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301A -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풋웨어 아이템 - Google Patents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풋웨어 아이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301A
KR20190032301A KR1020187038080A KR20187038080A KR20190032301A KR 20190032301 A KR20190032301 A KR 20190032301A KR 1020187038080 A KR1020187038080 A KR 1020187038080A KR 20187038080 A KR20187038080 A KR 20187038080A KR 20190032301 A KR20190032301 A KR 20190032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over
tube
hole
new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르네 스마이어
Original Assignee
글로벌 세큐어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 세큐어 에스에이 filed Critical 글로벌 세큐어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3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provided with a pocket, e.g. for keys or a car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7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또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풋웨어 아이템은 앞 부분(201)과 뒤 부분(101)을 포함하는 신바닥(1)을 포함하고, 풋웨어 아이템(0)의 앞 부분(200) 또는 뒤 부분(100) 상으로 열려 있는 신바닥(1)에는 구멍(2)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신바닥(1)의 구멍(2) 내로 삽입된 케이싱(3, 4)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싱(3, 4)은 신바닥(1)에서의 구멍(2) 내로 삽입되도록 설계된 덕트(3)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3)는 개구(153)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3)가 신바닥(1)에 영구적으로 고착되도록 구멍(1)에 고착되어 있으며, 케이싱(3, 4)이 누설 밀봉되도록 상기 덕트(3)에서의 개구(153)를 밀봉되게 밀폐시키는 덕트(4)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4)는 정보 또는 오브젝트의 저장을 허용하도록 개구(153)를 통하여 덕트(3) 내로 삽입되도록 설계된 튜브(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풋웨어 아이템
본 발명은 정보 또는 오브젝트(object)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풋웨어 아이템(footwear item)과, 이러한 종류의 풋웨어 아이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에 관한 것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풋웨어 아이템을 제안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풋웨어 아이템에서 삽입을 위해 적합한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싱(casing)을 제안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풋웨어 아이템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풋웨어 아이템"이란 이 경우 풋웨어 아이템(아이 신발, 여성 신발, 남성 신발), 에스퍼드릴(espadrille), 샌달(sandal), 부츠(boot), 맨발(bare feet)의 임의의 스타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accessible) 저장 모듈을 위한 하우징을 구비한 풋웨어 아이템들이 존재한다.
공보 WO-A1-9311681은 신바닥(sole)과 그러한 신바닥에서 통합되고 하나의 레일에서 플러그-인 모듈(plug-in module)을 수용하고 떼어놓을 수 있게 붙들도록 의도되는 용기(receptacle)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을 묘사하고, 이러한 플러그-인 모듈은 배터리와 전기 회로 소자들을 포함한다.
공보 US-A1-2007260421은 전자 모듈을 위한 하우징 소자가 제공되고, 풋웨어 아이템의 구조물의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풋웨어 아이템의 또 다른 예를 묘사하고, 이러한 풋웨어 아이템은 또한 제거 가능한 커버 요소를 구비한 케이싱(casing)을 포함한다.
이들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풋웨어 아이템에서 수용될 수 있고, 신바닥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상이한 장치들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저장 장치를 구비한 이들 공지된 풋웨어 아이템들의 한 가지 비난 사항은 그것들이 흙(dirt) 또는 물이 케이싱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게 설계되지 않고, 무거우며, 부피가 크고, 신회할 수 없다는 사실로 인해 고려될 수 있다. 저장 구조물들에 대해서는,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들의 조립 및 분해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이들 장치들이 신뢰할 수 없고, 날씨, 서리, 또는 높아진 온도들에 대해 저항성이 없기 때문에, 그것들의 구현에 대해서 또한 문제점들이 생긴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이들 저장 장치는 풋웨어 아이템으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거나(서리 또는 상승된 온도들의 경우에), 더 이상 누설 밀봉되지 않는다.
구현에 있어서의 어려움들은 풋웨어 아이템에 확실히 고정되지 않거나, 완전히 누설밀봉되지 않아 어떤 정해진 문제들을 제기하는 특정 저장 장치들에 대해서 특히 명백히 나타난다.
게다가, 풋웨어 아이템들에서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이들 공지된 장치들은 비교적 열기 쉽고, 심지어 아이도 그러하다. 또, 공지된 저장 장치들에 놓인 정보 또는 오브젝트로의 접근(access)은 용이하게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서 마주치는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존재한다는 것이 명확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목표, 즉
위험 상황에 있거나 특정 순간에서 중대한 정보를 소통할 수 없는 개인들 (젊은 아이들, 장애인들, 사고에 휘발려 기억 손실을 당한 개인들, 정체 불명의 사람들 등)을 돕는 목표,
풋웨어 아이템들을 착용중인 사람이 이러한 과정(process)에서 그들을 도울 수 없을 때(?은 아이들, 장애인들 등) 항목들 또는 정보를 2명의 성인이 소통할 수 있게 하는 목표,
잠재적인 공격들에 맞서 보호하는(제지하는) 목표를 가진다.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의 존재는 그러한 풋웨어 아이템을 착용중인 개인에 있어서의 안전하다는 느낌을 강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이름,
생년월일,
개인 주소,
혈액형,
약물 및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다른 의료 정보,
연착처 이름과 사람(가족)
의사의 이름,
병원 정보 등,
다른 정보: 문신, 안경, 특정한 식별 부호들과 같은, 중요한 오브젝트 또는 정보(절대 필요한 생존 목록, 식별 정보)를 담고 있는 서류 문서를 정리/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약물, 마이크로칩, GPS 트래커(tracker), 현금, USB 스틱 등과 같은, 이러한 장치에 중요한 오브젝트를 정리/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을 찾는 것이고, 이러한 장치는 그러한 풋웨어 아이템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완전히 누설밀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별개의 장치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장치는 또한 매우 신뢰할 수 있고 튼튼하면서 매우 사용하기가 쉽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완전히 누설밀봉되고 튼튼한 장치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을 제안하는 것이고, 이러한 장치는 또한 성인에 대해서는 열기가 쉽지만, 아이들에 대해서는 열기가 비교적 어렵다.
본 발명은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의 위치 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리고 풋웨어 아이템에서 상기 장치를 쉽게 그리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도록, 및 상기 장치를 누설밀봉되게 하고 풋웨어 아이템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게 하도록 풋웨어 아이템의 조작(manipulation)을 단순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 장치에 놓인 정보 또는 오브젝트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풋웨어 아이템이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징들을 가지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구항 24의 특징들을 가지는,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풋웨어 아이템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표는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풋웨어 아이템이 앞 부분과 뒤 부분을 포함하는 신바닥을 포함하고, 이러한 신바닥은 풋웨어 아이템의 앞 부분 또는 뒤 부분 상으로 열려 있는 구멍(hole)을 가지며, 이러한 풋웨어 아이템은 신바닥의 구멍 내로 삽입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신바닥에서 상기 구멍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한 덕트(duct)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를 상기 신바닥에 영구적으로 고착하기 위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신바닥에서의 상기 구멍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이 누설 밀봉되도록 상기 덕트에서 상기 개구를 밀봉되게 밀폐시키는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는 개구를 거쳐 상기 덕트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하고 정보 또는 오브젝트의 저장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튜브(tube)를 포함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이는 흙 또는 물이 케이싱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커버는 누설밀봉 방식으로 구멍의 마우스(mouth)를 닫으며, 상기 장치는 어른에 대해서는 열기가 쉽지만, 아이에 대해서는 열기가 비교적 어렵다.
게다가, 이는 신바닥과 케이싱 사이의 튼튼하고 누설밀봉되는 고정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덕트를 신바닥에 영구적으로 고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anchoring) 수단이 설계된다. 덕트 상에 커버를 고정하게 되면, 아이가 커버를 제거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저항(resistance)이 형성된다. 이러한 폐쇄(closure) 시스템은 누설밀봉 고정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어른에 대해서는 열기가 쉽지만 아이에 대해서는 열기가 비교적 어렵다. 게다가, 이는 저장 장치의 튜브에 놓인 정보 또는 오브젝트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하게끔 구멍 내에 삽입된다. 문서들이나 오브젝트들을 튜브 내로 삽입하는 것과, 상기 튜브가 손에 붙들려 있을 때 문서들 또는 오브젝트들을 튜브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더 쉽다.
그러한 튜브를 신바닥에서의 구멍 내로 더 쉽게 삽입하고 고정할 수 있게끔, 이러한 구멍은 한쪽에서는 바람직하게 밀봉되고 다른 쪽에서는 열려 있는 덕트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튜브는 커버의 베이스에서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튜브는 커버와 동일한 시각에서 덕트 내로 및 덕트로부터 수동으로 삽입 또는 제거된다.
이러한 튜브는 그 내용물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바람직하게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튜브는 커버의 베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러한 고정은 상기 커버의 베이스에 있는 홈들(grooves)과 협력하는 튜브의 일 단부(one end)에 있는 편평한 탭(tab)들에 의해 형성된, 베요넷(bayonet) 기반의 폐쇄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러한 편평한 탭들은 각각 상기 커버로 및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튜브를 각각 고정 및 분리하기 위해, 상기 홈들과 맞물리거나 상기 홈들로부터 떼어진다.
이러한 편평한 탭들은 튜브의 일 단부에서 내부면 상에 바람직하게 위치하고, 대응하는 홈들은 커버의 외부면 상에 위치한다.
대안적으로, 편평한 탭들은 튜브의 일 단부에서 외부면 상에 바람직하게 위치하고, 대응하는 홈들은 커버의 내부면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튜브의 개구는 열려 있고, 그러한 튜브는 그것에 배치된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닫거나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거 가능한 캡(cap)에 의해 개구에서 가로막히며, 그러한 캡은 상기 튜브에서의 삽입을 위해 적합한 캡의 몸체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캡 헤드(cap hea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튜브에서 배치된 정도 또는 오브젝트를 폐쇄하고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닫힌 튜브를 얻도록, 튜브의 개구가 단부 면(end face)에 의해 닫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덕트는 덕트에서 통합된 고정시키는(anchoring) 수단을 또함 포함하고, 이러한 고정시키는 수단은 신바닥에서의 구멍에 덕트를 고정하고 신바닥에 덕트를 영구적으로 고착시키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고정시키는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덕트에서 통합되고, 이러한 고정시키는 수단과 덕트는 하나의 피스(piece)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시키는 수단은 부품들을 영구적으로 고착시키도록 신바닥에서의 구멍에 덕트를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끔 덕트의 외부 면 상에 범프(bump)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범프들은 반달(half-moon) 모양으로 제공되며, 구멍 내로의 덕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그럴 경우 상기 덕트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게끔 덕트의 개구 쪽으로 열려 있고 덕트의 닫힌 부품 쪽으로 딱딱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시키는 수단은 상기 부품들을 영구적으로 고착하도록, 상기 구멍에서의 덕트를 신바닥에서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덕트의 외부 면 상에 미늘(barb)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미늘들은, 상기 구멍 내로 상기 덕트를 삽입하는 것을 촉진하고 상기 덕트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덕트의 개구 쪽을 향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신바닥에서의 구멍의 내부 벽은, 덕트를 신바닥에 고정시키고 그럴 경우 상기 덕트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덕트의 외부 부품 상의 미늘들과 협력하고 상기 구멍의 바닥 쪽을 향해 있는 미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시키는 수단은 닫힌 부품의 부근에 위치한 덕트의 끝에서 플렉시블(flexible)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시스템은 상기 부품들을 영구적으로 고착하도록 상기 신바닥에서 상기 구멍에 상기 덕트가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끝이 뾰족한 모양을 갖는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끝이 뾰족한 플렉시블 요소들은 상기 덕트의 내부 쪽으로 눌러지고, 상기 구멍 내로의 삽입을 촉진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신바닥에서 쐐기로 고정되어 그곳에 가로막힌 채로 있게끔 상기 덕트의 외측 쪽으로 바깥으로 연장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시키는 수단은 덕트와 신바닥의 영구적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한 접착제(glu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는 덕트와 협력하기에 적합한 외부 면 상에 플렉시블 원환체의 얇은 판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그러한 덕트의 내부 면은 상기 덕트 상에 상기 커버를 붙들고 있고 상기 케이싱의 죄임(tightness)을 보장하도록 매끄럽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덕트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과 상기 제2 고정부는 함께 협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커버의 외부 면 상에 제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덕트 상에서 붙잡고 케이싱의 단단한 조임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구의 부근에서 상기 덕트 상의 내부 면 상에 배치된 제2 나사산을 상기 제2 고정부가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는 덕트와 협력하기에 적합한 레버-기반의(lever-based) 닫힘 시스템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상기 덕트의 내부 면은 매끄럽게 되어 있으며, 상기 닫힘 시스템은 원환체 조인트 상에서의 압착에 의해 작용하기에 적합한 레버와 상기 덕트의 개구와 접촉하는 차단 피스(blocking piece)를 포함하고, 누설밀봉 방식으로 상기 덕트 상에서 상기 커버를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는 2개의 탭들을 포함하는 베요넷 기반의 닫힘 시스템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2개의 탭들과 협력하기에 적합한 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탭들은 상기 커버와 상기 덕트 사이의 튼튼한 고정을 허용하고 상기 케이싱의 누설이 방지되게 하게끔 상기 커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홈들에서 차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덕트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함께 협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커버의 내부 면 상에 제1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덕트 상에서 붙잡고 케이싱의 단단한 조임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구의 부근에서 상기 덕트 상의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제2 나사산을 상기 제2 고정부가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덕트는 신바닥에서 구멍보다 약간 더 길고, 제2 외부 나사산을 가지고 상기 덕트 상으로 제1 내부 나사산을 가진 커버가 나사조임이 이루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신바닥의 외면을 넘어서 약간 돌출하여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는 그러한 커버의 내부 면 상에 제1 나사산을 가진 테(rim)를 포함하고, 덕트 상의 외부 면에 배치된 제2 나사산으로의 나사조임 동안에 상기 커버를 수용하도록 신바닥에서의 구멍의 직경이 상기 덕트의 개구에서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는 신바닥에 대해 상기 커버를 돌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돌리기 위한 수단은 상기 커버의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코인의 삽입을 위해 제공된 슬롯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덕트는 가늘고 길며 원통 모양을 가지고, 신바닥에서의 구멍 또한 대응하는 원통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와 튜브도 원통 모양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덕트는 가늘고 길며 타원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신바닥에서의 구멍 또한 대응하는 타원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와 튜브도 타원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덕트는 가늘고 길며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신바닥에서의 구멍 또한 대응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와 튜브도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덕트는 가늘고 길며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신바닥에서의 구멍 또한 대응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와 튜브도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풋웨어 아이템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 이러한 방법은:
앞 부분과 뒤 부분을 포함하는 신바닥을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풋웨어 아이템의 앞 부분 또는 뒤 부분 상으로 열려 있는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개구를 포함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케이싱이 누설밀봉되게 하기 위해, 상기 덕트의 개구를 밀폐되게 닫는 커버를 상기 케이싱이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구멍으로의 삽입을 위해 적합하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를 거쳐 상기 덕트 내로의 삽입을 위해 적합한 튜브를 포함하며 정보 또는 오브젝트의 저장을 허용하는, 상기 제공하는 단계,
상기 덕트와 신바닥을 영구적으로 고착시키도록 상기 구멍 내로 상기 덕트를 삽입하고 상기 덕트를 상기 신바닥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커버 상에 상기 튜브를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를 상기 덕트 상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조 방법은 튜브를 포함하는 커버를 상기 덕트 상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커버가 상기 덕트와 구멍의 마우스(mouth)를 닫도록, 상기 구멍 내로 케이싱을 삽입하는 연속 단계들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뒤 부분을 포함하는 신바닥을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을 제안하고, 이 경우 신바닥의 뒤 부분은 신바닥의 모양을 따르고 풋웨어 아이템의 뒤 쪽으로 열려 있는, 레벨(level) 또는 경사진 바닥이 있는 구멍을 포함하고, 풋웨어 아이템이 신바닥에서의 구멍 내로 삽입된 덕트를 포함하며, 덕트가 정보 또는 오브젝트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변형예들을 제공하고, 풋웨어 아이템의 앞에 그러한 풋웨어 아이템의 앞 쪽으로 열려 있는 구멍 또는 뒤 부분의 바깥 쪽에 있고 풋웨어 아이템의 외측 쪽으로 열려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신바닥들을 가지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풋웨어 아이템의 외측 상에 이러한 구멍을 형성하여, 풋웨어 아이템의 뒤 부분에서 상기 구멍이 풋웨어 아이템의 외측 쪽으로 열려 있는 채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구멍은 그러한 풋웨어 아이템을 넘어서 연장한다.
이러한 구멍은 힐 컵(heel cup)의 베이스까지 비딩(beading)의 형태로 신바닥의 뒤의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신바닥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신바닥의 뒤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은 또한 지지체의 목 부분(neck)의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그러한 지지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풋웨어 아이템 "신바닥(sole)"은 그러한 풋웨어 아이템의 사용자의 발과 지면(ground) 사이에 위치하도록 의도된 풋웨어 아이템의 부품이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장점들은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서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더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이후 특히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의 뒤 부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의 뒤 부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의 뒤 부분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의 뒤 부분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의 뒤 부분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의 뒤 부분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덕트 및 커버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덕트 및 커버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덕트 및 커버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덕트 및 커버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덕트 및 커버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덕트 및 커버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의 뒤 부분의 개략적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의 뒤 부분의 개략적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덕트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덕트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커버의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커버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커버의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커버의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 덕트, 및 커버의 뒤 부분의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 덕트, 및 커버의 뒤 부분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커버의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 덕트, 및 커버의 뒤 부분의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커버의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 덕트, 및 커버의 뒤 부분의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커버의 평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튜브가 있는 커버의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튜브가 있는 커버의 도면.
도 31a 내지 도 3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튜브가 있는 커버의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튜브가 있는 커버의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튜브가 있는 커버의 도면.
도 34a 내지 도 3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튜브가 있는 커버의 도면.
본 발명은 특별한 실시예들에 기초하고,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그것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된 그림들 또는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인 것이고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풋웨어 아이템(0)을 보여준다.
풋웨어 아이템(0)은 신바닥(1)을 포함하고, 그러한 신바닥(1)의 뒤 부분(101)은 도 1에서 보일 수 있다. 신바닥의 뒤 부분(101)은 풋웨어 아이템의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도록 의도된다. 신바닥의 뒤 부분(101)은 바람직하게는 뒤꿈치를 포함한다. 신바닥(1)은 또한 앞 부분(201)을 포함하고, 이러한 앞 부분(201)은 특히 사용자의 발가락들을 지지하도록 의도된다. 신바닥(1)의 뒤 부분(101)은 바람직하게는 신바닥의 앞 부분(201)보다 더 두껍다.
신바닥(1)의 뒤 부분(101)은 풋웨어 아이템(0)의 뒤 쪽으로 열려 있는 구멍(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멍(2)은 바람직하게는 풋웨어 아이템(0)의 뒤꿈치에 위치한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풋웨어 아이템(0)은 구멍(2) 내로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는 덕트(3)를 포함한다. 이러한 덕트(3)는 또한 덕트(3)의 개구(153)를 닫는 커버(4)를 포함한다. 덕트(3)와 커버(4)는 함께 누설밀봉(leak-tight) 케이싱(3, 4)을 형성한다.
케이싱(3, 4)은 그것이 구멍(2)의 안쪽에서 제자리에 있을 때, 그러한 구멍의 마우스(mouth)(153) 쪽으로 돌려진 제1 면(face)을 가지고, 케이싱을 닫기 위해 제1 면의 반대쪽에 제2 면을 가진다.
케이싱(3, 4)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모양을 가지고, 그러한 경우 케이싱은 바람직하게는 0.5㎝와 2.0㎝ 사이의 직경을 가지며, 더 바람직하게는 1.0㎝와 1.5㎝ 사이의 직경을 가진다.
케이싱(3, 4)은 바람직하게는 1.0㎝와 10.0㎝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3.0㎝와 7.0㎝ 사이,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4.0㎝와 6.0㎝ 사이의 길이를 가진다.
구멍(2)은 바람직하게는 신바닥의 안쪽 면(side)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덕트(3)는 바람직하게는 풋웨어 아이템이 지면 상에서 편평하게 놓일 때, 실질적으로 수명 방향에서 케이싱(3, 4)이 뒤쪽으로 향하도록 신바닥의 안쪽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또한 설치된다.
풋웨어 아이템(1)은 편평한 뒤꿈치, 뒤꿈치, 높은 뒤꿈치, 또는 추가적인 신바닥들이 있는 풋웨어 아이템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물 또는 흙이 덕트(3)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또한 완전히 누설밀봉 방식으로 구멍의 마우스(153)를 닫도록 의도된 커버(4)를 보여준다.
커버(4)는 그것이 구멍의 마우스(153) 위에서 제자리에 놓일 때, 뒤쪽으로 돌려진 제1 면을 가지고, 그러한 제1 면과 반대쪽에 제2 면을 가지며, 따라서 커버(4)가 케이싱이 삽입되는 구멍을 닫을 때, 케이싱의 제1 면을 제2 면이 향해 있다. 커버(4)의 제1 면과 제2 면은 커버의 길이에 의해 분리된다.
덕트와, 그러한 덕트 고정의 기술적 설명: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덕트(3)는 또한 누설밀봉 케이싱을 형성하도록 덕트(153)의 개구를 닫는 커버(4)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4)는 누설밀봉 방식으로 개구를 닫고록 설계된다.
덕트(3)는 상이한 모양들, 즉 원통 모양(123), 타원 모양(223), 직사각형(323), 팔각형(423)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이한 사이즈를 가지게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만약 덕트(3)가 가늘고 길며 원통 모양(123)을 가진다면, 신바닥(1)에서의 구멍(2)은 또한 대응하는 원통 모양(122)을 가지게 되고, 커버(124)와 튜브(125) 또한 그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덕트(3)와 튜브는 원뿔 모양을 가지고, 신바닥(1)에서의 구멍(2)은 또한 대응하는 원뿔 모양(122)을 가지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만약 덕트(3)가 가늘고 길며 단면이 타원(223)이라면, 신바닥(1)에서의 구멍(2)은 역시 대응하는 원통 모양 단면(222)을 가지게 되고, 커버(224) 및 튜브(225) 역시 그러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만약 덕트(3)가 가늘고 길며 단면이 직사각형(323)이라면, 신바닥(1)에서의 구멍(2)은 역시 대응하는 직사각형 단면(322)을 가지게 되고, 커버(324) 및 튜브(325) 역시 그러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만약 덕트(3)가 가늘고 길며 단면이 팔각형(423)이라면, 신바닥(1)에서의 구멍(2)은 역시 대응하는 팔각형 단면(422)을 가지게 되고, 커버(424) 및 튜브(425) 역시 그러하게 된다.
덕트(3)와 커버(4) 또한 임의의 종류의 불침투성 재료(impermeable)(금속,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임의의 부류의 플라스틱, 탄소, 고무 등)에 기초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덕트(3)는 바람직하게는 오브젝트들을 통합하는 튜브가 쉽게 삽입되고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안쪽 면(143) 상에서 매끄럽게 되어 있다.
덕트(3)는 고정시키는 수단에 의해 풋웨어 아이템의 신바닥(1)에서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의 외부 면은 신바닥(1)의 구멍(112, 212)에서 덕트(3)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고, 그것들을 영구적으로 고착시키도록 신바닥(1)에 덕트(3)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게끔 범프(233)들을 포함한다. 반달 모양을 가진 이들 범프(233)는 덕트(153)의 개구 쪽으로 열려 있고, 덕트(353)의 닫힌 부품 쪽으로 딱딱하게 되어 있다. 덕트(3)가 구멍(2)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덕트는 구멍의 바닥까지 쉽게 미끄러진다.
그런 다음 범프(233)들은 구멍(2)에서 덕트(3)를 차단하고, 덕트(3)가 신바닥(2)에 영구적으로 결합되도록,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신바닥(1)의 구멍(2)에서 덕트(3)를 붙잡고 있는 것은 또한 접착제에 의해 유리하게 보강될 수 있다.
덕트(3)는 예를 들면 또 다른 점착성 고정 수단, 시멘트, 납땜(soldering)에 의해, 또는 다른 퓨징(fusing) 기술들에 의해 신바닥(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의 외부 면은, 신바닥(1)의 구멍(112, 212)에서 덕트(3)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고, 그것들을 영구적으로 고착시키도록 신바닥(1)에 덕트(3)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미늘(핀)들(333)을 포함한다. 이들 미늘(333)은 구멍(2) 내로 삽입된 후 그러한 구멍(2)으로부터 덕트(3)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합하다.
도 1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신바닥에서의 구멍(2)의 내부 벽(102)은 매끄러울 수 있고, 덕트(3)의 외부 부품만이 미늘(333)들을 포함한다.
도 1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멍(2)의 내부 벽(202)은 동일한 미늘(202)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미늘(202)들은 덕트(3)를 신바닥(1)에 정착시키고 고정하도록, 그리고 그것들을 영구적으로 고착시키도록 덕트(3)의 외부 부품 상의 미늘(333)들과 협력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신바닥(1)의 구멍(2)에서 붙들고 있는 것은 접착제에 의해 유리하게 더 보강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3)는 구멍(232)의 바닥 부근에 위치한 단부에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요소들(433)인, 뾰족한 모양(433)을 가지는 복수의 요소들로 형성된 플렉시블 시스넴을 포함한다. 덕트가 구멍(2) 내로 삽입될 때, 플렉시블한 뾰족한 요소들(433)은 구멍(2)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다. 그럴 경우 실린더(미도시)를 덕트(3) 내로 삽입함으로써, 풋웨어 아이템을 제작하는 동안에, 다양한 뾰족한 요소들(433)이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그곳에서 차단된 채로 있고 따라서 신바닥(1)에 덕트(3)를 고정하게끔 신바닥(1)에서 쐐기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부품은 영구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신바닥(1)의 구멍(2)에서 붙들고 있는 것은 접착제에 의해 유리하게 더 보강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서의 덕트(3)를 고정시키는 수단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신바닥(1)의 구멍에서 붙들고 있는 것은 접착제에 의해 더 보강된다.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는 매끄럽게 되어 있고(133), 접착제 덕분에 신바닥(1)의 구멍(2)에서 고정된다. 덕트(3)와 신바닥(1)은 오로지 접착제에 의해서 영구적으로 고착된다.
설명 및 커버를 덕트에 고정시키는 것:
도 18 내지 도 27은 커버(4)와 덕트(3) 사이를 튼튼하게 고정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그리고 케이싱을 누설밀봉하도록, 커버(4)가 덕트(3)의 마우스를 밀폐되게 닫는 것을 보여준다.
커버(4)는 제1 고정 부품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덕트(3)는 제2 고정 부품을 포함하며, 함께 협력하도록 제1 고정 부품과 제2 고정 부품이 배치된다. 이는 커버(4)와 덕트(3) 사이의 튼튼하고 누설밀봉되는 고정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커버(4)가 덕트(3)화 협력하기에 적합한, 외부 면 상에 플렉시블한 원환체의 얇은 판(114)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덕트(3)의 안쪽 면은 매끄럽게 되어 있다(143).
커버(4)는 외부 면 상에 플렉시블한 원환체의 얇은 판(114)을 포함한다. 덕트(153)의 개구가 커버(104)의 베이스에 접촉할 때까지 커버(4)를 덕트(3) 내로 삽입함으로써, 얇은 판(114)이 약간 접힐 수 있고, 따라서 커버(4)를 제거하는 것이 아이에게는 어렵게 만들면서, 케이싱의 견고한 죄임(tightness)을 보장하는 저항을 생성한다.
커버(4)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커버(104)의 베이스에 위치한 그립(grip)(414)에 의해 그것을 강하게 잡아당기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커버(4)가 덕트(3)와 협력하기에 적합한 레버 기반의(lever-based) 닫힘 시스템(134)에 의해 형성되고, 이 경우 상기 덕트의 안쪽 면은 매끄럽게 되어 있다(143).
이 시스템(134)은 하부 베이스(3134)에서의 플레이트(2134)와 로드(rod)(5134)의 헤드에서의 레버(4134) 사이에 연결된 핀(1134)을 포함한다. 고무로 만들어진 오-링(O-ring)(6134)과, 덕트(153)의 개구와 접촉하는 차단 피스(7134)는 이들 2개의 부품 사이에 위치한다. 닫힘 시스템(134)이 덕트(153)의 개구와 접촉하고, 따라서 레버(4134)를 덕트(3)에 대해서 90°만큼 선회시킴으로써 부품(8134)의 몸체가 덕트(3) 내로 도입될 때, 패드(pad)(2134)가 차단 피스(7134)에 접근하고, 따라서 고무 오-링(6134)을 압착한다. 상기 오-링의 직경은 증가하고 따라서 덕트(3)에서의 레버 기반의 닫힘 시스템(134)을 단단히 차단시킨다.
도 19,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버(4)는 외부 면(214) 상에 제1 나사산을 포함하고, 커버(4)가 덕트(153)의 개구를 닫을 때, 제1 나사산에 대응하도록, 덕트(3)가 그것의 마우스(243) 둘레의 안쪽 면 상에 제2 나사산을 포함한다.
커버(4)가 개구(243)까지 나사조임이 이루어질 때, 제2 나사산(243) 내로 제1 나사산(214)의 나사조임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나사조임은 누설밀봉 고정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어른에게는 여는 것이 쉽지만 아이에게는 여는 것이 비교적 어렵게 한다.
커버(4)는 바람직하게는 신바닥(1)에 대해 커버(4)를 돌리기 위한 수단(164)을 포함한다. 이는 나사조임과 나사풀림을 더 쉽게 만든다. 커버를 신바닥에 대해 돌리기 위한 수단(164)은 코인 또는 스크류드라이버의 삽입을 위해 의도된 슬롯(slot)(164)을 포함한다.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하는 것이 베요넷 기반의 닫힘 시스템(144)을 포함한다. 덕트(3)의 단부는 홈(443)들을 포함한다. 커버는 2개의 러그(lug)(1144)를 포함한다. 덕트(3)와 커버(4)를 베요넷 기반의 닫힘 시스템(144)과 결합시킴으로써, 2개의 러그(1144)가 홈(443)들과 접촉한다. 커버를 선회시킴으로써, 커버(4)와 덕트(3) 사이의 튼튼한 고정을 허용하고, 또한 케이싱을 누설밀봉되게 만들기 위해, 2개의 러그(1144)가 홈(443)들에서 차단된다.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4)는 바람직하게는 신바닥(1)에 대해서 커버(4)를 돌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나사조임과 나사풀림을 더 쉽게 만든다. 커버를 신바닥에 대해 돌리기 위한 수단은 코인 또는 스크류드라이브(164)의 삽입을 위해 의도된 슬롯을 포함한다.
도 24와 도 2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나사산이 안쪽 면(314) 상에 있는 채로 커버(4)가 테(rim)(204)를 포함하고, 덕트(213)는 커버(4)가 덕트(153)의 개구를 닫을 때 제1 나사산에 대응하도록 외부 면(343) 상의 개구 둘레에 배치된 제2 나사산을 포함하며, 이 경우 그러한 덕트는 신바닥에서의 구멍보다 약간 더 길고, 신바닥(213)의 외면을 넘어서 약간 돌출하여 있다.
이러한 나사조임은 튼튼하고 누설밀봉되는 고정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어른에 대해서는 열기가 쉽지만, 아이에 대해서는 열기가 비교적 어렵게 만든다.
도 2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커버(4)는 바람직하게는 신바닥(1)에 대해서 커버(4)를 돌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나사조임과 나사풀림을 더 쉽게 만든다. 커버를 신바닥에 대해서 돌리기 위한 수단은 코인 또는 스크류드라이버의 삽입을 위해 의도된 슬롯(164)을 포함한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덕트(3)는 신바닥(113) 내로 완전히 삽입된다. 덕트(153)의 개구에서, 신바닥에서의 구멍(132)의 직경은 나사조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커버(4)를 수용하도록 덕트의 구멍의 외부 직경(253) 보다 약간 더 크다.
커버(4)는 커버(314)의 안쪽 면 상에 제1 나사산이 있는 테(204)를 포함하고, 이 경우 덕트(113)는 커버가 덕트(153)의 개구를 닫을 때 제1 나사산에 대응하도록 외부 면(343) 상의 덕트의 마우스 둘레에 배치된 제2 나사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나사조임은 튼튼하고 누설밀봉되는 고정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어른에 대해서는 열기가 쉽지만, 아이에 대해서는 열기가 비교적 어렵게 만든다.
도 2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커버(4)는 바람직하게는 신바닥(1)에 대해서 커버(4)를 돌리기 위한 수단(164)을 포함한다. 이는 나사조임과 나사풀림을 더 쉽게 만든다. 신바닥에 대해서 커버를 돌리기 위한 수단(164)은 코인 또는 스크류드라이버의 삽입을 위해 의도된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을 포함하고 있는 커버(104)의 베이스는 커버의 몸체의 직경보다 3㎜ 더 큰 직경을 유리하게 가진다.
커버(4)가 덕트(3)까지 나사조임이 이루어질 때, 커버(104)의 베이스는 신바닥(1)과 접촉하고, 따라서 신바닥(1)과 덕트(3) 사이에서 임의의 흙 또는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튜브의 기술적인 설명:
도 7, 도 18, 도 19, 및 도 21 내지 3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튜브(5)는 가늘고 긴 형태를 가지고, 커버(4)의 베이스(104) 상에서 고정되는 것에 의해 덕트(3)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하다.
튜브(5)는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하도록 구멍(2) 내에 삽입된다. 문서들 또는 오브젝트들을 튜브(5) 내로 삽입하는 것과, 상기 튜브가 손에 붙들려 있을 때 그것으로부터 문서들 또는 오브젝트들을 제거하는 것이 더 쉽다.
신바닥에서 구멍(2) 내로 튜브를 더 쉽게 삽입하고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끔, 이러한 구멍(2)은 바람직하게는 한쪽에서는 밀봉되고 다른 쪽에서는 열려 있는 덕트(3)와 연관된다.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덕트(3) 내로 삽입된 튜브(5)는 커버(104)의 베이스 상에서 영구적으로(105) 또는 제거 가능하게(205)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커버(4)와 동시에 덕트(3)로부터 수동으로 삽입되고 제거될 수 있다. 튜브(5)와 커버(104)의 베이스는 또한 하나의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4)가 덕트(3) 상에 고정될 때, 튜브(5)는 한쪽 단부로부터 나머지 단부까지 덕트(3)의 안쪽 부문을 채운다. 덕트(3)와 튜브(5)는 바람직하게는 1.0㎝와 10.0㎝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3.0㎝와 7.0㎝ 사이,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4.0㎝와 6.0㎝ 사이에 있는 길이를 가진다.
튜브(5)는 금속,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탄소, 또는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들과 같은 상이한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튜브(5)는 바람직하게는 그 내용물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튜브(5)는 만약 원할 경우 떼어낼 수 있도록 커버(154)의 안쪽 면에 제거 가능하게(205) 고정될 수 있다.
도 31과 도 3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고정은 베요넷 타입 닫힘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 경우 베요넷(155, 255)들은 홈 개구들(바람직하게는 대략 0.5㎜ 큰)이 각각 커버의 외부 면(354) 쪽으로 또는 커버의 내부 면(254) 쪽으로 배향되는지에 따라서 튜브(5)의 내부 면(215) 또는 외부 면(115)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홈(254)들이 커버의 내부 면 쪽으로 열려 있다면, 튜브의 일 단부가 튜브의 외측에 위치한 2개의 편평한 러그(255)들을 포함한다. 튜브와 커버를 결합함으로써, 2개의 편평한 러그(255)들이 홈(254)들 사이에 위치한다. 튜브를 한 방향으로 선회함으로써, 2개의 러그(255)가 홈(254)들 밑에서 수용되고 차단된다.
도 30에서 볼 수 있듯이, 튜브(5)는 그것에 배치된 정보 또는 오브젝트들을 닫고 차단하도록 제거 가능한 캡(135)에 의해 그것의 다른 단부에서 가로막힐 수 있다. 이러한 캡(135)의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튜브(5)로부터 쉽게 제거되도록 그것의 몸체(2135)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제거 가능한 캡(135)은 열린 튜브(245)의 개구를 밀봉하기에 적합하다.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거 가능한 고정부(205)를 가진 튜브는 닫힌 튜브(145)를 얻도록 튜브의 개구에서 단부 면(145)에 의해 또한 닫힐 수 있다.
요약(Summary)
부품 상술(Specificaion) 참조 번호 도면(들)
풋웨어 아이템: 0 1, 7
풋웨어 아이템의 뒤 100 1 내지 6
풋웨어 아이템의 앞 200 1
풋웨어 아이템의 외부 측 300 2,3,4,5,6
바닥 베이스: 1 1, 7
뒤 부분 101 1, 14, 15
앞 부분 201 1
신바닥의 꼬리부(tail) 301 4
비딩의 형태를 가진 신바닥의 꼬리부 401 3
풋웨어 아이템의 힐 컵 501 3, 5, 6
앞 부분(anterior part)
구멍: 2 2,3,4,5,7,14,15
매끄러운 부분(smooth) 102 7, 14
미늘들 202 15
수평의 112 1
경사진 212 1
둥근 122 8
타원형 222 9
직사각형 322 10
팔각형 422 11
개구보다 큰 구멍 직경 132 27, 28
구멍 바닥 232 1
덕트: 3 7,12 내지 17,22
완전히 삽입된 113 27
신바닥 약간 외측에 있는 213 25
둥근 123 8
타원형 223 9
직사각형 323 10
팔각형 423 11
덕트의 외부 마무리(finish)
매끄러운 133 17
범프들 233 12
미늘들 333 13, 14, 15
4개의 뾰족한 요소들 433 16
완전히 매끄러운 안쪽 143 12,13,16,17
단부에 나사산이 있는 안쪽 243 22
단부에서 외부쪽의 나사산 343 25, 27
홈 단부(groove end) 443 23
덕트 개구 153 7,12,13,16
17,22,25,27
덕트 직경 253 27,28
덕트의 가로막힌 부분 353 12,13,16,17
커버: 4 7,22,24,25
26,27,29,30
커버의 베이스 104 18,19,21,26
29 내지 34
커버의 테(rim) 204 24,26,29,30
31,34
원환체의 얇은 판 114 18
외부 나사산 214 19,22,32,33
내부 나사산 314 24,26
커버 그립(grip) 414 18,19,32,33
둥근 124 8
타원형 224 9
직사각형 324 10
팔각형 424 11
레버 기반의 닫힘 시스템 134 21
핀(pin) 1134 21
패드(pad) 2134 21
하부 베이스 3134 21
레버 4134 21
바 헤드(bar head) 5134 21
원환체 조인트(joint) 6134 21
차단 부품 7134 21
부품의 몸체 8134 21
베요넷 타입 닫힘 시스템 144 23
2개의 러그(lug)들 1144 23
커버의 내부 면 154 24,26,31,34
슬라이드들, 안쪽으로의 개구 254 31
슬라이드들, 바깥쪽으로의 개구 354 34
스크류드라이버의 삽입을 위한 슬롯 164 20,22,27
튜브: 5 7,18,19,21 내지
27, 29 내지 34
고정된 고정부를 가진 튜브 105
제거 가능하게 고정부를 가진 튜브 205 29,3
커버-튜브 연결 305 18,19,21,
32,33,34
바깥쪽 베요넷 기반의 튜브 고정부 115 31
안쪽 베요넷 기반의 튜브 고정부 215 34
둥근 튜브 125 8
타원형 튜브 225 9
직사각형 튜브 325 10
팔각형 튜브 425 11
제거 가능한 튜브 캡 135 30
캡 헤드 1135 30
캡 몸체 2135 30
닫힌 튜브 145 29,32
열린 튜브 245 30,33
내부 러그들을 가진 튜브 155 34
외부 러그들을 가진 튜브 255 31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되고 예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어떤 식으로든 국한되지 않는다. 세부 사항들, 모양들, 및 치수(dimension)들의 다수의 수정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순수하게 예시적인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고, 그러한 실시예들에 국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청구항들에서의 참조 번호들은 그것의 범주를 국한시키지 않는다.

Claims (25)

  1.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풋웨어 아이템(footwear item)으로서,
    상기 풋웨어 아이템은 신바닥(sole)(1)을 포함하고, 상기 신바닥(1)은 앞 부분(201)과 뒤 부분(101)을 포함하며,
    상기 신바닥(1)은 풋웨어 아이템(0)의 앞 부분(200) 또는 뒤 부분(100) 상으로 열려 있는 구멍(2)을 포함하고, 상기 풋웨어 아이템(0)은 상기 신바닥(1)의 구멍(2) 내로 삽입되는 케이싱(3, 4)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3, 4)은 상기 신바닥(1)에서 상기 구멍(2)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한 덕트(3)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3)를 상기 신바닥(1)에 영구적으로 고착하도록 상기 덕트(3)가 개구(153)를 포함하고 상기 신바닥(1)에서의 상기 구멍(2)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3, 4)이 누설 밀봉되도록 상기 덕트(3)의 개구(153)를 밀봉되게 밀폐시키는 커버(4)를 상기 케이싱(3, 4)이 포함되고, 상기 커버(4)는 개구(153)를 거쳐 상기 덕트(3)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하고 정보 또는 오브젝트의 저장을 허용하는 튜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아이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5)는 상기 커버(4)의 베이스(104) 상에서 영구적으로(105) 또는 제거할 수 있게(205) 고정되고, 상기 튜브(5)는 상기 커버(4)와 동시에 상기 덕트(3) 내로 수동으로 삽입되고 상기 덕트(3)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되는, 풋웨어 아이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5)는 내용물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풋웨어 아이템.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5)는 상기 커버(4)의 베이스(104)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은 상기 커버(4)의 베이스(104)에 있는 홈들(254, 354)과 협력하는 튜브의 일 단부(one end)에 있는 편평한 탭(tab)들(155, 255)에 의해 형성된, 베요넷(bayonet) 기반의 폐쇄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편평한 탭들(155, 255)은 각각 상기 커버(4)에 상기 튜브(5)를 고정하고 상기 커버(4)로부터 상기 튜브(5)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홈들(254, 354)과 맞물리거나 상기 홈들(254, 354)로부터 떼어지는, 풋웨어 아이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탭들(155)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의 일 단부에서 내부 면(215) 상에 있고, 대응하는 홈들(354)은 상기 커버(4)의 외부 면 상에 있는, 풋웨어 아이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탭들(255)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의 일 단부에서 외부 면(115) 상에 있고, 대응하는 홈들(254)은 상기 커버(4)의 내부 면 상에 있는, 풋웨어 아이템.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개구는 열려 있고(254), 상기 튜브(5)는 상기 튜브(5)에 배치된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폐쇄하고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거 가능한 캡(cap)(135)에 의해 상기 개구에서 가로 막혀 있으며, 상기 캡(135)은 상기 튜브(5)에서의 삽입에 적합한 상기 캡(135)의 몸체(2135)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캡 헤드(cap head)(1135)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
  8.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5)의 개구는 상기 튜브(5)에 배치된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폐쇄 및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닫힌 튜브를 얻도록, 일 단부 면(145)에 의해 닫혀 있는, 풋웨어 아이템.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3)는 상기 덕트(3)에서 통합된 고정시키는 수단(233, 333, 433)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고정시키는 수단(233)은 상기 구멍(2)에서의 덕트(3)를 상기 신바닥(1)에서 고정하고 상기 덕트(3)를 상기 신바닥(1)에 영구적으로 고착하기에 적합한, 풋웨어 아이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키는 수단(233)은 상기 부분들을 영구적으로 고착시키도록, 상기 구멍(2)에서의 덕트(3)를 상기 신바닥(1)에서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덕트(3)의 외부 면 상에 범프(bump)(233)들을 포함하고,
    상기 범프(233)들은 반달 모양으로 제공되며, 상기 구멍(2) 내로 상기 덕트(3)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덕트(3)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덕트(3)의 개구(153) 쪽으로 열려 있고, 상기 덕트(3)의 닫힌 부분(353) 쪽으로 딱딱하게(solid) 되어 있는, 풋웨어 아이템.
  11.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키는 수단(333)은 상기 부분들을 영구적으로 고착하도록, 상기 구멍(2)에서의 덕트(3)를 상기 신바닥(1)에서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덕트(3)의 외부 면 상에 미늘(barb)(333)들을 포함하고,
    상기 미늘(333)들은, 상기 구멍(2) 내로 상기 덕트(3)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덕트(3)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덕트(3)의 개구(153) 쪽을 향해 있는, 풋웨어 아이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3)를 상기 신바닥(1)에 고정시키고 상기 덕트(3)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신바닥에서의 상기 구멍(2)의 내부 벽(102)은 상기 구멍(2)의 바닥(232) 쪽을 향해 있고 상기 덕트(3)의 외부 부분 상의 미늘(333)들과 협력하는 미늘(202)들을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
  13. 제9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키는 수단(433)은 닫힌 부품(353)의 부근에 위치한 덕트(3)의 단부에서 플렉시블(flexible) 시스템(433)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시스템(433)은 상기 부분들을 영구적으로 고착하도록 상기 신바닥(1)에서 상기 구멍(2)에 상기 덕트(3)가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끝이 뾰족한 모양(433)을 갖는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끝이 뾰족한 플렉시블 요소들(433)은 상기 덕트(3)의 내부 쪽으로 눌러지고, 상기 구멍(2)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신바닥(1)에서 쐐기로 고정되어 그곳에 가로막힌 채로 있게끔 상기 덕트(3)의 외측 쪽으로 바깥으로 연장하기에 적합한, 풋웨어 아이템.
  14. 제9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덕트(3)와 상기 신바닥(1)를 영구 고정시키는 것을 보강하기 위한 접착제(glue)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
  15.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상기 덕트(3)와 협력하기에 적합한 외부 면 상에 플렉시블한 원환체의 얇은 판(114)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상기 덕트의 내부 면(143)은 상기 덕트(3) 상에 상기 커버(4)를 붙들고 있고 상기 케이싱(3, 4)의 죄임(tightness)을 보장하도록 매끄럽게 되어 있는, 풋웨어 아이템.
  16.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제1 고정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3)는 제2 고정부(2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214)과 상기 제2 고정부(243)는 함께 협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4)를 상기 덕트(3) 상에서 붙잡고 케이싱(3, 4)의 단단한 조임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커버(4)의 외부 면(214) 상에 제1 나사산(2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243)는 개구(153)의 부근에서 상기 덕트(3) 상의 내부 면 상에 배치된 제2 나사산(243)을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
  17.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덕트(3)와 협력하기에 적합한 레버-기반의(lever-based) 닫힘 시스템(134)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3)의 내부 면은 매끄럽게(143) 되어 있으며, 상기 닫힘 시스템(134)은 원환체 조인트(6134) 상에서의 압착에 의해 작용하기에 적합한 레버(4134)와, 상기 덕트(3)의 개구(153)와 접촉하는 차단 피스(blocking piece)(7134)를 포함하고, 누설밀봉 방식으로 상기 덕트(3) 상에서 상기 커버(4)를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풋웨어 아이템.
  18.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2개의 탭들(1144)을 포함하는 베요넷 기반의 닫힘 시스템(144)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3)는 상기 2개의 탭들(1144)과 협력하기에 적합한 홈(443)들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탭들(1144)은 상기 커버(4)와 상기 덕트(3) 사이의 튼튼한 고정을 허용하고 상기 케이싱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버(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홈들(443)에서 차단되어 있는, 풋웨어 아이템.
  19.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제1 고정부(314)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3)는 제2 고정부(3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314)와 상기 제2 고정부(343)는 함께 협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4)를 상기 덕트(3) 상에서 붙잡고 케이싱(3, 4)의 단단한 조임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커버(4)의 내부 면(314) 상에 제1 나사산(314)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243)는 개구(153)의 부근에서 상기 덕트(3) 상의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제2 나사산(343)을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3)는 상기 신바닥(213)에서 상기 구멍(132)보다 약간 더 길고, 제2 외부 나사산(343)을 가지고 상기 덕트(3) 상으로 제1 내부 나사산(314)을 가진 상기 커버(4)가 나사조임이 이루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신바닥(213)의 외면을 넘어서 약간 돌출하여 있는, 풋웨어 아이템.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상기 커버(4)의 내부 면 상에 제1 나사산(314)을 가진 테(rim)(204)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3) 상의 외부 면에 배치된 제2 나사산(343)으로의 나사조임 동안에 상기 커버(4)를 수용하도록 상기 신바닥에서의 상기 구멍(132)의 직경은 상기 덕트(153)의 개구에서의 외부 직경(253)보다 약간 더 큰, 풋웨어 아이템.
  22.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상기 신바닥(1)에 대해 상기 커버(4)를 돌리기 위한 수단(164)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4)를 돌리기 위한 수단(164)은 상기 커버(4)의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코인의 삽입을 위해 제공된 슬롯(164)을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
  23. 제1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3)는 가늘고 길며 원통 모양(123)을 가지고, 상기 신바닥(1)에서의 구멍(2) 또한 대응하는 원통 모양(122)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124)와 튜브(125)도 원통 모양을 가지고 있거나,
    상기 덕트(3)는 가늘고 길며 타원 모양(223)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신바닥(1)에서의 구멍(2) 또한 대응하는 타원 모양(222)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224)와 상기 튜브(225)도 타원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거나,
    상기 덕트(3)는 가늘고 길며 직사각형 모양(323)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신바닥(1)에서의 구멍(2) 또한 대응하는 직사각형 모양(322)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324)와 상기 튜브(325)도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거나,
    상기 덕트(3)는 가늘고 길며 팔각형 모양(423)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신바닥(1)에서의 구멍(2) 또한 대응하는 팔각형 모양(422)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424)와 상기 튜브(425)도 팔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는, 풋웨어 아이템.
  24.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풋웨어 아이템의 제조 방법으로서,
    앞 부분(201)과 뒤 부분(101)을 포함하는 신바닥(1)을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0)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풋웨어 아이템(0)의 앞 부분(200)과 뒤 부분(100) 상으로 열려 있는 구멍(2)을 형성하는 단계,
    개구(153)를 포함하는 덕트(3)를 포함하는 케이싱(3, 4)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케이싱(3, 4)이 누설밀봉되게 하기 위해, 상기 덕트(3)의 개구(153)를 밀폐되게 닫는 커버(4)를 상기 덕트(3)가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싱(3, 4)은 상기 구멍(2)으로의 삽입에 적합하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고, 상기 커버(4)는 상기 개구(153)를 거쳐 상기 덕트(3) 내로의 삽입에 적합하며 정보 또는 오브젝트의 저장을 허용하는 튜브(5)를 포함하는, 상기 제공하는 단계,
    상기 덕트(3)와 상기 신바닥(1)을 영구적으로 고착시키도록 상기 구멍(2) 내로 상기 덕트(3)를 삽입하고 상기 덕트(3)를 상기 신바닥(1)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커버(4)에 상기 튜브(5)를 영구적으로(105) 또는 제거 가능하게(205)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4)를 상기 덕트(3) 상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연속 단계들, 즉
    상기 튜브(5)를 포함하는 커버(4)를 상기 덕트(3)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버(4)가 상기 덕트(3)와 상기 구멍(3)의 마우스(mouth)를 닫도록, 상기 구멍(2) 내로 상기 케이싱(3, 4)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187038080A 2016-05-30 2016-09-08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풋웨어 아이템 KR201900323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93088A LU93088B1 (fr) 2016-05-30 2016-05-30 Chaussure comprenant un dispositif avec tube de stockage d'information ou d'objet
LU93088 2016-05-30
PCT/EP2016/071213 WO2017207073A1 (fr) 2016-05-30 2016-09-08 Chaussure comprenant un dispositif avec tube de stockage d'information ou d'obj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301A true KR20190032301A (ko) 2019-03-27

Family

ID=5629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8080A KR20190032301A (ko) 2016-05-30 2016-09-08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풋웨어 아이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10093037A1 (ko)
EP (1) EP3462960B1 (ko)
JP (1) JP6902054B2 (ko)
KR (1) KR20190032301A (ko)
CN (1) CN109414089B (ko)
AU (1) AU2016409297B2 (ko)
BR (1) BR112018074954B1 (ko)
CA (1) CA3025676A1 (ko)
ES (1) ES2821955T3 (ko)
LU (1) LU93088B1 (ko)
MX (1) MX2018014614A (ko)
PL (1) PL3462960T3 (ko)
RU (1) RU2709161C1 (ko)
WO (1) WO20172070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1069A (en) * 1927-02-19 1930-03-18 Blain Albert Footwear
US2507991A (en) * 1947-07-24 1950-05-16 Thomas E Neal Wedgie type shoe
US2478411A (en) * 1947-12-01 1949-08-09 Ruby M Martin Shoe
US2904901A (en) * 1959-01-14 1959-09-22 Goldstein Murray Receptacle heels for footwear
DE3014745A1 (de) * 1980-04-17 1981-10-22 Itw-Ateco Gmbh, 2000 Norderstedt Einstueckiges befestigungselement aus kunststoff (selbstzentrierender tannenbaumclip)
US4724628A (en) * 1986-01-03 1988-02-16 Schreiner Kevin E Heel jewelry
US5921003A (en) * 1996-11-18 1999-07-13 Kim; Insop Shoe with replaceable hygienic cartridge
US6094844A (en) * 1998-10-13 2000-08-01 Potts; Matthew K. Shoe pocket and method of use
US5996261A (en) * 1999-02-18 1999-12-07 Nelson; Mary K.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torage facility
US6050007A (en) * 1999-05-11 2000-04-18 Angelieri; Robert S. Lighted athletic shoe method and apparatus
GB2350279A (en) * 1999-05-24 2000-11-29 Internet World Sport Footwear with solid or gel medicament
US6289612B1 (en) * 2000-01-21 2001-09-18 Dorene Jean Kent Footwear having concealed storage cavity for personal items
US6243974B1 (en) * 2000-06-23 2001-06-12 Patrick N. Schaj Sandal having compartments therein
US6360779B1 (en) * 2001-04-11 2002-03-26 Aqueduct Utility Pipe Contractor, Inc. Closure device for a pipe/wall aperture
KR100423671B1 (ko) * 2001-06-16 2004-03-18 이응도 기록지 삽입기구
US6898875B2 (en) * 2003-07-24 2005-05-31 Kidsational, Inc. Shoe with drawer
US20070199209A1 (en) * 2006-01-17 2007-08-30 Jennifer Schreck Shoe with an integrated storage module
US7726046B2 (en) * 2008-04-04 2010-06-01 Kara Portnell Clock sandal
US20100095555A1 (en) * 2008-10-16 2010-04-22 Combs Jeffrey S Footware having integral compartment in sole for carrying items
CZ2009297A3 (cs) * 2009-05-14 2010-11-24 Zeman@Libor Ochranná obuv proti úcinkum nášlapných min s optimalizovanými konstrukcními soucástmi
RU92770U1 (ru) * 2009-12-23 2010-04-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ПГ ЭНЕРГОКОНТРАКТ" Ботинок
US8544196B2 (en) * 2010-08-20 2013-10-01 Susan Leo Shoe charm holder device
KR20120130396A (ko) * 2011-05-23 2012-12-03 박태원 중량체 탈부착 신발
JP4892644B1 (ja) * 2011-10-31 2012-03-07 有限会社イズミ産業 婦人靴のヒール固定構造
CN203028218U (zh) * 2013-01-21 2013-07-03 黄博 发声鞋
JP3183540U (ja) * 2013-03-05 2013-05-23 株式会社コマリヨー 重量調整可能な靴
US9314064B2 (en) * 2013-12-04 2016-04-19 Schawbel Technologies Llc Heated insole with removable heating assembly
CN203692654U (zh) * 2013-12-04 2014-07-09 林庆隆 储物鞋
US9339077B2 (en) * 2013-12-12 2016-05-17 Ashley Shuman Integral storage chamber for footwear
CN204015280U (zh) * 2014-07-22 2014-12-17 台州市万利泰鞋业有限公司 鞋子
LU93087B1 (fr) * 2016-05-30 2017-12-01 Global Secure Sa Chaussur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stockage d'information ou d'obj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8014614A (es) 2019-05-22
LU93088B1 (fr) 2017-12-01
JP2019517313A (ja) 2019-06-24
ES2821955T3 (es) 2021-04-28
CA3025676A1 (en) 2017-12-07
AU2016409297A1 (en) 2018-12-20
JP6902054B2 (ja) 2021-07-14
CN109414089A (zh) 2019-03-01
BR112018074954B1 (pt) 2021-10-19
WO2017207073A1 (fr) 2017-12-07
AU2016409297B2 (en) 2022-08-18
EP3462960A1 (fr) 2019-04-10
BR112018074954A2 (pt) 2019-03-12
EP3462960B1 (fr) 2020-07-08
CN109414089B (zh) 2021-10-22
US20210093037A1 (en) 2021-04-01
RU2709161C1 (ru) 2019-12-16
PL3462960T3 (pl)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430B1 (en) Easily transported contact lens care kit
AU764289B2 (en) Shoe with a pivotal counter portion
ES2732108T3 (es) Sistema de despliegue de un catéter urinario
US9339077B2 (en) Integral storage chamber for footwear
KR20190015401A (ko)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이템.
KR20190032301A (ko) 정보 또는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풋웨어 아이템
US20200368404A1 (en) Medical aspirator with improved safety
US4630596A (en) Emergency container for an accidentally amputated member
JP2019517314A5 (ko)
BR112020016441A2 (pt) Dispensador de comprimido
KR102234359B1 (ko) 의료용 흡인기
FR2627960A1 (fr) Botte gonflable munie d'une pompe mecanique
ES2613903B1 (es) Calzado con compartimento en la suela o tacón
BR102020023039A2 (pt) Aperfeiçoamento em calçado
KR20080005648U (ko) 유골함
BR112019001314B1 (pt) Dispositivo para personalização de fragrância
JP2018531111A6 (ja) 脊椎インプラントを安定的に組み立て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279015A (ja) 靴ひもの取付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