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104A - 휴매닌(Humanin)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휴매닌(Humanin)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104A
KR20190033104A KR1020170121112A KR20170121112A KR20190033104A KR 20190033104 A KR20190033104 A KR 20190033104A KR 1020170121112 A KR1020170121112 A KR 1020170121112A KR 20170121112 A KR20170121112 A KR 20170121112A KR 20190033104 A KR20190033104 A KR 20190033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yes
growth
composition
huma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977B1 (ko
Inventor
강희경
김성민
강정일
윤훈석
현진원
유은숙
고영상
안미정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977B1/ko
Priority to CN201880061002.8A priority patent/CN111107867B/zh
Priority to PCT/KR2018/004549 priority patent/WO2019059485A1/ko
Publication of KR2019003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매닌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휴매닌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를 억제 및 예방하며 육모를 촉진하는 효능이 인정되므로, 약학, 화장품 및 미용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매닌(Humanin)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 including Humanin for prevention of hair loss or for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휴매닌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휴매닌은 Alzheimer's disease 환자의 뇌에서 살아남아 있는 신경세포에서 발견된 2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poly-peptide이다. 휴매닌은 세포사멸을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뇌신경세포가 파괴되지 않고 살아남아 있도록 한다 (Hashimoto Y., et al,. 2001a). 본래 휴매닌(HN)의 14번째 아미노산 염기가 serine에서 glycine으로 대체된 휴매닌(HNG)은 본래 휴매닌(HN)의 활성보다 1000배를 초과하여 강력한 효과를 갖는다 (Hashimoto et al., 2001a,b,c). 이러한 휴매닌(HNG)을 세포에 처리하면 57개의 단백질이 인산화 된다고 보고되었다. 휴매닌(HNG)에 의하여 인산화되는 57개의 단백질을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kinase, transcription regulator, translational regulator, transmembrane receptor, transporter 등이다 (Su-Jeong K., et al,. 2016).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15만 개 정도이며 "모낭"에서 형성된다. 모낭에는 유두가 있는데, 이 부위에는 작은 혈관이 분포되어 모발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유두 위의 옆으로는 모발에 윤기를 주는 기름을 공급해 주는 지루샘이 있다. 모낭(hair follicle)은 여러 다른 상피세포들(epithelial cells) 및 모유두 세포들(dermal papilla cells, DPCs)로 이루어진다. DPCs은 모낭의 기저부에 위치한 중간엽-유래 섬유아세포(mesenchymally-derived fibroblasts)이며 육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미녹시딜(minoxidil)은 DPCs에 증식 및 항-세포사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유사하게, 여러 보고서들은 DPCs의 증식을 통한 육모의 증가를 보여줬다.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서 성장하고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일일 평균 50~100 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 모발의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 모발이 많아져 탈락하는 모발의 숫자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분비 과잉설, 혈액순환 불량설, 과산화물, 세균 등에 의한 두피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등이 논의되고 있다. 그 원인 중 하나인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은 5α-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erone; DHT)으로 활성화되며, 이 DHT가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고 탈모를 일으키는 단백질을 유도하여 탈모가 일어난다. 또한 이와 같은 기작에 의하여피지를 과잉생성하기도 하며 여드름이나 지루성 피부염 등을 일으켜서 두피에 염증을 동반한 탈모가 나타나기도 한다. 탈모증(alopecia)은 질병, 영양부족, 노화, 호르몬 불균형 등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탈모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탈모에 대한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탈모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오직 두 개의 약물들(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및 미녹시딜(minoxidil))만이 탈모 치료를 위해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A)에서 인가되었다. 5α-reductase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는 남성의 안드로겐성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에서 육모를 촉진시키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혈압강하제(anti-hypertensive agent)인 미녹시딜은 ATP-민감성 K+-채널 개방에 의해 육모를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약물의 효과는 예측불가능한 효과 및 부작용 때문에 제한적이고 일시적이다. 탈모를 예방하고 육모를 촉진시키는 더 나은 새로운 치료제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탈모를 방지하여 주고 발모촉진 및 모발에 생장에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미녹시딜(minoxidil)이나 트리코사카라이드(trichosaccharide)등의 제제들의 경우, 뚜렷한 효능의 부재 및 인체 안정성, 피부자극 유발 등의 부작용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안전성 및 효능이 확보된 조성물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휴매닌(HNG)의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Su-Jeong K., et al., The mitochondrial-derived peptide humanin activates the ERK1/2, AKT, and STAT3 signaling pathways and has age-dependent signaling differences in the hippocampus. oncotarget. 7. 46899-46912. (2016)
본 발명의 목적은 휴매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매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매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탈모는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탈모 방지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탈모 현상을 예방하고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육모 촉진이라 함은 새로운 모발의 생성의 촉진뿐만 아니라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육모는 성장기에서 이루어지며,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유도 및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지연에 의하여 촉진된다. 모발주기는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알려져 있는 3개의 주요 단계들로 나눌 수 있다. 성장기에는 세포의 빠른 증식과 함께 피부 안으로 깊이 모낭이 성장하면서 모발형성이 이루어진다. 다음 현상은 퇴행기인데 이것은 세포 분열의 중단이 두드러지는 과도기이며, 이 과정에서 모낭은 점차 퇴행하며 육모가 중단된다. 다음 현상인 휴지기에서는 퇴행 모낭은 조밀하게 찬 모유두(dermal papilla) 세포를 갖는 배(germ)를 포함한다. 휴지기에서 새로운 성장기 현상의 개시는 상기 배에서 빠른 세포 증식, 모유두의 팽창 및 기저막 요소의 합성에 의해 유도된다.
따라서, 성장기의 촉진 또는 연장에 의해 모발의 손실 방지, 즉 탈모를 방지하거나 모발의 재성장을 유발, 즉 육모를 촉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모발이 빠지지 않게 하는 효과, 이미 존재하는 모발을 굵게 하는 등 개선시키는 효과, 및 새로운 모발을 생성하는 효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는 모낭의 기저에 위치한 중배엽유래의 섬유아세포로서, 모낭의 모기질 세포와 상호작용을 통해 모발의 성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Jahoda CA, et al., 1984; Oliver RF, et al., 1986).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유두세포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성장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매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휴매닌은 Alzheimer's disease 환자의 뇌에서 살아남아있는 신경세포에서 발견된 2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poly-peptide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된 휴매닌(HNG)은 본래 휴매닌(HN)의 14번째 아미노산 염기가 serine에서 glycine으로 대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된 휴매닌(HNG)은 본래 휴매닌(HN)의 활성보다 1000배를 이상의 우수한 알츠하이머 예방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shimoto et al., 2001a,b,c).
상기 휴매닌의 농도는 0.01 내지 10 μM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5 내지 1μM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휴매닌은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1~5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다지 심각한 독성 및 부작용은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매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휴매닌의 농도는 0.01 내지 10 μM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5 내지 1μM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폼(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바르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고, 마이크로 니들 등을 이용하여, 피부 내부로 흡수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에 도포하기에 적당한 캐리어 또는 캐리어 혼합물을 포함하여 모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캐리어는 용매와 다른 캐리어 또는 모발 보호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히클(vehicle)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의 조성물 중 약 0.5% 내지 99.5%,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9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90.0%로 존재한다. 캐리어로서 용매는 제형화된 모발 조성물이 헤어 스프레이, 무스, 토닉 등과 같이 사용 후 모발에 남는 것이거나 샴푸, 컨디셔너 등과 같이 세정되는 것에 관계없이 사용하는 공중합체에 의해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적합한 용매는 물, 저급 알코올(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하이드로알콜계 혼합물, 탄화수소(이소부탄, 헥산, 데센등), 아세톤, 할로겐화 탄화수소(프레온 등), 탄화수소 에스테르(에틸 아세테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등), 휘발성 실리콘 유도체, 실록산(페닐 펜타메틸 디실록산, 메톡시프로필 헵타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클로로프로필 펜타메틸 디실록산, 하이드록시프로필 펜타메틸 디실록산, 옥타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휴매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휴매닌의 농도는 0.01 내지 10 μM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5 내지 1μM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은 상기 휴매닌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휴매닌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휴매닌은 육모에서 중요한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탈모를 억제하고 예방하며 육모를 촉진하는 효능이 인정되어, 약학, 건강식품, 화장품 및 미용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는 휴매닌의 모유두세포(DPCs) 증식 촉진 효과를 농도별로 확인한 도이다. 미녹시딜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고, 휴매닌(HNG)(0.05, 0.1, 0.2, 및 0.5μM)을 모유두 세포에 처리한 것을 비교하였다.
도 2는 랫트의 성장기 vibrissa follicle를 분리하여 모낭의 길이 성장에 미치는 휴매닌의 영향을 농도별로 확인한 도이다. 미녹시딜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고, 휴매닌(HNG)(0.05, 0.1, 및 0.2μM)를 vibrissa follicle에 처리하여 모낭의 길이 성장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재료 준비 및 방법
1-1: 휴매닌의 준비
본 실험에서 사용된 휴매닌(HNG)은 PEPTIDE INSTITUTE, INC(Minoh, Osaka, Japan)에서 생산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이 휴매닌(HNG)은 본래 휴매닌(HN)의 14번째 아미노산 염기가 serine에서 glycine으로 대체된 것이다. 휴매닌(HNG)를 멸균된 삼차증류수에 녹여 0.1mM의 휴매닌(HNG)용액을 만든 후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1-2: 모유두 세포의 배양
흰쥐 수염에서 분리된 불멸화된 모유두세포(Rat vibrissa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 Filsell W, et al., 1994)를 100units/ml penicillin-100μg/ml streptomycin(Gibco Inc, NY, USA)과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Inc, NY, USA)이 들어있는 DMEM(Hyclone Inc, USA)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3일에 한번씩 계대배양하였다.
1-3: 통계 분석 방법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 ± 표준편차 또는 평균 ± 표준오차로 값을 구하여 나타내었고,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t-test로 검정하였다. 이때에 p-value가 0.05미만일 경우, 결과값이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K for Windows (Release 12.0.1. SPSS Inc. USA)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MTT 분석을 통한 모유두세포의 성장증식 효능 확인
모유두세포의 증식은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모유두세포 0.5×104 cell/ml를 0.5%FBS가 포함된 DMEM(Hyclone Inc, USA)로 96well plate에 24시간 배양 후, HNG을 최종농도 50nM, 100nM, 200nM 및 500nM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인 minoxidil sulfate를 1μM로 처리하였다. 72시간 동안 배양 후, 2mg/ml의 MTT 용액 (Sigma, MO, USA) 50μl를 처리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4시간 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DMSO 200μl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켰다. 이 용해물을 VERSAmax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CA, USA)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휴매닌(HNG)농도별로 처리한 모유두세포에서 흡광도의 평균값으로 구하였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식정도를 확인하였다.
모유두세포는 모낭의 기저에 위치한 중배엽 유래의 섬유아세포로서, 모낭의 모기질세포와 bulge에 있는 모낭 줄기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모발의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모발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세포의 증식은 모발의 성장 주기인 anagen의 유도와 유지에 있어서 중요하다.
휴매닌(HNG)을 50nM, 100nM, 200nM 및 500nM의 농도로 처리하여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확인한 결과, 휴매닌(HNG)을 50nM, 100nM, 200nM, 500nM로 처리한 모유두세포의 증식이 72시간 후에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 각 98.51±9.87%, 110.18±5.50% (P<0.01), 117.93±6.43% (P<0.001), 105.25±8.38%을 나타내었다 (도 1). 휴매닌(HNG)을 200nM과 100nM로 처리하였을 때, 모유두세포의 증식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휴매닌의 모낭 성장 유도 확인
3주령 랫트(rat)의 왼쪽과 오른쪽 mystacial pad를 떼어내어 E/P buffer(1:1 vol./vol. solution of Earle's balanced salts solution and phosphate-buffered saline supplemented with 100U penicillin/ml and 100μg streptomycin/ml)에 넣었다. 해부 현미경으로 떼어낸 mystacial pad를 보면서 매스를 사용하여 vibrissa follicle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vibrissa follicle은 William E medium(William E medium supplemented with 2mM L-glutamine, 10μg/ml insulin, 50nM hydrocortisone, 100U/ml penicillin and 100μg/ml streptomycin)에서 휴매닌(HNG)을 50 nM, 100 nM 및 200 nM로 각 각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William E medium은 3일에 한번씩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고, 휴매닌(HNG)도 50 nM, 100 nM 및 200 nM 처리하였다.
배양 중인 vibrissa follicle을 7일마다 현미경 (Olympus, Japan)을 사용하여 촬영하였고, 길이는 image analyzer (DP controller; Olympus, Japa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모낭 길이 변화값을 가지고 평균값을 구하였고, 대조군의 모낭 길이 변화값의 평균값과 비교하고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N=7)
배양 21일째 휴매닌(HNG) 처리군과 대조군과의 모낭의 길이 성장 차이(%)를 비교한 결과, 휴매닌(HNG)을 50 nM, 100 nM 및 200 nM로 처리한 군 각각에서 159.98±22.15% (P<0.05), 133.80±10.87%, 124.94±28.70% 값을 보였다(도 2). 휴매닌(HNG)을 50nM로 처리한 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모낭의 길이가 증가하였다.
<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휴매닌 1 mg
옥수수 전분 68 mg
락토오즈 90 mg
미세결정질 셀룰로즈 4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 mg
통상적인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교반한 후, 과립화하였다. 건조 후 타정기를 사용하여 1 정당 유효 성분인 휴매닌이 1 mg씩 포함되어 있는 목적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
휴매닌 1 mg
옥수수 전분 68 mg
락토오즈 90 mg
미세결정질 셀룰로즈 4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 mg
통상적인 캅셀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1 캅셀 당 1 mg의 휴매닌이 포함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젤라틴 캅셀에 충진하여 목적하는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피부 외용제 중 연고
휴매닌 1 중량%
글리세린 8 중량%
부틸렌글리콜 4 중량%
유동파라핀 15 중량%
베타글루칸 7 중량%
카보머 0.1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 중량%
스쿠알란 1 중량%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 1 중량%
밀납 4 중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up to 100)
통상적인 연고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4> 산제의 제조
휴매닌 1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유지 5 mg
통상적인 산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휴매닌 1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비타민 C 50 mg
세린 50 mg
유지 적당량
정제수 잔량
통상적인 액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액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6> 헤어토닉의 제조
휴매닌 10 중량%
레노시놀 0.1 중량%
멘톨 0.05 중량%
판테놀 0.2 중량%
살리실산 0.1 중량%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1 중량%
피마자유 5.0 중량%
색소 적당량
향료 적당량
에탄올 적당량
통상적인 헤어토닉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헤어토닉을 제조한다.
< 제제예 7>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휴매닌 2.5 중량%
세탄올 3.5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5 중량%
염화스테아릴메틸벤질 암모늄(25%) 7.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3 중량%
색소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적당량
통상적인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헤어컨디셔너를 제조한다.
< 제제예 8>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휴매닌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up to 100)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9> 영양크림
배합 성분 함량 ( 중량% )
휴매닌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up to 100)
상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 제제예 10> 팩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휴매닌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up to 100)
상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Claims (9)

  1. 휴매닌(Huma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매닌의 농도는 0.01 내지 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캅셀제, 주사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4. 휴매닌(Huma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휴매닌의 농도는 0.01 내지 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7. 휴매닌(Humanin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건강 기능 식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매닌의 농도는 0.01 내지 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건강 기능 식품.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건강 기능 식품.
KR1020170121112A 2017-09-20 2017-09-20 휴매닌(Humanin)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2079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12A KR102079977B1 (ko) 2017-09-20 2017-09-20 휴매닌(Humanin)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CN201880061002.8A CN111107867B (zh) 2017-09-20 2018-04-19 包含护脑素的防止脱发或毛发生长促进用组合物
PCT/KR2018/004549 WO2019059485A1 (ko) 2017-09-20 2018-04-19 휴매닌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12A KR102079977B1 (ko) 2017-09-20 2017-09-20 휴매닌(Humanin)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04A true KR20190033104A (ko) 2019-03-29
KR102079977B1 KR102079977B1 (ko) 2020-04-08

Family

ID=6580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112A KR102079977B1 (ko) 2017-09-20 2017-09-20 휴매닌(Humanin)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79977B1 (ko)
CN (1) CN111107867B (ko)
WO (1) WO201905948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632A (ja) * 2005-02-03 2006-08-17 Takeda Chem Ind Ltd 癌治療の副作用予防・軽減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0151B2 (ja) * 2001-06-15 2009-08-26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新規ポリペプチドおよびその用途
CN100514066C (zh) * 2003-03-17 2009-07-15 艾尼纳制药公司 人类g蛋白偶联受体和用于治疗细胞死亡相关病症的其调节物
US20170216399A1 (en) * 2014-09-12 2017-08-03 Los Angeles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At Harbo-Ucla Medical Center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for protecting white blood cells from suppression or death
KR101885591B1 (ko) * 2015-11-25 2018-08-06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휴매닌 또는 이의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632A (ja) * 2005-02-03 2006-08-17 Takeda Chem Ind Ltd 癌治療の副作用予防・軽減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u-Jeong K., et al., The mitochondrial-derived peptide humanin activates the ERK1/2, AKT, and STAT3 signaling pathways and has age-dependent signaling differences in the hippocampus. oncotarget. 7. 46899-46912. (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07867A (zh) 2020-05-05
KR102079977B1 (ko) 2020-04-08
CN111107867B (zh) 2023-07-04
WO2019059485A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095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20090269424A1 (en) Peripheral blood flow-improving composition
KR101889793B1 (ko) 수산동물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20190013575A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26356B1 (ko) 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5492B1 (ko) 야라야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056990A (ko)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29380B1 (ko) 적하수오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829514B1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US20220370317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carvone or sal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102079977B1 (ko) 휴매닌(Humanin)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918656B1 (ko)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CN105392492B (zh) 含有麦皮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防脱发或促进毛发生长的组合物
KR101777478B1 (ko) 클라이토사이빈 에이(Clitocybin A)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997336B1 (ko) 에틸바닐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997334B1 (ko) 퓨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609436B1 (ko) 갈고리가시우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609437B1 (ko) 갈고리참곱슬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CN107530253B (zh) 含有补骨脂定的用于促进生发及/或育发的组合物
KR102591604B1 (ko)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 잭.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20913B1 (ko) 넓미역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120075766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96130B1 (ko) 페릴릴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230126811A (ko) 발아 흑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
KR101906573B1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