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024A - 블라인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024A
KR20190031024A KR1020170118831A KR20170118831A KR20190031024A KR 20190031024 A KR20190031024 A KR 20190031024A KR 1020170118831 A KR1020170118831 A KR 1020170118831A KR 20170118831 A KR20170118831 A KR 20170118831A KR 20190031024 A KR20190031024 A KR 2019003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glass member
building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568B1 (ko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56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블라인드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의 커튼월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시스템은, 상기 커튼월에 설치되는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유닛; 및 상기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커튼월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시스템{BLIND SYSTEM}
아래의 실시예는 건물, 특히 고층 건물의 커튼월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이 고층화 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에 커튼월(Curtain wall)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커튼월은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더불어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건물의 주체 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지지하는 구조에 있어서, 단순이 공간을 칸막이 하는 커튼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으로, '비내력벽'(nondearing wall)이라고도 한다.
커튼월용 외벽 패널로는 대표적인 외장재인 유리패널 또는, 이중유리 열선흡수 유리등이 사용되고 있다. 커튼월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패널을 규격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커튼월은 변형성이 낮으면서도 내열/내풍성을 가지는 경량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리패널은 건물내부로 빛이 투과되면서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투시할 수 있는 비전 파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리 패널의 경우, 빛이 통과하기 때문에 건물의 논비전 파트와 비교하여, 건물 내외의 에너지 전달량이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외기에 따른 냉난방은 고단열 건축물에서는 태양의 일사에 대해 적응하지 못해, 실내 환경은 존(zone)별로 매우 상이하게 되어, 개별 존별로 비전파트로 들어오는 일사량의 조절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유리 패널을 통한 빛의 에너지 전달량을 조절함으로써, 건물의 냉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왔다. 기존 방식의 경우, 단순히 유리 패널을 통한 빛을 차단시킴으로써, 건물 내부로부터 외부 조망이 불가능 하며, 겨울철의 경우 열원으로 하여금 열적 쾌적성에 불리하게 된다.
즉, 빛, 열, 시선, 조망등의 각 환경요인에 따라 실내 환경이 개별 제어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 계절에 맞는 열원 활용과 재실자의 외부 시야 확보가 가능한 블라인드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공개공보 제10-2009-0072865호는 브리지 가스켓을 갖는 이중창호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건물 주변 환경에 따라 건물 내외의 빛 투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인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인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재실자의 외부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열적 쾌적성을 보장할 수 있는 블라인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의 커튼월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시스템은, 상기 커튼월에 설치되는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유닛; 및 상기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커튼월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유닛은, 상기 건물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블라인드; 및 상기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블라인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블라인드 및 내부 블라인드는, 상기 글라스 부재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부재를 향하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 및 내부 블라인드의 일면은, 빛을 흡수하는 투과성 흑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블라인드 및 내부 블라인드의 타면은, 빛의 난반사를 발생시키는 반사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유닛은, 상기 글라스 부재의 수직 방향을 따라 커튼월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블라인드 및 내부 블라인드는, 상기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외부 블라인드 및 내부 블라인드 각각은, 상기 글라스 부재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부재의 중심 측까지 움직이도록 작동하는 하부 블라인드 부재; 및 상기 글라스 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부재의 중심 측까지 움직이도록 작동하는 상부 블라인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시스템은, 상기 건물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블라인드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글라스 부재에 작용하는 일사량, 건물 내외 온도, 습도, 계절,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감지하는, 블라인드 시스템.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물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야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블라인드가 상기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작동시키고, 상기 건물 내의 온도를 하강시켜야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가 상기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은, 건물 주변 환경에 따라 건물 내외의 빛 투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은, 재실자의 외부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열적 쾌적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의 작동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의 작동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1)은, 건물의 커튼월(C)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 천장은 평탄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슬라브(S)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슬라브(S) 사이의 공간을 통해 건물의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커튼월(C)(curtain wall)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건물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튼월(C)은 슬라브(S)와 연결됨으로써, 각 공간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튼월(C)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멀리온(mullion)과, 수평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트랜섬(transom)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멀리온 및 트랜섬은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건물의 외관을 단위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멀리온과, 한 쌍의 트랜섬을 통해 하나의 단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멀리온 및 트랜섬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패널(panel) 또는 글라스 부재가 설치되어 건물의 단위 외벽을 형성할 수 있다. 패널이 설치되는 단위 외벽은, 빛이 투과하지 않는 논비전 파트(nonvision part)를 형성할 수 있다. 반면, 투과성 재질의 글라스 부재가 설치되는 단위 외벽은, 빛이 투과하는 비전 파트(vision part)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건물의 비전 파트를 통해, 건물의 내부 및 외부 사이에서 빛이 통과할 수 있다. 건물의 비전 파트는, 글라스 부재를 통한 빛의 투과로 인해, 논비전 파트에 비하여 보다 높은 열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1)은, 건물의 비전파트에 설치됨으로써, 비전 파트를 통한 빛과 에너지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1)은, 창호 유닛(100) 및 블라인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창호 유닛(100)은 커튼월(C)에 설치되고, 건물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다. 창호 유닛(100)은, 글라스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건물 외벽의 비전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글라스 부재는, 한 쌍의 멀리온 및 트랜섬 사이에 배치되는 판넬 형상일 수 있다. 글라스 부재는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글라스 부재를 통해 빛이 통과할 수 있다.
글라스 부재는, 빛의 특정 파장을 차단하는 차단재가 코팅될 수 있다. 즉, 글라스 부재는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함으로써, 실내외 열의 유출입을 차단하여 실내의 단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재는 태양복사에너지 중 열에너지원 역할을 담당하는 적외선을 차단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재가 차단하는 빛의 파장은 제한되지 않는다.
창호 유닛(100)은, 복수의 글라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호 유닛(100)은 실내에 접하는 내측 글라스 부재와, 실외에 접하는 외측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는 이중 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창호 유닛(100)이 이중 창 구조를 가지는 경우, 복수의 글라스 부재 사이에는 불활성 기체가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글라스 부재와, 복수의 글라스 부재 사이의 불활성 기체 층을 통해 건물의 실내외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블라인드 유닛은, 커튼월(C)에 설치되어 글라스 부재를 커버할 수 있다. 블라인드 유닛은 글라스 부재를 선택적으로 커버함으로써, 글라스 부재로 투과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블라인드 유닛은, 글라스 부재의 양 측을 커버할 수 있다. 블라인드 유닛은 건물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블라인드(110)및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블라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블라인드는 건물의 외부 및 글라스 부재 사이의 빛을 차단하고, 내부 블라인드는 건물의 내부 및 글라스 부재 사이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각각의 블라인드는 글라스 부재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라인드는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펼쳐짐으로써, 글라스 부재를 투과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블라인드는 일 방향으로 접힘으로써, 글라스 부재에 빛이 투과하도록 할 수 있다.
블라인드 유닛은, 일 방향으로 빛이 투과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블라인드(110)및 내부 블라인드(120)각각은,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흡열재를 일면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열재는 빛을 흡수하는 투과성 흑체일 수 있다. 반면 외부 블라인드(110)및 내부 블라인드는,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 단열재를 타면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재는, 빛을 차단하는 라미네이팅 코팅이거나, 단열성능을 가지는 메탈라이징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반사재는 빛의 난반사를 유도함으로써, 투과되는 빛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블라인드(110)및 내부 블라인드는, 글라스 부재를 마주보는 일면에 투과성 흑체를 구비하고, 타면에 빛의 난반사를 발생시키는 반사 단열재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블라인드 유닛의 작동을 통해, 건물 내외의 빛 투과정도 및 에너지 전달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1')의 개략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1')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유닛은 가이드 레일(113)을 통해 글라스 부재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블라인드 유닛은, 가이드 레일(1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3)은, 글라스 부재의 수직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을 가지도록, 커튼월(C)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3)은, 글라스 부재를 기준으로 건물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블라인드(110)및 내부 블라인드는 가이드 레일(113)을 따라 글라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글라스 부재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외부 블라인드(110')및 내부 블라인드(120')각각은, 하부 블라인드 부재(112, 122) 및 상부 블라인드 부재(111, 12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블라인드 부재(112, 122)는 글라스 부재의 하측으로부터 글라스 부재의 중심 측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부 블라인드 부재(112, 122)는 가이드 레일(113)을 따라 이동하도록 작동하면서, 글라스 부재의 하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부 블라인드 부재(111, 121)는 글라스 부재의 상측으로부터 글라스 부재의 중심 측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블라인드 부재(111, 121)는 가이드 레일(113)을 따라 이동하도록 작동하면서 글라스 부재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하부 블라인드 부재(112, 122) 및 상부 블라인드 부재(111, 121)의 작동을 통해 글라스 부재의 커버 정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글라스 부재를 향하는 빛의 투과 범위를 글라스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이나 계절에 따라 글라스 부재에 대한 빛의 조사각도에 대응하여, 글라스 부재에 대한 빛의 투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블라인드 부재(111, 121) 및 하부 블라인드 부재(112, 122)는 글라스 부재의 중심부로부터 상 하측 방향으로 글라스 부재를 개방하기 때문에, 건물 내 사용자의 외부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건물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한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블라인드 부재(111, 121) 및 하부 블라인드 부재(112, 122)는 지면으로부터 글라스 부재를 통해 건물 내부가 관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1)의 작동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1)의 작동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1)은, 건물 주변의 환경에 따라, 건물의 내부 및 외부의 에너지 전달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과 같이 건물의 실내 공간의 단열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외부 블라인드(110)는 글라스 부재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내부 블라인드(120)는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건물의 외부의 빛은, 내부 블라인드(120)를 통해 건물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글라스 부재를 마주보는 내부 블라인드의 일면(1201)은,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흑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로 조사되는 빛의 에너지량이 증가할 수 있다. 반면, 건물 내부를 향하는 내부 블라인드의 타면(1202)은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는 반사 단열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에너지량이 감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라인드 시스템(1)은 건물 내부의 빛 흡열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건물 내부의 온도를 높이고, 건물 내부의 난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반면, 여름과 같이 건물 실내 공간의 냉방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상태에서는, 도 6과 같이 내부 블라인드(120)가 글라스 부재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외부 블라인드(110)는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글라스 부재를 마주보는 외부 블라인드의 일면(1102)은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흑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의 빛의 에너지가 외부 블라인드(110)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반면, 건물의 외부를 향하는 외부 블라인드의 타면(1101)은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는 반사 단열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조사되는 빛의 에너지는 외부 블라인드(110)를 통해 난반사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라인드 시스템(1)은 건물 내부의 에너지 방출량은 증가시키고, 건물 외부로부터의 에너지 흡수량은 감소시킴으로써, 건물 내부의 냉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도 5 및 도 6에서의 블라인드 작동에 따른 에너지 전달량 조절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건물 주변의 환경에 따라,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블라인드 시스템(1)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블라인드 시스템(1)은, 제어부(130) 및 감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건물의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잇다. 감지부(140)는, 예를 들어, 글라스 부재에 작용하는 빛의 일사량, 건물 내외의 온도, 습도, 계절, 시간, 기상정보등을 포함하는 건물 주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블라인드 시스템(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내부 블라인드(120)및 외부 블라인드(110)각각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건물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빛 에너지 전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40)가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라인드 유닛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건물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야 하는 경우, 내부 블라인드가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작동시키고, 건물 내의 온도를 하강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외부 블라인드(110)가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부(140)를 통해, 외부 블라인드(110)에 작용하는 바람의 세기가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외부 블라인드(110)가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지 않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외부 블라인드(110)가 감기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풍속, 예를 들어, 태풍등으로 인해 외부 블라인드(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시스템(1)은, 건물의 비전 파트를 형성함으로써, 건물 내외의 시야를 확보하는 동시에, 비전 파트를 통한 에너지 전달을 조절함으로써, 건물의 냉난방 부하를 저감시키고,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블라인드 시스템(1)은 건물 주변 환경에 따라, 건물 내외의 에너지 전달량을 조절함으로써, 건물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블라인드 시스템
100: 창호 유닛
110: 외부 블라인드
120: 내부 블라인드
130: 제어부
140: 감지부

Claims (9)

  1. 건물의 커튼월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에 설치되는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유닛; 및
    상기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커튼월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유닛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유닛은,
    상기 건물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블라인드; 및
    상기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블라인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블라인드 및 내부 블라인드는, 상기 글라스 부재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블라인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부재를 향하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 및 내부 블라인드의 일면은, 빛을 흡수하는 투과성 흑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블라인드 및 내부 블라인드의 타면은, 빛의 난반사를 발생시키는 반사 단열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유닛은,
    상기 글라스 부재의 수직 방향을 따라 커튼월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블라인드 및 내부 블라인드는, 상기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블라인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블라인드 및 내부 블라인드 각각은,
    상기 글라스 부재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부재의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하는 하부 블라인드 부재; 및
    상기 글라스 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부재의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하는 상부 블라인드 부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블라인드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글라스 부재에 작용하는 일사량, 건물 내외 온도, 습도, 계절,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감지하는, 블라인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물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야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블라인드가 상기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작동시키고,
    상기 건물 내의 온도를 하강시켜야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가 상기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도록 작동시키는, 블라인드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에 작용하는 바람의 세기가 기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외부 블라인드가 상기 글라스 부재를 커버하지 않도록 작동시키는, 블라인드 시스템.
KR1020170118831A 2017-09-15 2017-09-15 블라인드 시스템 KR10204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831A KR102048568B1 (ko) 2017-09-15 2017-09-15 블라인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831A KR102048568B1 (ko) 2017-09-15 2017-09-15 블라인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024A true KR20190031024A (ko) 2019-03-25
KR102048568B1 KR102048568B1 (ko) 2019-11-25

Family

ID=6590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831A KR102048568B1 (ko) 2017-09-15 2017-09-15 블라인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5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412Y1 (ko) * 2001-04-30 2001-10-12 탁광호 옥외 차광장치
JP2002138778A (ja) * 2000-10-30 2002-05-17 Nichibei Co Ltd 外部日除け装置
JP2003214069A (ja) * 2002-01-23 2003-07-30 Nichibei Co Ltd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14224434A (ja) * 2013-04-19 2014-1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ラインド
KR20150125512A (ko) * 2014-04-29 2015-11-09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가이드 구조를 갖는 블라인드 장치
KR20160012348A (ko) * 2014-07-23 2016-02-03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전동 차양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778A (ja) * 2000-10-30 2002-05-17 Nichibei Co Ltd 外部日除け装置
KR200241412Y1 (ko) * 2001-04-30 2001-10-12 탁광호 옥외 차광장치
JP2003214069A (ja) * 2002-01-23 2003-07-30 Nichibei Co Ltd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14224434A (ja) * 2013-04-19 2014-1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ラインド
KR20150125512A (ko) * 2014-04-29 2015-11-09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가이드 구조를 갖는 블라인드 장치
KR20160012348A (ko) * 2014-07-23 2016-02-03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전동 차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568B1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70387A (en) Roller blind
KR101136866B1 (ko) 이중 개폐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창호
US11248763B2 (en) High efficiency external daylighting devices
KR101592403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창호
KR20110073077A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물의 이중외피
KR101586208B1 (ko) 투광형 박막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회전형 이중외피 시스템
KR101551722B1 (ko) 투광형 박막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차양 및 난방용 이중외피 시스템
EP3408486B1 (en) Double-glazing system with retroreflectivity properties
KR101352018B1 (ko) 전천후 이동식 블라인드 내장형 친환경 디자인 창호
KR20190031024A (ko) 블라인드 시스템
KR100711769B1 (ko) 블라인드
JP2001060407A (ja) 昼光利用システム
KR101173175B1 (ko)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JP3745873B2 (ja) ルーバー入り複層ガラス
JP3311901B2 (ja) 窓開口部の日射および輻射熱の制御装置
EP0922829A2 (en) Reversible ventilated glazing system
US11585146B2 (en) Building envelope
Rayaz et al. Review of advanced daylighting systems
KR20110012970A (ko)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KR20100106081A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KR101763385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20110062855A (ko) 초고층 건물의 에너지 절약형 창호시스템
KR101168493B1 (ko) 비대칭 반사면을 구비한 이중창호 시스템
Jadhav et al. Passive design technologies
Paule et al. Multi-layer façades: What happens beh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