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359B1 - 의료용 흡인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359B1
KR102234359B1 KR1020190003271A KR20190003271A KR102234359B1 KR 102234359 B1 KR102234359 B1 KR 102234359B1 KR 1020190003271 A KR1020190003271 A KR 1020190003271A KR 20190003271 A KR20190003271 A KR 20190003271A KR 102234359 B1 KR102234359 B1 KR 102234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ly fluid
connector
fluid tube
bottom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912A (ko
Inventor
박종관
박준성
박준수
우선옥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359B1/ko
Priority to PCT/KR2019/000459 priority patent/WO2019139408A1/ko
Priority to CN201980008265.7A priority patent/CN111587131A/zh
Priority to US16/961,860 priority patent/US20200368404A1/en
Publication of KR2020008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M1/008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A61M1/0001
    • A61M1/002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4Containers with integrated suction means
    • A61M1/67Containers incorporating a piston-type member to create suction,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흡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흡인기의 내부로 체액이 유입되는 부분을 개선하여, 연결된 체액튜브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체액누출로 인한 의료사고를 방지하는 의료용 흡인기에 관한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부에 각각 가압판과 바닥판으로 형성되고 가압판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밀폐막에 의해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가압판과 바닥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가압판 또는 바닥판에 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에는 클램프를 구비한 연질의 배액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액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환자의 신체에 고정된 연질의 체액튜브가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와 체액튜브 사이에는 경질의 1차연결관이 연결부에 먼저 결합되고, 상기 1차연결관에는 연질의 2차연결관이 결합되어 체액튜브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흡인기{Wound Drainage Reservoir}
본 발명은 의료용 흡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흡인기의 내부로 체액이 유입되는 부분을 개선하여, 연결된 체액튜브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체액누출로 인한 의료사고를 방지하는 의료용 흡인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수술한 환자는 체내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혈액이나 삼출액을 바로 배출시키지 않으면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러한 혈액이나 삼출액을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헤모박(Hemovac) 또는 바로박(Barovac)이라고 불리는 의료용 흡인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의료용 흡인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저장용기의 상부에 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저장된 체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장용기 내부에는 저장용기의 형상을 유지하고 음압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에는 클램프가 구비된 배액관이 먼저 연결되고, 환자의 신체에 고정된 체액튜브가 배액관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입구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액튜브가 배액관에 직접 고정될 때 체액튜브와 배액관의 재질특성으로 인해 서로 분리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체액튜브는 사용에 있어서 구부러지기 쉽도록 연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액관 역시 구부러지기 쉬운 연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력이 떨어지고 환자의 움직임 또는 환자를 옮기는 과정에서 당기는 힘이 발생하였을 경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체액이 배액관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체액튜브와 배액관이 분리될 경우 환자의 체액이 튀거나 외부로 누출되어 의료진 또는 보호자의 2차 감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367004호(의료용 흡인기)에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차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가압판과;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밀폐막과;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어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체액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되, 인체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배액관;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가압판의 배출홀 주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스트랩과, 상기 제1스트랩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에 삽입되는 끼움관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끼움관 내부에 삽입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끼움관에 일체로연결되는 제2스트랩과, 상기 제2스트랩에 연결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삽입된 끼움관 상단을 밀폐하는 마개로 구성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저장용기에 연결되는 배액관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환자의 신체에 연결된 체액튜브와 배액관의 연결구조에 따른 문제점을 전혀 해결할 수 없으며, 상기 선행기술의 복잡한 결합구조는 체액튜브와 배액관의 연결구조에 적용하기 어려운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저장용기에 연결된 배액관과 환자의 신체에 연결된 체액튜브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약간의 당김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체액 누출에 따른 2차감염의 의료사고를 방지하고자 한 의료용 흡인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부에 각각 가압판과 바닥판으로 형성되고 가압판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밀폐막에 의해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가압판과 바닥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가압판 또는 바닥판에 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에는 클램프를 구비한 연질의 배액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액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환자의 신체에 고정된 연질의 체액튜브가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와 체액튜브 사이에는 경질의 1차연결관이 연결부에 먼저 결합되고, 상기 1차연결관에는 연질의 2차연결관이 결합되어 체액튜브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연결관은 2차연결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2차연결관은 체액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연결관은 양측에 각각 연결부와 2차연결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끼움부 사이에는 끼움부의 외경보다 더 돌출형성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는 일정각도로 테이퍼(Taper)진 복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쐐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연결관은 체액튜브가 삽입되는 방향의 내측에는 일정각도로 테이퍼진 복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쐐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질의 1차연결관과 강한 조임력을 갖는 연질의 2차연결관을 통해 체액튜브와 배액관이 의도치 않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연결부위의 체액누출을 막고 2차 감염과 같은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1차연결관 및 2차연결관의 재질특성 및 삽입구조에 의해서 결합력을 높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에 따른 복잡성이 없이 간편하게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흡인기 배액관에 체액튜브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흡인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1차연결관 및 2차연결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1차연결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1차연결관에 제1쐐기부가 더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1차연결관의 형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a), (b)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2차연결관에 제2쇄기부가 더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1차연결관 및 2차연결관이 결함홈과 결합돌부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흡인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에 각각 가압판(110)과 바닥판(120)으로 형성되고 가압판(110)과 바닥판(120)을 연결하는 밀폐막(130)에 의해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저장용기(100)와, 상기 가압판(110)과 바닥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S);으로 이루어지는 흡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저장용기(100)의 가압판(110) 또는 바닥판(120)에 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200)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00)에는 클램프(310)를 구비한 연질의 배액관(300)이 연결되고, 상기 배액관(300)에는 연결부(320)가 형성되어 환자의 신체에 고정된 연질의 체액튜브(T)가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액관(300)의 연결부(320)와 체액튜브(T) 사이에는 경질의 1차연결관(400)이 연결부(320)에 먼저 결합되고, 상기 1차연결관(400)에는 연질의 2차연결관(500)이 결합되어 체액튜브(T)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즉, 상기 1차연결관(400)은 2차연결관(5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2차연결관(500)은 체액튜브(T)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1차연결관(400)은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1차연결관(400)은 양측이 연질의 배액관(300) 연결부(320)와 2차연결관(500)에 각각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경질과 연질간의 결합이기 때문에 결합과정이 쉽게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1차연결관(400) 및 2차연결관(500)은 배액관(300)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연결부(320) 외에도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보조연결부(320')에도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조연결부(320')는 종래의 배액관에도 형성되어 있는 공지구성으로서,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다른 체액튜브(T)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1차연결관(40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연결부(320)와 2차연결관(5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끼움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끼움부(410) 사이에는 끼움부(410)의 외경보다 더 돌출형성된 손잡이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420)는 사용자가 삽입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돌출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손잡이부(420)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 돌기(4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410)는 외경의 크기가 연결부(320) 및 2차연결관(5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결합시 강한 결합력을 갖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부(410)의 형태가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삽입이 과정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끼움부(4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는 일정각도로 테이퍼(Taper)진 복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쐐기부(411)를 더 포함할경우,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제1쐐기부(411)는 1차연결관(400)과 마찬가지로 경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질의 연결부(320) 및 2차연결관(500)의 내부에서 강하게 밀착되고, 삽입방향으로 경사진 형태가 되어 삽입과정은 어렵지 않고 분리시에는 경사진 방향과 역방향이 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1차연결관(4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 또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연결관(400)의 끼움부(410)가 일정각도로 구부러진 형태로 구성하여 결합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구부러진 각도는 30도, 60도, 90도와 같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연결관(400)에서 2차연결관(500)이 결합되는 방향의 끼움부(410)가 2군데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 Y "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한군데의 연결부(320)에 2개의 체액튜브(T)가 연결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2차연결관(500)은 연질로 이루어져 한쪽은 1차연결관(400)이 삽입되고 다른 한쪽은 체액튜브(T)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결합되는 부분의 강한 조임력을 갖도록 2차연결관(500)의 내경은 1차연결관(400) 및 체액튜브(T)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차연결관(500)은 연질로 구성되는 것은 변함이 없지만 체액튜브(T)의 종류에 따라 체액튜브(T)가 삽입되는 내경의 크기 및 재질강도가 변경될 수 있다. 배액관(300)의 경우에는 저장용기에 결합되는 부분부터 연결부(320)까지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체액튜브(T)의 특성에 따라 즉각적인 설계변경이 어렵지만, 본 발명의 2차연결관(500)은 체액튜브(T)의 외경에 맞게 최적화된 크기로 재설계가 용이하고 체액튜브(T)의 재질강도를 고려하여 2차연결관(500)의 재질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2차연결관(500)과 체액튜브(T)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액튜브(T)가 삽입되는 방향의 내측에는 일정각도로 테이퍼진 복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쐐기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쐐기부(510) 역시 2차연결관(500)과 마찬가지로 연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튜브(T)의 삽입에 따라 휘어지면서 체액튜브(T)에 강하게 밀착된 형태가 되며, 제2쐐기부(510)가 삽입방향으로 경사진 형태가 되어 삽입과정은 어렵지 않고 분리시에는 경사진 방향과 역방향이 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2차연결관(500)과 체액튜브(T)의 분리를 추가로 방지하기 위해 체액튜브(T)가 결합되는 2차연결관(500)의 외측에 별도의 실, 끈, 클립, 벨크로타이와 같은 수단으로 더 고정할 수 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1차연결관(400) 및 2차연결관(500)은 의료현장에서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연결관(400) 및 2차연결관(500)이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어 의료현장에서 1차연결관(400)과 2차연결관(500)끼리의 결합과정 없이 곧바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1차연결관(400) 및 2차연결관(500)이 일체로 결합된 형태가 되려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연결관(400)의 끼움부(410) 외주면에 결합홈(430)이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2차연결관(500)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홈(430)에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돌부(520)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430)과 결합돌부(52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삽입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결합홈(430)과 결합돌부(520)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결합홈(430)과 결합돌부(520) 사이에 접착물질(미도시)을 먼저 도포한 다음 결합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저장용기 110 : 가압판
120 : 바닥판 130 : 밀폐막
200 : 유입구 300 : 배액관
310 : 클램프 320 : 연결부
400 : 1차연결관 410 : 끼움부
411 : 제1쐐기부 420 : 손잡이부
421 : 미끄럼방지 돌기 430 : 결합홈
500 : 2차연결관 510 : 제2쐐기부
520 : 결합돌부 T : 체액튜브

Claims (6)

  1. 상,하부에 각각 가압판(110)과 바닥판(120)으로 형성되고 가압판(110)과 바닥판(120)을 연결하는 밀폐막(130)에 의해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저장용기(100)와, 상기 가압판(110)과 바닥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S);으로 이루어지는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00)의 가압판(110) 또는 바닥판(120)에 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200)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00)에는 클램프(310)를 구비한 연질의 배액관(300)이 연결되고, 상기 배액관(300)에는 연결부(320)가 형성되어 환자의 신체에 고정된 연질의 체액튜브(T)가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320)와 체액튜브(T) 사이에는 경질의 1차연결관(400)이 연결부(320)에 먼저 결합되고, 상기 1차연결관(400)에는 연질의 2차연결관(500)이 결합되어 체액튜브(T)와 연결되며,
    상기 1차연결관(400)은 양측에 각각 상기 연결부(320)와 2차연결관(5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끼움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끼움부(410) 사이에는 끼움부(410)의 외경보다 더 돌출형성된 손잡이부(4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연결관(400)은 2차연결관(5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2차연결관(500)은 체액튜브(T)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410)는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410)의 외주면에는 일정각도로 테이퍼(Taper)진 복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쐐기부(4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연결관(500)은 체액튜브(T)가 삽입되는 방향의 내측에는 일정각도로 테이퍼진 복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쐐기부(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KR1020190003271A 2018-01-12 2019-01-10 의료용 흡인기 KR10223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71A KR102234359B1 (ko) 2019-01-10 2019-01-10 의료용 흡인기
PCT/KR2019/000459 WO2019139408A1 (ko) 2018-01-12 2019-01-11 안전성이 향상된 의료용 흡인기
CN201980008265.7A CN111587131A (zh) 2018-01-12 2019-01-11 提高安全性的医疗用吸引器
US16/961,860 US20200368404A1 (en) 2018-01-12 2019-01-11 Medical aspirator with improved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71A KR102234359B1 (ko) 2019-01-10 2019-01-10 의료용 흡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912A KR20200086912A (ko) 2020-07-20
KR102234359B1 true KR102234359B1 (ko) 2021-04-01

Family

ID=7183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271A KR102234359B1 (ko) 2018-01-12 2019-01-10 의료용 흡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3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569Y1 (ko) * 1995-01-25 1998-07-01 박혁준 수액셋트의 고무연결관과 튜브의 연결구
KR20140087616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무한기업 의료용 흡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912A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004B1 (ko) 의료용 흡인기
US7094220B2 (en) Catheter assembly including a catheter applicator
US20200086017A1 (en) Tubing connection system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US10137279B2 (en) Catheter guide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same
JP2018531759A (ja) 延長チューブ歪み除去
US9919133B1 (en) Surgical drain anchoring device
JP2017526501A (ja) 気道アダプタ用の洗浄ポート組立体
US9566425B2 (en) Line, in particular a line of a blood tubing system or of a blood bag system
US20110238022A1 (en) Corporeal drainage system
JPS5820635B2 (ja) カテ−テルヨウアダプタ
CN106310401B (zh) 带有o环的排液系统
US20220047784A1 (en) Drainage system with retention ring
KR102234359B1 (ko) 의료용 흡인기
US20200368404A1 (en) Medical aspirator with improved safety
KR101771227B1 (ko) 의료용 흡인기
KR102525143B1 (ko) 의료용 흡인기
KR20130002532U (ko) 분리방지형 수액세트 이음부
KR102630255B1 (ko) 배액관 폐쇄 방지 기능을 가진 배액관 고정기구
US20080234640A1 (en) Needle Arrangement for a Low Vacuum Wound Drainage System
KR20210001562A (ko) 의료용 흡인기
CN212880561U (zh) 一种防漏腹腔引流管
CN219558400U (zh) 一种组合式深静脉导管
CN213526695U (zh) 鼻胆管与引流袋的防脱密封连接结构
CN210992589U (zh) 一种多功能医用三通接头
KR200355714Y1 (ko) 밀폐형 흡인 배액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