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960A -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960A
KR20190030960A KR1020170118661A KR20170118661A KR20190030960A KR 20190030960 A KR20190030960 A KR 20190030960A KR 1020170118661 A KR1020170118661 A KR 1020170118661A KR 20170118661 A KR20170118661 A KR 20170118661A KR 20190030960 A KR20190030960 A KR 20190030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hicle
visitor
entra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609B1 (ko
Inventor
김종정
Original Assignee
김종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정 filed Critical 김종정
Priority to KR102017011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6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3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00103
    • G07C9/00119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08B13/19615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wherein said pattern is defined by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6Wireless systems, other than 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은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 특정 지역에 구비된 CCTV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촬영 시각 정보와 함께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고, 출입 보안 서버의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량 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랑 번호를 추출하고 차량정보DB를 조회하여 방문자 신원을 조회하거나, 로비폰의 카메라 또는 승강기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녹화하여 CCTV 시스템에 저장하고 이를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며, 도난 사고 발생시에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하여 신원 정보를 조회하여 도난 사고 범인 검거 및 경찰청 수배 범죄 차량 검거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자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to manage entrance and exit by using a carnumber recogni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 특정 지역에 구비된 CCTV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촬영 시각 정보와 함께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고, 출입 보안 서버의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량 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랑 번호를 추출하고 차량 정보DB를 조회하여 방문자 신원을 조회하며, 로비폰의 카메라 또는 승강기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녹화하여 CCTV 시스템에 저장하고, 이를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며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며, 도난 사고 발생시에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하여 신원 정보를 조회하여 범인 검거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자료를 제공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폰은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며, 방문자가 사용하는 현관의 도어에 설치되는 실외 인터폰과 실내의 인터폰 사용자와 유선으로 음성 통화를 하여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보고 방문자를 식별하며, 방문자의 신원이 확인되면 벽에 설치된 실내 인터폰의 버튼을 눌러 현관에 연결된 도어 개폐기를 제어하여 도어를 개폐한다. 최근, 인터폰은 마이크와 스피커 이외에 카메라를 더 구비하는 비디오 도어 폰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터폰 시스템 구성도이다.
인터폰 시스템은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11)와 실내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2)와 실내로 초인종을 누르는 버튼(13)과 버튼 입력에 따라 발생된 DTMF 톤을 전송하는 DTMF 발생부(14)를 구비하는 도어 인터폰(10); 및 도어 인터폰(10)으로부터 전송된 DTMF톤을 검출하는 DTMF 검출부(21), 실내외 인터폰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 송수신, 저장 및 도어 개폐 기능을 제어하는 콘트롤러(22), 방문자와 실내 사용자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3), 실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24), 방문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5), 도어 개폐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26)과 방문자의 영상과 음성을 저장하는 메모리(27), 실내 사용자가 방문자와의 음성 및 영상 통화 후에 방문자가 확인되면 도어 개폐 장치(30)로 도어 오픈 신호를 전송하는 도어 개폐 구동부(28)를 구비하는 실내 인터폰(20)을 포함한다.
특허공개번호 10-1995-0016154에서는 "자동응답 기능을 갖는 인터폰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실외기와 실내기로 분류된 인터폰에 있어서, 실외기는 방문자가 실내기 및 실내 사람과 음성으로 메시지를 교환하거나 부재시 남겨둘 메시지를 입력시키기 위한 제1 스피커 및 마이크와, 방문자가 실내의 사람을 호출하고 메시지 교환이 종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호출 및 종료버튼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실내기는 실외기와 통화를 하거나 부재시에 전달할 메시지를 입력시키기 위한 제2 스피커 및 마이크와,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고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데크메카니즘과 메시지를 저장하고 부재시 저장된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기능을 설정하여 상기 오디오 데크메카니즘의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와 실외기의 호출 및 종료버튼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실외기와 실내기의 통화를 제어하고 부재시에 메시지가 출력 또는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부재시 전달할 메시지 및 방문자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메시지 데이타를 처리하여, 제1,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로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제1, 제2스피커 및 마이크에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1로써, 특허 등록번호 10-09095780000에서는 "차량번호인식을 통한 브이.아이.피 고객관리시스템"이 공개되어 있으며, 은행, 백화점, 호텔과 같은 브이.아이.피(VIP)계층의 비중이 많은 업체에 있어서 이를 방문하는 VIP고객을 대상으로 고품격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객의 차량이 매장의 주차장 접근 때부터 인지하여 매니저, 지점장등이 직접 VIP고객을 응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번호인식을 통한 브이.아이.피(VIP)고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차량번호인식을 통한 브이.아이.피(VIP)고객관리 시스템은 차량진입시스템에서 loop coil(10)을 통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로에 설치된 카메라(20)를 이용해 차량이미지와 차량번호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와 이미지 저장소(30)를 통해 상기 촬영된 차량과 차량번호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30)와 Intel CPU와 WINDOWS계열의 표준DLL의 표준인터페이스에 최적화하여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인식기술중 신경망 접근이론과 패턴매칭방식의 장점을 통합한 알고리즘으로 차량문자인식값을 추출하는 차량번호인식엔진(40)을 통해 상기의 이미지 저장소(30)에 저장된 이미지를 차량번호 인식값으로 추출하는 단계와 VIP 감식서버를 통해 고객 D/B(60)의 고객의 성명, 차량번호, 고객의 매장 이용빈도와 매출, 고객의 매장에서의 등급의 정보와 대조하여 VIP고객여부를 판단하고 신호전송장치로 전송하는 단계(90)와 상기 VIP고객판단 후 신호전송장치를 통해 주차관제소와 휴대폰, PDA와 같은 개인단말기에 통보하여 주차장에서 대기하여 안내할 담당자에게 신호전송장치를 통해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 기술2로써, 특허 등록번호 10-11465810000에서는 "인공지능 차량번호인식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인공지능 차량번호인식시스템은 아파트/회사 등과 같은 특정 공동체의 입주민/직원 주차장 또는 마트/영화관/관공서 등과 같은 불특정 공동체의 대고객/대민원 주차장에 마련되어, 출/입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인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 야간과 태양광 위치 변화와 급작스러운 환경 변화 등에 무관하게 에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전용의 차량번호 인식을 위한 카메라와, 태양광 위치 변화로부터 자연현상인 역광/ 측광/ 반사광 등을 감지할 수 있는 태양/조명위치판별센서부를 마련하여, 움직이는 태양/자동차의 헤드라이트/전관조명의 갑작스러운 환경변화(구름, 비, 안개) 등으로 인해 차량번호 인식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촬영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번호인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 기술3로써,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709490000에서는 "방범용 차량번호인식 스마트 치안정보 전송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차량번호 인식 스마트 치안 정보 전송 시스템은 카메라에 의해 차량을 포함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어진 촬상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촬상정보를 송신하도록 된 로컬서버와, 수배 차량의 차량정보가 기록된 경찰청 수배 DB서버와, 로컬서버 및 경찰청 수배 DB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로컬서버로부터 수신된 촬상정보로부터 경찰청 수배 DB서버에 기록된 수배차량이 있는 지를 판단하고, 수배 차량이 없는 촬상정보는 비수배차량 촬상기억부에 저장처리하고, 수배차량과 일치하는 촬상정보는 수배차량 촬상기억부에 각각 따로따로 저장처리하며, 수배차량과 일치하는 촬상정보를 수배정보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원격통합 센터서버와, 수배정보 원격제어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원격통합 센터 서버로부터 제공된 수배차량과 일치되는 차량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등록된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되어 표시되게 처리하는 제1수배정보 전송통보기와, 수배정보 원격제어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원격통합 센터 서버로부터 제공된 수배차량과 일치되는 차량정보를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되게 처리하는 제2수배정보 전송통보기와, 수배정보 원격제어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원격통합 센터 서버로부터 수배차량과 일치되는 차량정보를 음성정보로 변환하여 등록된 무전기로 전송되게 처리하는 제3수배정보 전송통보기를 구비한다.
그러나, 기존의 로비폰 카메라로 촬영된 방문자의 영상에서 추출된 방문자 얼굴 이미지와 출입 개폐 기능을 제공하였지만 CCTV 시스템과 차량 정보 DB가 각각 별도로 따로따로 운영되었으며, 차량 출입시에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에 구비된 CCTV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 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추출하고 차량 정보 DB를 조회하여 신원 정보를 확인하고, 방문자 이미지와 차량 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와 화상 비교 분석을 통해 도난 사고 발생시에 디지털 포렌식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다.
특허 등록번호 10-09095780000 (등록일자 2009년 07월 21일), "차량번호인식을 통한 브이.아이.피 고객관리시스템" , 주식회사 로시스정보기술 특허 등록번호 10-11465810000 (등록일자 2012년 05월 09일), "인공지능 차량번호인식시스템", 김정구, 아이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709490000 (등록일자 2014년 01월 14일), "방범용 차량번호인식 스마트 치안정보 전송 시스템", 주식회사 포커스테크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 특정 지역에 구비된 CCTV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촬영 시각 정보와 함께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고, 출입 보안 서버의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량 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랑 번호를 추출하고 차량 정보DB를 조회하여 방문자 신원을 조회하며, 로비폰의 카메라 또는 승강기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녹화하여 CCTV 시스템에 저장하고, 이를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며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며, 도난 사고 발생시에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하여 신원 정보를 조회하여 범인 검거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자료를 제공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은 현관에서 방문자의 버튼 눌림 신호,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방문자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실내기 또는 출입 보안 서버가 설치된 PC로 전송하는 로비폰; 상기 로비폰으로부터 버튼 눌림 신호, 방문자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이 구비되며, 방문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차량 번호와 그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하여 신원 정보를 제공하는 출입 보안 서버; 상기 출입 보안 서버와 연결되며, 사진과 차량 번호와 관련된 사진, 이름, 주소, 자동차 등록 번호, 이동전화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DB; 및 상기 출입 보안 서버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특정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진입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에 저장하고 상기 차량 번호 이미지를 시각 정보와 함께 상기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CCTV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방법은, (a) 차량 진입시에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 및 특정 지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촬영 시각 정보와 함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에 녹화 저장하고, 이를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출입 보안 서버가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량 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랑 번호를 추출하고, 차량 번호, 사진과 차량 정보가 포함된 차량정보DB를 조회하여 방문자 신원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c) 승강기 입구 또는 내부의 천장에 설치된 승강기 카메라 또는 현관 로비폰의 카메라에 의해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출입 보안 서버는 상기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비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차량정보DB에 저장된 사진 이미지(표준 이미지)를 각각 얼굴 이미지 만을 추출하여 얼굴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얼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검출된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와 동일하면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방문자 신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 특정 지역에 구비된 CCTV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촬영 시각 정보와 함께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고, 출입 보안 서버의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량 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랑 번호를 추출하고 차량 정보DB를 조회하여 방문자 신원을 조회하며, 로비폰의 카메라 또는 승강기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녹화하여 CCTV 시스템에 저장하고, 이를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며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며, 도난 사고 발생시에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하여 신원 정보를 조회하여 도난 사고 범인 검거 또는 경찰청 수배차량 검거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자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인터폰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일 실시예로써 차량 번호판 이미지에서 이진화 영상 또는 DoG(Difference of Gaussian) 필터링 기술을 사용한 차량 번호 인식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은 현관에서 방문자의 버튼 눌림 신호(DTMF 톤),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방문자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실내기 또는 출입 보안 서버(200)가 설치된 PC로 전송하는 로비폰(100);
상기 로비폰(100)으로부터 버튼 눌림 신호, 방문자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이 구비되며, 방문자 이미지와 차량정보DB(270)에 저장된 차량 번호와 그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하여 신원 정보를 제공하는 출입 보안 서버(200);
상기 출입 보안 서버(200)와 연결되며, 사진과 차량 번호와 관련된 사진, 이름, 주소, 자동차 등록 번호, 이동전화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DB(270); 및
상기 출입 보안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특정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진입 차량(400)의 차량 번호판(410)을 촬영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330)에 저장하고 상기 차량 번호 이미지를 시각 정보와 함께 상기 출입 보안 서버(200)로 전송하는 CCTV 시스템(300)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 보안 서버(200)의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직사각형 크기의 차량 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랑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차량 번호를 사용하여 차량정보DB(270)를 조회하여 방문자 신원 정보를 제공하며, 로비폰의 카메라 또는 승강기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녹화하여 CCTV 시스템(300)에 저장하고 이를 출입 보안 서버(200)로 전송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며, 도난 사고 발생시에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하여 신원 정보를 조회한다.
화상 인식 프로그램은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한 차량 번호 추출 기술과,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한 방문자 이미지의 얼굴 인식 기술이 구비된다.
로비폰(100)은 버튼(101), DTMF 발생부(102), 제어부(103), 마이크(104), ADC(105), 음성 처리부(106), 스피커(107), DAC(108), 영상 처리부(110), 통신부(111), 저장부(112), 출입 카드 인식기(120)를 포함하고, 로비폰의 제어부(103)는 도어 개폐 장치(130)와 연동된다. 또한, 로비폰(100)의 출입 카드 인식기(120)는 출입 카드를 인식하여 로비폰(100)의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출입이 허가된 사용자이면 자체적으로 도어 개폐 장치(130)를 개폐한다.
출입 보안 서버(200)는 통신부(210), MCU(220), 저장부(230), 마우스와 키보드(240)를 구비하며,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구비하며, 차량 정보 DB(270)와 연동된다.
CCTV 시스템(300)은 진입 차량(400)의 차량 번호판(410)을 촬영하는 카메라(310), 제어기(320),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330)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 보안 서버(200)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은 차량 진입시에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에 구비된 CCTV 카메라(310)로 촬영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촬영 시각 정보와 함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330)에 녹화 저장하고 이를 출입 보안 서버(200)로 전송하고, 출입 보안 서버(200)의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량 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랑 번호를 추출하고 차량 정보DB(270)를 조회하여 방문자 신원을 조회하며,
로비폰(100)의 카메라(109) 또는 승강기에 설치된 카메라(109)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녹화하여 CCTV 시스템(300)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330)에 저장하고 이를 출입 보안 서버(200)로 전송하며, 출입 보안 서버(200)는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며, 도난 사고 발생시에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와 차량정보DB(270)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하여 신원 정보를 조회하여 도난 사고 범인 검거 또는 경찰청 수배차량 검거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자료를 제공한다.
상기 로비폰(100)은 현관에서 방문자가 초인종을 누르는 버튼(101)과 버튼 입력에 따라 발생된 DTMF 톤을 전송하는 DTMF 발생부(102)와,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104)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A/D 변환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105)와,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하는 음성 처리부(106)와, 실내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통신부로부터 수신받아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D/A변환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제공하는 DAC(108)와,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07)와,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9)와, 촬영된 영상을 인코딩하는 영상처리부(110)와,
상기 제어부(103)와 연결되며, ID 카드,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가 부착된 출입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여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출입카드 인식하는 출입카드 인식기(120)와,
방문자가 호출 버튼을 눌려진 경우, 실내기와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에서 방문자 확인시 도어 개폐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도어 개폐 장치(130)를 구동하는 제어부(103)와,
비디오 도어폰으로 사용되는 로비폰의 구동 프로그램과 출입 카드 정보, 및 촬영된 방문자의 영상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112), 그리고
버튼 눌림 신호(DTMF 톤) 및 방문자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내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받는 통신부(111)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기는 비디오 도어폰 또는 PC의 출입 보안 서버와 연동되어 사용된다.
상기 통신부(111)는 상기 로비폰(100)과 상기 출입 보안 서버(200)와 통신되도록 Wi-Fi 또는 Bluetooth를 사용한다.
출입 보안 서버(200)는 CCTV 시스템(300)과 유선 케이블 또는 Wi-Fi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CCTV 시스템은 Wi-Fi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330)에 연결되는 Wi-Fi 통신부를 더 구비한다.
출입 보안 서버(200)는 차량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정지 이미지와 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카메라에서 촬영된 진입하는 차량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정지 이미지에서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에 의한 이진화(binarization) 영상 기술 또는 DoG(Difference of Gaussian) 필터를 차량 영상의 이진화 기술 등의 차량 번호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관심지역(ROI, Region Of Interest) 인 직사각형의 영역을 갖는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를 검출(번호판 검출)하고 엣지를 추출하며,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를 DoG 필터를 이용한 0,1로 이진화(binarization)하여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의 이진 영상을 생성하고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에서 연속된 문자와 숫자열을 포함하는 연결 화소로 구성된 블롭(blob)을 추출하여 문자와 숫자열의 블롭(blob)을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문자와 숫자 인식을 통해 차량 번호를 검출한다.
차량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정지 이미지와 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카메라에서 촬영된 진입하는 차량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정지 이미지에서 관심지역(ROI, Region Of Interest) 인 직사각형 구조의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에서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에 의한 차량 번호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에서 문자, 순자의 차량 번호를 추출한다.
출입 보안 서버(200)는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비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표준 이미지)를 각각 얼굴 이미지 만을 추출하여 표준 이미지의 표준크기를 기준으로 이미지 축소/확대, 각도 회전을 통해 얼굴의 크기를 동일하게 맞춘 후에 눈, 코, 입, 이마의 특징값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여 얼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검출된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와 동일하면 차량정보DB(270)에 저장된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방문자 신원 정보를 제공한다.
출입 보안 서버(200)는 차량정보DB(270)와 연동되어 검출된 차량 번호 이미지에서 독출된 차량번호가 수배 차량이면, 기 등록된 이동전화번호를 갖는 해당 주거지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스마트폰)로 위험을 알리는 긴급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다.
CCTV 시스템은 감시 지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CCTV 전용선 또는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송신된 영상 수신, 1/2/4/9/16 채널의 영상 분배,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며, 영상 녹화 및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녹화기(DVR, 또는 video server); 및 관제 센터의 영상 감시 뷰어(Viewer)가 설치된 PC를 포함하고,
Wi-Fi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에 연결되는 Wi-Fi 통신부를 더 구비한다.
카메라는 수평으로 회전하는 팬(Pan), 수직으로 회전하는 틸트(Tilt) 기능과, 촬영 영상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한 줌 인/아웃(Zoom In/Zoom Out) 기능을 제공한다.
CCTV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는 다수의 카메라와, 다수의 카메라와 UTP 케이블로 연결되어 각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또는 NVR(Network Video Recorder)과, DVR 또는 NVR에 연결된 스토리지 장치로 구성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PC로 각 카메라 채널의 동영상과 음성을 멀티뷰어 화면을 통해 원격감시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CCTV 카메라는 렌즈와 카메라, 전원장치를 포함하며, 이를 커버하는 돔 또는 상부 덮개형 카메라 하우징을 구비하며, IP 카메라, 소형 카메라 내부에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한 돔 카메라(Dome camera), PTZ(Pan Tilt Zoom) 카메라 등이 사용된다.
PTZ(Pan, Tilt, Zoom) 카메라는 PTZ 제어 기능을 구비하며, Pan은 카메라의 위치를 고정하고 카메라를 좌우로 움직이는 기능, Tilt(tilt up, tilt down)는 카메라를 상하로 움직이는 기능이며, Zoom in/out은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포커싱하여 영상 화면을 축소/확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는 1.8km 거리 내에서 케이블로 연결된 다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인코딩하여 하드 디스크에 압축하여 저장하고, 각 카메라 채널별 영상을 분배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저장 장치이다.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별도로 있어야 하는 화면을 바꿔주는 스위치, 화면 분할기, VCR(비디오 재생기) 센서 및 알람 제어기를 구비한다.
NVR은 네트워크상에 설치된 카메라나 비디오 서버의 영상 녹화, 모니터링, 이벤트 관리, 재생을 위한 전용 PC 서버이며, IP 카메라를 통해 디지털 영상을 전송받아 압축하여 저장하고, IP 전용 저장 장치이므로 아날로그 카메라 영상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 없고, 기존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DVR)를 대체하는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일 실시예로써 차량 번호판 이미지에서 이진화 영상 또는 DoG(Difference of Gaussian) 필터링 기술을 사용한 차량 번호 인식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1. CCTV 시스템과 연동된 출입 보안 서버의 방문자 차량 번호 추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추출하고 방문자 신원을 확인한다.
2. 방문자는 차단기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로비폰(인터폰)을 사용하여 경비실 또는 방문 세대를 호출한다.
3. 호출시, 호출자 영상을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화상을 녹화 저장한다.
4. 방문자는 세대 출입시 현관 자동문에 설치된 로비폰(비디오 도어폰)을 사용하여 방문 세대를 호출할 경우 로비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로비폰 호출 없이 출입하는 방문자는 현관 입구의 카메라와 승강기 입구에 설치된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출입구 이용상황 영상을 저장한다.
로비폰의 세대 호출시, 호출 세대 정보가 추가로 출입 보안 서버에 저장 관리되고, 진입시 촬영한 차량 번호를 녹화 저장하여 차후 신원 확인이 가능하며, 사고 발생시 검출된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방문자 신원을 확인한다.
5. 도난 발생시 출입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도난 발생시 범인 범거에 도움이 되는 디지털 포렌식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방법은
(a) 차량 진입시에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 특정 지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카메라(310)로 촬영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촬영 시각 정보와 함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330)에 녹화 저장하고, 이를 출입 보안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10);
(b) 상기 출입 보안 서버(200)가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량 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랑 번호를 추출하고(S20), 차량 번호/차종과 모델, 사진과 차량 소유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이동전화번호의 연락처가 포함된 차량 정보가 포함된 차량정보DB(270)를 조회하여 방문자 신원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30);
(c) 승강기 입구 또는 내부의 천장에 설치된 승강기 카메라 또는 현관 로비폰의 카메라에 의해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여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고(S40), 출입 보안 서버(200)는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비교 이미지)와 차량정보DB(270)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차량정보 DB에 등록된 사진 이미지(표준 이미지)를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의 얼굴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각각 얼굴 이미지 만을 추출하여 표준크기로 맞춘 후에 눈, 코, 입, 이마의 특징값을 비교하여 특징값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얼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S50), 검출된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와 동일하면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방문자 신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방법은 도난 사고 발생시에 출입 차량의 차량 번호와 그 사진 및 방문자의 이미지를 대조하여 범인 검거 또는 경찰청 수배차량 검거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b)에서, 차량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정지 이미지와 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카메라에서 촬영된 진입하는 차량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정지 이미지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에 의한 이진화(binarization) 영상 기술 또는 DoG(Difference of Gaussian) 필터를 차량 영상의 이진화 기술 등의 차량 번호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관심지역(ROI, Region Of Interest) 인 직사각형의 영역을 갖는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를 검출(번호판 검출)하고 엣지를 추출하며,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를 DoG 필터를 이용한 0,1로 이진화(binarization)하여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의 이진 영상을 생성하고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에서 연속된 문자와 숫자열을 포함하는 연결 화소로 구성된 블롭(blob)을 추출(번호판의 문자 숫자열 추출)하여 문자와 숫자열의 블롭(blob)을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문자와 숫자 인식을 통해 차량 번호를 검출한다(문자 인식).
상기 단계 (c)에서, 방문자 이미지(비교 영상)와 해당 차량 번호의 차량정보 DB에 저장된 사진 이미지(표준 이미지)의 얼굴 인식 기술은 표준 이미지의 표준 크기(가로 x 세로의 크기)를 기준으로 방문자 이미지에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이미지의 크기/축소 확대, 각도 회전을 통해 방문자 이미지를 표준 이미지의 표준 크기로 사진의 가로 x 세로의 크기를 맞춘 후에 좌측과 우측 눈의 동공을 이루는 원의 중심점을 맞추고 통상의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눈, 코, 입, 이마의 특징 값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여 얼굴의 특징값(눈,코,입,이마)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얼굴 사진을 대조한다. 얼굴 인식은 여러가지 얼굴 인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영상의 스케일링(scaling) 기술은 이미지의 크기 확대, 축소를 제공한다.
이미지의 크기 확대는 저작도구에서 가로x세로의 길이(width x height)를 확대하면, 확대 이미지의 빈 픽셀들에 보간법(interpolation)에 의해 화소 값을 채운다.
보간법은 최근접 이웃화소 보간법, 양선형 보간법, 고등차수 보간법, 3ck 회선 보간법, B-Splain 보간법(B-Splain interpolation)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보간법은 i) 해당 픽셀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이웃 화소값을 할당하는 최근접 이웃화소 보간법(nearest neighbor interpolation), 또는 ii) 양선형 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을 사용한다. 양선형 보간법은 가장 많이 사용되며 해당 픽셀이 위치된 상하좌우 4개의 픽셀의 밝기와 평균값에 거리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픽셀 값을 채우며, 최근접 이웃 보간법 보다 더 스무딩(smoothing)한 영상을 제공한다. 평균값 계산의 가중치는 해당 픽셀의 위치에 이웃하는 픽셀들이 거리가 얼마나 가까운지에 대하여 비례하며, 선형적으로 결정된다.
영상을 크게 만드는 처리는 확대(manification), 스케일링 업(Scaling up), 줌잉(Zooming), 업 샘플링(Up Sampling), 스트레칭(Streching) 기법이 사용된다.
이미지의 크기 축소는 중간수 표현에 의한 축소와 평균에 의한 축소 기법을 사용한다. 영상을 작게 만드는 처리는 축소(minification), 쉬링킹(Shrinking), 스케일 다운(Scale down), 데시메이션(Decimation),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 기업이 사용된다.
또한, 단계 S50에서, 표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의 특징점 기반의 얼굴 인식 기술이 적용된다. 얼굴 인식은 haar-like feature를 이용한 검출 방법과 MCT(Modified Census Transform) 영상을 이용한 검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의 입력 영상에서 Haar-like feature로 학습된 얼굴 및 눈 검출기를 사용하여 얼굴 영역의 윤곽선과 눈 영역을 검출하고, 눈동자를 검출하기 위해 이진화(binarization)와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의 전 처리 과정을 거치며, 관심 영역(ROI)으로 설정된 눈 영역을 그레이스케일(grayscale)로 변환하며, 눈 영역 이미지에서 눈동자와 눈의 외곽선 영역이 추출되는 실험에 의한 임계값(threshold)을 적용하여 눈 이미지의 히스토그램(histogram)[x축 각 픽셀의 화소값, y축 해당 화소 값의 갯수]을 구한다. 눈의 이미지를 이진화(binarization)한 후,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를 통해 눈 영역의 이미지의 전처리를 수행한 후, 검출된 얼굴 영역의 눈, 코, 입, 이마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텍스처 특징(Texture Features)과 형상 특징(Shape Features)을 추출하여, 표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의 특징값과 형상 특징을 비교한다.
상기 방법은, 출입 보안 서버(200)가 차량정보DB와 연동되어 검출된 차량 번호 이미지에서 독출된 차량번호가 수배 차량이면, 기 등록된 이동전화번호를 갖는 해당 주거지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스마트폰)로 위험을 알리는 긴급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로비폰 101: 버튼
102: DTMF 발생부 103: 제어부
104: 마이크 105: ADC
106: 음성 처리부 107: 스피커
108: DAC 110: 영상 처리부
111: 통신부 112: 저장부
120: 출입 카드 인식기 130: 도어 개폐 장치
200: 출입 보안 서버 210: 통신부
220: MCU 230: 저장부
240: 키보드 270: 차량 정보 DB
300: CCTV 시스템 310: 카메라
320: 제어기 330: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400: 차량 410: 차량 번호판

Claims (10)

  1. 현관에서 방문자의 버튼 눌림 신호,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방문자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실내기 또는 출입 보안 서버가 설치된 PC로 전송하는 로비폰;
    상기 로비폰으로부터 버튼 눌림 신호, 방문자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이 구비되며, 방문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차량 번호와 그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하여 신원 정보를 제공하는 출입 보안 서버;
    상기 출입 보안 서버와 연결되며, 사진과 차량 번호와 관련된 사진, 이름, 주소, 자동차 등록 번호, 이동전화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DB; 및
    상기 출입 보안 서버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특정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진입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에 저장하고 상기 차량 번호 이미지를 시각 정보와 함께 상기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CCTV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비폰은
    현관에서 방문자가 초인종을 누르는 버튼과, 버튼 입력에 따라 발생된 DTMF 톤을 전송하는 DTMF 발생부;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A/D 변환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와,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하는 음성 처리부;
    실내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통신부로부터 수신받아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D/A변환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제공하는 DAC와,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촬영된 영상을 인코딩하는 영상처리부;
    방문자가 호출 버튼을 눌려진 경우, 실내기와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에서 방문자 확인시 도어 개폐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도어 개폐 장치를 구동하는 제어부;
    비디오 도어폰으로 사용되는 로비폰의 구동 프로그램과 출입 카드 정보, 및 촬영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버튼 눌림 신호 및 방문자의 음성 및/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실내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기는 비디오 도어폰 또는 PC의 출입 보안 서버와 연동되어 사용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로비폰과 상기 출입 보안 서버와 통신되도록 Wi-Fi 또는 Bluetooth를 사용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보안 서버는 상기 CCTV 시스템과 유선 케이블 또는 Wi-Fi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차량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정지 이미지와 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카메라에서 촬영된 진입하는 차량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정지 이미지에서 이진화(binarization) 영상 기술 또는 DoG(Difference of Gaussian) 필터를 차량 영상의 이진화 기술 등의 차량 번호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관심지역(ROI) 인 직사각형의 영역을 갖는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를 검출(번호판 검출)하고 엣지를 추출하며,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를 DoG 필터를 이용한 0,1로 이진화하여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의 이진 영상을 생성하고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에서 연속된 문자와 숫자열을 포함하는 연결 화소로 구성된 블롭(blob)을 추출하여 문자와 숫자열의 블롭을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문자와 숫자 인식을 통해 차량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출입 보안 서버는 방문자 영상에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비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표준 이미지)를 얼굴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각각 얼굴 이미지만을 추출하여 표준 이미지의 표준크기를 기준으로 이미지 축소/확대, 각도 회전을 통해 얼굴의 크기를 동일하게 맞춘 후에 눈, 코, 입, 이마의 특징값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여 얼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검출된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와 동일하면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방문자 신원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시스템은 복수의 감시 지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CCTV 전용선 또는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송신된 영상 수신, 1/2/4/9/16 채널의 영상 분배,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며, 영상 녹화 및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또는 video server); 및 관제 센터의 영상 감시 뷰어가 설치된 PC를 포함하며,
    Wi-Fi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에 연결되는 Wi-Fi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보안 서버는 상기 차량정보DB와 연동되어 검출된 차량 번호 이미지에서 독출된 차량번호가 수배 차량이면 해당 주거지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위험을 알리는 긴급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7. (a) 차량 진입시에 주택 출입구, 아파트 출입구 또는 주차장 차단기 입구 및 특정 지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촬영 시각 정보와 함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에 녹화 저장하고, 이를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출입 보안 서버가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량 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랑 번호를 추출하고, 차량 번호, 사진과 차량 정보가 포함된 차량정보DB를 조회하여 방문자 신원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c) 승강기 입구 또는 내부의 천장에 설치된 승강기 카메라 또는 현관 로비폰의 카메라에 의해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출입 보안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출입 보안 서버는 상기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이미지를 추출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문자 이미지(비교 이미지)와 차량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표준 이미지)를 얼굴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얼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검출된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와 동일하면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방문자 신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차량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정지 이미지와 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화상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카메라에서 촬영된 진입하는 차량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정지 이미지에서 이진화(binarization) 영상 기술 또는 DoG(Difference of Gaussian) 필터를 차량 영상의 이진화 기술 등의 차량 번호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관심지역(ROI) 인 직사각형의 영역을 갖는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를 검출(번호판 검출)하고 엣지를 추출하며,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를 DoG 필터를 이용한 0,1로 이진화하여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의 이진 영상을 생성하고 차량 번호판의 정지 이미지에서 연속된 문자와 숫자열을 포함하는 연결 화소로 구성된 블롭(blob)을 추출하여 그 문자와 숫자열의 블롭(blob)을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문자와 숫자 인식을 통해 차량 번호를 검출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화상 인식 프로그램의 얼굴 인식 기술은 상기 방문자 이미지(비교 이미지)와 상기 차량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사진 이미지(표준 이미지)를 각각 얼굴 이미지만을 추출하여 표준 이미지의 표준크기를 기준으로 이미지 축소/확대, 각도 회전을 통해 얼굴의 크기를 동일하게 맞춘 후에 눈, 코, 입, 이마의 특징값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여 얼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보안 서버는 상기 차량정보DB와 연동되어 검출된 차량 번호 이미지에서 독출된 차량번호가 수배 차량이면 해당 주거지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위험을 알리는 긴급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0170118661A 2017-09-15 2017-09-15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86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61A KR101986609B1 (ko) 2017-09-15 2017-09-15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61A KR101986609B1 (ko) 2017-09-15 2017-09-15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960A true KR20190030960A (ko) 2019-03-25
KR101986609B1 KR101986609B1 (ko) 2019-06-07

Family

ID=6590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661A KR101986609B1 (ko) 2017-09-15 2017-09-15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60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0880A (zh) * 2019-12-23 2020-04-28 浙江晟隆电子科技有限公司 门禁控制系统及门禁控制方法
CN111210556A (zh) * 2020-03-03 2020-05-29 江苏中数智慧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门禁安防联动系统
KR102167169B1 (ko) * 2020-03-30 2020-10-16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내 통합 보안 시스템
WO2021011259A1 (en) * 2019-07-10 2021-01-21 Gatekeeper Security, Inc. Imaging systems for facial detection, license plate reading, vehicle overview, and vehicle make, model, and color detection
CN112560711A (zh) * 2020-12-18 2021-03-26 深圳赛安特技术服务有限公司 非机动车交通违法判定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4014114A (zh) * 2021-11-01 2022-02-08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电梯的授权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1538257B2 (en) 2017-12-08 2022-12-27 Gatekeeper Inc. Detection, counting and identification of occupants in vehicles
KR102537008B1 (ko) 2022-11-24 2023-05-30 양창원 부분 틀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부분 틀니
US11736663B2 (en) 2019-10-25 2023-08-22 Gatekeeper Inc. Image artifact mitigation in scanners for entry control systems
CN116959286A (zh) * 2023-08-04 2023-10-27 张悦 基于大数据的智能安防方法及系统
CN112560711B (zh) * 2020-12-18 2024-06-07 深圳赛安特技术服务有限公司 非机动车交通违法判定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572B1 (ko) * 2021-08-19 2024-02-19 김형곤 차량 정보의 위조 또는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84013B1 (ko) * 2022-01-03 2022-04-08 (주)서영티이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오류감지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578B1 (ko) 2008-11-28 2009-07-29 주식회사로시스정보기술 차량번호인식을 통한 브이.아이.피 고객관리시스템
KR100948382B1 (ko) * 2009-07-28 2010-03-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22300A (ko) * 2010-09-01 2012-03-12 (주)한별테크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KR101146581B1 (ko) 2011-11-11 2012-06-14 아이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인공지능 차량번호인식시스템
KR200470949Y1 (ko) 2013-06-26 2014-01-22 주식회사 포커스테크 방범용 차량번호인식 스마트 치안정보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578B1 (ko) 2008-11-28 2009-07-29 주식회사로시스정보기술 차량번호인식을 통한 브이.아이.피 고객관리시스템
KR100948382B1 (ko) * 2009-07-28 2010-03-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22300A (ko) * 2010-09-01 2012-03-12 (주)한별테크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KR101146581B1 (ko) 2011-11-11 2012-06-14 아이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인공지능 차량번호인식시스템
KR200470949Y1 (ko) 2013-06-26 2014-01-22 주식회사 포커스테크 방범용 차량번호인식 스마트 치안정보 전송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8257B2 (en) 2017-12-08 2022-12-27 Gatekeeper Inc. Detection, counting and identification of occupants in vehicles
WO2021011259A1 (en) * 2019-07-10 2021-01-21 Gatekeeper Security, Inc. Imaging systems for facial detection, license plate reading, vehicle overview, and vehicle make, model, and color detection
US11501541B2 (en) 2019-07-10 2022-11-15 Gatekeeper Inc. Imaging systems for facial detection, license plate reading, vehicle overview and vehicle make, model and color detection
US11736663B2 (en) 2019-10-25 2023-08-22 Gatekeeper Inc. Image artifact mitigation in scanners for entry control systems
CN111080880A (zh) * 2019-12-23 2020-04-28 浙江晟隆电子科技有限公司 门禁控制系统及门禁控制方法
CN111210556A (zh) * 2020-03-03 2020-05-29 江苏中数智慧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门禁安防联动系统
KR102167169B1 (ko) * 2020-03-30 2020-10-16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내 통합 보안 시스템
CN112560711A (zh) * 2020-12-18 2021-03-26 深圳赛安特技术服务有限公司 非机动车交通违法判定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2560711B (zh) * 2020-12-18 2024-06-07 深圳赛安特技术服务有限公司 非机动车交通违法判定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4014114A (zh) * 2021-11-01 2022-02-08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电梯的授权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537008B1 (ko) 2022-11-24 2023-05-30 양창원 부분 틀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부분 틀니
CN116959286A (zh) * 2023-08-04 2023-10-27 张悦 基于大数据的智能安防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609B1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609B1 (ko)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158067B1 (en) Neighborhood alert mode for triggering multi-device recording, multi-camera locating, and multi-camera event stitching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984641B2 (en) Parcel theft deterrence for A/V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210727B2 (en)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for parcel theft deterrence
US10726690B2 (en) Parcel theft deterrence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140369567A1 (en) Authorized Access Using Image Capture and Recognition System
US11049375B2 (en) Parcel delivery prediction-based theft detection
US20160364009A1 (en) Gesture recognition for wireless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180091730A1 (en) Security devices configured for capturing recognizable facial images
KR102237086B1 (ko) 안면인식 기능에 기초하여 5g 이동통신망의 이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영상감시가 가능한 로비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07203B1 (ko)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한 주차차단기 자동 출입 및 휴대폰을 이용한 주차차단기 개폐 시스템
KR101837183B1 (ko) 음성인식 키패드와 연결되며 p2p 서버와 연동되는 dvr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4914B1 (ko) 차량번호 및 사람 이미지의 인덱싱 관리시스템
JP4772509B2 (ja) ドアホン及びドアホンの呼出音制御方法
KR20180001356A (ko) 지능형 영상 보안 시스템
KR10151768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956768A (zh) 一种智能家居自动防盗装置
KR102111162B1 (ko) 블랙 박스와 연동된 다채널 카메라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Gaddipati et al. Real-time human intrusion detection for home surveillance based on IOT
CN112329668B (zh) 一种物业管理系统
CN211319305U (zh) 一种基于智慧社区的大数据智能分析系统
KR20220118857A (ko) 영상 분석 서버의 분석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검색 시스템
KR102257005B1 (ko) 하이브리드 무선 동작감지형 차임벨 시스템
KR20220132854A (ko) 출입문 관리 시스템 및 출입문 관리 방법
KR20180001705A (ko) 사물통신(M2M) 환경에서의 하르유사특징(Haar-Like-Feature)을 이용한 얼굴추적 기반 출입자 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