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531A - 해안 침식 방지 블럭 - Google Patents

해안 침식 방지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531A
KR20190030531A KR1020170118080A KR20170118080A KR20190030531A KR 20190030531 A KR20190030531 A KR 20190030531A KR 1020170118080 A KR1020170118080 A KR 1020170118080A KR 20170118080 A KR20170118080 A KR 20170118080A KR 20190030531 A KR20190030531 A KR 20190030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e
erosion prevention
eros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252B1 (ko
Inventor
오철희
Original Assignee
산 조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 조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 조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2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8Coherent linings made on the spot, e.g. cast in situ, extruded on the spo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침식 방지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침식방지블록은 침식 방지블록(3)과 이동통로 블록(10)이 암수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침식방지 블록(3)은 베이스(Base;11)와; 베이스(11)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Head;13)와; 베이스(11)의 상면에 돌출되어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저면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돌기(15)와; 헤드(13)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돌기(15)가 삽입되는 삽입구(17)를 포함하며, 이동블록(10)은 베이스(Base;40)와; 베이스(4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며 육면체 형상을 갖는 헤드(Head;4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안 침식 방지 블럭{Block for preventing erosion}
본 발명은 침식 방지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침식방지 블록을 암수 결합 형태로 서로 결합하여 해안 이나 도로의 사면 침식을 방지하되, 침식방지 블록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식생이 가능하고, 또한 염생식물 및 토낭의 이식이 가능하여 자연친화적인 효과도 달성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변화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로 인해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해상에도 심한 기후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 중 해일, 고파랑, 이안류 등에 따른 해안침식이 갈수록 심각할 정도로 심화되고 있다.
또한, 해안 침식은 폭풍 등의 기상조건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발생하거나, 연속적인 파랑에너지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하여 장기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해안침식을 방지하고자 많은 자원을 들여 방파제 등을 건설하고 있지만 무분별한 설치로 인하여 인근 연안의 해양자원은 갈수록 더욱 황폐화되고 있으며, 이는 어민소득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해안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해양 블록이 설치되는 바, 방조제 및 방파제 등의 연안에 돌제, 테트라포드 및 침식방지 블록을 적층하여 해안선과 백사장의 침식을 방지하여 왔다.
그러나, 상단이 해수면 위로 돌출된 돌제는 상기 돌제의 양측 끝 부분의 해안으로 조류와 파랑이 집중되는 구조형태이므로 유속이 빨라지고 강한 파랑에너지에 의하여 돌제의 양측 끝 부분의 해안이 집중적으로 침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돌제의 내측 해안은 해수 교환이 원활하지 못하고 정체되어 수질이 악화되고 해안경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블록 상단이 해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기존의 테트라포드(T.T.P)나 침식방지 블록은 보행자가 이동하기 어렵고, 해양생물이 정착하지 못하며, 콘크리트로 제조됨으로써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로 주변의 절개지 등에 산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지에 블록을 적층하는 바, 이러한 블록은 콘크리트 재질로서 단순히 경사지에 고정한 구조이므로 환경적인 문제가 있고, 또한 침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10-22092호(명칭: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다목적 해안 침식방지블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침식방지 블록을 암수 결합 형태로 서로 결합하여 해안 이나 도로 사면의 침식을 방지하되, 침식방지 블록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식생이 가능하고, 또한 염생식물 및 토낭의 이식이 가능하여 자연친화적인 효과도 달성할 수 있는 침식방지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침식 방지블록(3)과 이동통로 블록(10)이 암수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침식 방지블록을 제공하는 바,
침식방지 블록(3)은 베이스(Base;11)와; 베이스(11)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Head;13)와; 베이스(11)의 상면에 돌출되어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저면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돌기(15)와; 헤드(13)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돌기(15)가 삽입되는 삽입구(17)를 포함하며,
이동블록(10)은 베이스(Base;40)와; 베이스(4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며 육면체 형상을 갖는 헤드(Head;42)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안 침식 방지 블록은 다수의 침식방지 블록을 암수 결합 형태로 서로 결합하여 해안 이나 도로의 사면 침식을 방지하되, 침식방지 블록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식생이 가능하고, 또한 염생식물 및 토낭의 이식이 가능하여 자연친화적인 효과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식 방지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수개의 침식 방지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침식 방지블록이 서로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로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단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5, 도 7에 도시된 블럭들이 해안이나 도로 주변의 경사지에 배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 블록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침식방지 블록(1)은 해안 사면이나 도로 주변의 경사면에 배치되어 모래의 유실이나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식 방지블록(3)과 침식 방지블록(3)을 암수결합하거나, 침식 방지블록(3)과 이동통로 블럭(10)과, 천단블록(5)을 암수결합하는 방식이다.
즉, 다수의 침식 방지블록(3)을 해안가나 도로주변의 사면에 암수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모래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식 방지부(5)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침식 방지부(5)는 해안 이나 도로의 사면에 계단형상의 층구조로 배치될 수 있는 바, 해안사면에 배치되는 경우는 모래가 파도에 의하여 쓸려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파도가 충돌할 때의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고, 도로 주변의 절개지에 배치되는 경우는 절개지의 토사가 쓸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침식 방지부(5)를 구성하는 다수의 침식방지 블록(3)은 친환경 재질로 형성되는 바, 예를 들면 개질 유황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침식방지 블록(3)은 해안사면에 접촉하는 베이스(Base;11)와; 베이스(11)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Head;13)와; 베이스(11)의 상면에 돌출되어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저면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돌기(15)와; 헤드(13)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돌기(15)가 삽입되는 삽입구(17)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해안 사면이나 도로 주변의 경사면에 배치되며, 이웃한 침식방지 블록(3)이 얹혀짐으로써 계단형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홀(33)이 형성됨으로써 식생부(9)를 형성한다.
즉, 베이스(11)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3)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33)은 염생식물 등의 식물이 뿌리를 내림으로써 착근할 수 있다.
이때, 관통홀(33)은 베이스(11)상에 이웃한 침식 방지블록(3a)이 적층될 때,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식 방지블록(3)의 베이스(11) 상부에 이웃한 침식 방지블록(3a)이 적층될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웃한 침식 방지블록(3a)의 헤드(13)에는 제 1경사면(23)이 형성되는 바, 제 1경사면(23)에 인접한 베이스(11)상에는 공간(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공간(34)에 관통홀(33)이 형성됨으로써, 이 관통홀(33)을 가려지지 않게 되고,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식물은 관통홀(33)에 직접 뿌리를 내릴 수도 있지만, 토낭을 통하여 식생할 수도 있다.
즉, 마닐라삼 등의 소재로 된 로프(rope)로 주머니 형상의 토낭을 직조하고, 이 토낭의 내부에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3)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예를 들면 2개, 3개, 혹은 4개 이상도 가능하다.
또한, 관통홀(33)은 물이 관통홀(33)을 통하여 하부로 배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11)의 선단에는 헤드(13)가 형성되는 바, 이 헤드(13)는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킨다.
이러한 헤드(13)는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수직면(18)과;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수직면(19)과;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수직면(21)과; 제 1수직면(18)과 한 쌍의 제 3수직면(21)의 사이에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는 제 1경사면(23)과; 제 1수직면(18)과 상면(27)의 사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 2경사면(25)과; 상면(27)과 한 쌍의 제 3수직면(21)의 사이에 형성되며 경사지는 제 3경사면(29)과; 제 2경사면(25)과 한 쌍의 제 3경사면(29)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4경사면(31)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13)에는 다수의 경사면(23,25,29,31)이 사방에 형성됨으로써 파도가 이 경사면(23,25,29,31)에 충돌할 때, 경사면(23,25,29,31)을 따라 상향으로 흐르게 된다. 특히 제 2경사면(25)은 파도의 충돌을 사방으로 분사시키게 된다.
그리고, 앞열에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의 헤드(13)의 제2 경사면(25)에 파도가 충돌하여 상향으로 흐른 후에는 그 다음열에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a)의 헤드(13) 경사면(25a)에 연속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도가 다수열로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3a,3b)의 경사면(25,25a,25b)에 연속적으로 충돌하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파력이 점차로 흡수될 수 있다.
이때, 헤드(13)의 높이와 경사면이 베이스(11)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열의 경사면(25)에 충돌한 파도가 상향으로 흐른 후 뒷열의 경사면(25a)에 연속적으로 충돌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 및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헤드(13)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 1수직면(18)의 높이(h1)는 헤드(13)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2수직면(19)의 높이(h2)와 동일하다. 따라서, 침식방지 블록(3)의 베이스(11)에 다른 침식방지 블록(3a)을 적치하였을 때, 다른 침식방지 블록(3a)의 수직면(24)은 침식방지 블록(3)의 제 2수직면(19)과 동일한 높이(h2)에 도달하고, 그 이상 높이 구간에는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경사면(25a)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각 침식방지 블록(3)의 경사면 각도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다수의 침식방지 블록(3)이 결합된 상태를 전방에서 보면 제 2경사면(25)과 제 4경사면(31)만이 보이게 된다.
따라서, 침식 방지부(5)에 도달한 침식방지 블록(3)은 앞열 침식방지 블록(3)의 경사면을 타고 상향으로 흐른 후, 뒷열에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a)의 수직면에 충돌하는 것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경사면을 연속적으로 타고 상향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15)는 베이스(11)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이웃한 침식방지 블록(3)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17)에 결합된다.
이러한 돌기(15)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육면체, 원통형, 삼각기둥, 오각기둥, 다각기둥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돌기(15)가 삽입되는 삽입구(17)도 돌기(15)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돌기(15)가 육면체인 경우는 삽입구(17)도 육면체 형상을 가짐으로써 돌기(15)가 삽입구(17)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을 해안 이나 도로의 사면에서 순차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침식 방지부(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식 방지부(5)의 사이 사이에는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7)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 통로(7)는 침식 방지부(5)의 사이에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이러한 이동 통로(7)는 다수개의 이동블록(10)이 일열로 배치되고, 또한 침식방지 블록(3)과 암수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블록(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식방지 블록(3)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 베이스(Base;40)와; 베이스(4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Head;42)와; 베이스(40)에 돌출되는 돌기(44)를 포함한다.
헤드(42)는 육면체 형상이며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침식방지 블록(3)이 일열로 배치되어 이동 통로(7)를 형성할 때, 편평한 헤드(42)의 상면(43)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쉽게 밟고 보행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열의 침식방지 블록(3)의 베이스(11)에 안착되며, 헤드(13)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이동블록(10)의 베이스(42) 상에는 뒷열의 침식방지 블록(3c;도1)이 얹혀진다.
결국, 이동블록(10)은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3c;도1)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암수결합 구조를 이루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42)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홀(46)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46)은 베이스(42)의 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배수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관통홀(46)은 물이 관통홀(46)을 통하여 하부로 배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천단부(2)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로 블럭(10)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 베이스(Base;54)와; 베이스(54)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Head;52)를 포함한다.
헤드(42)는 육면체 형상이며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로와 연결됨으로써 이동 통로를 형성할 때, 편평한 헤드(52)의 상면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쉽게 밟고 보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침식 방지 블록 및 이동통로 블록을 해안 사면이나 도로 사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앞열(L1)에 다수의 침식 방지블록(3)을 경사면에 대하여 가로방향(A)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한다.
이때, 헤드(13)는 경사면에 대하여 아랫방향으로 위치하고 베이스(11)는 윗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와 같이 가장 앞열(L1)에 침식 방지블록(3)을 배치한 후, 바로 뒷열(L2)에 동일한 방식으로 침식 방지블록(3)을 배치한다.
즉, 뒷열(L2)에 배치된 침식 방지블록(3a)의 헤드(13)를 앞열(L1)에 배치된 침식 방지블록(3)의 베이스(11)상에 적층한다. 이때, 앞열(L1)의 침식 방지블록(3)의 돌기(15)가 뒷열(L2)의 침식 방지블록(3a)의 삽입구(17)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뒷열(L2)의 침식 방지블록(3a)의 헤드(13)가 앞열(L1)의 침식 방지블록(3)의 관통홀(33)을 가리지 않음으로써 이 부분이 식생부(9)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뒷열(L2)에 다수개의 침식 방지블록(3a)을 경사면에 대하여 가로방향(A)으로 연속하여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침식 방지블록(3)을 열을 맞추어 암수 결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경사면에는 침식 방지부(5)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침식 방지블록(3)을 다수열 배치한 후, 이동 통로(7)를 개설하게 된다.
즉, 이동블록(10)의 헤드(42)를 앞열(L3)의 침식방지 블록(3)의 베이스(11)에 안착하게 된다.
또한, 이동블록(10)의 베이스(40) 상에는 돌기(44)가 뒷열(L4)의 침식방지 블록(3C)의 삽입구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결국, 이동블록(10)은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3C)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암수결합 구조를 이루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로(7)를 개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침식 방지부(5)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최 상단에 천단부(2)를 배치함으로써 도로와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식 방지부(5)와 이동 통로(7)가 설치됨으로써 해안사면 혹은 도로 사면의 침식 혹은 산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식생부(9)에는 염생식물 등의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조경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침식 방지블록(3)과 이동통로 블록(10)이 암수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로서,
    침식방지 블록(3)은 베이스(Base;11)와; 베이스(11)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Head;13)와; 베이스(11)의 상면에 돌출되어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저면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돌기(15)와; 헤드(13)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돌기(15)가 삽입되는 삽입구(17)를 포함하며,
    이동블록(10)은 베이스(Base;40)와; 베이스(4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며 육면체 형상을 갖는 헤드(Head;42)를 포함하는 해안 침식방지 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헤드(13)는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수직면(18)과;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수직면(19)과;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수직면(21)과; 제 1수직면(18)과 한 쌍의 제 3수직면(21)의 사이에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는 제 1경사면(23)과; 제 1수직면(18)과 상면(27)의 사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 2경사면(25)과; 상면(27)과 한 쌍의 제 3수직면(21)의 사이에 형성되며 경사지는 제 3경사면(29)과; 제 2경사면(25)과 한 쌍의 제 3경사면(29)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4경사면(31)을 포함하는 해안 침식방지 블럭.
  3. 제 2항에 있어서,
    헤드(13)의 제 1수직면(18)의 높이(h1)와 헤드(13)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2수직면(19)의 높이(h2)는 동일함으로써, 침식방지 블록(3)의 베이스(11)에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을 적치하였을 때,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제 1수직면(18)은 침식방지 블록(3)의 제 2수직면(19)과 동일한 높이에 도달하고, 그 이상 높이 구간에는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경사면이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 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1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33)이 형성됨으로써 식생부(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 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최상단의 침식방지블럭(3)에 천단블럭(2)을 추가로 배치하는 해안 침식방지 블럭.
  6. 제 5항에 있어서,
    천단블럭(2)은 베이스(Base;54)와; 베이스(54)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Head;52)를 포함하는 해안 침식방지 블럭.
KR1020170118080A 2017-09-14 2017-09-14 해안 침식 방지 블럭 KR102013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80A KR102013252B1 (ko) 2017-09-14 2017-09-14 해안 침식 방지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80A KR102013252B1 (ko) 2017-09-14 2017-09-14 해안 침식 방지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531A true KR20190030531A (ko) 2019-03-22
KR102013252B1 KR102013252B1 (ko) 2019-08-22

Family

ID=6594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080A KR102013252B1 (ko) 2017-09-14 2017-09-14 해안 침식 방지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787A (ko) 2020-01-11 2021-07-21 한국해양산업(주) 침식방지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298U (ja) * 1998-04-21 1999-01-12 錦二 新井 被覆連接ブロック
KR20060098271A (ko) * 2005-03-11 2006-09-18 주식회사 한길 환경친화형 친수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22092A (ko) 2007-12-06 2010-02-26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기관의 이상 검출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
KR101698069B1 (ko) * 2016-08-03 2017-0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보강구조를 갖는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의 적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298B2 (ja) * 1992-04-07 2000-06-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298U (ja) * 1998-04-21 1999-01-12 錦二 新井 被覆連接ブロック
KR20060098271A (ko) * 2005-03-11 2006-09-18 주식회사 한길 환경친화형 친수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22092A (ko) 2007-12-06 2010-02-26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기관의 이상 검출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
KR101698069B1 (ko) * 2016-08-03 2017-0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보강구조를 갖는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의 적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252B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530A (ko)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
KR20190030531A (ko) 해안 침식 방지 블럭
KR200383918Y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KR100866073B1 (ko) 식생 호안 블록
CN211735259U (zh) 一种抗冲刷植物种植框及具有该种植框的护岸
KR102025654B1 (ko) 잠제형 해중림 어초
KR20100116895A (ko) 해빈 침식 및 표사 이동 방지용 강성 식생 모형체와 그 강성 식생 모형체의 배치 방법
WO2014045132A1 (en) Sea-gabion walls for tsunami and flooding protection, for fish farming, and for protection of buildings in the sea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200428974Y1 (ko) 호안블록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200386573Y1 (ko) 자연형 생태옹벽블럭
KR200386495Y1 (ko)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200408078Y1 (ko)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JP5090060B2 (ja) 海岸の侵食防止方法
KR200284979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식호안블록
KR20030079391A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CN110593195A (zh) 一种抗冲刷植物种植框及具有该种植框的护岸
KR20060132233A (ko) 생태보존형 낚시용 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CN107881982A (zh) 一种岸滩剖面防护装置
WO2023003748A1 (en) Coastal protection using integration of mangroves with floating barge
CN214460117U (zh) 一种水土防护用护坡构件及护坡
EP3882397A1 (en) Polyhedral isolated monobloc structure for open artificial reef and reef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isolated structures
KR101019145B1 (ko)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