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213A - 도트사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도트사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213A
KR20190033213A KR1020170121701A KR20170121701A KR20190033213A KR 20190033213 A KR20190033213 A KR 20190033213A KR 1020170121701 A KR1020170121701 A KR 1020170121701A KR 20170121701 A KR20170121701 A KR 20170121701A KR 20190033213 A KR20190033213 A KR 20190033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avelength
filter
light component
d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900B1 (ko
Inventor
정인
정보선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102017012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900B1/ko
Priority to PCT/KR2018/009310 priority patent/WO2019059530A1/ko
Publication of KR2019003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0Reflecting-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트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는 제 1광성분을 출사하는 광원과; 제 1파장을 컷온 파장(cut-on wavelength)으로 가지고 상기 제 1광성분을 컷온하여 상기 제 2광성분으로 변환하는 광변환부와; 상기 제 2광성분을 반사하여 사용자에게로 향하게 하는 반사경과; 및 상기 제 1파장보다 짧거나 같은 제 2파장을 컷오프 파장(cut-off wavelength)으로 가지고, 상기 제 2광성분은 컷오프하여 차단하는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도트사이트 장치이다.

Description

도트사이트 장치{DOT S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도트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트시표 발생부에서 나오는 광선이 목표물 방향의 상대방 쪽으로 진행되어 사용자의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식 무배율(저배율) 도트사이트 조준기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준이 가능하며, 긴급한 상황이나 근거리에서 조준이 매우 편리하다.
종래 조준선 정렬에 들던 시간을 아낄 수 있고, 조준 자체도 도트(dot) 상(像)을 목표물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며, 따라서 시야를 확보할 여유를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도트사이트 조준기는 도트 시표 발생부의 광원의 광선들이 도트시표의 허상을 형성하는 반사경을 통과하여, 목표물 방향의 상대방 쪽으로 진행되면서 도트시표 발생부가 상대방에게 발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위치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왔다.
특히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환경(야간 또는 주위의 조명이 어두워지는 상황)에서는 이 광원의 노출은 상대방에게 먼저 눈에 띄게 하기 때문에 사격의 우선권을 놓칠 수 있게 되어 도트사이트의 장점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경통형 도트사이트는 반사경(2)을 투과한 도트시표 발생부(1)의 광원이 광축방향(A방향)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광축을 약간 벗어난 B방향에서는 보이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경통형 도트사이트에서는 도트시표 발생부(1)가 경통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목표물 쪽에서의 일부 방향(도 1의 A방향보다 상측 방향)에서는 도트시표 발생부 광원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 외의 방향(도 1의 A방향보다 하측 방향, 특히 B방향)에서는 도트시표 발생부의 광원이 보이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오픈형 도트사이트는 반사경(2)을 투과한 도트시표 발생부(1)의 광원이 도트시표 발생부와 마주하는 목표물 쪽에서 보이게 된다.
빔스플리터를 이용한 도트사이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스플리터(3)에서 반사된 도트시표 발생부(1)의 광원이 반사경(2)을 투과하므로, 목표물 쪽에서 도트시표 발생부 광원이 보이게 되어 사용자의 위치가 노출될 수 있다.
즉, 종래의 빔스플리터를 이용한 도트사이트의 경우에도 도트시표 발생부의 광원의 광선 일부가 사용자가 주시하는 목표물의 방향으로 투과하여 나가기 때문에 목표물측 상대방에게 도트시표 발생부 광원이 보이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67472호 (2007.01.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트시표 발생부에서 나오는 광선이 도트시표의 허상을 형성하는 반사경을 통과하여 목표점 방향의 상대방 쪽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트시표 광선이 상대방에게 발각되어 사용자의 위치가 노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도트사이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 1광성분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제 1광성분을 제 2광성분으로 변환하는 광변환부;과, 상기 제 2광성분을 반사하여 사용자을 향하게 하는 반사경; 및 목표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광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고, 상기 목표물 측에서 오는 제 3광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하는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변환부는 제 1파장을 컷온 파장(cut-on wavelength)으로 가지고 상기 제 1광성분을 컷온하여 상기 제 2광성분으로 변환하는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제 1파장보다 짧거나 같은 제 2파장을 컷오프 파장(cut-off wavelength)으로 가지고, 상기 제 2광성분은 컷오프하여 차단하는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파장과 상기 제 2파장은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변환부는 컷온 파장 보다 큰 파장의 광의 대부분을 투과하는 롱패스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광차단부는 컷오프 파장보다 큰 파장의 광의 대부분을 차단하는 숏패스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롱패스필터와 상기 숏패스필터 각각은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다이일렉트릭 필터(dielectric filter), 박막필터(thin-film filter), 간섭필터(interference filter), 칼라필터(color filter)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트사이트 장치는 상기 광변환부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제 2광성분이 상기 반사경을 향하도록 하는 광경로 변환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광경로 변환부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중하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반사경과 상기 목표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변환부와 상기 광차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코팅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과 상기 광변환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경의 한 면이 제 2광성분을 사용자에게로 향하게 하는 반사면과 상기 광차단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광학 코팅되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경의 한 면은 제 2광성분을 사용자에게로 향하게 하는 반사면이 되고, 또 다른 면은 상기 광차단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광학 코팅되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광성분을 출사하는 광원;과, 제 1파장을 컷온 파장(cut-on wavelength)으로 가지고 상기 제 1광성분을 컷온하여 상기 제 2광성분으로 변환하는 광변환부;와, 상기 제 2광성분을 반사하여 사용자에게로 향하게 하는 반사경; 및 목표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파장보다 짧거나 같은 제 2파장을 컷오프 파장(cut-off wavelength)으로 가지고, 상기 제 2광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컷오프하여 차단하고, 상기 목표물 측에서 오는 제 3광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하는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변환부와 상기 광차단부 각각은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다이일렉트릭 필터(dielectric filter), 박막필터(thin-film filter), 간섭필터(interference filter), 칼라필터(color filter)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변환부는 상기 광변환부의 컷온 파장을 초과하는 파장의 광의 대부분은 반사하고, 컷온 파장을 초과하지 않는 파장의 광의 대부분은 투과 또는 흡수하는 롱 웨이브 반사필터(long wave reflection filter)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트시표 발생부에서 나오는 광선이 도트시표의 허상을 형성하는 반사경을 통과하여 목표점 방향의 상대방 쪽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가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도트사이트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도트사이트의 이해를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도트시표 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의 스펙트럼 그래프,
도 6은 도 4의 제 1광학필터의 컷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도 4의 제 2광학필터의 컷오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도 4의 제 1광학필터를 통과한 도트시표 광선의 스펙트럼 그래프,
도 9는 컬러 필터의 컷온 및 컷오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1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2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3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4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5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6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7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8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 제 2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오픈형 도트사이트 장치 또는 경통형 도트사이트 장치를 목표물 쪽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도트사이트 장치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빔스플리터를 포함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반사경이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 (전면) 에 배치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는 광경로 변환부(120)와, 도트시표 발생부(110)와, 반사경(130)과, 제 1광학필터(140) 및 제 2광학필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광경로 변환부(120)는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에 배치되고, 광경로상 도트시표 발생부(110)와 반사경(130) 사이에 위치하고, 광선을 반사 및 투과하는 경사면(121)이 마련된다.
이러한 광경로 변환부(120)는 직각프리즘 2개를 접합한 빔스플리터(beam splitter)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두 직각프리즘의 경계면이 되는 두 경사면(121) 중 하나에 예를 들어 50%반사 코팅을 한 후 접합하면, 50%를 투과하고 50%를 반사하게 된다.
상기 광경로 변환부(120)의 경사면(121)의 코팅은, 도트시표 발생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의 광선을 반사경(130)을 향해 반사하고 이어서 반사경(130)으로부터 광경로 변환부(120)를 향해 되반사되는 도트시표의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투과함으로써, 도트시표의 광선이 사용자 눈의 망막에 도트시표의 상으로 결상되도록 한다.
또한, 전방 목표물로부터 제공되는 광선은 상기 반사경(130)과 상기 빔스플리터의 경사면(121)을 순서대로 투과하여 사용자 눈의 망막에 외부 목표물의 상으로 결상되도록 한다.
상기 경사면(121)의 코팅은 외부 목표물의 상과 상기 도트시표의 상을 사용자가 겹쳐 볼 때, 가시광선영역의 파장(대략 400~740nm)에 대해 각 파장별 투과율이 각 파장별 투과율의 평균값에서 30% 이내의 편차를 가지도록 하여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 확보되는 외부 시야의 색감이 크게 변화하지 않도록 하는 한층 이상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경로 변환부(120)는 경사 배치되는 빔 분리 평판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빔 분리 평판으로 구성하는 경우, 경사 배치되는 평판형태의 광학유리의 적어도 일면에 필요한 광의 투과량에 따라 투과 및 반사 코팅을 할 수 있다. 즉, A% 반사 코팅을 하면 경사면(121)에 제공되는 입사광의 (100-A)%를 투과하고 A%를 반사하게 된다.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는 상기 광경로 변환부(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광원과 시표 마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투광 레티클 방식, RC LED 방식, 또는 필요한 화소(pixel)를 구동시킴으로써 시표 마스크의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OLED 방식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는 상기 경사면(121)을 향해 특정 범위의 스펙트럼을 가지는 도트시표 광선, 즉 제 1광 성분을 제공하는 광원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약 파장 655nm에서 빛의 세기(intensity)의 피크 값을 가지나, 파장 655nm의 전후 파장 영역에서는 655nm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빛의 세기(intensity)가 약해지는 특성을 갖는 광원이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면 645~665nm 영역의 빛의 세기(intensity) 분포가 전체 파장 영역의 빛의 세기(intensity) 분포의 50%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반사경(130)은 상기 광경로 변환부(120)의 경사면(12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경사면(121)에서 반사된 도트시표 광선을 경사면(121)을 향해 되반사시켜 사용자에게 도트시표 허상을 제공한다.
상기 반사경(130)은 싱글렛(singlet) 또는 두 장의 광학 초자로 구성된 더블렛(doublet)으로 구성되며, 도 4의 예에서와 같이 더블렛으로 구성될 경우 반사경(130)의 접합면이 상기 도트시표 광선을 경사면(121)을 향해 되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 설계되고 상기 반사경(130)의 목표물 쪽의 면에 광차단부가 형성되도록 광학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경(130)이 더블렛일 경우 반사경(130)의 접합면이 상기 도트시표 광선을 경사면(121)을 향해 되반사시키는 반사면과 상기 광차단부 역할을 할수 있도록 광학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경(130)이 싱글렛(singlet)일 경우 반사경(130)의 관찰자 쪽의 제1면 또는 목표물 쪽의 제2면이 상기 도트시표 광선을 경사면(121)을 향해 되반사시키는 반사면과 상기 광차단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광학 코팅될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경(130)이 싱글렛(singlet)일 경우 반사경(130)의 관찰자 쪽의 제1면이 상기 도트시표 광선을 경사면(121)을 향해 되반사시키는 반사면 역할을 하고, 목표물 쪽의 제2면이 상기 광차단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광학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제 1광학필터(140)는 광 경로상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와 광경로 변환부(1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광학필터(140)는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광인 제 1광성분을 제 2광성분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2광성분을 상기 광경로 변환부(120)로 가게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광학필터(140)는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도트시표 광선의 스펙트럼 영역 내에서 설정되는 제 1파장을 컷온 파장(cut-on wavelength)으로 가지며, 상기 제 1파장 보다 짧은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을 반사 또는 흡수하고, 상기 제 1파장보다 긴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을 투과하는 컷온(cut-on)을 수행하여 상기 광경로 변환부(120)를 향해 투과한다.
여기서, 컷온 파장은 예를 들면, 롱패스필터(longpass filter)에서 투과율이 50%가 되는 파장을 말하며, 도 6에서 컷온 파장은 650nm이다.
도 9의 (a)는 롱 패스 필터의 파장 대비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컷온 파장은 일반적으로 롱패스필터에서 50%의 투과율을 나타나는 파장을 나타낸다. 이때, 이 컷온 파장의 이상의 파장에서는 대부분의 광선이 롱패스필터를 통해서 대부분 통과하게 되고, 이 컷온 파장의 이하의 파장에서는 대부분의 광선이 롱패스필터를 통해서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대부분”의 의미는 컷온 파장의 이상의 파장을 가지는 광중에서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는 광도 있으며, 컷온 파장의 이하의 파장을 가지 광중에서 차단(반사되거나 흡수)되지 않는 광도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컷온 파장 부근의 영역에서 파장 대비 투과율의 기울기가 가파르게 되면 컷온 파장의 이상의 파장영역의 광선들 중 더 많은 광선을 이 필터를 통해서 투과시킬 수 있게 되고, 컷온 파장 이하의 파장영역의 광선들 중 더 많은 광선을 이 필터를 통과할 수 없도록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컷온 파장 이상에서는 파장이 커질수록 투과율이 50%에서 점점 더 커져서 최대 투과율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컷온 파장 이상의 모든 광선을 더 많이 통과시키려면 컷온 파장 부근의 영역에서 파장 대비 투과율의 기울기를 가파르게 해야한다.
또한 상기 도 9의 (a)를 참조하면, 컷온 파장 이하에서는 파장이 감소할수록 차단율이 50%에서 점점 더 커져서 최대 차단율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컷온 파장 이하의 모든 광선을 더 많이 차단시키려면 컷온 파장 부근의 영역에서 파장 대비 투과율의 기울기를 가파르게 해야 한다. 제 1광학필터(140)는 컷온 파장을 초과하는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은 투과하고, 컷온 파장을 초과하지 않는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은 흡수 또는 반사하는 롱 패스 필터(long pass filt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컷온 파장 부근의 영역에서 파장 대비 투과율의 기울기가 가파른 특성을 갖는 롱 패스 필터(long pass filter)가 컷온 파장보다 짧은 파장에 대한 차단 효율 및 컷온 파장보다 긴 파장에 대한 투과 효율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 1광학필터(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온 파장이 650nm이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도트시표 광선의 스펙트럼 영역에서 650nm 보다 긴 파장의 광선은 대부분 투과하고, 650nm 보다 짧은 파장의 광선은 대부분 투과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로부터 광경로 변환부(120)를 향해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은 도 5와 같은 스펙트럼 파장을 갖는데, 이러한 도트시표 광선은 제 1광학필터(140)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컷온 파장인 650nm을 초과하지 않는 파장의 광선은 대부분 반사 또는 흡수되고, 컷온 파장인 650nm을 초과하는 파장의 광선은 대부분 투과됨에 따라, 제 1광학필터(140)를 투과한 후에는 도 8과 같은 스펙트럼 형태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제 2광성분은 도 8과 같은 스펙트럼을 갖는다.
상기 제 1광학필터(140)에 의해 변환된 상기 제 2광성분은 상기 광경로 변환부(120)의 경사면(121)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반사경(130)으로 향하게 되고, 상기 반사경(130)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를 향하게 되어 도트시표의 광선이 사용자 눈의 망막에 도트시표의 상으로 결상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광성분의 일부는 반사경(130)을 통과하여 적이 위치하는 목표물로 향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광학필터(150)에 의해서 이러한 빛의 누설이 방지된다.
상기 제 2광학필터(150)는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경(130)이 전면에 배치될 경우(도 4)에는 상기 반사경(130)과 목표물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광학필터(150)는 상기 제 1파장보다 짧은 제 2파장을 컷오프 파장(cut-off wavelength)으로 가지며, 상기 제 2파장보다 짧은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은 투과하고, 상기 제 2파장보다 큰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은 차단 (반사)하는 컷오프(cut-off)를 수행한다.
여기서, 컷오프 파장은 예를 들면, 숏패스필터(shortpass filter)에서 투과율이 50%가되는 파장을 말하며, 도 7에서 컷오프 파장은 645nm이다.
도 9의 (b)는 숏 패스 필터의 파장 대비 투과율 그래프이다. 도 9의 (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컷오프 파장은 일반적으로 50%의 투과율을 나타나는 파장을 말한다. 이 때 이 컷오프 파장의 이상의 파장에서는 대부분의 광선이 이 필터를 통해서 대부분 통과할 수 없게 되고, 이 컷오프 파장의 이하의 파장에서는 대부분의 광선이 이 필터를 통해서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대부분”은 컷오프 파장의 이상의 파장을 가진 광중에 숏패스 필터를 통과하는 광도 있고, 컷오프 파장의 이하의 파장을 가진 광중에서 숏패스 필터를 통해서 통과하지 못하는 광도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컷오프 파장 부근의 영역에서 파장 대비 투과율의 기울기가 가파르게 되면 컷오프 파장의 이상의 파장영역의 광선들 중 더 많은 광선이 이 필터를 통해서 투과할 수 없게 되고, 컷오프 파장 이하의 파장영역의 광선들 중 더 많은 광선을 이 필터를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광학필터(140)의 컷온 파장, 즉 상기 제 1파장이 상기 제 2광학필터(150)의 컷오프 파장, 즉 상기 제 2파장보다 긴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성능이 좋은 필터, 즉 파장대비 투과율의 기울기가 가파른 필터의 경우엔, 컷온 파장과 컷오프 파장을 거의 동일한 파장으로 설정하여도 된다.
그러나, 상기 제 2광학필터(150)는 상기 제 1광학필터(140)를 투과한 상기 제 2광성분의 도트시표 광선의 파장대역(도 8과 같은 분포를 갖게 됨)이 대부분 투과하지 못하도록 설정하고, 도 8과 같은 파장대역(상기 제 1광학필터(140)를 투과한 후의 도트시표 광선의 파장 대역)을 제외한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파장대역을 대부분 투과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광학필터(140)의 컷온 파장 650nm(도 7 참조)보다 짧은 파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광학필터(150)는 상기 반사경(130)의 반사면에 광학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반사경(130)의 반사면에 형성된 코팅이 상기 제 2광학필터(150)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광학필터(150)는 도 10에서와 같이, 코팅이 아닌 별도의 필터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예에서는 상기 제 1광학필터(140)를 별도의 필터를 배치함으로 구현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 1광학필터(140)도 상기 제 2광학필터(150)와 유사하게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광 출사면에 형성된 코팅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는 상기 제 1광학필터(140)의 기능을 내부에 포함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상기 제 1광학필터(140)와 상기 제 2광학필터(150) 모두를 배치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광원이 상기 제 1파장 (즉, 상기 컷온 파장)보다 긴 파장을 가진 광선 (도 8에 나타낸 파장을 가진 광선)을 출사할 경우에는 상기 제 1광학필터(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광학필터(150)는 컷오프 파장을 초과하지 않는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은 투과하고, 컷오프 파장을 초과하는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은 반사하는 숏 패스 필터(shot pass filter)로 구성될 수 있다.
컷오프 파장 부근의 영역에서 파장 대비 반사율의 기울기가 가파른 특성을 갖는 숏 패스 필터(shot pass filter)가 컷오프 파장보다 짧은 파장에 대한 투과 효율 및 컷오프 파장보다 긴 파장에 대한 반사 효율이 좋다.
상기 제 1광학필터(140)와 상기 제 2광학필터(150) 각각은 예를 들면,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다이일렉트릭 필터(dielectric filter), 박막필터(thin-film filter), 간섭필터(interference filter), 칼라필터(color fil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광학필터(140)는 제 1광성분을 제 2광성분으로 변환하는 광변환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 2광학필터(150)는 상기 제 2광성분의 광을 차단하는 광차단부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트시표 발생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의 광선은 광경로 변환부(120)의 경사면(121)에서 반사되어 반사경(130)을 향해 제공되고, 반사경(130)에서 되반사된 도트시표 광선은 경사면(121)을 투과하여 사용자를 향해 제공되어, 사용자의 눈에 도트시표의 상으로 결상된다.
이때, 상기 광경로 변환부(120)의 경사면(121)에서 반사경(130)을 향해 반사된 도트시표 광선은 제 1광학필터(140)에 의해 컷온되어 도 8과 같이 650nm을 초과하는 파장의 스펙트럼을 가지며, 이러한 도트시표 광선은 반사경(130)의 반사면에 코팅된 제 2광학필터(150)에서 반사되므로 제 2광학필터(150)를 투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도트시표 광선이 반사경(130)을 투과하여 전방 목표물의 상대방에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 2광학필터(150)에서 반사된 도트시표의 광은 광경로 변환부(120) 쪽으로 되반사되어 도트시표의 허상이 되어 관찰자에게 도트시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광학필터(150)의 컷오프 파장은 상기 제 1광학필터(140)에 의해 컷온된 도트시표 광선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컷온 파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파장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롱 패스 필터(long pass filter)가 상기 롱 패스 필터(long pass filter)의 컷온 파장보다 짧은 파장의 광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고 일부 투과하기 때문에 이 광이 숏 패스 필터(shot pass filter)를 지날 때 가능한 한 더 많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숏 패스 필터(shot pass filter)의 컷오프 파장을 롱 패스 필터(long pass filter)의 컷온 파장 650nm보다 적게 645nm로 설정한 것이다. 상기 롱 패스 필터(long pass filter)의 컷온 파장 부근의 영역에서 파장 대비 투과율의 기울기가 더욱 가파르고, 상기 숏 패스 필터(shot pass filter)의 컷오프 파장 부근의 영역에서 파장 대비 반사율의 기울기가 더욱 가파르면, 이 두 필터에 의해 도트시표 광선이 상기 제 2광학필터(150)를 투과하는 광이 매우 적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 때 도트시표의 광이 롱 패스 필터(long pass filter)와 숏 패스 필터(shot pass filter)를 투과했을 때 사람 눈이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한 숏 패스 필터(shot pass filter)의 컷오프 파장을 롱 패스 필터(long pass filter)의 컷온 파장에 더욱 접근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 목표물로부터 제공되는 광선 (제 3광성분)은 상기 반사경(130)과 상기 광경로 변환부(120)의 경사면(121)을 순서대로 투과하여 사용자 눈의 망막에 외부 목표물의 상으로 결상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광학필터(150)의 컷오프 파장은 645nm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전방 목표물로부터 입사되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대략 400~740nm) 중 400~645nm 영역의 파장의 대부분이 투과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전방 목표물과 그 주변부를 자연스러운 색감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광학필터(140)와 제 2광학필터(150)가 파장 대비 투과와 차단 또는 반사 사이의 경계의 기울기가 가파른 특성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장 대비 투과와 차단 또는 반사 사이의 경계의 기울기가 완만한 광학필터 (예를 들면, 컬러 필터(color filter))의 특성을 갖는 롱 패스 필터와 숏 패스 필터로 제 1광학필터(140)와 제 2광학필터(15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에 대해서 빔스플리터를 가진 도트사이트장치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에 따르면, 도트시표 발생부(110)에서 나오는 광선이 도트시표의 허상을 형성하는 반사경(130)을 통과하여 목표점 방향의 상대방 쪽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가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실시예에서는 도트시표 발생부(110)가 광경로 변환부(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반사경(130)이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 즉 전면에 위치하는 구조의 빔스플리터 도트사이트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트시표 발생부(110)가 광경로 변환부(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반사경(130)이 광경로 변환부(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 도트시표 발생부(110)가 광경로 변환부(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반사경(130)이 광경로 변환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 도트시표 발생부(110)가 광경로 변환부(120)의 좌우측면 중 하나에 위치하고, 반사경(130)이 광경로 변환부(120)의 좌우측면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하는 구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1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변형예는 빔스플리터를 가지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제 1광학필터(140)와 제 2광학필터(150)의 모양 또는 구조, 배치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상기 제 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광원의 광선이 목표물쪽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원리는 동일 유사하게 적용되며, 그것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1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오프 파장보다 긴 파장의 광선을 컷오프(cut-off)하여 차단하고, 컷오프 파장보다 짧은 파장의 광선은 투과하는 제 2광학필터(150)를 도트시표 광선의 반사면과 목표물 사이에 배치하면, 광경로 변환부(120)의 경사면(121)에서 반사된 도트시표 광선이 반사경(130)을 투과하더라도 제 2광학필터(150)에 의해 대부분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트시표 광선이 반사경(130)을 투과하여 전방 목표물의 상대방에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2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2변형예는 도 11과 같이 도트시표 허상을 발생시키는 반사경(130)이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의 광축과 직각인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에서도 도트시표 발생부(110)와 광경로 변환부(120)의 사이에 제 1광학필터(140)를 배치하고, 광경로 변환부(120)와 목표물의 사이에 제 2광학필터(150)를 배치하면, 광경로 변환부(120)의 경사면(121)에서 목표물을 향해 반사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대부분 차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 2변형예의 제 1광학필터(140)와 제 2광학필터(150)의 배치구조에 따르면, 제 1광학필터(140)와 광경로 변환부(12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이 평행을 이루게 된다. 즉, 제 1광학필터(140)의 광축의 법선과 광경로 변환부(120)의 면이 평행하므로, 제 1광학필터(140)를 투과한 광선이 광경로 변환부(120)의 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제 2광학필터(150)의 광축의 법선과 광경로 변환부(120)의 면이 평행하므로, 제 2광학필터(140)에 의해서 반사한 광선이 광경로 변환부(120)의 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이경우, 반사된 광선은 다시 제 1광학필터(140)와 제 2광학필터(150)의 앞면과 뒷면 각각에서 되반사가 반복되어 결국에는 사용자를 향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 반사 광선들이 사용자를 향해 제공되는 경우에는, 도트시표 허상의 전후에 빛의 강도(intensity)가 약한 새로운 도트시표-허상(virtual image)들을 형성하게 되므로, 원하는 하나의 도트시표 허상의 형성을 방해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3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3변형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광학필터(140)와 제 2광학필터(150)를 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경사 배치함으로써, 제 1광학필터(140)와 제 2광학필터(150)의 앞면과 뒷면에서 되반사되는 반사 광선이 사용자 방향으로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4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4변형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광학필터(140)의 앞면과 뒷면을 굴절력이 발생하지 않는 곡면으로 구성하고, 제 2광학필터(150)는 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경사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제 1광학필터(140)를 곡면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 1광학필터(140)의 곡면이 오목거울 역할을 하므로, 제 1광학필터(140)와 마주하는 광경로 변환부(120)의 면에서 반사된 광선이 실제 도트시표 허상보다 상당히 다른 위치에 새로운 도트시표-허상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곡면으로 구성된 제 1광학필터(140)에 의해 형성되는 도트시표-허 상은 사용자 눈의 조절력 변화의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결상되므로, 다중 반사상으로 형성되는 도트시표-허상이 사용자에게 관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제 1광학필터(140)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동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5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변형예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광학필터(140)와 제 2광학필터(150)를 사용자측에서 보았을 때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제 1광학필터(140)와 제 2광학필터(150)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도트시표 광선이 각각 사용자 눈의 조절력 변화의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결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제 2광학필터(150)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동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도 14의 예에서, 상기 제 2광학필터(150)는 제 2광학필터(150)의 회전대칭축(150a)을 광학계의 주광축으로부터 벗어난 구성의 제 2광학필터(160)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시야를 결정하는 경통의 광경로 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회전대칭축(160a)을 배치함으로써 제 2광학필터(160)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선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6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7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8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6변형예는 도 11의 구조에서 상기 제 1광학필터(140)를 롱 웨이브 반사필터로 대체한 것이다. 상기 롱 웨이브 반사필터는 상기 제 1광학필터(140)와 반대로 컷온 파장을 초과하는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은 반사하고, 컷온 파장을 초과하지 않는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은 투과 또는 흡수한다.
도 1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7변형예는 도 12 또는 도 13의 구조에서 상기 제 1광학필터(140)를 롱 웨이브 반사필터로 대체한 것이다.
도 1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8변형예는 도 14의 구조에서 상기 제 1광학필터(140)를 롱 웨이브 반사필터로 대체한 것이다.
롱 웨이브 반사필터로 이루어진 제 1광학필터(140)는 컷온 파장인 650nm을 초과하는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은 반사하고, 650nm을 초과하지 않는 파장의 광선의 대부분은 투과 또는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제 1광학필터(140)에서 반사된 도트시표 광선은 도 8과 같이 650nm을 초과하는 파장의 스펙트럼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도트시표 광선은 광경로 변환부(120)와 목표물 사이에 배치된 제 2광학필터(150)에서 대부분 흡수 또는 반사되므로 제 2광학필터(150)를 투과하지 못하게 된다.
즉, 도트시표 허상을 형성하기 위해 도트시표 발생부(110)에서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은 목표물 측으로 대부분 제공되지 않으므로,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는 도트시표 발생부(110)에서 나오는 광선이 도트시표의 허상을 형성하는 반사경(130)을 통과하여 목표점 방향의 상대방 쪽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가 상대방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에는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광원이 도트사이트 광축(관찰창의 광축과 동일하므로 도면부호 200a로 표시함)의 정면 방향의 외부에서만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광원을 도트사이트 하우징(300) 내벽에 배치하여야 했다. 즉, 도 1 및 도 2와 같이 반사경(130)의 광축(130a)과 관찰창(200)의 광축(200a)이 소정의 각도로 엇갈리게 배치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러한 배치 구조에서는 도트시표 발생부(110)가 관찰창(200)의 광축(200a)에서 멀어질수록 반사경(130)의 시차(parallax)가 크게 발생하여 관찰창(200)의 크기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형 도트사이트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광원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광학필터(140)를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와 상기 반사경(130)사이에 배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광학필터(150)를 상기 반사경(130)과 목표물 사이에 배치하게 된다.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광원에서 출사된 제 1광성분은 상기 제 1광학필터(140)에 의해 제 2광성분으로 변환되고, 제 2광성분은 반사경(130)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로 향하게 된다. 상기 제 2광성분중 상기 반사경(130)을 통과한 광은 상기 제 2광학필터(150)에 의해 대부분 차단되므로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광원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8의 예에서는 제 2광학필터(150)가 반사경(130)과 분리 구성되어 반사경(130)의 전방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19와 같이 제 2광학필터(150)를 구성하는 물질을 상기 반사경(130)에 광학 코팅함으로써 제 2광학필터(150)와 반사경(13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원리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통형 도트사이트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광원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광학필터(140)를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와 상기 반사경(130)사이에 배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광학필터(150)를 상기 반사경(130)과 목표물 사이에 배치하게 된다. 경통형 도트사이트 장치의 구성과 동작원리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0의 (a) 내지 (c)는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0의 (a)는 도 1과 동일한 위치에 도트시표 발생부(110)가 배치된 상태이고, 도 20의 (b)는 도트시표 발생부(110)가 투명창(400)상에서 도 20의 (a)보다는 도트사이트 광축(관찰창의 광축)(200a) 쪽으로 접근하여 배치된 상태로 종래의 도트사이트인 경우라면 도트시표 발생부(110)에서 방사하는 광선이 도트사이트 전방에 위치한 상대방에게 보일 수 있는 상태이고, 도 20의 (c)는 도트시표 발생부(110)가 도트사이트의 광축(관찰창의 광축)(200a)이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반사경(130)의 시차는 (a), (b), (c) 순서로 작아진다.
즉, 도 20의 (b), (c)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도트시표 발생부(110)를 투명창(400)상에 도트사이트 광축(관찰창의 광축)(200a)이 통과하는 위치에 접근하는 배치를 하거나 도트사이트 광축(관찰창의 광축)(200a)이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반사경(130)의 시차의 발생을 줄이는 경우에도, 종래의 도트사이트라면 도트시표 발생부(110)에서 방사하는 광선이 도트사이트 전방에 위치한 상대방에게 보이는 단점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1광학필터(140)를 투과한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광선이 반사경(130)의 전방에 배치된 제 2광학필터(150)에서 차단됨에 따라, 외부에서는 도트시표 발생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선을 관찰할 수 없게 되므로 상대방에게 발각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0의 (b)와 (c)와 같이 도트시표 발생부(110)를 도트사이트 광축(관찰창의 광축)(200a)에 가까이 배치하는 경우에도 제 1광학필터(140) 및 제 2광학필터(150)에 의해 도트시표 발생부(110)의 광선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경(130)에서 도트시표 발생부(110)까지의 거리가 같다면, 기존 도트사이트가 허용하는 시차 발생량 정도에서는 더 큰 반사경(13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같은 크기의 반사경(130)을 사용한다면 반사경(130)에서 도트시표 발생부(110)까지의 거리를 더 짧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오픈형 도트사이트 장치 또는 경통형 도트사이트 장치를 목표물 쪽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는 목표물 쪽에서 보았을 때 예를 들면, 관찰창(200)의 광축에서 보았을 때, 하우징(300)의 프레임내의 관찰창(20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투명전극(110a)을 통해 전원을 공급 받게 된다. 따라서, 시차가 충분히 감소된 도트사이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1에서는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10)는 목표물 쪽에서 보았을 때 대략 관찰창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여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트사이트 장치에 따르면, 도트시표 발생부에서 나오는 광선이 도트시표의 허상을 형성하는 반사경을 통과하여 목표점 방향의 상대방 쪽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가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도트시표 발생부, 120:광경로 변환부,
121:경사면, 130:반사경,
140:제 1광학필터, 150:제 2광학필터

Claims (15)

  1. 제 1광성분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제 1광성분을 제 2광성분으로 변환하는 광변환부;
    상기 제 2광성분을 반사하여 사용자에게로 향하게 하는 반사경; 및
    목표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광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고, 상기 목표물 측에서 오는 제 3광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하는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부는 제 1파장을 컷온 파장(cut-on wavelength)으로 가지고 상기 제 1광성분을 컷온하여 상기 제 2광성분으로 변환하는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제 1파장보다 짧거나 같은 제 2파장을 컷오프 파장(cut-off wavelength)으로 가지고, 상기 제 2광성분은 컷오프하여 차단하는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파장과 상기 제 2파장은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부는 컷온 파장 보다 큰 파장의 광의 대부분을 투과하는 롱패스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광차단부는 컷오프 파장보다 큰 파장의 광의 대부분을 차단하는 숏패스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롱패스필터와 상기 숏패스필터 각각은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다이일렉트릭 필터(dielectric filter), 박막필터(thin-film filter), 간섭필터(interference filter), 칼라필터(color filt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사이트 장치는 상기 광변환부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제 2광성분이 상기 반사경을 향하도록 하는 광경로 변환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광경로 변환부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중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반사경과 상기 목표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부와 상기 광차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코팅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광변환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의 한 면이 제 2광성분을 사용자에게로 향하게 하는 반사면과 상기 광차단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광학 코팅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의 한 면은 제 2광성분을 사용자에게로 향하게 하는 반사면이 되고, 또 다른 면은 상기 광차단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광학 코팅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13. 제 1광성분을 출사하는 광원;
    제 1파장을 컷온 파장(cut-on wavelength)으로 가지고 상기 제 1광성분을 컷온하여 상기 제 2광성분으로 변환하는 광변환부;
    상기 제 2광성분을 반사하여 사용자에게로 향하게 하는 반사경; 및
    목표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파장보다 짧거나 같은 제 2파장을 컷오프 파장(cut-off wavelength)으로 가지고, 상기 제 2광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컷오프하여 차단하고, 상기 목표물 측에서 오는 제 3광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하는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부와 상기 광차단부 각각은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다이일렉트릭 필터(dielectric filter), 박막필터(thin-film filter), 간섭필터(interference filter), 칼라필터(color filter)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부는 상기 광변환부의 컷온 파장을 초과하는 파장의 광의 대부분은 반사하고, 컷온 파장을 초과하지 않는 파장의 광의 대부분은 투과 또는 흡수하는 롱 웨이브 반사필터(long wave reflection filter)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사이트 장치.
KR1020170121701A 2017-09-21 2017-09-21 도트사이트 장치 KR10198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701A KR101986900B1 (ko) 2017-09-21 2017-09-21 도트사이트 장치
PCT/KR2018/009310 WO2019059530A1 (ko) 2017-09-21 2018-08-14 도트사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701A KR101986900B1 (ko) 2017-09-21 2017-09-21 도트사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213A true KR20190033213A (ko) 2019-03-29
KR101986900B1 KR101986900B1 (ko) 2019-06-07

Family

ID=6581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701A KR101986900B1 (ko) 2017-09-21 2017-09-21 도트사이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6900B1 (ko)
WO (1) WO20190595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83A (ko) 2019-12-26 2021-07-06 김재혁 셀프레슨이 가능한 스마트 건반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9253B6 (cs) * 2020-12-30 2022-06-22 Meopta - Optika, S.R.O. Kolimátorový zaměřovač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72B1 (ko) 2006-02-23 2007-01-10 정인 도트 사이트 조준경
US20120110887A1 (en) * 2010-11-10 2012-05-10 Raytheon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ttenuating A Wavelength Shifting Source
US20170176138A1 (en) * 2015-12-18 2017-06-22 OptiFlow, Inc. Combination reflective and holographic weapon sigh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0001D0 (en) * 1996-09-25 1996-11-13 Firearms Research Ltd Optical sighting devices
SE534612C2 (sv) * 2009-07-08 2011-10-25 Gs Dev Ab Eldledningssystem
KR101511420B1 (ko) * 2012-10-10 2015-04-10 정보선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72B1 (ko) 2006-02-23 2007-01-10 정인 도트 사이트 조준경
US20120110887A1 (en) * 2010-11-10 2012-05-10 Raytheon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ttenuating A Wavelength Shifting Source
US20170176138A1 (en) * 2015-12-18 2017-06-22 OptiFlow, Inc. Combination reflective and holographic weapon s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83A (ko) 2019-12-26 2021-07-06 김재혁 셀프레슨이 가능한 스마트 건반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900B1 (ko) 2019-06-07
WO2019059530A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4395B2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CA2645135A1 (en)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rear projector, and multi-vision system
US10078222B2 (en) Light guide device and virtual-image display device
KR102141049B1 (ko) 빔 스플리터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장치
US10670852B2 (en) Laser diode reticle illumination
US11927781B2 (en) Optical device
US20120206799A1 (en) Binoculars with integrated laser designator/illuminator for illuminating an optical field of view
KR20160091909A (ko) 텔레센트릭 렌즈
KR101691156B1 (ko) 조명 광학계와 결상 광학계가 통합된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획득 장치
KR101986900B1 (ko) 도트사이트 장치
KR20140046365A (ko)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KR20230041682A (ko) 차폐된 이미징 시스템을 통한 사용을 위해 콘트라스트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TWI693440B (zh) 測距儀及其顯示器鏡組裝置
KR101418781B1 (ko) 고해상도 광학계에서의 조명 균일화 장치
KR101558435B1 (ko) 복수 망원경을 갖춘 레이저 추적조준 광학계
JP2016180818A (ja) 照明光学系及びこれを用いた投射型表示装置
JP5587897B2 (ja) 顕微鏡用立体照明システム
RU2514162C1 (ru)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TW201837533A (zh) 圖像顯示裝置及頭戴顯示裝置
SE1050313A1 (sv) Filter för sikten och förstoringsenheter och ett aggregat omfattande ett sådant filter
KR102188701B1 (ko) 빔 스플리터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장치
JP2019086577A (ja) 画像投影システム
US11256106B2 (en) LED illumination system
EP3540481A1 (en) Optical device
KR20220097647A (ko) 2개의 조준점을 갖는 조준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