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554A - 접착성 근막 테이프 - Google Patents

접착성 근막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554A
KR20190033554A KR1020197003683A KR20197003683A KR20190033554A KR 20190033554 A KR20190033554 A KR 20190033554A KR 1020197003683 A KR1020197003683 A KR 1020197003683A KR 20197003683 A KR20197003683 A KR 20197003683A KR 20190033554 A KR20190033554 A KR 2019003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yarn
fascia
yarns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셀바 사르소 프란시스코
Original Assignee
셀바 사르소 프란시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바 사르소 프란시스코 filed Critical 셀바 사르소 프란시스코
Publication of KR2019003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1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characterized by parametric properties of the fluid retention layer, e.g. absorbency, wicking capacity, liquid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19Wound bandages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46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268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impervious, i.e. occlusive band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9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physical therapy, e.g. cold or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0Suspensory bandages
    • D03D2700/0122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10T442/3301Coated, impregnated, or autogenous bon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10T442/3301Coated, impregnated, or autogenous bonded
    • Y10T442/3317Woven fabric contains synthetic polymeric stran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325Including a foamed layer or component
    • Y10T442/3366Woven fabric is coated, impregnated, or autogenously bon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Woven Fabr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천연 섬유(면), 인공 섬유(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탄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가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복합 재료는 적어도 3개 내지 최대 10개의 평직, 능직 또는 수자직이 구비된 투각 구조를 형성하는, 합사되어 있거나 합연된 필라멘트사를 형성하며, 이때 상기 평직, 능직 또는 수자직은 씨실 및 날실 둘 모두에서 절단 또는 교차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구조의 씨실(2)은 1개 내지 35개의 픽/㎝의 밀도를 갖고, 날실(3)은 1올 내지 40올/㎝의 밀도를 갖는다. 접착제가 없는 공간 또는 선(5)을 포함하는 합성 아크릴 수지의 하부 접착층(4)은 상기 테이프에 부착되어, 상기 씨실에 대해 45°의 각도로 대칭적이고 반복적인 물결무늬 패턴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접착성 근막 테이프
본 발명은 테이프의 제조에 주력하는 산업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 요법, 재활 및 의료 분야에서의 붕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포 도중에 섬유들 사이의 보다 강력한 연결 및 힘의 안정화를 제공하여, 테이프를 붙일 때 취급성을 개선시키고 용이하게 하며, 인체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 최적의 제한되고 재현 가능한 신장을 제공하는, 구조상 실(yarn) 및 직물(fabric)의 조성을 갖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이한 근막 수준(fascial level)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근골격계 질환 및 부상을 치료하기 위한 테이프가 사용되어 왔다.
붕대가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어떻게 피부와 근막이 밀접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어떻게 근막이 신체 내, 주로 근골격계 내의 모든 조직과 밀접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어, 이들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들은 내장, 신경 또는 혈액 순환의 운동성 및 이동성에 개입하여, 보다 심각한 통증이 발생하는 장소인 근골격계에 영향을 미치지만, 부상의 원인이 항상 상기 근골격계 내에 있는 것은 아니다.
근막은 연속적인 일련의 내성 결합 조직이지만, 신경분포(innervation) 및 혈관재생(vascularization)에 의해 수축 가능하며, 이들 근막은 머리에서 발끝까지, 그리고 인체의 외부 내지 내부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인체 전체 및 그 내부에 포함된 모든 구조를 둘러싸고 있는 연속적인 조직이다. 피부에서 가장 깊은 부분인 진피가 천근막(superficial fascia)에 부착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피부에서 생성된 자극 및 기계적 영향은 천근막에 전달되고, 이후에 천근막에서 심근막으로 전달된다.
해부학 및 조직학 연구에 따르면 근막은 인체의 모든 영역에서 발견되며, 이어 이들 영역은 상이한 층에 의해 형성되어, 근막의 전체적인 양상이 나선형의 일종이 되도록 사선, 가로 또는 원형 방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막은 인체에서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들 중에는 지지 기능, 혈 역학적 기능 및 연락 기능(communication function)의 경우에 대해 적용하는 것들이 부각되며, 이때 상기 연락 기능은 피하조직, 근육, 인대, 힘줄 및 뼈와 같은 모든 결합 조직이 근막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협주적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측면에 따르면 붕대에 의해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이 어떻게 심부 조직에 또한 전달되어, 붕대로 감겨진 영역의 혈관재생 및 신경분포를 개선시키는 지가 설명된다.
따라서 인체의 분석 및 전체 이동성 이외에 심지어 운동성을 제한하여, 하나의 영역에서의 장력의 결핍이 다른 영역에서의 과도한 장력을 야기하고, 그 반대의 결과도 야기하여 통증을 야기할 수 있는 과도한 장력 또는 장력의 결핍으로 인한 근막 문제를 정상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테이프가 요구되고 있다.
접착층에 끈적임(tack)을 부여하지만 피부가 증산(transpiration)하도록 하는 잔물결이 구비된 접착층이 결합되어 있는, 전문적인 기법에 따라서 피부 상에 도포되는 면 테이프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는 운동과학 테이프(Kinesiology Tape) 또는 키네시오 테이핑(Kinesio Taping)이 당해 기술분야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는 일종의 탄성 면 테이프이다.
수자직(satin weave) 또는 능직(twill weave)이 구비된 투각 구조를 가지며, 이때 씨실은 면(100%)으로 이루어지고, 날실은 면과 탄성 중합체의 혼합물(각각 95% 및 5%)인 탄성 접착성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는 특허 문헌 ES2558021A2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손으로 양 방향으로 찢을 수 있으며, 특히 기능성 붕대에 적용할 수 있는 비탄성의 자극성이 낮은 강성 테이프(운동용 테이프 또는 스트라팔(Strappal))와 같은 접착성 테이프인 기타 테이프가 존재한다. 이는 여기에 높은 인장강도를 부여하는 타프타(taffeta) 유형의 직물을 함유한다.
그러나 테이프의 기술적 특징으로 인해 테이프가 어깨, 팔꿈치 또는 무릎 관절과 같은 광범위한 움직임 범위가 요구되는 다중 활동에 사용될 수 없으므로 진정한 기능성 테이프란 존재하지 않으며, 붕대의 주요 성분이 면이므로 붕대의 중립적 출발 위치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탄성점(elastic point)에서 특이적이고 재현 가능한 장력을 야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마찬가지로, 붕대로 감겨지는 영역이 근막 이동성이 없는 경우(허리 부위, 발목의 측면), 장력이 특이적 또는 재현 가능한 장력이 아니므로 붕대를 붙일 때 상당한 장력을 야기하여, 상기 영역에서 과도한 자극을 야기하고, 테이핑된 피부를 손상시키고, 국부 신경분포 및 혈관재생을 줄일 뿐만 아니라 인체의 다른 영역에서 근막 보상을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면섬유가 젖어 있는 경우, 이는 물 또는 땀과 같은 액체를 용이하게 흡수하고 보유하여, 이의 중량이 증가한다. 직물이 젖어 있는 경우, 통풍이 감소하고 악화되어, 건조에 장시간이 걸릴 것이며, 이는 아교의 성능에 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피부는 항상 젖어 있을 것이며, 따라서 신선하게 유지되려는 능력은 붕대의 접착력과 함께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할 것이며, 이로 인해 붕대의 치료적 성과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된다. 더욱이, 무게감, 습도, 및 붕대가 발산할 수도 있을 악취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따라서 면 테이프가 젖게 되는 경우, 이는 액체를 흡수하여, 테이프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건조 시간이 증가하는데, 이는 상기 건조가 느리기 때문이다. 증산이 감소하고, 피부를 신선하게 유지하려는 능력은 섬유가 땀과 접촉함으로써 젖게 되고 인체가 전도를 통해 열을 잃게 되므로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모든 것이 테이프 및 아교의 물성에 영향을 미쳐서 접착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작은 상처, 자극 또는 가려움증이 발생할 수 있어 피부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도포 도중에 섬유들 사이의 보다 강력한 연결 및 힘의 안정화를 제공하여, 테이프를 붙일 때 취급성을 개선 및 용이하게 하고, 인체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 최적의 제한되고 재현 가능한 신장을 제공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기존 테이프에 존재하는 단점을 예방할 적합한 구조 및 적합한 재료를 갖는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접착성 테이프가 나타내는 효과 및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접착성 테이프와 관련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이의 구조 및 재료의 조합에 의해 해결한다.
상기 테이프는, 기존의 테이프와는 달리 도포 도중에 섬유들 사이의 보다 강력한 연결 및 힘의 안정화를 제공하여, 테이프를 붙일 때 취급성을 개선 및 용이하게 하고, 움직이는 도중에 유지되는, 구조상 실 및 직물의 조성을 갖는다. 상기 테이프는 붕대로 감겨지는 영역에 따라 인체의 제한된 움직임 또는 완전한 움직임 및 붕대에 의한 높은 장력에 의해 야기되는 자극, 습진, 부종 또는 모렐-라발리 병변(Morel-Lavallee effusion)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다.
근막 테이프의 직물의 구조는 3개의 평직, 능직 또는 수자직이 구비된 투각 구조이며, 이때 최대 10개의 수자직 또는 능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날실의 밀도는 1개 내지 40개의 픽(pick)/㎝이고, 씨실의 밀도는 1올 내지 35올/㎝이다. 상기 평직, 능직 또는 수자직은 절단 또는 교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씨실 및 날실 각각은 두 올을 엮고 두 올을 건너뛰어, 양면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하다.
초기 기법에 사용된 구조를 증가시켜서 10개의 구조를 만듦으로써 실 사이의 마찰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상기 실은 루프(직물의 표면 상의 부편(float stitch))가 생성되어 테이프가 보다 큰 탄성 강도를 갖는데 도움이 되므로 마찰에 의해 함께 그리핑(gripping)되는 정도가 낮아진다.
반면, 사용된 실을 고려하지 않는 채 상기 구조만이 고려되는 경우, 루프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탄성 강도를 증가시키지만, 정확하고 제어된 처리에 필수적인 이의 기계적 강도 및 그리핑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또 다른 하나의 근본적인 요소는 이를 형성하는 실이며, 이러한 실은 합사(plied)되거나 합연(cabling)되거나 코어로서 뭉치게 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및 그리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의 강도는 동일한 구조 또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 상이한 실 섬유를 꼬이도록 함으로써 더욱 더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실 및 픽의 밀도에 기초하여 테이프의 평량(grammage)이 계산되며, 이때 상기 평량은, 테이프의 조성과 함께, 테이프가 이것이 부착되는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그 기능을 정확히 수행하거나, 국부적으로 또는 인체의 기타 부분에서 구축(contracture) 또는 이동성의 제한을 야기할 수 있는 근막 보상실패(fascial decompensation)를 야기하는데 필요한 정확한 비강도(tenacity), 최대 강도, 총 일량 및 신장으로서 정의된다.
반면, 붕대가 붙여질 피부의 위치에 따라 이의 탄성 및 민감도는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피부로부터의 자극이 적절한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해, 붕대는 인체의 각 분절에 있는 피부의 특성 및 물성을 참작해야 한다. 본 발명자의 테이프의 평직물은 세로, 가로 및 접선 방향에서 탄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비탄성이어서, 피부 영역의 차이를 참작하기 위해 높은 안정성을 유지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상기 탄성은 상이한 섬유의 씨실과 날실을 조합함으로써 결정될 것이다.
사용된 실과 관련하여, 이들은 목적하는 특징에 따라 매끄럽고 텍스쳐링(texturing)된 모노필라멘트사, 멀티필라멘트사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것이다. 따라서 제한되거나 완전한 움직임 범위를 갖는 스포츠에 적합하거나 특정 병리의 치료에 적합한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실들을 조합하여야 한다.
더욱이, 집중적인 사용을 위해 의도된 테이프가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고 피부에 유해하지 않으면서도 찢어짐 저항성을 나타내기 위해, 정사각형의 립스톱 경량 직물(ripstop lightweight fabric)이 통합되며, 이는 찢어짐에 대해 저항성, 내구성 및 보호를 제공한다.
상기 테이프는 천연 섬유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천연 섬유를 합성 섬유와 조합함으로써 형성되거나, 합성 섬유에 의해서만 형성되며, 이때 금속 섬유가 소정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문제를 거의 야기하지 않는 실이므로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섬유는 인체의 자기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자화(magnetization)될 수 있어서, 인체 pH의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근막 테이프의 실 및 직물의 구조는 습진, 모렐-라발리 침출 또는 모렐-라발리 혈관외유출(extravasation)의 발병에 기여하지 않도록 설계되므로, 인체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지만 기타 테이프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신장에 의해 나타나는 장력을 제어하는 최적의 제한 및 제어되는 신장을 제공한다. 근막 상에서의 움직임에 대한 피부의 생리적 한계를 초과하는 피부의 이동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피부 및 근육 근막의 피하 세포 조직의 인열 및 분리 또는 박리(avulsion)(박피)를 야기하며, 이는 림프계의 적절한 작동에 영향을 미치고, 피하에 림프의 축적을 야기하고, 피부 괴사 또는 심각한 감염을 야기할 수 있다.
대류 기작인 "풍속 냉각(Windchill)" 또는 온도 인지의 발생 시에 양호한 열 도전체인 천연 섬유의 높은 열용량 물성 및 쾌감 및 편안함을 인공 섬유의 물성과 조합함으로써 이들은 보다 적은 물을 흡수하고, 보다 빠르게 건조되고, 증산하며, 보다 양호하게 견인력(traction)에 저항하여, 보다 낮은 마찰 및 마모를 제공한다.
물이 배어나오지 않으면서도 직물로부터 물을 발수하기 위해, 상기 테이프가 흡수할 수 있는 액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테이프의 방수 처리에 도움이 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막 또는 얇은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의 박층을 포함한다. 외부는 방수성일 것이고, 내부는 보온성일 것이다.
접착제가 없는 공간 및 선은 테이프가 증산할 수 있도록 접착층 내에 특정한 방식으로 생성되며, 이때 상기 공간 및 선은 씨실에 대해 45°의 각도로 대칭적이고 반복적인 물결무늬 패턴을 생성한다. 이의 접착성 말단은 2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분리된다.
접착 영역을 나누는 공간은 인체의 나선형 근막 섬유의 각도와 동일한 45°의 각도를 갖기에, 움직임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테이프는 근막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반응할 것이다. 이들 공간은 테이프를 적시게 하는 땀 및/또는 물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출구의 생성 및 통풍을 가능케 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그 결과, 이들은 피부와 테이프 사이에 저장될 수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어, 보다 건조하고, 보다 위생적이며, 보다 오랫동안 지속되는 응용을 제공한다.
반면, 탄성과 관련하여 테이프 날실에 탄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테이프는 세로 탄성(longitudinal elasticity)을 나타낼 것이다. 탄성 중합체가 씨실에 부가적으로 첨가되는 경우, 세로, 가로 또는 접선 탄성이 구현되어, 피부에 대한 움직임 및 접착력을 개선시킨다. 상기 테이프는 전반적으로 저자극성이다.
그 결과, 당해 기술분야의 테이프의 단점이 극복되어 천근막 및 심근막 둘 모두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근막 테이프를 제공하며, 이로 인해 이는 근골격계에서 나타나거나 발생하는 통증 및 문제점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일련의 도면을 참고하여 비제한적인 예시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10개의 능직 또는 수자직이 구비된 투각 구조를 갖는, 씨실(2) 및 날실(3)로 이루어진 직물(1)의 구조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직물(1)과 접착층(4)이 서로 구분되어 있는 테이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라인 A-A를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 5는 접착제가 없는 영역(5)과 접착제가 있는 영역(6)이 서로 구분되어 있는 접착층(4)의 형상의 패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 도중에 섬유들 사이의 보다 강력한 연결 및 힘의 안정화를 제공하여, 테이프를 붙일 때 취급성을 개선 및 용이하게 할 적합한 구조 및 적합한 재료가 구비된 접착성 근막 테이프이다.
따라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의 직물(1)은 필라멘트사로 구성되며, 이의 조성은 합사(plied yarn) 또는 합연사(cabled yarn)를 이루며 꼬여 있는 면 및/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상기 직물은 씨실(2) 및 날실(3)의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테이프의 직물의 씨실(2)은 1올/㎝ 내지 최대 35올/㎝의 밀도를 갖고, 날실(3)은 1개의 픽/㎝ 내지 최대 40개의 픽/㎝의 밀도를 갖는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꼬인 실 내의 재료의 분포는, 피부에 유해하지 않으면서도 각각의 인체 분절의 피부를 신장시키는데 요구되는 테이프의 정확한 장력을 명확히 함으로써 3개 내지 최대 10개의 평직, 능직 또는 수자직을 갖는 구조의 신장에 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평직, 능직 또는 수자직은 절단 또는 교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씨실 및 날실 각각은 두 올을 엮고 두 올을 건너뛰어, 양면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하다.
테이프가 천연 및 합성 섬유, 바람직하게는 면,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혼합 조성을 가지면, 상기 테이프가 요추 영역과 같은 피부의 신장이 적은 인체의 영역에 도포하기에 적합하도록 마찰이 감소한다.
상기 테이프는 이의 섬유가 인공 탄성 섬유 및 면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탄성 중합체에 대한 요구 없이 탄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큰 탄성이 요구되는 경우,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합사되어 있거나 합연된 실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를 형성하는 실과 관련하여, 이들은 함께 꼬여서 합사를 형성하며, 이때 상기 실은 바람직하게는 2개, 3개 및 4개의 겹층을 갖고, 상기 실은 함께 꼬여서 합연사를 생성하며, 바람직하게는 4개, 6개 또는 9개의 케이블을 생성한다. 더욱이, 추가의 신장이 이루어져야 하는 방향에 코어가 위치하는 실이 사용된다.
상기 실은 매끄럽고 텍스쳐링된 모노필라멘트사, 멀티필라멘트사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필라멘트사이다. 추가의 강도와 균일성이 요구되지만 가용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모노필라멘트사가 사용될 것이다. 가장 필수적인 요건이 강도인 경우, 매끄러운 멀티필라멘트사가 사용된다. 보다 넓은 범위 및 확장성을 갖는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텍스쳐링된 필라멘트사가 사용된다.
상기 테이프는 하기 기계적 물성, 즉 0.05㎏/㎜ 내지 0.99㎏/㎜의 비강도, 5㎏ 내지 28㎏의 최대 힘, 및 0.05㎏/㎜ 내지 0.99㎏/㎜의 총 일량을 갖는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이는 100g/㎡ 내지 300g/㎡의 평량을 추가로 포함한다.
평량은, 인열(비강도) 이전에 신장하는 동안에 얻는 후속적인 변형이 이루어진 재료에 의해 흡수되는 에너지, 및 이의 최대 강도가 적절하도록 최적이면서도 필수적이다. 생성된 총 일량은 이의 신장을 제어하고 정규화하며, 이는 상기 테이프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심지어 진행된 탄성 신장 단계에 있는 경우에도 그대로 남아 있거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하부 접착층(4)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및 실의 재료에 대해 높은 접착력을 갖는 아크릴성 합성 필라멘트사의 박층(바람직하게는 라텍스가 없음)임이 지적되어야 한다.
피부와 테이프 사이에 축적할 수 있는 땀 또는 임의의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삽입되는, 접착제가 없는 공간 또는 홈(5)을 형성하는 무한히 반복되는 패턴은 도 5에서 관찰할 수 있다. 표면의 나머지 부분은 접착제(6)로 덮여 있다. 상기 공간은, 접착제가 없는 공간 또는 선(5)의 권선 형태가 45°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씨실의 방향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피부를 죄이거나 손상시킬 수 있는 도포 이후에 피부 상의 테이프의 변형을 예방하도록 하며, 이는 상기 테이프의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상기 테이프는 앞서 신장이 확립된 종이에 부착된다. 상기 신장은 섬유를 약간의 장력으로 유지하며, 이의 기계적 물성 및 특성을 보호한다. 섬유가 다소 장력에 있는 종이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 이들은 자신의 정확한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명확하게 개시되어 있을지라도 상술한 특정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근본적인 원리 및 본질을 변경하지 않는 한, 세부사항에서의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Claims (13)

  1. 평직(plain weave), 능직(twill weave) 또는 수자직(satin weave)이 구비된 투각 구조(openwork structure)를 형성하는 씨실 및 날실(1)이 구비된 평직물(flat fabric)을 포함하고 하부 접착층(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로서, 평직, 능직 또는 수자직은 씨실 및 날실 둘 모두에서 절단 또는 교차되어 있고,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실은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필라멘트사로서, 합사(plied)되어 있거나, 합연(cabling)되어 있거나, 코어로서 뭉쳐진 것인 접착성 근막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및 날실(1)이 구비된 평직물의 실은 적어도 3개 내지 최대 10개의 평직, 능직 또는 수자직이 구비된 투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의 구조의 씨실(2)는 1개 내지 최대 35개의 픽(pick)/㎝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의 구조의 날실(3)는 1올 내지 최대 40올/㎝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사는 매끄럽거나 텍스쳐링(texturing)된 모노필라멘트사, 멀티필라멘트사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정사각형의 립스톱 경량 직물(ripstop lightweight fabric)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100g/㎡ 내지 300g/㎡의 평량(grammag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는 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 엘라스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자화(magnetization)된 금속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자화된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착층(4)은 접착제가 없는 공간 또는 선(5)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공간 또는 선은 상기 씨실에 대해 45°의 각도로 대칭적이고 반복적인 물결무늬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상기 테이프의 방수 처리에 도움이 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막 또는 실리콘 오일의 박층을 함유하는 상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사용하기 이전에 제거될 수 있는, 이의 특성 및 물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근막 테이프.
KR1020197003683A 2016-07-05 2017-06-22 접착성 근막 테이프 KR20190033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201630912A ES2648804B1 (es) 2016-07-05 2016-07-05 Venda fascial adhesiva
ESP201630912 2016-07-05
PCT/ES2017/070455 WO2018007662A1 (es) 2016-07-05 2017-06-22 Venda fascial adhesiv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554A true KR20190033554A (ko) 2019-03-29

Family

ID=6081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683A KR20190033554A (ko) 2016-07-05 2017-06-22 접착성 근막 테이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90151494A1 (ko)
EP (1) EP3479804B1 (ko)
JP (1) JP2019524401A (ko)
KR (1) KR20190033554A (ko)
CN (1) CN109475433B (ko)
BR (1) BR112019000177A2 (ko)
CA (1) CA3029672A1 (ko)
ES (2) ES2648804B1 (ko)
PT (1) PT3479804T (ko)
RU (1) RU2019102877A (ko)
WO (1) WO20180076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449B1 (ko) * 2019-12-03 2020-09-09 주식회사 위테이프 스포츠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8670A1 (de) * 2020-07-20 2022-01-20 TanMeOn GmbH UV-A und UV-B durchlässiger Stoff
TW202218643A (zh) * 2020-11-05 2022-05-16 綠能奈米科技有限公司 複合式金屬遠紅外線醫療用貼布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1184U (ko) * 1978-11-06 1980-05-16
US4207885A (en) * 1979-03-07 1980-06-17 Carolon Company Woven elastic compression bandage
JPH04170953A (ja) * 1990-11-02 1992-06-18 Kazuo Eto 帯磁織布
JPH1033741A (ja) * 1996-07-23 1998-02-10 Kineshio:Kk 身体接着テ−プ
GB9712696D0 (en) * 1997-06-18 1997-08-20 Smith & Nephew Bandage
CN1436064A (zh) * 2000-06-16 2003-08-13 强生消费者公司 可透气的无孔绷带
JP3603276B2 (ja) * 2001-01-11 2004-12-22 アルケア株式会社 バンデ−ジ
DE102005033720A1 (de) * 2005-07-15 2007-01-18 Karl Otto Braun Kg In Kettrichtung längselastische Binde
JP2009160115A (ja) * 2007-12-28 2009-07-23 Kramer Japan:Kk テーピング用テープ
PT2468227E (pt) * 2010-12-23 2013-10-22 Dirk Wuest Nova fita cinesiológica
AU2012285492A1 (en) * 2011-07-21 2014-03-13 Kt Health, Llc Pre-cut strips of kinesiology tape
DE102012004150A1 (de) * 2012-02-28 2013-08-29 Bauerfeind Ag Maschenware mit unterschiedlichen Zonen im Kraft-Dehnungsverhalten
CN202515878U (zh) * 2012-04-09 2012-11-07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三附属医院 软组织损伤防护贴
ES2558021B1 (es) * 2014-07-29 2016-12-22 Francisco José SELVA ZARZO Venda elástica adhesiv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449B1 (ko) * 2019-12-03 2020-09-09 주식회사 위테이프 스포츠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00177A2 (pt) 2019-04-16
CN109475433B (zh) 2021-11-12
PT3479804T (pt) 2020-11-20
CA3029672A1 (en) 2018-01-11
JP2019524401A (ja) 2019-09-05
RU2019102877A3 (ko) 2020-08-06
RU2019102877A (ru) 2020-08-06
US20190151494A1 (en) 2019-05-23
EP3479804A1 (en) 2019-05-08
EP3479804A4 (en) 2019-05-22
ES2834073T3 (es) 2021-06-16
ES2648804B1 (es) 2018-10-22
CN109475433A (zh) 2019-03-15
WO2018007662A1 (es) 2018-01-11
ES2648804A1 (es) 2018-01-08
EP3479804B1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091302C2 (de) Stützverband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A2961567C (en) Kinesiology tape
US4756942A (en) Elastic fabric
US5185000A (en) Ankle joint bandage
TWI586288B (zh) Leg support belt
RU2566906C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CA2627646C (en) Water resistant undercast liner
CA2837012C (en) Compression bandage for placing on the human or animal body
KR20190033554A (ko) 접착성 근막 테이프
CA2614091A1 (en) Bandage with lengthwise elasticity in warp direction
KR20130007530A (ko) 팔꿈치 관절 서포터
KR101766644B1 (ko)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JP2006527007A (ja) 横糸挿入伸縮性接着包帯及びその製造方法
AU2016228954B2 (en) Therapeutic tape
JP3014355U (ja) 合成皮革および該合成皮革を用いた革靴
CN110022806B (zh) 压迫套管
CN116171119A (zh) 可穿戴物品
JP3603276B2 (ja) バンデ−ジ
Mikucioniene et al.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of Functional Orthopaedic Compression Knits for Medical Application: A Review
Di Bartolomeo Investigation into elastic performance and functionality of fabrics for medical pressure garments
JP2005040564A (ja) 生体用粘着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