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495Y1 -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 Google Patents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495Y1
KR200386495Y1 KR20-2005-0007124U KR20050007124U KR200386495Y1 KR 200386495 Y1 KR200386495 Y1 KR 200386495Y1 KR 20050007124 U KR20050007124 U KR 20050007124U KR 200386495 Y1 KR200386495 Y1 KR 200386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wires
wi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환
김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Priority to KR20-2005-0007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 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사각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가 관통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삽입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상기 와이어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 배치된 몸체와 타측 몸체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인해 식생이 가능하고, 호안블럭을 하나의 구조체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개별적인 체결이 아닌 단위체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호안블럭을 구조체로 형성하여 바다속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구조체에서 해조숲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바다속에서 발생되는 백화 현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Plant growing type revetment block}
본 고안은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안블럭들 사이에서 식생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와이어와 블럭을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할 수 있는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쌓는 제방은 토사의 안식각을 가지며 경사지게 둑을 형성하고, 빗물에 의해 사면의 토사가 씻겨 내려가 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여러 모양의 호안블럭 또는 돌망태 등이 설치되어 사용되었다.
돌망태는 와이어 등으로 돌무더기를 감싸 지면에 고정시키는 시공방법으로 돌 틈사이로 토양의 공기 및 유입되는 물의 배수는 원활하나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연약지반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혹한 홍수로 인해 제방이 유실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나타나게 되어 임시적으로 제방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실정이다.
한편, 호안블럭은 일정 형상의 콘크리트 블럭을 미리 제조하여 제방 등의 경사면 위에 덮어 씌우듯이 콘크리트 블럭을 짜맞추거나, 철사 등의 체결기구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블럭들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견고하게 접합 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호안블럭을 이용하여 제방을 정비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호안블럭을 살펴보면, 첨부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명 I형 블럭으로써 일정 두께와 정방형 면적을 가지되 양측으로 결합요부(11)를 형성하여 호안블럭(10)을 형성한 것이다. 이 호안블럭의 상면에는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슬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호안블럭은 둑의 경사면을 완전히 덮어씌우는 시공으로 투수성 및 식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둑의 경사면 상하로 평행하게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한 후, 호안블럭을 짜 맞추어 둑의 경사면을 완전히 덮어 봉쇄시킴으로써, 우기시 우수가 토사로 흡수됨이 없이 표면수가 하천으로 즉시 유입된다. 그러므로 하천의 하류에서는 홍수와 하천범람 등으로 가옥 및 전답의 침수가 발생되는 등 홍수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건조기나 갈수기에는 하천의 건천화가 가속되고 지하수 부족으로 농작물이 말라죽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된다. 특히, 상류지역에는 수자원이 급속히 고갈되어 식음, 농ㆍ공업용수 부족 사태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도 갖게 된다.
이러한 호안블럭외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명 사각블럭, 게다블럭 및 장대블럭 등의 호안블럭이 있으나 이들 역시 둑의 경사면을 완전히 덮어씌우는 시공으로 투수성 및 식생이 불가능 한 것은 마찬가지다.
한편, 바다에서 발생되는 백화현상으로 인해 각종 어패류등이 서식할 수 없게 되는데, 상기 백화현상은 일명 "갯녹음현상"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바닷물 속에서 탄산칼슘이 입사광의 산란으로 인해 우류를 뿌려놓은 것처럼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백화현상은 해양생물의 표면이나 해저 바위 등에 붙어서 결정화되기도 하고, 백화현상이 심해질 경우 각종 어패류가 죽게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백화현상은 전세계적인 이상기온과 수온상승, 인공구조물에 의한 조류 소통 방해, 육지의 오염물질 유입 등으로 지구 환경오염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하고 있으나, 자연현상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이 현재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백화 현상으로 인해 연안어장이 황폐화 되어 백화현상이 일어나는 곳에 철 성분을 뿌려주거나, 해초인 참모자반을 옮겨 심는 작업으로 바다의 백화현상을 막고 수자원 증식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
그러나, 바다 속에서 참모자반을 옮겨 심는 작업을 한다는 것 자체가 힘든 일이며, 비용 및 인력 그리고 수작업으로 해야하는 등 매우 비현실적이다. 또한, 철 성분을 뿌려 줄 경우, 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일시적인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안블럭 내에서 식생이 가능하고 다수개의 와이어와 블럭들을 하나의 구조체를 갖도록 하는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다수개의 호안블럭으로 이루어진 구조체를 바다속에 설치하여 백화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은, 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사각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가 관통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삽입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상기 와이어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 배치된 몸체와 타측 몸체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에 삽입되는 몸체와 몸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홀은 상기 몸체의 양측면과 인접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지며, 상기 측면에서부터 상기 홀까지의 위치는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서부터 상기 홀까지의 위치보다 더 가깝게 위치된다.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의 구성 및 작요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블럭)(10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몸체(100)는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재질로 구비되어 내구성을 갖는다. 이 몸체(100)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돌출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0)는 미끄럼방지턱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는 두개의 홀(130a,130b)이 형성된다. 이 홀(130a,130b)은 몸체(1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홀(130a,130b)에는 후술되는 와이어(200)들에 삽입되는 것으로써, 그 직경은 와이어(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은 다수개의 와이어(200a,200b)와 몸체(100a,100b,100c)가 연결된 하나의 구조체(300)를 갖는다. 즉,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와이어(200a,200b)가 횡으로 배치되어진다. 그리고, 이 와이어(200)들의 일측 끝단은 묶음부재(210)로 또는 별도의 블럭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먼저, 상기 와이어(200)들 중 인접되어 있는 두개의 와이어(200a,200b) 마다 몸체(100a)가 삽입된다. 즉, 하나의 몸체(100a)에는 홀(130a,130b)이 두개 형성되고, 이 홀(130a,130b)에 각각 와이어(200a,200b)가 삽입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0a,200b)에 삽입되어진 몸체(100a)들과 지그재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몸체(100b)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a)와 몸체(100b) 사이에는 탄성부재(150)가 삽입되어진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와이어(200a,200b)의 직경 또는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홀(130a,130b)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이러한 직경들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50)는 자체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탄성부재(150)들의 외형은 사각,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구의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은 다수개의 와이어(200a,200b)에 다수개의 몸체(100a,100b,100c)가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되어진다. 그러므로, 각각의 몸체(100)들 사이에는 공간부(160a)가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몸체(100a)와 몸체(100b) 사이에는 와이어(200)에 삽입되어지는 탄성부재(150)가 구비되어 각각의 몸체(100)들 사이에서도 공간부(160b)가 형성된다. 즉, 몸체(100a,100b,100c)들의 횡과 종방향에 공간부(160a,160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몸체(100)들 사이에 탄성부재(150)가 구비되기 때문에 하나의 구조체(300)로 호안블럭을 형성하여 설치할 수 있다.
첨부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둑의 경사면(400)에 호안블럭을 설치하는 현장에서 그 경사면(400)의 너비에 따라 수십개의 블럭(100)을 하나의 구조체(300)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현장에서 다수개의 와이어(200a,200b) 일측은 묶여진 상태로 고정하거나 다른 부재와 결합시킨다. 그리고, 두개의 와이어(200a,200b) 마다 하나의 몸체(100a)를 삽입하여 1열의 몸체(100)를 갖는다. 이후, 각각의 와이어(200a,200b)에는 탄성부재(150)가 삽입된 후 다른 몸체(100)를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수십개의 몸체(100a,100b,100c)는 각 열마다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되고 그 몸체(100a,100b,100c)들 사이에는 탄성부재(150)가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하나의 구조체(300)가 형성되고, 크레인(500)을 이용하여 둑의 경사면(400)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와이어(200)의 특성으로 인해 구조체의 양측 또는 일측을 경사면(400)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몸체(100a,100b,100c)들 사이에는 공간부(16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몸체(100a,100b,100c)들이 서로 부딪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크레인(500)을 이용하여 구조체(300)를 경사면(400)에 설치할 때 상기 구조체(300)가 파열되지 않는다. 이와 더불어 와이어(200a,200b)에는 탄성부재(150)가 각각의 몸체(100a,100b,100c) 사이마다 구비되기 때문에 구조체(300)가 굽혀질 수 있고 몸체(100a,100b,100c)들이 와이어(200a,200b)의 방향으로 부딪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식용이 가능한 호안블럭은 강이나 호수, 저수지와 바다 등의 바닥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파도로 인해서 물의 요동이 크게 작용하는 바다의 바닥면에 적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해안가와 인접하게 위치되어 바닥면의 부유물이나 모래 등이 파도와 함께 해안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호안블럭을 조합하여 구조체(300)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해저 식물이 구조체(300)에서 성장할 수 있고, 해조숲이 조성되도록 하여 바다속에서 발생되는 백화현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록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수개의 와이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 몸체와 몸체들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둑의 경사면에 설치하였을 때 상기 공간부에서 식생이 가능하다.
둘째, 와이어의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몸체와 몸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다수개의 와이어와 몸체를 조합하여 하나의 구조체로 제작한 후 현장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호안블럭을 설치할 수 있다.
셋째, 홀의 위치가 몸체의 양측면과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어 몸체들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부로 인해 식생이 가능함과 동시에, 호안블럭을 하나의 구조체로 구성한 후 크레인으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몸체와 몸체가 부딪쳐 파열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은 몸체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인해 식생이 가능하고, 호안블럭을 하나의 구조체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개별적인 체결이 아닌 단위체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호안블럭들을 하나의 구조체로 제작한 후, 바다속의 바닥부에 설치하여 구조체에서 해조류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바다에서 발생되는 백화현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호안블럭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을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이 설치되는 일예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a,100b,100c : 몸체, 블럭 110 : 돌출부
130a,130b : 홀 150 : 탄성부재
160,160a,160b : 공간부 200,200a,200b : 와이어
300 : 구조체 400 : 경사면
500 : 크레인

Claims (4)

  1. 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사각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가 관통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삽입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상기 와이어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 배치된 몸체와 타측 몸체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삽입되는 몸체와 몸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몸체의 양측면과 인접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지되;
    상기 측면에서부터 상기 홀까지의 위치는,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서부터 상기 홀까지의 위치보다 더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KR20-2005-0007124U 2005-03-16 2005-03-16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KR200386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124U KR200386495Y1 (ko) 2005-03-16 2005-03-16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124U KR200386495Y1 (ko) 2005-03-16 2005-03-16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495Y1 true KR200386495Y1 (ko) 2005-06-13

Family

ID=4368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124U KR200386495Y1 (ko) 2005-03-16 2005-03-16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4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036B1 (ko) 2007-03-19 2008-09-10 박용수 식생블록
CN109137824A (zh) * 2018-07-31 2019-01-04 浙江普天园林建筑发展有限公司 一种生态护坡结构及生态护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036B1 (ko) 2007-03-19 2008-09-10 박용수 식생블록
CN109137824A (zh) * 2018-07-31 2019-01-04 浙江普天园林建筑发展有限公司 一种生态护坡结构及生态护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2114Y1 (ko) 식생호안용/조경용 매트
KR101039658B1 (ko) 해안사구 생태복원 구조
KR200419169Y1 (ko) 식물 활착가능한 자연형 게비온 호안
CN101387107A (zh) 带桩式防浪结构的生态护岸
Winterwerp et al. A sustainable solution for massive coastal erosion in Central Java
CN206554030U (zh) 一种铰链式联锁生态护坡块体及应用其的护坡系统
KR200386495Y1 (ko)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KR102069672B1 (ko)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KR101095374B1 (ko) 하천의 생태 복원을 위한 시공방법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200428974Y1 (ko) 호안블록
JP2001120107A (ja) 海藻育成装置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CN201228353Y (zh) 带桩式防浪结构的生态护岸
KR100451981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200337316Y1 (ko) 생태계 어초블록
KR20060132233A (ko) 생태보존형 낚시용 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395309Y1 (ko) 식생 호안블록
KR20190030531A (ko) 해안 침식 방지 블럭
KR20140128577A (ko) 호안용 돌망태
KR101738465B1 (ko)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소파 방지를 위한 블럭
KR200284979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식호안블록
CN215948060U (zh) 一种海岸侵蚀防治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