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708A - 카메라 모듈용 소켓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708A
KR20190031708A KR1020170119465A KR20170119465A KR20190031708A KR 20190031708 A KR20190031708 A KR 20190031708A KR 1020170119465 A KR1020170119465 A KR 1020170119465A KR 20170119465 A KR20170119465 A KR 20170119465A KR 20190031708 A KR20190031708 A KR 20190031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socket
rotary
gea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100B1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1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100B1/ko
Priority to CN201810311073.0A priority patent/CN109524828A/zh
Publication of KR2019003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계 변경없이 다양한 크기의 카메라 모듈을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켓 내부에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크기와 무관하게 카메라 모듈을 정확한 광축 위치로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용 소켓{SOCKET FOR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계 변경없이 다양한 크기의 카메라 모듈을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켓 내부에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크기와 무관하게 카메라 모듈을 정확한 광축 위치로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근래 태블릿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폰, 장난감(toy)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은 소형화된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작은 사이즈의 카메라 모듈을 개발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 (Charge Coupled Device)나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계열의 이미지 센서 칩을 이용하여 제조하며, 이미지 센서 칩에 렌즈를 통하여 사물을 집광하여,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LCD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사물이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전달한다.
카메라 모듈은 각 부품의 조립이 완료된 후 OS (Open-Short) 테스트, 칼라 테스트 및 픽셀 테스트 등 모듈의 이상 유무에 대한 검사과정을 거치게 된다. 모듈의 성능 평가 시에는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그 특성을 평가하기 때문에, 실제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전자 부품과 동일한 작동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여, 카메라 모듈의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이와 같은 검사는 카메라 모듈이 안착될 수 있는 소켓을 마련하고, 이 소켓 내부에 카메라 모듈을 안착시킨 후, 카메라 모듈의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 받기 위한 핀들을 통전 가능한 상기 소켓의 단자들과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용 소켓은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카메라 모듈을 테스트할 경우에는 소켓 내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마련된 안착부에 테스트할 카메라 모듈을 안착시킨 후, 소켓을 닫아 카메라 모듈의 핀과 소켓의 단자들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소켓은 하부 몸체와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는데, 하부 몸체와 상부 덮개 각각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과 같은 기판이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이들 각각은 핀 유닛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하부 몸체에 구비된 안착부에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후 상부 덮개가 하부 몸체를 덮었을 때 통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하부 몸체에 구비된 안착부로 카메라 모듈을 안착시키는 행위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지거나, 오토 핸들러 등과 같은 기구에 의해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용 소켓의 하부 몸체(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하부 몸체(10)에 마련된 제1 안착부(11)와 제2 안착부(1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CM)은 일 단에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기판부(CM2), 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 신호를 굴절시켜 기판부(CM2)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로 전달하는 렌즈부(CM1) 및 기판부(CM2)의 타단에 구비된 커넥터(CM3)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CM)은 광 신호가 렌즈부(CM1)에 수신되면, 광 신호는 이미지 센서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전기 신호는 기판부(CM2)를 거쳐 커넥터(CM3)를 통해 카메라 모듈(CM)의 외부로 전송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CM)이 안착되는 하부 몸체(10)에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CM1)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와 카메라 모듈의 기판부(CM2) 및 커넥터(CM3)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12)가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안착부는 안착된 카메라 모듈(CM)이 내부에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CM)의 치수, 예를 들어, 렌즈부(CM1)의 크기, 기판부(CM2)의 길이 또는 커넥터(CM3)의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설계된다.
이에 따라, 만약 소켓에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CM)의 치수가 바뀔 경우 안착부를 새로이 설계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안착부의 크기를 카메라 모듈(CM)의 치수 대비 여유있게 설계할 경우, 카메라 모듈(CM)이 정확한 광축 위치에 안착되지 않음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치수의 카메라 모듈이 정확한 광축 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은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제1 안착부의 사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의 사측 모서리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제1 고정 부재의 이동이 동기화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고정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안착부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이 정확한 광축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안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설치된 제1 회전 기어,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회전 기어, 상기 제1 회전 기어와 상기 제2 회전 기어를 연동하여 상기 제1 회전 기어의 동력을 상기 제2 회전 기어로 전달하는 제1 회전 벨트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와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제2 회전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연동 캠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회전축에 설치된 제1 회전 기어가 회전할 경우, 제1 회전 벨트에 의해 제1 회전 기어의 동력이 제2 회전 기어로 전달되어 제2 회전 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어서, 제2 회전 기어가 회전할 경우, 제1 연동 캠이 원호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연결된 제1 고정 부재를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를 향하거나 렌즈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 제2 회전 기어 쌍은 하나의 제1 회전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렌즈부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를 향해 다가오는 두 개의 제1 고정 부재의 이동이 동기화(즉, 이동 속도가 동일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1 고정 부재가 렌즈부의 모서리에 접촉한 후 외력을 가함에 따라 렌즈부가 정확한 광축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안착부는 하나의 제1 회전축에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된 두 개의 제1 회전 벨트를 포함하며, 이 때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두 제2 회전 기어 쌍은 각각 하나의 제1 회전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축에 설치된 제1 회전 기어가 회전할 경우, 두 개의 제1 회전 벨트에 의해 제1 회전 기어의 동력이 제1 안착부의 사측 모서리 부분에 인접한 제2 회전 기어로 전달되어 모든 제2 회전 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 안착부의 사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총 두 제2 회전 기어 쌍은 두 개의 제1 회전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렌즈부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를 향해 다가오는 네 개의 제1 고정 부재의 이동이 동기화(즉, 이동 속도가 동일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의 하부에 두 개의 제1 회전축이 구비되며, 하나의 제1 회전축당 하나의 제1 회전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기어와 상기 제2 회전 기어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부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안착부에 대한 상기 제2 안착부의 상대 거리가 달라지도록 구현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 적용된 기판부의 길이에 따라 제2 안착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안착부는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의 양 측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의 양 측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안착부는 상기 제2 안착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설치된 제3 회전 기어,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3 회전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4 회전 기어, 상기 제3 회전 기어와 상기 제4 회전 기어를 연동하여 상기 제3 회전 기어의 동력을 상기 제4 회전 기어로 전달하는 제2 회전 벨트 및 상기 제4 회전 기어와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제4 회전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 연동 캠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회전축에 설치된 제3 회전 기어가 회전할 경우, 제2 회전 벨트에 의해 제3 회전 기어의 동력이 제4 회전 기어로 전달되어 제4 회전 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어서, 제4 회전 기어가 회전할 경우, 제2 연동 캠이 원호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연결된 제2 고정 부재를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를 향하거나 커넥터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의 양 측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4 회전 기어 쌍은 하나의 제2 회전 벨트에 의해 상기 제3 회전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커넥터의 양 측을 향해 다가오는 두 개의 제2 고정 부재의 이동이 동기화(즉, 이동 속도가 동일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2 고정 부재가 커넥터의 일 측에 접촉한 후 외력을 가함에 따라 커넥터가 정확한 연결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에는 렌즈부의 사측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제1 고정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제1 고정 부재의 이동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렌즈부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 가능한 제1 안착부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에는 커넥터의 양 측을 고정하기 위해 제2 고정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제2 고정 부재의 이동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커넥터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 가능한 제2 안착부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안착부에 대한 제2 안착부의 상대 거리 역시 조절 가능하므로, 카메라 모듈의 기판부의 길이가 변하더라도 설계 변경없이 소켓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를 고정하는 복수의 제1 고정 부재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를 고정하는 복수의 제2 고정 부재의 이동은 동기화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 또는 커넥터의 일부에 가해지는 외력의 불균형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정확한 광축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용 소켓의 하부 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용 소켓의 하부 몸체에 마련된 제1 안착부와 제2 안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의 몸체에 마련된 제1 안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안착부에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가 안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의 몸체에 마련된 제1 안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의 몸체에 마련된 제2 안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안착부에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가 안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은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 몸체와 몸체 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상부 덮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덮개는 몸체 상에 힌지식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다른 다양한 개폐 방식을 사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몸체와 상부 덮개 각각에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기판이 구비되고, 이들 각각은 핀 유닛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하부 몸체에 구비된 안착부에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후 상부 덮개가 하부 몸체를 덮었을 때 통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하부 몸체에 구비된 안착부로 카메라 모듈을 안착시키는 행위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지거나, 오토 핸들러 등과 같은 기구에 의해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카메라 모듈이 안착될 수 있는 범용 소켓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은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가 구비된 몸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편의상 상부 덮개 및 몸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의 몸체에 마련된 제1 안착부(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제1 안착부(110)에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가 안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는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0)의 사측 모서리 부분에는 제1 안착부(110)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의 사측 모서리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제1 고정 부재(111; 111a, 111b)가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제1 고정 부재(111)의 이동은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표시된 두 개의 제1 고정 부재(111a)의 이동이 동기화되며, 나머지 두 개의 제1 고정 부재(111b)의 이동은 제1 고정 부재(111a) 쌍과 별개로 동기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안착부(110)의 하부에는 제1 회전축(112)이 구비되며, 제1 회전축(112)에는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제1 회전축(112)이 회전할 때 이에 맞물려 회전 가능한 제1 회전 기어(113)가 구비된다.
또한, 제1 고정 부재(111)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2 회전 기어(114a, 114b)가 구비되며, 제1 회전 기어(113)와 제2 회전 기어(114a, 114b)는 제1 회전 벨트(115a, 115b)에 의해 연동된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벨트(115a, 115b)는 제1 회전 기어(113)와 제2 회전 기어(114a, 114b)와 맞물려 회전 가능한 기어식 벨트로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 벨트(115a, 115b)에 의해 제2 회전 기어(114a, 114b)는 제1 회전 기어(11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즉, 제1 회전축(112)에 설치된 제1 회전 기어(113)가 회전할 경우, 제1 회전 벨트(115a, 115b)에 의해 제1 회전 기어(113)의 동력이 제2 회전 기어(114a, 114b)로 전달되어 제2 회전 기어(114a, 114b)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2 회전 기어(114a, 114b)에는 제1 연동 캠(116; 116a, 116b, 116c)의 일 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 연동 캠(116; 116a, 116b, 116c)의 타 단은 제1 고정 부재(111a, 111b)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 기어(114a, 114b)가 회전할 경우, 제1 연동 캠(116; 116a, 116b, 116c)이 원호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연결된 제1 고정 부재(111a, 111b)를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를 향하거나 렌즈부(CM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하나의 제2 회전 기어(114a, 114b)에는 복수의 제1 연동 캠(116; 116a, 116b, 116c)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1 연동 캠(116; 116a, 116b, 116c)의 일 단은 제2 회전 기어(114a, 114b)에 설치되며, 타 단은 제1 고정 부재(111a, 111b)에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11a, 111b)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1 연동 캠(116; 116a, 116b, 116c)은 제2 회전 기어(114a, 114b)의 회전에 의해 제1 연동 캠(116; 116a, 116b, 116c)이 설치된 방사 모양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연동 캠(116; 116a, 116b, 116c)의 타 단은 제1 고정 부재(111a, 111b) 상에서 별도의 가이드 부재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제2 회전 기어(114a, 114b)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제1 연동 캠(116; 116a, 116b, 116c)은 원호를 따라 회전하나, 복수의 제1 연동 캠(116; 116a, 116b, 116c)의 타 단에 연결된 제1 고정 부재(111a, 111b)는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를 향하거나 렌즈부(CM1)로부터 멀어지는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0)에는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의 사측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제1 고정 부재(111a, 111b)가 구비되며, 제1 회전 기어(113)의 회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1 고정 부재(111a, 111b)의 이동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 가능한 제1 안착부(110)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 제2 회전 기어(114a, 114b) 쌍은 하나의 제1 회전 벨트(115a, 115b)에 의해 제1 회전 기어(11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를 향해 다가오는 두 개의 제1 고정 부재(111a 쌍 또는 111b 쌍)의 이동이 동기화(즉, 이동 속도가 동일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1 고정 부재가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의 모서리에 접촉한 후 외력을 가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가 정확한 광축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고정 부재(111a, 111b)의 이동을 동기화함으로써 복수의 제1 고정 부재(111a, 111b)에 의해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에 각각 가해지는 외력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에 접촉하는 제1 고정 부재(111)의 내측에는 렌즈부(CM1)의 위치 또는 렌즈부(CM1)의 사측 모서리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에 접촉하는 제1 고정 부재(111)의 내측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제1 고정 부재(111)가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에 접촉할 때 가해지는 외력을 줄이거나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착부(110)는 하나의 제1 회전축(112)에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된 두 개의 제1 회전 벨트(115a, 115b)를 포함하며, 이 때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두 제2 회전 기어(114a, 114b) 쌍은 각각 하나의 제1 회전 벨트(115a, 115b)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기어(11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축(112)에 설치된 제1 회전 기어(113)가 회전할 경우, 두 개의 제1 회전 벨트(115a, 115b)에 의해 제1 회전 기어(113)의 동력이 제1 안착부(110)의 사측 모서리 부분에 인접한 제2 회전 기어(114a, 114b)로 전달되어 모든 제2 회전 기어(114a, 114b)를 회전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 안착부(110)의 사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총 두 제2 회전 기어(114a, 114b) 쌍은 두 개의 제1 회전 벨트(115a, 115b)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기어(11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를 향해 다가오는 네 개의 제1 고정 부재의 이동이 동기화(즉, 이동 속도가 동일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의 몸체에 마련된 제1 안착부(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착부(110)의 하부에 두 개의 제1 회전축(112a, 112b)이 구비되며, 하나의 제1 회전축(112a, 112b)당 하나의 제1 회전 벨트(115a, 115b)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기어(113)와 상기 제2 회전 기어(114a, 114b)가 연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0)의 중심 부분의 하부에는 제1 회전축(112a, 112b)이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기구를 배치할 여유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부(110)의 중심 부분의 하부에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의 몸체에 마련된 제2 안착부(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제2 안착부(120)에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가 안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120)의 양 측과 인접한 위치에는 제2 안착부(120)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의 양 측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두 개의 제2 고정 부재(121a, 121b)가 각각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안착부(120)는 제2 안착부(120)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베이스(122)를 포함하며, 베이스(122) 상에는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제2 회전축(123)이 회전할 때 이에 맞물려 회전 가능한 제3 회전 기어(124)가 제2 회전축(123)에 마련된다.
또한, 베이스(122) 상에는 제2 고정 부재(121a, 121b)와 인접한 위치에 제4 회전 기어(125)가 구비되며, 제3 회전 기어(124)와 제4 회전 기어(125)는 제2 회전 벨트(126)에 의 해 연동된다. 예를 들어, 제2 회전 벨트(126)는 제3 회전 기어(124)와 제4 회전 기어(125)와 맞물려 회전 가능한 기어식 벨트로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회전 벨트(126)에 의해 제4 회전 기어(125)는 제3 회전 기어(1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즉, 제2 회전축(123)에 설치된 제3 회전 기어(124)가 회전할 경우, 제2 회전 벨트(126)에 의해 제3 회전 기어(124)의 동력이 제4 회전 기어(125)로 전달되어 제4 회전 기어(125)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4 회전 기어(125)에는 제2 연동 캠(127; 127a, 127b, 127c)의 일 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2 연동 캠(127; 127a, 127b, 127c)의 타 단은 제2 고정 부재(121a, 121b)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4 회전 기어(125)가 회전할 경우, 제2 연동 캠(127; 127a, 127b, 127c)이 원호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연결된 제2 고정 부재(121a, 121b)를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의 양 측을 향하거나 커넥터(CM3)의 양 측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하나의 제4 회전 기어(125)에는 복수의 제2 연동 캠(127; 127a, 127b, 127c)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2 연동 캠(127; 127a, 127b, 127c)의 일 단은 제4 회전 기어(125)에 설치되며, 타 단은 제2 고정 부재(121a, 121b)에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121a, 121b)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2 연동 캠(127; 127a, 127b, 127c)은 제4 회전 기어(125)의 회전에 의해 제2 연동 캠(127; 127a, 127b, 127c)이 설치된 방사 모양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2 연동 캠(127; 127a, 127b, 127c)의 타 단은 제2 고정 부재(121a, 121b) 상에서 별도의 가이드 부재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제4 회전 기어(125)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제2 연동 캠(127; 127a, 127b, 127c)은 원호를 따라 회전하나, 복수의 제2 연동 캠(127; 127a, 127b, 127c)의 타 단에 연결된 제2 고정 부재(121a, 121b)는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의 양 측을 향하거나 커넥터(CM3)의 양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120)에는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의 양 측을 고정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제2 고정 부재(121a, 121b)가 구비되며, 제3 회전 기어(124)의 회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2 고정 부재(121a, 121b)의 이동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 가능한 제2 안착부(120)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의 양 측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제2 고정 부재(121a, 121b)의 이동은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의 양 측과 인접한 위치에 각각 배치된 제4 회전 기어(125) 쌍은 하나의 제2 회전 벨트(126)에 의해 제3 회전 기어(1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의 양 측을 향해 다가오는 두 개의 제1 고정 부재(121a, 121b)의 이동이 동기화(즉, 이동 속도가 동일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2 고정 부재가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의 일 측에 접촉한 후 외력을 가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가 정확한 연결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에 접촉하는 제2 고정 부재(121a, 121b)의 내측에는 커넥터(CM3)의 위치 또는 커넥터(CM3)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에 접촉하는 제2 고정 부재(121a, 121b)의 내측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제2 고정 부재(121a, 121b)가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에 접촉할 때 가해지는 외력을 줄이거나 카메라 모듈(CM)의 커넥터(CM3)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소켓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부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안착부(110)에 대한 상기 제2 안착부(120)의 상대 거리가 달라지도록 구현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 적용된 기판부의 길이에 따라 제2 안착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22) 상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랙 기어(129)와 이와 치합된 제5 회전 기어(128)가 구비된다. 제5 회전 기어(128)는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제5 회전 기어(128)의 회전 방향에 따라 베이스(122)는 카메라 모듈(CM)의 렌즈부(CM1)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기판부, 상기 기판부의 일 단에 구비된 커넥터 및 상기 기판부의 타 단에 구비된 렌즈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소켓으로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제1 안착부의 사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의 사측 모서리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 고정 부재;
    를 포함하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제1 고정 부재의 이동이 동기화된,
    카메라 모듈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안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설치된 제1 회전 기어;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회전 기어;
    상기 제1 회전 기어와 상기 제2 회전 기어를 연동하여 상기 제1 회전 기어의 동력을 상기 제2 회전 기어로 전달하는 제1 회전 벨트;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와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제2 회전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연동 캠;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 제2 회전 기어 쌍은 하나의 제1 회전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카메라 모듈용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안착부는 하나의 제1 회전축에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된 두 개의 제1 회전 벨트를 포함하며,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두 제2 회전 기어 쌍은 각각 하나의 제1 회전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카메라 모듈용 소켓.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의 하부에 두 개의 제1 회전축이 구비되며,
    하나의 제1 회전축당 하나의 제1 회전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기어와 상기 제2 회전 기어가 연동되는,
    카메라 모듈용 소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에 접촉하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렌즈부의 모서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용 소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에 접촉하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내측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용 소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부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안착부에 대한 상기 제2 안착부의 상대 거리가 달라지도록 이동 가능한,
    카메라 모듈용 소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의 양 측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의 양 측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소켓.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2 안착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설치된 제3 회전 기어;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3 회전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4 회전 기어;
    상기 제3 회전 기어와 상기 제4 회전 기어를 연동하여 상기 제3 회전 기어의 동력을 상기 제4 회전 기어로 전달하는 제2 회전 벨트; 및
    상기 제4 회전 기어와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제4 회전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 연동 캠;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소켓.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에 접촉하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의 양 측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용 소켓.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에 접촉하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내측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20170119465A 2017-09-18 2017-09-18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252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465A KR102527100B1 (ko) 2017-09-18 2017-09-18 카메라 모듈용 소켓
CN201810311073.0A CN109524828A (zh) 2017-09-18 2018-04-09 用于相机模块的插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465A KR102527100B1 (ko) 2017-09-18 2017-09-18 카메라 모듈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08A true KR20190031708A (ko) 2019-03-27
KR102527100B1 KR102527100B1 (ko) 2023-05-02

Family

ID=6576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465A KR102527100B1 (ko) 2017-09-18 2017-09-18 카메라 모듈용 소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7100B1 (ko)
CN (1) CN109524828A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21A (ko) * 2004-04-20 2005-10-25 미래산업 주식회사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초점 검사용 인덱스테이블
KR20100027849A (ko) * 2008-09-03 2010-03-11 주식회사 엔티에스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20100059092A (ko) * 2008-11-25 2010-06-04 주식회사 엔티에스 카메라모듈의 이미지센서 검사용 소켓
KR20100064510A (ko) * 2008-12-05 2010-06-15 한국기계연구원 모델 적응형 카메라모듈 테스트소켓 및 그 테스트소켓을 이용한 카메라모듈 변화에 따른 적응방법
KR101316809B1 (ko) * 2013-05-07 2013-10-11 프라임텍 주식회사 내구성과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킨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341380B1 (ko) * 2012-08-28 2013-12-13 김대봉 Uv led 내장형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20140021913A (ko) * 2012-08-13 2014-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529600B1 (ko) * 2014-08-20 2015-06-19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584967B1 (ko) * 2015-12-14 2016-01-14 (주) 네스텍코리아 4방향 측면 접속기능을 갖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WO2016153193A1 (ko) * 2015-03-20 2016-09-29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렌즈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683070B1 (ko) * 2016-09-27 2016-12-06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카메라 모듈 검사용 Face-Front 소켓
KR101685468B1 (ko) * 2015-08-29 2016-12-14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WO2017095071A1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20170078179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엔티에스 카메라모듈 테스트소켓
KR20170078178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엔티에스 카메라모듈 테스트소켓
KR101801711B1 (ko) * 2017-07-07 2017-12-06 주식회사 티씨에스 직선방향 접속형 전자부품 테스트 소켓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21A (ko) * 2004-04-20 2005-10-25 미래산업 주식회사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초점 검사용 인덱스테이블
KR20100027849A (ko) * 2008-09-03 2010-03-11 주식회사 엔티에스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20100059092A (ko) * 2008-11-25 2010-06-04 주식회사 엔티에스 카메라모듈의 이미지센서 검사용 소켓
KR20100064510A (ko) * 2008-12-05 2010-06-15 한국기계연구원 모델 적응형 카메라모듈 테스트소켓 및 그 테스트소켓을 이용한 카메라모듈 변화에 따른 적응방법
KR20140021913A (ko) * 2012-08-13 2014-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341380B1 (ko) * 2012-08-28 2013-12-13 김대봉 Uv led 내장형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316809B1 (ko) * 2013-05-07 2013-10-11 프라임텍 주식회사 내구성과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킨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529600B1 (ko) * 2014-08-20 2015-06-19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WO2016153193A1 (ko) * 2015-03-20 2016-09-29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렌즈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685468B1 (ko) * 2015-08-29 2016-12-14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WO2017095071A1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1584967B1 (ko) * 2015-12-14 2016-01-14 (주) 네스텍코리아 4방향 측면 접속기능을 갖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KR20170078179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엔티에스 카메라모듈 테스트소켓
KR20170078178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엔티에스 카메라모듈 테스트소켓
KR101683070B1 (ko) * 2016-09-27 2016-12-06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카메라 모듈 검사용 Face-Front 소켓
KR101801711B1 (ko) * 2017-07-07 2017-12-06 주식회사 티씨에스 직선방향 접속형 전자부품 테스트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100B1 (ko) 2023-05-02
CN109524828A (zh)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070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Face-Front 소켓
KR20140021913A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0421370B1 (ko) 전자기기의 에프피씨 연결 구조 및 전자기기용 에프피씨
KR101871648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유닛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KR20110051970A (ko) 카메라 모듈 검사 및 초점 조정장치
CN101267500A (zh) 具有旋转显示器的数字图像处理装置
US9491343B2 (en) Lens driving assembly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633449A1 (en) Imaging device
US10306150B2 (en) Electronic apparatus that displays image suitable for opened/closed state and rotated state of display unit
CN106200253B (zh) 摄像模组眩光测试机台及眩光测试方法
KR20150122643A (ko) 회전식 카메라 모듈 테스트 시스템
EP2534816A1 (en)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90031708A (ko)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2527104B1 (ko) 카메라 모듈용 소켓
US8208062B2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CN101223774B (zh) 小型摄像机用开闭装置
KR20120083824A (ko) 플래시 모듈 및 영상 캡쳐링 장치
US7607931B2 (en) Test socket adjustable to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s of different sizes
US9781317B2 (en) Rotation detecting device, camera equipped with the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camera
KR20220000785A (ko) 카메라 모듈
KR20190026159A (ko)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20180019449A (ko) 카메라 모듈용 소켓
CN108803229B (zh) 相机模块检查用插座单元
KR200471077Y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CN208872246U (zh) 一种连接器的全自动ccd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