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990A - 털갈이용 부재 - Google Patents

털갈이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990A
KR20190032990A KR1020180048242A KR20180048242A KR20190032990A KR 20190032990 A KR20190032990 A KR 20190032990A KR 1020180048242 A KR1020180048242 A KR 1020180048242A KR 20180048242 A KR20180048242 A KR 20180048242A KR 20190032990 A KR20190032990 A KR 20190032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adhesive
layer
module
mol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918B1 (ko
Inventor
손종연
Original Assignee
손종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연 filed Critical 손종연
Publication of KR2019003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는 사용자가 몸체에 손을 넣고 돌기 부재를 통해 가축의 털을 고르는 동안 발생되는 털이 점착테이프에 부착될 수 있어, 털을 고르는 동안 털이 실내에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점착테이프가 적층된 구조의 점착테이프 모듈을 제공하며, 손잡이부를 통해 맨 외측의 점착테이프 순으로 사용 후 분리시켜 버릴 수 있으며, 점착테이프 모듈을 구성하는 점착테이프의 초기 점착력 및 유지력을 각 층마다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이 쉽고, 털의 부착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점착테이프가 쉽게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털갈이용 부재{A member for molt}
본 발명은 털갈이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털갈이는 털의 갱신현상으로 어떤 기간이 지난 후 기존의 털은 탈락하고 새로운 털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야생의 포유류는 1년 중 일정한 시기에 털 전체의 갱신이 이루어지지만, 실내에 키우는 대부분의 가축(애완견, 애완고양이, 애완토끼 등)은 계절변화를 느끼지 않기 때문에 일 년 내내 털갈이를 한다.
이러한 가축의 털갈이를 도와줄 수 있는 종래의 기술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03925호에 개시된 가축용 털고르기 장갑은,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장갑 몸체와 이의 표면에 구비되는 솔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갑 몸체를 손에 끼고 가축의 털을 쓸어내리는 것으로 가축의 털갈이를 도와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털갈이를 도와 줄 수는 있으나, 털을 고르는 동안 발생된 털이 그대로 방치되므로 가축의 털이 실내에 여기저기 날리면서 뒹굴고, 옷 등에도 묻고, 알레르기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7-0003925 (1997년 02월 19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털을 고르는 동안 털이 실내에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털갈이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털갈이용 부재로, 상기 털갈이용 부재는, 손을 넣을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 또는 일면 및 타면에 구비되며,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털갈이 돌기가 다수 열 구비된 돌기 부재; 및 상기 각각의 털갈이 돌기가 통과되도록 각각의 통과공을 가지고 상기 털갈이 부재에 구비되며,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점착테이프 모듈;을 포함하는 털갈이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돌기 부재는 일면에 천연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디메틸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털갈이 돌기; 및 타면에 상기 몸체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은,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을 수용하는 필름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점착테이프; 상기 점착테이프의 적층 방향으로 형성되며, 털갈이 돌기 일 열을 한번에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과공; 상기 점착테이프의 후면에 접합되어 점착테이프를 쉽게 제거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으며, 상기 점착테이프의 점착층은 아연아세테이트, 구리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식 1]
Ga > Ga+1
(상기 식 1에서 Ga는 점착테이프 모듈 중 a층 점착테이프의 초기점착력이며, Ga+1은 a+1층의 점착테이프와 a층 점착테이프와의 점착력이다.)
또한 상기 점착테이프의 점착층에 포함되는 가교제는 점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 100 중량% 중 0.01 내지 0.2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2]
Wa = XWa+1
(상기 식 1에서 Wa는 점착테이프 모듈 중 a층 점착테이프의 가교제 함량이고, Wa+1는 a+1층 점착테이프의 가교제 함량이며, X는 1 내지 2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는 사용자가 몸체에 손을 넣고 돌기 부재를 통해 가축의 털을 고르는 동안 발생되는 털이 점착테이프에 부착될 수 있어, 털을 고르는 동안 털이 실내에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점착테이프가 적층된 구조의 점착테이프 모듈을 제공하며, 손잡이부를 통해 맨 외측의 점착테이프 순으로 사용 후 분리시켜 버릴 수 있으며, 점착테이프 모듈을 구성하는 점착테이프의 초기 점착력 및 유지력을 각 층마다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이 쉽고, 털의 부착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점착테이프가 쉽게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털갈이용 빗과 같은 제품들은 애완동물의 털을 제거하기 위해 애완동물의 털을 빗어주게 되면 털이 잘 뭉치지 않고 날리는 경우가 많으며, 뭉쳐있는 털을 제거할 때에도 손으로 큰 털뭉치를 제거한 후, 남은 잔털뭉치를 테이프로 제거하거나 물로 씻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는 복수의 점착테이프를 합지, 타발하여 구비하며, 점착테이프를 개별로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사용 후 점착테이프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털뭉치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털날림이 발생하지 않아 훨씬 위생적이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 중 장갑 형태의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털갈이용 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가 구비된 점착테이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점착’은 저압조건에서 접촉하면 바로 결합강도를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성질을 의미하며,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기적인 털갈이 등과 같은 털빠짐에 따른 아이들의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발생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던 중, 손잡이부에 복수의 점착테이프를 합지한 점착테이프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 후에도 점착테이프를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털날림 없이 털뭉치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점착테이프에 통과공을 구비하고 여기에 돌기부재를 관통시킴으로써 빠진 털을 쉽게 채집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에게 마사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을 구성하는 점착테이프는 점착층과 베이스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 1 및 2에서 점착테이프의 적층 순번은 점착층이 노출된 점착테이프를 1번으로 하여, 1번 테이프의 베이스필름과 점착된 점착테이프를 2번, 그 다음 점착된 테이프를 3번순으로 정하고, 4층 이상 적층되는 경우, 상기 기준을 따른다.
즉, 도 7 및 도 8에 따르면 돌기부재 사이에 위치한 점착테이프 모듈은 점착층(311)이 노출된 최상층의 점착테이프(310a)를 1번으로 하여, 1번 점착테이프의 하단에 점착된 점착테이프를 2번 점착테이프, 2번 점착테이프 하단에 점착된 점착테이프를 3번 점착테이프의 순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을 넣을 수 있는 수용부(110)를 가지는 몸체(100); 상기 몸체의 일면 또는 일면 및 타면에 구비되며,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털갈이 돌기(210)가 다수 열 구비된 돌기 부재(200); 및 상기 각각의 털갈이 돌기가 통과되도록 각각의 통과공(320)을 가지고 상기 털갈이 부재에 구비되며,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점착테이프(310)를 포함하는 점착테이프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는 형태에 따라 도 1 내지 3과 같이 수용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연결부 및 지지부가 결합된 형태를 가지거나, 도 4와 같이 몸체가 벙어리장갑과 같이 연결부 및 지지부로 나누어지지 않고 내부에 공간(수용부)을 가지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몸체부(100)는 손에 착용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1 내지 3과 같이 손을 넣을 수 있는 수용부(110)를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돌기부재와 직접 연결되는 연결부(120) 및 상기 연결부의 폭방향의 양쪽을 연결하는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부와 지지부가 결합되어 내부에 손을 넣을 수 있는 수용부(10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120)는 손에 착용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상기 돌기 부재(200)와 결합되며, 타면에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손을 넣을 수 있는 수용부(110)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연결부는 섬유나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와 같이 일정 이상의 탄성 및 복원력을 가져 외력으로부터 유연한 성질을 갖는 고분자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상기 연결부는 필요에 따라 표면에 대전방지 성분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털갈이용 부재를 사용할 때, 정전기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털이 달라붙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당업계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다양한 플라스틱 기재에 코팅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으며, 예를 들어 4급암모늄염이나 폴리아릴에테르케톤, 폴리비페닐에테르설폰 등과 같이 이온성 고분자나 일반 코팅용 고분자에 금속 이온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부(130)는 도 1 내지 3과 같이 상기 연결부의 폭방향의 양쪽을 연결하는 것으로, 일종의 라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된 일종의 링 형태를 가져,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 상기 연결부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의 결합 위치 및 결합 형태를 한정하지 않으며, 도 3과 같이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와 같이 일정 이상의 탄성 및 복원력을 가져 외력으로부터 유연한 성질을 갖는 고분자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손이 착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손과 직접 접촉하는 내면에 손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미끄럼방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종류 및 형태를 한정하지 않으며, 일예로 스티커, 코팅액, 요철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내면, 즉, 상기 요철 부재가 결합된 면의 타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돌기 부재(200)는 가축(애완견, 애완고양이, 애완토끼 등)의 털갈이를 도울 수 있도록 가축의 털을 실질적으로 고르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의 외면에 구비되며, 복수의 털갈이 돌기가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 부재의 형태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4와 같이 다수의 털갈이 돌기(210)가 한 줄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며, 털갈이 돌기의 배열 구조가 다수 열 구비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도 5와 같이 다수의 털갈이 돌기가 한 줄로 배열된 배열 구조가 복수 개 인접하여 구비되되, 인접한 배열 구조의 털갈이 돌기가 서로 지그재그로 배열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와 같이 연결부의 외면에 구비되되 다양한 배열 형태 및 배열 개수, 돌기 부재 자체의 다양한 형태 등에 따라 털뭉치를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비산하는 털을 최소화하여 항상 청결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털날림에 따른 피부염, 천식 등의 알레르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연결부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을 이용한 박음질이나 접착제, 기타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돌기 부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털갈이 돌기(210)가 구비되며, 상기 털갈이 돌기가 형성된 면과 반대면에 구비되는 착탈부(220)를 통해 상기 몸체부와 착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부는 벨크로, 요철, 클립 등과 같은 탈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돌기부재에 메일 벨크로가 구비되고, 몸체부에는 피메일 벨크로가 부착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털갈이 돌기(210)는 상기 돌기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털갈이 돌기는 상기 돌기 부재에 보다 견고히 고정된 형태를 가질 수 있어, 가축의 털을 고르는 동안 복수의 털갈이 돌기가 돌기 부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털갈이 돌기는 사람의 손과 같은 촉감을 가축에게 전달하며, 가축의 털을 고르는 동안 마사지 역할을 겸하여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가축에게 안정감과 편안함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털갈이 돌기는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이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에 형성된 통과공에 상기 털갈이 돌기가 관통되어 고정되며, 털갈이 돌기를 통해 약해진 털을 제거하고, 모인 빠진 털을 모아 상기 점착테이프 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돌기 부재 및 상기 털갈이 돌기는 가축의 털 및 피부와 직접 닿는 부분이므로, 통증이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 또는 지지부 이상의 연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천연 고무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디메틸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프로필렌 등의 합성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의 연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가공이 쉽고 연성이 높은 다양한 플라스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털갈이 돌기는 도 1 내지 4와 같이 상기 돌기 부재에 일열로 배열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털갈이 돌기가 상기 돌기 부재에 무규칙하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을 교체할 때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의 통과공을 상기 털갈이 돌기의 구비 형태에 따라 형성해줘야 하므로 공정이 상당히 복잡해지고 점착테이프 모듈을 상기 털갈이 돌기에 결합하기 어려우며, 점착력이 떨어진 점착테이프를 제거할 때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상기 털갈이 돌기는 도 1 내지 4와 같이 일열로 배열되며, 배열된 털갈이 돌기의 개수, 돌출 크기, 돌기의 직경 등은 적용 가축의 크기 및 종류, 털의 길이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장모종의 가축은 엉킴이 생기지 않도록 털갈이 돌기의 돌출 크기가 크고, 돌기의 직경이 작은 형태를 갖는 것이 좋으며, 단모종의 가축은 이와 반대로 털갈이 돌기의 돌출 크기가 작고, 돌기의 직경이 큰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300)은 가축의 털을 고르는 동안 털이 실내에 날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털갈이 돌기가 통과되도록 일열로 배열된 통과공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통과공에 털갈이 돌기가 통과됨으로써 상기 돌기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은 도 6 내지 8과 같이 각각의 털갈이 돌기마다 관통공이 구비되어도 좋으나, 도 2 내지 4와 같이 여러 털갈이 돌기가 이루는 하나의 돌기 라인 전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라인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은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을 수용하는 필름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점착테이프; 상기 점착테이프의 적층 방향으로 형성되며, 털갈이 돌기 일 열을 한번에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과공; 및 상기 점착테이프의 후면에 접합되어 점착테이프를 쉽게 제거하기 위한 손잡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은 점착층(311)을 가지며 서로 적층된 다수의 점착테이프(310a, 310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점착력이 떨어진 최상층의 점착테이프를 제거하고, 하단에 적층된 점착테이프의 점착층을 노출시킴으로써 일정 이상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용부에 손을 넣고 돌기 부재를 통해 가축의 털을 고르는 동안 발생하는 털이 점착테이프에 부착될 수 있어 털을 고르는 동안 털이 실내에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점착테이프가 적층된 구조의 점착테이프 모듈을 제공함으로 최상층의 점착테이프 순으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쉽고 털의 부착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점착력이 떨어진 점착테이프 모듈은 후술할 손잡이부를 통해 쉽게 제거함으로써 털날림을 예방하고, 털뭉치의 제거가 간편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점착테이프 모듈은 돌기모듈의 돌기 돌출면에 탈착 가능한 점착제(일정 이상의 점착력을 가져 탈부착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조성물)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점착테이프를 모두 사용한 경우 새로운 점착테이프 모듈을 다시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테이프(310)는 상기 점착층을 수용하는 필름부와 상기 필름부에 코팅되어 점착성을 유지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부 및 점착층을 이루는 조성물을 한정하지 않으며, 일예로 상기 필름부는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아미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점착층(311)은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은 도 6 내지 8과 같이 다수의 점착테이프가 적층된 구조를 갖되,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Ga > Ga+1
(상기 식 1에서 Ga는 점착테이프 모듈 중 a층 점착테이프의 초기점착력이며, Ga+1은 a+1층의 점착테이프와 a층 점착테이프와의 점착력이다. 이때 상기 식 1에서 초기점착력은 점착테이프의 점착층이 노출된 직후의 점착력을 뜻한다.)
도 6 내지 8을 통해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을 이루는 다수의 점착테이프는 점착층이 노출된 최상층 점착테이프의 점착력이 상기 최상층의 점착테이프와 직접 결합하는 점착테이프와 최상층 점착테이프와의 점착력보다 낮은 것을 의미한다. 즉, 점착층이 노출된 점착테이프와 다른 물질, 예를 들어 가축의 털 간의 점착력보다 점착테이프 간의 점착력이 더 크도록 구성하여 털갈이용 부재의 사용 중에 점착테이프의 불규칙한 박리를 없앨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도록 상기 점착층을 이루는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에 아연아세테이트, 구리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점착층의 초기점착력, 유지력, 점착력 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아연아세테이트보다 구리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을 때 점착 물성이 더 좋아진다.
다만 구리아세테이트의 경우 농도 변화에 따라 점착 물성의 변화가 커지므로 첨가량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연아세테이트와 구리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비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아연아세테이트 : 구리아세테이트가 10 내지 30 : 70 내지 9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조성물의 점착 특성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점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 100 중량% 중 0.01 내지 0.2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점착층의 초기 점착력이 너무 떨어져 점착층이 가축의 털을 제대로 모으기 어려우며, 0.2 중량% 초과 첨가한 경우에는 오히려 점착 특성의 유지력과 박리력이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보다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가교제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2]
Wa = XWa+1
(상기 식 1에서 Wa는 점착테이프 모듈 중 a층 점착테이프의 가교제 함량이고, Wa+1는 a+1층 점착테이프의 가교제 함량이며, X는 1 내지 2이다.)
상기 식 2는 상기 가교제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상기 가교제는 기본적으로 아크릴계 점착제의 점착 물성을 높이나, 가교제 농도에 따라 초기 점착력, 유지력, 점착력 등이 변화하는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즉, 상기 점착테이프의 점착력은 가축의 털을 쉽게 부착하고 모으면서도, 다른 점착테이프와의 점착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접착층에 첨가되는 가교제의 첨가량을 각 층별로 다르게 함으로써 각 층별로 점착테이프의 제반 물성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와 같이 점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 100 중량% 중 0.01 내지 0.2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0.01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점착층의 초기 점착력이 너무 떨어져 점착층이 가축의 털을 제대로 모으기 어렵고, 0.2 중량% 초과 첨가한 경우에는 오히려 점착 특성의 유지력과 박리력이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보다 낮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가교제를 첨가하되 상층의 점착층에 첨가되는 가교제의 첨가량이 하층의 점착층에 첨가되는 가교제의 첨가량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교제의 특성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 점착력이 감소하며, 유지력, 박리력 등의 특성은 더욱 높아지는 경향 때문이다.
즉,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을 구성하는 점착테이프에서 최상층의 점착테이프 가교제의 첨가량은 되도록 작게 하고, 다음 점착테이프의 가교제 첨가량을 상기 최상층의 점착테이프 가교제 첨가량보다 높게 유지함으로써 점착층이 노출되는 최상층 점착테이프의 초기점착력을 높여 점착층과 가축의 털 간의 점착력을 높이고, 점착테이프 간의 점착력이 최상층 점착테이프의 초기점착력보다 더 크도록 유도하여 점착테이프 간의 불필요한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식 2의 구성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상층의 점착테이프 점착층에서 최하층의 점착테이프 점착층으로 갈수록 가교제의 첨가량이 높아지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상층 점착테이프는 초기점착력이 가장 높지만 유지력이나 다른 점착층과의 점착력이 가장 낮은 점착층을 가지며, 최하층 점착테이프는 이와 반대의 물성을 가지는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은 도 2, 3 및 7과 같이 털이 많이 부착되어 점착력이 떨어진 점착테이프의 손쉬운 제거를 위해 점착테이프의 후면에 접합되는 손잡이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도 2, 3과 같이 각 점착테이프 별로 필름부가 일부 연장되어 구비되거나, 도 7과 같이 필름부의 여러 면 중 점착층이 형성되는 면에 점착층과 함께 적층되되 점착층의 일정 영역, 더 상세하게는 점착테이프 모듈의 말단 부분을 치환하여 형성되며, 상기 필름부와 같이 연성을 가지되 점착 특성이 없는 일반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어 점착테이프 간에 분리를 돕고, 사용이 끝난 점착테이프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털갈이용 부재는 몸체부(100)와, 돌기부재(200)와, 그리고 점착테이프 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0)는 손을 넣을 수 있는 수용부(110)를 가지고, 돌기 부재(200)는 몸체부(10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구비되되,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털갈이 돌기(210)가 돌출되며,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300)은 각각의 털갈이 돌기(210)가 통과되도록 각각의 통과공(320)을 가지며,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점착테이프(310a, 310b)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수용부(110)에 손을 넣고 돌기 부재(200)를 통해 가축의 털 고르는 동안 발생되는 털이 점착테이프(310a)에 부착될 수 있어, 털을 고르는 동안 털이 실내에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점착테이프(310a)가 적층된 구조의 점착테이프 모듈(300)을 제공하되, 각 점착테이프의 점착층에 포함되는 가교제의 함량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맨 외측의 점착테이프 순으로 사용 후 분리시켜 버릴 수 있고, 각 점착테이프 별로 초기점착력과 박리 강도, 점착유지력 등을 다르게 형성하어 사용이 쉽고, 털이 부착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점착테이프 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털갈이용 부재는 기존에 시판 중인 애견용 브러쉬 등에 비해 털날림이 훨씬 적으며, 특히 사용 후에는 점착테이프를 제거하여 털뭉치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날리는 털이 점착테이프에 모두 부착되므로 빠진 털이 몸체부에 부착될 염려도 없을 뿐더러 잔털뭉치를 제거하기 위해 물세척과 같은 추가적인 세정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훨씬 위생적이고, 털날림에 따른 피부염, 천식, 비염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점착제 제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옥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각각 1 : 0.8 : 0.2 : 2 중량비로 혼합하고 80℃에서 교반하였다. 그리고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1중량%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2시간 간격으로 10회 회분식으로(batchwise) 첨가하여, 중합을 24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그리고 냉각 후에 중합체 농도가 30 중량%가 되도록 에틸아세테이트를 투입하여 점착제 용액을 수득하였다.
(점착 특성)
제조된 점착제 용액을 자동 코팅막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두께 20㎛) 도포한 후 상온(20℃)에서 완전히 건조시켰다. 그리고 제조된 시편을 3겹 적층한 후 점착력, 초기점착력, 유지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때 점착력은 90°test를 이용하였으며, 유지력은 1㎏의 추를 매달아 시편이 시험판에서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초기점착력 및 층간 접착력 차이는 ASTM의 probe tack 기기를 이용하여 최상층의 점착테이프와, 상기 최상층 점착테이프의 바로 하단에 점착된 점착테이프의 볼이 구른 거리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점착제 용액 제조 시 가교제로 아연아세테이트를 전체 조성물 100 중량% 대비 0.1% 첨가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점착제 용액 제조 시 아연아세테이트 대신 구리아세테이트를 0.1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점착제 용액 제조 시 구리 아세테이트 대신 아연아세테이트 : 구리아세테이트 2 : 8 중량비의 비율로 혼합한 가교제 조성물을 0.1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시편 제조 시 식 2의 X값이 1.5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점착제 용액 제조 시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털갈이용 부재는 점착층 조성물에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점착력과 유지력이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점착테이프 모듈을 구성하는 점착층의 가교제 함량을 층별로 다르게 조성한 실시예 4는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비해 초기 점착력이 크게 상승하였으며, 점착력 및 유지력도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비해 유의미한 비율로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수용부
120 : 연결부
130 : 지지부
200 : 돌기부재
210 : 털갈이 돌기
220 : 착탈부
300 : 점착테이프 모듈
310a, 310b : 점착테이프
311 : 점착층
320 : 통과공
330 : 손잡이부

Claims (7)

  1. 손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털갈이용 부재로, 상기 털갈이용 부재는,
    손을 넣을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 또는 일면 및 타면에 구비되며,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털갈이 돌기가 다수 열 구비된 돌기 부재; 및
    상기 각각의 털갈이 돌기가 통과되도록 각각의 통과공을 가지고 상기 털갈이 부재에 구비되며,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점착테이프 모듈;
    을 포함하는 털갈이용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부재는
    일면에 천연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디메틸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털갈이 돌기; 및
    타면에 상기 몸체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착탈부;
    를 포함하는 털갈이용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은,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을 수용하는 필름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점착테이프;
    상기 점착테이프의 적층 방향으로 형성되며, 털갈이 돌기 일 열을 한번에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과공; 및
    상기 점착테이프의 후면에 접합되어 점착테이프를 쉽게 제거하기 위한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털갈이용 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테이프 모듈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털갈이용 부재.
    [식 1]
    Ga > Ga+1
    (상기 식 1에서 Ga는 점착테이프 모듈 중 a층 점착테이프의 초기점착력이며, Ga+1은 a+1층의 점착테이프와 a층 점착테이프와의 점착력이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테이프의 점착층은 아연아세테이트, 구리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인 털갈이용 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점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 100 중량% 중 0.01 내지 0.2 중량% 포함하는 것인 털갈이용 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인 털갈이용 부재.
    [식 2]
    Wa = XWa+1
    (상기 식 1에서 Wa는 점착테이프 모듈 중 a층 점착테이프의 가교제 함량이고, Wa+1는 a+1층 점착테이프의 가교제 함량이며, X는 1 내지 2이다.)
KR1020180048242A 2017-09-20 2018-04-26 털갈이용 부재 KR101987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0914 2017-09-20
KR1020170120914 2017-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90A true KR20190032990A (ko) 2019-03-28
KR101987918B1 KR101987918B1 (ko) 2019-06-11

Family

ID=6590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242A KR101987918B1 (ko) 2017-09-20 2018-04-26 털갈이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9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161U (ja) * 1995-09-26 1996-04-12 古谷産業株式会社 ペット美容グローブ
KR970003925U (ko) * 1995-07-08 1997-02-19 곽인순 가축용 털고르기 장갑
KR970003925Y1 (ko) 1994-01-27 1997-04-24 아메리킨 스탠다아드 인코로레이팃드 샤워기 행거
JP2001190487A (ja) * 2000-01-11 2001-07-17 Kao Corp 清掃用ブラシ
US20060230559A1 (en) * 2005-04-15 2006-10-19 Knopow Jeremy F Nubby mitt for debris remov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161B2 (ja) * 1990-11-08 2000-03-21 日本放送協会 放送受信制御方式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925Y1 (ko) 1994-01-27 1997-04-24 아메리킨 스탠다아드 인코로레이팃드 샤워기 행거
KR970003925U (ko) * 1995-07-08 1997-02-19 곽인순 가축용 털고르기 장갑
JP3023161U (ja) * 1995-09-26 1996-04-12 古谷産業株式会社 ペット美容グローブ
JP2001190487A (ja) * 2000-01-11 2001-07-17 Kao Corp 清掃用ブラシ
US20060230559A1 (en) * 2005-04-15 2006-10-19 Knopow Jeremy F Nubby mitt for debris remov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918B1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9706B1 (en)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JP5421379B2 (ja) 送達系を備える薄膜鼻腔拡張器
CN1154452C (zh) 鼻扩张贴
US8490236B2 (en) Combination sticky roller and brush
US20110172582A1 (en) Wound dressing retainer
JP3134280U (ja) かつら用装着具
JP2010099332A (ja) 履物用パッド及びパッド保持具
US11641910B2 (en)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CN112334100B (zh) 粘合覆盖物
AU744943B2 (en) Wig fixing memb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987918B1 (ko) 털갈이용 부재
CN106232078A (zh) 紧固系统
RU245235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девания парика
US10549404B1 (en) Sanding glove and associated sanding assembly
US20180325249A1 (en) Kits, assemblies and components for use in positioning a device, methods of positioning a device, and positioned devices
JP2010213691A (ja) 家畜用乳頭マーキングシート
JP2014055392A (ja) かつら用ベースシート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着用方法
JP3225279U (ja) 全頭かつら
KR200476556Y1 (ko) 탈, 부착이 용이한 벨크로 테이프형 가발
KR20110139633A (ko) 점착식 브래지어
US20170318783A1 (en) Pet Cleaning Apparatus
WO2020226096A1 (ja) 貼付型デバイス及びその貼付方法
KR200486110Y1 (ko) 애완동물용 착용구
JP3139331U (ja) 履物用中敷
KR101340257B1 (ko) 탈·부착식 실리콘 점착제와 탈·부착식 실리콘 점착제의 제조방법 및 탈·부착식 실리콘 점착제가 적용된 가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