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296A -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296A
KR20190031296A KR1020197004866A KR20197004866A KR20190031296A KR 20190031296 A KR20190031296 A KR 20190031296A KR 1020197004866 A KR1020197004866 A KR 1020197004866A KR 20197004866 A KR20197004866 A KR 20197004866A KR 20190031296 A KR20190031296 A KR 20190031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table posture
operating
magnetiz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547B1 (ko
Inventor
노부유키 니노미야
다츠아키 가와세
슈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6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flux distributors, and both coil systems and magnets stationa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9/00Gen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 desired non-sinusoidal wave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조작 부재의 동작 속도에 관계없이, 자석을 갖는 회동체를 급속하게 회동시켜, 기전력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조작축 (33) 과 슬라이드부 (32) 가 눌러내려가면, 가압 부재 (34) 의 가압 작용부 (43) 가, 회동체 (20) 의 제 1 피가압부 (41) 에 맞닿는다. 또한, 슬라이드부 (32) 가 하강하면, 슬라이드부 (32) 와 가압 부재 (34) 사이의 전환 스프링 부재 (36) 가 수축되고,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부재 (34) 가 회동체 (20) 를 반시계 방향으로 신속하게 회동시킨다. 그 때문에, 코일 자심 (13) 내의 자속의 방향이 급격하게 변화되어, 발전 코일 (15) 에 기전력이 유도된다.

Description

발전 장치
본 발명은, 조작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자로 (磁路) 형성 부재 내의 자속의 방향을 변화시켜, 발전용 코일에 기전력을 유도하는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 발전 입력 장치에 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발전 입력 장치는, 자로 형성 부재를 갖고 있다. 자로 형성 부재는 제 1 아암부와 제 2 아암부를 갖고 있고, 각각의 아암부의 주위에 감겨진 발전 코일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아암부와 제 2 아암부의 사이에 구동체 (회동체) 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체는, 제 1 착자면과 제 2 착자면을 갖는 자석과, 제 1 착자면에 고착된 제 1 자화 부재 및 제 2 착자면에 고착된 제 2 자화 부재를 갖고 있다.
구동체는, 제 1 자화 부재가 제 1 아암부에 대향하고 제 2 자화 부재가 제 2 아암부에 대향하는 제 1 자세와, 제 1 자화 부재가 제 2 아암부에 대향하고 제 2 자화 부재가 제 1 아암부에 대향하는 제 2 자세에서 안정 상태가 된다.
조작 부재에 의해 동작되는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 장공 (長孔) 이 형성되고, 구동체에 형성된 연결 핀이 연결 장공에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조작 부재가 눌리면, 그 가압력이 제 1 탄성 부재를 통하여 슬라이드 부재에 전달되고, 상기 연결 장공과 연결 핀이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드 부재의 움직임이 구동체의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구동체가 회전하여, 제 1 자세로부터 제 2 자세로 변화할 때에 자로 형성 부재 내의 자속의 방향이 변화되고, 발전 코일에 기전력이 유도된다. 조작 부재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제 2 탄성 부재의 탄성력으로 슬라이드 부재가 복귀된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의 복귀력으로 구동체가 제 2 자세로부터 제 1 자세로 회동 (回動) 하고, 자로 형성 부재 내의 자속의 방향이 다시 변화되어, 이 때에도 발전 코일에 기전력이 유도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39267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발전 입력 장치는, 조작 부재가 눌릴 때, 그 가압력이 제 1 탄성 부재를 통하여 슬라이드 부재에 작용하고, 제 1 탄성 부재의 보조력이 가해짐으로써, 구동체의 자세가 변화되는 속도를 보다 빠르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전 입력 장치에서는, 제 2 탄성 부재의 탄성력으로 슬라이드 부재가 상방으로 복귀될 때에, 조작 부재에 부여되어 있는 가압력이 완전하게 해제되어 있지 않으면, 제 1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체의 자세가 변화하는 속도가 느려져, 발전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조작 부재의 가압 속도 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항상 전환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으로, 안정 상태의 회동체를 신속히 회동시켜, 큰 기전력을 얻을 수 있는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발전 장치는, 제 1 대향 단부와 제 2 대향 단부를 갖는 자로 형성 부재와, 상기 자로 형성 부재 내의 자속의 변화로 기전력이 유도되는 발전용 코일과, 상기 제 1 대향 단부와 상기 제 2 대향 단부의 대향 공간 내에 위치하는 회동체를 갖고,
상기 회동체는, 서로 반대의 자극 (磁極) 이 되는 제 1 착자면과 제 2 착자면을 갖는 자석과, 상기 제 1 착자면에 고착된 자성 재료제의 제 1 자화 부재와, 상기 제 2 착자면에 고착된 자성 재료제의 제 2 자화 부재를 갖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제 1 자화 부재가 상기 제 1 대향 단부에 대향하고 상기 제 2 자화 부재가 상기 제 2 대향 단부에 대향하는 제 1 안정 자세와, 상기 제 1 자화 부재가 상기 제 2 대향 단부에 대향하고 상기 제 2 자화 부재가 상기 제 1 대향 단부에 대향하는 제 2 안정 자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고,
상기 회동체를 상기 제 2 안정 자세를 향하게 하여 가압하는 제 1 가압 방향과, 상기 회동체를 상기 제 1 안정 자세를 향하게 하여 가압하는 제 2 가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압 부재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조작 부재를 갖고,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는, 상기 조작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가압 부재를 제 1 가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회동체를 상기 제 2 안정 자세를 향하게 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조작 부재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가압 부재를 제 2 가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회동체를 상기 제 1 안정 자세를 향하게 하여 동작시키는 전환 스프링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전 장치는, 상기 조작 부재를, 제 2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전 장치는,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와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는 모두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와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는 권취 중심선이 서로 평행하고, 권취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와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 장치는,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는 2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는, 2 개의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전 장치는, 상기 조작 부재에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의 양 단부의 각각의 일부와 맞닿을 수 있는 1 쌍의 스프링 맞닿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는,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의 상기 양 단부의 각각의 다른 부분과 맞닿을 수 있는 1 쌍의 탄성력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 부재가 이동할 때에, 일방의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와 일방의 상기 탄성력 작용부 사이에서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가압 부재가 제 1 가압 방향 또는 제 2 가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 장치는, 상기 회동체에는, 회동 방향으로 대향하는 1 쌍의 피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상기 1 쌍의 피가압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회동체가 제 1 안정 자세일 때와 제 2 안정 자세일 때에, 상기 가압 작용부가, 1 쌍의 상기 피가압부의 쌍방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전 장치는, 상기 회동체가, 2 개의 상기 자석과 상기 제 1 자화 부재 및 상기 제 2 자화 부재를 유지하는 비자성 재료제의 유지 구조부를 갖고, 금속제의 지지축이 2 개의 상기 자석 사이에서 상기 유지 구조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발전 장치는, 프레임체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가 상기 프레임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축의 양 단부가 상기 프레임체에 지지되고, 상기 자로 형성 부재의 상기 제 1 대향 단부와 상기 제 2 대향 단부가, 상기 프레임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전 장치는, 회동체를 제 1 안정 자세와 제 2 안정 자세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가 형성되고, 조작 부재와 가압 부재 사이에 전환 스프링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도, 전환 스프링 부재의 탄성 에너지만으로, 회동 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부재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조작 속도나,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조작 속도와 무관하게, 회동체를 2 개의 안정 자세 사이에서 신속히 회동시킬 수 있어, 큰 발전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 회동체에 회동 방향으로 1 쌍의 피가압부를 형성하고, 가압 부재에 상기 1 쌍의 피가압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작용부를 형성하면, 종래와 같은 연결 장공과 연결 핀 등의 동력 변환 기구를 형성하지 않고, 가압 부재로부터 회동체에 직접 가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조작력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더욱 장치를 소형화하기 쉬워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발전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발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발전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발전 장치에 형성된 조작 부재와 가압 부재 및 전환 스프링 부재와 복귀 스프링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회동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의 발전 장치의 단면도로서,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은 실시형태의 발전 장치의 단면도로서, 조작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은 실시형태의 발전 장치의 단면도로서, 제 1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 부재에 의해 회동체가 제 1 안정 자세로부터 회동되고 있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 9 는 실시형태의 발전 장치의 단면도로서, 조작 부재가 제 1 방향의 종단으로 이동하고, 회동체가 제 2 안정 자세로 회동을 완료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 은 실시형태의 발전 장치의 단면도로서, 조작 부재가 제 2 방향으로 복귀 이동하기 시작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 은 실시형태의 발전 장치의 단면도로서, 조작 부재가 제 2 방향으로 복귀 이동하고, 회동체가 제 2 안정 자세로부터 회동하기 시작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전 장치 (1) 는, 제 1 케이스 (2) 와 제 2 케이스 (3) 로 케이싱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 (2) 와 제 2 케이스 (3) 는, 합성 수지제이다. 제 1 케이스 (2) 는, 내부에 수납 공간 (4) 을 갖고, 상단부에 개구부 (4a)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케이스 (3) 는, 사각형의 덮개체부 (5) 와 덮개체부 (5) 의 각각의 모서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 레그부 (6)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덮개체부 (5) 에 관통공 (5a) 이 개구되어 있다.
제 1 케이스 (2) 의 외면 모서리부에는, 걸림 돌기 (2a)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 레그부 (6) 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걸림 장공 (6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 레그부 (6) 를 제 1 케이스 (2) 의 외측에 설치하고, 각각의 걸림 장공 (6a) 을 걸림 돌기 (2a) 에 걸리게 하면, 제 1 케이스 (2) 의 개구부 (4a) 가 제 2 케이스 (3) 의 덮개체부 (5) 로 막혀 케이싱이 조립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2) 와 제 2 케이스 (3) 로 구성되는 케이싱의 내부에, 자로 형성 부재 (10) 와, 자로 형성 부재 (10) 의 일부에 삽입된 발전 코일 (15) 과, 자로 형성 부재 (10) 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조합된 회동체 (20) 와, 조작력 전달부 (30) 가 수납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로 형성 부재 (10) 는, 상부 자성 요크 (11) 와, 하부 자성 요크 (12), 및 Y2 측에 있어서 상부 자성 요크 (11) 와 하부 자성 요크 (12) 의 쌍방에 끼워맞추는 코일 자심 (13) 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자성 요크 (11) 와 하부 자성 요크 (12) 및 코일 자심 (13) 은, 자성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발전 코일 (15) 은, 피복 도선이 코일 자심 (13) 의 주위를 복수 턴으로 주회 (周回)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 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자성 요크 (12) 와 코일 자심 (13) 의 접합부는 합성 수지제의 하부 홀더 (14) 에 유지되어 있다. 하부 홀더 (14) 에 1 쌍의 단자 (16) 가 유지되어 있고, 발전 코일 (15) 을 구성하는 피복 도선의 양 단부는, 각각 단자 (16) 에 납땜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로 형성 부재 (10) 와 발전 코일 (15) 이 제 1 케이스 (2) 의 내부에 수납되면, 1 쌍의 단자 (16) 는, 제 1 케이스 (2) 의 바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로 형성 부재 (10) 에는 프레임체 (17) 가 삽입되어 있다. 프레임체 (17) 는 합성 수지 재료 등의 비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 (17) 에는, 중앙부에 사각형의 대향 공간 (18) 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체 (17) 에는, 대향 공간 (18) 의 상부에 상하 방향 (Z1 - Z2 방향) 으로 관통하는 유지홈 (17a) 이 형성되고, 대향 공간 (18) 의 하부에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지홈 (17b)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과 도 6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자성 요크 (11) 의 Y1 측의 부분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절곡 선부 (先部) (11b) 가, 프레임체 (17) 의 상측의 유지홈 (17a) 의 내부에 유지되어 있다. 하부 자성 요크 (12) 의 Y1 측의 부분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절곡 선부 (12b) 가, 프레임체 (17) 의 하측의 유지홈 (17b) 의 내부에 유지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자성 요크 (11) 의 절곡 선부 (11b) 의 선단면이 제 1 대향 단부 (11a) 이고, 하부 자성 요크 (12) 의 절곡 선부 (12b) 의 선단면이 제 2 대향 단부 (12a) 이다. 프레임체 (17) 의 대향 공간 (18) 은, 자로 형성 부재 (10) 의 제 1 대향 단부 (11a) 와 제 2 대향 단부 (12a) 가 상하로 대향하는 대향 공간이다.
프레임체 (17) 의 대향 공간 (18) 내로 회동체 (20) 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수납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체 (20) 는, 유지 구조부 (21) 를 갖고 있다. 유지 구조부 (21) 는,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된 유지 부재 (22) 와, 비자성 금속판으로 형성된 유지 금구 (23) 로 구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 (22) 에는, 베어링부 (22a) 가 X1 - X2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체 (20) 의 유지 구조부 (21) 에는, 베어링부 (22a) 를 사이에 두고 상측 (Z2 측) 에 제 1 자석 (25) 이 유지되고, 하측 (Z1 측) 에 제 2 자석 (26) 이 유지되어 있다. 제 1 자석 (25) 은 Y2 측을 향하는 제 1 착자면 (25a) 이 N 극이고, Y1 측을 향하는 제 2 착자면 (25b) 이 S 극에 착자되어 있다. 제 2 자석 (26) 도 Y2 측을 향하는 제 1 착자면 (26a) 이 N 극이고, Y1 측을 향하는 제 2 착자면 (26b) 이 S 극에 착자되어 있다.
유지 부재 (22) 내에 제 1 자화 부재 (27) 와 제 2 자화 부재 (28) 가 유지되어 있다. 제 1 자화 부재 (27) 와 제 2 자화 부재 (28) 는 자성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자화 부재 (27) 는, 제 1 자석 (25) 의 제 1 착자면 (25a) 과 제 2 자석 (26) 의 제 1 착자면 (26a) 에 밀착되어 형성되고, 제 2 자화 부재 (28) 는, 제 1 자석 (25) 의 제 2 착자면 (25b) 과 제 2 자석 (26) 의 제 2 착자면 (26b) 에 밀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회동체 (20) 의 조립 작업은, 도 5 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유지 부재 (22) 의 내부에 제 1 자화 부재 (27) 를 삽입하고, 제 1 자화 부재 (27) 에 제 1 자석 (25) 과 제 2 자석 (26) 을 흡착시켜 고정시킨다. 한편, 유지 금구 (23) 의 내측에 제 2 자화 부재 (28) 를 장착한다. 제 1 자화 부재 (27) 와 제 1 자석 (25) 과 제 2 자석 (26) 이 장착된 유지 부재 (22) 와, 제 2 유지 부재 (28) 가 장착된 유지 금구 (23) 를 조합함으로써, 회동체 (20) 가 조립된다. 제 1 자화 부재 (27) 와 제 2 자화 부재 (28) 가, 제 1 자석 (25) 과 제 2 자석 (26) 에 자기 흡착되기 때문에, 제 1 자화 부재 (27) 와 제 2 자화 부재 (28) 가,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회동체 (20) 의 구조로서, 제 1 자석 (25) 과 제 2 자석 (26) 및 제 1 자화 부재 (27) 와 제 2 자화 부재 (28) 를 조합한 것을 금형에 유지하고,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 내에 사출하여 유지 부재 (22) (유지 구조부 (21)) 를 성형하는, 이른바 인서트 성형법으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회동체 (20) 는, 제 1 자석 (25) 과 제 2 자석 (26) 사이에, 유지 부재 (22) (유지 구조부 (21)) 의 일부인 베어링부 (22a) 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베어링부 (22a) 에는, X1 - X2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지지공 (22b) 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 (17) 에는, 대향 공간 (18) 의 X1 측에 프레임벽 (17c) 이, X2 측에 프레임벽 (17d) 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벽 (17c) 에 베어링공 (19a) 이 형성되고, 프레임벽 (17d) 에 베어링공 (19b) 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체 (20) 는, 프레임체 (17) 의 대향 공간 (18) 의 내부에 배치되고, 금속제의 지지축 (29) 이, 베어링공 (19a, 19b) 과, 유지 부재 (22) 의 축지지공 (22b) 에 삽입되어, 대향 공간 (18) 의 내부에서 회동체 (20) 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회동체 (20) 에서는, 제 1 자석 (25) 과 제 2 자석 (26) 사이에 합성 수지제의 베어링부 (22a) 가 형성되고, 이 베어링부 (22a) 에 금속제의 지지축 (29) 이 삽입되어 있지만, 금속제의 지지축 (29) 을 사용함으로써, 프레임체 (17) 내에서의 회동체 (20) 의 회동 지지 구조를 강고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력 전달부 (30) 에는, 조작 부재 (31)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 (31) 는, 슬라이드부 (32) 와 조작축 (33) 이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 (32) 에는 Y1 측에 가압 부재 (34) 가 조합되어 있다. 가압 부재 (34) 는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는, 조작 부재 (31) 와 가압 부재 (34) 가 확대하여 나타내어져 있다. 도 4 에서는, 가압 부재 (34) 가 투명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31) 의 슬라이드부 (32) 에, 상하로 연장되는 스프링 유지 오목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유지 오목부 (35) 의 상단이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a) 이고, 하단이 제 2 스프링 맞닿음부 (35b) 로 되어 있다.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a) 와 제 2 스프링 맞닿음부 (35b) 는, 조작 부재 (31) 의 이동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스프링 유지 오목부 (35) 에 압축 코일 스프링인 전환 스프링 부재 (36) 가 유지되어 있다. 전환 스프링 부재 (36) 는, 자유 길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스프링 유지 오목부 (35) 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상단부 (36a) 의 일부인 양 측부가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a) 에 맞닿고,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하단부 (36b) 의 일부인 양 측부가 제 2 스프링 맞닿음부 (35b) 에 맞닿아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 (32) 에는 Y1 측을 향하는 슬라이드 오목부 (37) 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 부재 (34) 는 슬라이드 오목부 (37) 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다. 가압 부재 (34) 에는, 하방측 (Z1 측) 에 있어서 Y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탄성력 작용부 (38a) 와, 상방측 (Z2 측) 에 있어서 Y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탄성력 작용부 (38b)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 (34) 가, 슬라이드 오목부 (37) 의 내부에 설치되면, 제 2 탄성력 작용부 (38b) 가,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a) 와 인접하는 위치에 삽입되고, 제 2 탄성력 작용부 (38b) 가,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상단부 (36a) 의 중앙부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a) 가 맞닿는 부분을 벗어난 중앙부) 에 맞닿을 수 있게 대향한다. 또, 제 1 탄성력 작용부 (38a) 가, 제 2 스프링 맞닿음부 (35b) 와 인접하는 위치에 삽입되고, 제 1 탄성력 작용부 (38a) 가,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하단부 (36b) 의 중앙부 (제 2 스프링 맞닿음부 (35b) 가 맞닿는 부분을 벗어난 중앙부) 에 맞닿을 수 있게 대향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전환 스프링 부재 (36) 가 상하로 약간 압축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 (32) 의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a) 와 제 2 스프링 맞닿음부 (35b)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고, 가압 부재 (34) 에 형성된 제 1 탄성력 작용부 (38a) 와 제 2 탄성력 작용부 (38b) 가,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하단부 (36b) 와 상단부 (36a) 에 가볍게 접촉하거나, 혹은 조금만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단, 이것과는 반대로, 전환 스프링 부재 (36) 를 상하로 약간 압축시킨 상태에서, 제 1 탄성력 작용부 (38a) 와 제 2 탄성력 작용부 (38b) 사이에 유지시키고,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a) 와 제 2 스프링 맞닿음부 (35b) 가,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상단부 (36a) 와 하단부 (36b) 에 가볍게 접촉하거나, 혹은 조금만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조작 부재 (31) 에 전환 스프링 부재 (36) 와 가압 부재 (34) 가 삽입된 조작력 전달부 (30) 는, 상부 자성 요크 (11) 와 하부 자성 요크 (12)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 1 케이스 (2) 의 수납 공간 (4) 내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이 때, 조작축 (33) 은, 상부 자성 요크 (11) 에 형성된 관통공 (11c)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 제 1 케이스 (2) 위에 제 2 케이스 (3) 가 장착되면, 조작축 (33) 은, 제 2 케이스 (3) 에 형성된 관통공 (5a)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2) 의 측벽 내면에는, 수납 공간 (4) 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가이드 돌조부 (4b, 4c)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 (31) 의 슬라이드부 (32) 와 가압 부재 (34) 가 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 (32) 와 가압 부재 (34) 의 X1 측의 측부와 X2 측의 측부가 가이드 돌조부 (4b 와 4c) 사이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된다. 그 결과, 제 1 케이스 (2) 의 내부에서 조작 부재 (31) 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고, 또한, 조작 부재 (31) 에 대해 가압 부재 (34) 가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도 2 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31) 의 슬라이드부 (32) 에는 X1 측의 하부와 X2 측의 하부에 스프링 유지부 (3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2) 의 바닥부에는, X1 - X2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1 쌍의 스프링 지지부 (7)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 (2) 의 내부에 1 쌍의 복귀 스프링 부재 (39) 가 형성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 부재 (39) 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그 상단부가 슬라이드부 (32) 의 스프링 유지부 (32a) 에 유지되고, 하단부에 스프링 지지부 (7) 가 삽입된다. 그 결과, 1 쌍의 복귀 스프링 부재 (39) 에 의해, 조작 부재 (31) 가 항상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조작 부재 (31) 의 슬라이더부 (32) 는, 1 쌍의 복귀 스프링 부재 (39) 로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케이스 (2) 의 수납 공간 (4) 에 있어서, 조작 부재 (31) 가 안정적인 자세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1 쌍의 복귀 스프링 부재 (39) 와, 전환 스프링 부재 (36) 는 권취 중심선이 서로 평행하고, 1 쌍의 복귀 스프링 부재 (39) 의 상부와,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하부는, 권취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중복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1 쌍의 복귀 스프링 부재 (39) 와, 전환 스프링 부재 (36) 는, 일부가 상하 방향과 겹쳐져 있게 된다. 그 결과, 조작력 전달부 (30) 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어, 발전 장치 (1) 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체 (20) 에서는, 유지 부재 (22) 에 제 1 피가압부 (41) 와 제 2 피가압부 (42)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피가압부 (41) 와 제 2 피가압부 (42) 는, Y2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회동체 (20) 의 회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4) 에는 Y1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 작용부 (43)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이하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작용부 (43) 는, 제 1 피가압부 (41) 와 제 2 피가압부 (42) 사이에 대향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전 장치 (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발전 장치 (1) 에서는, 조작축 (33) 이 눌려 조작 부재 (31) 가 이동하는 제 1 방향이 Z1 방향이고, 조작 부재 (31) 가 복귀 스프링 부재 (39) 의 탄성력으로 복귀하는 제 2 방향이 Z2 방향이다. 가압 부재 (34) 의 이동 방향은, Z1 방향이 제 1 가압 방향이고, Z2 방향이 제 2 가압 방향이다.
도 6 에서는, 회동체 (20) 에 형성된 제 1 자화 부재 (27) 가, 상부 자성 요크 (11) 의 제 1 대향 단부 (11a) 에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제 2 자화 부재 (28) 가, 하부 자성 요크 (12) 의 제 2 대향 단부 (12a) 에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제 1 자화 부재 (27) 가 제 1 대향 단부 (11a) 에 자기 흡인되고, 제 2 자화 부재 (28) 가 제 2 대향 단부 (12a) 에 자기 흡인되고 있기 때문에, 회동체 (20) 는 도 6 에 나타내는 자세로 안정된다. 이 때 회동체 (20) 는 제 1 안정 자세이다.
회동체 (20) 가 제 1 안정 자세일 때 제 1 자석 (25) 과 제 2 자석 (26) 으로부터의 자속은, 제 1 자화 부재 (27) 로부터 상부 자성 요크 (11) 를 거쳐, 코일 자심 (13) 으로부터 하부 자성 요크 (12) 를 통과하고, 제 2 자화 부재 (28) 로 되돌아오는 경로를 더듬어간다.
도 9 에서는, 제 1 자화 부재 (27) 가, 하부 자성 요크 (12) 의 제 2 대향 단부 (12a) 에 작은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제 2 자화 부재 (28) 가, 상부 자성 요크 (11) 의 제 1 대향 단부 (11a) 에 대향하고 있다. 제 1 자화 부재 (27) 가 제 2 대향 단부 (12a) 에 자기 흡인되고, 제 2 자화 부재 (28) 가 제 1 대향 단부 (11a) 에 자기 흡인되기 때문에, 회동체 (20) 는 도 9 에 나타내는 자세로 안정되어 있다. 이 때 회동체 (20) 는 제 2 안정 자세이다.
회동체 (20) 가 제 2 안정 자세일 때, 제 1 자석 (25) 과 제 2 자석 (26) 으로부터의 자속은, 제 1 자화 부재 (27) 로부터 하부 자성 요크 (12) 를 거쳐, 코일 자심 (13) 으로부터 상부 자성 요크 (11) 를 통과하고, 제 2 자화 부재 (28) 로 되돌아오는 경로를 더듬어간다.
도 6 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조작 부재 (31) 는, 복귀 스프링 부재 (39) 에 의해 제 2 방향 (Z2 방향) 으로 밀어올려진 초기 자세이다. 이 때, 회동체 (20) 는 제 1 안정 자세로 안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 (34) 에 형성된 가압 작용부 (43) 는, 회동체 (20) 의 제 1 피가압부 (41) 와 제 2 피가압부 (42) 의 쌍방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서, 전환 스프링 부재 (36) 는, 도 4 에 나타내는 스프링 유지 오목부 (35) 의 상단인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a) 와 하단인 제 2 스프링 맞닿음부 (35b) 사이에서 약간 압축되어 끼워져, 초기 길이가 L0 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초기 길이 (L0) 의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하단에 제 1 탄성력 작용부 (38a) 가 대향하고,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상단에 제 2 탄성력 작용부 (38b) 가 대향하고 있고, 슬라이드 오목부 (37) 의 내부에서, 가압 부재 (34) 가 상하의 이동 범위에서의 중립 위치로 되어 있다. 이 때,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4) 의 상단과, 슬라이드부 (32) 의 슬라이드 오목부 (37) 의 내부 상단 사이에 간극 (δ1) 이 형성되고, 가압 부재 (34) 의 하단과 슬라이드 오목부 (37) 의 내부 하단 사이에 간극 (δ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초기 자세의 조작 부재 (31) 의 조작축 (33) 이 가압력 (F1) 에 의해 제 1 방향 (Z1 방향) 으로 눌리면, 조작 부재 (31) 와 함께 가압 부재 (34) 가 하강하고, 가압 부재 (34) 에 형성된 가압 작용부 (43) 가, 회동체 (20) 의 유지 부재 (22) 에 형성된 제 1 피가압부 (41) 에 맞닿는다. 그 후, 추가로 조작축 (33) 이 제 1 방향 (Z1 방향) 으로 눌려들어가면, 회동체 (20) 는, 제 1 안정 자세를 유지하고자 하여 쉽게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가압 작용부 (43) 가 제 1 피가압부 (41) 에 맞닿아 정지한 상태 그대로, 조작 부재 (31) 만이 제 1 방향 (Z1 방향) 으로 이동한다.
이 때, 조작 부재 (31) 의 슬라이더부 (32) 에 형성된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a) 에서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상단부 (36a) 가 Z1 방향으로 눌려,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상단부 (36a) 가, 가압 부재 (34) 의 제 2 탄성력 작용부 (38b) 로부터 떨어져,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스프링 부재 (36) 가 제 1 탄성력 작용부 (38a) 와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a) 사이에서 길이가 L1 이 되도록 압축된다. 이 때의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부재 (34) 에 부여되는 제 1 가압 방향 (Z1 방향) 으로의 탄성력이 증대되고, 가압 작용부 (43) 로부터 제 1 피가압부 (41) 에 작용하는 가압력도 증대된다.
도 7 의 상태로부터 추가로 조작축 (33) 이 제 1 방향 (Z1 방향) 으로 눌리면, 조작 부재 (31) 의 슬라이더부 (32) 에서 가압 부재 (34) 가 Z1 방향으로 조금만 눌러내려가고, 가압 부재 (34) 의 가압 작용부 (43) 에서 제 1 피가압부 (41) 가 하방향으로 눌려, 회동체 (20) 가, 도 6 에 나타내는 제 1 안정 자세보다 조금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때, 회동체 (20) 를 제 1 안정 자세를 향하게 하여 시계 방향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힘보다, 압축된 전환 스프링 부재 (36) 가 가압 부재 (34) 를 제 1 가압 방향 (Z1 방향) 으로 탄성 지지하여, 회동체 (20) 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힘이 강해져,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만에 의해, 회동체 (20) 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도 8 에서는,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 회동체 (20) 가 그 회동 범위의 거의 중립 자세로 된다.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으로 제 1 가압 방향 (Z1 방향) 으로 눌려 있는 가압 부재 (34) 에 의해, 회동체 (20) 가 도 8 에 나타내는 중립 자세보다 더욱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그 후에는, 회동체 (20) 의 제 1 자화 부재 (27) 가, 하부 자성 요크 (12) 의 제 2 대향 단부 (12a) 에 자기 흡착되고, 제 2 자화 부재 (28) 가, 상부 자성 요크 (11) 의 제 1 대향 단부 (11a) 에 자기 흡착되어, 회동체 (20) 가, 도 9 에 나타내는 제 2 안정 자세를 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급속하게 회동된다.
도 6 내지 도 9 에 나타내는 동작에 있어서, 회동체 (20) 가 제 1 안정 자세로부터 제 2 안정 자세를 향하여 급속하게 회전되기 때문에, 자로 형성 부재 (10) 의 내부의 자속의 방향이 급속하게 반전된다. 코일 자심 (13) 내에서, 자속이 급속하게 반전되기 때문에, 발전 코일 (15) 에 기전력이 유도된다. 이 때의 기전력에서 발생한 전압은, 1 쌍의 단자 (16) 로부터 출력된다.
도 9 에는, 조작축 (33) 이 제 1 방향 (Z1 방향) 의 최하점까지 눌려내려간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때, 가압 부재 (34) 에 형성된 가압 작용부 (43) 는, 회동체 (20) 에 형성된 제 1 피가압부 (41) 와 제 2 피가압부 (42) 의 쌍방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9 상태에서, 제 1 방향 (Z1 방향) 으로의 가압력 (F1) 이 제거되면, 복귀 스프링 부재 (39) 로부터 조작 부재 (31) 에 대해 제 2 방향 (Z2 방향) 으로의 복귀력 (F2) 이 부여되어, 조작 부재 (31) 와 가압 부재 (34) 가 제 2 방향 (Z2 방향) 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4) 의 가압 작용부 (43) 가 회동체 (20) 의 제 2 피가압부 (42) 에 닿은 후에, 추가로 복귀 스프링 부재 (39) 로부터의 복귀 탄성력으로 조작 부재 (31) 가 Z2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동체 (20) 가 도 10 에 나타내는 제 2 안정 자세로 안정되고자 하기 때문에,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 (32) 의 제 2 스프링 맞닿음부 (35b) 와 가압 부재 (34) 의 제 2 탄성력 작용부 (38b) 사이에서, 전환 스프링 부재 (36) 가 길이 (L2) 까지 수축된다. 그리고,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으로, 가압 부재 (34) 에 제 2 가압 방향 (Z2 방향) 으로의 가압력이 계속 작용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복귀 스프링 부재 (39) 의 복귀 탄성력으로, 조작 부재 (31) 가 Z2 방향으로 밀어올려지고, 가압 부재 (34) 도 함께 밀어올려져, 회동체 (20) 를 도 10 에 나타내는 제 2 안정 자세로 되돌리고자 하는 힘보다, 전환 스프링 부재 (36) 가 가압 부재 (34) 를 Z2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력에 의해, 가압 작용부 (43) 에서 회동체 (20) 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힘이 강해지면,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체 (20) 가 시계 방향으로 급속하게 회동된다.
그리고,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체 (20) 가, 도 8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중립 자세를 초과하면, 그 다음은, 제 1 자화 부재 (27) 가 상부 자성 요크 (11) 의 제 1 대향 단부 (11a) 에 자기 흡착되고, 제 2 자화 부재 (28) 가 하부 자성 요크 (12) 의 제 2 대향 단부 (12a) 에 자기 흡착되어, 회동체 (20) 가 시계 방향으로 급속하게 회동되고, 도 6 에 나타내는 초기 자세로 복귀하여, 회동체 (20) 가 제 1 안정 자세로 되돌아온다.
회동체 (20) 가, 도 9 에 나타내는 제 2 안정 자세로부터 제 1 안정 자세로 급속하게 회동되는 동안에, 자로 형성 부재 (10) 와 코일 자심 (13) 내의 자속의 방향이 급격하게 변화되어, 발전 코일 (15) 에 기전력이 유도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발전 장치 (1) 에서는, 도 6 의 초기 상태에서 도 9 의 가압 완료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도 7 에 나타내는 과정에 있어서, 조작 부재 (31) 를 Z1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 (F1) 으로, 회동체 (20) 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후에,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으로 회동체 (20) 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도 7 내지 도 8 의 과정에서,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으로 회동체 (20) 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조작 부재 (31) 를 제 1 방향 (Z1 방향) 으로 눌러내리는 속도와는 무관하게, 회동체 (20) 가 제 2 안정 자세를 향하여 신속히 회동하기 시작하게 된다. 그 때문에, 큰 기전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작 부재 (31) 가 도 6 의 초기 상태에서 도 7 의 위치까지 내려졌을 때에,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이 증대하여,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으로 가압 부재 (34) 를 Z1 방향에 눌러내리고자 하는 탄성력만으로, 회동체 (20) 를 도 6 에 나타내는 제 1 안정 자세에서 도 8 에 나타내는 중립 자세를 초과하는 회동 범위까지 단번에 회동시켜도 된다.
이것은, 도 9 의 압하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 (31) 가 제 2 방향 (Z2 방향) 으로 복귀시킬 때에도 동일하다. 실시형태에서는, 도 11 의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 부재 (39) 의 복귀력으로 회동체 (20) 가 시계 방향으로 조금 회동되면, 그 다음은,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으로, 회동체 (20) 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조작 부재 (31) 의 Z2 방향으로의 복귀 동작 속도에 관계없이, 회동체 (20) 를 제 1 안정 자세를 향하여 신속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11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 부재 (39) 의 복귀 탄성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전환 스프링 부재 (36) 의 탄성력만으로, 회동체 (20) 를 단번에 제 1 안정 자세까지 회동시켜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발전 장치 (1) 는, 조작 부재 (31) 에 가압 부재 (34) 가 지지되어 있고, 조작 부재 (31) 의 왕복 이동시에, 가압 부재 (34) 에 형성된 가압 작용부 (43) 가, 회동체 (20) 에 형성된 피가압부 (41, 42) 를 직접 가압하여, 회동체 (20) 를 회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조작 부재 (31) 의 이동 방향과 회동체 (20) 의 회동 방향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동작 부재 (31) 의 이동력을 회동체 (20) 의 회동력으로 변환하는 캠 기구 등이 불필요하여, 조작력의 허비가 없으며, 또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 발전 장치
2 : 제 1 케이스
3 : 제 2 케이스
10 : 자로 형성부
11 : 상부 자성 요크
11a : 제 1 대향 단부
12 : 하부 자성 요크
12a : 제 2 대향 단부
13 : 코일 자심
15 : 발전 코일
17 : 프레임체
18 : 대향 공간
20 : 회동체
21 : 유지 구조부
22 : 유지 부재
23 : 유지 금구
25 : 제 1 자석
25a : 제 1 착자면
25b : 제 2 착자면
26 : 제 2 자석
26a : 제 1 착자면
26b : 제 2 착자면
27 : 제 1 자화 부재
28 : 제 2 자화 부재
29 : 지지축
31 : 조작 부재
32 : 슬라이드부
33 : 조작축
34 : 가압 부재
35a : 제 1 스프링 맞닿음부
35b : 제 2 스프링 맞닿음부
36 : 전환 스프링 부재
36a : 전환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
36b : 전환 스프링 부재의 하단부
38a : 제 1 탄성력 작용부
38b : 제 2 탄성력 작용부
39 : 복귀 스프링 부재
41 : 제 1 피가압부
42 : 제 2 피가압부
43 : 가압 작용부

Claims (9)

  1. 제 1 대향 단부와 제 2 대향 단부를 갖는 자로 형성 부재와, 상기 자로 형성 부재 내의 자속의 변화로 기전력이 유도되는 발전용 코일과, 상기 제 1 대향 단부와 상기 제 2 대향 단부의 대향 공간 내에 위치하는 회동체를 갖고,
    상기 회동체는, 서로 반대의 자극이 되는 제 1 착자면과 제 2 착자면을 갖는 자석과, 상기 제 1 착자면에 고착된 자성 재료제의 제 1 자화 부재와, 상기 제 2 착자면에 고착된 자성 재료제의 제 2 자화 부재를 갖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제 1 자화 부재가 상기 제 1 대향 단부에 대향하고 상기 제 2 자화 부재가 상기 제 2 대향 단부에 대향하는 제 1 안정 자세와, 상기 제 1 자화 부재가 상기 제 2 대향 단부에 대향하고 상기 제 2 자화 부재가 상기 제 1 대향 단부에 대향하는 제 2 안정 자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고,
    상기 회동체를 상기 제 2 안정 자세를 향하게 하여 가압하는 제 1 가압 방향과, 상기 회동체를 상기 제 1 안정 자세를 향하게 하여 가압하는 제 2 가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압 부재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조작 부재를 갖고,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는, 상기 조작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가압 부재를 제 1 가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회동체를 상기 제 2 안정 자세를 향하게 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조작 부재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가압 부재를 제 2 가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회동체를 상기 제 1 안정 자세를 향하게 하여 동작시키는 전환 스프링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를, 제 2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발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와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는 모두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와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는 권취 중심선이 서로 평행하고, 권취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와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발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는 2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는, 2 개의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전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에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의 양 단부의 각각의 일부와 맞닿을 수 있는 1 쌍의 스프링 맞닿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는,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의 상기 양 단부의 각각의 다른 부분과 맞닿을 수 있는 1 쌍의 탄성력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 부재가 이동할 때에, 일방의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와 일방의 상기 탄성력 작용부 사이에서 상기 전환 스프링 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가압 부재가 제 1 가압 방향 또는 제 2 가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발전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에는, 회동 방향으로 대향하는 1 쌍의 피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상기 1 쌍의 피가압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제 1 안정 자세일 때와 제 2 안정 자세일 때에, 상기 가압 작용부가, 1 쌍의 상기 피가압부의 쌍방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발전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2 개의 상기 자석과 상기 제 1 자화 부재 및 상기 제 2 자화 부재를 유지하는 비자성 재료제의 유지 구조부를 갖고, 금속제의 지지축이 2 개의 상기 자석 사이에서 상기 유지 구조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발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프레임체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가 상기 프레임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축의 양 단부가 상기 프레임체에 지지되고, 상기 자로 형성 부재의 상기 제 1 대향 단부와 상기 제 2 대향 단부가, 상기 프레임체에 지지되어 있는, 발전 장치.
KR1020197004866A 2016-09-02 2017-08-16 발전 장치 KR102172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1502 2016-09-02
JPJP-P-2016-171502 2016-09-02
PCT/JP2017/029459 WO2018043131A1 (ja) 2016-09-02 2017-08-16 発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296A true KR20190031296A (ko) 2019-03-25
KR102172547B1 KR102172547B1 (ko) 2020-11-02

Family

ID=6130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866A KR102172547B1 (ko) 2016-09-02 2017-08-16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55157B2 (ko)
EP (1) EP3509200B1 (ko)
JP (1) JP6569010B2 (ko)
KR (1) KR102172547B1 (ko)
CN (1) CN109643946B (ko)
WO (1) WO20180431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5105B2 (ja) * 2018-10-02 2022-07-04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発電装置
JP6881523B2 (ja) * 2019-08-20 2021-06-02 株式会社片岡機械製作所 帯状シート巻取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4327A (en) * 1955-05-09 1957-03-05 John F Drescher Impulse generator
JP2015047003A (ja) * 2013-08-28 2015-03-12 スター精密株式会社 振動発電装置
JP2015139267A (ja) 2014-01-22 2015-07-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電入力装置、及び、発電入力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6027787A (ja) * 2015-10-27 2016-02-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電入力装置および前記発電入力装置を使用した電子機器
WO2016052198A1 (ja) * 2014-09-29 2016-04-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電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8479A (en) * 1946-12-16 1950-08-15 Lee Engineering Company Dynamoelectric machine
US3963948A (en) * 1975-02-25 1976-06-1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agnetic pulse generator
JP5104390B2 (ja) * 2008-02-25 2012-12-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
WO2014034777A1 (ja) * 2012-09-03 2014-03-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電入力装置及び前記発電入力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10211703B2 (en) * 2013-12-06 2019-02-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wer generating uni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4327A (en) * 1955-05-09 1957-03-05 John F Drescher Impulse generator
JP2015047003A (ja) * 2013-08-28 2015-03-12 スター精密株式会社 振動発電装置
JP2015139267A (ja) 2014-01-22 2015-07-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電入力装置、及び、発電入力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WO2016052198A1 (ja) * 2014-09-29 2016-04-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電入力装置
JP2016027787A (ja) * 2015-10-27 2016-02-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電入力装置および前記発電入力装置を使用し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69010B2 (ja) 2019-08-28
CN109643946A (zh) 2019-04-16
EP3509200B1 (en) 2021-03-17
WO2018043131A1 (ja) 2018-03-08
CN109643946B (zh) 2020-10-27
US10855157B2 (en) 2020-12-01
EP3509200A1 (en) 2019-07-10
US20190181739A1 (en) 2019-06-13
JPWO2018043131A1 (ja) 2019-06-24
KR102172547B1 (ko) 2020-11-02
EP3509200A4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4647B2 (ja) 発電装置
CN110635656A (zh) 高功率动能自生电装置
JPWO2013084409A1 (ja) 発電装置
WO2012073780A1 (ja) ラッチングリレー
KR20190031296A (ko) 발전 장치
JP2015139267A (ja) 発電入力装置、及び、発電入力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WO2016021456A1 (ja) 発電入力装置
JP5981556B2 (ja) 発電入力装置及び前記発電入力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6058178A (ja) 接点開閉装置
JP5591132B2 (ja) 永久磁石作動型スイッチ
JP2014192024A (ja) 押釦スイッチ
JP6116006B2 (ja) 発電入力装置
US10075038B2 (en) Power generation input device
JP2017216770A (ja) 発電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7095105B2 (ja) 発電装置
JP2015226437A (ja) 充電台及び携帯端末装置の充電構造
KR101283713B1 (ko) 솔레노이드 스위치
WO2021019820A1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6223398B2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リレー
JP2022012054A (ja) 発電デバイス
JP2024130696A (ja) 電磁継電器
CN116345836A (zh) 一种小型准静态电磁发电装置
JPS5816510A (ja) 電磁石
JPH04174932A (ja) 電磁継電器
JPS63483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