水功能的宠物洗澡按摩梳毛手套
KR200268304Y1 (ko) 애완견 샤워기
CN106419051A (zh) 一种带刷淋浴头
WO2023186074A1 (zh) 宠物洗爪器和洗爪装置以及宠物脚爪清洗方法
CN212116662U (zh) 一种新型畜牧兽医用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10608

Effective date: 201108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