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320A -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320A
KR20190033320A KR1020170121952A KR20170121952A KR20190033320A KR 20190033320 A KR20190033320 A KR 20190033320A KR 1020170121952 A KR1020170121952 A KR 1020170121952A KR 20170121952 A KR20170121952 A KR 20170121952A KR 20190033320 A KR20190033320 A KR 20190033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signal
sensor signal
vehic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803B1 (ko
Inventor
김영기
이정기
이용주
홍순민
박찬국
신성환
권대욱
황인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8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의 터치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 센서, 상기 차량 내 동승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승자 감지 장치 및 상기 도어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상기 동승자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2차 판단한 후, 상기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관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passenger in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승자의 동승 여부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차량 내 탑승자의 상태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 편의 및 안전을 위한 기능들이 추가 및 개량되고 있다. 일 예로 차량 내 탑승자의 탑승 유무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경고음 등으로 좌석 벨트의 착용에 대한 경고 표시를 하는 기능이 개발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내 탑승자의 탑승 유무에 따라서 에어백 모듈의 전개 유무가 자동으로 제어되고, 하중에 따라 성인과 유아를 인식하여 에어백 모듈의 크기를 제어하는 기능이 개발되었다.
또한, 차량 내 탑승자의 위치나 온도를 감지하여 위치에 따라 냉난방 시스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능들이 개발되었다.
종래에는 차량 내 탑승자의 탑승 유무 및 하중을 감지하기 위해 하중 센서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하중 센서는 사람이 아닌 물건에도 오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인체만을 감지하는 적외선 카메라와 같은 적외선 센서를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탑승자의 차량 내 위치에 따라 감성적 공조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실내 온도 측정용 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 내 위치에 따른 온도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안전 벨트의 착용에 대한 경고표시, 에어백 모듈의 제어, 및 공조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차량 내 탑승자의 상태 및 차량 내 상태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하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온도 측정용 센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차량 내 생산 단가가 과다하게 지출되거나, 차량 내 탑승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알리기 위하여 센서 신호의 출력량 또는 방사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소비되는 전류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10-16376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내 동승자 탑승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내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2차 판단할 수 있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의 터치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 센서, 상기 차량 내 동승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승자 감지 장치 및 상기 도어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상기 동승자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2차 판단한 후, 상기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관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동승자 탑승 여부에 관한 메시지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 장치는, 클러스터를 이용한 메시지를 팝 업하고, 상기 차량 내 구비된 혼을 이용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메시지 또는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도어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내 동승자 탑승 여부를 1차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내 동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동승자의 탑승 신호를 알림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관한 1차 알림을 하는 단계, 상기 차량 내 동승자 탑승 여부를 감지하여 차량 내 동승자 탑승 여부를 2차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 동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동승자의 탑승 신호를 상기 알림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관한 2차 알림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1차 알림을 하는 단계 이후, 상기 1차 알림의 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알림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이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는 센서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센서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는 컨버터 및 상기 변환된 신호에서 동승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 내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어 균등한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 센서 및 상기 송신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 수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서 신호의 출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의 높낮이에 따라 증폭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상기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센서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에서 동승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량을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의 높낮이에 따라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의 높낮이에 따라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의 높낮이에 따라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스위치 장치 및 동승자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내 동승자 탑승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는 동승자 감지 장치 기능뿐만 아니라 외부인의 차량 내 실내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내 제어부가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증폭률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소비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10)은 스위치 장치(100), 제어 장치(200), 알림 장치(300) 및 동승자 감지 장치(400)를 포함하며,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10)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스위치 장치(100)는 운전자 도어 스위치 및 동승자(또는 뒷좌석) 도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운전자 도어 스위치 또는 동승자 도어 스위치를 터치하면, 도어 감지 센서(미도시)가 터치를 인식하고, 제어 장치(200)에 입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통합 바디 제어부(Integrated Body Unit, IBU)이며, 도어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알림 장치(300)에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관한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200)는 동승자 감지 장치(4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2차 판단하고,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따라 알림 장치(300)에 알림을 실시 또는 미 실시하도록 하기 위하여 알림 장치(300)에 동승자의 탑승 신호를 송신한다.
알림 장치(300)는 클러스터(cluster), 혼(horn) 및 스마트 기기(smart device) 등을 포함하고,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동승자의 탑승 신호에 따라 동승자 탑승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팝 업(pop-up)하고, 경고음을 출력한다.
동승자 감지 장치(400)는 차량 내 동승자의 동작(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460)를 포함하고, 이러한 센서부(460)는 주로 초음파 센서이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승자 감지 장치(4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고, 동승자 감지 장치(400)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술한 S11 단계 내지 S18 단계가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S11 및 S12 단계에서,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10)의 스위치 장치(100) 중 운전자 도어 스위치 또는 동승자 도어 스위치를 이용하여 도어 감지 센서(미도시)에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장치(200)는 차량 내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1차 판단한다. 여기서는, 차량 내 뒷좌석의 동승자 도어 스위치를 일 예로 설명한다.
S13 단계에서, 차량 내 동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 제어 장치(200)는 동승자의 탑승 신호를 알림 장치(300)에 송신하고, 알림 장치(300)는 동승자 탑승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팝 업하고, 경고음을 1차 출력한다. 예를 들어, 알림 장치(300)는 클러스터(cluster), 혼(horn) 및 스마트 기기(smart device) 등을 포함하고,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동승자의 탑승 신호에 따라 동승자 탑승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팝 업하고,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S14 및 S15 단계에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알림 장치(300)에서 팝 업된 메시지 및 출력된 경고음을 해제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 장치(200)는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다시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10)을 대기시킨다.
S16 단계에서,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10)의 대기 이후에, 동승자 감지 장치(400)는 차량 내 동승자의 동작(움직임)을 감지한다. 여기서, 동승자 감지 장치(4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 방법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S17 단계에서, 제어 장치(200)는 동승자 감지 장치(400)로부터 차량 내 동승자의 동작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내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2차 판단한다.
S18 단계에서, 차량 내 동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 제어 장치(200)는 동승자의 탑승 신호를 송신하고, 알림 장치(300)는 동승자 탑승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팝 업하고, 경고음을 2차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승자 감지 장치(400)는 레귤레이터(410), 트랜시버(420), 제어부(430), 트랜스미터(440), 컨버터(450) 및 센서부(460)를 포함한다.
동승자 감지 장치(400)는 제어 장치(200)와 연결되어 전원 신호(B+), 통신 신호 및 접지(GND) 신호를 송수신하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신호는 LIN 또는 CAN을 통해 연결된 신호일 수 있다.
레귤레이터(410, regulator)는 차량의 보조 배터리 전압(예를 들어, 12V) 및 메인 배터리 전압(예를 들어, 24V)을 포함하는 배터리 전압을 수신하여 동승자 감지 장치(400) 내 구동 전압이 일정 전압(예를 들어, 3.3V 또는 5V)이 되도록 변환한다.
트랜시버(420, transceiver)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Arm 신호 또는 Disarm 신호를 제어부(450)에 송신한다.
제어부(430, controller)는 트랜시버(4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센서부(460)의 송신 센서(또는 출력 센서)의 출력량(방사량)을 조절하고, 수신 센서(또는 입력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컨버터(450)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에서 동승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되, 동승자의 탑승(또는 움직임) 여부 또는 외부인의 차량 내 진입 등을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방식으로 송신 센서(또는 출력 센서)에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 센서(또는 출력 센서)의 출력량(방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송신 센서(또는 출력 센서)의 출력량이 증가하면, 수신 센서(또는 입력 센서)의 수신량이 증가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컨버터(450)를 통해 변환된 신호(변환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의 증폭 게인(gain)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컨버터를 통해 변환된 신호의 레벨(ADC level)에 따라 변환된 신호의 증폭 게인(gain)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변환된 신호의 레벨의 높낮이에 따라 변환된 신호의 증폭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신호(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낮으면, 변환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높일 수 있으며, 변환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신호의 레벨보다 높으면, 변환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낮출 수 있다.
트랜스미터(440, transmitter)는 제어부(430)로부터 수신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방식을 송신 센서(또는 출력 센서)의 신호 방식으로 변환한다.
컨버터(450,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는 수신 센서(또는 입력 센서)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430)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센서부(460, sensor)는 송신 센서(출력 센서, Tx sensor) 및 수신 센서(입력 센서, Rx sensor)를 포함하고, 송신 센서(또는 출력 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차량 내 좌측 및 우측의 소정 영역에 구비되어 균등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술한 S111 단계 내지 S122 단계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S111 및 S112 단계에서, 제어부(430)는 PWM 신호 방식으로 트랜스미터(440)에 송신(출력)하고, 트랜스미터(440)는 제어부(430)로부터 수신된 PWM 신호 방식을 송신 센서(또는 출력 센서)의 신호 방식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제어부(430)는 송신 센서(또는 출력 센서)의 출력량(방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S113 단계에서, 송신 센서(또는 출력 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차량 내 좌측 및 우측의 소정 영역에 구비되어 균등한 신호를 출력한다.
S114 단계에서, 수신 센서(또는 입력 센서)는 송신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다시 수신(입력)한다. 여기서, 수신 센서(또는 입력 센서)가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115 및 S116 단계에서, 컨버터(450)는 수신 센서(또는 입력 센서)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430)가 인식 가능하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부(430)는 변환된 신호(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다.
S117 및 S118 단계에서, 제어부(430)는 변환된 신호에서 동승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고, 동승자의 움직임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알림 장치(300)는 동승자 탑승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팝 업하고, 경고음을 출력한다.
그러나, S117 단계에서, 제어부(430)는 변환된 신호에서의 신호량이 미약하여 차량 내 동승자의 동작(움직임)인지 여부 또는 변환된 신호에 노이즈(noise)가 포함된 경우인지 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차량 내 동승자의 동작(움직임)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S119 단계에서, 제어부(430)는 변환된 신호에서 동승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여 동승자의 동작(움직임)이 아닌 경우에, 컨버터(450)에서의 변환된 신호의 레벨이 낮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S120 단계에서, 컨버터(450)에서의 변환된 신호의 레벨이 낮으면, 제어부(430)는 변환된 신호의 증폭 게인(gain)을 높인다. 예를 들어, 변환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신호(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낮으면, 변환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높일 수 있다.
S121 및 S122 단계에서, 컨버터(450)에서의 변환된 신호의 레벨이 높으면, 제어부(430)는 변환된 신호의 증폭 게인(gain)을 낮춘다. 예를 들어, 변환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신호(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높으면, 변환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낮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동승자 감지 시스템
100: 스위치 장치
200: 제어 장치
300: 알림 장치
400: 동승자 감지 장치
410: 레귤레이터
420: 트랜시버
430: 트랜스미터
440: 컨버터
450: 제어부
460: 센서부
1000: 컴퓨팅 시스템
1100: 프로세서
1200: 시스템 버스
1300: 메모리
1310: ROM
1320: RAM
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장치
15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장치
1600: 스토리지
17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Claims (16)

  1. 차량의 도어의 터치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 센서;
    상기 차량 내 동승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승자 감지 장치; 및
    상기 도어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상기 동승자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2차 판단한 후, 상기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관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동승자 탑승 여부에 관한 메시지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는,
    클러스터를 이용한 메시지를 팝 업하고, 상기 차량 내 구비된 혼을 이용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메시지 또는 문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4. 차량에 구비된 도어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내 동승자 탑승 여부를 1차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내 동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동승자의 탑승 신호를 알림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관한 1차 알림을 하는 단계;
    상기 차량 내 동승자 탑승 여부를 감지하여 차량 내 동승자 탑승 여부를 2차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 동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동승자의 탑승 신호를 상기 알림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동승자의 탑승 여부에 관한 2차 알림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1차 알림을 하는 단계 이후,
    상기 1차 알림의 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알림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이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센서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센서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는 컨버터; 및
    상기 변환된 신호에서 동승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 내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어 균등한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 센서; 및
    상기 송신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 수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서 신호의 출력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의 높낮이에 따라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12.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상기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센서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에서 동승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의 높낮이에 따라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의 높낮이에 따라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의 높낮이에 따라 증폭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센서 신호의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변환된 센서 신호의 증폭 게인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121952A 2017-09-21 2017-09-21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4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52A KR102474803B1 (ko) 2017-09-21 2017-09-21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52A KR102474803B1 (ko) 2017-09-21 2017-09-21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20A true KR20190033320A (ko) 2019-03-29
KR102474803B1 KR102474803B1 (ko) 2022-12-06

Family

ID=6589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952A KR102474803B1 (ko) 2017-09-21 2017-09-21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8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548A (ko) * 1999-10-05 2001-10-06 리트무엘레 필립 에이치. 승객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297187B1 (ko) * 2012-06-20 2013-08-16 은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의 탑승자 보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50027565A (ko) * 2013-09-04 2015-03-12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초음파 수신부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초음파 침입 검출 장치
JP2015530302A (ja) * 2012-07-10 2015-10-15 デースン エレ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車両侵入感知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37670B1 (ko) 2014-08-25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및 탑승 위치 인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548A (ko) * 1999-10-05 2001-10-06 리트무엘레 필립 에이치. 승객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297187B1 (ko) * 2012-06-20 2013-08-16 은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의 탑승자 보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JP2015530302A (ja) * 2012-07-10 2015-10-15 デースン エレ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車両侵入感知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27565A (ko) * 2013-09-04 2015-03-12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초음파 수신부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초음파 침입 검출 장치
KR101637670B1 (ko) 2014-08-25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및 탑승 위치 인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803B1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860B1 (ko) 차량 내 객체 검출 장치 및 방법
US9734699B2 (en) System for providing alerts to vehicle occupants
US10434965B2 (en) Vehicular safety seat, controller coupled with vehicular safety seat, and vehicular safety seat system
KR101637670B1 (ko) 차량 탑승자 및 탑승 위치 인식 시스템
US20170174163A1 (en) Occupant protection method and occupant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WO2005120893A3 (en) Child restraint system comprising control unit for evaluating harness adjustment
US20110246026A1 (en) Vehicle console control system
US20160214620A1 (en) Device For Performing A Camera-Based Estimation Of Load On A Vehicle And Method Of Estimating Load On A Vehicle
CN109413377B (zh) 用于停车距离选择的方法和设备
JP2009175045A (ja) 周辺監視装置
KR20210032766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6452288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and object or a person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KR20200077135A (ko) 자동 잠든 아이 확인 장치
CN105015449B (zh) 用于机动车辆的驾驶员进入检测器
KR102474803B1 (ko) 차량의 동승자 감지 장치, 차량의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EP3135514B1 (en) Air-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air-conditioning apparatus,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KR102151196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내 승객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587094B1 (ko) 운전자의 주행 성향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060133748A (ko) 무게센서 및 전기장센서를 이용한 승객분류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472624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차량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200096439A (ko) 아동 차량 안전장치
KR20210097920A (ko) 차량 내 유아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70060570A (ko) 차량의 후미추돌 자동 경고 시스템
KR102432305B1 (ko) 환경 조건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가변적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0504A (ko) 차량 사고 감지 및 사고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