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147A -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147A
KR20190031147A KR1020180105776A KR20180105776A KR20190031147A KR 20190031147 A KR20190031147 A KR 20190031147A KR 1020180105776 A KR1020180105776 A KR 1020180105776A KR 20180105776 A KR20180105776 A KR 20180105776A KR 20190031147 A KR20190031147 A KR 2019003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photosensor
information communication
dial knob
communic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오구치
스미오 와타나베
유키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4Automatic configuration, e.g. by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인쇄 장치로서 정보 입력 기능을 함께 가지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록지에 인쇄를 하는 인쇄 기능부를 갖는 인쇄 장치로서, 정보 통신 장치와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가압 가능한 스위치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다이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다이얼 노브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 통신 장치를 조작하는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인쇄 장치{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형 프린터가 존재하였으나, 이와 같은 프린터는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비교적 크기가 크므로, 가방 등에 넣어서 가지고 다녔었다. 이러한 프린터에서는 편리한 휴대를 위해 소형인 것이 요구되며, 다양한 구조의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표2003-500245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22223호
이러한 프린터는 정보 통신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인쇄하는 경우에 사용되나, 프린터로부터 정보 통신 장치에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을 할 수 있으면 마우스 등의 정보 입력 장치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다.
그러므로, 휴대형 인쇄 장치로서 정보 입력 기능도 함께 가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일 관점에 의하면, 기록지에 인쇄를 하는 인쇄 기능부를 갖는 인쇄 장치로서, 정보 통신 장치와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가압 가능한 스위치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다이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다이얼 노브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 통신 장치를 조작하는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인쇄 장치에 의하면, 휴대형 인쇄 장치로서 정보 입력 기능을 함께 가지는 인쇄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인쇄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노크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노크부의 구조 설명도(1)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노크부의 구조 설명도(2)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노크부의 구조 설명도(3)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인코더 휠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우회전 조작의 설명도(1)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우회전 조작의 설명도(2)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우회전 조작의 설명도(3)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우회전 조작의 설명도(4)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우회전 조작의 설명도(5)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우회전 조작의 설명도(6)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좌회전 조작의 설명도(1)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좌회전 조작의 설명도(2)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좌회전 조작의 설명도(3)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좌회전 조작의 설명도(4)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에 의한 좌회전 조작의 설명도(5)이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노크 스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노크 스위치 기구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노크 스위치 기구의 변형예의 설명도(1)이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노크 스위치 기구의 변형예의 설명도(2)이다.
도 24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전원을 ON으로 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6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전원을 OFF로 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7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의 다이얼 노브 조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8은 본 실시형태 프린터에 의한 정보 통신 장치 조작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9는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정보 통신 장치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한편,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에 있어, X1-X2 방향, Y1-Y2 방향, Z1-Z2 방향을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다. 또한, X1-X2 방향 및 Y1-Y2 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XY면이라고 기재하고, Y1-Y2 방향 및 Z1-Z2 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YZ면이라고 기재하며, Z1-Z2 방향 및 X1-X2 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ZX면이라고 기재한다.
(인쇄 장치)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는 다양한 정보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록지에 인쇄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인 프린터(200)에 대해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프린터(2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린터 부분의 단면도이다. 프린터(200)는 외관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프린터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이다.
프린터(200)는 인쇄 기능부(210)를 가진다. 인쇄 기능부(210)는 서멀 헤드 등의 인쇄 헤드(211), 플래튼 롤러(212), 급지 롤러(213), 기록지 가이드(214), 가압 스프링, 제어 기판(216), 안쪽 덮개(250), 바깥쪽 덮개(260)를 가진다. 인쇄 헤드(211)는 가압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플래튼 롤러(212)로 가압되고 있다. 기록지는, 미세한 점착성을 갖는 급지 롤러(213)가 구비되어 있는 쪽으로부터 기록지 가이드(214)를 따라 프린터(200)로 들어가, 인쇄 헤드(211)와 플래튼 롤러(212)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212)에 의해 반송되면서 인쇄되고 배출된다. 제어 기판(216)에는 프린터(200)를 제어하는 전자 회로, 전자 부품 등이 탑재되어 있다.
안쪽 덮개(250)와 바깥쪽 덮개(260)는 원통 형상이고, 안쪽 덮개(250)가 바깥쪽 덮개(260)의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쪽 덮개(250)에는 그 모선을 따라 개구되어 있는 급지구(251) 및 배지구(252)가 구비되어 있으며, 바깥쪽 덮개(260)에는 그 모선을 따라 개구되어 있는 급지구(261) 및 배지구(262)가 구비되어 있다. 바깥쪽 덮개(260)는 그 안쪽으로 넣어진 안쪽 덮개(25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프린터(200)로 인쇄할 때에는, 안쪽 덮개(250)의 급지구(251)와 바깥쪽 덮개(260)의 급지구(261)의 위치가 일치하여 열려 있고, 안쪽 덮개(250)의 배지구(252)와 바깥쪽 덮개(260)의 배지구(262)의 위치가 일치하여 열려 있다. 이와 같이 열려 있는 급지구(251,261)로부터 기록지가 프린터(200)로 들어가서 배지구(252,262)로부터 배출된다.
프린터(200)에서는, 급지구(251,261)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록지가 수납된 카세트(300)를 급지구(261)에 접속할 수 있다. 프린터(200)로 인쇄할 때에는, 인쇄 데이터가 정보 통신 장치(미도시)로부터 프린터(200)로 BLE(Bluetooth Low Energy) 등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된다. 프린터(200)는 안테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며 기록지로 인쇄가 행하여진다.
프린터(200)의 케이스 내부에는 충전지인 리튬 이온 전지가 넣어진 전원부(280)가 구비되어 있고, 리튬 이온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프린터(200)를 구동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200)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X2 쪽에 후크(201)가 구비되어 있고, 인쇄 기능부(210)와 전원부(280)의 사이에 노크부(202)가 구비되어 있다.
프린터(200)는 직경이 약 18㎜, 길이가 약 165~170㎜로서 소형이어서, 응력을 수반하지 않고서 갖고 다닐 수 있다. 프린터(200)에는 후크(201)가 구비되어 있어서, 펜과 마찬가지로 의복의 가슴 주머니 등에 꽂은 상태로 갖고 다닐 수 있다.
(인쇄 동작)
이어서, 인쇄 장치에서의 인쇄에 대해,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프린터(200)와 카세트(300)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카세트(300)의 개구와 프린터(200)의 급지구(251,261)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프린터(200)의 급지 롤러(213)와 카세트(300)의 제1 반송 롤러(330)가 접촉된 상태로 된다. 제1 반송 롤러(330)는 급지 롤러(213)의 회전을 받아서 회전한다. 카세트(300)에는, 제1 반송 롤러(330)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반송 롤러(340)를 회전시키는 기어(371,37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반송 롤러(330) 및 제2 반송 롤러(340)에는 각각 직결된 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제1 반송 롤러(330)에 직결되어 있는 기어에는 기어(371)가 접속되어 있으며, 기어(371)에는 기어(372)가 접속되어 있고, 기어(372)에는 제2 반송 롤러(340)에 직결되어 있는 기어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 3에서 기어(371,372)의 이(tooth)는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프린터(200)로 인쇄할 때에는, 기록지를 인쇄 헤드(211) 쪽으로 반송하기 위해 급지 롤러(213)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급지 롤러(21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급지 롤러(213)에 접촉하고 있는 제1 반송 롤러(3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이 기어(371,372)를 통해 제2 반송 롤러(340)로 전달된다. 제1 반송 롤러(3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371,372)를 통해 제2 반송 롤러(3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반송 롤러(340)는 카세트(300) 내에서 가장 위에 있는 기록지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으며, 제2 반송 롤러(3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록지는 Y2 방향으로 움직여 프린터(200) 쪽으로 반송되며, 개구와 급지구(251,261)가 연결되어 있는 영역을 통과하여, 급지 롤러(213)와 제1 반송 롤러(330) 사이에 끼워져서 인쇄 헤드(211) 쪽으로 반송된다. 제1 반송 롤러(330) 및 제2 반송 롤러(340)는, 원웨이 기능을 가지므로, 급지 롤러(21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아 기록지를 카세트(300) 쪽으로 피딩하는 일은 없다.
인쇄 장치로 인쇄하는 경우에는, 정보 통신 장치에 기억된 인쇄 정보, 인쇄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등이 BLE 등의 통신에 의해 정보 통신 장치로부터 인쇄 장치로 송신되며, 이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지로 인쇄가 이루어진다.
(조작 기능부)
이어서, 프린터(200)에 탑재되어 있는 조작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200)에는 후크(201)와 노크부(202)가 구비되어 있다. 후크(201)에는 후크(201)를 움직임으로써 조작되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후크(201)의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노크부(202) 내측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노크부(202)의 부재 일부를 투과시켜 X2 쪽에서 본 도면이며, 도 6은 노크부(202)의 부재 일부를 투과시켜 X1 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7은 노크부(202)의 부재 일부를 투과시켜 Z1 쪽에서 본 도면이다.
노크부(202)는, 도4~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 노브(220), 인코더 휠(230), 제1 포토 센서(241), 제2 포토 센서(242), 노크 스위치(243)를 가진다.
(노크부)
다이얼 노브(2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복수 개의 톱니(221)가 구비되는데 안쪽 덮개(25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인코더 휠(230)은 다이얼 노브(220)의 내측에서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기판(204)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코더 휠(230)의 주위에는 톱니(232)가 구비되어 있다. 안쪽 덮개(250)에 있어 인코더 휠(230)이 설치되는 영역에는 개구부(253a)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이얼 노브(220)의 톱니(221)와 인코더 휠(230)의 톱니(232)가 개구부(253a)에서 맞물려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얼 노브(220)를 회전시킴으로써, 톱니(221)와 맞물려 있는 톱니(232)를 갖는 인코더 휠(230)이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인코더 휠(230)은 전체가 광을 반사하도록 백색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가 설치되어 있는 쪽의 측면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광을 반사하지 않는 흑색의 비반사부(233)가 구비되어 있다. 비반사부(233)는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비반사부(23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이다. 한편, 비반사부(233)는 반사부보다 광 반사율이 낮도록 형성되어 있다면 흑색이 아니어도 된다.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는 반사형의 광학식 센서이며,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진다. 제1 포토 센서(241)와 제2 포토 센서(242)는 인코더 휠(230) 측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반사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23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제1 포토 센서(241)와 제2 포토 센서(242)가 이루는 각도가 예를 들어 135°로 되도록,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가 기판(204)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방향의 검출)
이어서, 노크부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프린터(200)에서는, 안쪽 덮개(250)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다이얼 노브(220)를 회전시킴으로써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얼 노브(220)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코더 휠(230)이 회전하는데,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를 이용하여 인코더 휠(230)의 회전을 검출하고 또한 다이얼 노브(22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프린터(200)에서는, 도 6에서는 미도시의 다이얼 노브(220)를 X1쪽에서 보아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다이얼 노브(220)의 톱니(221)와 톱니(232)가 맞물려 있는 인코더 휠(230)도 우회전한다. 도 6에서는 미도시의 다이얼 노브(220)를 X1쪽에서 보아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인코더 휠(230)도 좌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에 의해 인코더 휠(230)의 회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함으로써, 다이얼 노브(220)가 회전하고 있는 것과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인코더 휠(230)의 회전 방향 검출에 대해 도9~도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인코더 휠(230)은 백색이므로 광을 반사하나, 비반사부(233) 부분은 흑색이므로 광을 흡수하며 반사하지 않는다.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는 반사형 포토 센서이며, 검출 대상물이 반사하는 발광부로부터의 출사광을 수광부에서 검출한다. 따라서, 검출 대상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광을 반사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등의 경우에는, 수광부는 광을 검출하지 않는다.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는, 각각의 포토 센서의 검출 위치에 비반사부(233)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비반사부(233)에서는 반사되지 않으므로 수광부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한편, 비반사부(23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인코더 휠(230)의 반사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은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사하여 검출된다.
따라서, 인코더 휠(230)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에서는 인코더 휠(230)의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이 주기적으로 검출된다.
제1 포토 센서(241)와 제2 포토 센서(242)는 인코더 휠(230)의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약135°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인코더 휠(230)을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1 포토 센서(241)와 제2 포토 센서(242)가 검출하는 광의 위상은 약 3π/4 차이가 난다.
도9~도14에 기초하여 인코더 휠(230)이 우회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인코더 휠(230)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의 검출 위치에 인코더 휠(230)의 비반사부(233)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어서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는 인코더 휠(230)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제1 포토 센서(241), 제2 포토 센서(242)의 출력은 도 9에서의 P11의 상태이다.
도 10의 상태로부터 인코더 휠(230)을 우회전, 즉, 파선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반사부(233)가 제1 포토 센서(241)의 검출 위치로 이동하므로, 제1 포토 센서(241)는 반사광을 검출하지 않는다. 한편, 제2 포토 센서(242)의 검출 위치에는, 비반사부(233)가 존재하지 않아, 즉, 반사부가 위치하므로, 제2 포토 센서(242)에 의해 인코더 휠(230)로부터의 반사광이 검출된다. 이 때, 양 포토 센서의 출력은 도 9에서의 P12의 상태이며, 제1 포토 센서(241) 출력의 하강이 검출된다.
인코더 휠(230)을 더 우회전시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반사부(233)가 제1 포토 센서(241)와 제2 포토 센서(242) 양쪽의 검출 위치로 이동하므로, 양쪽 다 반사광을 검출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때 각각의 포토 센서의 출력은 도 9에서 P13으로 나타내는 상태이며, 제2 포토 센서(242) 출력의 하강이 검출된다.
인코더 휠(230)을 더 우회전시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반사부(233)가 제1 포토 센서(241)의 검출 위치에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제1 포토 센서(241)는 반사광을 검출하나, 제2 포토 센서(242)의 검출 위치에는 비반사부(233)가 존재하므로 제2 포토 센서(242)에 의해 반사광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때 각각의 포토 센서의 출력은 도 9에서 P14로 나타내는 상태이며, 제1 포토 센서(241) 출력의 상승 에지(Pa)가 검출된다.
인코더 휠(230)을 더 우회전시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반사부(233)가 제1 포토 센서(241)의 검출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1 포토 센서(241)에 의해 반사광이 검출된다. 한편, 제2 포토 센서(242)의 검출 위치에는, 인코더 휠(230)의 비반사부(233)와 반사부의 경계가 존재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각각의 포토 센서의 출력은 도 9에서 P15로 나타내는 상태이며, 제2 포토 센서(242) 출력의 상승 에지가 검출된다. 또한, 인코더 휠(230)을 더 우회전시킴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도 9에서, 제1 포토 센서(241)에서 광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 "L"로부터 광이 검출되는 상태 "H"로 변화하는 부분을 상승 에지(Pa)라고 하고, 제1 포토 센서(241)에서 광이 검출되는 상태 "H" 로부터 광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 "L"로 변화하는 위치를 하강 에지(Pb)라고 한다.
이어서, 도15~도19에 기초하여 인코더 휠(230)이 좌회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인코더 휠(230)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의 검출 위치에 인코더 휠(230)의 비반사부(233)가 존재하지 않아, 양쪽 다 반사광이 검출되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2개의 포토 센서의 출력은 도 15에서 P11로 나타내는 상태이다.
인코더 휠(230)을 좌회전, 즉, 파선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반사부(233)가 제1 포토 센서(241)의 검출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1 포토 센서(241)는 반사광을 검출한다. 한편, 제2 포토 센서(242)의 검출 위치에는 비반사부(233)가 존재하므로 반사광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포토 센서의 출력은 도 15에서 P21로 나타내는 상태이며, 제1 포토 센서(241) 출력의 하강 에지(Pb)가 검출된다.
인코더 휠(230)을 더 좌회전시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반사부(233)가 제1 포토 센서(241)와 제2 포토 센서(242)의 검출 위치에 존재하므로, 양쪽 다 반사광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포토 센서의 출력은 도 15에서 P22로 나타내는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인코더 휠(230)을 더 좌회전시키면, 반사부가 제2 포토 센서(242)의 검출 위치로 오므로, 제2 포토 센서(242) 출력의 상승 에지가 검출된다.
인코더 휠(230)을 더 좌회전시킴으로써,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반사부(233)가 제2 포토 센서(242)의 검출 위치로부터 어긋나서, 제2 포토 센서(242)는 반사광을 검출한다. 한편, 제1 포토 센서(241)의 검출 위치에서는, 인코더 휠(230)의 비반사부(233)와 반사부의 경계가 존재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포토 센서의 출력은 도 15에서 P23으로 나타내는 상태이며, 제1 포토 센서(241) 출력의 상승 에지(Pa)가 검출된다.
인코더 휠(230)을 더 좌회전시킴으로써,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반사부(233)가 제1 포토 센서(241)의 검출 위치로부터 어긋나므로 제1 포토 센서(241)는 반사광을 검출한다. 한편, 제2 포토 센서(242)의 검출 위치에서는 비반사부(233)와 반사부의 경계가 존재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포토 센서의 출력은 도 15에서 P24로 나타내는 상태이며, 제2 포토 센서(242) 출력의 하강 에지가 검출된다.
이와 같이, 각 포토 센서의 출력이 H에서 L로, 또는 L에서 H로 변화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다이얼 노브(220)가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광이 제1 포토 센서(241), 제2 포토 센서(242)의 순서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다이얼 노브(220)가 우회전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광이 제2 포토 센서(242), 제1 포토 센서(241)의 순서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다이얼 노브(220)가 좌회전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노크 스위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크 스위치(243)는 다이얼 노브(2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크 스위치(243)의 눌림부(244)는 개구부(253b)로부터 외측으로 약간 나와 있다. 노크 스위치(243)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안쪽 덮개(250) 외측에는, 가압된 눌림부(244)를 원 위치로 돌리기 위한 가압 스프링(245)이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다이얼 노브(220)의 외측으로부터 노크 스위치(243)가 구비되어 있는 부분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다이얼 노브(220)가 안쪽 덮개(250)에 대해 Y1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이얼 노브(220)가 편심된다. 이로써,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 노브(220)가 가압 스프링(245)을 가압하여 가압 스프링(245)을 변형시키고, 변형된 가압 스프링(245)이 눌림부(244)를 가압한다. 이로써, 노크 스위치(243)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노브(22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가압 스프링(245)이 원 위치로 돌아가고, 이에 따라 눌림부(244)도 원 위치로 돌아간다. 한편, 도 5는 다이얼 노브(220)가 가압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20은 다이얼 노브(220)가 Y1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눌림부(244)를 가압하는 구조로는, 상기의 구조 이외에, 도21~도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눌림부(244)를 가압하는 가압 암(246)을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 가압 암(246)은 안쪽 덮개(25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고, 가압 암(246)에는 안쪽 덮개(250)의 개구부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나온 암 가압부(247)가 접속되어 있다. 가압 암(246)은, 안쪽 덮개(250)의 외측에 구비된 가압 스프링(245)에 의해 가압되면, Y1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가압 암(246)을 가압한다. 가압된 가압 암(246)은 안쪽 덮개(250)의 내측에 접속되어 있는 암 회전 지점(246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압 암(246)에 있어 암 회전 지점(246a) 쪽과는 반대쪽에 구비된 스위치 가압부(248)에 의해 눌림부(244)를 가압한다. 한편, 도 21은 가압 암(246)이 구비되어 있는 프린터 내측의 사시도이며, 도 22는 다이얼 노브(220)가 가압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23은 다이얼 노브(220)가 Y1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다이얼 노브(220)의 외측으로부터 노크 스위치(243)가 구비되어 있는 부분을 가압하면, 다이얼 노브(220)가 안쪽 덮개(250)에 대해 전체적으로 Y1 방향로 이동하여 다이얼 노브(220)가 편심된다. 이로써,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 노브(220)가 가압 스프링(245)을 가압하여 가압 스프링(245)을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가압 스프링(245)에 접촉하는 암 가압부(247)를 통해 가압 암(246)이 Y1 방향으로 가압되고, 나아가 가압 암(246)에 의해 눌림부(244)를 가압한다. 이로써, 노크 스위치(243)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노브(22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가압 스프링(245)이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돌아가고, 이에 따라 암 가압부(247) 및 가압 암(246)은 Y2 방향으로 이동하여 눌림부(244)도 원 상태로 돌아간다.
정보 통신 장치를 조작하는 경우, 노크 스위치(243) 대신에 또는 노크 스위치(243)와 함께, 후크(201)의 후크 스위치에 의해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능 블록)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200)에 대해, 도 24에 나타내는 기능 블록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원부(280)의 내부에는 리튬 이온 전지 등 전지(281)가 넣어져 있고, 프린터(200) 전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회로(270), 제1 게이트 회로(271), 제2 게이트 회로(272), 논리합 회로(273), DC-DC 컨버터(274), CPU(Central Processing Unit, 275), 인디케이터(277), 안테나(278)를 포함한다. CPU(275)에는, 안테나(278)를 통한 정보 통신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76)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200)는, 정보 통신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정보 통신 장치(100)의 안테나(101) 및 안테나(278)를 통해 무선 정보 통신을 할 수 있다. 정보 통신 장치(100)와 프린터(200) 사이의 통신 수단은, 예를 들어 BLE이다.
(전원 ON)
프린터(200)의 전원을 ON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 도 24 및 도 2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프린터(200)의 전원을 ON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이얼 노브(220)의 외측으로부터 노크 스위치(243)가 구비되어 있는 부분을 소정 시간 가압한다. 즉, 노크 스위치(243)가 길게 가압된다. 프린터(200)의 전원을 ON으로 하는 과정에 대해, 도 2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S102에서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된 경우에는 S104로 이행되며,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S102를 반복한다. 한편, 노크 스위치(243)에는, 프린터(200)가 OFF인 상태이어도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이어서, S104에서,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됨으로써, 스위치의 가압 기간 중에, 노크 스위치 블록은 CPU(275)에 대한 전원 ON 요구 신호 "H"를, 노크 스위치(243)에 접속되어 있는 제1 게이트 회로(271)로 출력한다.
이어서, S106에서 제1 게이트 회로(271)로부터의 출력 "H"가 논리합 회로(273)로 입력됨으로써 논리합 회로(273)의 출력이 "H"로 된다.
이어서, S108에서, 논리합 회로(273)로부터의 출력 "H"가 DC-DC컨버터(274)로 입력됨으로써 DC-DC 컨버터(274)가 기동(起動)되고, DC-DC 컨버터(274)로부터 전압(Vdd)의 전력이 CPU(275) 등으로 공급된다.
이어서, S110에서, 노크 스위치(243)의 가압 시간이 소정 시간(제1 시간)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노크 스위치(243)의 가압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S112로 이행되고, 노크 스위치(243)의 가압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S114로 이행된다.
S112에서는 CPU(275)를 기동시키고 S116으로 이행된다.
한편, S114에서는, DC-DC 컨버터(274)의 기동을 정지시키고, 프린터(200)의 전원을 OFF 상태로 하여 종료한다.
이어서, S116에서, 노크 입력 신호가 노크 스위치(243)로부터 CPU(275)로 입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노크 입력 신호는 노크 스위치(243)를 ON으로 하면 발생하는 신호이다. CPU(275)에 노크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S118로 이행되고, CPU(275)에 노크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S114로 이행된다. 이와 같이 노크 스위치(243)가 길게 가압되고 있음을 CPU(275)에서 검출함으로써, 프린터(200)를 조작하고 있는 오퍼레이터의 조작 의지를 확인할 수 있어서, 프린터(200)의 전원이 잘못하여 ON으로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있다.
이어서, S118에서, CPU(275)로부터 제2 게이트 회로(272)로 전원ON의 요구를 받아, DC-DC 컨버터(274)의 출력을 유지하기 위해 제2 게이트 회로(272)에 대해 유지(로크)하기 위한 신호 "H"를 출력한다.
이어서, S120에서, DC-DC 컨버터(274)가 기동되어 있는 상태가 로크된다. 구체적으로는, CPU(275)로부터 출력된 로크 신호 "H"가 제2 게이트 회로(272)로 입력되면, 제2 게이트 회로(272)의 출력이 "H"로 되어 논리합 회로(273)로 입력된다. 논리합 회로(273)로 제2 게이트 회로(272)의 출력 "H"가 입력되면, 논리합 회로(273)의 출력이 "H"로 된다. 로크 신호는 노크 스위치(243)가 OFF로 되더라도 출력이 계속되는 것이므로, 노크 스위치(243)를 가압하고 있는 손가락을 떼더라도 이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써, 논리합 회로(273)로부터의 출력 "H"가 입력된 DC-DC 컨버터(274)는 기동되어 있는 상태로 로크된다. 이로써, 후크 스위치(205), 제1 포토 센서(241), 제2 포토 센서(242), 안테나(278) 등으로의 전력 공급이 계속된다.
이어서, S122에서, 프린터(200)의 인디케이터(277)가 복수회 점멸한다. 인디케이터(277)가 복수회(예를 들어, 2회 이상) 점멸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게 프린터(200)의 전원이 ON으로 된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프린터(200)의 전원을 ON으로 할 수 있다.
(전원 OFF)
프린터(200)의 전원을 OFF로 하는 경우에 대해, 도 24 및 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S202에서, 프린터(200)가 조작되지 않고 대기한 채로 있는 상태의 시간(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제2 시간)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S206으로 이행되고,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지 않은 경우에는 S204로 이행된다.
S204에서는, 프린터(200)의 전원을 OFF로 하는 요구가 있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20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정보 통신 장치(100)의 전원 OFF의 아이콘 등을 선택하는 조작을 함으로써, 프린터(200)의 전원을 OFF로 하는 취지의 신호가 정보 통신 장치(100)로부터 프린터(200)로 송신되므로, 이 신호를 프린터(200)가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전원 OFF의 요구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프린터(200)의 전원을 OFF로 하는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S206으로 이행되고, 프린터(200)의 전원을 OFF로 하는 요구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202로 이행된다.
이어서, S206에서, 소정 시간(제3 시간) 동안 인디케이터(277)가 점등된다. 이와 같이, 소정 시간 동안 인디케이터(277)가 점등됨으로써, 프린터(200)의 전원을 OFF로 하는 상태에 있다는 취지를 오퍼레이터에게 알릴 수 있다.
이어서, S208에서, 로크 신호 "L"가 CPU(275)로부터 제2 게이트 회로(272)로 출력된다. 로크 신호 "L"가 제2 게이트 회로(272)에 입력되면, 제2 게이트 회로(272)의 출력이 "L"로 된다. 그 후, CPU(275)는 대기 상태로 되어 정보 처리 등의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어서, S210에서, 노크 스위치(243)의 눌림부(244)가 가압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된 경우에는 S210을 반복하고,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되지 않은 경우에는 S212로 이행된다.
이어서, S212에서 제1 게이트 회로(271)의 출력이 "L"로 된다.
이어서, S214에서, 제1 게이트 회로(271)로부터의 출력 "L"과 제2 게이트 회로(272)로부터의 출력 "L"이 입력되고 있는 논리합 회로(273)의 출력이 "L"로 된다.
이어서, S216에서, 논리합 회로(273)로부터의 출력 "L"이 입력되고 있는 DC-DC 컨버터(274)가 정지되어 프린터(200)의 전원이 OFF로 된다.
(회전 조작)
이어서, 도 27 및 도 9에 기초하여, 노크부(202)의 다이얼 노브(220)를 회전시킴에 의한 입력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포토 센서(241)의 출력을 A상이라 하고, 제2 포토 센서(242)의 출력을 B상이라 하며, A상을 기준으로 하여 다이얼 노브(220) 및 인코더 휠(230)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상과 B상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다이얼 노브(220)의 회전 방향을 검출한다.
인코더 휠(230)에는, 포토 센서(241,242)에 대향하는 면에, 포토 센서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부분과 비반사부(233)가 구비되어 있다. 포토 센서의 발광 소자로부터 나온 광이 인코더 휠(230)의 측면에 닿아 반사된 반사광을 포토 센서의 포토 트랜지스터에서 수광하는데, 예를 들어, 반사광을 거두어 ON시킨 포토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일측에 접속된 바이어스 저항으로 전류가 흘러, "H"로 되는 전압이 발생하여 CPU(275)로 입력된다. CPU(275)는 "H"가 입력됨으로써 인코더 휠(230)의 톱니(232) 면이라고 판단한다. 역으로, 인코더 휠(230)의 비반사부(233)에서는 반사광이 없으므로, 포토 트랜지스터는 OFF로 되며 에미터측 바이어스 저항은 "L"로 된다. 당해 신호가 CPU(275)에 입력되어, CPU(275)는 인코더 휠(230)의 비반사부(233)라고 판단한다.
CPU(275)가 A상으로부터의 당해 신호를 검출하여, 시계열적으로 "L"로부터 "H"로의 변화, 또는 "H"로부터 "L"로의 변화를 검출하였을 때에, A상이 "상승" 또는 "하강" 상태라고 판단한다. B상에서는 레벨을 검출하여 "H" 또는 "L"을 검출한다.
A상, B상의 상태는 CPU(275)에 의해 상시 확인된다. CPU(275) 내부의 메모리에 플래그(F,S)가 구비되며,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상의 상승 시점에서 B상이 "L"에 있을 때에 플래그 F를 "1"로 설정한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상이 "H"일 때에는 "0"으로 설정하여 2개의 상태를 구별한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상이 하강 상태에 있을 때에 B상이 "H"이면 플래그 S를 "1"로 설정하고,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상이 "L"일 때에는 플래그 S를 "0"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할 때에, (F,S)=(1,1)의 조합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회전, (F,S)=(0,0)의 조합에서는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 (F,S)=(0,1) 또는 (F,S)=(1,0)의 상태는 불명(不明)인 것으로 하여 A상의 상승 검출로 돌아간다. 0,1은 편의상 설정한 것이다.
먼저, S302에서, A상의 상승 에지가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제1 포토 센서(241)의 상승 에지(Pa)가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A상의 상승 에지가 검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304로 이행되고, A상의 상승 에지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302를 반복한다.
이어서, S304에서 B상이 "L"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B상이 "L"인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내는 경우에 상당하므로 S306으로 이행된다. 한편, B상이 "L"이 아닌 경우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경우에 상당하므로 S308로 이행된다.
S306에서는 플래그 F를 1로 설정한다. 또한, S308에서는 플래그 F를 0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S310에서, A상의 하강 에지를 검출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제1 포토 센서(241)의 하강 에지(Pb)를 검출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A상의 하강 에지를 검출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314로 이행되고, A상의 하강 에지를 검출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312로 이행한다.
이어서, S312에서는, S302에서 A상의 상승 에지를 검출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A상의 상승 에지를 검출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타임 오버로 되며, 다이얼 노브가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S302로 이행된다. A상의 상승 에지를 검출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S310으로 돌아간다.
S310에서 A상의 하강 에지가 검출된 경우, S314에서 B상이 "H"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B상이 "H"인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내는 경우에 상당하여 S316으로 이행된다. 또한, B상이 "H"이지 않은 경우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경우에 상당하여 S318로 이행된다.
이어서, S316에서는 플래그 S를 1로 설정한다. 또한, S318에서는 플래그 S를 0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S320에서는 플래그 F와 플래그 S가 모두 1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플래그 F와 플래그 S가 모두 1인 경우에는 S322로 이행되고, 플래그 F와 플래그 S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1이 아닌 경우에는 S324로 이행된다.
플래그 F와 플래그 S 양쪽이 1인 경우, S322에서 다이얼 노브(220) 및 인코더 휠(230)의 회전 방향이 우회전이라고 판단된다. 그 후, S302로 이행된다.
S324에서는 플래그 F와 플래그 S가 모두 0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플래그 F와 플래그 S가 모두 0인 경우에는 S326으로 이행된다. 한편, 플래그 F와 플래그 S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0이 아닌 경우에는 S302로 이행된다.
플래그 F와 플래그 S 양쪽이 0인 경우, S326에서 다이얼 노브(220) 및 인코더 휠(230)의 회전 방향이 좌회전이라고 판단된다. 그 후, S302로 이행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제1 포토 센서(241) 및 제2 포토 센서(242)를 이용하여 다이얼 노브(220) 및 인코더 휠(230)의 회전 유무와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A상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B상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정보 통신 장치의 조작)
종래의 거치형 프린터에서는, 프린터는 종속 장치로서, 전원의 ON/OFF, 온라인/오프라인, 용지 피딩 등의 조작 기능이 메인이었으나, 본 제품과 같은 용도에서는, 본체가 되는 정보 통신 장치를 조작하지 않고, 프린터 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거나 프린터 쪽에서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의 아이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면 용도가 보다 확대되어 편리하다.
이러한 조작성을 실현하기 위해 노크 다이얼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조작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린터의 노크 스위치를 가압하면, CPU(275)는 어플리케이션 기동 요구라고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기동 요구를 BLE 모듈을 통해 정보 통신 장치(100)로 송신한다. 정보 통신 장치(100)가 이러한 요구를 받으면, 프린터(200)에 대해 승인을 한다. 승인을 받은 프린터(200)는, 예를 들어, 다이얼을 우회전시킴으로써 정보 통신 장치(100)에 대해 메뉴 화면의 오픈을 요구한다. 정보 통신 장치는 이러한 요구를 받으면 승인을 한다. 그리고, 메뉴를 펼친다. 다이얼로 우회전 또는 좌회전하여 아이콘을 이동시켜 소정의 아이콘 위치에 있을 때에, 노크 스위치를 가압한다. 그러면, 소정의 아이콘이 선택되고, 다음의 서브 메뉴가 열린다. 이러한 조작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예를 들어, 인쇄 실행 아이콘을 선택하고 실행 아이콘 상에서 노크 스위치를 가압하면, 정보 통신 장치(100)에서는 인쇄 태스크가 실행되어 프린터(200)에 대해 인쇄 데이터가 송신된다. 프린터는 보내어져 온 데이터를 내부 처리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노크 다이얼은 이러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조작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를 이용하여 도 29에 나타내는 정보 통신 장치(100)를 조작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프린터(200)의 전원이 ON인 상태에서 노크 스위치(243)를 가압함으로써, 정보 통신 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8에서는 정보 통신 장치(100)를 단말기라고 기재한다.
먼저, S402에서, 프린터(200)의 전원이 ON인 상태에서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된 경우에는 S404로 이행되고,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되지 않은 경우에는 S402를 반복한다.
이어서, S404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기동을 요구하는 신호가 정보 통신 장치(100)로 송신된다. 정보 통신 장치(100)는 프린터(200)로부터의 기동 요구를 받아 프린터(200)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프린터(200)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진 경우에는 승인 답장을 하고, 할 수 없는 경우에는 NAK를 답장한다.
이어서, S406에서, 정보 통신 장치(100)에서의 승인 유무가 판단된다. 프린터(200)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요구에 대해, 정보 통신 장치(100)로부터 프린터(200)에 대해 수신 가능이라는 승인의 답장이 보내어져 승인된 경우에는 S414로 이행되고, 승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S408로 이행된다.
S408에서는, S404에서 어플리케이션 기동을 요구하는 신호를 정보 통신 장치(100)로 송신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정보 통신 장치(100)에 요구 신호를 송신한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S410으로 이행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S406으로 이행된다.
S410에서는, 정보 통신 장치(100)가 다른 처리를 실행하는 중에 비지(busy) 상태에 있을 때에는 NAK를 답장 받으며, 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아 정보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등의 이유에 의해 정보 통신 장치(100)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에러라고 판단되어 본체 부재 또는 통신 불능이라 한 경우에는 S4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200)의 전원이 OFF로 된다.
한편, S414에서는,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방향 조작(H조작)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방향 조작(H조작)인 경우에는 S416으로 이행되고, 커서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방향 조작(H조작)이 아닌 경우에는 S428로 이행된다. 한편, 아이콘 선택 방향이 H조작인지 수직 방향 조작(V조작)인지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는 화면마다 전환되는 것이다.
S416에서는 다이얼 노브(220)가 우회전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다이얼 노브(220)가 우회전된 경우에는 S418로 이행되고, 다이얼 노브(220)가 우회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S420으로 이행된다.
S418에서는,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프린터(200)로부터 송신한다. 정보 통신 장치(100)가 이 신호를 수신하면,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우측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S420에서는 다이얼 노브(220)가 좌회전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다이얼 노브(220)가 좌회전된 경우에는 S422로 이행되고, 다이얼 노브(220)가 좌회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S424로 이행된다.
S422에서는,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프린터(200)로부터 송신한다. 정보 통신 장치(100)가 이 신호를 수신하면,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좌측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S424에서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된 경우에는, 선택되어 있는 아이콘이 확정되며 S426으로 이행된다. 한편,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되지 않은 경우에는 S414로 이행된다.
S426에서는,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의 선택이 확정되었다는 취지의 신호를 프린터(200)로부터 송신한다. 정보 통신 장치(100)가 이 신호를 수신하면,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된 아이콘의 선택이 확정된다.
또한, S428에서는,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S414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처리인지가 판단된다. 이것은, 프린터(200)로부터 정보 통신 장치(100)에 대해 커서의 수평 이동 요구를 하여 승인이 답장되는지 NAK가 답장되는지로 판단한다. 승인이 답장되면 S416로 진행되고, NAK가 답장되면 수직 방향 S428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어서, S430에서는 다이얼 노브(220)가 우회전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다이얼 노브(220)가 우회전된 경우에는 S432로 이행되고, 다이얼 노브(220)가 우회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S434로 이행된다.
S432에서는,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아랫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프린터(200)로부터 송신한다. 정보 통신 장치(100)가 이 신호를 수신하면,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아랫쪽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S434에서는 다이얼 노브(220)가 좌회전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다이얼 노브(220)가 좌회전된 경우에는 S436으로 이행되고, 다이얼 노브(220)가 좌회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S438로 이행된다.
S436에서는,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윗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프린터(200)로부터 송신한다. 정보 통신 장치(100)가 이 신호를 수신하면,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가 윗방향으로 이동하여 윗쪽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S438에서,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된 경우에는 선택되어 있는 아이콘이 확정되므로 S440으로 이행되고 노크 스위치(243)가 가압되지 않은 경우에는 S414로 이행된다.
S440에서는,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의 선택이 확정된 취지의 신호를 프린터(200)로부터 정보 통신 장치(100)로 송신한다. 정보 통신 장치(100)가 이 신호를 수신하면, 정보 통신 장치(100)의 표시 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된 아이콘의 선택이 확정된다.
S442에서는, 정보 통신 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지 말지가 판단된다. 정보 통신 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는 S444로 이행되고, 네스팅 처리의 아이콘이 선택되었던가 또는 취소 등 다른 처리가 선택된 경우에는 S414로 이행된다.
S444에서는, 정보 통신 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인쇄 실행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는, 정보 통신 장치(100)로부터 프린터(200)에 대해 인쇄 데이터가 송신되며, 용지가 있고 프린터(200) 내부에 에러가 없다면 인쇄를 실행하며, 인쇄가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정보 통신 장치(100)에 정상 종료를 알리는 승인을 답장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있으면, 프린터(200)로부터 정보 통신 장치(100)로 에러 정보를 답장하여 통지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내용이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은 일본 특허청에 2017년 9월 15일에 출원된 기초 출원 2017-17730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써 여기에 원용한다.
100: 정보 통신 장치 110: 표시 화면
200: 프린터 202: 노크부
210: 인쇄 기능부 220: 다이얼 노브
221: 톱니 230: 인코더 휠
231: 회전축 232: 톱니
233: 비반사부 241: 제1 포토 센서
242: 제2 포토 센서 243: 노크 스위치
260: 바깥쪽 덮개

Claims (4)

  1. 기록지에 인쇄를 하는 인쇄 기능부를 갖는 인쇄 장치로서,
    정보 통신 장치와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가압 가능한 스위치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다이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다이얼 노브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 통신 장치를 조작하는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다이얼 노브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이얼 노브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노브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이얼 노브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보다 광 반사가 적은 비반사부를 구비하는 인코더 휠과,
    제1 포토 센서 및 제2 포토 센서와,
    상기 제1 포토 센서와 상기 제2 포토 센서에서 검출되는 상기 인코더 휠로부터의 반사광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상기 다이얼 노브의 회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노브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KR1020180105776A 2017-09-15 2018-09-05 인쇄 장치 KR20190031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7306A JP6966905B2 (ja) 2017-09-15 2017-09-15 印刷装置
JPJP-P-2017-177306 2017-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147A true KR20190031147A (ko) 2019-03-25

Family

ID=6349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776A KR20190031147A (ko) 2017-09-15 2018-09-05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45026B2 (ko)
EP (1) EP3461645B1 (ko)
JP (1) JP6966905B2 (ko)
KR (1) KR20190031147A (ko)
CN (1) CN109501473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223A (ja) 1994-01-27 1995-08-18 Brother Ind Ltd 携帯型通信装置
JP2003500245A (ja) 1999-05-25 2003-01-07 シルバーブルック リサーチ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モジュラー式コンパクトプリン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6524A (en) * 1985-12-23 1987-04-07 Polaroid Corporation Electronic imaging copier
JPH09123537A (ja) * 1995-10-27 1997-05-13 Brother Ind Ltd 手動走査式印字装置
JP2001142632A (ja) * 1999-11-15 2001-05-25 Nec Corp 入力補助装置
EP1132934A1 (de) * 2000-03-10 2001-09-12 TH Contact AG Drehschalter
JP2002032186A (ja) * 2000-07-19 2002-01-31 Sharp Corp ペン型情報端末
JP2003050668A (ja) * 2001-08-07 2003-02-21 Shimadzu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20090027698A1 (en) * 2006-02-24 2009-01-29 Eli Velner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heets, Particularly for Printing
US20080238971A1 (en) * 2007-03-30 2008-10-02 Brian Dale Cook Method of Selecting Objects To Be Printed For A Hand-Held Printer
US10798540B2 (en) * 2017-02-14 2020-10-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US9356468B2 (en) * 2010-06-14 2016-05-31 Chang-ho Kim On/off switch and standby power shutoff device using same
EP2639676B1 (en) * 2012-03-12 2019-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40368869A1 (en) * 2013-06-12 2014-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inting web page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JP6409435B2 (ja) 2014-09-18 2018-10-24 株式会社リコー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方法
US10139250B2 (en) * 2016-07-08 2018-11-27 Apple Inc. Optical encoder based on light-steering based contrast generation from a first plurality of primary convex mirror sections and a second plurality of secondary mirror sections
JP6842341B2 (ja) * 2017-03-30 2021-03-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223A (ja) 1994-01-27 1995-08-18 Brother Ind Ltd 携帯型通信装置
JP2003500245A (ja) 1999-05-25 2003-01-07 シルバーブルック リサーチ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モジュラー式コンパクトプリン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01473A (zh) 2019-03-22
EP3461645B1 (en) 2021-07-07
US10445026B2 (en) 2019-10-15
CN109501473B (zh) 2020-10-09
JP6966905B2 (ja) 2021-11-17
JP2019051646A (ja) 2019-04-04
EP3461645A1 (en) 2019-04-03
US20190087134A1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9102B1 (en) Input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handheld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08144282A1 (en) Multi-purpose optical mouse
CN101815182A (zh) 输入设备和方法、信息处理系统及程序
JP3168847U (ja) インターネット接続ターゲットを迅速に切り換えることができるブルートゥースマウス
US2018023456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338509B2 (en) Information input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nformation inputting apparatus
KR20190031147A (ko) 인쇄 장치
US20190227704A1 (en) Active touch pen
JP2017030305A (ja) 電子機器
US7719518B2 (en) Computer peripheral device
JP5983225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システム
JP678264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51759A (ja) 画像読取装置
JP2018156590A (ja) 入力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9019986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25334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6369243B2 (ja) 操作表示装置、プログラム、操作表示システム
JP4171830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11491811B2 (en) Printer
JP693478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468273B1 (ko) 다기능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JP2009025861A (ja) パネル操作処理システム、パネル操作装置およびパネル操作処理プログラム
JP2023137213A (ja) 製造ラインおよび製造ラインの稼働方法
KR101326307B1 (ko) 복합기의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JPH09322013A (ja) アイコン表示方式のリモコ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